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838B1 - 모발화장료 조성물 및 그 산화물 함유 조성물, 모발화장료 및 모발화장용품 - Google Patents

모발화장료 조성물 및 그 산화물 함유 조성물, 모발화장료 및 모발화장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838B1
KR102148838B1 KR1020197026147A KR20197026147A KR102148838B1 KR 102148838 B1 KR102148838 B1 KR 102148838B1 KR 1020197026147 A KR1020197026147 A KR 1020197026147A KR 20197026147 A KR20197026147 A KR 20197026147A KR 102148838 B1 KR102148838 B1 KR 102148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container
hair cosmetic
filling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5674A (ko
Inventor
요시히로 콘노
신야 카나야마
타케시 코모다
Original Assignee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36476A external-priority patent/JP62927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36475A external-priority patent/JP65020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39321A external-priority patent/JP63383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42176A external-priority patent/JP6391919B2/ja
Application filed by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5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 A45D19/02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for applying simultaneously two or more substances, e.g. colouring agents, to the hair without prior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8Preparations for bleach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0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 B65D83/62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by membrane, ba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8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75Aerosol contain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D83/16 - B65D83/74
    • B65D83/752Aerosol contain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D83/16 - B65D83/74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products or propellants
    • A45D2019/025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2Direct dyes
    • A61K2800/4324Direct dyes in 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2Mixing prior to appl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4Sequential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8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 B65D83/682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the products being first separated, but finally mixed, e.g. in a dispensing head

Abstract

모발용 화장료는,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제1 제 및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2 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제 및 제2 제는, 그 제1 제 및 제2 제를 분사제에 의하여 서로 분리하여 동시에 토출하는 기구를 구비한 이중구조용기에 있어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중구조용기에는, 가압용 분사제를 충전한 압축가스 충전공간의 내부에 제1 제 충전용 공간과 제2 제 충전용 공간이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1 제 및 제2 제는 모두 액상으로 토출되는 것으로서, 제1 제 및 제2 제의 점도가 모두 25℃에 있어서 7000~30000mPa·s의 범위 내이다.

Description

모발화장료 조성물 및 그 산화물 함유 조성물, 모발화장료 및 모발화장용품{HAIR COSMETIC MATERIAL COMPOSITION AND OXIDE-CONTAINING COMPOSITION THEREOF, HAIR COSMETIC MATERIAL, AND HAIR COSMETIC PRODUCT}
본 출원은 2013년 6월 28일에 일본특허청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3-136475호, 2013년 6월 28일에 일본특허청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3-136476호, 2013년 7월 2일에 일본특허청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3-139321호 및 2013년 7월 5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3-142176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일본특허출원 제2013-136475호, 일본특허출원 제2013-136476호, 일본특허출원 제2013-139321호 및 일본특허출원 제2013-142176호의 전체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본 출원이 개시하는 발명은,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이중구조용기인 에어로졸 용기에 충전되어 사용되는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이 개시하는 발명은,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산화물 함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알칼리 함유 조성물인 제1 제가 충전되는 제1 내용기와, 산화물 함유 조성물인 제2 제가 충전되는 제2 내용기가 동일한 외용기에 수용된 이중구조용기에 사용되는 제2 제인 산화물 함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출원이 개시하는 발명은, 모발화장료 및 모발화장료 용품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충전된 제1 제와 제2 제를 토출하기 위한 특정 기구를 구비한 이중구조용기에 특히 적합한 제1 제 및 제2 제를 포함하는 모발화장료와, 이 모발화장료 및 이중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모발화장료의 제1 제와 제2 제가 이중용기에 충전되어 있는 모발화장 용품에 관한 것이다.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제1 제와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2 제는 사용시에 혼합된다. 분사제를 이용하는, 이른바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용품에서는,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제1 제와 제2 제는 에어로졸 용기 내에 있어서 각각 충전되어, 사용시에 에어로졸 용기로부터 토출된다.
제1 제나 제2 제와 분사제를 각각의 공간에 충전하는 에어로졸 용기는 이중구조용기이다. 그 이중구조용기에서는, 분사제는 제1 내용기에 충전된 제1 제나 제2 내용기에 충전된 제2 제를 토출하는 압력을 제공하고, 압력에 의하여 내용기가 탄성 변형되어, 크림 형상 상태로 충전물의 토출이 가능해진다. 분사제로서, 압축가스 및 액화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은, 이른바 '이련캔'타입의 에어로졸 용기를 개시한다(특허문헌 1을 참조). 그 에어로졸 용기의 일 구체예는, 제1 용기 및 제2 용기에 각각 압축가스인 분사제와 제1 제 또는 제2 제가 충전되고, 제1 제나 제2 제를 크림 형상 상태로 토출 가능하다. 그 에어로졸 용기의 구조로부터 명확하듯이, 제1 용기와 제2 용기에서 분사제량/용기 내의 압력에 차이가 있어도 된다. 각 용기에서 분사제량/용기 내의 압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제1 제와 제2 제가 다른 점도/점성을 가지는 경우나, 제2 제의 산화제(특히 과산화수소)로부터 발생하는 산소에도 대처하기 쉽다.
하기 특허문헌 2는,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에어로졸 용기를 개시한다. 하기 특허문헌 2는, 제1 내용기와 제2 내용기가 같은 외용기 내에 있는 이중구조용기를 개시한다.
하기 특허문헌 3은, 제1 원액을 충전하는 제1 내용기와 제2 원액을 충전하는 제2 내용기가 같은 외용기에 수용된 이중구조의 에어로졸 용기를 개시한다.
하기 특허문헌 4는 제1 제와의 혼합성에 뛰어나며, 모발로의 적용시에 끈적하게 들러붙지 않고, 신전성(伸展性)에 뛰어나 모발에 대한 친화력이 좋으며, 탈색력에 뛰어나고, 또한 조제시에 유화상태가 균일하며 적당한 점도라고 여겨지는 제2 제를 개시한다.
모발화장료의 제1 제와 제2 제를 분리하여 충전하는 동시에, 동일한 가압 토출계에 의하여 동시에 토출하는 기구를 구비한 이중구조용기(이하, '분리충전·동일 가압토출형의 이중구조용기'라고 함)가 제안되어 있다. 분리충전·동일 가압토출형의 이중구조용기로서, 예를 들어 다음의 기구를 들 수 있다.
즉, 가압용의 압축가스나 액화가스인 분사제를 충전한 바깥쪽 용기(분사제 충전공간)의 개구부는, 토출로와 이것을 개폐하는 밸브를 구비한 뚜껑체에 의하여 기밀하게 폐쇄되어 있다. 또한, 바깥쪽 용기의 내부에는 모발화장료의 제1 제와 제2 제를 각각 충전한 2개의 내측용기인 봉투형상체(제1 제 충전용 공간과 제2 제 충전용 공간)가 설치되고, 이들 봉투형상체의 개구부는 상기 뚜껑체의 토출로에 액밀하게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봉투형상체에 충전한 제1 제와 제2 제는 같은 분사제에 의하여 항상 토출압을 받고 있고, 토출로 밸브의 간단한 개폐 조작에 의하여 제1 제와 제2 제의 동시 토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3, 특허문헌 5는 기본적으로 이러한 기구를 구비한 이중구조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240873호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2001-122364호
특허문헌 3: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229318호
특허문헌 4: 일본공개특허공보 2007-217293호
특허문헌 5: 일본공개특허공보 2013-043659호
특허문헌 6: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235578호
특허문헌 7: 일본공개특허공보 2007-314442호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되는 이중구조용기는, 제1 내용기와 제2 내용기가 같은 외용기 내에 있으므로, 제1 제와 제2 제는 같은 압력 하에 놓인다. 따라서, 이련캔 타입의 에어로졸 용기와 같이, 제1 제와 제2 제를 다른 압력 하에 놓을 수 없다. 게다가, 에어로졸식의 모발화장료 용품을 일정기간 보존한 후에도, 원하는 비율로 제1 제와 제2 제를 토출하고자 한다는 과제가 있다.
하지만, 이중구조용기는 구성부품수가 적어 저비용으로 생산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용기의 형상에 대하여 설계의 자유도가 높다는 이점도 있다.
이련캔 타입의 에어로졸 용기는, 2개의 이중구조용기가 나란히 폭넓은 형상으로 되어버려, 에어로졸 용기의 용이한 잡기 관점에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이중구조용기는 외용기의 형상을 대략 원주형상으로 하여 잡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상을 고려하여, 본원의 발명자는 이중구조용기를 채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시판되고 있는 이련캔 타입의 내용기는 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충전물의 토출을 계속하면 내용기의 좌우가 당겨져, 확 찌그러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내용기 내에서 충전물의 유로는 확보되는데, 토출할 수 없는 충전물의 잔량이 많아져 버린다.
본원의 발명자는, 이중구조용기에 있어서, 탄성변형 가능한 시트재를 접합하여 형성한 파우치 용기를 내용기로서 사용하면, 토출을 계속하면 시트재끼리 결합하여 확 찌그러져, 충전물의 잔량을 적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충전물이 많이 남은 단계에서 충전물의 유로가 막혀 버려서, 충전된 제제의 움직임이 나빠져 버려, 결과적으로 파우치 용기 내의 잔량을 적게 할 수 없었다.
본원의 발명자는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파우치 용기의 최내층을 폴리올레핀 수지층으로 하고, 그 파우치 용기에 충전되는 제제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고급알코올의 함유량비를 일정한 범위 내로 함으로써, 충전물의 잔량을 적게 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파우치 용기 내의 잔량을 적게 할 수 있는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일측면이다.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제1 제는, 제2 제에 비하여 다량의 유성성분과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내용기 내의 잔량은 제2 제에 비하여 제1 제 쪽이 많은 경향에 있다. 본원이 개시하는 발명은, 제1 제의 잔량을 적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용하다.
시판되고 있는 에어로졸식의 모발화장료 용품은, 외용기가 알루미늄 등 광불투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 잔량을 시인할 수 없으므로, 잔량에 대하여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없었다. 처리조작 도중에 모발화장료 조성물이 부족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동일 제품을 수중에 구비하여 대응하는 사람도 있었다.
그래서, 에어로졸 용기에 있어서의 외용기의 전부 또는 일부를 광투과성으로 하면, 제1 제나 제2 제가 충전된 내용기의 형상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그 내용기 자체가 광투과성인 경우에는, 충전물의 잔량을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용기의 외용기 및 내용기에 있어서 광투과성 재료를 사용하면, 종래부터 시판되고 있던 에어로졸식의 모발화장료 용품에 있어서의 잔량을 시인할 수 없었다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하지만, 산화제인 과산화수소는, 모발에 있어서의 멜라닌의 탈색력에 뛰어난 반면, 보존안정성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특히, 일광 조사에 있어서는 과산화수소는 불안정해져 버린다.
과산화수소가 분해되면 산화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발생된 산소가 분사제 충전공간으로 이동해 버리는 문제도 있다. 또한, 과산화수소의 분해에 의하여 발생한 산소가 제2 내용기 내에 체류하면, 제2 제를 이중구조용기로부터 토출할 때, 제2 제와 동시에 산소가 대기압 하에 방출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특허문헌 4는 제2 제 조제시에 있어서의 유화의 균일성 및 점도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4에서는, 일광 조사 하에서 제2 제를 보존하는 것은 전혀 검토되고 있지 않다.
제1 내용기와 제2 내용기가 같은 외용기 내에 있는 이중구조용기에 있어서, 외용기 및 제2 내용기가 광투과성 재료를 구성에 포함하여 제2 내용기 내의 제2 제의 잔량을 시인 가능하게 하면, 제2 제가 일광 조사 하에 놓이는 경우가 상정되어, 과산화수소의 안정성 향상이 중요하게 된다.
에어로졸 용기를 이용하는 모발화장료 용품은, 복수회로 나누어 사용 가능하다는 것이 이점 중 하나이다. 모발화장료 용품은 미개봉 상태에서는 상자포장(빛이 차단된 상태)되어 보관·유통되는 경우가 많은데, 일단 개봉되면 에어로졸 용기가 일광에 노출된 상태로 보관되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본원의 발명자는 일광 조사 하에서의 제2 제에 있어서의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행하였다. 그 결과, 제2 제를 유화물로 하고, 그 평균입자직경을 일정 이상으로 함으로써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제1 제를 충전하는 제1 내용기와 제2 제를 충전하는 제2 내용기가 동일한 외용기에 수용된 이중구조용기에 충전되고, 토출하여 사용되는 유화물인 제2 제로서,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에 뛰어난 제2 제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이다. 또한, 그 제2 제를 구성에 포함하는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 및 에어로졸식의 모발화장료 용품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이다.
그런데, 상기 분리충전·동일 가압토출형의 이중구조용기의 기구 상, 분사제를 봉입한 바깥쪽 용기는 견고하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있어서 봉투형상체에 충전한 제1 제와 제2 제의 감소 상태를 외부에서 투시할 수 있다면 편리하기 때문에, 바깥쪽 용기는, 예를 들어 경질이고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다. 한편, 제1 제, 제2 제를 충전하는 봉투형상체에는 가압용의 분사제의 압력에 의하여 내용물이 확실히 토출되도록, 비교적 유연하고 가압에 의하여 쉽게 변형되는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바깥쪽 용기와 봉투형상체에서는 내충격 강도가 다른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이중구조용기를 사용 중에 손에서 떨어뜨려 단단한 바닥면에 충돌시킨 경우 등과 같이, 이중구조용기가 큰 충격을 받았을 때에는, 제1 제, 제2 제를 충전한 봉투형상체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한 봉투형상체의 개구부와 뚜껑체의 토출로와의 접속부분의 액밀성(밀봉)이 약해져, 봉투형상체에 충전한 제1 제, 제2 제가 누출될 가능성이 있다.
산화염모제나 모발탈색제와 같은 모발화장료에서는, 제1 제에 알칼리제를, 제2 제에 산화제를 배합하고, 모발로 적용시에는 양자의 균일한 혼합에 의하여 염모효과나 모발탈색효과를 높이고 있다. 그리고, 제1 제와 제2 제의 혼합시에는, 산소가스(O2) 또는 탄산가스나 암모니아가스 등의 반응가스가 발생한다. 상기한 봉투형상체의 파손에 의하여 제1 제와 제2 제가 누출된 경우에도, 양자가 접촉하여 어느 정도 혼합도 일으킨다. 따라서, 모발로 적용시에 인위적으로 균일하게 혼합시키는 경우에 비교하면 소량이지만, 바깥쪽 용기의 내부에서 반응가스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이중구조용기의 봉투형상체로부터 바깥쪽 용기의 내부에 제1 제와 제2 제가 누출된다는 특수한 조건 하에 있어서, 제1 제와 제2 제가 접촉하여도 산소가스 등의 반응가스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이다.
본원의 발명자는,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다음 3가지 지식을 얻기에 이르렀다.
