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8560B1 - 정보 입력 시스템, 프로그램,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입력 시스템, 프로그램,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8560B1
KR102168560B1 KR1020137016148A KR20137016148A KR102168560B1 KR 102168560 B1 KR102168560 B1 KR 102168560B1 KR 1020137016148 A KR1020137016148 A KR 1020137016148A KR 20137016148 A KR20137016148 A KR 20137016148A KR 102168560 B1 KR102168560 B1 KR 102168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information
conductor
touch panel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7572A (ko
Inventor
켄지 요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솔루션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솔루션즈
Publication of KR20140047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3Accessories for touch pads or touch screens, e.g. mechanical guides added to touch screens for drawing straight lines, hard keys overlaying touch screens or touch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68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detect the point of contact of the player on a surface, e.g. floor mat, touch pad
    • A63F2300/107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detect the point of contact of the player on a surface, e.g. floor mat, touch pad using a touch scre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8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a camer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3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 패널 탑재형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터치 패널 상에 카드를 재치하여, 카드의 위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입력하고, 또 카드의 위에서부터 터치하여 손가락의 위치와 카드 정보와의 조합에 의한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을 제공한다.
정전 용량 방식에 의해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터치 패널과, 터치 패널을 입력 수단으로 하는 정보 처리 수단과, 터치 패널에 재치되는 박판상의 매체로 이루어지는 정보 입력 시스템으로서, 정보 처리 수단은, 소정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의해 매체에 정의된 코드 정보, 매체의 재치 위치 및 재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매체 정보를 인식하는 제 1 단계와, 사용자가 그 매체면을 터치 조작에 의해 터치한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터치 패널의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값을 인식하는 제 2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으로 하였다.

Description

정보 입력 시스템, 프로그램, 매체 {INFORMATION INPUT SYSTEM, PROGRAM, MEDIUM}
본 발명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터치 스크린) 을 사용한 정보 입력에 관한 것이다.
터치 패널에 대한 입력 조작과, 터치 패널에 재치 (載置) 한 카드의 위치, 방향 및 카드 고유의 정보 (이하, 본 발명에서는 「코드 정보」라고 한다) 의 인식과의 조합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는 기술로서, 이하의 선행 기술이 존재한다.
특허문헌 1 에 의하면, 터치 패널에 대한 입력 조작에 관해서는, 적외선 차단 방식의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단락 0144, 0210 등).
카드의 위치, 방향 및 코드 정보의 인식에 관해서는, 카드에 인쇄된 도트 패턴을 터치 패널 하부의 촬상 수단에 의해 읽어냄으로써 카드의 위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단락 0113 등).
특허문헌 2 에 의하면, 터치 패널에 대한 입력 조작에 관해서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단락 0131 등).
또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서는 카드의 위에서부터 터치하더라도 카드를 통해서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해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단락 0127).
카드의 위치, 방향 및 코드 정보의 인식에 대해서는, 카드에 인쇄된 코드 패턴을 터치 패널 하부의 촬상 수단에 의해 읽어냄으로써 카드의 위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단락 0078).
또한 동 문헌에 의하면, 코드 패턴의 인식 결과에 의해 터치 패널에 의한 입력 조작을 보완하는 것이 시사되어 있다 (단락 0047, 0052).
또한, 사용자가 카드의 위에서부터 터치하여, 그 카드 상에 있어서의 터치 위치를 게임 등에 반영시키는 구성이 특허문헌 1 (단락 0110) 및 특허문헌 2 (단락 0118) 에는 기재되어 있다.
상기한 것 외에, 터치 패널에 재치된 카드의 위치, 방향 및 코드 정보의 인식 방법에 관한 선행기술을 설명한다.
특허문헌 3 에 의하면, 카드에 도체부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어,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 상에 재치했을 때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해 카드의 위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단락 0009, 0010).
특허문헌 4 에 의하면, 카드에 형성된 복수의 RFID 칩을 카드 테이블 하면의 RFID 리더를 사용하여 각각 검출함으로써, 카드의 위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단락 0040 ∼ 0044).
특허문헌 3, 특허문헌 4 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카드의 위에서부터 터치하여 터치 패널에 대한 입력 조작을 한다는 기재는 없다.
특허문헌 5 에 의하면, 터치 패널에 대한 접촉이 손가락에 의한 접촉인지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접촉인지를 판별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단락 0057).
일본 특허 제401911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87911호 일본 특허 제404345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7849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61351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의 발명은, 카드의 위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수단을 터치 패널과는 별도로 형성함으로써 과제를 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와 같은 수단을 형성하지 않은 터치 패널 탑재형의 정보 처리 장치 (휴대전화기를 포함한다) 에 있어서, 터치 패널 위에 카드를 재치하고, (1) 그 카드에 대응된 정보를 터치 패널에 의해 입력한다, (2) 또는 카드의 위에서부터 터치하여 손가락의 위치와 카드 정보와의 조합에 의한 정보를 터치 패널에 의해 입력한다, 와 같은 과제는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의 발명에서는 달성할 수 없는 과제이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하기에 설명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등의 발명을 하였다.
본건 발명의 정보 입력 시스템은, 정전 용량 방식에 의해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터치 패널과, 그 터치 패널을 입력 수단으로 하는 정보 처리 수단과, 그 터치 패널에 재치되는 박판상의 매체로 이루어지는 정보 입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소정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의해 그 매체에 정의된 코드 정보, 그 매체의 재치 위치 및 재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매체 정보를 인식하는 제 1 단계와, 사용자가 그 매체면을 터치 및/또는 슬라이딩하는 터치 조작에 의해 터치한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당해 터치 패널의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값을 인식하는 제 2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정보 처리 수단은 터치 패널에 재치된 매체의 위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그 매체에 대응된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카드의 위에서부터 터치하여 손가락의 위치와 카드 정보와의 조합에 의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제 2 단계를 생략하고, 제 1 단계만을 실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의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값을, 상기 매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체면에서의 터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상기 매체의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값으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터치 패널에 매체가 어떠한 위치, 방향으로 배치되었다고 해도, 그 매체 표면에 인쇄된 어떤 부위에 손 끝에 의한 터치가 행해졌는지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제 2 단계 후에, 상기 매체의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값에 대응되어 있는 조작 지시에 기초한 처리를, 당해 대응 관계를 기억한 기억 수단을 참조하여 실행하는 제 3 단계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 지시는, 사용자가 그 매체면을 슬라이딩한 문자나 도형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체는, 그 매체면에 대한 상기 터치 조작을 유도하는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 또는 수기 (手記) 입력 영역이 인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드 정보는, 상기 매체의 형상 및 크기를 정의하거나, 또는 상기 코드 정보와 연관지어져 있는 상기 매체의 형상 및 크기를,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이 기억 수단을 참조함으로써 복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상기 매체면의 소정의 적어도 2 개의 위치 또는 그 매체면에 형성된 적어도 2 개의 캘리브레이션 마크를 사용자가 소정의 순서로 터치함으로써,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이, 그 매체면의 소정의 위치 또는 캘리브레이션 마크에 대한 터치 위치 및 터치한 순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패턴으로부터 정의되는 상기 매체의 재치 위치 및 재치 방향 또는, 그 재치 위치, 재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캘리브레이션 방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정보 처리 수단은 터치 패널에 재치된 매체의 위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 터치 패널 자체의 기능을 사용하여 인식함으로써, 그 매체에 대응된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카드의 위에서부터 터치하여 손가락의 위치와 카드 정보와의 조합에 의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소정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상기 매체면의 소정의 적어도 3 개의 위치 또는 그 매체면에 형성된 적어도 3 개의 캘리브레이션 마크를 사용자가 터치함으로써,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이, 그 매체면의 소정의 위치 또는 캘리브레이션 마크에 대한 터치 위치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으로부터 정의되는 상기 매체의 재치 위치·방향 또는, 그 재치 위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캘리브레이션 방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정보 처리 수단은 터치 패널에 재치된 매체의 위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 터치 패널 자체의 기능을 사용하여 인식함으로써, 그 매체에 대응된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카드의 위에서부터 터치하여 손가락의 위치와 카드 정보와의 조합에 의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매체면의 소정의 위치 또는 상기 소정의 캘리브레이션 마크를 최초에 사용자가 터치한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다음에 상기 매체면의 소정의 위치 또는 상기 소정의 캘리브레이션 마크를 터치하기까지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고, 그 경과 시간, 또는 그 경과 시간과 그 매체면의 소정의 위치 또는 캘리브레이션 마크에 대한 터치 위치 및 터치한 순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패턴과의 조합에 의해, 상기 매체의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상기 매체면에 사용자가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를 묘화 (描畵) 함으로써,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이 상기 텍스트 및/또는 상기 이미지로부터 정의되는 상기 매체의 재치 위치·방향 또는, 그 재치 위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캘리브레이션 방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상기 매체의 사용자 인증을 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캘리브레이션 마크는, 매체면에 인쇄된 숫자, 문자, 기호, 아이콘 등의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에 의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체면의 소정의 위치는, 상기 매체의 모서리부 근방의 위치 또는 상기 매체의 외연부 근방의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체면의 소정의 위치는, 매체면에 형성된 구멍부 및/또는 노치부 (切缺部) 에 의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체의 재치면에는 미끄럼 방지 또는 점착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체의 형상은 카드상 (狀) 또는 코인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의 제 1 단계는, 또한,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컨텐츠를 기동시켜, 상기 매체면을 터치 및/또는 슬라이딩하는 터치 조작으로 그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컨텐츠의 실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입력 시스템은, 또한, 정보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컨텐츠를 그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기동시켜, 상기 매체면을 터치 및/또는 슬라이딩하는 터치 조작으로 그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컨텐츠의 실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소정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대신하여, 상기 매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고, 그 코드 정보가 기록된 RFID 와, 그 RFID 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내는 RFID 리더와, 상기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입력 시스템은, 터치 패널의 조작면의 화상을 촬상하는 광학 판독 수단과, 그 촬상 화상을 해석하는 해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소정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대신하여, 그 터치 패널에 재치된 상기 매체의 윤곽에 의한 형상·크기·재치 위치의 인식, 및/또는 그 매체면 상에 인쇄된 화상을 그 해석 수단에 해석시킴으로써 상기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체에는, 소정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코드 정보가 정의된, 소정의 파장광으로 읽어낼 수 있는 도트 패턴이 인쇄되어 있고,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광학 판독 수단에 그 소정의 파장광만을 촬상시켜 그 도트 패턴을 읽어내고, 상기 해석 수단에 그 도트 패턴을 