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661B1 - 파이프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661B1
KR102026661B1 KR1020180079844A KR20180079844A KR102026661B1 KR 102026661 B1 KR102026661 B1 KR 102026661B1 KR 1020180079844 A KR1020180079844 A KR 1020180079844A KR 20180079844 A KR20180079844 A KR 20180079844A KR 102026661 B1 KR102026661 B1 KR 102026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roller
roller
rotating
pip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순
Original Assignee
박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순 filed Critical 박영순
Priority to KR1020180079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2Ejec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파이프 형성 장치는 베이스 몸체; 상기 베이스 몸체의 지정된 위치에서 제1 방향으로 자전하는 제1 구동 롤러, 상기 제1 구동 롤러와 마주하게 상기 베이스 몸체의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1 구동 롤러와 연동하여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자전하는 제2 구동 롤러를 포함하는 모재 이송 유닛; 상기 제2 구동 롤러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구동 롤러의 축에 회동되게 결합된 제1 회동 브라켓, 상기 제1 회동 브라켓에 상기 제1 구동 롤러와 평행하게 결합된 제1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제1 회동 브라켓을 상기 축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제1 회동 유닛을 포함하는 제1 성형 유닛; 및 상기 제2 구동 롤러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구동 롤러의 상기 축에 회동되게 결합된 제2 회동 브라켓, 상기 제2 회동 브라켓에 상기 제1 구동 롤러와 평행하게 결합된 제2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제2 회동 브라켓을 상기 축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제2 회동 유닛을 포함하는 제2 성형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이프 형성 장치{APPARATUS FOR FORMING PIPE}
본 발명은 금속 파이프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 평판을 이용하여 길이가 짧은 금속 파이프를 형성할 수 있으며 부피가 매우 작은 파이프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공을 갖는 금속 파이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금속 덩어리를 가열한 후 압출하여 중공을 갖는 파이프를 형성 또는 평판을 원형 형태로 구부린 후 맞대기 용접하여 중공을 갖는 파이프를 형성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금속 띠를 파이프 형상으로 가공한 후 용접하여 파이프를 만드는 방법도 있다.
평판을 구부려 파이프를 형성하는 기술로서는 등록특허 특0163409호, 박판으로부터 파이프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1998.09.05. 등록)가 대표적인데, 상기 박판으로부터 파이프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는 테이퍼진 파이프와 평판의 에지를 수용하기 위한 맨드릴(11)상의 그리퍼 리브(14)를 형성하도록 판을 압연하기 위한 판 압연 장치로서, 맨드릴(11)은 지지 프레임(24,25) 단부 사이에 설치되며 단일 가압롤러(15)상에서 맨드릴(11) 하부에 설치되며 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적용되며 압연 작업시에 판과 맨드릴(11)에 대한 압착력을 적용하며 가압 롤러(15)는 죔 리브(14)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면서 요구한 대로 상기 압착력을 상기 판에 적용하여 롤러(15)의 영역에서 죔 리브(14)의 위치에 따라 맨드릴의 중심선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가동되면서 파이프를 제조한다.
즉, 상기 박판으로부터 파이프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는 박판을 가공하여 중공을 갖는 파이프를 제조하지만, 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설비가 복잡하며 제조 설비가 차지하는 부피가 매우 크다.
또한 상기 박판으로부터 파이프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는 길이가 짧고 직경이 작은 금속 파이프를 제조하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도 함께 갖는다.
등록특허 특0163409호, 박판으로부터 파이프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1998.09.05. 등록)
본 발명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길이가 평판을 길이가 짧고 직경이 작은 금속 파이프로 가공할 수 있는 파이프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평판을 금속 파이프로 제조할 수 있으면서 제조 설비가 차지하는 부피가 매우 작은 파이프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파이프 형성 장치는 베이스 몸체; 상기 베이스 몸체의 지정된 위치에서 제1 방향으로 자전하는 제1 구동 롤러, 상기 제1 구동 롤러와 마주하게 상기 베이스 몸체의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1 구동 롤러와 연동하여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자전하는 제2 구동 롤러를 포함하는 모재 이송 유닛; 상기 제2 구동 롤러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구동 롤러의 축에 회동되게 결합된 제1 회동 브라켓, 상기 제1 회동 브라켓에 상기 제1 구동 롤러와 평행하게 결합된 제1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제1 회동 브라켓을 상기 축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제1 회동 유닛을 포함하는 제1 성형 유닛; 및 상기 제2 구동 롤러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구동 롤러의 상기 축에 회동되게 결합된 제2 회동 브라켓, 상기 제2 회동 브라켓에 상기 제1 구동 롤러와 평행하게 결합된 제2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제2 회동 브라켓을 상기 축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제2 회동 유닛을 포함하는 제2 성형 유닛을 포함한다.
