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176A - 다단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다단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176A
KR20190090176A KR1020180008705A KR20180008705A KR20190090176A KR 20190090176 A KR20190090176 A KR 20190090176A KR 1020180008705 A KR1020180008705 A KR 1020180008705A KR 20180008705 A KR20180008705 A KR 20180008705A KR 20190090176 A KR20190090176 A KR 20190090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elevating
lif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헌학
Original Assignee
제이엠스테이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엠스테이지(주) filed Critical 제이엠스테이지(주)
Priority to KR1020180008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0176A/ko
Publication of KR20190090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12Apparatus for raising or lowering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25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with wheels for moving around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으로 승강 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 리프팅 높이를 최대화함으로써 간편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다양한 무대 장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다단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어를 갖는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며, 패널 형상으로 된 승강판; 상기 프레임 내부의 승강판 위치 하부에 상기 프레임 측벽과 구름접촉되도록 구비되며, 패널 형상으로 된 지지판; 상기 프레임 내부의 지지판 위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판과 상기 지지판을 제1 위치까지 승강시키는 제1 승강수단; 및 상기 승강판과 지지판 사이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판과 상기 지지판이 상기 제1 승강수단에 의해 상승된 위치에서 작동하여 상기 승강판을 제2 위치까지 승강시키는 제2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단 승강장치{Multi-step lifting system}
본 발명은 다단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단으로 승강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 리프팅 높이를 최대화함으로써 간편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다양한 무대 장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다단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대 기계 장치는 상부 무대 기기와 하부 무대 기기로 나뉘는데, 상부 무대 기기는 오페라, 뮤지컬, 연극, 콘서트 등의 공연 시, 무대의 상층부에서, 공연 또는 연출에 필요한 세트, 커튼, 조명기구 등을 상승, 하강 또는 좌우 이동시켜 무대 효과를 높이는 장비들을 말한다.
아울러, 하부 무대 기기는 무대 바닥에 공연 또는 연출에 필요한 배경 세트 등의 보조 무대를 설치하고, 연출의 특성에 따라 보조 무대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는 장비를 말하며, 이러한 하부 무대 기기로는, 무대를 상하 이동시키는 무대리프트 시스템과, 무대를 수평 이동시키는 사이드 무대 와곤시스템, 무대를 회전시키는 회전 와곤시스템 등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무대리프트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나사 잭과 같은 승강 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 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때, 나사 잭 본체 내에 삽입된 나사 포스트는 입력 기어 박스로부터 공급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 포스트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나사 잭 본체 상부에 배치된 프레임도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나사 잭을 이용하여 무대리프트 시스템을 승강시키는 나사 잭의 행정은 나사 잭 본체의 길이와 동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무대 하부에는 나사 잭 본체의 길이 만큼의 높이를 갖는 공간이 요구된다.
즉, 프레임의 상승 또는 하강 높이가 클수록 나사 잭 본체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므로, 나사 잭의 설치 공간도 많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하부공간의 천공작업과 같은 시공에 따른 인력과 비용이 증대됨은 물론, 유지보수시에도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나사 잭의 설치를 위해 무대바닥의 하부공간을 깊게 차지하게 됨으로 인해 건축물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6073호(2010.04.27.) "무대리프트 구동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 기술은 설치베이스; 상기 설치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전방에 결합되는 전판과, 상기 설치베이스와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측판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판으로 구성된 설치하우징; 상기 설치하우징에 구성된 각각의 측판의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가이드; 성기 설치하우징에 구성된 측판에 설치되며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톱날로 구성된 회전이동부; 상기 설치하우징에 구성된 각각의 측판 하부 후방에 결합되는 안내가이드부; 상기 안내가이드부와 상기 회전이동부의 톱날에 결합되어 직각방향으로 굴절되어 설치되며, 회전이동부의 회전에 따라 한 쌍의 이동가이드의 안내를 받으면서 승강하는 분리결합형랙기어부와, 상기 분리결합형랙기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프레임으로 구성된 승강부;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6073호에 따른 무대리프트 구동장치는 분리결합형랙기어부의 길이 범위까지만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어 승강 스트로크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무대의 승강높이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보다 다양한 무대 연출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물론, 승강 스트로크를 크게 하기 위해 승강 구동부의 높이를 높게 구성할 수는 있지만 승강 구동부의 높이를 높게 하려면 안전성 등을 감안하여 부피가 같이 커질 수밖에 없으며, 승강 구동부의 높이 및 부피가 