KR100892059B1 - 벤딩기 - Google Patents

벤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059B1
KR100892059B1 KR1020080086706A KR20080086706A KR100892059B1 KR 100892059 B1 KR100892059 B1 KR 100892059B1 KR 1020080086706 A KR1020080086706 A KR 1020080086706A KR 20080086706 A KR20080086706 A KR 20080086706A KR 100892059 B1 KR100892059 B1 KR 100892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upport
rollers
bending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자
Original Assignee
김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자 filed Critical 김미자
Priority to KR1020080086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21D5/1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22Auxiliary equipment, e.g. 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1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판재를 위한 벤딩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베이스프레임(10); 구동축(12)을 중심으로 정역회전을 반복하는 구동롤러(2); 상기 구동롤러(2)의 하부에 설치되는 공전롤러(4, idle roller);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끔 상기 구동롤러(2)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제1,2 벤딩롤러(6,8); 상기 공전롤러(4) 및 상기 제1,2 벤딩롤러(6,8)의 각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롤러지지대(14); 상기 롤러지지대(14)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2 벤딩롤러(6,8)를 상하방향으로 기동시키기 위한 벤딩롤러 승하강수단; 상기 롤러지지대(14)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지지대 승하강수단; 상기 구동롤러(2)의 일측만을 선택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구동롤러(2)로 하여금 외팔보 형태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롤러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086706
벤딩기, 절곡기, 제관기, 보정, 곡률, 포밍(forming)

Description

벤딩기{bending machine}
본 발명은 벤딩기에 관한 것으로서, 제관 또는 금속판재를 원호형태로 절곡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관체로 된 제품의 탈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곡률을 보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벤딩기에 관한 것이다.
벤딩기(bending machine)는 금속판재를 절곡하여 제관을 하거나 또는 소비자가 원하는 곡률을 갖도록 원호형태로 가공하는 금속가공기계의 하나이다. 벤딩기는 제관기 또는 절곡기라고도 칭한다.
도 1은 종래 벤딩기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벤딩기에서 제품을 탈거하는 모습을 표현한 벤딩기의 구성도이다. 벤딩기는 3개 또는 4개의 롤러를 포함한다. 구동력은 벤딩기 상부에 위치하는 구동롤러(200)에 전달된다. 구동롤러(200) 아래에는 공전롤러(202, idle roller)가 설치되는데 구동롤러(200)와 공전롤러(202)의 간격은 금속판재(P)의 두께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는 공전롤러(202)를 상하방향으로 기동되게 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도면상 구동롤러(200)의 좌우 양측에는 제1,2 벤딩롤러(204,206)가 설치된다. 제1,2 벤딩롤러(204,206)는 화살표로 표시된 것처럼 상하방향으로 기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두께가 2mm 이상이 되는 두꺼운 판재는 단숨에 절곡할 수 없으며 포밍기(forming machine)에서와 같이 점진적으로 원하는 곡률을 형성해나가야 한다. 그러므로 벤딩과정에서 제1,2 벤딩롤러(204, 206)를 상방향으로 기동시키기 위한 기능은 필수적이다. 제1,2 벤딩롤러(204, 206)에는 구동력이 전달되지 아니하며 회전축(204a,206a) 자체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을 뿐이다.
벤딩과정에서 구동롤러(200)는 정역회전을 반복하게 된다. 구동롤러(200)의 정역회전 반복구간은 금속판재(P)의 폭 미만으로 설정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종래 벤딩기를 이용하여 직경이 크고 육중한 관체를 제작함에 있어서, 벤딩기에 제품(K)을 그대로 설치해 놓은 상태에서 용접(W)과 그라인딩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절곡만 이루어진 제품을 옮기는 과정에서 제품의 변형 또는 손상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각 롤러를 지지하고 있는 브래킷(210)중의 어느 한쪽을 도시된 바와 같이 옆으로 젖히거나 분리하고서 완성된 제품(K)을 화살표 방향으로 빼내야 했다. 빼내는 과정에서 구동롤러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롤러 사이에는 각목(미도시됨) 등을 끼워넣어야 했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공정 또는 장치의 구성은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제품을 고급화하는데 시키는데 큰 걸림돌이 되었다.
