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135B1 -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135B1
KR102172135B1 KR1020177014579A KR20177014579A KR102172135B1 KR 102172135 B1 KR102172135 B1 KR 102172135B1 KR 1020177014579 A KR1020177014579 A KR 1020177014579A KR 20177014579 A KR20177014579 A KR 20177014579A KR 102172135 B1 KR102172135 B1 KR 102172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needle
skin
sheet
microneedle device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4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3809A (ko
Inventor
마코토 오구라
나오키 야마모토
다카시 구몬
Original Assignee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3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1Intradermal administration, e.g. through microneedle arrays, needleless in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61Methods for using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한쪽 면이 피부 접촉면이고, 다른 쪽 면이 이면인 시트의 면을 대략 따라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가 두께 방향으로 굴곡되면 상기 시트의 피부 천자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마이크로니들이 상기 피부 접촉면으로부터 피부에 천자 가능하게 기립하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과, 상기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에 형성된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설치된 라이너를 갖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와, 상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굴곡부를 갖고, 상기 굴곡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가 장착되는 보조구를 구비하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

Description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 {MICRONEEDLE DEVICE SYSTEM}
본 발명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4년 12월 5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247191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피부를 통하여 약물을 투여하는 수단의 하나로서, 마이크로니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시트의 주면을 대략 따라 해당 시트에 형성된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가 구부러짐으로써 상기 마이크로니들이 상기 주면으로부터 기립하고, 기립한 해당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꽂히는, 마이크로니들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을 구비하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적용 시에 피부에 접하는 기재의 부착면에, 상기의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이 고착되고, 또한 박리 필름에 의하여 보호된,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13/187392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의 한쪽 면 전체가 기재의 부착면에 고착된 것이다. 이 때문에,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을 두께 방향으로 굴곡시켰을 때의 마이크로니들의 기립에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을 구비하고, 마이크로니들의 기립이 개선된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한쪽 면이 피부 접촉면이고, 다른 쪽 면이 이면이고, 일부가 피부 천자 영역인 시트의 면을 대략 따라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가 두께 방향으로 굴곡되면 상기 피부 천자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마이크로니들이 상기 피부 접촉면으로부터 피부에 천자 가능하게 기립하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과, 상기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에 형성된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설치된 라이너를 갖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와, 상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굴곡부를 갖고, 상기 굴곡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가 장착되는 보조구를 구비하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
(2)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시트에 있어서, 상기 피부 천자 영역의 상기 이면을 제외한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1)에 기재된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
본 발명에 의하여,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을 구비하고, 마이크로니들의 기립이 개선된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a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피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피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피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피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피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피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마이크로니들이 피부를 천자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a는 피부 상에 고정된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영역 r의 확대도이다.
도 17은 피부상에서 굴곡된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이 피부를 천자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의 (a) 및 (b)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사용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피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피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부재 A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7a는 피부 상에 고정된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7b는 도 27a의 영역 r의 확대도이다.
이하, 경우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한쪽 면이 피부 접촉면이고, 다른 쪽 면이 이면이고, 일부가 피부 천자 영역인 시트의 면을 대략 따라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가 두께 방향으로 굴곡되면 상기 피부 천자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마이크로니들이 상기 피부 접촉면으로부터 피부에 천자 가능하게 기립하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과, 상기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에 형성된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설치된 라이너를 갖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와, 상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굴곡부를 갖고, 상기 굴곡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가 장착되는 보조구를 구비하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피부 천자 영역이란,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상의 영역이며, 실제로 피부를 천자하는 마이크로니들이 존재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시트형 마이크로니들>
먼저,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은, 한쪽 면이 피부 접촉면(113)이고, 다른 쪽 면이 이면(115)인 시트(110)를 구비한다. 시트(110)에는, 시트(110)의 면을 대략 따라 복수의 마이크로니들(118)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마이크로니들(118)은, 시트(11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각각에 있어서 정렬하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모든 마이크로니들(118)의 선단부는 시트의 일단부(도 1에서는 전방측 방향)를 향하고 있다.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10) 및 마이크로니들(118)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 티타늄, 니켈-티타늄 합금, 탄탈륨, 코발트-크롬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의 금속; 폴리락트산(PLA), 폴리글리콜산(PGA),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PLGA), 폴리카프로락톤(PCL) 등의 생분해성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 등의 합성 수지; 풀루란,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등의 다당류; 폴리리신, 폴리글루탐산 등의 폴리아미노산;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비닐피롤리돈(PVP) 등의 합성 고분자 등의 수용성 고분자; 세라믹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재질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마이크로니들(118)의 재질은, 생체 적합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생체 적합성이 있다」는 것은, 생체 또는 생체 유래 성분과의 접촉에 있어서, 생체 또는 생체 유래 성분의 기능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또한, 안전하게 사용되는 성질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혈액에 대한 항혈전성, 단백질에 대한 저흡착성, 생체에 대한 비유착성이나 비염증성, 세포에 대한 비독성, 생체 조직에 대한 비자극성 등을 들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118)은, 예를 들어 에칭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시트(110)가 금속인 경우, 약액을 사용하여 시트(110)를 용해시킴으로써 마이크로니들(118)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시트(110)가 비금속인 경우, 예를 들어 레이저 등으로 시트(110)를 펀칭함으로써 마이크로니들(118)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마이크로니들(118)은 삼각 형상이지만, 마이크로니들의 형상은 피부에 천자 가능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제조에 있어서, 마이크로니들(118)을 시트(110)의 피부 접촉면(113)으로부터 기립시켜 둘 필요가 없다. 이로 인하여,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은, 용이하고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치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두께는, 예를 들어 5 내지 1000㎛여도 되고, 예를 들어 10 내지 300㎛여도 된다. 또한,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어 0.1 내지 50㎝여도 되고, 예를 들어 1 내지 20㎝여도 된다.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폭은, 예를 들어 0.1 내지 60㎝여도 되고, 예를 들어 1 내지 30㎝여도 된다.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길이 및 폭은, 예를 들어 약물의 투여량을 고려하여 조정해도 되고, 예를 들어 생체의 크기를 고려하여 조정해도 된다.