파이프 형성 장치의 상기 베이스 몸체는 상기 모재 이송 유닛을 회동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제1 구동 롤러의 타측단에 결합 또는 분리되어 상기 제1 구동 롤러에 감겨진 파이프를 분리하기 위한 파이프 분리 부재를 포함한다.
파이프 형성 장치의 상기 제1 회동 유닛은 베이스 몸체에 고정되며 오목한 홈이 형성된 제1 지지 블럭, 상기 제1 지지 블럭과 마주하는 상기 제1 회동 브라켓에 결합되며 나사 체결홀이 형성된 제1 부싱, 상기 제1 부싱에 나사 체결되는 제1 나사부 및 상기 홈에 수납되게 제1 나사부에 형성된 제1 볼 및 상기 제1 나사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나사부를 회전시키는 제1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회동 유닛은 베이스 몸체에 고정되며 오목한 홈이 형성된 제2 지지 블럭, 상기 제2 지지 블럭과 마주하는 상기 제2 회동 브라켓에 결합되며 나사 체결홀이 형성된 제2 부싱, 상기 제2 부싱에 나사 체결되는 제2 나사부 및 상기 홈에 수납되게 제2 나사부에 형성된 제2 볼 및 상기 제2 나사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나사부를 회전시키는 제2 노브를 포함한다.
파이프 형성 장치의 상기 제1 노브 및 상기 제1 회동 브라켓, 상기 제2 노브 및 상기 제2 회동 브라켓 사이에는 각각 탄성부재가 배치된다.
파이프 형성 장치의 상기 제1 회동 브라켓이 최대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제1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제1 구동 롤러의 사이 간격 및 상기 제2 회동 브라켓이 최대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제2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제1 구동 롤러 사이의 간격은 최소가 된다.
파이프 형성 장치는 상기 베이스 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구동 롤러에 감겨진 파이프를 배출하기 위한 파이프 배출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 형성 장치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길이가 평판을 길이가 짧고 직경이 작은 금속 파이프로 가공할 수 있고, 평판을 금속 파이프로 제조할 수 있으면서 제조 설비가 차지하는 부피가 매우 작은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형성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 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및 제2 성형 유닛을 발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 성형 유닛 및 제2 구동 롤러를 발췌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및 제2 성형 유닛이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형성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 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및 제2 성형 유닛을 발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형성 장치(700)는 베이스 몸체(100), 모재 이송 유닛(200), 제1 성형 유닛(300) 및 제2 성형 유닛(400)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파이프 형성 장치(700)는 구동 모터(500, 도 2 참조) 및 파이프 분리 부재(600)를 더 포함한다.
베이스 몸체(100)는 모재 이송 유닛(200), 제2 성형 유닛(300), 제3 성형 유닛(400), 구동 모터(500) 및 파이프 분리 부재(600)를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 몸체(100)는, 예를 들어, 높은 강성을 갖는 금속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모재 이송 유닛(200)은 파이프를 형성하기 위한 모재인 평판을 클램핑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강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모재 이송 유닛(200)은 제1 구동 롤러(210) 및 제2 구동 롤러(220)를 포함한다.
제1 구동 롤러(210)는 롤러(roller)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구동 롤러(210)의 일측단에 배치된 축은 베이스 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 구동 롤러(210)의 일측단과 대향하는 타측단에 배치된 축은 후술될 파이프 분리 부재(6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제1 구동 롤러(210)는 베이스 몸체(100)의 지정된 위치에서 자전된다.
제2 구동 롤러(220)는 롤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구동 롤러(220)는 제1 구동 롤러(210)의 하부에 제1 구동 롤러(21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구동 롤러(220) 및 제1 구동 롤러(210)의 사이에는 모재인 평판의 두께와 대응하는 갭(gap)이 형성된다.