해석시켜, 상기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체는, 상기 터치 패널에 대면하는 면 또는 매체 내부의 소정 위치에 도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그 도전체의 개수와 배치 위치, 또는 각 도전체의 정전 용량의 크기의 차이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매체 정보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체는, 도트상의 도전체와 그 도트상의 도전체를 접속하는 선상의 도전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체는, 사용자의 손끝에 의해 터치되는 터치층과, 그 터치에 면접 (面接) 한 상기 도전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전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체는, 상기 터치 패널 표면 상 또는 그 터치 패널 표면에 재치된 상기 매체면 상을 터치한 사용자의 손끝과 상이한 정전 용량 특성을 갖고,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그것들을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소정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대신하여, 제 18 항에 기재된 상기 RFID 및 RFID 리더에 의해 상기 매체의 코드 정보를 인식하고, 제 21 항에 기재된 상기 도전체의 배치 위치에 의해 상기 매체의 재치 위치 및 재치 방향을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건 발명의 정보 입력 시스템은, 정전 용량 방식에 의해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터치 패널과, 그 터치 패널을 입력 수단으로 하는 정보 처리 수단과, 그 터치 패널에 재치되는 박판상의 매체로 이루어지는 정보 입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소정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의해 그 매체에 정의된 코드 정보, 그 매체의 재치 위치 및 재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매체 정보를 인식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건 발명의 프로그램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을 입력 수단으로 구비하는 정보 처리 수단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당해 터치 패널에는 박판상의 매체가 재치되는 것으로 하고, 소정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의해 그 매체에 정의된 코드 정보, 그 매체의 재치 위치 및 재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매체 정보를 인식하는 제 1 단계와, 사용자가 그 매체면을 터치 및/또는 슬라이딩하는 터치 조작에 의해 터치한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당해 터치 패널의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값을 인식하는 제 2 단계를 정보 처리 수단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건 발명의 프로그램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을 입력 수단으로 구비하는 정보 처리 수단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당해 터치 패널에는 박판상의 매체가 재치되는 것으로 하고, 소정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의해 그 매체에 정의된 코드 정보, 그 매체의 재치 위치 및 재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매체 정보를 인식하는 처리를 정보 처리 수단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건 발명의 매체는, 정보 처리 수단이 입력 수단으로서 구비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재치되는 매체로,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상기 매체의 재치 위치, 재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이 인식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실시해야 되는 조작을 지시하는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가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체는 알루미늄박 또는 도전지 (導電紙)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체는 카본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체는 도전사 (導電絲) 를 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건 발명의 정보 입력 시스템은, 정전 용량 방식에 의해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터치 패널과, 그 터치 패널을 입력 수단으로 하는 정보 처리 수단과, 그 터치 패널에 재치되는 박판상의 매체로 이루어지는 정보 입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박판상의 매체는 일부 또는 전부가 도전체이고, 사용자의 손끝에 의해 터치되는 터치층과 상기 터치 패널에 면한 상기 도전체가 일체로서 형성되고,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터치 패널의 접면에 형성된 도전체의 형상, 배치 또는 정전 용량의 크기의 차이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매체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한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하지 않아도 매체 정보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정보 입력 시스템은, 또한, 정보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매체 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컨텐츠를 그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기동시켜, 상기 매체면을 터치 및/또는 슬라이딩하는 터치 조작으로 그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컨텐츠의 실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체의 터치층은 면 형상으로 도전체를 형성하고, 상기 터치 패널의 접면에 복수 점에 도전체가 점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체는 제 1 특성을 갖는 도전체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 패널에 면접한 영역에 제 2 특성을 갖는 도전체가 점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의 손끝을 대신하여,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건 발명의 매체는, 정보 처리 수단이 입력 수단으로서 구비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재치되는 매체로, 사용자의 손끝에 의해 상기 매체에 터치하여 조작을 지시하는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가 인쇄되어 있고, 상기 매체는 일부 또는 전부가 도전체이고, 상기 사용자의 손끝에 의해 터치되는 터치층과, 상기 터치 패널에 면접한 상기 도전체부가 일체로서 형성되고,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도전체의 형상, 배치 또는 정전 용량의 크기의 차이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매체 정보 및,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그 매체의 재치 위치, 재치 방향을 인식하고, 그 매체 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컨텐츠를 그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기동시켜, 그 매체면을 터치 및/또는 슬라이딩하는 터치 조작으로 그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컨텐츠의 실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체는 알루미늄박 또는 도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체는 카본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체는 도전사를 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체의 재치면에는 미끄럼 방지 또는 점착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체의 형상은 카드상 또는 코인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체의 터치층은 면 형상으로 도전체를 형성하고, 상기 터치 패널의 접면에 복수 점에 도전체가 점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체는 제 1 특성을 갖는 도전체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 패널에 면접한 영역에 제 2 특성을 갖는 도전체가 점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의 손끝을 대신하여,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건 발명에 의하면, 터치 패널 탑재형의 정보 처리 장치 (휴대전화기를 포함한다) 에 있어서, 터치 패널 위에 카드를 재치하여, 카드의 위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터치 패널에 의해 입력하고, 또한 카드의 위에서부터 터치하여 손가락의 위치와 카드 정보와의 조합에 의한 정보를 터치 패널에 의해 입력한다는 등의 선행 기술로부터는 발휘할 수 없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 은 본건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 는 터치 패널 (101) 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그 1) 이다.
도 3 은 터치 패널 (101) 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그 2) 이다.
도 4 는 터치 패널 (101) 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그 3) 이다.
도 5 는 터치 패널 (101) 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그 4) 이다.
도 6 은 매체 (201) 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그 1) 이다.
도 7 은 매체 (201) 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그 2) 이다.
도 8 은 매체 (201) 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그 3) 이다.
도 9 는 제 1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 은 제 2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나타내는 도 (그 1) 이다.
도 11 은 제 2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나타내는 도 (그 2) 이다.
도 12 는 제 2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나타내는 도 (그 3) 이다.
도 13 은 제 3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나타내는 도 (그 1) 이다.
도 14 는 제 3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나타내는 도 (그 2) 이다.
도 15 는 제 3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나타내는 도 (그 3) 이다.
도 16 은 제 4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나타내는 도 (그 1) 이다.
도 17 은 제 4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나타내는 도 (그 2) 이다.
도 18 은 제 4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나타내는 도 (그 3) 이다.
도 19 는 제 5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나타내는 도 (그 1) 이다.
도 20 은 제 5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나타내는 도 (그 2) 이다.
도 21 은 제 5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나타내는 도 (그 3) 이다.
도 22 는 제 6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3 은 터치 패널 좌표계에서 매체 좌표계로의 변환 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4 는 터치 패널 (101) 에 카메라 (103) 를 형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5 는매체 (201) 에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를 인쇄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6 은 매체 (201) 에 관통구멍 (402) 을 형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7 은 매체 (201) 에 노치부 (403) 를 형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8 은 매체 (201) 에 도전체 (203) 를 형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그 1) 이다.
도 29 는 매체 (201) 에 도전체 (203) 를 형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그 2) 이다.
도 30 은 매체 (201) 에 도전체 (203) 를 형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그 3) 이다.
도 31 은 매체 (201) 에 도전체 (203) 를 형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그 4) 이다.
도 32 는 매체 (201) 에 도전체 (203) 를 형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그 5) 이다.
도 33 은 매체 (201) 에 도전체 (203) 를 도트 패턴으로서 인쇄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4 는 일부가 도전체인 매체에 관해서 설명하는 도로, (a) 가 평면도, (b) 가 단면도이다.
도 35 는 전부가 도전체인 매체에 관해서 설명하는 도로, (a) 가 평면도, (b) 가 단면도이다.
도 36 은 도전사를 짜서 형성된 매체에 관해서 나타내는 평면도로, (a) 가 매체의 일부를 도전사로 짜서 형성한 경우, (b) 가 매체의 전부를 도전사로 짜서 형성한 경우에 관해서 나타내는 것이다.
도 37 은 점 형상의 도전체를 형성한 매체에 관해서 설명하는 도로, (a) 가 평면도, (b) 가 단면도이다.
도 38 은 제 1 도전체와 제 2 도전체를 갖는 매체에 관해서 설명하는 도로, (a) 가 평면도, (b) 가 단면도이다.
도 39 는 코드 정보의 정의 방법의 일례에 관해서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설명한다.
<하드웨어의 구성>
본건 발명의 정보 입력 시스템은, 터치 패널 (101), 터치 패널에 재치하는 매체 (201), 정보 처리 수단 (301) 으로 이루어진다. 하드웨어의 구체적인 구성을 이하에 서술한다.
발명자가 의도하는 최선의 실시형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하드웨어를 모두 일체로 한 타블렛 컴퓨터이다.
단면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 (101) 하부에는 표시 수단 (102) 이 형성되고, 또한 도시하지 않은 정보 처리 수단 (301)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정보 처리는 타블렛 컴퓨터 내의 정보 처리 수단 (301) 이 모두 실행한다. 기타, 터치 패널의 대표적인 구조를 도 3 내지 5 에 나타낸다.
또한, 터치 패널 (101), 표시 수단 (102), 정보 처리 수단 (301) 의 일부 또는 전부가 독립된 장치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도시를 생략하지만, 터치 패널 (101) 은 PC 나 AV 기기, 휴대전화, 정보 단말, 게임기, 교육 기기, 쇼핑 단말, 광고 단말, 공작 기계, 인쇄 기계 등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나 씬 클라이언트 (thin client) 단말로서 다양한 이용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수단 (301) 은, 도시하지 않은 기억 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필요에 따라서 취득한다. 기억 수단은 정보 처리 수단 (301) 과 동일한 장치 내에 형성된 것과, 장치 밖에 형성된 것의 쌍방을 가리킨다.
<개요>
터치 패널 (101) 에는 매체 (201) 가 재치되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끝으로 이 매체 (201) 를 터치하여, 각종의 정보 입력을 실시한다.
매체 (201) 는 도 6 의 예에서는 직사각형의 카드 형상이지만, 형상은 코인 형상 (도 7 참조) 등, 직사각형 이외의 것이어도 된다. 재질은 종이에 한정되지 않고 합성 수지 등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체적인 제품으로는, 시일, 시트, 메모 용지, 서표 (書標) 등을 들 수 있다. 매체 (201) 의 구체적 형상은 당업자의 설계 사항이므로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사용자가 매체 (201) 에 터치하는 것은 반드시 「손끝」이 아니어도 된다. 또한,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 (도시 생략) 을 손에 잡고 터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는 당업자의 설계 사항이므로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캘리브레이션 방법>
본 발명의 가장 특징적인 구성인, 터치 패널 (101) 에 매체 (201) 를 재치했을 때, 매체 (201) 의 위치, 방향 및 코드 정보 (매체 정보) 를 정보 처리 수단 (301) 에 인식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코드 정보란, 복수의 매체 (201) 를 식별하기 위한 ID 로서의 역할을 갖는 것 외에, 매체 (201) 의 형상, 매체 (201) 의 크기를 정의할 수 있다.