마이크로니들(118)에 관한 파라미터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니들(118)의 높이는 10 내지 10000㎛여도 되고, 예를 들어 100 내지 1000㎛여도 된다. 또한, 마이크로니들(118)의 밀도는, 예를 들어 0.05 내지 10000개/㎠여도 되고, 예를 들어 1 내지 5000개/㎠여도 된다.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이, 그 두께 방향으로 굴곡되면, 피부 천자 영역(120)에 있어서의 마이크로니들(118)이 피부 접촉면(113)으로부터 기립하고, 기립한 마이크로니들(118)이 피부에 꽂힌다.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계속해서,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는,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
도 2a 내지 c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a에서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a)가 구비하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폭 방향의 단면을 포함하는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a)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과,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피부 천자 영역(120)을 제외한 피부 접촉면(113)(피부 접촉면(113)에 있어서의 피부 천자 영역(120) 이외의 영역)에 적층된 점착제층(610)을 구비한다. 점착제층(610)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a)를 피부에 적용했을 때,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a)를 피부에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또한, 점착제층(610)은, 약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이면(115)의 피부 천자 영역(120)에는,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하여,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을 두께 방향으로 굴곡시켰을 때의 마이크로니들(118)의 기립이 양호하여, 효율적으로 피부를 천자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a)의 외면의 피부 접촉면(113) 상 및 점착제층(610) 상에, 라이너(650)가 설치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외면이란,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의 두께 방향의 양측의 면이고,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의 측면이 아닌 부분을 의미한다. 라이너(650)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a)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부 접촉면(113)측의 라이너(650)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마이크로니들(118)을 기립시키는 기능도 갖고 있다. 즉, 피부 접촉면(113)측의 라이너(650)는, 마이크로니들 기립용 라이너라고도 할 수 있다.
도 2b 및 도 2c에,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a)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a)로부터 라이너(650)를 박리한 것을,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피부 접촉면(113)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a)에서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피부 접촉면(113)의 피부 천자 영역(120)을 제외한 영역(피부 천자 영역(120)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점착제층(610)이 적층되어 있다. 또한, 도 2c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a)를,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이면(115)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점착제층)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 기재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천연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수지, 폴리이소프렌 수지, 실리콘 수지 및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은, 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로진 유도체(예를 들어, 로진, 로진의 글리세린에스테르, 수소 첨가 로진, 수소 첨가 로진의 글리세린에스테르, 로진의 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 등),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예를 들어, 아르콘 P100, 아라카와 가가쿠 고교),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예를 들어, 퀸톤 B170, 닛폰 제온), 테르펜 수지(예를 들어, 클리어론 P-125, 야스하라 케미컬), 말레산레진 등을 들 수 있다. 점착 부여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점착제층은, 가소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가소제로서는, 석유계 오일(예를 들어, 파라핀계 프로세스 오일, 유동 파라핀, 나프텐계 프로세스 오일, 방향족계 프로세스 오일 등), 스쿠알란, 스쿠알렌, 식물계 오일(예를 들어, 올리브유, 동백유, 피마자유, 톨유, 땅콩유), 실리콘 오일, 2염기산에스테르(예를 들어,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등), 액상 고무(예를 들어, 액상 폴리부텐, 액상 이소프렌 고무), 액상 지방산에스테르류(예를 들어,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라우르산헥실, 세바스산디에틸, 세바스산디이소프로필),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살리실산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아세틴, 시트르산트리에틸, 크로타미톤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동 파라핀, 액상 폴리부텐,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세바스산디에틸, 라우르산헥실이 바람직하고, 특히 액상 폴리부텐,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유동 파라핀이 바람직하다. 가소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점착제층은, 흡수 촉진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흡수 촉진제로서는, 피부에서의 흡수 촉진 작용을 인정받고 있는 화합물 중 어느 것이어도 되며, 예를 들어 탄소수 6 내지 20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산, 탄소수 2 내지 10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알코올, 탄소수 6 내지 20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산에스테르류, 탄소수 6 내지 20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산아미드류, 에테르류, 방향족계 유기산, 방향족계 알코올, 방향족계 유기산에스테르 또는 에테르(이상은 포화, 불포화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또한, 환상, 직쇄상, 분지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됨), 락트산에스테르류, 아세트산에스테르류, 모노테르펜계 화합물, 세스퀴테르펜계 화합물, 에이존(Azone), 에이존(Azone) 유도체, 피로티오데칸,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류,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Span계), 폴리소르베이트계(Tween계),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계(HCO계),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자당 지방산에스테르류, 식물성유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프릴산, 카프르산, 카프로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산, 리놀렌산,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라우르산메틸, 라우르산헥실, 라우르산디에탄올아미드,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 미리스틸,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팔미트산세틸, 살리실산,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신남산, 신남산메틸, 크레졸, 락트산세틸, 락트산라우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제라니올, 티몰, 유게놀, 테르피네올, l-멘톨, 보르네올, d-리모넨, 이소유게놀, 이소보르네올, 네롤, dl-캄포, 글리세린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린모노카프레이트, 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자당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20,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HCO-60, 피로티오데칸, 올리브유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올레산, 올레일알코올, 라우릴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라우르산디에탄올아미드, 글리세린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린모노카프레이트, 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피로티오데칸 등이 바람직하다. 흡수 촉진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점착제층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제층의 재료를 혼합하고 열융해시켜, 박리 라이너에 도포 시공 후,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의 소정 위치에 전사하면 된다. 또는, 점착제층의 재료를 혼합하고, 톨루엔, 헥산, 아세트산에틸, 저급 알코올, 시클로헥산 등의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박리 라이너 상에 신전 후, 유기 용매를 소정의 온도에서 건조 제거하고,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의 소정 위치에 전사해도 된다.
점착제층의 두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20 내지 1000㎛여도 되고, 예를 들어 50 내지 500㎛여도 된다.
(약물)
본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에 있어서,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은 약물 송달용이어도 된다. 약물은, 점착제층에 함유시켜도 되고,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의 재질 자체에 함유시켜도 된다. 또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의 표면 또는 공극 등에, 도포·인쇄, 매립하고, 적층 등에 의하여 약물을 담지시켜도 되고,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의 피부로의 적용 전, 또는 적용 후에, 적용 부위에 직접 약물을 도포해도 된다. 또는, 약물의 저장조(약물 함유부)를 별도로 설치해도 된다. 약물의 저장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제6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f)에 있어서의 점착제층(630) 등을 들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적용 가능한 약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항생 물질, 항진균류제, 항종양제, 강심제, 부정맥 치료제, 혈관 확장제, 강압제, 이뇨제, 강압 이뇨제, 순환기용제, 항혈소판약, 지혈제, 항고지혈증제, 해열·진통·소염제, 항류마티스, 이완제, 진해 거담제, 항궤양제, 진정제, 항간질제, 항우울제, 항알레르기제, 당뇨병 치료제, 항결핵제, 호르몬제, 마약 길항제, 골흡수 억제제, 혈관 신생 저해제, 국소 마취제 등을 들 수 있다.