1) 제1 제와 제2 제의 '혼합'에 의한 반응가스의 발생에 관하여는, 거시적인 의미에서의 양자의 혼합과, 양자의 접촉경계면에 있어서의 상호의 침윤 또는 확산이라는 미시적인 의미에서의 혼합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본원의 명세서에 있어서, 제1 제와 제2 제의 '혼합'이라고 할 때에는,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 거시적인 의미에서의 혼합과, 미시적인 의미에서의 혼합의 양쪽의 의미를 말한다.
2) 상기 혼합의 제어에 있어서, 제1 제와 제2 제의 점도를 일정 범위 내로 조정하는 것, 또한 그 때문에 양자에 있어서의 계면활성제, 유성성분 또는 고급알코올의 함유량을 제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3) '소용량의 바깥쪽 용기의 가스내압의 상승방지'라는 특수한 조건 하의 과제해결에는 이상의 수단이 유효한데, 그 혼합성 억제효과는 모발로 적용시의 제1 제와 제2 제의 인위적인 균일 혼합에는 그다지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의 것이다.
그런데, 상기 분리충전·동일 가압토출형의 이중구조용기는, 통상적으로 봉투형상체에 충전한 제1 제와 제2 제를 동일한 양만큼 동시 토출하는 설계이고, 이것에 충전하는 제1 제와 제2 제도 질량비 1:1로 등량(等量)토출하고나서 혼합하여, 모발에 적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분리충전·동일 가압토출형의 이중구조용기는 같은 분사제의 토출압에 의하여 제1 제와 제2 제를 동시에 토출하는 기구이므로, 특히 모발화장료의 제1 제와 제2 제가 비교적 높은 점도의 크림 형상 제제인 경우에는, 제1 제와 제2 제 각각의 리올로지 특성(가압시의 유동에 의한 토출성)이 적정하게 조정되어 있지 않으면, 실제로는 제1 제와 제2 제의 등량토출을 실현할 수 없다. 등량토출성이 어느 정도 이상 손상된 경우, 제1 제와 제2 제가 이중구조용기에 충전되어 이루어지는 모발화장료 용품의 상품가격 자체에 영향을 준다.
더욱이, 모발화장료가, 예를 들어 2제식의 산화염모제나 모발탈색제 등의 염모제인 경우, 제1 제에는 적어도 알칼리제(더욱이는 산화염료)가 배합되고, 제2 제에는 산화제가 배합된다. 이와 같은 조성 상의 제약에 있어서, 등량토출을 위하여 어떠한 카테고리의 리올로지 특성에 착안하여, 그 리올로지 특성을 제1 제와 제2 제의 어떠한 조성 설계에 의하여 실현하면 좋을지를 확인하는 것은 쉽지 않다.
상기의 특허문헌 6, 7은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리올로지 특성의 실현을 발명의 과제로 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6은 에어로졸 포머 용기로부터 거품 형상으로 토출하는 이제식 염모제에 대하여, 모발로 적용 후의 침투성이나 모발로부터의 흘러내림 방지 등의 관점에서 토출·혼합 후의 거품의 동적 점탄성을 조정하는 것을 개시한다. 또한, 특허문헌 7은 피부화장료의 도포시의 피부로의 퍼짐 등을 검토과제로 하고, 수중유형 유화화장료에 있어서의 평균 유화입자 직경을 조정함으로써 그 화장료에 일정한 리올로지 특성을 구비하게 하는 것을 개시한다. 따라서, 특허문헌 6, 7에서는, 리올로지 특성의 카테고리의 점에서도, 그를 위한 제1 제와 제2 제의 조성 설계의 점에서도, 상기한 등량토출을 실현하는 이상 전혀 참고가 되지 않는다.
분리충전·동일 가압토출형의 이중구조용기에 의한 제1 제와 제2 제의 등량토출이 가능하고, 경시적으로도 등량토출성을 유지할 수 있는 리올로지 특성을 구비한 모발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이다.
본원발명의 일 국면은, 이중용기에 충전하여 사용되는 산화염모제 또는 모발탈색제인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이다.
이러한 이중용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된 제1 내용기와 제2 내용기와, 상기 제1 내용기와 상기 제2 내용기를 수용하는 외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용기는,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제1 제가 충전되는 것이고, 상기 제2 내용기는,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2 제가 충전되는 것이다.
상기 외용기와 상기 제1 내용기 및 상기 제2 내용기 사이의 공간이 분사제를 충전하는 분사제 충전공간이다.
상기 제1 내용기 및 상기 제2 내용기의 적어도 한쪽이, 수지층을 포함하는 단층 또는 다층 구조의 시트재를 접합하여 형성한 파우치 용기이고, 그 파우치 용기의 최내층은 폴리올레핀 수지층이다.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그 파우치 용기에 충전되는 제제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고급알코올을 함유하고, 질량기준의 함유량비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고급알코올=0.07~1.8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조성물이다.
본원이 개시하는 상기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파우치 용기 내의 잔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다른 국면은, 상기한 일 국면에 기재된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과,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한 상기 제1 제를 충전하는 제1 내용기와 상기 제2 제를 충전하는 제2 내용기가 동일한 외용기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외용기와 상기 각 내용기 사이의 공간이 분사제를 충전하는 분사제 충전공간이 되며, 상기 제1 제 및 상기 제2 제를 동시에 토출하는 기구를 구비하는 이중용기를 구성에 포함하는 에어로졸식의 모발화장료 용품이다.
상기 제1 내용기 및 상기 제2 내용기의 적어도 한쪽이, 수지층을 포함하는 단층 또는 다층구조의 시트재를 접합하여 형성한 파우치 용기이고, 그 파우치 용기의 최내층은 폴리올레핀 수지층이다.
본원이 개시하는 상기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파우치 용기 내의 잔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다른 국면은,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제1 제와 과산화수소를 함유하는 유화물인 제2 제를 구성에 포함하는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인 제2 제이다.
상기 제2 제는, 다음과 같은 이중용기에 충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중용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한 상기 제1 제를 충전하는 제1 내용기와 상기 제2 제를 충전하는 제2 내용기가 동일한 외용기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외용기와 상기 각 내용기 사이의 공간이 분사제를 충전하기 위한 분사제 충전공간이다. 상기 이중용기는 상기 제1 제 및 상기 제2 제를 동시에 토출하는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외용기 및 상기 제2 내용기가 광투과성 재료를 구성에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외용기의 바깥쪽으로부터 상기 제2 내용기의 안쪽을 시인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는, 1㎛ 이상의 평균 유화입자 직경을 가진다.
상기 제2 제는, 탄소수 12~22의 고급알코올을 1질량% 이상 함유하여도 좋다.
더욱이, 알칼리제를 포함하는 제1 제와 상기 제2 제를 구성에 포함하는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여도 좋다.
또한, 이와 같은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과, 이중구조용기를 구성에 포함하는 에어로졸식의 모발화장료 용품을 제공하여도 좋다. 이러한 이중용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한 상기 제1 제를 충전하는 제1 내용기와 상기 제2 제를 충전하는 제2 내용기가 동일한 외용기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외용기와 상기 각 내용기 사이의 공간이 분사제를 충전하기 위한 분사제 충전공간이며, 상기 제1 제 및 상기 제2 제를 동시에 토출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외용기 및 상기 제2 내용기가 광투과성 재료를 구성에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외용기의 바깥쪽으로부터 상기 제2 내용기의 안쪽을 시인할 수 있다.
본원이 개시하는 제2 제는, 일광 조사 하에서도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에 뛰어나다.
따라서, 그 제2 제는, 그 잔량을 시인 가능한 이중구조용기에 충전하여 사용하는 데에 적합하다. 또한, 그 제2 제를 구성에 포함하는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 및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용품을 얻을 수 있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국면은,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제1 제 및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2 제를 포함하는 모발화장료이다. 이러한 제1 제 및 제2 제는, 그 제1 제 및 제2 제를 상기 분사제에 의하여 서로 분리하여 동시에 토출하는 기구를 구비한 이중구조용기에 있어서 사용된다. 이러한 이중용기에는, 가압용 분사제를 충전한 분사제 충전공간의 내부에 제1 제 충전용 공간과 제2 제 충전용 공간이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제 및 상기 제2 제는, 이들 각 제의 충전용 공간에 각각 충전된다.
상기 제1 제 및 제2 제는 모두 액상으로 토출되는 것으로서, 제1 제는 알칼리제를 함유하고, 상기 제2 제는 산화제를 함유하며, 제1 제 및 제2 제의 점도가 모두 25℃에서 7000~30000mPa·s의 범위 내이다.
이와 같은 모발화장료는 제1 제와 제2 제를 포함하고, 그 제1 제는 알칼리제를 함유하며, 제2 제는 산화제를 함유한다. 그리고, 제1 제 및 제2 제는, 이중구조용기의 분사제 충전공간(바깥쪽 용기의 내부공간)에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한 제1 제 충전용 공간과 제2 제 충전용 공간(예를 들어, 2개의 봉투형상체)에 각각 충전되어 있다. 따라서, 혹시 이중구조용기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면, 제1 제 충전용 공간과 제2 제 충전용 공간으로부터 각각 분사제 충전공간에 누출된 제1 제와 제2 제의 접촉에 의하여, 산소가스 등의 반응가스의 발생이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 있다.
하지만 그때, 제1 제와 제2 제의 점도가 모두 25℃에 있어서 7000mPa·s 이상이도록 설계되어 있으면, 분사제 충전공간의 가스 내압을 과도하게 상승시키는 반응가스의 발생이 유효하게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는, 제1 제와 제2 제가 7000mPa·s 이상의 점도이면, 제1 제와 제2 제의 혼합이 억제되고, 분사제 충전공간의 가스 내압을 과도하게 상승시킬 정도의 반응가스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더욱이, 이러한 경우, 제1 제와 제2 제의 혼합의 억제효과는, 모발로 적용시에 있어서의 제1 제와 제2 제의 인위적인 균일 혼합에는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것이다.
이상의 효과를 확보한다는 점에서는, 25℃에 있어서의 제1 제와 제2 제의 점도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하지만, 제1 제와 제2 제의 이중구조용기로부터의 원활한 토출이나, 토출 후의 모발로의 적용 전의 인위적 혼합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관점으로부터 제1 제와 제2 제의 점도의 상한값을 30000mPa·s로 한다.
이러한 모발화장료에 있어서, 제1 제 및 제2 제가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각 제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모두 10질량% 이하여도 좋다.
제1 제와 제2 제가 누출되었을 때의 양자의 혼합의 용이성을 지배하는 요인으로는, 점도 이외에, 양자의 표면장력을 들 수 있다. 표면장력이 낮으면, 제1 제와 제2 제가 혼합되기 쉽다. 모발화장료의 제1 제 및 제2 제에 있어서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모두 10질량% 이하이다. 따라서, 양자의 표면장력의 저하가 억제되며, 따라서 분사제 충전공간에 누출된 제1 제와 제2 제가 상호 혼합되기 어려우므로, 산소가스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러한 효과는, 모발로 적용시에 있어서의 제1 제와 제2 제의 인위적인 균일 혼합에는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효과를 확보하는 점에서는, 제1 제와 제2 제에 있어서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하지만, 유화안정성이라고 하는 관점에서는, 양자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예를 들어 1.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모발화장료에 있어서, 상기 제1 제 및 상기 제2 제가 1종 이상의 유성성분을 함유하고, 상기 제1 제와 상기 제2 제의 합계량에 대한 상기 제1 제 및 상기 제2 제 중의 유성성분의 합계함유량이 10질량% 이하여도 좋다.
유성성분에 의하여 조성물의 표면장력이 저하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모발화장료의 제1 제 및 제2 제에 함유되는 유성성분의 합계함유량이 제1 제와 제2 제의 합계량에 대하여 10질량% 이하이다. 이 때문에, 양자의 표면장력의 저하가 억제되고, 따라서 분사제 충전공간에 누출된 제1 제와 제2 제가 상호 혼합되기 어려우므로, 산소가스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러한 효과는, 모발로 적용시에 있어서의 제1 제와 제2 제의 인위적인 균일 혼합에는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더욱이, 이와 같은 모발화장료에 있어서, 상기 제1 제 및 상기 제2 제가 1종 이상의 고급알코올을 함유하고, 각 제에 함유되는 고급알코올에 대한 하기 고급알코올 지수의 합계값이 모두 140 이하여도 좋다.
여기에서, 고급알코올 지수란, 고급알코올의 탄소수(a)와 그 고급알코올의 제1 제 또는 제2 제 중에서의 질량% 단위의 함유량값(b)의 적산값(a×b)이다. 이 고급알코올이란, 탄소수가 12 이상이고 22 이하인 1가 알코올로서 직쇄형상 또는 분기쇄형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것이다.
고급알코올은, 통상적으로 유성성분의 1종이라고도 생각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고급알코올과 유성성분을 구별한다. 고급알코올의 함유량은 조성물의 표면장력에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은 그 고급알코올의 탄소수(분자량)에 따라서도 다르다. 그래서, 본원의 발명자는, 산소가스의 발생의 억제(제1 제 및 제2 제에 있어서의 표면장력의 저하의 억제)에 대한 고급알코올의 영향을 평가하는 지표로서, 제4 발명에서 규정하는 '고급알코올 지수'라는 컨셉을 생각하였다.
모발화장료의 제1 제 및 제2 제에 함유되는 고급알코올에 대한 고급알코올 지수의 합계값이 모두 140 이하이다. 이 때문에, 제1 제 및 제2 제의 표면장력의 저하가 억제되고, 따라서 분사제 충전공간에 누출된 제1 제와 제2 제가 상호 혼합되기 어렵기 때문에, 산소가스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러한 효과는, 모발로 적용시에 있어서의 제1 제와 제2 제의 인위적인 균일 혼합에는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모발화장료와, 상기 제1 제 및 상기 제2 제를 상기 분사제에 의하여 서로 분리하여 동시에 토출하는 기구를 구비한 이중구조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발화장료 용품을 제공하여도 좋다. 이 이중용기에는, 가압용의 분사제를 충전한 분사제 충전공간의 내부에 제1 제 충전용 공간과 제2 제 충전용 공간이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된다. 이들 각 제의 충전용 공간에 상기 모발화장료의 제1 제 및 제2 제가 각각 충전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모발화장료가 분말 형상의 제3 제 등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에는, 모발화장료 용품에는, 제1 제와 제2 제를 충전한 이중구조용기 이외에, 이것에 첨부된 제3 제가 포함되어도 좋다.
모발화장료의 제1 제 및 제2 제가 이중구조용기에 있어서의 제1 제 충전용 공간과 제2 제 충전용 공간에 각각 충전된 모발화장료 용품이 제공된다. 이러한 모발화장료 용품에 있어서는, 이중구조용기의 제1 제 충전용 공간과 제2 제 충전용 공간으로부터 누출된 제1 제와 제2 제의 접촉에 의한 산소가스의 발생이 유효하게 억제된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국면은, 제1 제 및 제2 제를 포함하는 모발화장료이다.