한편, 종래 벤딩기에 있어서 벤딩롤러(204,206)는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 경우 요망하는 곡률(曲率, curvature) 이상으로 금속판재를 지나치게 절곡한 경우 이를 원하는 곡률로 다시금 펼 수 있는 방법이 마땅치 않았다. 특히 두꺼운 금속판재를 다시금 펴는 작업에 큰 노동력을 필요로 하였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벤딩기를 이용하여 제관시 용접을 하여 관형태로 완성된 제품을 기계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벤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금속판재를 요망하는 곡률로 절곡하거나 또는 제관을 하는 벤딩기에 있어서, 목적하는 특정 곡률 이상으로 지나치게 절곡된 경우 이를 보정하여 다시금 펼 수 있게 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벤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베이스프레임;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동축을 중심으로 정역회전을 반복하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의 하부에 가공하고자 하는 금속판재의 두께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공전롤러(idle roller);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끔 상기 구동롤러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제1,2 벤딩롤러; 상기 공전롤러 및 상기 제1,2 벤딩롤러의 각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롤러지지대; 상기 롤 러지지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2 벤딩롤러를 상하방향으로 기동시키기 위한 벤딩롤러 승하강수단; 상기 롤러지지대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지지대 승하강수단; 상기 구동롤러의 일측만을 선택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구동롤러로 하여금 외팔보 형태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롤러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지나치게 절곡된 금속판재를 다시금 펴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보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정부는; 상기 구동롤러와 직각방향으로 상기 구동롤러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 상기 가이드봉과 평행하게 상기 고정브래킷 사이에 설치되는 나사봉; 상기 나사봉과 나사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봉과 슬라이드 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나사봉 및 가이드봉에 동시에 결합되는 제1,2 이동블럭; 상기 제1,2 이동블럭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롤러와 면접촉하게 되는 상기 금속판재의 상면에 면접촉 가능한 위치에, 좌우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벌려지거나 좁혀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2 보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나사봉은 그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은 오른나사로 나선이 형성되고, 타측은 왼나사로 나선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나사봉이 어느 일방향을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2 이동블럭은 서로 대칭되게 기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정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2곳에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단 좌우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래킷은 휠을 매개로 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기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정부는 베이스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상기 구동롤러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마치 뚜껑과 같이 상기 구동롤러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벤딩기를 이용하여 제관시 용접을 하여 관형태로 완성된 제품을 벤딩기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는 구성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는 제품 인출시 구동롤러로 하여금 외팔보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을 벤딩기로부터 들어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나사봉을 회전시켜 제1,2 보정롤러를 대칭적으로 벌림으로써 목적하는 특정 곡률을 초과하여 과도하게 절곡된 금속판재를 다시금 펴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더욱 상 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벤딩기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4는 측면도이며 도 5는 정면도이고 도 6은 저부 사시도이다. 도 7은 작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벤딩기의 롤러 및 그의 지지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벤딩기의 동작 내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벤딩기의 사시도이며, 도 11는 정면도이고, 도 12는 보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작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동일 또는 유사한 길이를 가지는 구동롤러(2), 공전롤러(4, idle roller) 및 제1,2 벤딩롤러(6,8)가 기다란 베이스프레임(10) 상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구동롤러(2), 공전롤러(4) 및 제1,2 벤딩롤러(6,8)는 마름모꼴(도 4 참조)로 설치되며 구동롤러(2)의 구동축(12)은 완성된 제품을 탈거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위치가 고정된다.
구동롤러(2)는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동축(12)을 중심으로 정역회전을 반복하게끔 되어 있다. 구동축(1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은 도시가 생략되었다. 공전롤러(4)는 구동롤러(2)의 하단으로부터 가공하고자 하는 금속판재(P)의 두께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1,2 벤딩롤러(6,8)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끔 구동롤러(2)의 좌우 양측(도 4 참조)에 설치된다. 금속판재(P)는 구동롤러(2)와 제1,2 벤딩롤러(6,8) 사이로 통과되면서 동시에 제1,2 벤딩롤러(6,8)의 승강에 의해 소정의 곡률로 절곡되게 된다. 이상의 내용은 종래기술과 다름 없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한 설명이 이어진다.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는 롤러지지대(14)는 공전롤러(4) 및 제1,2 벤딩롤러(6,8)의 각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 롤러지지대(14a)와 타측 롤러지지대(14b)로 구성된다. 구동롤러 지지수단은 롤러지지대(14)와는 별개로 공전구동롤러(2)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후술된다.