(라이너)
라이너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금속;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카르보네이트(PC), 폴리스티렌(PS), 테플론(등록 상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수지 등의 수지; 엘라스토머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산은,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을 의미한다.
라이너의 표면은, 예를 들어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 불소계 박리 처리제, 장쇄 알킬계 박리 처리제, 지방산아미드계 박리 처리제, 실리카 분말 등의 박리 처리제에 의하여 이형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지지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는 지지체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지지체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금속;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카르보네이트(PC), 폴리스티렌(PS), 테플론(등록 상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수지 등의 수지; 엘라스토머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라이너는 용이하게 박리 가능한 필름이고, 지지체는 박리할 수 없거나, 또는 박리할 것이 상정되지 않은 필름이다. 필름을 용이하게 박리 가능한지 여부는, 예를 들어 필름 표면이 이형 처리되어 있는지 여부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 3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a)를 피부에 적용한 상태(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a')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피부에 적용된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a')에서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a)의 피부 S로의 적용 시에, 라이너(650)가 박리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니들(118)이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피부 접촉면(113)으로부터 기립하여, 피부 S를 천자하고 있다. 또한, 점착제층(610)에 의하여,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a')를 피부 S 상에 고정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4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b)가 구비하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폭 방향의 단면을 포함하는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b)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과,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피부 천자 영역(120)을 제외한 피부 접촉면(113)(피부 접촉면(113)에 있어서의 피부 천자 영역(120) 이외의 영역)에 적층된 점착제층(610)을 구비한다. 점착제층(610)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b)의 평면에서 보아,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보다도 외측까지 연장된 영역(612)을 갖고 있다.
점착제층(610)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b)를 피부에 적용했을 때,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b)를 피부에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또한, 점착제층(610)은, 약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이면(115)의 피부 천자 영역(120)에는,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하여,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을 두께 방향으로 굴곡시켰을 때의 마이크로니들(118)의 기립이 양호하여, 효율적으로 피부를 천자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b)의 외면의 피부 접촉면(113) 상 및 점착제층(610) 상에, 라이너(650)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한쪽 외면인,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이면(115) 상 및 점착제층(610)의 영역(612) 상에는, 지지체(660)가 배치되어 있다. 라이너(650) 및 지지체(660)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b)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나아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부 접촉면(113)측의 라이너(650)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마이크로니들(118)을 기립시키는 기능도 갖고 있다. 즉, 피부 접촉면(113)측의 라이너(650)는, 마이크로니들 기립용 라이너라고도 할 수 있다. 점착제층, 약물, 라이너 및 지지체의 재질에 대해서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는,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는, 지지체(660)를 구비함으로써, 예를 들어 후술하는 제3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에서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을 굴곡시킬 때, 점착제층(610)이 부재 A의 원기둥부(100A)에 접착되어 고착화되는 것, 또는, 점착제층(610)끼리가 접착되어 고착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660)의 상기 효과는, 후술하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중, 지지체(660)를 구비하는 것에 대하여 공통이다.
도 5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b)를 피부에 적용한 상태(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b'))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피부에 적용된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b')에서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b)의 피부 S로의 적용 시에, 피부 접촉면(113)측의 라이너(650)가 박리되어 있고, 이면(115)측의 지지체(660)는 남겨져 있다.
남은 지지체(660)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b')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니들(118)이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피부 접촉면(113)으로부터 기립하여, 피부 S를 천자하고 있다. 또한, 점착제층(610)에 의하여,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b')를 피부 S 상에 고정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6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에서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c)가 구비하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폭 방향의 단면을 포함하는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c)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과,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피부 천자 영역(120)을 제외한 피부 접촉면(113)(피부 접촉면(113)에 있어서의 피부 천자 영역(120) 이외의 영역)에 적층된 점착제층(610)과,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이면(115)의 일부(이면(115)에 있어서의 피부 천자 영역(120)을 제외한 영역)에 적층된 점착제층(620)을 구비한다. 점착제층(610)은 약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이면(115)의 피부 천자 영역(120)에는,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하여,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을 두께 방향으로 굴곡시켰을 때의 마이크로니들(118)의 기립이 양호하여, 효율적으로 피부를 천자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c)의 외면의 피부 접촉면(113) 상 및 점착제층(610) 상에, 라이너(650)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한쪽 외면인,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이면(115) 상 및 점착제층(620)에 있어서의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과는 반대측의 면(623) 상에 지지체(660)가 배치되어 있다. 라이너(650) 및 지지체(660)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c)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부 접촉면(113)측의 라이너(650)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마이크로니들(118)을 기립시키는 기능도 갖고 있다. 즉, 피부 접촉면(113)측의 라이너(650)는, 마이크로니들 기립용 라이너라고도 할 수 있다. 점착제층, 약물, 라이너 및 지지체의 재질에 대해서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도 7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c)를 피부에 적용한 상태(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c'))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피부에 적용된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c')에서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c)의 피부 S로의 적용 시에, 피부 접촉면(113)측의 라이너(650)가 박리되어 있고, 이면(115)측의 지지체(660)는 남겨져 있다.
남은 지지체(660)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c')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니들(118)이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피부 접촉면(113)으로부터 기립하여, 피부 S를 천자하고 있다. 또한, 점착제층(610)에 의하여,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c')를 피부 S 상에 고정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8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에서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가 구비하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폭 방향의 단면을 포함하는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과,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이면(115)의 일부(이면(115)에 있어서의 피부 천자 영역(120)을 제외한 영역)에 적층된 점착제층(620)을 구비한다. 점착제층(620)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의 평면에서 보아,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보다도 외측까지 연장된 영역(622)을 갖고 있으며, 이 영역의 점착력에 의하여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피부에 고정할 수 있다. 점착제층(620)은, 약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의 외면, 즉,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이면(115) 상, 점착제층(620)에 있어서의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과는 반대측의 면(623) 상에 지지체(660)가 배치되어 있고, 피부 접촉면(113) 상 및 점착제층(620)의 영역(622) 상에, 라이너(650)가 설치되어 있다.