본건 발명에 있어서는, 터치 패널 (101) 에 재치된 매체 (201) 를 사용자가 터치함으로써, 매체의 위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정보 처리 수단 (301) 에 인식시킨다.
이 조작을 본건 발명에서는 「캘리브레이션」이라고 호칭한다. 캘리브레이션에는 여러 가지의 방법이 있어, 어떤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채용할지는 임의이다.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매체면에 형성된, 복수의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나 텍스트나, 사진, 이미지 (그래픽) 의 소정의 위치 (도 8 참조) 에 의해 지시된 매체 (201) 상 위치를 사용자에게 터치시키는 점에 있어서 공통적이다. 물론, 가시화적으로 터치 위치를 지정하지 않아도, 미리 정한 매체의 코너나 가장자리의 소정의 위치여도 된다.
그리고, 터치하는 순서를 미리 정하는 방법과, 순서를 정하지 않은 방법이 있다. 제 1 내지 제 3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터치하는 순서를 미리 정하는 방법이고, 제 4, 제 5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터치하는 순서를 정하지 않은 방법이다.
또한, 제 6 캘리브레이션 방법으로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 조작이 아니라 매체면을 손가락으로 덧그리는 동작에 의해 매체 (201) 의 위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정보 처리 수단 (301) 에 인식시키는 방법이 있다.
<터치하는 순서를 정하는 캘리브레이션 방법>
터치하는 순서를 미리 정하는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설명한다.
<제 1 캘리브레이션>
제 1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매체 (201) 에 인쇄된 2 개의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가 지시하는 위치·순서에 따라서 매체를 터치한다. 또,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대신의 다른 소정의 방법으로 지시되는 위치여도 된다 (도 8 참조).
그러면, 터치 패널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의 값 (좌표값) 이 2 개 입력된다.
매체 (201) 의 위치는, 첫 번째로 입력된 좌표값을 대표점으로 하여 특정된다. 또, 두 번째로 입력된 좌표값을 대표점으로 해도 된다.
매체 (201) 의 방향은, 첫 번째로 입력된 좌표 및 두 번째로 입력된 좌표를 연결하는 선분의 방향에 의해 특정된다. 예를 들어, 첫 번째에서 두 번째의 점을 연결하는 방향이나, 첫 번째에서 두 번째의 점을 연결하는 방향에서부터 임의의 방향으로 매체 (201) 의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코드 정보는, 첫 번째로 입력된 좌표 및 두 번째로 입력된 좌표를 연결하는 선분의 길이와 대응되어 있는 코드 정보가, 기억 수단에 저장된 코드 정보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특정된다. 또한, 첫 번째에서 두 번째의 점을 터치하기까지의 시간 간격을 코드 정보로 해도 된다. 나아가, 선분의 길이로부터 구해지는 코드 정보와 조합해도 된다.
<제 2 캘리브레이션>
제 2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매체 (201) 에 인쇄된 3 개의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가 지시하는 위치·순서에 따라서 매체 (201) 를 터치한다. 또,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대신의 다른 소정의 방법으로 지시되는 위치여도 된다.
그러면, 터치 패널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의 값 (좌표값) 이 3 개 입력된다.
매체 (201) 의 위치는, 첫 번째로 입력된 좌표값을 대표점으로 하여 특정된다. 또, 두 번째 또는 세 번째로 입력된 좌표값을 대표점으로 해도 된다.
매체 (201) 의 방향은, 첫 번째로 입력된 좌표 및 두 번째로 입력된 좌표를 연결하는 선분의 방향에 의해 특정된다. 예를 들어, 첫 번째에서 두 번째의 점을 연결하는 방향이나, 첫 번째로부터 두 번째의 점을 연결하는 방향에서부터, 임의의 방향으로 매체 (201) 의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물론, 그 밖에 2 개의 점의 조합으로 매체 (201) 의 방향이 특정되어도 된다.
코드 정보는, 첫 번째와 두 번째의 점의 좌표를 기준으로, 세 번째의 점이 상대적으로 어디에 배치되는지에 의해서 특정된다 (도 11 참조). 또, 첫 번째 또는 두 번째의 점의 좌표를 원점으로 하여 세 번째의 상대좌표를 구하고 (도 12 참조), 그 상대 좌표와 대응되어 있는 코드 정보가, 기억 수단에 저장된 코드 정보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특정되어도 된다. 그리고, 입력된 3 개의 좌표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생성되는 삼각형의 형상 또는 크기, 또는 그 조합과 대응되어 있는 코드 정보가, 기억 수단에 저장된 코드 정보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특정되어도 된다. 또한, 3 점 터치의 시간 간격을 코드 정보로 해도 된다. 나아가, 터치한 좌표로부터 구해지는 코드 정보와 조합해도 된다.
<제 3 캘리브레이션>
제 3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매체 (201) 에 인쇄된 4 개의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가 지시하는 위치·순서에 따라서 매체 (201) 를 터치한다. 또,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대신의 다른 소정의 방법으로 지시되는 위치여도 된다.
그러면, 터치 패널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의 값 (좌표값) 이 4 개 입력된다.
매체 (201) 의 위치는, 첫 번째로 입력된 좌표값을 대표점으로 하여 특정된다. 단,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또는 네 번째로 입력된 좌표값을 대표점으로 해도 된다.
매체 (201) 의 방향은, 첫 번째로 입력된 좌표 및 두 번째로 입력된 좌표를 연결하는 선분의 방향에 의해 특정된다. 예를 들어, 첫 번째로부터 두 번째의 점을 연결하는 방향이나, 첫 번째로부터 두 번째의 점을 연결하는 방향에서부터 임의의 방향으로 매체 (201) 의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물론, 그 밖에 2 개의 점의 조합으로 매체 (201) 의 방향이 특정되어도 된다.
코드 정보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점의 좌표를 기준으로, 세 번째와 네 번째 점이 상대적으로 어디에 배치되는지에 의해서 특정된다 (도 14 참조). 또, 첫 번째 또는 두 번째의 좌표를 원점으로 하여 세 번째와 네 번째 점의 상대좌표를 구하고 (도 15 참조), 그 상대좌표와 대응되어 있는 코드 정보가, 기억 수단에 저장된 코드 정보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특정되어도 된다. 그리고, 입력된 4 개의 좌표를 연결함으로써 생성되는 사각형의 형상 또는 크기, 또는 그 조합과 대응되어 있는 코드 정보가, 기억 수단에 저장된 코드 정보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특정되어도 된다. 또한, 4 점의 터치의 시간 간격을 코드 정보로 해도 된다. 나아가, 터치한 좌표로부터 구해지는 코드 정보와 조합해도 된다.
또, 4 점을 초과하는 터치 지시에 의한 캘리브레이션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처리함으로써, 더욱 많은 코드 정보가 특정되는 것은 물론이다.
<터치하는 순서를 정하지 않은 캘리브레이션 방법>
<제 4 캘리브레이션 방법>
제 4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매체 (201) 에 인쇄된 3 개의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가 지시하는 위치에 따라서 매체를 터치한다. 매체 (201) 를 터치하는 순서는 임의이다. 또는 동시에 터치해도 된다. 또,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대신의 다른 소정의 방법으로 지시되는 위치여도 된다.
그러면, 터치 패널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의 값 (좌표값) 이 3 개 입력된다.
매체 (201) 의 위치는, 입력된 3 개의 좌표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생성되는 삼각형을 구성하는 3 개의 정점을 모두 특정할 수 있도록 삼각형의 형상이 형성됨으로써, 그 어느 하나가 대표점으로서 특정된다. 또, 정삼각형은 어느 쪽 정점이 대표점인지 특정할 수 없다.
매체 (201) 의 방향은, 대표점을 제 1 기준점, 다른 어느 하나의 정점을 제 2 기준점으로 하고, 제 1 기준점에서 제 2 기준점을 연결하는 방향에 의해 특정된다. 또한, 제 1 기준점에서 제 2 기준점을 연결하는 방향에서부터 임의의 방향으로 매체 (201) 의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코드 정보는, 제 1 기준점과 제 2 기준점의 좌표를 기준으로, 다른 점이 상대적으로 어디에 배치되는지에 의해서 특정된다 (도 17 참조). 또, 제 1 기준점의 좌표를 원점으로 하고, 다른 점의 상대좌표를 구하여 (도 18 참조), 그 상대좌표와 대응되어 있는 코드 정보가, 기억 수단에 저장된 코드 정보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특정되어도 된다. 또, 입력된 3 개의 좌표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생성되는 삼각형의 형상 또는 크기, 또는 그 조합과 대응되어 있는 코드 정보를, 기억 수단에 저장된 코드 정보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특정해도 된다. 또, 3 점의 터치의 시간 간격을 코드 정보로 해도 된다. 나아가, 터치한 좌표로부터 구해지는 코드 정보와 조합해도 된다.
<제 5 캘리브레이션 방법>
제 5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매체 (201) 에 인쇄된 4 개의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가 지시하는 위치에 따라서 매체를 터치한다. 매체 (201) 를 터치하는 순서는 임의이다. 또는 동시에 터치해도 된다. 또,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대신에 다른 소정의 방법으로 지시되는 위치여도 된다.
그러면, 터치 패널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의 값 (좌표값) 이 4 개 입력된다.
매체 (201) 의 위치는, 입력된 4 개의 좌표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생성되는 사각형을 구성하는 4 개의 정점이 모두 특정 가능하도록 사각형의 형상이 형성됨으로써, 그 어느 하나가 대표점으로 하여 특정된다. 또,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 평행 사변형 등의 선대칭 또는 점대칭의 사각형은, 어느 정점이 대표점인지 특정할 수 없다.
매체 (201) 의 방향은, 대표점을 제 1 기준점, 다른 어느 정점을 제 2 기준점으로 하고, 제 1 기준점에서 제 2 기준점을 연결하는 방향에 의해 특정된다. 또한, 제 1 기준점에서 제 2 기준점을 연결하는 방향 중에서부터, 임의의 방향으로 매체 (201) 의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코드 정보는, 제 1 기준점과 제 2 기준점의 좌표를 기준으로, 다른 2 점이 상대적으로 어디에 배치되는지에 의해서 특정된다 (도 20 참조). 또, 제 1 기준점의 좌표를 원점으로 하고, 다른 2 점의 상대좌표를 구하여 (도 21 참조), 그 상대좌표와 대응되어 있는 코드 정보가, 기억 수단에 저장된 코드 정보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특정되어도 된다. 또한, 입력된 4 개의 좌표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생성되는 사각형의 형상 또는 크기, 또는 그 조합과 대응되어 있는 코드 정보를, 기억 수단에 저장된 코드 정보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특정해도 된다. 또, 4 점의 터치의 시간 간격을 코드 정보로 해도 된다. 나아가, 터치한 좌표로부터 구해지는 코드 정보와 조합해도 된다.