즉, 제2 구동 롤러(220)는 제1 구동 롤러(210)와 마주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자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구동 롤러(210) 및 제2 구동 롤러(220)는 기어에 의하여 상호 치차 결합된다. 따라서, 제2 구동 롤러(220)가 회전될 경우 제1 구동 롤러(210)는 제2 구동 롤러(220)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예를 들어, 제1 구동 롤러(210) 및 제2 구동 롤러(220)는 상호 반대 방향인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각각 회전되며, 이로 인해 제1 및 제2 구동 롤러(210,220)들 사이로 모재인 평판이 제공될 경우 평판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강제 이송된다.
제1 구동 롤러(210) 및 제2 구동 롤러(2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갭은 모재인 평판의 두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구동 롤러(210) 및 제2 구동 롤러(220)의 표면은 매끈하게 경면처리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및 제2 구동 롤러(210,220)들의 표면에는 모재인 평판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 요철들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 구동 롤러(220)의 일측단에 배치된 축은 구동 모터(500)로부터 출력된 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며, 제2 구동 롤러(220)의 일측단과 대향하는 타측단에 배치된 축은 파이프 분리 부재(6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구동 모터(500)는 스프로킷 휠과 같은 동력 전달 장치를 통해 제2 구동 롤러(220)로 동력을 전달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파이프 분리 부재(600)는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파이프 분리 부재(600)에는 제2 구동 롤러(220)의 축이 결합되는 축공이 각각 형성된다.
파이프 분리 부재(600)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향하는 방향으로는 제1 구동 롤러(210)의 축을 노출하는 나사홀이 형성되며, 나사홀에는 가압 부재(610)가 나사 결합된다.
가압 부재(610)는 파이프 분리 부재(600)에 형성된 홈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된 가압판(620)에 결합된다. 가압판(620)은 가압 부재(610)에 의하여 홈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된다.
가압판(620)에는 제1 구동 롤러(210)의 축이 삽입되는 축공이 형성되며, 제1 구동 롤러(210)의 축공에 결합된 가압판(620)이 가압 부재(610)에 의하여 하강되면서 제1 구동 롤러(210) 및 제2 구동 롤러(220)가 평판을 가압하고, 이로 인해 제1 및 제2 구동 롤러(210,220)들 사이에 배치된 평판의 슬립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파이프 분리 부재(600)는 제1 및 제2 구동 롤러(210,220)의 축에 장착 또는 탈착 가능한 구조로 배치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 성형 유닛 및 제2 구동 롤러를 발췌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제1 성형 유닛(300)은 제1 회동 브라켓(310), 제1 가이드 롤러(320) 및 제1 회동 유닛(330)을 포함한다.
제1 회동 브라켓(310)은 제1 측면판(312), 제2 측면판(314) 및 제1 연결판(316)을 포함한다.
제1 측면판(312) 및 제2 측면판(314)은 동일한 형상으로 L 자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측면판(312,314)들에는 각각 제2 구동 롤러(220)의 양쪽 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공 및 제1 가이드 롤러(320)의 양쪽 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공(312a,314a)이 형성된다.
제1 연결판(316)은 제1 및 제2 측면판(312,314)들을 가로질러 연결하는 평판 형상을 가지며, 제1 연결판(316)은 제1 및 제2 측면판(312,314)들에 각각 나사 등에 의하여 결합된다.
제1 연결판(316)의 중앙 부분에는 후술 될 제1 회동 유닛(330)과 결합되기 위한 홀이 형성된다.
제1 가이드 롤러(320)는 롤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및 제2 측면판(312,314)들에 각각 형성된 축공(312a,314a)에 결합된다.
제1 회동 유닛(330)은 제1 지지블럭(331, 도 2 참조), 제1 부싱(335), 제1 나사부(336), 제1 볼(333) 및 제1 노브(337)를 포함한다.
제1 지지블럭(331)은 제2 구동 롤러(2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 지지블럭(331)은 제1 나사부(336)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지지블럭(331)의 표면에는 제1 볼(333)을 수납하는 길쭉한 홈이 형성된다.
제1 부싱(335)은 제1 연결판(316)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제1 부싱(335)의 내부에는 암나사부(334)가 형성된다.
제1 나사부(336)는 제1 부싱(335)의 암나사부(334)에 결합되며, 제1 나사부(336)의 일측 단부에는 제1 지지블럭(331)의 홈에 삽입되는 제1 볼(333)이 형성된다.