라이너(650) 및 지지체(660)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나아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부 접촉면(113)측의 라이너(650)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마이크로니들(118)을 기립시키는 기능도 갖고 있다.
즉, 피부 접촉면(113)측의 라이너(650)는, 마이크로니들 기립용 라이너라고도 할 수 있다. 점착제층, 약물, 라이너 및 지지체의 재질에 대해서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는,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의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이면(115)에 있어서, 피부 천자 영역(120)에는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하여,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을 두께 방향으로 굴곡시켰을 때의 마이크로니들(118)의 기립이 양호하여, 효율적으로 피부를 천자할 수 있다.
도 9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를 피부에 적용한 상태(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피부에 적용된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에서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의 피부 S로의 적용 시에, 피부 접촉면(113)측의 라이너(650)가 박리되어 있고, 이면(115)측의 지지체(660)는 남겨져 있다.
남은 지지체(660)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니들(118)이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피부 접촉면(113)으로부터 기립하여, 피부 S를 천자하고 있다. 또한, 점착제층(620)의 영역(622)에 의하여,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를 피부 S 상에 고정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10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제5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에서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e)가 구비하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폭 방향의 단면을 포함하는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는, 상술한 제2 실시 형태 및 제4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조합한 것이다.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e)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과,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피부 천자 영역(120)을 제외한 피부 접촉면(113)(피부 접촉면(113)에 있어서의 피부 천자 영역(120)을 제외한 영역)에 적층된 점착제층(610)과,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이면(115)의 일부(이면(115)에 있어서의 피부 천자 영역(120)을 제외한 영역)에 적층된 점착제층(620)을 구비한다. 점착제층(620)은,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보다도 외측까지 연장된 영역(622)을 갖고 있다. 점착제층(610) 또는 점착제층(620)은, 약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e)의 외면, 즉,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이면(115) 상, 점착제층(620)에 있어서의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과는 반대측의 면(623) 상에 지지체(660)가 배치되어 있고, 피부 접촉면(113) 상, 점착제층(610) 상 및 점착제층(620)의 영역(622) 상에, 라이너(650)가 설치되어 있다. 라이너(650) 및 지지체(660)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e)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나아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부 접촉면(113)측의 라이너(650)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마이크로니들(118)을 기립시키는 기능도 갖고 있다. 즉, 피부 접촉면(113)측의 라이너(650)는, 마이크로니들 기립용 라이너라고도 할 수 있다. 점착제층, 약물, 라이너 및 지지체의 재질에 대해서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e)의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이면(115)에 있어서, 피부 천자 영역(120)에는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하여,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을 두께 방향으로 굴곡시켰을 때의 마이크로니들(118)의 기립이 양호하여, 효율적으로 피부를 천자할 수 있다.
도 11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e)를 피부에 적용한 상태(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e'))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피부에 적용된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e')에서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e)의 피부 S로의 적용 시에, 피부 접촉면(113)측의 라이너(650)가 박리되어 있고, 이면(115)측의 지지체(660)는 남겨져 있다. 남은 지지체(660)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e')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니들(118)이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피부 접촉면(113)으로부터 기립하여, 피부 S를 천자하고 있다. 또한, 점착제층(610) 및 점착제층(620)의 영역(622)에 의하여,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e')를 피부 S 상에 고정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e')에서는, 점착제층(610)뿐만 아니라, 점착제층(620)의 영역(622)에 의해서도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e')를 피부 S 상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견고하게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e')를 고정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도 12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제6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에서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f)가 구비하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폭 방향의 단면을 포함하는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f)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과,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이면(115)의 일부(이면(115)에 있어서의 피부 천자 영역(120)을 제외한 영역)에 적층된 점착제층(620)과,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이면(115)의 일부(이면(115)의 피부 천자 영역(120))에 적층된 점착제층(630)을 구비한다.
점착제층(620)은,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보다도 외측까지 연장된 영역(622)을 갖고 있으며, 이 영역의 점착력에 의하여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피부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630)의 점착력은 마이크로니들(118)의 기립을 저해하지 않을 정도로 약하게 조정되어 있다. 또한, 점착제층(620) 또는 점착제층(630)은 약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f)의 외면, 즉, 점착제층(620)에 있어서의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과는 반대측의 면(623) 상, 점착제층(630)에 있어서의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과는 반대측의 면(633) 상에 지지체(660)가 배치되어 있고, 피부 접촉면(113) 상 및 점착제층(620)의 영역(622) 상에, 라이너(650)가 설치되어 있다. 라이너(650) 및 지지체(660)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f)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부 접촉면(113)측의 라이너(650)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마이크로니들(118)을 기립시키는 기능도 갖고 있다. 즉, 피부 접촉면(113)측의 라이너(650)는, 마이크로니들 기립용 라이너라고도 할 수 있다. 점착제층, 약물, 라이너 및 지지체의 재질에 대해서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도 13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f)를 피부에 적용한 상태(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f'))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피부에 적용된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f')에서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f)의 피부 S로의 적용 시에, 피부 접촉면(113)측의 라이너(650)가 박리되어 있고, 이면(115)측의 지지체(660)는 남겨져 있다. 남은 지지체(660)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f')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니들(118)이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피부 접촉면(113)으로부터 기립하여, 피부 S를 천자하고 있다. 또한, 점착제층(620)의 영역(622)에 의하여,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f')를 피부 S 상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630)이 약물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 마이크로니들(118)이 천자 밑 피부를 통하여, 당해 약물을 효율적으로 생체에 투여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도 21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h)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h)는, 상술한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 중, 이면(115)에 있어서의 피부 천자 영역(120)에 지지체(660)를 갖지 않는 것이다. 