커짐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만큼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상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단으로 승강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 리프팅 높이를 최대화함으로써 간편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다양한 무대 장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다단 승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승강장치는, 도어를 갖는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며, 패널 형상으로 된 승강판; 상기 프레임 내부의 승강판 위치 하부에 상기 프레임 측벽과 구름접촉되도록 구비되며, 패널 형상으로 된 지지판; 상기 프레임 내부의 지지판 위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판과 상기 지지판을 제1 위치까지 승강시키는 제1 승강수단; 및 상기 승강판과 지지판 사이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판과 상기 지지판이 상기 제1 승강수단에 의해 상승된 위치에서 작동하여 상기 승강판을 제2 위치까지 승강시키는 제2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승강수단은, 제1 구동모터와, 상기 제1 구동모터의 축에 고정되어 상기 제1 구동모터의 회전동작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권취드럼과, 일단은 상기 권취드럼에 고정되고, 다수의 아이들롤러 및 상기 프레임 상단에 고정된 가이드롤러를 순차 경유하여 하단은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된 승강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승강수단은, 제1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지지대와, 상하단이 후방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승강판의 하면에 고정된 푸쉬로드와, 상기 푸쉬로드와 치합되도록 상기 지지대에 구비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를 구동하는 제2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하연장부와, 상기 상하연장부의 하단에서 후측으로 연장된 후방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푸쉬로드는,
제1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관절을 갖는 링크로 구성되고, 링크의 일측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가 치합되는 랙기어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판과 상기 지지판 사이의 테두리부위에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 승강수단의 구동에 따라 신축되면서 상기 승강판과 상기 지지판 사이의 공간을 막아주면서 상기 승강판을 지지 및 안내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승강판과 상기 지지판 사이에 "X"자 형상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승강판을 받쳐주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서로 회전가능하게 "X"자 형상으로 다단 고정된 지지링크와, 상기 승강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링크의 일단부와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고정힌지와, 상기 승강판과 상기 지지판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링크의 타단부와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가동힌지와, 상기 승강판과 상기 지지판의 타측에 상기 가동힌지와 미끄럼접촉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제2 승강수단의 구동에 따른 상기 지지링크의 신축에 따라 상기 가동힌지가 위치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가이드레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판은 상하방향으로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제2 승강수단은 상기 승강판과 지지판의 사이 또는 상기 다수의 지지판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되어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구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위치에 구비된 이동용 캐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승강장치는, 탑승자가 승강판에 탑승하면 승강판과 지지판이 제1 승강수단을 통해 제1 위치까지 상승할 수 있고, 또 제1 승강수단에 의해 상승된 위치에서부터 제2 승강수단에 의해 제2 위치까지 상승할 수 있어 간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리프팅 높이를 최대화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무대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승강장치의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승강장치의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승장장치의 제1 승강수단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승강장치의 제2 승강수단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승강장치의 작동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승강장치의 정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승강장치의 측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승장장치의 제1 승강수단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승강장치의 제2 승강수단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승강장치의 작동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승강장치는, 도면상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자가 탑승하는 승강판(110)이 2단 이상 승강될 수 있도록 하여 컴팩트하면서도 리프팅 높이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위해, 프레임(100) 내부에 구비되어 프레임(101)의 내부 및 외부로 승하강하는 패널 형상으로 된 승강판(110)과, 프레임(100)의 승강판 위치 하부에 구비되어 승강판(110)과 함께 프레임 상단 위치까지만 상승하면서 그 위치에서 승강판(110)이 프레임(100) 외부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판(120)과, 프레임(100) 내부의 지지판 위치 하부에 구비되어 승강판(110)과 지지판(120)을 제1 위치까지 승강시키는 제1 승강수단(200)과, 승강판(110)과 지지판(120) 사이 위치에 구비되면서 승강판(110)과 지지판(120)이 제1 승강수단(200)에 의해 상승된 위치에서 작동하여 승강판(110)을 제2 위치까지 승강시키는 제2 승강수단(300)이 구비된다.
프레임(100)은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이루어진 4개의 지주(101) 사이에 아크릴판으로 된 벽체(102)가 고정되어 이루어지고, 벽체(102)의 일측에 탑승자의 탑승이 이루어지는 도어(103)가 설치된다.