벤딩롤러 승하강수단은 제1,2 벤딩롤러(6,8)를 상하방향으로, 특히 사다리꼴 형태로 기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 롤러지지대(14a)와 타측 롤러지지대(14b)에 각각 동일한 양태로 기동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므로 일측 롤러지지대(14a)에 설치된 것만을 대표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벤딩롤러(6,8)는 사선방향으로 기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벤딩롤러 승하강수단은 일측 롤러지지대(14a)의 외측벽에 브래킷(16)을 매개로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2개의 벤딩실린더(18)를 포함한다. 벤딩실린더(18)의 작동로드(18a)는 각각 제1,2 벤딩롤러(6,8)의 회전축(6a,8a) 일단에 베어링수단을 매개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벤딩실린더(18)의 작동에 의해 제1,2 벤딩롤러(6,8)는 이등변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빗변과 같은 경로를 따라 기동될 수 있게 된다. 제 1,2 벤딩롤러의 회전축(6a,8a) 일단은 일측 롤러지지대(14a)를 관통하여 벤딩실린더의 작동로드(18a)에 연결되며, 사선방향으로 타공된 장공(20)은 제1,2 벤딩롤러(6,8)의 롤러지지대(14)에 대한 상대적인 기동을 허용한다. 다시 말하면 롤러지지대(14)가 고정되어 있더라도 제1,2 벤딩롤러(6,8)는 구동롤러(2)를 향한 사선방향으로 기동될 수 있다는 것이다.
지지대 승하강수단은 롤러지지대(14)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것이며, 벤딩롤러 승하강수단과는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지지대 승하강수단은 하단은 베이스프레임(10) 저부에 연결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단이 롤러지지대(14)의 하단에 연결되는 리프트실린더(22)를 포함한다. 롤러지지대(14)는 베이스프레임(10)의 기둥(10a)을 따라 안정적으로 승하강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기둥(10a)을 따라 레일(24)이 설치될 필요가 있게 된다(도 6 참조). 리프트실린더(22)는 베이스프레임(10)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서로 동일하게 기동된다.
구동롤러 지지수단은 구동축의 타측(12b)만을 선택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구동롤러(2)로 하여금 외팔보 형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구동롤러지지수단은 타측 롤러 지지대와 같은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대(25)와 일측 롤러지지대(14a)에 설치되는 탈거부를 포함한다.
탈거부는 일측롤러지지대(14a)에 직각을 이루도록 바깥쪽을 향해 연장 설치되는 2개 이상의 지지봉(26)과; 베어링을 매개로 구동축의 일단(12a)에 캡처럼 씌워져 구동축(12)을 지지하는 동시에 구동축(12)의 원활한 축회전을 가능케 하는 베어링캡(28); 상단이 베어링캡(28)의 저부에 용접되고 하부는 지지봉(26)에 끼워져 상기 베어링캡(28)으로 하여금 상기 지지봉(26)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구동롤러(2) 내지 구동축(12)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캡 브래킷(30); 및 상기 베어링캡 브래킷(30)을 기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작동로드(32a)는 베어링캡 브래킷(30)에 고정되고 실린더 몸체(32b)는 지지봉(26)의 끝단에 연결되는 이젝트실린더(32)를 포함한다. 베어링캡 브래킷(30)은 삼각형태를 취하며 아래쪽 양 꼭지점 부위에는 지지봉(26)이 끼워지고 위 꼭지점에는 베어링캡(28)이 설치된다.
이젝트실린더(32)에 의해 베어링캡(28)이 구동축(12)으로부터 완전히 빠지게 되면, 구동롤러(2)는 타측 롤러지지대(14b)만에 의해 수평으로 지지되게 된다. 즉, 구동롤러(2)는 외팔보 형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리프트실린더(22)의 작동에 의해 롤러지지대(14) 및 그에 설치되는 공전롤러(4)와 제1,2 벤딩롤러(6,8)가 하강하게 되면, 관체로 완성된 제품(K)은 구동롤러의 일측으로 빠져나올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게 된다(도 7 참조).