제1 노브(337)는 제1 나사부(336)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제1 노브(337)는 사용자가 제1 나사부(336)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노브(337) 및 제1 부싱(335)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339)가 개재될 수 있는데, 탄성 부재(339)는 제1 회동 브라켓(31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여 제1 회동 브라켓(310)이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자가 제1 노브(337)를 통해 제1 나사부(336)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1 회동 브라켓(310)는 제2 구동 롤러(220)의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제1 노브(337)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1 회동 브라켓(310)은 회전되고, 이로 인해 제1 가이드 롤러(320)는 제2 구동 롤러(220)의 상부에 배치된 제1 구동 롤러(210)로 접근된다. 이때, 사용자가 제1 노브(337)를 계속 회전시킬 경우 제1 가이드 롤러(320) 및 제1 구동 롤러(210) 사이의 갭은 최소가 된다.
도 2,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제2 성형 유닛(400)은 제2 회동 브라켓(410), 제2 가이드 롤러(420) 및 제2 회동 유닛(430)을 포함한다.
제2 회동 브라켓(410)은 제3 측면판(412), 제4 측면판(414) 및 제2 연결판(416)을 포함한다.
제3 측면판(412) 및 제4 측면판(414)은 동일한 형상으로 L 자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 및 제4 측면판(412,414)들에는 각각 제2 구동 롤러(220)의 양쪽 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공 및 제3 가이드 롤러(420)의 양쪽 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공(412a,414a)이 형성된다.
제2 연결판(416)은 제3 및 제4 측면판(412,414)들을 가로질러 연결하는 평판 형상을 가지며, 제2 연결판(416)은 제3 및 제4 측면판(412,414)들에 각각 나사 등에 의하여 결합된다.
제2 연결판(416)의 중앙 부분에는 후술 될 제2 회동 유닛(430)과 결합되기 위한 홀이 형성된다.
제2 가이드 롤러(420)는 롤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3 및 제4 측면판(412,414)들에 각각 형성된 축공(412a,414a)에 결합된다.
제2 회동 유닛(430)은 제2 지지블럭(431, 도 2 참조), 제2 부싱(435), 제2 나사부(436), 제2 볼(433) 및 제2 노브(437)를 포함한다.
제2 지지블럭(431)은 제2 구동 롤러(2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2 지지블럭(431)은 제2 나사부(436)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지지블럭(431)의 표면에는 제2 볼(433)을 수납하는 길쭉한 홈이 형성된다.
제2 부싱(435)은 제2 연결판(416)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제2 부싱(435)의 내부에는 암나사부(434)가 형성된다.
제2 나사부(436)는 제2 부싱(435)의 암나사부(434)에 결합되며, 제2 나사부(436)의 일측 단부에는 제2 지지블럭(431)의 홈에 삽입되는 제2 볼(433)이 형성된다.
제2 노브(437)는 제2 나사부(436)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제2 노브(437)는 사용자가 제2 나사부(436)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노브(437) 및 제2 부싱(435)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439)가 개재될 수 있는데, 탄성 부재(439)는 제2 회동 브라켓(41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여 제2 회동 브라켓(410)이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자가 제2 노브(437)를 통해 제2 나사부(436)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2 회동 브라켓(410)는 제2 구동 롤러(220)의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작업자가 제2 노브(437)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2 회동 브라켓(410)은 회전되고, 이로 인해 제2 가이드 롤러(420)는 제2 구동 롤러(220)의 상부에 배치된 제1 구동 롤러(210)로 접근된다. 이때, 작업자가 제2 노브(437)를 계속 회전시킬 경우 제2 가이드 롤러(420) 및 제1 구동 롤러(210) 사이의 갭은 최소가 된다.
이하,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형성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파이프 형성 장치(7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 제1 구동 롤러(210) 및 제2 구동 롤러(220) 사이의 갭으로는 모재인 평판(1)이 제공되고, 가압 부재(610)를 이용하여 평판은 제1 및 제2 구동 롤러(210,220)들에 밀착된다.
제1 및 제2 구동 롤러(210,220)들 사이의 갭으로 평판(1)이 제공되면, 작업자는 제1 성형 유닛(200)의 제1 노브(337) 및 제2 성형 유닛(300)의 제2 노브(437)를 회동시켜 제1 성형 유닛(200)의 제1 가이드 롤러(320) 및 제2 성형 유닛(300)의 제2 가이드 롤러(420)를 제1 구동 롤러(210)를 향해 회동시킨다.