또한, 4 점을 초과하는 터치 지시에 의한 캘리브레이션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처리함으로써, 더욱 많은 코드 정보가 특정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 6 캘리브레이션 방법>
제 6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매체 (201) 의 화살표의 이미지에 따라, 손가락으로 매체 (201) 를 덧그린다. 그러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덧그려서 묘화한 이미지가 입력된다. 물론, 시작점 (始點) 을 터치한 후, 덧그리지 않고 시작점으로부터의 임의의 위치를 터치하여 매체의 방향을 입력해도 된다.
매체 (201) 의 위치는, 사용자가 매체 (201) 에 최초에 닿아 덧그리기 시작한 위치의 좌표값을 대표점으로 하여 특정된다. 또, 사용자가 매체 (201) 를 덧그리기 완료한 위치의 좌표값을 대표점으로 해도 되고, 사용자가 매체 (201) 를 덧그린 궤적 상의 소정의 좌표값을 대표점으로 해도 된다.
매체 (201) 의 방향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움직인 방향에 의해 특정된다. 도 22 에서는 화살표에 의해 나타내는 방향으로 손가락을 움직임으로써, 매체 (201) 화살표의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매체 (201) 의 화살표의 시작점에는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를 형성하여 시작점을 사용자에게 나타낼 필요가 있다. 이 시작점을 나타내는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는, 수기 입력 영역 내에 형성되어도 된다.
매체 (201) 의 코드 정보는, 수기 입력 영역에 입력된 이미지와 대응되어 있는 코드 정보가, 기억 수단에 저장된 코드 정보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특정된다.
매체 (201) 의 위치 및 방향을 특정하기 위한 이미지 입력 조작과 매체 (201) 의 코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이미지 입력 조작은, 각각 별도의 이미지를 입력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 패널 좌표계에서 매체 좌표계로의 변환 방법>
터치 패널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값을 매체 좌표계의 좌표값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도 23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캘리브레이션시에 대표점으로서 입력된 터치 패널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값을 (Xs, Ys) 로 한다.
또한, 그 캘리브레이션시에 대표점으로서 입력된 터치 패널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값을 매체 좌표계에 의해 표현한 좌표값을 (xs, ys) 로 한다.
한편, 터치 패널의 좌표계에 있어서의 Y 방향과, 매체의 좌표계에 있어서의 y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θ 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 끝에 의한 터치 위치가, 터치 패널 좌표계로 표현하면 (Xt, Yt) 라고 한다.
이 경우, 매체 좌표계에 있어서의 터치 위치 (xt, yt) 는, 이하의 식으로 표시된다.
또, α 는 터치 패널 좌표계에 있어서의 단위 길이에 대한, 매체 좌표계의 단위 길이의 비이다.
Figure 112013055459196-pct00001
이러한 연산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터치 패널 (101) 상에 매체 (201) 가 어떠한 위치, 방향으로 배치되었다고 해도, 그 매체 (201) 표면에 인쇄된 어떤 부위에 손끝에 의한 터치가 행해졌는지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정보 처리 수단 및 어플리케이션>
이하에, 정보 입력 시스템의 구성 요소의 하나인 정보 처리 수단 (301) 에 실행시키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에 관해서 설명한다. 정보 처리 수단 (301) 에 있어서는 이하의 처리가 실행된다.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방법에 대해서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통상적으로 구비하는 기동 방법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또, 사용자가 터치 패널 (101) 에 매체 (201) 를 재치하고, 후술하는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코드 정보 테이블에 있어서 코드 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적으로 기동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캘리브레이션·단계>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후, 정보 처리 수단 (301) 은 캘리브레이션·단계를 실행한다. 이 단계에서는 전술한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의해, 터치 패널 (101) 에 재치된 매체 (201) 의 위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인식한다.
<매체에 대한 터치 조작을 받아들이는 단계>
캘리브레이션이 완료되면, 터치 패널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값은 전술한 변환 방법에 의해 매체 좌표계의 좌표값으로의 변환이 가능해지고, 사용자는 매체 (201) 를 터치하는 조작이 가능해진다.
사용자가 손끝으로 매체 (201) 의 인쇄면을 터치하면, 터치 패널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값이 입력되어, 매체 좌표계의 좌표값으로 변환된다.
<좌표값에 대응된 처리의 실행>
정보 처리 수단 (301) 은 기억 수단에 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매체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값에 대응되어 있는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예를 들면 도 6 의 매체 좌표계에 있어서의 「구입」이라고 인쇄된 영역의 좌표를 사용자가 터치 조작에 의해 입력했을 때에는, 정보 처리 수단 (301) 은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을 구입하는 수속을 시작하는, 그와 같은 처리를 실행한다.
또 사용자의 조작은 매체 (201) 를 단순히 터치할 뿐만 아니라, 매체 (201) 상의 수기 입력 영역을 손가락으로 덧그려 (슬라이딩하여), 복수의 좌표값을 입력하는 조작도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텍스트나 이미지를 인식하고, 그것들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터치 패널>
이하에, 정보 입력 시스템의 구성 요소의 하나인 터치 패널 (101) 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터치 패널 (101) 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다. 터치 패널 (101) 의 하부에 표시 수단 (102) 이 설치되는지는 상관하지 않는다.
<터치 패널에 카메라를 형성한다>
캘리브레이션을 보조하기 위해, 터치 패널 (101) 에는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 (103) (광학 판독 수단) 를 형성해도 된다.
카메라 (103) 는 터치 패널 (101) 의 입력면 전체를 촬영하여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화상 데이터는 카메라 (103) 안쪽의 해석 수단 (104) 으로 송신된다.
카메라 (103) 는 가시광을 촬영하는 가시광 카메라 (103-A) (도시 생략) 여도 되고, 불가시광을 촬영하는 불가시광 카메라 (103-B) (도시 생략) 여도 된다. 불가시광 카메라 (103-B) 는, 매체 (201) 에 인쇄된 불가시 바코드 등을 촬영하는 데에 사용된다.
해석 수단 (104) 은 화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매체 (201) 의 위치, 형상, 크기를 인식한다. 또한, 매체 (201) 에 인쇄된 바코드 등을 해석하여 코드 정보를 인식한다. 이 점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해석 수단 (104) 은 해석 결과를 정보 처리 수단 (301) 으로 송신한다.
또, 해석 수단 (104) 을 대신하여 정보 처리 수단 (301) 이 화상 데이터의 해석을 실시해도 된다.
<매체>
이하에, 정보 입력 시스템의 구성 요소의 하나인 매체 (201) 에 관해서 설명한다.
<캘리브레이션 마크의 인쇄>
매체 (201) 의 평면 (사용자가 접촉하는 면) 도 25 를 참조하면, 매체 (201) 에는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가 인쇄되어 있다.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는, 전술한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서 사용자에게 터치 위치를 지시하는 마크이다. 또,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대신에 다른 소정의 방법으로 지시되는 위치여도 된다.
도 25 에 의하면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는 이미지에 의해 표시되고 있지만, 텍스트나, 사진, 이미지 (그래픽) 의 소정의 위치에 의해 표시되어도 된다 (도 8 참조). 물론, 가시화적으로 터치 위치를 지정하지 않아도, 미리 정한 매체의 코너나 가장자리의 소정 위치여도 된다.
또,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의 인쇄된 위치 자체를 터치 위치로 하거나, 또는 화살표 등의 이미지를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로 하여,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가 나타내는 위치를 터치 위치로 할지는 당업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설계해도 된다.
또,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인쇄하지 않은 구성, 또는 불가시로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캘리브레이션용의 터치 위치를 알고 있는 사람만이 올바른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하여 매체 (201) 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캘리브레이션이 사용자 인증의 역할을 갖게 된다.
<매체에 구멍을 뚫는다>
도 26 에 매체 (201) 에 구멍을 뚫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6 에서는 매체 (201) 에는 관통구멍 (402)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 (402) 은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를 대신하여 사용자에게 캘리브레이션용의 터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사용자는 현행 터치 패널에 있어서, 관통구멍 (402) 을 통해서, 매체를 사이에 두지 않고 터치 패널 (101) 에 직접 터치하여, 확실히 터치 패널에 터치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26 에 나타내는 관통구멍 (402a) 과 관통구멍 (402b) 에서는 구멍의 크기는 상이하여, 사용자는 구멍의 크기로 터치하는 순서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 패널 (101) 에 닿는 면적을 변경함으로써, 정전 용량의 크기를 다르게 하다. 이 경우, 관통구멍에 터치하는 순서를 캘리브레이션 마크나 이미지에 의해 소정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나, 각 관통구멍의 정전 용량의 크기 차이를 정보 처리 수단 (301) 이 인식하고, 다수의 코드 정보를 특정할 수 있거나, 그 밖의 조작 지시 등, 여러 가지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관통구멍 (402) 을 형성한 다음에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를 형성하고, 이들의 좌표값에 의해 코드 정보를 인식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매체에 노치>
도 27 에 매체 (201) 에 노치부를 형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7 에서는 매체 (201) 에는 노치부 (403) 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 (403) 는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를 대신하여 사용자에게 캘리브레이션용의 터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사용자는 관통구멍 (402) 을 통해서 터치 패널 (101) 에 직접 터치하는 것과 동일한 여러 가지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 노치부 (403) 를 형성한 다음에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또는 관통구멍 (402) 을 형성하여, 이들의 좌표값에 의해 코드 정보를 인식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매체 이면에 미끄럼 방지 또는 점착제>
터치 패널 (101) 에 재치된 매체 (201) 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매체 이면 (터치 패널 (101) 과 접촉하는 면) 에는 미끄럼 방지 가공 또는 점착 가공을 실시하면 된다. 또, 매체를 재치면에서 슬라이딩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매체에 RFID 를 형성한다>
본건 발명에서는 매체 (201) 의 표면 또는 내부에 RFID (202) 를 형성하고, 터치 패널 (101) 에는 RFID 리더 (105) 를 형성함으로써, 캘리브레이션을 보조할 수 있다.
RFID (202) 는 코드 정보를 기억하는 것으로 하여, 캘리브레이션에 의존하지 않고 매체 (201) 의 코드 정보를 쉽고 편안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매체에 RFID 를 형성하는 구성에 관해서는 특허문헌 4 에 상세한 기재가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매체에 바코드 등을 인쇄한다>
본건 발명에서는 매체 (201) 에 바코드 등을 인쇄하고, 터치 패널 (101) 에는 카메라 (103) 를 형성하는 실시예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바코드 등이란, 바코드, QR 코드 (등록상표), 도트 패턴 (일본 특허 제3706385호에 기재) 등의, 소정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정보가 정의 가능한 이미지를 의미한다.
바코드 등은 가시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하는 것 외에, 불가시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해도 된다. 불가시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 전술한 불가시광 카메라 (103-B) 에 의해 촬영할 필요가 있다.