구동축의 일단(12a)이 개방된 경우 고정대(25)만으로 구동롤러(2)를 외팔보 형태로 지지하기에 힘들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동롤러 지지수단은, 구동축(12)을 고정대(25)의 바깥쪽으로 더 연장시키고 연장된 단부에 보조 지지대(34)를 더 설치하고 있다. 보조지지대(34)는 베이스프레임(10)에 직립되게 설치된다. 보조지지대(34)와 고정대(25) 간의 간격은 구조설계에 의해 구체적으로 결정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이하 설명되는 제1,2 보정롤러(114,116)에 있다. 제1,2 보정롤러(114,116)는 금속판재(P)의 양면 가운데 구동롤러와 면접촉하게 되는 면(P')과 동일한 면에 면접촉 가능한 위치에, 도 2상 좌우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벌려지거나 좁혀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제1,2 보정롤러(114,116)의 벌려지려는 힘은 금속판재(P)를 펴는 힘으로 작용한다.
금속판재(P)가 요망하는 곡률 이상으로 절곡된 경우, 제1,2 보정롤러(114,116)를 좌우로 점진적으로 벌리면서 동시에 구동롤러(2)를 가동(정역회전의 반복에 의한 왕복운동)시키게 되면 제1,2 보정롤러(114,116)는 제1,2 벤딩롤러(6,8)와 반대작용을 함으로써 금속판재(P)를 펴게 된다.
이하, 제1,2 보정롤러(114,116)를 핵심적 구성요소로 하는 벤딩기의 보정부(120)에 대하여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베이스프레임(10) 상단 좌우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122)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정부(120)는 2곳에 설치되며 가이드레일(122)을 따라 기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러므로 보정부(120)는 베이스프레임(10) 상부에서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동할 수 있게 되며 제품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보정부(120)는 베이스프레임(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양자는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가이드레일(122)은 씨(C) 형태의 가이드홈을 제공하여 휠(124, wheel)로 하여금 가이드레일(122)을 따라 구름운동할 수 있게 한다. 휠(124)은 가이드레일(122)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126)를 따라 3곳에 설치높이가 다르게 설치된다. 즉, 가운데 휠(124b)이 가장자리 양쪽에 있는 휠(124a,124c)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가운데 휠(124b)은 가이드홈의 상면(122a)과 접하여 구름운동하고 가장자리 휠(124a,124c)은 가이드홈의 하면(122b)과 접하여 구름운동하게끔 되어 있다. 가운데 휠(124b)에 모터에 의한 구동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가공코자 하는 금속판재(P)의 길이에 따라 보정부(120) 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브래킷(128)이 양쪽 블레이드(126)에 각각 직립되게 설치된다. 고정브래킷(128) 사이는 2개의 가이드봉(130)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봉(130) 중간에 위치되며 가이드봉(130)과 평행하게끔 나사봉(132)이 고정브래킷(128)에 설치된다. 가이드봉(130)을 따라 제1,2 이동블럭(134,136)이 슬라이드 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와 동시에 제1,2 이동블럭(134,136)은 나사봉(132)과 나사결합된다.
제1,2 이동블럭(134,136)은 서로 대향적으로 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나사봉(132)은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132a)은 오른나사로 나선이 형성되고, 타측(132b)은 왼나사로 나선이 형성된다. 따라서 나사봉(132)이 어느 일방향을 회전하는 경우 제1,2 이동블럭(134,136)은 서로 대칭되게, 즉 나사봉(132)의 중심을 기준으로 똑같은 선속도로 벌려지거나 좁혀지게 된다.