이러한 제1 제 및 제2 제는, 이중구조용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 이중용기는, 가압용 분사제를 충전한 분사제 충전공간의 내부에 제1 제 충전용 공간과 제2 제 충전용 공간이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이들 각 제의 충전용 공간에 각각 충전되는 제1 제 및 제2 제를 상기 분사제에 의하여 서로 분리하여 동시에 토출하는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제 및 제2 제는 모두 크림 형상으로 토출되는 것이고, 25℃의 조건 하에서 B형 회전점도계를 이용한 30rpm에서의 점도(V30)와 12rpm에서의 점도(V12)의 점도비(V30/V12)가 모두 0.5 이상이며,
제1 제에 있어서의 상기 점도비(V30/V12)(f)와 제2 제에 있어서의 상기 점도비(V30/V12)(s)의 값이 서로 1.3배를 넘지 않는 범위 내이다.
본원의 발명자는, 분리충전·동일 가압토출형의 이중구조용기에 의한 제1 제와 제2 제의 등량토출이 가능하고, 경시적으로도 등량토출성을 유지할 수 있는 리올로지 특성을 실현하는 데에 있어서, 유체로서의 제1 제 및 제2 제에 대한 항복(降伏)값, 변형(γ), 완화시간(λ)(0)의 3인자에 착안하였다. 항복값은 유체의 유동성 인자로서, 이 값이 작으면 등량토출을 제어하기 어려워진다. 변형(γ) 값이 작으면, 경시적인 등량토출성의 향상에 공헌한다. 완화시간(λ)(0)이 짧으면, 응력완화 후에 원래의 유체구조로 되돌아가기 쉬우므로, 등량토출성의 향상에 공헌한다.
한편, 항복값, 변형(γ), 완화시간(λ)(0)의 3인자에 대하여는, 티탄제 패러랠 플레이트형 점탄성 측정기 레오스트레스 RS600(HAAKE사)을 사용하고, 측정온도 25℃, 측정갭: 0.052mm에 있어서, 측정모드: CS 플로커브(응력 0.01~300Pa, 300s), 클리프(0.5Pa, 60s)/ 리커버리(0Pa, 60s)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들 각 인자를 종합적으로 만족시키는 리올로지 특성의 구체적 평가지표로서, 제1 제와 제2 제에 대한 B형 회전점도계를 사용한 30rpm에서의 점도(V30)와, 12rpm에서의 점도(V12)의 점도비(V30/V12)가 적합한 지표가 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제1 제에 있어서의 상기 점도비(V30/V12)(f)와, 제2 제에 있어서의 상기 점도비(V30/V12)(s)가 일정값 이상이고, 또한 양자의 점도비가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근사된 수치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분리충전·동일 가압토출형의 이중구조용기에 의한 제1 제와 제2 제의 등량토출을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원의 이러한 국면에서는, 이중구조용기에 각각 충전하는 크림 형상의 제1 제 및 제2 제에 대하여, 제1 제에 있어서의 상기 점도비(V30/V12)(f)와, 제2 제에 있어서의 상기 점도비(V30/V12)(s)를 모두 0.5 이상으로 하고, 또한 이들 양자의 점도비의 값이 서로 1.3배를 넘지 않는 범위 내로 하고 있으므로, 분리충전·동일 가압토출형의 이중구조용기에 의한 제1 제와 제2 제의 등량토출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말하는 '등량토출'이란, 이중구조용기에 각각 충전된 제1 제와 제2 제의 토출량이, 질량부수단위의 비교로 25질량% 이내의 오차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내의 오차인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모발화장료에 있어서, 제1 제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1종 이상을 합계 1~10질량%의 범위 내에서 함유하여도 좋다.
이중구조용기에 제1 제와 제2 제를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제품은, 제조시부터 시판시까지의 사이의 보관·유통기간이나, 사용자가 제1 제와 제2 제를 조금씩 토출하면서 사용하는 사용기간을 고려하면, 경시적인 등량토출성의 유지가 요구된다. 즉, 제1 제와 제2 제에 대한 제1 발명에 규정하는 리올로지 특성의 경시적인 유지가 요구된다.
본원의 발명자는, 이와 같은 요구에 대한 대응수단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우선 리올로지 특성의 경시적인 특징이 특히 제1 제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 이유는, 모발화장료가 산화염모제인 경우에는 제1 제가 산화염료 등의 염류를 함유하는 점에 관계한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제1 제에 일정한 양적 범위 내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시키면, 크림 형상의 제1 제의 유화안정성이 향상되고, 따라서 상기 리올로지 특성을 경시적으로 유지하기 쉽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모발화장료의 제1 제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1종 이상을 합계 1~10 질량%의 범위 내에서 함유하도록 하면, 제1 제의 유화안정성이 향상되고, 리올로지 특성을 경시적으로 유지하기 쉬우며, 나아가서는 제1 제와 제2 제의 경시적인 등량토출성을 유지하기 쉽다.
한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제1 제 중에서는 경시적으로 안정된다. 또한, 제1 제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면, 모발화장료가 특히 염모제인 경우의 크림 형상의 제1 제의 유화안정성을 위하여 효과적이다.
또한, 이와 같은 모발화장료에 있어서, 제1 제가 유성성분의 1종 이상을 합계 1질량% 이상 더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모발화장료의 제1 제가 유성성분의 1종 이상을 합계 1질량% 이상 더 함유하므로, 모발화장료가 염모제인 경우의 염모력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유성성분이 탄화수소 또는 에스테르인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게 확보된다.
더욱이, 이러한 모발화장료에 있어서, 제1 제가 고급알코올의 1종 이상을 더 함유하고, 제1 제에 있어서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합계함유량(C(n))과 고급알코올의 합계함유량(C(a))의 질량% 단위의 비율(C(n)/C(a))이 0.3~1.0의 범위 내여도 좋다.
제1 제에 있어서의 리올로지 특성의 경시적인 유지에 관해서는, 제1 제에 있어서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합계함유량(C(n))과 고급알코올의 합계함유량(C(a))의 비율(C(n)/C(a))이 일정한 범위 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1 제가 1종 이상의 고급알코올을 더 함유하고, 질량% 단위에서의 상기 비율(C(n)/C(a))이 0.3~1.0의 질량 내이므로, 제1 제의 리올로지 특성이 경시적으로 유지되고, 나아가서는 제1 제와 제2 제의 경시적인 등량토출성이 유지된다.
또한, 이와 같은 모발화장료에 있어서, 제1 제가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1종 이상을 더 함유하고, 제1 제에 있어서의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합계함유량(C(i))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합계함유량(C(n))의 질량% 단위의 비율(C(i)/C(n))이 1.5 이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모발화장료의 제1 제가 1종 이상의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더 함유하고, 제1 제에 있어서의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합계함유량(C(i))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합계함유량(C(n))의 질량% 단위의 비율(C(i)/C(n))이 1.5 이하이므로, 제1 제에 있어서의 리올로지 특성의 경시적인 유지가 특히 뛰어나다.
더욱이 이러한 모발화장료와, 이중구조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발화장료 용품을 제공하여도 좋다.
이러한 이중용기는, 가압용의 분사제를 충전한 분사제 충전공간의 내부에 제1 제 충전용 공간과 제2 제 충전용 공간이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이들 각 제의 충전용 공간에 각각 충전된 제1 제 및 제2 제를 상기 분사제에 의하여 서로 분리하여 동시에 토출하는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모발화장료의 제1 제 및 제2 제가, 상기 이중구조용기에 있어서의 제1 제 충전용 공간과 제2 제 충전용 공간에 각각 충전되어 있다.
이러한 모발화장료 용품에 있어서는, 이중구조용기에 의한 제1 제와 제2 제의 등량토출이 가능하고, 경시적으로도 등량토출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음.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내용기와 제2 내용기가 같은 외용기 내에 있는 에어로졸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 및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중용기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에 본원이 개시하는 발명을 그 최선의 실시형태를 포함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본원이 개시하는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제1 제와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2 제를 구성에 포함하고, 산화염모제 또는 모발탈색제이다. 그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후술하는 이중구조용기에 충전하여 사용된다.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상법(常法)에 의하여 사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사람 모발에 대하여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사용시에 제1 제와 제2 제를 후술하는 이중구조용기로부터 토출하고, 모발에 도포하여, 처리 후에 씻어내어 사용한다. 제1 제와 제2 제의 혼합 타이밍은 적절히 선택 가능하며, 모발로의 도포 전에 혼합하여도 좋고, 빗 등을 이용하여 모발로의 도포와 혼합을 동시에 행하여도 좋으며, 이중구조용기에 혼합장치를 설치하여 혼합한 후 모발로 도포하여도 좋다.
〔제1 제〕
제1 제는 알칼리제를 함유한다. 알칼리제로서, 예를 들어 암모니아, 알칸올아민(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등), 유기아민류(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구아니딘 등), 염기성 아미노산(아르기닌, 리신 등) 및 그들의 염, 무기 알칼리(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등) 등을 들 수 있다.
제1 제는 알칼리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여도 좋다. 알칼리제의 함유량은, 제1 제의 pH를 8~12의 범위가 되는 양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이 산화염모제 조성물인 경우, 제1 제는 산화염료를 함유한다.
산화염료는 산화중합에 의하여 발색 가능한 화합물이다. 산화염료는, 예를 들어 염료 중간체, 커플러, 멜라닌 전구물질 등이 있다. 제1 제는 산화염료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여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산화염료로서 페닐렌디아민 및 그 유도체, 페놀 유도체, 아미노페놀 및 그 유도체, 디페닐아민 및 그 유도체, 피리딘 유도체, 피리미딘 유도체, 피라졸 유도체, 피롤리딘 유도체, 톨루엔 유도체, 인돌 유도체, 피롤 유도체, 및 이미다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염료중간체로서는 페닐렌디아민류(단, 메타페닐렌디아민을 제외), 아미노페놀류(단, 메타아미노페놀, 2,4-디아미노페놀 및 파라메틸아미노페놀을 제외), 톨루이렌디아민류(단, 톨루엔-3,4-디아민 및 톨루엔-2,4-디아민을 제외), 디페닐아민류, 디아미노페닐아민류, N-페닐페닐렌디아민류, 디아미노피리딘류(단, 2,6-디아미노피리딘을 제외) 등을 들 수 있다.
커플러로서는 피로갈롤, 레졸신, 카테콜, 메타아미노페놀, 메타페닐렌디아민, 2,4-디아미노페놀, 1,2,4-벤젠트리올, 톨루엔-3,4-디아민, 톨루엔-2,4-디아민, 하이드로키논, α-나프톨, 2,6-디아미노피리딘, 1,5-디히드록시나프탈렌, 5-아미노오르토크레졸, 파라메틸아미노페놀, 2,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 몰식자산, 탄닌산, 몰식자산에틸, 몰식자산메틸, 몰식자산프로필, 오배자, 5-(2-히드록시에틸아미노)-2-메틸페놀 등을 들 수 있다.
제1 제는 직접염료를 함유하여도 좋다. 제1 제 자체를 착색하고, 제2 제와의 구분을 쉽게 할 수 있다. 그 직접염료로서, 예를 들어 산성염료, 염기성염료, 천연염료, 니트로염료, 분산염료, HC염료 등이 있다.
상기한 성분 이외에, 제1 제는, 예를 들어 정제수, 증류수, 이온 교환수 등의 물, 수용성 폴리머, 용제, 탄화수소, 왁스, 고급지방산, 에스테르류, 고급알코올, 실리콘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증점제, 아미노산류, 당류, 방식성분, 킬레이트 성분, pH조정 성분, 무수아황산나트륨 등의 산화방지제, 식물 또는 생약추출물, 아스코르빈산류를 포함하는 비타민류, 향료, 세라미드류, 자외선 흡수제, 대전방지제, 모발유연제, 침투촉진제 등을 배합하여도 좋다.
제1 제는 유화물로 후술하는 이중구조용기로부터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내용기에 충전된 상태의 제1 제는 유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제는 크림 형상으로 후술하는 이중구조용기로부터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림 형상인 제1 제의 점도는 5000~50000mPa·s로 하여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제의 점도는 6000~30000mPa·s이다. 점도는 B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25℃, 1분간, 회전속도: 12rpm, 3호 로터(점도 5000mPa·s 이하인 경우), 4호 로터(점도 5000mPa·s 이상인 경우) 사용 조건 하에서 측정한다. 점도계에 대하여, 예를 들어 VISCOMETER TV-10 점도계를 사용하여 좋다.
〔제2 제〕
제2 제는 산화제를 함유한다. 제2 제에 있어서의 산화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15질량%, 바람직하게는 1.0~9.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6.0질량%이다.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 과산화요소, 과산화멜라민, 과탄산나트륨, 과탄산칼륨, 과붕산나트륨, 과붕산칼륨, 과산화나트륨, 과산화칼륨, 과산화마그네슘, 과산화바륨, 과산화칼슘, 과산화스트론튬, 황산염의 과산화수소 부가물, 인산염의 과산화수소 부가물, 피롤린산염의 과산화수소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산화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여도 좋다.
제2 제의 pH는 바람직하게는 2~6, 보다 바람직하게는 3~5이다.
제2 제는, 예를 들어 정제수, 증류수, 이온 교환수 등의 물, 수용성 폴리머, 고급알코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다가알코올, 탄화수소, 유지, 왁스류, 고급지방산, 에스테르류, 알킬글리세릴에테르, 용제, 증점제, 아미노산류, 실리콘류, 당류, 페녹시에탄올, 히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 히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사나트륨 등의 과산화수소 안정화 성분, 킬레이트 성분, pH조정 성분, 식물 또는 생약추출물, 향료 등을 배합하여도 좋다.
제2 제는 유화물로 후술하는 이중구조용기로부터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내용기에 충전된 상태의 제2 제는 유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제는 크림 형상으로 후술하는 이중구조용기로부터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림 형상인 제2 제의 점도는 5000~50000mPa·s로 하여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제2 제의 점도는 6000~30000mPa·s이다.
〔이중구조용기〕
이중구조용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한 상기 제1 제를 충전하는 제1 내용기와 상기 제2 제를 충전하는 제2 내용기가 동일한 외용기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외용기와 상기 각 내용기 사이의 공간이 분사제를 충전하는 분사제 충전공간이 되며, 상기 제1 제 및 상기 제2 제를 동시에 토출하는 기구를 구비한다.
이중구조용기의 일 구체예를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중구조용기(1)는 제1 제를 충전하는 제1 내용기(2)와 제2 제를 충전하는 제2 내용기(3)가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대략 원주형상인 동일한 외용기(4)에 수용되어 있다. 외용기(4)와 각 내용기(2, 3)의 사이의 공간이 분사제를 충전하는 분사제 충전공간이 된다.