승강판(110)과 지지판(120)은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승강판(110)은 지지판(120)에 제2 승강수단(300)을 매개로 승강가능하게 지지되고, 지지판(120)은 제1 승강수단(200)에 의해 프레임(100)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지지판(120)의 하부 양측에는 프레임(100)과 구름접촉 가능하게 지지롤러(121)가 각각 구비되어 지지판(120)의 승강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제1 승강수단(200)은 승강판(110)과 지지판(120)을 제1 위치 즉 프레임(100)의 상단 위치까지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서, 프레임(100) 내하부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제1 구동모터(201)와, 제1 구동모터(201)의 축에 고정되어 제1 구동모터(21)의 회전동작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권취드럼(202)과, 일단은 권취드럼(202)에 고정되면서 다수의 아이들롤러(203) 및 프레임(100) 상단에 고정된 가이드롤러(204)를 순차 경유하여 타단은 지지판(120)의 하면에 고정된 승강와이어(205)로 이루어진다.
이때, 아이들롤러(203)는 승강와이어(205)가 지지판(120)의 하부, 프레임(100) 상단, 프레임(100) 하부, 권취드럼(202)으로 정확하게 연결되어 감김 및 풀림이 가능하도록 적정한 위치에 다수개 배치된다.
제2 승강수단(300)은, 제1 승강수단(200)에 의해 상승된 위치 즉 프레임(100)의 상단 위치에서 작동하여 승강판(110)을 제2 위치 즉 프레임(100) 상단 위쪽 공간까지 승강시키는 수단으로서, 제1 가이드레일(310)이 구비된 지지대(320)와, 상하단이 후방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제1 가이드레일(31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이 승강판(110)의 하면에 고정된 푸쉬로드(330)와, 푸쉬로드(330)와 치합되도록 지지대(320)에 구비된 피니언기어(340)와, 피니언기어(340)를 구동하는 제2 구동모터(350)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가이드레일(3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하연장부(311)와, 상하연장부(311)의 하단에서 후측으로 연장된 후방연장부(312)를 포함하고, 푸쉬로드(330)는 제1 가이드레일(3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관절을 갖는 다수의 링크(331)로 구성되고, 각 링크(331)의 일측면에는 피니언기어(340)가 치합되는 랙기어(332)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승강수단(300)은 승강판(110)의 안정적인 승강을 위해 제2 구동모터(350) 위치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2개소 형성된다.
또한, 승강판(110)과 지지판(120) 사이의 테두리부위에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구비되어 제2 승강수단(300)의 구동에 따라 신축되면서 승강판(110)과 지지판(120) 사이의 공간을 막아줌과 동시에 승강판(110)을 지지 및 안내하는 제1 지지부와(360), 승강판(110)과 지지판(120) 사이에 "X"자 형상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어 승강판(110)을 받쳐주는 제2 지지부(370)가 더 구비된다.
제1 지지부(360)는 중간중간에 위치된 슬라이더(361)에 지지판(36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프레임(100) 내면에 근접하게 4개소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제2 지지부(370)는, 서로 회전가능하게 "X"자 형상으로 다단 고정된 지지링크(371)와, 승강판(110)과 지지판(120)의 일측에 고정되어 지지링크(371)의 일단부와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고정힌지(372)와, 승강판(110)과 지지판(120)의 타측에 구비되어 지지링크(371)의 타단부와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가동힌지(373)와, 승강판(110)과 지지판(120)의 타측에 가동힌지(373)와 미끄럼접촉 가능하게 고정되어 제2 승강수단(300)의 구동에 따른 지지링크(371)의 신축에 따라 가동힌지(373)가 위치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가이드레일(374)로 이루어지며, 제2 지지부(370)는 제1 지지부(360)와 간섭되지 않게 제1 지지부(360) 근접위치에 4개소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지지판(120)을 상하방향으로 다수개 구비하고, 제2 승강수단(300)을 승강판(110)과 지지판(120)의 사이 또는 다수의 지지판(120) 사이에 각각 구비하여 2단 이상 다단으로 승강판(110)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프레임(100)의 하단에 위치되어 수평 맞춤을 위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구(104)와, 이동을 위해 프레임(100)의 하부위치에 구비된 이동용 캐스터(105)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106은 컨트롤박스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승강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공연자와 같은 탑승자가 도어(103)를 열고 프레임(100) 내부의 승강판(110) 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도어(103)를 닫은 후 제1 승강수단(200)의 제1 구동모터(201)가 작동하면 권취드럼(202)이 승강와이어(205)를 감아주기 시작하고, 승강와이어(205)는 일단은 권취드럼(202)에 고정된 상태에서 다수의 아이들롤러(203) 및 프레임(100) 상단에 고정된 가이드롤러(204)를 순차 경유하여 타단은 지지판(120)의 하면에 고정된 상태에 있으므로 권취드럼(202)이 회전되면서 승강와이어(205)를 감아주기 시작하면 지지판(120)을 상승되는 방향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승강와이어(205)는 권취드럼(202) 양쪽으로 각각 연결되고, 승강와이어(205)를 안내하는 다수의 아이들롤러(203), 프레임(100) 상단에 고정된 가이드롤러(204)가 프레임(100)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각 승강와이어(205)의 타단은 지지판(120) 하면에 각각 고정되어 지지판(120)을 기울어지지 않게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구동모터(201)가 계속 작동하여 지지판(120)을 제1 위치, 즉 프레임(100) 상단 위치까지 상승시킨 상태에서는 도면상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프레임(100) 상단 위치에 스토퍼 또는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되어 제동 및 제1 구동모터(201)의 전원을 자동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 이상 지지판(120)이 상승되지 못하도록 제한하게 된다. 