<매체에 도전체를 형성한다>
이하, 캘리브레이션을 보조하기 위해서 매체 (201) 에 도전체 (203) 를 형성한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전체 (203) 의 재질은 손가락과 동등한 정전적인 도전성을 갖는 것일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폰지, 고무, 그 밖에 도전성 섬유를 사용한 것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도전체를 형성한 매체 그 1>
매체 (201) 의 이면 (터치 패널 (101) 과 접하는 면) 도 28 에 의하면, 매체 (201) 의 소정의 4 지점 (도면 중에서는 좌하 구석, 우하 구석, 좌상 구석, 우상 구석) 에 도전체 (203) 가 형성된다.
도전체 (203) 는 파선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체 (201) 의 외주에 형성한 도선 (205) 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각 도전체 (203) 는 체적을 변경함으로써 정전 용량의 크기를 다르게 해도 된다. 이 경우, 각 도전체 (203) 의 정전 용량의 크기 차이를 정보 처리 수단 (301) 이 인식하여, 각각 상이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매체 (201) 의 평면 (사용자가 터치하여 조작하는 면) 도 29 에 의하면, 매체 (201) 의 소정의 4 지점 (도면 중에서는 좌하 구석, 우하 구석, 좌상 구석, 우상 구석), 즉 도체부 (203) 의 상부에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가 형성된다.
매체 (201) 의 단면도 30 을 참조하면, 도체부 (203) 는 도선 (205) 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선을 매체의 표면에 형성할지, 내부에 형성할지는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자는 캘리브레이션 마크 (401) 의 어느 하나에 터치하면, 도전체 (203), 도선 (205) 을 통해서 터치 패널에 대한 4 점의 멀티 터치 입력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정보 처리 수단 (301) 은 전술한 캘리브레이션 방법과 같이 매체 (201) 를 손가락으로 복수 회 터치하여 캘리브레이션하지 않고, 한번의 터치 조작으로 매체 (201) 의 위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매체 (201) 의 위치가 움직이더라도 움직일 때마다 재차 캘리브레이션 가능하기 때문에, 카드를 움직이는 조작에 의한 정보 입력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전체 (203) 가 1 지점에 배치된 경우에는, 도전체 (203) 의 정전 용량의 크기, 도트상으로 2 지점에 배치된 경우에는, 제 1 캘리브레이션과 동일하게 배치된 2 점간의 거리, 도트상으로 3 지점 이상에 배치된 경우에는, 제 2 ∼ 5 캘리브레이션과 동일하게 이들을 정점으로 하는 1 개의 폐다각형 형상에 의해, 매체 (201) 의 코드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및 매체 (201) 의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도전체를 형성한 매체 그 2>
매체 (201) 의 이면 (터치 패널 (101) 과 접하는 면) 도 31 에 의하면, 매체 (201) 의 소정의 4 지점 (도면 중에서는 좌하 구석, 우하 구석, 좌상 구석, 우상 구석) 에 도전체 (203) 가 형성된다.
또, 각 도전체 (203) 는 체적을 변경함으로써 정전 용량의 크기를 다르게 해도 된다. 이 경우, 각 도전체 (203) 의 정전 용량의 크기의 차이를 정보 처리 수단 (301) 이 인식하여, 각각 상이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4 개의 도전체 (203) 는 파선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자상으로 형성한 도선 (205) 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선 (205) 을 대신하여 매체 (201) 에 금속박 (206) 을 형성함으로써, 4 개의 도전체 (203) 를 전기적으로 접속해도 된다.
매체 (201) 의 단면도 32 를 참조하면, 도체부 (203) 는 도선 (205) 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선을 매체의 표면에 형성할지, 내부에 형성할지는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자는 매체 (201) 의 어딘가 임의의 위치를 터치하면, 도전체 (203), 도선 (205) 을 통해서 터치 패널에 대한 4 점의 멀티 터치 입력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정보 처리 수단 (301) 은 전술한 캘리브레이션 방법과 같이 매체 (201) 를 손가락으로 복수 회 터치하여 캘리브레이션하지 않고, 한번의 터치 조작으로 매체 (201) 의 위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매체 (201) 의 위치가 움직이더라도 움직일 때마다 재차 캘리브레이션 가능하기 때문에, 카드를 움직이는 조작에 의한 정보 입력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전체 (203) 가 1 지점에 배치된 경우에는, 도전체 (203) 의 정전 용량의 크기, 도트상으로 2 지점에 배치된 경우에는, 배치된 2 점간 거리, 도트상으로 3 지점 이상에 배치된 경우에는, 이들을 정점으로 하는 1 개의 폐다각형 형상에 의해, 매체 (201) 의 코드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및 매체 (201) 의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도전체를 도트 패턴으로서 인쇄한 매체>
도 33 은 도전체 (203) 를 코드치 및/또는 좌표값이 정의된 도트 패턴으로 하여, 매체 (201) 에 형성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트 패턴을 사용한 정보 입출력의 방법에 관해서는 특허문헌 1 에 상세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손끝에 의한 터치와의 판별>
매체 (201) 에 도전체 (203) 를 형성하는 구성에 있어서, 터치 패널 (101) 에 대한 터치 입력이, 사용자의 손끝에 의한 것인지 도전체 (203) 를 통한 것인지의 판별은 사용자의 손끝과 도전체 (203) 의 정전 용량의 크기를 정보 처리 수단 (301) 이 인식함으로써 가능하다. 판별 방법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5 에 상세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마다의 조합>
상기 설명한 각 실시예는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 (301) 가 RFID (202) 에 의해 매체 (201) 의 코드 정보를 인식하고, 도전체 (203) 에 의해 매체 (201) 의 위치와 방향을 인식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전체로 형성된 매체>
도 34 ∼ 35 는 도전성 재료, 즉 도전체로 매체를 형성하는 구성에 관해서 설명하는 도이다.
도 28 ∼ 33 에서는 매체 자체는 종이나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하고, 그 표면 또는 내부에 도전체를 매립함으로써 도전체를 가진 매체를 형성하고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체 자체로 매체를 형성한 것이다. 즉, 사용자의 손끝에 의해 터치되는 터치층과 도전체가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34 는, 일부를 도전체로 형성한 매체를 나타내는 도로, (a) 가 평면도, (b) 가 단면도이다. 동 도 (a) 에서는, 삼각형을 두개 겹친 형상의 내측이 도전체로 형성되어 있고, 외측은 종이나 수지 등의 통상적인 매체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터치 패널에 매체를 재치하면, 정보 처리 수단은, 도전체로부터의 미약전 류에 의해 도전체의 형상 및/또는 정전 용량의 크기를 인식한다. 이로써, 도전체의 형상과 정전 용량의 크기를 매체 정보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전체의 형상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전체의 형상을 미리 기억 수단에 기억시켜 놓으면, 인식한 도전체의 형상과, 기억 수단에 기억된 도전체 형상과의 차이에 의해 매체의 위치 및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캘리브레이션이 불필요해지므로, 사용자에게 있어서 보다 조작이 간단하고 편리성이 높은 정보 입력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5 는, 매체 전부를 도전체로 형성한 도로, (a) 가 평면도, (b) 가 단면도이다.
사용자가 터치 패널에 매체를 재치하면, 정보 처리 수단은, 도전체로부터의 미약 전류에 의해 도전체의 형상 및/또는 정전 용량의 크기를 인식한다. 이로써, 도전체의 형상과 정전 용량의 크기를 매체 정보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전체의 형상, 즉 매체의 형상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체의 형상을 미리 기억 수단에 기억시켜 놓으면, 미약 전류에 의해 인식한 매체의 형상과 기억 수단에 기억된 매체의 형상과의 차이에 의해 매체의 위치 및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캘리브레이션이 불필요해지므로, 사용자에게 있어서 보다 조작이 간단하고 편리성이 높은 정보 입력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매체 전부가 도전체이기 때문에, 매체의 일부를 도전체로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도전체의 형상의 인식이 용이해져서, 프로그램의 간략화, 조작 처리의 신속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재료로는, 카본이나 금속 (구리, 니켈, 주석, 알루미늄 등) 이 있다. 도전성 재료를 사용한 도전체로는, 알루미늄박, 그 밖의 금속박, 도전지, 도전사 등을 들 수 있다. 도전지란 도전성을 부여한 종이로, 클린지 안에 후술하는 도전사를 반죽해 넣은 도전성 클린 페이퍼, 크라프트지에 카본을 반죽해 넣은 도전성 크라프트지 등이 있다. 도전사 (도전성 섬유) 란, 전기가 흐르기 쉬운 금속이나 카본 등의 물질을 혼입시켜 만든, 금속과 같이 전기를 통과시키는 특수한 실이다. 구체적으로는, 도전성 카본, 또는 백색계 금속 산화물을 반죽해 넣어 만들어지는 쿠라카보 (등록상표) 등이 있다.
도 36 은, 일부 또는 전부가 도전체인 매체에 있어서, 도전체가 도전사인 구성에 관해서 설명하는 도이다. (a) 는 매체의 일부를 도전사로 구성한 경우, (b) 는 매체 전부를 도전사로 구성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 것이다.
이와 같이, 도전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전사를 세세하게 짜는 것에 의해 매체를 형성한다.
도 37 ∼ 39 는, 도전체를 사용한 매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7 은, 일부가 도전체인 매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로, (a) 가 평면도, (b) 가 단면도이다.
동 도의 매체에서는, 사용자가 터치하여 조작하는 터치면에는 일면 전체에 도전체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매체의 이면 (터치 패널 (101) 과 접하는 면) 은, 복수 (동 도에서는 3 개) 의 도전체가 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터치면의 도전체와 이면의 도전체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터치 패널에 매체를 재치하면, 정보 처리 수단은, 점 형상으로 3 개 배치된 도전체로부터의 미약 전류를 받아들인다. 그러면, 미약 전류를 받아들인 위치의, 터치 패널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의 값이 3 개 입력된다. 이 3 점을 연결하는 선, 즉 3 점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삼각형의 형상으로부터 매체의 방향이 결정된다. 또한, 3 점 중, 특정한 점을 매체의 위치로 한다. 그리고, 3 점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삼각형의 형상을 코드 정보로 함으로써, 코드 정보가 특정된다.
이 후, 사용자는 매체에 대하여 터치 조작을 실시하고, 정보 처리 수단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기초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들 처리에 대해서는 상기 서술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하지 않아도 매체의 위치, 매체의 방향, 코드 정보가 특정된다. 이로써, 사용자에 의한 캘리브레이션이 불필요해져, 사용자에게 있어서 보다 조작이 간단하고 편리성이 높은 정보 입력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8 은, 전부가 도전체인 매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로, (a) 가 평면도, (b) 가 단면도이다.