제2 가이드 롤러(320) 및 제2 가이드 롤러(420)가 일정 각도로 회동된 후 작업자는 구동 모터(500)의 회전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교대로 회전시켜 평판(1)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강제로 이송한다.
이와 같이 구동 모터(50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평판(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송될 경우 평판(1)은 제1 가이드 롤러(320) 및 제2 가이드 롤러(420)에 의하여 곡면 형태로 휨이 발생하게 된다.
평판(1)이 곡면판으로 가공되면 작업자는 다시 제1 성형 유닛(200)의 제1 노브(337) 및 제2 성형 유닛(300)의 제2 노브(437)를 회동시켜 제1 성형 유닛(200)의 제1 가이드 롤러(320) 및 제2 성형 유닛(300)의 제2 가이드 롤러(420)를 제1 구동 롤러(210)를 향해 다시 회동시키고, 구동 모터(500)를 작동시켜 곡면판을 보다 파이프에 가까운 형상으로 가공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다 작업자는 다시 제1 성형 유닛(200)의 제1 노브(337) 및 제2 성형 유닛(300)의 제2 노브(437)를 최대한 회동시켜 제1 성형 유닛(200)의 제1 가이드 롤러(320) 및 제1 구동 롤러(210)의 간격 및 제2 성형 유닛(300)의 제2 가이드 롤러(420) 및 제1 구동 롤러(210)의 간격이 최소가 되도록 한 상태에서 구동 모터(500)를 작동시킴으로서 제1 구동 롤러(210) 상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a)가 형성된다.
이후, 작업자는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분리 부재(600)의 가압 부재(6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구동 롤러(210) 및 제2 구동 롤러(220)를 이격시키고, 파이프 분리 부재(600)를 제1 및 제2 구동 롤러(210,220)로부터 제거한 후 제1 구동 롤러(210)로부터 완성된 파이프(1a)를 분리한다.
제1 구동 롤러(210)로부터 파이프(1a)가 분리되면, 작업자는 다시 파이프 분리 부재(600)를 제1 및 제2 구동 롤러(220)의 축에 결합한 후 제1 성형 유닛(200)의 제1 노브(337) 및 제2 성형 유닛(300)의 제2 노브(437)를 역방향으로 회동시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파이프 형성 장치(700)를 초기화 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구동 롤러(210)에 배치된 파이프(1a)는 제1 구동 롤러(210)로부터 작업자가 분리하기 쉽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베이스 몸체(100)에는 제1 구동 롤러(210)에 배치된 파이프(1a)를 쉽게 배출하기 위한 푸셔와 같은 파이프 배출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길이가 평판을 길이가 짧고 직경이 작은 금속 파이프로 가공할 수 있고, 평판을 금속 파이프로 제조할 수 있으면서 제조 설비가 차지하는 부피가 매우 작은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베이스 몸체 200...모재 이송 유닛
300...제1 성형 유닛 400...제2 성형 유닛
500...구동 모터 600...파이프 분리 부재
700...파이프 형성 장치.