이중구조용기(1)는 밸브 유닛(5)을 구비한다. 밸브 유닛(5)은 제1 내용기(2)에 충전된 제1 제의 통로인 제1 연통로, 및 제2 내용기(3)에 충전된 제2 제의 통로인 제2 연통로를 구비하고 있다. 그 각 연통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제1 내용기(2) 및 제2 내용기(3)에, 예를 들어 내용기의 입구부로부터 용기 내로 연장된 막대형상의 조인트재가 구비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밸브 유닛(5)은 각 연통로에 대하여 각 연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상하 이동 가능한 밸브 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밸브 유닛(5)에는 액추에이터(6)가 결합되어 있고, 액추에이터(6)를 밀어 내려 조작하면 각 밸브 스템이 개방된다. 액추에이터(6) 내에는 각 밸브 스템을 통과하여 온 제1 제 및 제2 제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멍(7, 8)이 설치되어 있다. 토출구멍(7, 8)은 제1 제와 제2 제를 각각 토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제1 제와 제2 제가 액추에이터(6) 내에서 회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따라서, 액추에이터(6)가 밀어 내림 조작되면, 제1 내용기(2)에 충전된 제1 제 및 제2 내용기(3)에 충전된 제2 제는 각각, 연통로, 밸브 스템 내, 토출구멍(7, 8)을 통과하여 동시에 토출된다. 통상적으로 밸브 유닛(5)에 있어서의 밸브 스템은 윗방향으로 부세되어 있고, 액추에이터(6)의 밀어 내림 조작을 그만두면 밸브 스템이 폐쇄되어 토출이 멈춘다.
외용기(4) 내에는 분사제에 의하여 항상 가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액추에이터(6)를 밀어 내림 조작하면, 압력에 의하여 제1 제나 제2 제가 충전된 각 내용기(2, 3)가 탄성 변형되어 충전물을 토출 가능하다. 또한, 별도로 준비한 혼합장치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중구조용기(1)의 외용기(4)는 PET, 폴리아크릴레이트,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알루미늄, 블리크 등을 구성에 포함하는 내압용기이다. 도 1에 있어서의 외용기(4)는 광투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제1 내용기(2) 및 제2 내용기(3)는 모두 최내층이 폴리올레핀 수지층인 탄성변형 가능한 시트재를 접합하여 구성한 파우치 용기이다. 그 파우치 용기는 내용물이 충전되어 있지 않은 경우(또는, 완전히 충전물이 토출된 후)에는 시트와 같은 형상이 된다. 조인트재가 내용기 내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현상이 일어난다.
파우치 용기를 구성하는 상기 시트재는 단층구조여도 다층구조여도 좋다. 또한, 파우치 용기는 복수의 시트재를 접합하여 구성하여도 좋고, 1매의 시트재를 접어, 접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PE, PP 등이 있다. 제1 제가 산화염료를 함유하는 경우, 산화염료의 보존안정성 관점에서 제1 내용기(2)는 금속박층을 구성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1 내용기(2) 및 제2 내용기(3) 중 어느 한쪽은 상기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통형상의 내용기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제1 내용기(2) 및 제2 내용기(3) 중 어느 한쪽은 파우치 용기의 최내층을 폴리올레핀 수지 이외의 수지층으로 하여도 좋다.
〔분사제〕
상기 이중구조용기에 있어서, 분사제 충전공간은 제1 제의 충전공간 및 제2 제의 충전공간으로부터 독립적으로 개별로 설치되어 있다.
분사제 충전공간에 충전하는 분사제로서, 예를 들어 액화가스, 압축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안전성의 관점에서 분사제로서 압축가스가 바람직하다.
상기 액화가스로서, 예를 들어 LPG, DME, 이소펜탄 등이 있다. 상기 압축가스로서, 질소가스(압축질소), 탄산가스, 압축공기 등이 있다.
한편, 알칼리제로서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등의 탄산염, 및/또는 산화제로서 과탄산나트륨, 과탄산칼륨 등의 과탄산염을 사용하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켜, 토출 후에 기포형상제 형태로 만들기 쉽다.
[파우치 용기 충전제]
본원이 개시하는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제1 제 및 상기 제2 제의 적어도 한쪽이, 최내층이 폴리올레핀 수지층인 파우치 용기에 충전하여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제가 최내층이 폴리올레핀 수지층인 파우치 용기에 충전하여 사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제 및 제2 제 양쪽이 최내층이 폴리올레핀 수지층인 파우치 용기에 충전하여 사용된다.
설명의 편의상, 그 최내층이 폴리올레핀 수지층인 파우치 용기에 충전하여 사용되는 제를 파우치 용기 충전제라고 칭한다. 이하, 파우치 용기 충전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파우치 용기 충전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고급알코올을 함유한다. 그리고, 파우치 용기 충전제는, 질량기준의 함유량비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고급알코올=0.07~1.8의 조건을 만족한다. 그 비율이 0.07 미만이 되어도, 1.8을 넘어도, 파우치 용기 내의 잔량이 많아져 버린다. 파우치 용기 내의 잔량을 적게 하는 관점에서, 그 비율은 0.1~1.6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1.5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파우치 용기 내의 잔량을 적게 하고, 또한 제1 제와 제2 제의 경시적 토출비율 유지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그 비율을 0.13~0.60의 범위 내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파우치 용기 충전제에 있어서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0.1~1.0질량%로 할 수 있고, 0.5~6질량%로 하여도 좋다.
파우치 용기 충전제에 있어서의 고급알코올의 함유량은 0.1~10질량%로 할 수 있고, 1~9질량%로 하여도 좋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 당에스테르류, 당아미노류, 알킬폴리글리세릴에테르 등이 있다.
파우치 용기 충전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옥시에틸렌(이하, POE라고도 함) 알킬에테르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에 있어서의 알킬 부위의 탄소수는 14~22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예로서, POE세틸에테르, POE올레일에테르, POE스테아릴에테르, POE베헤닐에테르 등이 있다.
파우치 용기 충전제의 유화안정성 관점에서, 파우치 용기 충전제는, 상기 HLB값이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HLB값 14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더하여, HLB값이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HLB값이 8 미만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화물이 안정되면, 본원이 개시하는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기 쉽다고 생각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HLB값은 공지의 그리핀식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고급알코올은 탄소수 6 이상의 1가 알코올이다. 고급알코올은 유성성분에 해당한다. 고급알코올은 포화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급알코올은 직쇄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급알코올의 탄소수는 12~22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제와 제2 제의 경시적 토출비율 유지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파우치 용기 충전제에 있어서의 질량기준의 함유량비인 탄소수 14~18의 고급알코올/모든 고급알코올을 0.7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제와 제2 제의 경시적 토출비율 유지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파우치 용기 충전제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우치 용기 충전제에 있어서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0.1~2.5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2~0.7질량%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명도 향상의 관점에서,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고급알코올을 제외하는 25℃에서 고형인 유성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25℃에서 고형인 유성성분으로서,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등의 탄화수소, 라놀린, 밀랍, 칼데리라 왁스 등의 왁스류, 스테아린산, 미리스틴산, 파르미틴산, 베헤닌산 등의 고급지방산, 스테아린산스테아릴, 미리스틴산미리스틸, 파르미틴산세틸 등의 1가 지방산과 1가 고급알코올로 이루어지는 에스테르류 등이 있다. 본원에 있어서 실리콘류는 그 25℃에서 고형인 유성성분에 포함하지 않는다.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고급알코올을 제외하는 25℃에서 고형인 유성성분으로서, 탄화수소 및 1가 지방산과 1가 고급알코올로 이루어지는 에스테르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명도 향상의 관점에서, 파우치 용기 충전제에 있어서의 고급알코올을 제외하는 25℃에서 고형인 유성성분의 함유량은 0.01~8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5~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고급알코올을 제외하는 25℃에서 고형인 유성성분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파우치 용기와의 미끄러짐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 이 관점에서도 상기 함유량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발화장료 용품〕
본원은 상기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과, 상기 이중구조용기를 구성에 포함하는 모발화장료 용품을 개시한다.
모발화장료 용품은 그 밖의 적절한 임의의 구성을 포함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솔, 빗, 혼합용 컵, 장갑, 헤어캡 등을 구성에 포함하여도 좋다.
[실시예]
이하, 본원의 제1 실시형태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본원이 개시하는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다음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표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에 있어서의 함유량을 나타내는 수치는 질량% 단위이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HLB값을 기재하였다. POE에 이어지는 괄호쓰기는 POE의 부가 몰수를 나타낸다.
표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노니온성 계면활성제라고 표기하고 있다.
한편,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스테아릴, 라놀린은 25℃에서 고형이다. 바셀린은 25℃에서 고형이 아니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시예 1~24 및 비교예 1, 2에 따른 산화염모제 조성물의 제1 제 및 제2 제를 상법에 의하여 조제하였다. 각 제는 크림 형상의 유화물이고, 점도는 5000~50000mPa·s의 범위 내였다. 한편, 실시예 14 내지 실시예 24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는 실시예 1과 같은 제2 제를 사용하였다.
다음의 시험에서는, 도 1에 나타낸 이중구조용기를 사용하였다. 제1 내용기 및 제2 내용기는 모두 파우치 용기로 하고, 각 파우치 용기의 최내층을 구성하는 수지재료는 폴리에틸렌으로 하였다. 분사제로서, 압축질소를 사용하였다.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 따른 산화염모제 조성물을 이중구조용기에 충전하고, 이중구조용기의 내압이 0.5MPa이 되도록 제품을 제조하여, 다음의 시험을 행하였다.
〔잔량평가시험〕
제품으로부터 충전물을 토출할 수 없게 될 때까지 산화염모제 조성물을 토출하고(전량 토출), 전량 토출 후의 내용기 내의 제1 제 및 제2 제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제1 제 및 제2 제에 대하여, 하기 식에 의하여 내용기 내의 잔량 비율을 계산하였다.
잔량비율(%)=(전량 토출 후의 중량)/(토출 전의 중량)×100
잔량평가시험은 3연속 행하고, 그 평균값을 구하여, 소수 제2단위를 반올림하여 표 중에 결과를 기재하였다.
또한, 다음 기준을 설정하고, 표 중의 '잔량평가'란에 기재하였다.
5: 잔량비율이 2%미만, 4: 잔량비율이 2%이상~2.5%미만, 3: 잔량비율이 2.5%이상~3%미만, 2: 잔량비율이 3%이상~3.5%미만, 1: 잔량비율이 3.5%이상.
각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는 깨끗하게 찌그러져 1매의 시트에 근사한 형상으로 되어 있어, 잔량평가가 양호하였다. 한편, 각 비교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고급알코올=0.07~1.8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므로, 잔량평가가 나빠졌다고 생각되었다. 따라서, 잔량평가에 있어서의 그 비율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실시예 20의 제1 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고급알코올의 비가 1.6을 넘었으므로, 잔량평가가 3이 되었다고 생각되었다. 또한, 실시예 14의 제1 제는, 그 비율이 0.13 미만이었으므로, 잔량평가가 4가 되었다고 생각되었다. 즉, 그 비율을 바람직한 범위 내로 함으로써, 잔량평가가 향상된다고 생각되었다.
실시예 9의 제1 제는, 고급알코올을 제외하는 25℃에서 고형인 유성성분을 함유하지 않지만 잔량평가는 5였다. 한편, 고급알코올을 제외하는 25℃에서 고형인 유성성분을 배합하여도 양호한 잔량평가가 얻어진다. 따라서, 양호한 잔량평가를 얻으면서, 고급알코올을 제외하는 25℃에서 고형인 유성성분을 배합하여 명도 향상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10의 제1 제는, 고급알코올을 제외하는 25℃에서 고형인 유성성분으로서 고급지방산만을 함유하였으므로, 잔량평가가 4가 되었다고 생각되었다. 이러한 평가로부터 잔량평가 향상의 관점에 있어서, 바람직한 고급알코올을 제외하는 25℃에서 고형인 유성성분이 있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등량토출성 평가시험〕
제품을 제조하고나서 1개월, 25℃ 하에서 보존하고, 그 후에 제2 제의 잔량(질량)이 충전량의 절반이 될 때까지 토출조작을 계속하였다. 한편, 제품제조 후에는 제1 제와 제2 제가 거의 등량토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2 제의 잔량이 충전량의 절반이 된 시점(제2 제가 반량토출된 시점)에 있어서의 제1 제의 토출량을 측정하고, 제2 제의 토출량과의 비를 하기 식으로부터 구하였다.
제1 제와 제2 제의 토출량비=(제2 제가 반량토출된 시점의 제1제 토출량)/(제2 제의 반량)
그 비율이 1에 가까울수록 제1 제와 제2 제의 등량토출성은 양호하다.
시험은 3연속 행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고, 소수 제2단위를 반올림하여, 하기의 기준에 근거하여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는 표 중의 '등량토출성'란에 기재하였다.
5: 비가 0.8이상~1.2이하,
4: 비가 0.7이상~0.8미만, 또는 1.2초과~1.3이하,
3: 비가 0.6이상~0.7미만, 또는 1.3초과~1.4이하,
2: 비가 0.5이상~0.6미만, 또는 1.4초과~1.5이하,
1: 비가 0.5미만, 또는 1.5초과.
각 실시예는 모두 양호한 평가였다. 따라서, 각 실시예는 제1 제와 제2 제의 토출비율이 보존 후에도 양호하게 유지되고 있었다.
실시예 14 내지 실시예 20으로부터, 경시적인 등량토출성을 양호하게 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고급알코올의 비가 있다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제1 제, 및 실시예 11의 제2 제는, 각 제에 있어서의 모든 고급알코올에 대하여 탄소수 12 이하, 또는 탄소수 20 이상의 고급알코올을 비교적 많이 함유하였기 때문에, 평가가 3~4가 되었다고 생각되었다. 즉, 양호한 잔량평가를 유지하면서, 경시적인 등량토출성을 더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고급알코올의 바람직한 함유비가 있다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13의 제2 제는 HLB값이 10 이상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평가가 4가 되었다고 생각되었다. 즉, 양호한 잔량평가를 유지하면서, 경시적인 등량토출성을 더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있다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8의 제1 제는, 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만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평가가 4가 되었다고 생각되었다. 또한, 다른 실시예의 평가를 참조하면, 양호한 잔량평가를 유지하면서, 경시적인 등량토출성을 더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었다.
〔명도〕
제품으로부터 토출하여, 사람 모발다발에 대하여 상법에 따라서 사용한 본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산화염모제 조성물은 양호한 명도를 실현하였다.
본원의 실시예 9의 제1 제는 고급알코올을 제외하는 25℃에서 고형인 유성성분을 함유하지 않는다. 따라서, 명도평가는 실시예 9보다 다른 실시예 쪽이 높았다.
[표 1]
Figure 112019091617097-pat00001
[표 2]
Figure 112019091617097-pat00002
[표 3]
Figure 112019091617097-pat00003
[표 4]
Figure 112019091617097-pat00004
(제2 실시형태)
본원의 제2 실시형태가 개시하는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알카리제를 함유하는 제1 제와, 과산화수소를 함유하는 유화물인 제2 제를 구성에 포함한다.