동 도의 매체는, 도전율이 낮은, 즉 정전 용량이 작은 제 1 도전체 (제 1 특성을 갖는 도전체) 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도전체의 일례로는, 상기 서술한 도전지를 들 수 있다. 매체의 이면 (터치 패널 (101) 과 접하는 면) 에는, 도전율이 높은, 즉 정전 용량이 큰 제 2 도전체 (제 2 특성을 갖는 도전체) 가 복수 개 (동 도에서는 3 개) 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터치 패널에 매체를 재치하면, 정보 처리 수단은 매체로부터의 미약 전류를 받아들인다. 미약 전류는, 제 1 도전체로부터의 미약 전류와 제 2 도전체로부터의 미약 전류의 2 종류가 흐르고 있고, 제 2 도전체로부터의 미약 전류쪽이 크다. 정보 처리 수단은 제 1 도전체와 제 2 도전체의 정전 용량의 크기를 감지하여, 제 2 도전체로부터의 미약 전류를 인식한다. 그러면, 미약 전류를 받아들인 위치의, 터치 패널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의 값이 3 개 입력된다. 이 3 점을 연결하는 선, 즉 3 점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삼각형의 형상으로부터 매체의 방향이 결정된다. 또한, 3 점 중, 특정한 점을 매체의 위치로 한다. 그리고, 3 점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삼각형의 형상을 코드 정보로 함으로써, 코드 정보가 특정된다.
이 후, 사용자는 매체에 대하여 터치 조작을 실시하고, 정보 처리 수단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기초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들 처리에 대해서는 상기 서술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하지 않아도 매체의 위치, 매체의 방향, 코드 정보가 특정된다. 이로써, 사용자에 의한 캘리브레이션이 불필요해져, 사용자에게 있어서 보다 조작이 간단하고 편리성이 높은 정보 입력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9 는, 도 37 의 도전체 및 도 38 의 제 2 도전체 (이하 「도전체·제 2 도전체」) 의 위치와 코드 정보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3 개의 도전체·제 2 도전체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삼각형의 형상에 의해 코드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동 도 (a) 는, 바닥변의 길이를 일정하게 하고, 정점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코드 정보를 변화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정점이 가장 상부에 있는 경우를 코드 1 로 하고, 그보다 소정 거리 수직 아래 방향으로 정점을 옮길 때 마다, 코드 2, 코드 3 … 코드 n 이 된다. 동 도 (b) 는, 바닥변의 길이를 (a) 보다 짧게 하고, 그 길이를 일정하게 하여, 정점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코드 정보를 변화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정점이 가장 상부에 있는 경우를 코드 1-1 로 하고, 그보다 소정 거리 수직 아래 방향으로 정점을 옮길 때마다, 코드 1-2, 코드 1-3 … 코드 1-n 이 된다. 요컨대, 정점의 위치가 같아도 바닥변의 길이가 다르면, 코드 정보가 다르다.
또한, 정점의 위치를 일정하게 하고, 바닥변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코드 정보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삼각형의 형상이 일정하더라도, 도전체·제 2 도전체의 형을 변화시킴으로써 코드 정보를 변화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도전체·제 2 도전체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코드 정보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전체·제 2 도전체의 형상을 사각형으로 하거나 원형으로 하거나 하여 변화시킴으로써 코드 정보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전체·제 2 도전체의 수는 3 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매체의 위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특정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의 개수여도 됨은 물론이다.
이상, 매체를 형성하는 재료, 도전체의 형상, 도전성의 세기, 도전체를 점 형상 배치하는 방법 등에 의해서 매체의 방향이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0 에서 9 까지의 숫자를 매체에 형성하고, 그 숫자를 사용자가 터치함으로써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37 ∼ 39 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10 등에서 설명한 사용자의 터치를 실시해도 된다. 이로써, 도전체·제 2 도전체의 위치에 추가하여, 사용자의 터치의 순서도 코드 정보로 할 수 있다. 요컨대, 도전체·제 2 도전체의 위치와 사용자의 터치 순서의 조합을 코드 정보로 함으로써, 보다 많은 코드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이로써, 다수의 컨텐츠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져, 유연성, 다양성이 풍부한 정보 입력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설명한 각 실시예는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PC 나 AV 기기, 휴대전화, 정보 단말, 게임기, 교육 기기, 쇼핑 단말, 광고 단말, 공작 기계, 인쇄 기계 등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나 씬 클라이언트 단말로서 여러 가지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101 … 터치 패널
102 … 표시 수단
103 … 카메라
103-A … 가시광 카메라
103-B … 불가시광 카메라
104 … 해석 수단
105 … RFID 리더
201 … 매체
202 … RFID
203 … 도전체
301 … 정보 처리 수단
401 … 캘리브레이션 마크
402 … 관통구멍
403 … 노치부

Claims (49)

  1.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을 입력 수단으로 하는 정보 처리 수단과,
    상기 터치 패널에 재치되는 박판상의 매체로 이루어지는 정보 입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손가락에 의한 상기 매체의 소정 위치에의 터치 위치로부터 형성된 터치 패턴 또는 상기 터치 위치 및 터치한 순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터치 패턴으로 정의되는 상기 매체의 재치 위치 및 재치 방향, 또는 상기 재치 위치, 재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에 의해, 상기 매체에 정의된 코드 정보, 상기 매체의 재치 위치 및 재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매체 정보를 인식하는 제 1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2.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을 입력 수단으로 하는 정보 처리 수단과,
    상기 터치 패널에 재치된 박판상의 매체로 이루어지는 정보 입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매체면에 손가락으로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를 묘화함으로써, 상기 텍스트 및/또는 상기 이미지로부터 정의되는 상기 매체의 재치 위치, 재치 방향 또는 재치 위치, 재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에 의해, 상기 매체에 정의된 코드 정보, 상기 매체의 재치 위치 및 재치 방향으로 이루어진 매체 정보를 인식하는 제 1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면을, 터치 및/또는 슬라이딩하는 터치 조작에 의해 터치한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상기 터치 패널의 좌표계에 있어서 좌표값을 인식하는 제 2 단계를 추가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의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값을, 상기 매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체면에서의 터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상기 매체의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값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제 2 단계 후에,
    상기 매체의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값에 대응되어 있는 조작 지시에 기초한 처리를, 당해 대응 관계를 기억한 기억 수단을 참조하여 실행하는 제 3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지시는, 손가락에 의해 상기 매체면을 슬라이딩한 문자나 도형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상기 매체면에의 상기 터치 조작을 유도하는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 또는 수기 입력 영역이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기억 수단을 참조함으로써, 상기 코드 정보와 연관지어져 있는 상기 매체의 형상 및 크기를 복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방법은, 상기 매체면의 적어도 2 개의 소정의 위치 또는 상기 매체면에 형성된 적어도 2 개의 마크를, 손가락에 의해 소정의 순서로 터치함으로써,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이, 상기 매체면의 소정의 위치 또는 마크에의 터치 위치 및 터치한 순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터치 패턴으로부터 정의되는 상기 매체의 재치 위치 및 재치 방향 또는, 상기 재치 위치, 재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방법은, 상기 매체면의 적어도 3 개의 소정의 위치 또는 상기 매체면에 형성된 적어도 3 개의 마크를 손가락에 의해 터치함으로써,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이, 상기 매체면의 소정의 위치 또는 마크에의 터치 위치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패턴으로부터 정의되는 상기 매체의 재치 위치, 재치 방향 또는, 상기 재치 위치, 재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매체면의 소정의 위치 또는 상기 마크가, 최초에 터치된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다음에 상기 매체면의 소정의 위치 또는 상기 소정의 마크가 터치되기까지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고, 상기 경과 시간, 또는 상기 경과 시간과 상기 매체면의 소정의 위치 또는 마크에의 터치 위치 및 터치된 순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터치 패턴과의 조합에 의해, 상기 매체의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방법은 상기 매체의 인증을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13.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매체면에 인쇄된 숫자, 문자, 기호, 아이콘 등의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14.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면의 소정의 위치는, 상기 매체의 모서리부 근방의 위치 또는 상기 매체의 외연부 근방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15.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면의 소정의 위치는, 매체면에 형성된 구멍부 및/또는 노치부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의 재치면에는, 미끄럼 방지 또는 점착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의 형상은 카드상 또는 코인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의 제 1 단계는,
    또한,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컨텐츠를 기동시켜, 상기 매체면을 터치 및/또는 슬라이딩하는 터치 조작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컨텐츠의 실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 시스템은,
    또한, 정보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컨텐츠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기동시켜, 상기 매체면을 터치 및/또는 슬라이딩하는 터치 조작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컨텐츠의 실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인식하는 방법을 대신하여,
    상기 매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코드 정보가 기록된 RFID 와, 상기 RFID 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내는 RFID 리더에 의해, 상기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 시스템은,
    터치 패널의 조작면의 화상을 촬상하는 광학 판독 수단과, 그 촬상 화상을 해석하는 해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인식하는 방법을 대신하여, 상기 터치 패널에 재치된 상기 매체의 윤곽에 의한 형상·크기·재치 위치의 인식, 및/또는 상기 매체면 상에 인쇄된 화상을 상기 해석 수단에 해석시킴으로써 상기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에는, 소정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코드 정보가 정의된, 소정의 파장광으로 읽어낼 수 있는 도트 패턴이 인쇄되어 있고,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광학 판독 수단에 상기 소정의 파장광만을 촬상시켜 상기 도트 패턴을 읽어내고,
    상기 해석 수단에 상기 도트 패턴을 해석시켜, 상기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상기 터치 패널에 대면하는 면 또는 매체 내부의 소정 위치에 도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도전체의 개수와 배치 위치, 또는 각 도전체의 정전 용량의 크기의 차이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매체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손끝 및 스타일러스 펜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터치되는 터치층과, 상기 터치층에 면접 (面接) 한 상기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전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는, 상기 터치 패널 표면 상 또는 상기 터치 패널 표면에 재치된 상기 매체면 상을 터치한 손끝 및 스타일러스 펜의 적어도 하나와 다른 정전 용량 특성을 갖고,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그것들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인식하는 방법을 대신하여,
    제 20 항에 기재된 상기 RFID 및 RFID 리더에 의해 상기 매체의 코드 정보를 인식하고,
    제 23 항에 기재된 상기 도전체의 배치 위치에 의해 상기 매체의 재치 위치 및 재치 방향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27. 터치 패널을 입력 수단으로서 구비하는 정보 처리 수단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격납한 전자장치로서,
    상기 터치 패널에는 박판상의 매체가 재치되는 것으로 하고,
    손가락에 의한 상기 매체의 소정의 위치에의 터치 위치로부터 형성되는 터치 패턴 또는 상기 터치 위치 및 터치한 순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터치 패턴으로 정의되는 상기 매체의 재치 위치 및 재치 방향, 또는, 상기 재치 위치, 재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에 의해, 상기 매체에 정의된 코드 정보, 상기 매체의 재치 위치 및 재치 방향으로 이루어진 매체 정보를 인식하는 제 1 단계를 정보 처리 수단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격납한 전자장치.