즉,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h)에 있어서, 지지체(660)는, 점착제층(620)의 면(623)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점착제층, 약물, 라이너 및 지지체의 재질에 대해서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도 22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h)를 피부에 적용한 상태(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h'))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피부에 적용된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h')에서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h)의 피부 S로의 적용 시에, 피부 접촉면(113)측의 라이너(650)가 박리되어 있고, 점착제층(620)의 면(623) 상의 지지체(660)는 남겨져 있다. 남은 지지체(660)는, 점착제층(620)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니들(118)이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피부 접촉면(113)으로부터 기립하여, 피부 S를 천자하고 있다. 또한, 점착제층(620)의 영역(622)에 의하여,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h')를 피부 S 상에 고정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h')에 있어서는, 이면(115)에 있어서의 피부 천자 영역(120)에 지지체(660)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피부 천자 영역(120)에 있어서의 이면(115)측으로부터 약물을 효율적으로 생체에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8 실시 형태]
도 23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i)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i)는, 상술한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에 있어서, 지지체(660) 대신 라이너(650)를 배치한 구조를 갖고 있다. 즉,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이면(115) 상, 점착제층(620)의 면(623) 상에 라이너(650)가 배치되어 있고, 피부 접촉면(113) 상 및 점착제층(620)의 영역(622) 상에도 라이너(650)가 설치되어 있다. 점착제층, 약물, 라이너 및 지지체의 재질에 대해서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도 24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i)를 피부에 적용한 상태(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i'))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피부에 적용된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i')에서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i)의 피부 S로의 적용 시에,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이면(115) 상 및 점착제층(620)의 면(623) 상에 배치되어 있었던 라이너(650), 그리고, 피부 접촉면(113)측에 배치되어 있었던 라이너(650)가 박리되어 있어, 점착제층(620)의 면(623)은 노출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니들(118)이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피부 접촉면(113)으로부터 기립하여, 피부 S를 천자하고 있다. 또한, 점착제층(620)의 영역(622)에 의하여,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i')를 피부 S 상에 고정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i')에 있어서는, 이면(115)에 있어서의 피부 천자 영역(120)에 지지체(660)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피부 천자 영역(120)에 있어서의 이면(115)측으로부터 약물을 효율적으로 생체에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이면(115) 상에, 예를 들어 약물 함유 필름을 적층한 경우에, 점착제층(620)의 면(623)을 사용하여 당해 약물 함유 필름을 고정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 형태]
상술한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각 실시 형태는 적절히 조합해도 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b, 600c, 600e) 등에 있어서도,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h, 600i)와 마찬가지로, 지지체(660)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갖지 않는 구조로 해도 된다.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
[제1 실시 형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한쪽 면이 피부 접촉면이고, 다른 쪽 면이 이면이고, 일부가 피부 천자 영역인 시트의 면을 대략 따라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가 두께 방향으로 굴곡되면 상기 피부 천자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마이크로니들이 상기 피부 접촉면으로부터 피부에 천자 가능하게 기립하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과, 상기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에 형성된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설치된 라이너를 갖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와, 상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굴곡부를 갖고, 상기 굴곡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가 장착되는 보조구를 구비하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먼저, 마이크로니들의 피부 천자 시에 필요한 힘과 그 방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마이크로니들(118)이, 피부 S를 천자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마이크로니들(118)을 피부에 천자하기 위해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을 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킨 상태로부터, 굴곡점 P를 피부 천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 F1,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을 절곡하여 곡률을 창출하는 힘 F2,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일부를 피부에 고정하는 힘 F3이 적어도 필요하다. 힘 F2는 시트 주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주어도 된다.
나아가, 마이크로니들의 천자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힘 F1 내지 F3의 대소 관계가 적절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힘 F1에 의하여 굴곡점 P를 피부 천자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힘 F3은, 항시 힘 F1보다도 커야 한다. 또한, 마이크로니들(118)을 피부에 천자하는 데 있어, 천자에 적합한 곡률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힘 F2가 0보다 큰 힘이어야 한다. 즉, F1≤F3 및 F2>0의 2개의 조건이 동시에 성립할 때, 마이크로니들(118)을 피부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천자할 수 있다. 또한, 힘 F2를 더욱 강화하면, 마이크로니들(118)을 보다 깊은 곳까지 천자할 수 있다.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이, 예를 들어 폭 4㎜의 점착제층에서 피부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 힘 F3의 크기는 24.7N 이상이면 된다.
도 15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보조구(700)를 사용하여, 상술한 제4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의 마이크로니들(118)로 피부를 천자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와 보조구(700)를 구비한다. 먼저, 보조구(7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구(700)는, 직사각형의 기판(710)과, 기판(710)에 형성된 2개의 슬릿상의 관통 구멍(712 및 713)과, 기판(710)의 한쪽 면(718)에 적층된 점착제층(720)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기판(710)의 면(718)과는 반대측의 면을 면(715)이라 칭한다. 또한, 도 15에서는, 기판(710)이 투명하기 때문에 점착제층(720)이 비쳐 보이고 있다. 또한, 라이너(650)도 투명하기 때문에,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이 비쳐 보이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판(710) 중, 관통 구멍(712)보다도 관통 구멍(713)측의 부분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를 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굴곡부로서 기능한다.
도 15에서는, 피부 접촉면(113)측의 외면에 설치된 라이너(650)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길이 방향보다도 길어, 라이너(650)가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에 접촉하지 않는 영역이 존재하고 있다.
먼저, 유저는, 라이너(650)의 일단부를, 관통 구멍(712) 및 관통 구멍(713)에 통과시키고,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를 보조구(700)에 세팅하여,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을 조립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저는, 피부 접촉면(113)측의 외면에 설치된 라이너(650)의 일단부를, 관통 구멍(712)의 면(715)측으로부터면(718)측을 향하여 통과시키고, 다시, 관통 구멍(713)의 면(718)측으로부터면(715)측을 향하여 통과시킨다.
상기 조작에 의하여, 라이너(650)는, 도 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712)과 관통 구멍(713) 사이에 있어서, 면(718)측에 위치하게 된다.
계속해서, 유저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712)과 관통 구멍(713) 사이의 면(718)측에 있어서,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을 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키고, 이 상태를 유지한 채, 점착제층(720)을 사용하여 보조구(700)를 약제의 적용 부위에 부착한다.