〔제1 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제의 성분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제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는 유화물로 후술하는 이중구조용기로부터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내용기에 충전된 상태의 제1 제는 유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제는 크림 형상으로 후술하는 이중구조용기로부터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림 형상인 제1 제의 점도는 3000~40000mPa·s로 하여도 좋다. 점도는 B형 점도계를 사용하고, 25℃, 1분간, 회전속도: 12rpm, 3호 로터(점도 5000mPa·s 이하인 경우), 4호 로터(점도 5000mPa·s 이상인 경우)의 사용 조건 하에서 측정한다. 점도계에 대하여는, 예를 들어 VISCOMETER TV-10 점도계를 사용하여도 좋다.
〔제2 제〕
제2 실시형태는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제1 제와 과산화수소를 함유하는 유화물인 제2 제를 구성에 포함하는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제2 제로서,
상기 제2제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한 상기 제1 제를 충전하는 제1 내용기와 상기 제2 제를 충전하는 제2 내용기가 동일한 외용기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외용기와 상기 각 내용기 사이의 공간이 분사제를 충전하는 분사제 충전공간이 되며, 상기 외용기 및 상기 제2 내용기가 광투과성 재료를 구성에 포함하여 상기 외용기의 바깥쪽에서 상기 제2 내용기의 안쪽을 시인할 수 있고, 상기 제1 제 및 상기 제2 제를 동시에 토출하는 기구를 구비한 이중구조용기에 충전하여 사용되는 것이며,
평균 유화입자 직경이 1㎛ 이상인 제2 제를 개시한다.
제2 제는 산화제를 함유한다. 제2 제에 있어서 과산화수소는 필수성분이다. 제2 제에 있어서의 과산화수소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15질량%, 바람직하게는 1.0~9.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6.0질량%이다.
그리고, 제2 제의 pH는 바람직하게는 2~6, 보다 바람직하게는 3~5이다.
제2 제는 상기 과산화수소 이외에, 적절한 산화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과산화요소, 과산화멜라민, 과탄산나트륨, 과탄산칼륨, 과붕산나트륨, 과붕산칼륨, 과산화나트륨, 과산화칼륨, 과산화마그네슘, 과산화바륨, 과산화칼슘, 과산화스트론튬, 황산염의 과산화수소 부가물, 인산염의 과산화수소 부가물, 피롤린산염의 과산화수소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제2 제는 유화물이므로, 계면활성제 및 유성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로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등의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알케닐트리메틸암모늄염,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디알케닐디메틸암모늄염, 알킬로일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민, 알킬피페리디늄염, 벤잘코늄염 등이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알킬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이하, POE라고 함) 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라우레스황산나트륨) 등의 알킬에테르황산염, 알케닐황산염, 알케닐에테르황산염, 알칸술폰산염, 올레핀술폰산염, 인산모노 또는 디에스테르형 등이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POE세틸에테르, POE베헤닐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지방산에테르,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 당에스테르류, 당아미노류, 알킬폴리글리세릴에테르 등이 있다.
평균 유화입자 직경의 경시안정성 관점에서, 제2 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POE알킬에테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POE알킬에테르를 구성하는 알킬 부위의 탄소수는 12~2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POE알킬에테르를 구성하는 알킬 부위는 직쇄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제에 있어서 양호한 평균 유화입자 직경을 얻는 관점에서, 제2 제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또한 그 양 계면활성제에 있어서 함유량이 적은 쪽을 0.01~0.5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그 함유량이 적은 계면활성제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서 함유량에 차이를 두고, 그 양 계면활성제에 의하여 형성되는 컴플렉스를 소량으로 하면서, 양호한 과산화수소 안정성이 얻어진다고 생각된다.
제2 제에 있어서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10.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3~7.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0질량%이다.
제2 제에 있어서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0.3질량% 이상으로 하면 좋고, 0.4~7질량%로 하면 좋으며, 0.5~5질량%로 하면 좋다.
제2 제에 있어서는, HLB값이 12~17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을 1.5질량% 미만으로 하면 좋고, 1.3질량% 이하로 하여도 좋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HLB값은 그리핀식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일광 조사 하에 있어서의 과산화수소의 안정성 관점에서, 제2 제는 탄소수 12~22의 고급알코올을 1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제2 제에 있어서의 탄소수 12~22의 고급알코올의 함유량은 1~10질량%로 하여도 좋고, 3~8질량%로 하여도 좋다. 한편, 고급알코올은 1가 알코올이다.
상기 특허문헌 4에서는, 일광 조사 하에서 제2 제를 보존하는 것은 전혀 검토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특정한 고급알코올에 착안하여 그 함유량을 더욱 특정함으로써, 일광 조사 하에 있어서의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을 향상하는 기술적 지식의 개시는 상기 특허문헌 4에는 없다.
탄소수 12~22의 고급알코올로서, 예를 들어 직쇄형상 또는 분기쇄형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족 알코올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세타놀), 세트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아라킬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2-헥실도데칸올, 2-옥틸도데칸올, 데실테트라데칸올, 리노레일알코올, 리노레일알코올라노린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포화 고급알코올, 구체적으로는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아라킬알코올, 베헤닐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제2 제는 유성성분으로서, 상기 고급알코올 이외에, 바세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유동파라핀 등의 탄화수소, 유지, 왁스류, 고급지방산, 옥탄산세틸, 스테아린산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류 등을 함유하여도 좋다.
제2 제에 있어서의 유성성분의 함유량은, 그 상한값을 10질량%로 하여도 좋고, 또한 고급알코올을 제외하는 유성성분의 함유량은 5질량% 이하로 하여도 좋다. 제2 제에 있어서의 고급알코올을 제외하는 25℃에서 액체인 유성성분의 함유량은 5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성분 이외에, 제2 제는 적절히 임의 성분을 배합하여도 좋다. 그 임의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정제수, 증류수, 이온교환수 등의 물, 수용성 폴리머, 다가알코올, 알킬글리세릴에테르, 용제, 증점제, 아미노산류, 실리콘류, 당류, 페녹시에탄올, 히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 히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사나트륨 등의 과산화수소 안정화 성분, 킬레이트 성분, pH조정 성분, 식물 또는 생약추출물, 아스코르빈산류를 포함하는 비타민류, 향료 등을 배합하여도 좋다.
제2 제는 평균 유화입자 직경이 1㎛ 이상이다. 그 평균 유화입자 직경은 1~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2 제의 평균 유화입자 직경이 1㎛ 미만이면, 일광 조사 하에 있어서의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불충분해진다.
본원에 있어서, 평균 유화입자 직경은, 레이저 회절·산란법 입도분포측정장치(상품명: 마이크로트랙 MT3000Il, 닛키소 주식회사 제품)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체적기준에서의 메디안 직경(d50값)을 측정한다. 그 레이저 회절·산란법 입도분포측정장치와 동질의 장치를 사용하여도 좋다.
제2 제는 크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제는 크림 형상으로 후술하는 이중구조용기로부터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제와의 혼합성을 양호하게 하고, 혼합물이 모발에 적응하기 쉽게 하며, 혼합물의 흘러내림을 양호하게 억제하는 관점에서, 크림 형상인 제2 제의 점도는 3000~40000mPa·s로 하여도 좋다. 또한, 더욱이, 유화입자 직경의 안정성 관점에서, 제2 제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5000~35000mPa·s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0~30000mPa·s이다.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
본원이 개시하는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제1 제 및 상기 제2 제를 구성에 포함한다. 본원이 개시하는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2제식이어도 좋고, 3제식 이상의 다제식이어도 좋다.
상기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산화조제, 트리트먼트제 등을 구성에 더 포함하여도 좋다.
상기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로서, 예를 들어 산화염모제 조성물, 모발탈색제 조성물, 모발탈염제 조성물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람 모발의 처리에 이용된다.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상법에 의하여 사용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사용시에 제1 제와 제2 제를 후술하는 이중구조용기로부터 토출하고, 모발에 도포하여, 처리 후에 씻어내어 사용한다. 제1 제와 제2 제의 혼합 타이밍은 적절히 선택 가능하며, 모발로의 도포 전에 혼합하여도 좋고, 빗 등을 이용하여 모발로의 도포와 혼합을 동시에 행하여도 좋으며, 이중구조용기에 혼합장치를 장착하여 혼합한 후 모발로 도포하여도 좋다.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이 산화조제를 구성에 포함하는 경우에는, 혼합시에 제1 제 내지 제3 제를 혼합한다.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이 트리트먼트제를 구성에 포함하는 경우에는, 혼합시에 제1 제, 제2 제 및 트리트먼트제를 혼합하여도 좋고, 염모처리/탈색이나 탈염처리 후에 트리트먼트제를 이용하여 트리트먼트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이중구조용기〕
이중용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한 상기 제1 제를 충전하는 제1 내용기와 상기 제2 제를 충전하는 제2 내용기가 동일한 외용기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외용기와 상기 각 내용기 사이의 공간이 분사제를 충전하는 분사제 충전공간이 되며, 상기 외용기 및 상기 제2 내용기가 광투과성 재료를 구성에 포함하여 상기 외용기의 바깥쪽에서 상기 제2 내용기의 안쪽을 시인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제 및 상기 제2 제를 동시에 토출하는 구성을 구비한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중구조용기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중용기(도 1을 참조)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내용기(2) 및 제2 내용기(3)는 종래 알려져 있는 용기(예를 들어, 파우치 등)를 적절히 사용 가능하다.
이중구조용기의 외용기(4)는 PET, 폴리아크릴레이트,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등의 광투과성 재료로 구성되는 내압용기이다. 따라서, 외용기(4)의 안쪽을 시인 가능하다. 외용기(4)는 제2 내용기(3)를 시인할 수 있는 부위를 남기고 다른 부위를 착색하여도 좋으며, 제2 내용기(3)를 시인할 수 있는 부위를 남기도록 포장재를 장착하여도 좋다.
제2 내용기(3)는 제1 내용기(2)와 함께 병설되어 있다. 제2 내용기(3)는 PET, PE 등의 광투과성 재료로 구성되는 탄성변형 가능한 시트(이하, 광투과성 시트라고도 함)끼리를 접합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제1 내용기(2)와 대면하는 쪽을 알루미늄 등의 광불투과성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탄성변형 가능한 시트, 외용기(4)에 대면하는 반대쪽을 광투과성 시트로 하고, 이들을 접합하여 제2 내용기(3)를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광투과성 시트의 특정 부분을 착색하거나, 특정 부분을 광불투과성으로 수식하거나 하여도 좋다.
제1 제가 산화염료를 함유하는 경우, 산화염료의 보존안정성 관점에서, 제1 내용기(2)로서 금속박을 함유하는 파우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내용기(2)는 광불투과성이 된다. 따라서, 제1 내용기(2) 내의 제1 제의 잔량은 시인할 수 없다.
이상과 같이, 이중구조용기(1)는 제2 내용기(3) 안쪽을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복수 회에 나누어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용품을 사용하는 경우, 특히 제2 제의 잔량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제1 제와 제2 제는 같은 압력 하에 놓여져 있으므로, 제2 제의 잔량은 제1 제의 잔량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이중구조용기의 구성을 참조하면서, 상기 특허문헌 2의 도 3 내지 도 6, 및 상기 특허문헌 3의 도 1에 개시되는 이중구조용기를 사용하여도 좋다.
〔분사제〕
상기 이중구조용기에 있어서, 분사제 충전공간은 제1 제의 충전공간 및 제2 제의 충전공간으로부터 독립적으로 개별로 설치되어 있다.
분사제 충전공간에 충전하는 분사제로서, 예를 들어 액화가스, 압축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안전성의 관점, 상기 이중구조용기의 외용기의 전부 또는 일부를 광투과성으로 하면 분사제 충전공간이 시인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분사제로서 압축가스가 바람직하다.
상기 액화가스로서, 예를 들어 LPG, DME, 이소펜탄 등이 있다. 상기 압축가스로서, 질소가스, 탄산가스, 압축공기 등이 있다.
한편, 상기 이중구조용기로부터 충전물을 거품 형상으로 토출하고자 하는 경우, 내용기 내에 액화가스를 충전하여도 좋다. 한편, 충전물을 크림 형상으로 토출하는 경우에는, 내용기 내에 액화가스는 충전하지 않거나, 내용기 내의 액화가스의 충전물을 극소량으로 억제한다. 알칼리제로서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등의 탄산염, 및/또는 산화제로서 과탄산나트륨, 과탄산칼륨 등의 과탄산염을 사용하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켜 토출 후에 거품 형상 제형으로 하기 쉽다.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용품〕
본원은 상기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과, 상기 이중구조용기를 구성에 포함하는 에어로졸식의 모발화장료 용품을 개시한다.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제1 제 및 제2 제는 이중구조용기에 충전되는 것이다.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이 제1 제 및 제2 제 이외에 임의의 구성(예를 들어, 제3 제)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그 임의의 구성은 이중구조용기와는 다른 용기에 수용된다.
에어로졸식의 모발화장료 용품은, 그 밖의 적절한 임의의 구성을 포함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솔, 빗, 혼합용 컵, 장갑, 헤어캡 등을 구성에 포함하여도 좋다.
[실시예]
이하, 본원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본원이 개시하는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표에 있어서의 함유량을 나타내는 수치는 질량% 단위이다.
하기 표 5 내지 표 9에 나타내는 제2 실시형태의 실시예 1~25, 및 비교예 1~5에 따른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제2 제를 조제하였다. 한편, 각 실시예, 및 비교예 2, 5는 유화물로서 조제할 수 있었지만, 비교예 1, 3, 4는 유화할 수 없어, 가용화물(투명)이 되었다.
〔평균 유화입자 직경의 측정〕
각 실시예 및 비교예 2, 5에 따른 제2 제의 조제 후에, 하기 '입자직경측정방법'에 따라서 평균 유화입자 직경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표 중의 '유화입자 직경'란에 기재하였다.
한편, 각 실시예에 따른 제2 제를 제2 제 충전공간과 분사제 충전공간이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된 이중구조의 에어로졸 용기에 충전하고, 그 후 토출하여도 그 토출된 제2 제는 상기 조제 후와 거의 같은 평균 유화입자 직경이었다.
<입자직경 측정방법>
레이저 회절·산란법 입도분포측정장치(상품명: 마이크로트랙 MT3000Il, 닛키소 주식회사 제품)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제2 제(시료) 10ml를 물로 100ml로 희석하고, 마그네틱스티어러로 1000rpm 회전으로 10분간 교반한 후, 장치에 주입하고, 2회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였다. 특정조건은 측정온도: 25℃, 측정시간: 30초, 입자굴절률: 1.81, 입자형상: 비구형, 용매: 물, 용매굴절률: 1.33으로 하였다. 측정시료의 체적입도분포를 측정하고, 측정결과로부터 누적체적분포에 있어서의 소립직경측으로부터의 누적체적이 50%가 되는 메디안 직경(d50값)을 입자의 평균 유화입자 직경으로 하여 산출하였다.
〔과산화수소의 안정성 시험〕
제2 제 중의 과산화수소의 질량은, 산화환원적정법에 따라서 정량하였다.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 따른 제2 제의 조제 후에 있어서, 우선 제1회째의 과산화수소의 양을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상법에 따라서 제1 제를 조제하고, 그 제1 제와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 따른 제2 제를 도 1에 나타낸 이중구조용기에 충전하고, 분사제로서 압축질소(내압 0.5MPa)를 충전한 제품을 제조하였다. 한편, 외용기 및 제2 내용기는 투명으로서 광투과성이다.