나사봉(132)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됨) 및 감속장치가 고정브래킷(128) 외측 어느 일곳에 설치된다. 제1,2 보정롤러(114,116)는 소정의 베어링 수단을 매개로 회전중심축(114a,116a)이 구동롤러의 구동축(12)과 평행을 이루도록 제1,2 이동블럭(134,136)에 각각 공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수작업에 의해 또는 기계적 작업에 의해 측정된 금속판재(P)의 곡률이 목적했던 수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나사봉(132)을 회전구동하여 제1,2 보정롤러(114,116)를 좌우 양측으로 벌림으로써 금속판재의 곡률을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미리 설정된 위치(금속판재가 특정 곡률로 절곡될 경우 제1,2 보정롤러와 닿게 되는 위치)에 미리 제1,2 보정롤러(114,116)를 고정시켜 놓고 벤딩작업의 진행에 의해 금속판재(P)의 일면(P')이 제1,2 보정롤러(114,116)에 닿는 순간 벤딩작업을 마치게 되면(제1,2 벤딩롤러(6,8)의 상승 중단) 원하는 곡률로 정확히 금속판재를 절곡할 수도 있게 된다. 즉, 제1,2 보정롤러를 지그(jig)와 같이 활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관체 형태로 완성된 제품을 벤딩기로부터 빼낼 경우 보정부(120)가 장애물이 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보정부(120)를 구동롤러(2)의 상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비켜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보정부(120)는 베이스프레임(2)의 상부 일측에 상기 구동롤러(2)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힌지축(138)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마치 뚜껑과 같이 상기 구동롤러(2)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보정부(120)는 소정의 실린더에 의해 또는 수작업에 의해 힌지축(138)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벤딩기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벤딩기에서 제품을 탈거하는 모습을 표현한 벤딩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벤딩기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4는 측면도이며 도 5는 정면도이고 도 6은 저부 사시도이다. 도 7은 작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벤딩기의 롤러 및 그의 지지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벤딩기의 동작 내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벤딩기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정면도이고, 도 12는 보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벤딩기의 작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구동롤러 4 ; 공전롤러
6,8 ; 제1,2 벤딩롤러 10 ; 베이스프레임
12 ; 구동축 14(14a,14b) ; 롤러지지대
18 ; 브래킷 22 ; 리프트실린더
25 ; 고정대 26 ; 지지봉
28 ; 베어링캡 32 ; 이젝트실린더
34 ; 보조지지대
114,116 ; 제1,2 보정롤러 120 ; (곡률) 보정부
122 ; 가이드레일 124 ; 휠(wheel)
130 ; 가이드봉 132 ; 나사봉
134,136 ; 제1,2 이동블럭 138 ; 힌지축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베이스프레임(10);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동축(12)을 중심으로 정역회전을 반복하는 구동롤러(2); 상기 구동롤러(2)의 하부에 가공하고자 하는 금속판재(P)의 두께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공전롤러(4, idle roller);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끔 상기 구동롤러(2)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제1,2 벤딩롤러(6,8); 상기 공전롤러(4) 및 상기 제1,2 벤딩롤러(6,8)의 각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롤러지지대(14); 상기 롤러지지대(14)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2 벤딩롤러(6,8)를 상하방향으로 기동시키기 위한 벤딩롤러 승하강수단; 상기 롤러지지대(14)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지지대 승하강수단; 상기 구동롤러(2)의 일측만을 선택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구동롤러(2)로 하여금 외팔보 형태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롤러 지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롤러 지지수단은; 상기 구동축의 타측(12b)만을 선택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구동롤러(2)로 하여금 외팔보 형태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롤러지지대(14)중 한쪽을 구성하는 타측 롤러지지대(14b)와 같은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대(25)와 일측 롤러지지대(14a)에 설치되는 탈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탈거부는 상기 롤러지지대(14)중 다른 한쪽을 구성하는 일측 롤러지지대(14a)에 직각을 이루도록 바깥쪽을 향해 연장 설치되는 2개 이상의 지지봉(26)과; 베어링을 매개로 구동축의 일단(12a)에 캡처럼 씌워져 구동축(12)을 지지하는 동시에 구동축(12)의 원활한 축회전을 가능케 하는 베어링캡(28); 상단이 상기 베어링캡(28)의 저부에 용접되고 하부는 상기 지지봉에 끼워져 상기 베어링캡(28)으로 하여금 상기 지지봉(26)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구동롤러(2) 내지 구동축(12)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캡 브래킷(30); 및 상기 베어링캡 브래킷(30)을 기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작동로드(32a)는 상기 베어링캡 브래킷(30)에 고정되고 실린더 몸체(32b)는 상기 지지봉(26)의 끝단에 연결되는 이젝트실린더(32)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12)은 상기 고정대(25)의 바깥쪽으로 더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에 보조 지지대(34)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기.