도 16a는, 상기 조작에 의하여, 피부 S 상에 고정된 보조구(700)의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구(700)는, 점착제층(720)에 의하여 피부 S 상에 고정되어 있으며,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이, 면(715)측으로부터 면(718)측을 향하여 관통 구멍(712)을 통과하여, 피부 S상에서 두께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여기서, 기판(710) 중, 관통 구멍(712)보다도 관통 구멍(713)측의 부분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를 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굴곡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도 16b는, 도 16a에 있어서의 영역 r의 확대도이다.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일단부는, 점착제층(640)에 의하여 피부 S 상에 고정된다. 또한,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일단부는, 다시, 점착제층(720)에 의하여 피부 S 상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계속해서, 유저는, 라이너(650)의 일단부를 잡아서 도 16a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 즉, 관통 구멍(712) 및 점착제층(640)에 의하여 고정된 일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긴다. 이 조작에 의하여,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이, 라이너(650)에 안내되어 관통 구멍(712)을 통과하여, 피부 S와 보조구(700)의 기판(710)과의 사이의 공간에 들어간다.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은, 이 공간 내에서 180° 굴곡된다. 그러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된 부분에 위치하는 마이크로니들(118)이, 피부 접촉면(113)으로부터 기립하고, 기립한 마이크로니들(118)이 피부 S를 천자한다.
이 과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구(700)의 기판(710)과 피부 S와의 거리 D를 제한함으로써, 피부 S에 수직인 방향으로 힘 F2가 발생한다. 그 결과, 힘 F2에 의하여 절곡된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로부터, 마이크로니들(118)이 기립한다.
여기서, 유저가 힘 F1로 라이너(650)를 당김으로써, 점착제층(620)의 영역(622) 및 점착제층(720)과 피부 접촉면과의 점착력에 의한 항력 F3과, 점착제층(620)의 영역(622)과 라이너 접촉면과의 점착력에 의한 항력 F4가 발생한다. 그 결과, 굴곡점 P가 연속적으로 이동하여, 절곡된 위치에 있는 마이크로니들(118)을 피부에 천자할 수 있다. 그때, 힘 F3의 최대 강도는 힘 F1보다도 크고, 힘 F4의 최대 강도는 힘 F1보다 작을 필요가 있다. 굴곡점 P의 이동에 기여하는 힘 F1과 마이크로니들(118)의 기립에 기여하는 힘 F2가 동시에 발생함으로써, 마이크로니들(118)을 피부에 천자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있어서는, 도시한 단면의 위치 관계로부터 점착제층(620)은 보이지 않는다.
유저가, 라이너(650) 전체를 보조구(700)로부터 뽑힐 때까지 라이너(650)를 당기면,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 전체가 피부 S에 천자된다. 또한, 이때, 도 15에 있어서의 점착제층(620)의 영역(622)에 의하여,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이 피부 S 상에 고정된다.
유저는, 그 후에 보조구(700)를 피부 S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피부 배리어 관통이 목적인 경우 등에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을 곧바로 박리해도 되고,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이 약물을 유지하는 경우 등에는 소정 시간에 걸쳐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을 피부 S에 계속해서 적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은, 라이너(650)가 관통 구멍(713)을 통과하는 구성임으로써, 라이너(650)를 보다 정확히 똑바로 당기는 것이 용이하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의 변형예에 있어서, 관통 구멍(713)이 존재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라이너(650)는, 기판(710)의 면(718)측을 통과시켜, 관통 구멍(7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에 있어서,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은, 점착제층(620)에 더하여 점착제층(640)에 의하여 피부 S 상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의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점착제층(640)이 존재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18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은, 보조구(1500)와, 롤 상에 권취된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g)를 구비하고 있다.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g)는, 상술한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b)에 있어서, 라이너(650)를 제거하고, 나아가, 지지체(660) 대신 라이너(650)를 박리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다.
보조구(1500)는, 하우징(1510)과,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설치부(1520)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굴곡부(1550)와, 라이너 권취부(1530)와, 가이드(1540 및 1560)를 구비하고 있다.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g)는, 굴곡부(155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보조구(1500)에 장착되어,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이 형성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을 피부 S에 가압하면서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b)가 굴곡부(1550)를 따라 이동하여, 굴곡부(1550)에서 두께 방향으로 굴곡되고,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피부 천자 영역(120)에 있어서의 마이크로니들(118)이,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피부 접촉면(113)으로부터 기립하고, 기립한 마이크로니들(118)이 피부 S를 천자한다.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은, 점착제층(610)에 의하여, 피부 S 상에 고정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조구(1500)를 이동시키는 힘이, 상술한 힘 F1에 상당한다. 또한,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g)로부터 박리된 라이너(650)는, 라이너 권취부(1530)에 권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g)에 있어서,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이면(115)의 피부 천자 영역(120)에는,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하여, 마이크로니들(118)의 기립이 양호하다.
본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에서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g) 대신, 임의의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에 의하여,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용이하게 피부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의 이동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적용량(피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면적)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25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에 있어서, 부재 A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도 26은, 부재 A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부재 A는, 원기둥부(100A)와, 원기둥부(100A)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10A)를 구비한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재 A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가 굴곡된 부분에 있어서의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이면(115)측에 원기둥부(100A)가 접하도록 배치된다. 지지부(110A)의, 원기둥부(100A)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보조구(700)의 관통 구멍(713)의 면(718)측으로부터 면(715)측을 향하여 통과하고 있다.
도 27a는, 본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이 피부 S 상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7a에서는, 보조구(700)의 길이 방향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7b는, 도 27a에 있어서의 영역 r의 확대도이다. 도 2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구(700)는, 점착제층(720)에 의하여 피부 S 상에 고정되어 있고,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이, 면(715)측으로부터 면(718)측을 향하여 관통 구멍(712)을 통과하여, 피부 S상에서 두께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또한, 부재 A의 원기둥부(100A)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굴곡된 부분에 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기판(710) 중, 관통 구멍(712)보다도 관통 구멍(713)측의 부분은,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를 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굴곡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부재 A의 원기둥부(100A)도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를 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굴곡부로서 기능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유저는, 부재 A의 지지부(110A)의 일단부를 잡아서 도 27a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 즉, 관통 구멍(712) 및 점착제층(640)에 의하여 고정된 일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긴다. 이 조작에 의하여,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이, 라이너(650)에 안내되어 관통 구멍(712)을 통과하여, 피부 S와 보조구(700)의 기판(710) 사이의 공간에 들어간다.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은, 이 공간 내에서 180° 굴곡되고,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굴곡된 부분에 위치하는 마이크로니들(118)이, 피부 접촉면(113)으로부터 기립하고, 기립한 마이크로니들(118)이 피부 S를 천자한다.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피부로의 적용>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는,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구를 사용하지 않고 피부에 적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제4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9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의 (a)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를 적용하는 모습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도 20의 (b)는, 도 20의 (a)의 각 단계에 있어서의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을, 길이 방향의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유저는, 피부 접촉면(113)측의 라이너(650)의 일단부를 박리하여 점착제층(620)의 영역(622)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이 노출 부분을 피부 S에 부착한다. 계속해서, 유저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이 예각으로 굴곡되도록, 피부 접촉면(113)측의 라이너(650)를 서서히 박리하면서,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이 고착된 점착제층(620)의 영역(622)을 피부 S에 부착해 간다.