다음으로, 인공 태양조명등을 사용하고, 하기 조건으로 제2 제로의 조사처리를 행하였다.
·조명장치: 인공 태양조명등 SOLAX XC-500AF형(셀릭(주) 제품)
·대상물까지의 높이: 80cm 높이로부터 조사
·온도: 25℃
·조사 스케쥴: 〔조사 6시간+소등 24시간〕×7회
상기 인공 태양조명등에 의한 반복 조사 처리 후에 제2회째의 과산화수소의 양을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하기 계산식에 의하여 과산화수소의 잔존률을 계산하였다.
계산식: 과산화수소의 잔존률(%)=〔제2회째의 과산화수소의 양〕/〔제1회째의 과산화수소의 양〕×100
과산화수소의 잔존률이 96%이상~100%인 경우를 '5', 95%이상~96%미만을 '4', 90%이상 95%미만의 경우를 '3', 85%이상 90%미만의 경우를 '2', 85%미만의 경우를 '1'로 하고, 표 중의 '과산화수소 안정성'란에 시험결과를 기재하였다.
한편, 상기 인공 태양전지등에 의한 반복 조사 처리 후에 있어서도, 각 실시예에 따른 제2 제는 상기 조제 후와 거의 동일한 평균 유화입자 직경이었다.
[표 5]
Figure 112019091617097-pat00005
[표 6]
Figure 112019091617097-pat00006
[표 7]
Figure 112019091617097-pat00007
[표 8]
Figure 112019091617097-pat00008
[표 9]
Figure 112019091617097-pat00009
상기 각 시험 결과로부터, 평균 유화입자 직경과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에 상관관계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비교예 1, 3, 4에 따른 제2 제는 가용화물이고, 유화물이 아니며,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에 대하여 '1' 평가였다. 비교예 2, 5는 평균 유화입자 직경이 1㎛ 미만이고, 과산화수소의 안정성 평가는 불충분이었다.
한편, 각 실시예에 따른 제2 제는 평균 유화입자 직경이 1㎛ 이상이고, 과산화수소의 안정성 평가는 양호였다. 탄소수 12~22의 고급알코올을 1질량% 이상 함유하는 실시예 1~21은, 과산화수소의 안정성 평가는 더욱 향상되었다. 평균 유화입자 직경이 5~20㎛인 경우, 특히 평가가 양호였다.
각 실시예는, HLB값이 12~17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1질량% 이하였는데, 과산화수소의 안정성 평가는 양호였다.
각 실시예에 따른 제2 제는, 이중구조의 에어로졸 용기에 충전하여도, 인공 태양등에 의한 반복 조사 처리를 행하여도, 평균 유화입자 직경은 유지되었다. 따라서, 제2 제의 평균 유화입자 직경은, 잔량을 시인할 수 있는 이중구조용기에 제2 제가 충전되어 있는 동안에도 유지되고 있다고 생각되었다.
(제3 실시형태)
〔모발화장료〕
우선,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모발화장료를 제1 제 및 제2 제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형태에서 서술하는 주요한 성분에 대하여는, 상세하게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모발화장료는, 적어도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제1 제와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2 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제1 제와 제2 제는, 후술하는 분리충전·동일 가압토출형의 이중구조용기에 있어서의, 예를 들어 봉투형상체인 제1 제 충전용 공간과 제2 제 충전용 공간에 각각 충전된다. 모발화장료의 제1 제와 제2 제는 액상의 제형이고, 이중구조용기로부터 액상으로 토출되는 것이다. '액상의 제형'의 내용은 반드시 한정되지 않지만, 크림 형상, 겔 형상, 유액 형상 등이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도 비교적 높은 점도를 확보하기 쉬운 크림 형상, 겔 형상이 바람직하다.
모발화장료로서는, 이러한 제1 제와 제2 제로 이루어지는 2제식을 예시할 수 있는데, 더욱 적절한 처방에 따른 제3 제 등을 부가한 3제식 등의 다제식의 것도 포함된다. 제3 제 등은 액상이어도 좋고, 분말 형상 등이어도 좋다. 모발화장료가 3제식 등인 경우, 그 제3 제 등은, 통상적으로 제1 제와 제2 제를 충전한 이중구조용기에 첨부되어, 상품으로서의 모발화장료 용품의 구성 요소가 된다.
모발화장료의 카테고리로서는, 산화염모제, 모발탈색제, 모발탈염제가 예시된다. 이들은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제1 제와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2 제를 포함하는 점에서 공통되는데, 산화염모제에 있어서는 산화염료를 더 포함한다. 산화염료는 주요 중간체로 이루어지고, 또는 주요 중간체와 커플러로 이루어지는데, 경우에 따라서 직접 염료가 더 첨가된다. 모발탈염제에서는, 알칼리제에 더불어 산화조제로서 과황산염이 추가된다.
본 발명의 모발화장료에 있어서, 제1 제 및 제2 제의 점도는 모두 25℃에 있어서 7000~30000mPa·s의 범위 내인데, 10000~25000mPa·s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도는, 예를 들어 B형 점도계를 사용하고, 4호 로터에서 1분간, 12rpm/min의 측정조건으로 구할 수 있다. B형 점도계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BL형 점도계 VISCOMETER(토키산교 주식회사 제품)를 들 수 있다.
모발화장료의 제1 제와 제2 제는, 발포용의 분사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어도 좋고, 발포용의 분사제를 함유하는 것이어도 좋다. 제1 제와 제2 제가 발포용의 분사제를 함유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모발화장료는 에어로졸식 거품 형상 모발화장료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것이 된다. 발포용의 분사제로서는, LPG, 디메틸에테르, 이소펜탄 등의 액화가스, 탄산가스, 질소가스 등의 압축가스를 예시할 수 있는데, 특히 액화가스가 바람직하다. 제1 제 또는 제2 제의 원액(분사제를 함유하지 않은 상태의 조성물)과 분사제의 질량비는 90:10~98:2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용의 분사제를 함유하지 않은 모발화장료이더라도, 제1 제와 제2 제 중 어느 한쪽 제가, 예를 들어 구연산 등의 유기산을 함유하고, 다른 쪽 제가, 예를 들어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탄산염, 탄산수소염을 함유하며, 이들 제를 혼합함으로써 거품 형상이 되도록 한 모발화장료여도 좋다.
다음으로, 모발화장료의 제1 제 및 제2 제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종류는 양이온성, 음이온성, 양성, 비이온성의 어느 것이어도 좋고,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어도 좋은데, 제1 제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제2 제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또는 반대로, 제1 제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제2 제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 제1 제와 제2 제의 토출 후의 균일한 혼합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제1 제 및 제2 제에 있어서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한정되지 않지만, 상술한 '발명의 효과'란에 기재한 이유로부터, 모두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모두 2.5~8질량%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모발화장료의 제1 제 및 제2 제는, 유성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제1 제 및 제2 제에 있어서의 유성성분의 함유량은 한정되지 않는데, '과제의 해결 수단 및 발명의 효과'란에서 상기한 이유로부터, 모두 1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성성분으로서는 탄화수소나 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더욱이, 제1 제의 유성성분 함유량(전자)과, 제2 제의 유성성분 함유량(후자)의 관계를 질량% 단위로 전자/후자=1.05~5의 범위 내, 특히 1.1~3의 범위 내로 하면, 전자와 후자의 유성감이 다른 것이 되므로, 분사제 충전공간에 누출된 제1 제와 제2 제의 혼합을 억제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모발화장료의 제1 제 및/또는 제2 제는, 고급알코올을 함유할 수 있다. '고급알코올'의 의미는, '과제의 해결 수단 및 발명의 효과'란에서 서술한 바와 같은데, 특히 탄소수가 12~22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제, 제2 제에 함유되는 고급알코올에 대한 바람직한 함유량에 대하여는, 고급알코올의 탄소수(a)와, 그 고급알코올의 제1 제 또는 제2 제 중에서의 질량% 단위의 함유량값(b)의 적산값(a×b)인 고급알코올 지수에 따라서 서술할 수 있다. 즉, 제1 제 및 제2 제에 함유되는 각각의 고급알코올에 대한 고급알코올 지수의 합계값이, 모두 1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모두 40~130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더욱이, 제1 제에 대한 고급알코올 지수의 합계값(전자)과 제2 제에 대한 고급알코올 지수의 합계값(후자)의 관계를 질량% 단위로 전자/후자=1.05~5의 범위 내, 특히 1.1~3의 범위 내로 하면, 전자와 후자의 유성감이 다른 것이 되므로, 압축가스 충전 공간에 누출된 제1 제와 제2 제의 혼합을 억제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상의 점과 더불어, 제1 제와 제2 제의 어느 한쪽 제에 있어서는 배합하는 고급알코올의 50질량% 이상을 탄소수가 16 이하인 고급알코올로 하고, 다른 쪽 제에 있어서는 배합하는 고급알코올의 50질량% 이상을 탄소수가 18 이상인 고급알코올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제1 제와 제2 제의 유성감이 다르므로, 분사제 충전 공간에 누출된 제1 제와 제2 제의 혼합과 같은 인위적인 외부힘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혼합은 일어나기 어려운데, 제1 제와 제2 제의 토출 후의 혼합과 같이 인위적인 외부힘(예를 들어, 솔에 의한 혼합·도포)이 작용하는 상태에서의 혼합은 용이하다.
〔모발화장료의 주요성분〕
다음으로, 본 발명의 모발화장료에 함유되는 필수성분 및 주요한 임의적 배합성분의 실시형태를 순차적으로 상세하게 서술한다.
(알칼리제)
모발화장료가 산화염모제, 모발탈색제 또는 모발탈염제인 경우, 그 제1 제에 함유되는 알칼리제로서는, 암모니아, 알카놀아민, 규산염, 탄산염, 탄산수소염, 메타규산염, 황산염, 염화물, 인산염, 염기성 아미노산 등이 예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알카놀아민으로서는 모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이 예시되고, 규산염으로서는 규산나트륨, 규산칼륨이 예시되며, 탄산염으로서는 탄산나트륨, 탄산암모늄이 예시되고, 탄산수소염으로서는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암모늄이 예시되며, 메타규산염으로서는 메타규산나트륨, 메타규산칼륨이 예시되고, 황산염으로서는 황산암모늄이 예시되며, 염화물로서는 염화암모늄이 예시되고, 인산염으로서는 인산 제1 암모늄, 인산 제2 암모늄이 예시되며,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는 아르기닌, 리신 및 그들의 염이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도 암모니아, 탄산염 및 암모늄염이 바람직하다.
제1 제에 있어서의 알칼리제의 함유량은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1~1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질량%이다.
(산화제, 산화조제)
모발화장료가 산화염모제, 모발탈색제 또는 모발탈염제인 경우, 그 제2 제에 함유되는 산화제로서는, 과산화수소, 과산화요소, 과산화멜라민, 과탄산나트륨, 과탄산칼륨, 과붕산나트륨, 과붕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산화나트륨, 과산화칼륨, 과산화마그네슘, 과산화바륨, 과산화칼슘, 과산화스트론튬, 황산염의 과산화수소 부가물, 인산염의 과산화수소 부가물, 및 피롤인산염의 과산화수소 부가물 등이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도 과산화수소가 바람직하다.
제2 제에 있어서의 산화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1~1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질량%이다. 제2 제가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를 함유하는 경우, 그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안정화제로서, 에틸렌글리콜페닐에테르(페녹시에탄올)나, 히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 또는 그 염을 산성의 제에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산화조제로서는, 과황산암모늄, 과황산칼륨 및 과황산나트륨 등의 과황산염이 예시된다.
(산화염료, 직접염료)
모발화장료가 산화염모제인 경우, 그 제1 제에 함유되는 산화염료 중, 주요 중간체는, 주로 o- 또는 p-의 페닐렌디아민류 또는 아미노페놀류인 염료 선구물질이며, 통상적으로 그 자체는 무색이거나 또는 약하게 착색된 화합물이다. 주요 중간체는 단독으로 이용되거나, 또는 커플러와 함께 이용된다.
주요 중간체로서는, p-페닐렌디아민, 톨루엔-2,5-디아민(p-톨루이렌디아민), N-페닐-p-페닐렌디아민, 4,4'-디아미노디페닐아민, p-아미노페놀, o-아미노페놀, p-메틸아미노페놀, N,N-비스(2-히드록시에틸)-p-페닐렌디아민, 2-히드록시에틸-p-페닐렌디아민, o-크롤-p-페닐렌디아민, 4-아미노-m-크레졸, 2-아미노-4-히드록시에틸아미노아니솔, 2,4-디아미노페놀 및 그들의 염류 등이 예시된다. 염류로서는, 염산염, 황산염, 초산염 등이 예시된다.
커플러로서는, 주로 m-의 디아민류, 아미노페놀류 또는 디페놀류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레졸신, 카테콜, 피로가롤, 프로로글루신, 몰식자산, 하이드로퀴논, 5-아미노-o-크레졸, m-아미노페놀, 5-(2-히드록시에틸아미노)-2-메틸페놀, m-페닐렌디아민, 2,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 톨루엔-3,4-디아민, α-나프톨, 2,6-디아미노피리딘, 디페닐아민, 3,3'-이미노디페닐, 1,5-디히드록시나프탈렌 및 탄닌산 및 그들의 염 등이 예시된다.
염모색조의 조정을 위하여 부가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 직접염료로서는, 각종 산성염료, 염기성염료, 니트로염료, 천연염료, 분산염료, HC염료 등이 예시된다.
(계면활성제)
모발화장료의 제1 제 및/또는 제2 제에는, 계면활성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양이온성, 음이온성, 양성이온성, 노니온성의 각종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제 및 제2 제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모두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모두 2.5~8질량%의 범위 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스테아릴트리모늄크롤리드), 염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베헨트리모늄크롤리드),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취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취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에틸황산라놀린 지방산 아미노프로필에틸디메틸암모늄,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사카린, 세틸트리메틸암모늄사카린, 염화메타크리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메틸황산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등이 예시된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에테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이하, POE라고 함)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황산염, 알케닐에테르황산염, 알케닐황산염, 올레핀술폰산염, 알칸술폰산염,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염, 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카르본산염, α-술폰지방산염, N-아실아미노산형 계면활성제, 인산모노 또는 디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 및 술포숙신산에스테르가 예시된다. 이들의 계면활성제의 음이온기의 쌍이온은, 예를 들어 나트륨이온, 칼륨이온, 및 트리에탄올아민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미리스틸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칼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세틸황산나트륨, 스테아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POE)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POE라우릴에테르황산트리에탄올아민, POE라우릴에테르황산암모늄, POE스테아릴에테르황산나트륨, 스테아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도데실벤젠술폰산트리에탄올아민, 테트라데센술폰산나트륨, 라우릴인산나트륨, POE라우릴에테르인산 및 그 염, N-라우로일글루타민산염류(라우로일글루타민산나트륨 등), N-라우로일메틸-β-아라닌염, N-아실글루산염, N-아실글루타민산염, 고급지방산인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및 이들의 고급지방산의 염이 예시된다.