  28. 터치 패널을 입력 수단으로서 구비하는 정보 처리 수단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격납한 전자장치로서,
    상기 터치 패널에는 박판상의 매체가 재치되는 것으로 하고,
    상기 매체면에 손가락으로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를 묘화함으로써, 상기 텍스트 및/또는 상기 이미지로부터 정의되는 상기 매체의 재치 위치, 재치 방향 또는 상기 재치 위치, 재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에 의해, 상기 매체에 정의된 코드 정보, 상기 매체의 재치 위치 및 재치 방향으로 이루어진 매체 정보를 인식하는 제 1 단계를 정보 처리 수단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격납한 전자장치.
  29. 정보 처리 수단이 입력 수단으로서 구비되는, 터치 패널에 재치되는 매체로,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 손가락에 의한 상기 매체의 소정의 위치에의 터치 위치로부터 형성되는 터치 패턴 또는 상기 터치 위치 및 터치한 순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터치 패턴으로 정의되는 상기 매체의 재치 위치, 재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이 인식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행해야 하는 조작을 지시하는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가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30. 정보 처리 수단이 입력 수단으로서 구비되는, 터치 패널에 재치되는 매체로,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 손가락으로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를 묘화함으로써, 상기 텍스트 및/또는 상기 이미지로부터 정의되는 상기 매체의 재치 위치, 재치 방향 또는 상기 재치 위치, 재치 방향 및 코드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이 인식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행해야 하는 조작을 지시하는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가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31.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는, 도트상의 도전체와 상기 도트상의 도전체를 접속하는 선상의 도전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정보 입력 시스템.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알루미늄박 또는 도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카본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34.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도전사를 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35.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을 입력 수단으로 하는 정보 처리 수단과,
    상기 터치 패널에 재치되는 박판상의 매체로 이루어지는 정보 입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박판상의 매체는 일부가 도전체이고, 상기 도전체는, 매체 이면에 단차 없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박판상의 매체는, 손끝 및 스타일러스 펜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터치되는 터치층과, 상기 터치 패널에 면한 상기 도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터치 패널의 접면에 형성된 도전체의 형상, 배치 또는 정전 용량의 크기의 차이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매체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상기 손끝 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과 판별 가능한 정전용량을 가지고 있는, 정보 입력 시스템.
  37.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을 입력 수단으로 하는 정보 처리 수단과,
    상기 터치 패널에 재치되는 박판상의 매체로 이루어지는 정보 입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박판상의 매체는,
    상기 매체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 또는 내부에, 선상 또는 망상으로 형성된 도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패널과 접면되도록 형성된 도체부와, 상기 선상 또는 망상으로 형성된 도전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매체의, 상기 선상 또는 망상으로 형성된 도전체가 형성된 영역의 표면이 손끝 및 스타일러스 펜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터치되면, 상기 선상 또는 망상으로 형성된 도전체를 통해서, 상기 도체부를 감지하고,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감지된 도체부의 형상, 크기, 배치 또는 정전 용량의 크기의 차이로, 매체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38. 제 35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 시스템은,
    또한, 정보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매체 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컨텐츠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기동시켜, 상기 매체면을 터치 및/또는 슬라이딩하는 터치 조작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컨텐츠의 실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39.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의 터치층에는 도전체가 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스템.
  40. 정보 처리 수단이 입력 수단으로서 구비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재치되는 매체로,
    사용자의 손끝 및 스타일러스 펜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매체에 터치하여 조작을 지시하는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가 인쇄되어 있고,
    상기 매체는 일부가 도전체이고, 상기 도전체는, 매체 이면에 단차 없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매체는, 상기 사용자의 손끝 및 스타일러스 펜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터치되는 터치층과, 상기 터치 패널에 면접한 상기 도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도전체의 형상, 배치 또는 정전 용량의 크기의 차이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매체 정보 및,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상기 매체의 재치 위치, 재치 방향을 인식하고, 상기 매체 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컨텐츠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기동시켜, 상기 매체면을 터치 및/또는 슬라이딩하는 터치 조작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컨텐츠의 실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상기 손끝 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과 판별 가능한 정전 용량을 가지고 있는, 매체.
  42. 정보 처리 수단이 입력 수단으로서 구비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재치되는 매체로,
    손끝 및 스타일러스 펜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매체에 터치하여 조작을 지시하는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가 인쇄되어 있고,
    상기 매체는,
    상기 매체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 또는 내부에, 선상 또는 망상으로 형성된 도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패널과 접면되도록 형성된 도체부와, 상기 선상 또는 망상으로 형성된 도전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매체의 상기 선상 또는 망상으로 형성된 도전체가 형성된 영역의 표면이 손끝 및 스타일러스 펜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터치되면, 상기 선상 또는 망상으로 형성된 도전체를 통해서, 상기 도체부를 감지하고,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감지된 도체부의 형상, 크기, 배치 또는 정전 용량의 크기의 차이로, 매체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43.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는, 금속 또는 카본, 도전지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선상의 도전체 및/또는 상기 도체부를 형성하는 도전체 재료는, 금속 또는 카본, 도전지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45.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는, 도전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매체.
  46.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선상의 도전체는, 도전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매체.
  47. 제 40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의 재치면에는, 미끄럼 방지 또는 점착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48. 제 40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의 형상은 카드상 또는 코인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49.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의 터치층에는 도전체가 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KR1020137016148A 2010-11-22 2011-11-22 정보 입력 시스템, 프로그램, 매체 KR102168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60432 2010-11-22
JP2010260432 2010-11-22
PCT/JP2011/076965 WO2012070593A1 (ja) 2010-11-22 2011-11-22 情報入力システム、プログラム、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572A KR20140047572A (ko) 2014-04-22
KR102168560B1 true KR102168560B1 (ko) 2020-10-21

Family

ID=46145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148A KR102168560B1 (ko) 2010-11-22 2011-11-22 정보 입력 시스템, 프로그램,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38557B2 (ko)
EP (1) EP2645216B1 (ko)
JP (7) JP5408816B2 (ko)
KR (1) KR102168560B1 (ko)
CN (2) CN103270479B (ko)
WO (1) WO20120705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8557B2 (en) * 2010-11-22 2020-11-17 I.P. Solutions Ltd. Information input system, program, medium
JP5825036B2 (ja) * 2011-10-18 2015-12-02 凸版印刷株式会社 情報媒体及び情報媒体の読取方法
JP2015509225A (ja) * 2011-12-16 2015-03-26 ティ−タッチ・インターナショナル・ソシエテ・ア・レスポンサビリテ・リミテT−Touch International S.a.r.l. タッチセンサ式のデータキャリア及び方法
JP2014071746A (ja) * 2012-09-28 2014-04-21 Brother Ind Ltd 入力装置
KR101495591B1 (ko) 2013-10-08 2015-02-25 원투씨엠 주식회사 정전식 터치 인증 방법
GB2510600B (en) * 2013-02-08 2015-05-20 R & D Core Ltd Calibration of Contact Sensor
DE102013101881A1 (de) * 2013-02-26 2014-08-28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Mehrschichtkörp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Mehrschichtkörpers
US9192874B2 (en) * 2013-03-15 2015-11-24 Crayola, Llc Digital coloring tools kit with dynamic digital paint palette
US10475226B2 (en) 2013-03-15 2019-11-12 Crayola Llc Coloring kit for capturing and animating two-dimensional colored creation
US9946448B2 (en) 2013-03-15 2018-04-17 Crayola Llc Coloring kit for capturing and animating two-dimensional colored creation
JP5733845B2 (ja) * 2013-07-17 2015-06-10 信行 千葉 入力デバイスおよびプログラム
JP5968840B2 (ja) * 2013-07-31 2016-08-10 株式会社ベネッセコーポレーション 入力デバイスセット及び複合入力デバイスセット
KR20150024247A (ko) * 2013-08-26 2015-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에서 다수의 입력기구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및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KR20150049596A (ko) * 2013-10-30 2015-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입력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2874055B1 (en) * 2013-11-14 2018-02-21 Cartamundi Turnhout N.V.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digital copy of a physical image on a screen
JP5633858B1 (ja) * 2013-11-28 2014-12-03 秀邦 平井 識別装置
KR101876107B1 (ko) * 2013-12-30 2018-07-06 고코 컴퍼니 리미티드 컴퓨터 장치용 식별자 제공 장치
KR101564907B1 (ko) * 2014-01-09 2015-11-13 주식회사 투게더 터치 스크린용 식별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
US9292186B2 (en) * 2014-01-31 2016-03-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ote capture and recognition with manual assist
JP5958872B2 (ja) * 2014-06-13 2016-08-02 学校法人明治大学 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5713418B1 (ja) * 2014-06-16 2015-05-07 淳一 榎本 接触付与部分の配置をもって情報を伝達する情報伝達システム及び情報伝達方法
JP5756215B1 (ja) * 2014-09-16 2015-07-29 グリッドマー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9548865B2 (en) 2014-12-01 2017-0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oken authentication for touch sensitive display devices
JP2016110469A (ja) 2014-12-09 2016-06-20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協働動作をする情報処理装置、携帯式電子機器、および位置の特定方法