그러면,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굴곡된 부분에 위치하는 마이크로니들(118)이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피부 접촉면(113)으로부터 1열씩 기립하고, 기립한 마이크로니들(118)이 차례대로 피부 S에 꽂힌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유저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적용 면적을 조정하여 원하는 양의 약물을 투여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에 있어서,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의 이면(115)의 피부 천자 영역(120)에는,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하여, 시트형 마이크로니들(100)을 두께 방향으로 굴곡시켰을 때의 마이크로니들(118)의 기립이 양호하여, 효율적으로 피부를 천자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620)의 영역(622)에 의하여,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600d)를 피부 S 상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620)이 약물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 마이크로니들(118)이 천자한 피부를 통하여, 당해 약물을 효율적으로 생체에 투여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두께 5㎛의 스테인레스제의 시트에, 도 1에 도시한 배치로 삼각형의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하여,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을 얻었다. 각 마이크로니들의 길이는 500㎛로 하고, 마이크로니들의 선단부의 각도는 45°로 하였다. 이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의 이면의 피부 천자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시트형 마이크로니들로부터 비어져 나오도록 점착제층을 적층하였다. 계속해서,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의 피부 접촉면측 및 이면측의 외면에 각각 라이너를 설치하고, 도 15에 도시하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을 제작하여, 실시예 1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으로 하였다.
[실시예 2]
두께 10㎛의 스테인레스제의 시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2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을 얻었다.
[실시예 3]
마이크로니들의 선단부의 각도를 2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3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을 얻었다.
<마이크로니들의 기립의 평가>
도 16a에 있어서의 피부 S 대신 투명한 아크릴판을 사용하여, 도 16a와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판에 실시예 1 내지 3의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을 적용하고, 마이크로니들이 기립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보조구의 점착제층을 투명한 아크릴판에 부착하였다. 계속해서,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이 설치된 라이너의 단부를 잡아 도 16a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당기면서, 절곡되어 노출된 점착제층을 아크릴판에 부착해 가며, 아크릴판의 반대 방향으로부터 마이크로니들의 기립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3 중 어느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에 있어서도, 마이크로니들이 양호하게 기립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을 구비하고, 마이크로니들의 기립이 개선된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100: 시트형 마이크로니들
110: 시트
113: 피부 접촉면
115: 이면
118: 마이크로니들
120: 피부 천자 영역
600a, 600b, 600c, 600d, 600e, 600f, 600g, 600h, 600i, 600a', 600b', 600c', 600d', 600e', 600f', 600h', 600i':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610, 620, 630, 640, 720: 점착제층
622, r: 영역
623, 633: 면
650: 라이너
660: 지지체
700, 1500: 보조구
710: 기판
712, 713: 관통 구멍
715, 718: 면
1510: 하우징
1520: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설치부
1550: 굴곡부
1530: 라이너 권취부
1540, 1560: 가이드
F1, F2, F3, F4: 힘
D: 거리
S: 피부
P: 굴곡점
A: 부재
100A: 원기둥부
110A: 지지부

Claims (2)

  1. 한쪽 면이 피부 접촉면이고, 다른 쪽 면이 이면이고, 일부가 피부 천자 영역인 시트의 면을 따라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가 두께 방향으로 굴곡되면 상기 피부 천자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마이크로니들이 상기 피부 접촉면으로부터 피부에 천자 가능하게 기립하는, 시트형 마이크로니들과,
    상기 시트형 마이크로니들에 형성된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설치된 라이너
    를 갖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와,
    상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굴곡부를 갖고, 상기 굴곡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가 장착되는 보조구
    를 구비하고,
    상기 라이너는, 상기 마이크로니들을 기립시키는 기능을 갖고,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시트에 있어서, 상기 피부 천자 영역의 상기 이면을 제외한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
  2. 삭제
KR1020177014579A 2014-12-05 2015-12-04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 KR102172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47191 2014-12-05
JP2014247191 2014-12-05
PCT/JP2015/084193 WO2016088886A1 (ja) 2014-12-05 2015-12-04 マイクロニードルデバイス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809A KR20170093809A (ko) 2017-08-16
KR102172135B1 true KR102172135B1 (ko) 2020-10-30

Family

ID=56091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579A KR102172135B1 (ko) 2014-12-05 2015-12-04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89077B2 (ko)
EP (1) EP3216484B1 (ko)
JP (1) JP6571680B2 (ko)
KR (1) KR102172135B1 (ko)
CN (1) CN106999702B (ko)
TW (1) TWI679997B (ko)
WO (1) WO20160888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67142A (zh) * 2015-12-15 2018-08-03 久光制药株式会社 微针片材
JP6621905B2 (ja) 2016-02-24 2019-12-18 久光製薬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タ
US20190184366A1 (en) * 2016-08-03 2019-06-20 Verndari, Inc. Microarrays and methods
WO2018043574A1 (ja) * 2016-09-01 2018-03-08 久光製薬株式会社 マイクロニードル・シート
CN110087722B (zh) * 2016-12-20 2021-12-24 久光制药株式会社 施放器
JP6799079B2 (ja) * 2016-12-20 2020-12-09 久光製薬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タ
WO2019107091A1 (ja) * 2017-11-30 2019-06-06 久光製薬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タ、カートリッジ、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キット
US11642505B2 (en) * 2017-11-30 2023-05-09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Applicator, cartridge and application kit
KR20220054881A (ko) * 2019-10-08 2022-05-03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마이크로 니들ㆍ시트 및 어플리케이터
US20210169410A1 (en) * 2019-12-09 2021-06-10 Ghassan S. Kassab Wearable device to screen opioid intoxication
CN114344700A (zh) * 2022-01-18 2022-04-15 兰州大学 一种载有雌二醇微乳的可溶性微针及其制备方法
WO2023238345A1 (en) * 2022-06-09 2023-12-14 Shiseido Company, Ltd. Microneedle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7392A1 (ja) * 2012-06-12 2013-12-19 久光製薬株式会社 マイクロニードル・シート