  5. 제4항에 있어서, 지나치게 절곡된 금속판재를 다시금 펴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보정부(1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정부(120)는;
    상기 구동롤러(2)와 직각방향으로 상기 구동롤러(2)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봉(130); 상기 가이드봉(130)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128); 상기 가이드봉(130)과 평행하게 상기 고정브래킷(128) 사이에 설치되는 나사봉(132); 상기 나사봉(132)과 나사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봉(130)을 따라 슬라이드 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나사봉(132) 및 가이드봉(130)에 동시에 결합되는 제1,2 이동블럭(134,136); 상기 제1,2 이동블럭(134,136)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롤러(2)와 면접촉하게 되는 상기 금속판재(P)의 일면(P')에 면접촉 가능한 위치에, 좌우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벌려지거나 좁혀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2 보정롤러(114,116)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봉(132)은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132a)은 오른나사로 나선이 형성되고, 타측(132b)은 왼나사로 나선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나사봉(132)이 어느 일방향을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2 이동블럭(134,136)은 서로 대칭되게 기동하며;
    상기 보정부(1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 일측에 상기 구동롤러(2)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힌지축(138)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마치 뚜껑과 같이 상기 구동롤러(2)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기.
KR1020080086706A 2008-09-03 2008-09-03 벤딩기 KR100892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706A KR100892059B1 (ko) 2008-09-03 2008-09-03 벤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706A KR100892059B1 (ko) 2008-09-03 2008-09-03 벤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2059B1 true KR100892059B1 (ko) 2009-04-06

Family

ID=40757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706A KR100892059B1 (ko) 2008-09-03 2008-09-03 벤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059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758B1 (ko) * 2013-06-27 2014-08-13 오석환 원호형 변단면 강재 거더, 원호형 변단면 강재 거더를 갖는 교량 및 원호형 변단면 강재 거더의 제조방법
KR101479871B1 (ko) 2013-12-10 2015-01-09 오승민 벤딩기
CN104324988A (zh) * 2014-10-17 2015-02-04 燕山大学 对称式四辊卷圆工艺方法及装置
KR101572117B1 (ko) 2014-08-14 2015-11-27 주식회사 케이에이치이 냉각탑용 벨 마우스 형상의 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위한 제조설비
KR101777754B1 (ko) * 2016-01-29 2017-09-12 이영규 원통체를 형성하는 벤딩장치
KR101777753B1 (ko) * 2016-01-29 2017-09-12 이영규 금속판재 벤딩장치
CN107972149A (zh) * 2017-11-22 2018-05-01 昆山日门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门套生产流水线
CN109047403A (zh) * 2018-09-17 2018-12-21 顺德职业技术学院 缝隙可自动调整的四辊卷圆机
CN109332454A (zh) * 2018-08-31 2019-02-15 高邮欣逸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五金件加工用折弯机
KR102026661B1 (ko) * 2018-07-10 2019-09-30 박영순 파이프 형성 장치
CN111842564A (zh) * 2020-07-27 2020-10-30 杨安龙 一种四辊液压传动卷板机
KR102174742B1 (ko) * 2020-06-22 2020-11-05 김광철 롤벤딩장치
KR102205303B1 (ko) * 2019-07-23 2021-01-19 강호일 벨 마우스를 위한 절곡된 부분 강판의 제조방법 및 제조설비
CN112246930A (zh) * 2020-10-13 2021-01-22 刘占国 一种铝合金型材制造滚弯机械
CN113828664A (zh) * 2021-08-27 2021-12-24 孙平 一种针对不易冲压材料的冲压设备
CN114850256A (zh) * 2022-04-14 2022-08-05 盖炳文 一种三辊差速变曲率数控卷板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8347A (ja) * 1991-11-25 1994-08-30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ロ−ル予備組み替え装置およびスペーサ一体ロール