이러한 높이 제한 수단은 관용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을 적용하면 되므로 자세히 설명 및 도시하지 않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 승강수단(300)이 작동하게 되는데, 제2 승강수단(300)의 피니언기어(340)를 회전시키면 푸쉬로드(330)의 랙기어(332)가 피니언기어(340)에 치합되어 있으므로 피니언기어(340)의 회전에 따라 푸쉬로그(330)가 상승되면서 승강판(110)을 상측으로 밀어올릴 수 있으며, 승강판(110)이 제2 위치, 즉 프레임(100)을 벗어난 상부 위치까지 상승될 수 있다. 이로써 동일 부피를 가지면서도 탑승자를 제1 승강수단(200)에 의한 상승 작용과 제2 승강수단(300)에 의한 상승 작용을 통해 리프팅 높이를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푸쉬로드(330)를 이루는 각각의 링크(331)는 관절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지지대(320)의 제1 가이드레일(310)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적인 제2 승강수단(3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원활한 승강판(110) 푸쉬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승강수단(200)과 제2 승강수단(300)에 의해 전체적인 장치의 부피를 줄이면서도 리트팅 높이를 최대화할 수 있어 다양한 무대장치에 적용하기 적합한 승강장치를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때, 승강판(110)과 지지판(120) 사이의 테두리부위에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제1 지지부(36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제2 승강수단(300)의 구동에 따라 제1 지지부(360)가 신축되면서 승강판(110)과 지지판(120) 사이의 공간을 막아주면서 승강판(110)을 지지 및 안내해주게 된다.
또한, 승강판(110)과 지지판(120) 사이에 "X"자 형상으로 신축 가능하게 승강판(110)을 받쳐주는 제2 지지부(37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제2 승강수단(300)에 의해 승강판(110)이 상승하면 지지링크(371)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같이 상승하면서 가동힌지(373)는 제2 가이드레일(374)을 따라 고정힌지(372) 방향으로 이동하여 승강판(110)을 원활하게 받쳐주게 되고, 승강판(110)의 하강시에도 반대로 작용하면서 승강판(110)을 안정적으로 받쳐주게 된다.
탑승자가 탑승한 승강판(110)의 최고 리프팅 높이인 제2 위치가 다른 무대와 수평을 이루도록 설계할 수 있으며, 탑승자는 승강판(110)을 벗어나 무대로 걸어나올 수 있다.
탑승자가 승강판(110)으로부터 벗어나거나 무대에서 다시 승강판(110) 위로 올라서면 제2 승강수단(300)의 피니언기어(340)가 상승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푸쉬로드(330)가 하강하면서 승강판(110)을 제1 위치까지 하강시켜주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1 승강수단(200)이 가동하여 권취드럼(202)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자중에 의해 지지판(120)이 하강하여 원래의 상태로 원활히 복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승강수단(200)과 제2 승강수단(300)은 순차 구동할 수도 있지만 동시에 구동하여 빠른 시간내에 최대의 리프팅 위치까지 승강판(110)을 상승시킬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지지판(120)을 구비하고, 지지판(120)과 지지판(120)의 사이 또는 승강판(110)과 지지판(120)의 사이에 다수의 제2 승강수단(300)을 구비하는 경우 다단으로 리프팅 높이를 더욱 높게 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100 : 프레임 101 : 지주
102 : 벽체 103 : 도어
104 : 높이조절구 105 : 이동용 캐스터
106 : 컨트롤 박스 110 : 승강판
120 : 지지판 121 : 지지롤러
200 : 제1 승강수단 201 : 제1 구동모터
202 : 권취드럼 203 : 아이들롤러
204 : 가이드롤러 205 : 승강와이어
300 : 제2 승강수단 310 : 제1 가이드레일
311 : 상하연장부 312 : 후방연장부
320 : 지지대 330 : 푸쉬로드
331 : 링크 332 : 랙기어
340 : 피니언기어 350 : 제2 구동모터
360 : 제1 지지부 361 : 슬라이더
362 : 지지판 370 : 제2 지지부
371 : 지지링크 372 : 고정힌지
373 : 가동힌지 374 : 제2 가이드레일

Claims (7)

  1. 도어를 갖는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며, 패널 형상으로 된 승강판;
    상기 프레임 내부의 승강판 위치 하부에 상기 프레임 측벽과 구름접촉되도록 구비되며, 패널 형상으로 된 지지판;
    상기 프레임 내부의 지지판 위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판과 상기 지지판을 제1 위치까지 승강시키는 제1 승강수단; 및
    상기 승강판과 지지판 사이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판과 상기 지지판이 상기 제1 승강수단에 의해 상승된 위치에서 작동하여 상기 승강판을 제2 위치까지 승강시키는 제2 승강수단을 포함하여서 된 다단 승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수단은,
    제1 구동모터와,
    상기 제1 구동모터의 축에 고정되어 상기 제1 구동모터의 회전동작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권취드럼과,
    일단은 상기 권취드럼에 고정되고, 다수의 아이들롤러 및 상기 프레임 상단에 고정된 가이드롤러를 순차 경유하여 타단은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된 승강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승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승강수단은,