JP2014217520A (ja) * 2013-05-07 2014-11-20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経皮投与用貼付剤の製造方法及び経皮投与用貼付剤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14178B1 (en) 1996-06-18 2003-03-12 Alza Corporation Device for enhancing transdermal agent delivery or sampling
US7131987B2 (en) 2000-10-16 2006-11-07 Corium International, Inc. Microstructures and method for treating and conditioning skin which cause less irritation during exfoliation
EP1425064A2 (en) 2001-09-14 2004-06-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icrostructures for delivering a composition cutaneously to skin using rotatable structures
US20040087992A1 (en) 2002-08-09 2004-05-06 Vladimir Gartstein Microstructures for delivering a composition cutaneously to skin using rotatable structures
EP1485317A2 (en) 2001-11-30 2004-12-15 Alz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orming microprojection arrays
US20030211619A1 (en) 2002-05-09 2003-11-13 Lorin Olson Continuous strip of fluid sampling and testing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packaging and using the same
DE602004008278T2 (de) 2003-06-30 2008-02-14 Alza Corp., Mountain View Transdermale Abgabevorrichtung zur Abgabe eines biologisch aktiven Mittels mit hydrophober und hydrophiler Beschichtung
KR20060115716A (ko) 2003-08-04 2006-11-09 알자 코포레이션 경피 약물 플럭스를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5118428A (ja) 2003-10-20 2005-05-12 Yutaka Fujita 貼付式治療具の貼付器具
AU2004292953A1 (en) 2003-11-21 2005-06-09 Alza Corporation Ultrasound assisted transdermal vaccine delivery method and system
JP4832082B2 (ja) * 2004-02-03 2011-12-07 久光製薬株式会社 経皮薬物投与装置用インタフェース
CA2560840C (en) * 2004-03-24 2014-05-06 Corium International, Inc. Transdermal delivery device
US7909776B2 (en) 2004-04-30 2011-03-22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Lancets for bodily fluid sampling supplied on a tape
DE602005024038D1 (de) * 2004-12-10 2010-11-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 Medizinische vorrichtung
JP2006345984A (ja) 2005-06-14 2006-12-28 Nabtesco Corp 機能付与用シート
CN101912288A (zh) * 2005-09-02 2010-12-15 因特赛尔美国公司 经皮递送疫苗和透皮递送药物的装置及其应用
US7658728B2 (en) 2006-01-10 2010-02-09 Yuzhakov Vadim V Microneedle array, patch, and applicator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WO2007127811A2 (en) 2006-04-25 2007-11-08 Alza Corporation Microprojection array application with grouped microprojections for high drug loading
KR100793615B1 (ko) 2006-07-21 2008-01-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분해성 솔리드 마이크로니들 및 이의 제조방법
US7785301B2 (en) * 2006-11-28 2010-08-31 Vadim V Yuzhakov Tissue conforming microneedle array and patch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or biological fluid collection
CA2686093C (en) 2007-04-16 2018-05-08 Corium International, Inc. Solvent-cast microneedle arrays containing active
GB2448493B (en) * 2007-04-16 2009-10-14 Dewan Fazlul Hoque Chowdhury Microneedle transdermal delivery device
US8764712B2 (en) 2009-08-04 2014-07-01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Micro-needle array and method of use thereof
JP5751798B2 (ja) 2010-10-27 2015-07-22 Asti株式会社 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
CA2827158A1 (en) 2011-01-18 2012-07-2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Device and uses thereof
JP5903016B2 (ja) * 2012-06-27 2016-04-13 コスメディ製薬株式会社 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の保護離型シート
WO2014058746A1 (en) * 2012-10-10 2014-04-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orce-controlled applicator for applying a microneedle device to skin
US9717893B2 (en) * 2013-02-13 2017-08-0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Ltd. Microneedle arr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7392A1 (ja) * 2012-06-12 2013-12-19 久光製薬株式会社 マイクロニードル・シート
JP2014217520A (ja) * 2013-05-07 2014-11-20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経皮投与用貼付剤の製造方法及び経皮投与用貼付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32222A (zh) 2016-09-16
EP3216484B1 (en) 2023-02-01
CN106999702B (zh) 2020-07-10
EP3216484A1 (en) 2017-09-13
US10589077B2 (en) 2020-03-17
CN106999702A (zh) 2017-08-01
KR20170093809A (ko) 2017-08-16
TWI679997B (zh) 2019-12-21
JP6571680B2 (ja) 2019-09-04
WO2016088886A1 (ja) 2016-06-09
JPWO2016088886A1 (ja) 2017-09-14
US20170333690A1 (en) 2017-11-23
EP3216484A4 (en)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2135B1 (ko)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시스템
JP5966156B2 (ja) 剣山型マイクロニードルのアプリケータデバイス
JP5709223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の皮膚内への挿入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補助器具
JP6494602B2 (ja) 二重カバーを備えるマイクロニードル注射装置
AU2012328037B2 (en) Transdermal delivery of high viscosity bioactive agents
US6945952B2 (en) Solid solution perforator for drug delivery and other applications
EP1684846B1 (de) Vorrichtung zur transdermalen Verabreichung von Wirkstoffen
WO2013162053A1 (ja) マイクロニードルおよび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
KR102497984B1 (ko) 마이크로 니들 제제 및 마이크로 니들 제제의 제조 방법
CN104797287A (zh) 力控施用装置以及将微针装置施用到皮肤的方法
BR112015029865B1 (pt) Aparelho para injeção com microagulhas compreendendo um atuador invertido
KR20050019789A (ko) 약물 송달 및 다른 용도를 위한 신속 용해형마이크로-퍼포레이터
JP4824963B2 (ja) 貼付材及び貼付製剤
JP2004065775A (ja) 針状構造体を備えたデバイス
JP7285790B2 (ja) 皮膚貼付用粘着シート
KR20160030793A (ko) 흡수 속도를 개선한 마이크로니들 시스템
US20220249819A1 (en) Microneedles, and method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JP2009072270A (ja) マイクロニードルチップ
JP2008013494A (ja) 経皮吸収貼付剤
JP6336368B2 (ja) 貼付剤
JP3158519U (ja) 包装袋からの取り出し性および貼付時の操作性に優れた貼付剤
JP5700810B2 (ja) 経皮吸収型貼付剤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