JPH0952126A (ja) * 1995-08-10 1997-02-25 Kurimoto Ltd ベンディングロール機の製品内側支持装置
JPH10175021A (ja) * 1996-12-16 1998-06-30 Morita & Co:Kk 板ばねのキャンバー成形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8347A (ja) * 1991-11-25 1994-08-30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ロ−ル予備組み替え装置およびスペーサ一体ロール
JPH0952126A (ja) * 1995-08-10 1997-02-25 Kurimoto Ltd ベンディングロール機の製品内側支持装置
JPH10175021A (ja) * 1996-12-16 1998-06-30 Morita & Co:Kk 板ばねのキャンバー成形方法および装置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758B1 (ko) * 2013-06-27 2014-08-13 오석환 원호형 변단면 강재 거더, 원호형 변단면 강재 거더를 갖는 교량 및 원호형 변단면 강재 거더의 제조방법
KR101479871B1 (ko) 2013-12-10 2015-01-09 오승민 벤딩기
KR101572117B1 (ko) 2014-08-14 2015-11-27 주식회사 케이에이치이 냉각탑용 벨 마우스 형상의 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위한 제조설비
CN104324988A (zh) * 2014-10-17 2015-02-04 燕山大学 对称式四辊卷圆工艺方法及装置
CN104324988B (zh) * 2014-10-17 2016-05-04 燕山大学 对称式四辊卷圆工艺方法及装置
KR101777754B1 (ko) * 2016-01-29 2017-09-12 이영규 원통체를 형성하는 벤딩장치
KR101777753B1 (ko) * 2016-01-29 2017-09-12 이영규 금속판재 벤딩장치
CN107972149A (zh) * 2017-11-22 2018-05-01 昆山日门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门套生产流水线
CN107972149B (zh) * 2017-11-22 2019-12-24 昆山日门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门套生产流水线
KR102026661B1 (ko) * 2018-07-10 2019-09-30 박영순 파이프 형성 장치
CN109332454A (zh) * 2018-08-31 2019-02-15 高邮欣逸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五金件加工用折弯机
CN109047403A (zh) * 2018-09-17 2018-12-21 顺德职业技术学院 缝隙可自动调整的四辊卷圆机
KR102205303B1 (ko) * 2019-07-23 2021-01-19 강호일 벨 마우스를 위한 절곡된 부분 강판의 제조방법 및 제조설비
KR102174742B1 (ko) * 2020-06-22 2020-11-05 김광철 롤벤딩장치
CN111842564A (zh) * 2020-07-27 2020-10-30 杨安龙 一种四辊液压传动卷板机
CN111842564B (zh) * 2020-07-27 2022-04-15 唐山马鲁铂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四辊液压传动卷板机
CN112246930A (zh) * 2020-10-13 2021-01-22 刘占国 一种铝合金型材制造滚弯机械
CN112246930B (zh) * 2020-10-13 2024-01-05 天津佰亿铝业有限公司 一种铝合金型材制造滚弯机械
CN113828664A (zh) * 2021-08-27 2021-12-24 孙平 一种针对不易冲压材料的冲压设备
CN113828664B (zh) * 2021-08-27 2023-08-18 孙平 一种针对不易冲压材料的冲压设备
CN114850256A (zh) * 2022-04-14 2022-08-05 盖炳文 一种三辊差速变曲率数控卷板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059B1 (ko) 벤딩기
EP1904244B1 (en) Roll-forming machine and method for roll-forming a hat-shaped profile
CN1173786C (zh) 一种具有三个或更多个可调旋臂的轧制机架
KR20100100926A (ko) 냉간 압연에 의해 가변 높이를 가진 프로파일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80086964A (ko) 러그 절단장치
CN110170907A (zh) 一种用于金属筒生产的筒壁除锈设备
KR20180096272A (ko) 육성 용접을 위한 파이프 내면의 피막 제거장치
CN107159814A (zh) 一种汽车门框内外板自动冲切流水线
JP5542907B2 (ja) 平坦化ユニットを転回させるための装置及び前記装置と係合する平坦化ユニット
RU2359799C2 (ru) Сборочно-сварочный стан
CA283568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etal sections with a closely toleranced chamber dimension
CN217798249U (zh) 一种卷板机辅助装置
CN213701303U (zh) 一种新型用于卷板机的卸料装置
CN211613912U (zh) 一种自动翻边卷板机
KR100423429B1 (ko) 소둔로 롤 교체장치
CN111842592B (zh) 能够加工薄板的两工位定向折边机
CN207120196U (zh) 一种翻转平台
KR200216112Y1 (ko) 코일내경부의 처진강판 교정장치
CN210649459U (zh) 一种铁片加工生产线
KR20000010113U (ko) 권취코일의 외권교정장치
CN112007971A (zh) 一种矫直机
CN209931338U (zh) 一种面片压辊之间可移动的面片输送装置
CN220591339U (zh) 多功能折弯机
CN214733118U (zh) 一种用于砂纸的上纸架
CN215364103U (zh) 开卷整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