양성 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베타인형,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형, 알킬이미다졸형, 아미노산형의 것이 예시된다.
양성 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라우릴베타인, 이미다졸린, 아미드베타인, 카보베타인, 술포베타인, 히드록시술포베타인, 아미드술포베타인, 2-운데실-N-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륨베타인나트륨, 코코아미드프로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스테아릴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 등이 예시된다.
노니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에테르형과 에스테르형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에테르형의 노니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POE세틸에테르(세테스), POE스테아릴에테르(스테아레스), POE베헤닐에테르, POE올레일에테르(올레스), POE라우릴에테르(라우레스), POE옥틸도데실에테르, POE헥실데실에테르, POE이소스테아릴에테르, POE노닐페닐에테르, 및 POE옥틸페닐에테르를 예시할 수 있다.
에스테르형의 노니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모노올레인산 POE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 POE소르비탄, 모노팔미틴산 POE소르비탄, 모노라우린산 POE소르비탄, 트리올레인산 POE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POE글리세린, 모노미리스틴산 POE글리세린, 테트라올레인산 POE소르비트, 헥사스테아린산 POE소르비트, 모노라우린산 POE소르비트, POE소르비트밀랍, 모노올레인산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라우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친유형 모노올레인산글리세린,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모노올레인산소르비탄, 세스키올레인산소르비탄, 트리올레인산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모노팔미틴산소르비탄, 모노라우린산소르비탄,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모노라우린산데카글리세릴, 모노스테아린산데카글리세릴, 모노올레인산데카글리세릴, 및 모노미리스틴산데카글리세릴을 예시할 수 있다.
(유성성분)
모발화장료의 제1 제 및/또는 제2 제에는, 유성성분을 함유시킬 수 있다. 유성성분으로서, 유지, 왁스류, 고급지방산, 알킬글리세릴에테르, 에스테르류, 실리콘류, 탄화수소 등이 예시된다. 유성성분으로서는, '과제의 해결 수단 및 발명의 효과'란에서 정의한 특정 고급알코올 이외의 고급알코올(탄소수가 6 이상인 것)도 포함된다. 제1 제 및 제2 제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유성성분의 함유량이 모두 1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지로서는, 올리브유, 로즈힙유, 동백유, 시어기름, 마카데미아너츠유, 아몬드유, 차실유, 새플라워유, 해바리기유, 대두유, 면실유, 참기름, 우지, 카카오기름, 옥수수유, 낙화생유, 유채유, 쌀겨유, 쌀배아유, 밀배아유, 율무유, 포도씨유, 아보카도유, 캐럿유, 마카다미아넛츠유, 피마자유, 아마씨유, 야자유, 밍크유, 난황유 등이 예시된다.
왁스류로서는, 밀랍, 칸데리라 왁스, 카나우바 왁스, 호호바유, 라놀린, 고래 왁스, 쌀겨 왁스, 사탕수수 왁스, 팜 왁스, 몬탄 왁스, 면 왁스, 베이베리 왁스, 세락 왁스 등이 예시된다.
고급지방산으로서는,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헤닌산, 이소스테아린산, 히드록시스테아린산,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올레인산, 운데시렌산, 리놀산, 리시놀산, 라놀린지방산 등이 예시된다.
알킬글리세릴에테르로서는, 바틸알콜(모노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키밀알코올(모노세틸글리세릴에테르), 세라킬알코올(모노올레일글리세릴에테르),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등이 예시된다.
에스테르류로서는, 아디프산디이소부틸, 옥탄산세틸,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린산스테아릴, 라우린산헥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미리스틴산트리이소데실, 지방산(C10-30)(콜레스테릴/라노스테릴), 유산라우릴, 초산라노린,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스리톨지방산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N-알킬글리콜,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등이 예시된다.
실리콘류로서는, 디메틸폴리실록산(INCI명: 디메티콘), 히드록시 미만기를 가지는 디메틸폴리실록산(INCI명: 디메티코놀),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평균 중합도가 650~10000의 고중합 실리콘, 아미노변성실리콘, 베타인변성실리콘, 알킬변성실리콘, 알콕시변성실리콘, 카복시변성실리콘 등이 예시된다.
상기 중 아미노 변성 실리콘으로서는, 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INCI명: 아미노프로필디메티콘),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INCI명: 아모디메티콘),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INCI명: 트리메틸시릴아모디메티콘) 등이 예시된다.
탄화수소로서는, α-올레핀올리고머, 경질 이소파라핀,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유동 파라핀, 스콸렌, 폴리부텐, 파라핀,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바세린 등이 예시된다.
(고급알코올)
모발화장료의 제1 제 및/또는 제2 제에는, '제4 발명의 구성'란에서 정의한 특정 고급알코올을 함유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고급알코올이란, 탄소수가 12 이상이고 22 이하인 1가 알코올로서 직쇄형상 또는 분기쇄형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것을 말한다.
제1 제, 제2 제에 있어서의 고급알코올의 함유량은 반드시 한정되지 않지만, 그 바람직한 함유량을 상기한 '고급알코올 지수'에 의하여 서술하면, 고급알코올의 탄소수(a)와 그 고급알코올의 제1 제 또는 제2 제 중에서의 질량% 단위의 함유량값(b)의 적산값(a×b)인 고급알코올 지수의 합계값이 제1 제, 제2 제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1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직쇄형상 포화 고급알코올로서,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세타놀), 스테아릴알코올, 아라킬알코올, 베헤닐알코올을 예시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분기쇄형상 포화 고급알코올로서, 이소스테아릴알코올, 2-헥실도데칸올, 2-옥틸도데칸올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불포화 고급알코올로서 올레일알코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상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탄소수 12~22의 범위 내의 직쇄형상 포화 고급알코올인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세타놀), 스테아릴알코올, 아라킬알코올, 베헤닐알코올이다.
〔모발화장료의 그 밖의 임의적 배합성분〕
모발화장료의 제1 제 및/또는 제2 제에는, 상기한 각종 성분 이외에도, 예를 들어 양이온성 폴리머, 가용화제,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당, 방식제, 안정제, pH 조정제, 식물추출물, 생약추출물, 비타민, 향료,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킬레이트화제 등을 임의로 배합할 수 있다. 그 중 몇 가지를 다음에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양이온성 폴리머)
양이온성 폴리머로서는,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유도체, 디아릴 4급암모늄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4급화 폴리비닐피롤리돈 이외에, 양이온성 전분, 양이온화 구아검 등이 예시된다.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유도체로서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에 염화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을 부가하여 얻어지는 4급암모늄염의 중합체(폴리쿼터늄-10, 예를 들어 리오가드 G, 리오가드 GP; 라이온사, 폴리머 JR-125, 폴리머 JR-400, 폴리머 JR-30M, 폴리머 LR-400, 폴리머 LR-30M; Amerchol사),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디메틸디아릴암모늄크롤리드 공중합체(폴리쿼터늄-4, 예를 들어 셀코트 H-100, 셀코트 L-200; 내셔널스타티앤드케미컬사) 등이 예시된다.
디아릴 4급암모늄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서는, 디메틸디아릴암모늄크롤리드 중합체(폴리염화 디메틸메틸렌피페리듐)〔폴리쿼터늄-6(POLYQUATERNIUM-6), 예를 들어 머콰트 100(MERQUAT 100); 루브리졸사〕, 디메틸디아릴암모늄크롤리드/아크릴산 공중합체〔폴리쿼터늄-22(POLYQUATERNIUM-22), 예를 들어 머콰트 280(MERQUAT 280); 루브리졸사〕, 아크릴산/디아릴 제사급암모늄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폴리쿼터늄-39(POLYQUATERNIUM-39), 예를 들어 머콰트 플러스 3331(MERQUAT PLUS 3331); 루브리졸사〕 등이 예시된다.
4급화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서는, 비닐피롤리돈(VP)과 메타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의 공중합체와 황산디에틸로부터 얻어지는 4급 암모늄염〔폴리쿼터늄-11(POLYQUATERNIUM-11), 예를 들어 가프콰트 734(GAFQUAT 734), 가프콰트 755; 아이에스피·재팬사〕 등이 예시된다.
(가용화제)
가용화제는,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각 제를 액상으로 하기 위하여 배합된다. 가용화제로서는 물이나 다가알코올이나 유기용매를 들 수 있다. 다가알코올로서는 글리콜류, 글리세린류를 들 수 있고, 글리콜류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이, 글리세린류로서는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등이 예시된다. 유기용매로서는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메틸셀로솔브, 메틸카르비톨, 벤질알코올, 페네틸알코올, γ-페닐프로필알코올, 계피알코올, p-메틸벤질알코올, α-페닐에탄올, 페녹시에탄올, 페녹시이소프로판올, N-알킬피롤리돈, 탄산알킬렌, 알킬에테르 등이 예시된다. 특히 물이 바람작하게 사용된다.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상기한 양이온성 폴리머를 제외하고, 음이온성, 비이온성 및 양성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디아릴 4급 암모늄염/아크릴산 공중합체 등이 예시된다.
〔이중구조용기, 모발화장료 용품〕
(이중구조용기)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에서 이용하는 이중구조용기의 일례를 도 2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이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에 직접 관계하지 않는 부분에 대하여는 기능적인 간략한 설명을 하고, 구조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중구조용기(1)의 외용기(4)는 그대로 또는 후술의 뚜껑체에 씌우는 캡(도시 생략)을 바닥부로 하는 거꾸로 선 상태에서 자립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경질이며 견고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내압성의 용기이다. 외용기(4)는 스테인리스 등의 불투명한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하여도 좋은데, 바람직하게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경질에 견고하고 투명하며, 필요한 두께를 구비한 플라스틱재에 의하여 형성한다.
외용기(4)의 내부에는 제1 제 충전용 공간을 구성하는 제1 파우치 형상의 내용기(2)와, 제2 제 충전용 공간을 구성하는 제2 파우치 형상의 내용기(3)를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도 2에 있어서는, 외용기(4)가 투명한 플라스틱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는 전제를 근거로, 내부의 파우치 형상의 내용기(2, 3)를 외부로부터 투시한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내용기(2, 3)는 외용기(4)의 구성재료와는 달리, 비교적 유연하고 가압에 의하여 변형되기 쉬우며, 상대적으로 얇고 유연한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내용기(2, 3)는 내파손성을 고려하여 적층구조의 봉투형상체로 하여도 좋다. 특히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제1 제를 충전하기 위한 제1 내용기(2)는 한정되지 않지만,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용기의 내용물의 감소 정도를 시인할 수 있도록, 제2 내용기(3)는 한정되지 않지만,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용기(4)의 내부에 있어서의 내용기(2, 3)의 설치공간을 제외하는 공간은 분사제 충전공간(9)이 되고, 이 공간에는 분사제를 충전하고 있다. 분사제로서는, 불활성으로 저독성의 질소가스(N2), 탄산가스(CO2) 등을 사용한 압축가스나, 액화가스인 LPG 등이 바람직하다.
외용기(4)의 상단의 개구부(10)는 뚜껑체이기도 한 밸브 유닛(5)에 의하여 기밀하게 폐쇄되어 있다. 밸브 유닛(5)의 내부에는, 도시를 생략하지만, 제1 제용 및 제2 제용의 토출로와, 이들 토출로를 각각 개폐하기 위한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제용 및 제2 제용의 토출로는 각각 내용기(2, 3)의 상단의 개구부와 액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한편, 내용기(2, 3)에는 그들에 충전하는 제1 제, 제2 제의 매끄러운 토출을 촉진하기 위한 전체적으로 사다리 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막대형상체(도시 생략. 예를 들어, 특허문헌 3의 도 1에 나타내는 딥튜브(16A, 16B)를 참조)를 상단의 개구부로부터 끼워 넣어 두어도 좋다.
상기 토출로 개폐용의 1매의 밸브로서는, 본 실시예에서는 이른바 밸브 스템이 채용되고, 그 1쌍의 통형상 스템(11, 12)은 밸브 유닛(5)의 위쪽으로 돌출되며, 액추에이터(6) 내부에 설치한 1쌍의 토출로(도시 생략)에 액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들 액추에이터(6) 내부의 토출로는, 액추에이터(6)의 개구부(13)에 설치한 1쌍의 토출구멍(7, 8)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액추에이터(6) 내부의 1쌍의 토출로는, 개구부(13)에 이르기 전에 합류되어, 개구부(13)의 단일한 토출구멍으로부터 토출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한편, 상기 1쌍의 통형상 스템(11, 12)은 밸브 유닛(5)에 내장된 코일스프링 등의 부세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하여 항상 위쪽으로 부세된 상태로 도시의 위치에 있고, 이때에는 스템 밸브는 '폐쇄' 상태에 있다.
(모발화장료 용품)
본 발명의 모발화장료 용품은, 상기 이중구조용기(1)에 있어서의 내용기(2)와 내용기(3)에 각각 모발화장료의 제1 제와 제2 제를 충전한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 모발화장료 용품의 부가적인 구성요소로서 제3 제가 첨부된다.
제1 제와 제2 제를 충전한 이중구조용기(1)에서는, 내용기(2, 3) 중의 제1 제와 제2 제는 분사제 충전공간(9)의 가압용 분사제에 의하여 항상, 모두 토출압을 받고 있다. 그리고, 상기 부세 스프링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액추에이터(6)를 밀어 내리면, 밸브 스템이 '개방' 상태가 되어, 제1 제와 제2 제가 동시에 토출된다. 액추에이터(6)에 대한 압력을 해제하면, 밸브 스템이 '폐쇄'로 되어, 제1 제와 제2 제의 토출이 동시에 정지한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모발화장료의 조제〕
말미의 표 10 내지 표 13에 각각 조성을 나타내는 제3 실시형태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7,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 따른 2제식 산화염모제의 제1 제와 제2 제를 상법에 따라서 조제하였다. 이들 제1 제와 제2 제는 모두 크림 형상이다. 표에 있어서, 각 성분의 함유량을 나타내는 수치는, 제1 제 또는 제2 제에 있어서의 질량% 단위의 수치이다.
다음으로 각 표에 있어서 '1제 점도', '2제 점도'라고 되어 있는 것은, 각각 각 실시예, 각 비교예에 따른 제1 제 또는 제2 제를 조제 후 3일간 가만히 놓고 안정화시킨 후, 25℃의 조건 하에서 토키산교 주식회사 제품의 B형 점도계인 BL형 점도계 VISCOMETER를 사용하여, 4호 로터에서 1분간, 12rpm/min의 측정조건으로 측정한 점도값(mPa·s)이다.