Claims (6)

  1. 베이스 몸체;
    상기 베이스 몸체의 지정된 위치에서 제1 방향으로 자전하는 제1 구동 롤러, 상기 제1 구동 롤러와 마주하게 상기 베이스 몸체의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1 구동 롤러와 연동하여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자전하는 제2 구동 롤러를 포함하는 모재 이송 유닛;
    상기 제2 구동 롤러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구동 롤러의 축에 회동되게 결합된 제1 회동 브라켓, 상기 제1 회동 브라켓에 상기 제1 구동 롤러와 평행하게 결합된 제1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제1 회동 브라켓을 상기 축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제1 회동 유닛을 포함하는 제1 성형 유닛; 및
    상기 제2 구동 롤러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구동 롤러의 상기 축에 회동되게 결합된 제2 회동 브라켓, 상기 제2 회동 브라켓에 상기 제1 구동 롤러와 평행하게 결합된 제2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제2 회동 브라켓을 상기 축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제2 회동 유닛을 포함하는 제2 성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동 유닛은 베이스 몸체에 고정되며 오목한 홈이 형성된 제1 지지 블럭, 상기 제1 지지 블럭과 마주하는 상기 제1 회동 브라켓에 결합되며 나사 체결홀이 형성된 제1 부싱, 상기 제1 부싱에 나사 체결되는 제1 나사부 및 상기 홈에 수납되게 제1 나사부에 형성된 제1 볼 및 상기 제1 나사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나사부를 회전시키는 제1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회동 유닛은 베이스 몸체에 고정되며 오목한 홈이 형성된 제2 지지 블럭, 상기 제2 지지 블럭과 마주하는 상기 제2 회동 브라켓에 결합되며 나사 체결홀이 형성된 제2 부싱, 상기 제2 부싱에 나사 체결되는 제2 나사부 및 상기 홈에 수납되게 제2 나사부에 형성된 제2 볼 및 상기 제2 나사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나사부를 회전시키는 제2 노브를 포함하는 파이프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는 상기 모재 이송 유닛을 회동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제1 구동 롤러의 타측단에 결합 또는 분리되어 상기 제1 구동 롤러에 감겨진 파이프를 분리하기 위한 파이프 분리 부재를 포함하는 파이프 형성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브 및 상기 제1 회동 브라켓, 상기 제2 노브 및 상기 제2 회동 브라켓 사이에는 각각 탄성부재가 배치된 파이프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 브라켓이 최대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제1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제1 구동 롤러의 사이 간격 및 상기 제2 회동 브라켓이 최대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제2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제1 구동 롤러 사이의 간격은 최소가 되는 파이프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구동 롤러에 감겨진 파이프를 배출하기 위한 파이프 배출 유닛을 더 포함하는 파이프 형성 장치.
KR1020180079844A 2018-07-10 2018-07-10 파이프 형성 장치 KR102026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844A KR102026661B1 (ko) 2018-07-10 2018-07-10 파이프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844A KR102026661B1 (ko) 2018-07-10 2018-07-10 파이프 형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661B1 true KR102026661B1 (ko) 2019-09-30

Family

ID=6809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844A KR102026661B1 (ko) 2018-07-10 2018-07-10 파이프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6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409B1 (ko) 1989-03-15 1999-01-15 마이클 흄 케니드 박판으로부터 파이프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JP2003211227A (ja) * 2001-11-14 2003-07-29 Isel Co Ltd ロール曲げ装置
KR100892059B1 (ko) * 2008-09-03 2009-04-06 김미자 벤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409B1 (ko) 1989-03-15 1999-01-15 마이클 흄 케니드 박판으로부터 파이프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JP2003211227A (ja) * 2001-11-14 2003-07-29 Isel Co Ltd ロール曲げ装置
KR100892059B1 (ko) * 2008-09-03 2009-04-06 김미자 벤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97214B2 (ja) 金属製長尺形材の曲げ加工方法と曲げ加工機
WO2012015009A1 (ja) コイルばね製造装置
JP2016518257A (ja) 熱間コイルばねの製造装置
CN210059426U (zh) 一种折弯机
KR102026661B1 (ko) 파이프 형성 장치
JP2007015014A (ja) テーパー管及び、扇状板を正確容易に曲げ加工出来るローラー装置。
JP2009045699A (ja) チューブ挿入装置および挿入方法
JP2004154791A (ja) ワーク曲げ加工装置
TW201841447A (zh) 電纜輸送設備及包括其之電纜輸送系統
US2022037935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ating flexible display screen
JP3507369B2 (ja) テーパー管の曲げ加工装置
JP4625320B2 (ja) 曲げ加工装置
CN217142703U (zh) 一种切割机构及激光切管机
JPS5927257B2 (ja) パイプ曲げ装置
JP2934960B1 (ja) ロールベンディング装置
JPH0715285Y2 (ja) ケーブル外部導電層切削機
CN216913577U (zh) 一种夹持装置
JPS5925569Y2 (ja) 管曲げ装置
JPH04187330A (ja) 長尺管材等の押圧搬送装置
KR101600421B1 (ko) 스피닝 공정을 적용한 곡관 제조방법 및 곡관제조장치
CN109127801B (zh) 一种压力锅炉的制造方法
JP2000005821A (ja) 円筒状金属管の矯正装置、および前記矯正装置で矯正された円筒状金属管
JPH10328732A (ja) 金属管の平滑化方法および平滑化装置
KR200149941Y1 (ko) 탈심 장치
JPH08257987A (ja) 弾性を有するシート状長尺物の切断方法およびその切 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