JP6528450B2 (ja) * 2015-02-23 2019-06-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手書き入力装置
JP5925347B1 (ja) * 2015-02-26 2016-05-25 株式会社Cygames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サーバ、端末、並びに媒体
US9529474B2 (en) * 2015-03-06 2016-12-27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nterface apparatus and system
JP6031689B1 (ja) * 2015-09-21 2016-11-24 株式会社I・Pソリューションズ 装置、及びカード型装置
CN105184200B (zh) * 2015-10-09 2018-06-26 马科峰 输入对象识别装置、方法及具有rfid标签的装置
CN105739871B (zh) * 2016-02-02 2019-03-01 广州视睿电子科技有限公司 触摸图形宽度的检测、触摸图形识别方法和系统
JPWO2017142093A1 (ja) * 2016-02-17 2019-03-22 株式会社I・Pソリューションズ 装置、及びカード型装置
WO2017142093A2 (ja) * 2016-02-17 2017-08-24 株式会社I・Pソリューションズ 装置、及びカード型装置
WO2017164262A1 (ja) * 2016-03-22 2017-09-28 株式会社I・Pソリューションズ 薄板状の装置
JP6112641B2 (ja) * 2016-06-24 2017-04-12 株式会社ベネッセコーポレーション 入力デバイスセット及び複合入力デバイスセット
JP6683952B2 (ja) * 2016-07-06 2020-04-22 株式会社セガゲームス 指示デバイス、及び製造方法
WO2018100602A1 (ja) * 2016-11-29 2018-06-07 セガサミークリエイション株式会社 遊技テーブル、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KR102057567B1 (ko) * 2016-12-26 2019-12-19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압력 감도 보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758828B1 (en) * 2017-03-17 2020-09-01 Hasbro, Inc. Music mash up collectable card game
KR102418345B1 (ko) 2017-03-20 2022-07-07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솔루션즈 박판상의 장치
CN110447004A (zh) 2017-03-28 2019-11-12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装置的控制方法
JP6373537B1 (ja) * 2017-09-04 2018-08-15 株式会社ワコム 空間位置指示システム
WO2019073545A1 (ja) * 2017-10-11 2019-04-18 三菱電機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
CN111164546B (zh) 2017-10-11 2023-09-26 三菱电机株式会社 操作输入装置
PL3530511T3 (pl) * 2018-02-27 2020-11-16 Joseph Vögele AG Sposób rekonfiguracji układu operacyjnego dla maszyny budowlanej
JP6945477B2 (ja) * 2018-03-02 2021-10-06 ヤフー株式会社 情報制御プログラム、情報制御方法および情報制御装置
JP6901420B2 (ja) * 2018-03-02 2021-07-14 ヤフー株式会社 情報制御プログラム、情報制御方法および情報制御装置
JP6473838B2 (ja) * 2018-03-19 2019-02-20 株式会社Gocco. 導電装置
CN108595046B (zh) * 2018-04-20 2021-02-09 北京硬壳科技有限公司 模型校准方法及装置
EP3557397A1 (de) * 2018-04-20 2019-10-23 Interactive Scape GmbH Steuer- und verarbeitungseinheit für einen berührungsempfindlichen bildschirm, system damit und verfahren zur verwendung
WO2020192563A1 (en) * 2019-03-26 2020-10-01 Cho Jacky Distinguishing and tracking multiple objects when placed on capacitive touchscreen
CN110765736B (zh) * 2019-09-25 2022-01-14 联想(北京)有限公司 数学表达式输入方法、装置及移动设备
US11900784B2 (en) 2020-05-26 2024-02-13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having capacitance-based force sensing
US11763177B2 (en) * 2020-05-26 2023-09-19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having capacitance-based force sensing for user interface input
CN112807672A (zh) * 2021-01-27 2021-05-18 上海众链科技有限公司 触摸设备的游戏轮盘加速控制方法及系统
EP4258090A1 (en) * 2022-04-08 2023-10-11 ameria AG Calibration method for an electronic display screen for touchless gesture contro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7911A (ja) * 2009-02-18 2010-09-02 Sega Corp ゲーム装置、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及びゲーム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64946D1 (en) 1979-09-11 1983-10-27 Commw Scient Ind Res Org A generator of high current pulses
JPS59174486A (ja) * 1983-03-14 1984-10-02 株式会社 サタケ シヤツタ閉鎖装置
KR900009111B1 (ko) * 1986-11-07 1990-12-22 야기 안테나 가부시기가이샤 필름형 안테나 장치
JPS649114A (en) 1988-02-20 1989-01-12 Seirei Ind Tape bundler
JPH03282921A (ja) * 1990-03-30 1991-12-13 Ricoh Co Ltd 入力装置
JPH0436822A (ja) 1990-05-31 1992-02-06 Pentel Kk 容量結合方式パターンコード読取装置
JPH07261922A (ja) * 1994-03-18 1995-10-1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タッチパッド、入力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5751276A (en) * 1996-05-23 1998-05-1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calibrating touch panel displays
JP3767649B2 (ja) * 1997-05-30 2006-04-19 株式会社ナムコ 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H1145318A (ja) 1997-07-28 1999-02-16 Nippon Steel Corp Icカードおよびループ状のコイルの形成方法
JPH11149454A (ja) * 1997-09-10 1999-06-02 Fujitsu Ltd 認証装置、ユーザ認証方法、ユーザ認証用カード及び記憶媒体
US7663607B2 (en) * 2004-05-06 2010-02-16 Apple Inc. Multipoint touchscreen
US8701857B2 (en) * 2000-02-11 2014-04-22 Cummins-Allison Corp.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urrency bills and tickets
JP4592872B2 (ja) 2000-05-12 2010-12-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非接触式データキャリア装置および補助アンテナ
JP2002164021A (ja) 2000-11-24 2002-06-07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2002239207A (ja) * 2001-02-20 2002-08-27 Omron Corp カードゲームシステム,カードゲーム装置,ゲーム用カード及びカードゲームのゲーム方法
US7475824B2 (en) 2003-03-17 2009-01-13 Kenji Yoshida Information input/output method using dot pattern
EP2213501A3 (en) * 2003-03-31 2012-05-09 Timothy R. Pryor Reconfigurable vehicle instrument panels
JP4723799B2 (ja) * 2003-07-08 2011-07-13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JP4667755B2 (ja) * 2004-03-02 2011-04-13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4043453B2 (ja) 2004-04-15 2008-02-06 株式会社タイトー 静電容量センサを用いたカード認識ゲームシステム
US20060256090A1 (en) * 2005-05-12 2006-11-16 Apple Computer, Inc. Mechanical overlay
JP4749069B2 (ja) * 2005-07-20 2011-08-17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ゲーム機
KR100966087B1 (ko) * 2005-08-03 2010-06-28 그리드 아이피 피티이 엘티디 정보 출력장치, 매체 및 정보 입출력 장치
JP4810573B2 (ja) 2005-08-11 2011-11-09 エヌ−トリグ リミテッド 対象物情報検出のための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JP2007144145A (ja) * 2005-10-28 2007-06-14 From Software:Kk テンプレートカードを用いた携帯型情報機器システム
JP2007128288A (ja) * 2005-11-04 2007-05-24 Fuji Xerox Co Ltd 情報表示システム
US7705733B2 (en) 2006-01-06 2010-04-27 Warsaw Orthopedic, Inc. Coiled RFID tag
EP2460568B1 (en) * 2006-02-09 2018-07-25 Disney Enterprises, Inc. Electronic game with overlay card
JP2007279356A (ja) 2006-04-06 2007-10-25 Fuji Xerox Co Ltd 画像表示媒体
JP4019114B1 (ja) 2006-09-04 2007-12-12 株式会社I・Pソリューションズ 情報出力装置
EP2071444A1 (en) * 2006-09-28 2009-06-17 Navitime Japan Co., Ltd. Window display system
JP2008110206A (ja) * 2006-10-05 2008-05-15 Kenji Yoshida 情報処理装置
WO2008050468A1 (fr) 2006-10-24 2008-05-02 Newcom, Inc. Outil opérationnel avec pièce conductrice
JP5219114B2 (ja) 2007-01-24 2013-06-26 株式会社タイトー カードの配置方向認識手段を備えたカードゲーム装置
JP5226961B2 (ja) * 2007-02-28 2013-07-03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ゲーム装置、キャラクタ及び仮想カメラ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154700B1 (ja) * 2007-06-21 2008-09-24 健治 吉田 カード面の読取・命令実行方法
JP2009267530A (ja) * 2008-04-22 2009-11-12 Pfu Ltd 画像読取装置
KR100968255B1 (ko) * 2008-07-01 2010-07-06 이병진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접촉카드 인식 시스템 및 인식 방법
JP4935781B2 (ja) 2008-09-03 2012-05-23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
JP2010068909A (ja) * 2008-09-17 2010-04-02 Namco Bandai Games Inc ゲーム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CN102187349B (zh) * 2008-10-15 2015-08-19 印刷技术有限公司 平面数据载体
EP2194489A1 (fr) * 2008-12-02 2010-06-09 EM Microelectronic-Marin SA Carte électronique ayant des moyens de commande
JP2010140322A (ja) 2008-12-12 2010-06-2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5400420B2 (ja) 2009-02-23 2014-01-29 三菱製紙株式会社 透明導電性材料
US8803814B2 (en) * 2009-03-13 2014-08-12 Adobe Systems Incorporated Surface scanning with a capacitive touch screen
JP5577202B2 (ja) * 2009-11-30 2014-08-20 高司 山本 情報処理装置用の駆動装置及びマルチタッチ機能を利用した情報処理システム
JP4925148B2 (ja) * 2010-05-17 2012-04-25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情報入出力システム
EP2580714B1 (de) 2010-06-11 2020-02-12 Touchcode Technologies, LLC System mit kapazitivem informationsträger zur erfassung von informationen
AU2011306937B2 (en) 2010-09-20 2016-03-03 Touchcode Technologies, LLC Information carrier and system for acquiring information
US10838557B2 (en) * 2010-11-22 2020-11-17 I.P. Solutions Ltd. Information input system, program, medium
JP6430980B2 (ja) * 2016-03-09 2018-11-28 フォンダッツィオーネ・テレソン ムコ多糖症におけるcns病変を処置するための治療戦略
JP6772010B2 (ja) * 2016-09-23 2020-10-21 ミヨシ油脂株式会社 輪転機用洗浄剤
AU2021305336A1 (en) * 2020-07-10 2023-03-02 C° Change Surgical Llc Injectable slush feed supp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7911A (ja) * 2009-02-18 2010-09-02 Sega Corp ゲーム装置、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及びゲーム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68187A (ja) 2013-08-29
JP7244725B2 (ja) 2023-03-23
WO2012070593A1 (ja) 2012-05-31
CN103270479A (zh) 2013-08-28
JP6635447B2 (ja) 2020-01-22
JP6467611B2 (ja) 2019-02-13
JP2016194936A (ja) 2016-11-17
JP5953265B2 (ja) 2016-07-20
EP2645216A4 (en) 2017-05-17
JP6485763B2 (ja) 2019-03-20
US10838557B2 (en) 2020-11-17
JP2022067111A (ja) 2022-05-02
JP2020053085A (ja) 2020-04-02
CN103270479B (zh) 2017-05-24
JP2018106752A (ja) 2018-07-05
JP5408816B2 (ja) 2014-02-05
US20140002417A1 (en) 2014-01-02
EP2645216B1 (en) 2019-10-02
EP2645216A1 (en) 2013-10-02
JP2019040616A (ja) 2019-03-14
KR20140047572A (ko) 2014-04-22
JPWO2012070593A1 (ja) 2014-05-19
CN107273021A (zh) 2017-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8560B1 (ko) 정보 입력 시스템, 프로그램, 매체
JP2020053085A5 (ko)
US9033224B2 (en) Combine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and touch input for a touch screen
US7206737B2 (en) Pen tip language and language palette
CN103294257B (zh) 对于手写识别用于引导手写输入的装置和方法
JP2016157262A (ja) 情報媒体
JP6171676B2 (ja) 入力装置
JP6048165B2 (ja) コンピュータ装置、電子ペ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524302B2 (ja) 入力表示装置及び入力表示方法
WO2005122062A1 (en) Capturing data and establishing data capture areas
JP4990704B2 (ja) 文書位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文書位置情報処理方法
JP6183111B2 (ja) 並べ替え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324793B2 (ja) 入力表示装置
KR101395105B1 (ko) 식별코드 인식 기능을 구비한 뷰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