    제1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지지대와,
    상하단이 후방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승강판의 하면에 고정된 푸쉬로드와,
    상기 푸쉬로드와 치합되도록 상기 지지대에 구비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를 구동하는 제2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승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하연장부와,
    상기 상하연장부의 하단에서 후측으로 연장된 후방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푸쉬로드는,
    제1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관절을 갖는 링크로 구성되고, 링크의 일측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가 치합되는 랙기어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승강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과 상기 지지판 사이의 테두리부위에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 승강수단의 구동에 따라 신축되면서 상기 승강판과 상기 지지판 사이의 공간을 막아주면서 상기 승강판을 지지 및 안내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승강판과 상기 지지판 사이에 "X"자 형상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승강판을 받쳐주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서로 회전가능하게 "X"자 형상으로 다단 고정된 지지링크와,
    상기 승강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링크의 일단부와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고정힌지와,
    상기 승강판과 상기 지지판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링크의 타단부와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가동힌지와,
    상기 승강판과 상기 지지판의 타측에 상기 가동힌지와 미끄럼접촉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제2 승강수단의 구동에 따른 상기 지지링크의 신축에 따라 상기 가동힌지가 위치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가이드레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승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하방향으로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제2 승강수단은 상기 승강판과 지지판의 사이 또는 상기 다수의 지지판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승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되어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구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위치에 구비된 이동용 캐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승강장치.
KR1020180008705A 2018-01-24 2018-01-24 다단 승강장치 KR20190090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705A KR20190090176A (ko) 2018-01-24 2018-01-24 다단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705A KR20190090176A (ko) 2018-01-24 2018-01-24 다단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176A true KR20190090176A (ko) 2019-08-01

Family

ID=67615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705A KR20190090176A (ko) 2018-01-24 2018-01-24 다단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01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293B1 (ko) * 2020-02-28 2020-06-02 제이엠스테이지(주) 무대설비용 승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293B1 (ko) * 2020-02-28 2020-06-02 제이엠스테이지(주) 무대설비용 승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0081B2 (en) Lift bed with belt drive
JP4459636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5009615B2 (ja) エレベータ
JP2015501769A (ja) シザー型リフトテーブル
KR20100089210A (ko) 이동식 다목적 리프트장치
JP2008056459A (ja) 昇降台装置
JP3450900B2 (ja) 舞台用可搬式リフト
KR20190090176A (ko) 다단 승강장치
US5129484A (en) Traveling device for raising or lowering persons or objects
JPH0138756B2 (ko)
US4915496A (en) Motorized bottom masking device for wide and/or curved motion picture screens
KR20210020254A (ko) 고소작업대
JP3641713B2 (ja) ホールのプロセニアム可変装置
JP4120861B2 (ja) ケーブルの案内装置
JP2001199694A (ja) 電動調節装置
JPH11165692A (ja) 艇自動収納装置
JP2004224540A (ja) 乗客コンベア
KR101398662B1 (ko) 차량용 리프트
KR102570947B1 (ko)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
JP3886081B2 (ja) 奈落床の手摺装置
GB2551240A (en) Spraying device
JP2871167B2 (ja) 昇降作業床
JP4162104B2 (ja) スライド式昇降装置
JPH0719517Y2 (ja) 舞台迫り装置
JP3034208B2 (ja) エレベータ出入口部品の据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