또한, 각 표에 있어서 '1제 활성제량', '2제 활성제량'이라고 되어 있는 것은, 각각 각 실시예, 각 비교예에 따른 제1 제 또는 제2 제에 있어서의 각종 계면활성제의 합계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또한, 각 표에 있어서 '1제 유량', '2제 유량'이라고 되어 있는 것은, 각각 각 실시예, 각 비교예에 따른 제1 제 또는 제2 제에 있어서의 각종 유성성분의 합계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또한, 각 표에 있어서 '1제 탄소수×질량', '2제 탄소수×질량'이라고 되어 있는 것은, 각각 각 실시예, 각 비교예에 따른 제1 제 또는 제2 제에 있어서의 상기 '고급알코올 지수'의 합계값을 나타낸다.
표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각 실시예, 각 비교예에 따른 제2 제는 모두 pH3.8로 조정하고 있다.
〔모발화장료의 평가〕
각 실시예, 각 비교예에 따른 모발화장료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과산화수소 소비도)
모발화장료의 제2 제가 제1 제와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의 제2 제 중의 과산화수소 소비도를 제1 제와의 접촉 전후에서의 과산화수소의 농도변화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이 과산화수소 소비도는 제1 제와 제2 제의 접촉상태에서의 산소가스 발생량을 평가하는 지표가 된다.
즉, 각각 100ml 톨비커(HARIO 주식회사 제품 몸체 외부직경 50mm, 높이 80mm)로 조제 직후의 각 실시예, 비교예에 따른 제1 제 50g을 천천히 붓고, 다음으로 그 위에 동일한 실시예, 비교예에 따른 조제 직후의 제2 제 50g을 천천히 부었다. 이때, 어떤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도 비커 안에서 제1 제를 바닥층, 제2 제를 표층으로 하는 2층 구조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수분이나 휘발성분의 증발이나 휘발에 의한 측정농도의 오차 발생을 피하기 위하여, 각 실시예, 비교예에 따른 비커의 상단개구부를 바로 사란 랩(등록상표)으로 밀봉한 후에 그대로 냉암소에서 24시간 가만히 방치하였다. 이어서, 각 실시예, 비교예에 따른 비커 안의 2층 구조에서의 표층(제2 제)에 있어서의 표면으로부터 15mm까지의 깊이 부분으로부터 제2 제를 20g 채취하고, 이것을 잘 교반한 후, 과산화수소 농도(D1)(%)를 측정하였다.
한편, 상기한 24시간 방치 직전의 제2 제 중의 과산화수소 농도(D2)(%)는, 각각 35% 과산화수소수로서 제2 제 중에 소정의 질량%만 배합되어 있고, 또한 조제 직후의 제2 제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계산에 의하여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 이상의 점에서, 모발화장료의 제2 제가 제1 제와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의 제2 제 중의 과산화수소 소비도를 제1 제와의 접촉 직후의 과산화수소의 농도변화로서 (D2-D1)의 감산값(%)에 의하여 산출하였다.
이상의 과산화수소의 농도변화의 측정·산출을 각 실시예, 각 비교예에 대하여 3회씩 행하고, 그들의 평균값을 그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 있어서의 과산화수소 소비도로서 평가하였다. 평가기준으로서는, 상기 (D2-D1)의 감산값이 3% 이하인 경우를 '◎', 3% 초과 6% 이하인 경우를 '○', 6% 초과 10% 이하인 경우를 '△', 10% 초과인 경우를 '×'로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각 표의 '과산화수소 소비도'란에 나타낸다.
(토출 후의 균일 혼합성)
상기와 같이 각 실시예, 각 비교예에 따른 제1 제와 제2 제를 조제함에 있어서, 제1 제에는 미리 착색제를 첨가해 두고, 조제 후의 크림 형상의 제1 제와 제2 제를 혼합하였다. 이러한 혼합조작으로서는, 각 실시예, 각 비교예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솔을 사용하여 15회씩 같은 속도로 원을 그리듯이 섞는다는 동일한 조작을 행하였다. 이러한 혼합 조작은 제1 제와 제2 제의 통상의 균일혼합에 준하는 것이다.
상기 혼합조작 후의 각 실시예, 각 비교예에 따른 모발화장료의 색얼룩의 유무를 10명의 패널리스트에게 평가하게 하였다. 평가기준으로는, 색얼룩이 전혀 없는 경우를 '◎', 색얼룩이 거의 없는 경우를 '○', 색얼룩이 다소 많은 경우를 '△', 색얼룩이 많은 경우를 '×'로 하였다. 그리고, 각 실시예, 각 비교예에 대하여 10명의 패널리스트의 가장 다수의 평가를 채용하였다. 가장 다수의 평가가 2종류 이상으로 나뉜 경우에는, 낮은 쪽 평가를 채용하였다. 평가 결과를 각 표의 '토출 후의 균일 혼합성'란에 나타낸다.
(명도)
각 실시예, 각 비교예에 따른 크림 형상의 제1 제 및 제2 제를 조제한 후, 솔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길이 10cm의 평가용 흑모의 모발다발 샘플에 각각 2ml씩을 균일하게 도포하여 30분간 방치하고, 염모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모발다발 샘플을 물로 씻어낸 후 건조시키고, 각각 10명의 패널리스트에게 염모의 명도를 평가하게 하였다. 평가 기준으로서는, 명도가 매우 양호한 경우를 '◎', 양호한 경우를 '○', 나쁘지도 않지만 양호하다고도 할 수 없는 경우를 '△', 나쁜 경우를 '×'로 평가하였다.
어떤 경우에도 10명의 패널리스트의 가장 다수의 평가를 채용하였다. 가장 다수의 평가가 2종류 이상으로 나뉜 경우에는, 낮은 쪽 평가를 채용하였다. 평가 결과를 각 표의 '명도' 란에 나타낸다.
[표 10]
Figure 112019091617097-pat00010
[표 11]
Figure 112019091617097-pat00011
[표 12]
Figure 112019091617097-pat00012
[표 13]
Figure 112019091617097-pat00013
(제4 실시형태)
〔모발화장료〕
우선,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발화장료를 제1 제 및 제2 제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형태에서 서술하는 제1 제와 제2 제의 주요 성분에 대하여 상세하게는 후술한다.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발화장료는, 적어도 제1 제와 제2 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제1 제와 제2 제는, 후술하는 분리충전·동일 가압토출형의 이중구조용기에 있어서의, 예를 들어 봉투형상의 내용기인 제1 제 충전용 공간과 제2 제 충전용 공간에 각각 충전된다. 모발화장료의 제1 제와 제2 제는 모두 유화된 크림 형상의 제형이며, 이중구조용기로부터 같은 크림 형상으로서 토출되는 것이다.
모발화장료로서는, 이러한 제1 제와 제2 제로 이루어지는 2제식을 예시할 수 있는데, 더욱 적당한 처방에 따른 제3 제 등을 부가한 3제식 등의 다제식의 것도 포함된다. 부가되는 제3 제 등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모발화장료가 3제식 등인 경우, 그 제3 제 등은, 통상적으로 제1 제와 제2 제를 충전한 이중구조용기에 첨부되어, 상품으로서의 모발화장료 용품의 구성요소가 된다.
모발화장료의 카테고리는, 적어도 제1 제와 제2 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산화염모제, 모발탈색제, 모발탈염제가 예시된다. 이들은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제1 제와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2 제를 포함하는 점에서 공통되지만, 산화염모제에 있어서는 산화염료를 더 포함한다. 산화염료는 주요 중간체로 이루어지고, 또는 주요 중간체와 커플러로 이루어지는데, 경우에 따라서 직접염료가 더 첨가된다. 모발탈염제에서는, 알칼리제와 더불어 산화조제로서 과황산염이 추가된다.
제4 실시형태의 모발화장료에 있어서, 제1 제 및 제2 제는 25℃에 있어서 B형 회전점도계를 이용한 30rpm에서의 점도(V30)와 12rpm에서의 점도(V12)의 점도비(V30/V12)가 모두 0.5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 이상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모발화장료에 있어서 제1 제에서의 점도비(V30/V12)(f)와 제2 제에서의 점도비(V30/V12)(s)의 값이 서로 1.3배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1.2배를 넘지 않는 범위 내이다.
상기 30rpm에서의 점도(V30)와 12rpm에서의 점도(V12)는 이른바 B형의 회전점도계로, 4호 로터를 사용하여 25℃에서 30rpm에서의 측정점도(V30)(mPa·s) 및 12rpm에서의 측정점도(V12)(mPa·s)로 하여 얻어지는 값을 말한다.
모발화장료의 제1 제는, 바람직하게는 1~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8질량의 합계함유량의 범위 내이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1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모발화장료의 제2 제에도 적절하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1종 이상을 배합하여도 좋다.
모발화장료의 제1 제는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상의 합계함유량의 유성성분의 1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모발화장료의 제2 제에도 적절하게 유성성분의 1종 이상을 배합하여도 좋다.
모발화장료의 제1 제는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고급알코올의 1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고급알코올'이란, 탄소수가 12 이상인 포화 또는 불포화로 직쇄형상 또는 분기쇄형상의 1가 알코올을 말한다. 모발화장료의 제2 제에도 적절하게 고급알코올의 1종 이상을 배합하여도 좋다.
모발화장료의 제1 제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1종 이상의 합계함유량(C(n)과, 고급알코올의 1종 이상의 합계함유량(C(a))의 질량% 단위의 비율(C(n)/C(a))은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3~1.0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0.9의 범위 내이다.
또한, 모발화장료의 제1 제는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1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모발화장료의 제1 제에 합계함유량이 0.2~1질량%인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1종 이상을 함유시키면, 제1 제에 있어서의 유화안정성의 향상, 리올로지 특성의 경시적인 유지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더욱이,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1종 이상의 합계함유량(C(i))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1종 이상의 합계함유량(C(n))의 질량% 단위의 비율(C(i)/C(n))은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모발화장료의 주요 성분〕
다음으로,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발화장료에 함유되는 필수성분 및 주요한 임의적 배합성분의 실시형태를 순차적으로 상세하게 서술한다.
(알칼리제)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알칼리제는,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시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제1 제에 있어서의 알칼리제의 함유량은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1~1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12질량%이다.
(산화제, 산화조제)
(산화염료, 직접염료)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산화제, 산화조제, 산화염료 및 직접염료에 대하여도,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시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계면활성제)
모발화장료의 제1 제에는, 바람직한 임의적 성분으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1종 이상을 상기한 합계함유량의 범위 내에서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모발화장료의 제1 제에는, 바람직한 임의적 성분으로서 양이온성, 음이온성, 양성 이온성의 어느 것인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1종 이상도 배합할 수 있다.
제1 제에 있어서의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1종 이상의 합계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제1 제 중의 0.1~3질량%의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단, 제1 제에 있어서의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특히 제1 제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1종 이상이 배합되어 있는 경우, 이것과 병용하여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병용의 경우에는,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합계함유량(C(i))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합계함유량(C(n))의 질량% 단위의 비율(C(i)/C(n))이 상기한 값이 되도록,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합계함유량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작하다.
모발화장료의 제2 제에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1종 이상 및/또는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1종 이상을 적절한 양적 범위에서 배합하여도 좋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에테르형과 에스테르형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에테르형 및 에스테르형의 노니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시한 것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시한 것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유성성분)
모발화장료의 제1 제에는, 바람직한 임의적 성분으로서 유성성분의 1종 이상을 상기한 합계함유량의 범위 내에서 배합할 수 있다. 모발화장료의 제2 제에도 유성성분을 적절한 양적 범위에서 배합하여도 좋다.
유성성분으로서는, 유지, 왁스류, 고급지방산, 알킬글리세릴에테르, 에스테르류, 실리콘류, 탄화수소 등이 예시된다.
유지로서는, 올리브유, 로즈힙유, 동백유, 시어기름, 마카데미아너츠유, 아몬드유, 차실유, 새플라워유, 해바리기유, 대두유, 면실유, 참기름, 우지, 카카오기름, 옥수수유, 낙화생유, 유채유, 쌀겨유, 쌀배아유, 밀배아유, 율무유, 포도씨유, 아보카도유, 캐럿유, 마카다미아넛츠유, 피마자유, 아마씨유, 야자유, 밍크유, 난황유 등이 예시된다.
유성성분으로서의 왁스류, 고급지방산, 에스테르류, 실리콘류, 탄화수소로서는, 각각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성성분으로서 예시한 것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고급알코올)
모발화장료의 제1 제에는, 바람직한 임의적 성분으로서 고급알코올의 1종 이상을 배합할 수 있다. 제1 제에 있어서의 고급알코올의 합계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제1 제 중의 0.5~10질량%의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단, 제1 제에 있어서의 고급알코올의 1종 이상은, 특히 제1 제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1종 이상이 배합되어 있는 경우, 이것과 병용하여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병용의 경우에는, 제1 제에 있어서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합계함유량(C(n))과 고급알코올의 합계합유량(C(a))의 질량% 단위의 비율(C(n)/C(a))이 상기한 값이 되도록 고급알코올의 합계함유량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발화장료의 제2 제에도 고급알코올의 1종 이상을 적절한 양적 범위에서 배합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직쇄형상 포화 고급알코올로서,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세타놀), 스테아릴알코올, 아라킬알코올, 베헤닐알코올을 예시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분기쇄형상 포화 고급알코올로서, 이소스테아릴알코올, 2-헥실도데칸올, 2-옥틸도데칸올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불포화 고급알코올로서 올레일알코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상 중에 특히 바람직한 것은 탄소수가 12~22의 범위 내의 직쇄형상 포화 고급알코올인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세타놀), 스테아릴알코올, 아라킬알코올, 베헤닐알코올이다.
〔모발화장료의 그 밖의 임의적 배합성분〕
모발화장료의 제1 제 및/또는 제2 제에는, 상기한 각종 성분 이외에도, 예를 들어 양이온성 폴리머, 가용화제,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당, 방식제, 안정제, pH조정제, 식물추출물, 생약추출물, 비타민, 향료,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킬레이트화제 등을 임의로 배합할 수 있다. 그 중의 몇 가지를 다음에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양이온성 폴리머)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양이온성 폴리머로서는,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발화장료의 그 밖의 임의적 배합성분'의 양이온성 폴리머로서 예시한 것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가용화제)
가용화제는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각 제를 액상으로 하기 위하여 배합된다. 가용화제로서는 물이나 유기용매를 들 수 있다. 유기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탄소수 1~3의 1가 알코올(저급알코올), 다가알코올로서의 글리콜류 및 글리세린류, 및 디에틸렌글리콜 저급알킬에테르가 예시된다. 탄소수 1~3의 1가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이 예시된다. 글리콜류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이 예시된다. 글리세린류로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및 폴리글리세린이 예시된다. 디에틸렌글리콜 저급알킬에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에틸카르비톨)가 예시된다.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상기한 양이온성 폴리머를 제외하고, 음이온성, 비이온성 및 양성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디아릴 4급 암모늄염/아크릴산 공중합체 등이 예시된다
〔이중구조용기, 모발화장료 용품〕
(이중구조용기)
제4 실시형태에서 이용하는 이중구조용기는,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도 2를 참조)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모발화장료 용품)
본 발명의 모발화장료 용품은, 도 2에 나타내는 이중구조용기(1)에 있어서의 내용기(2)와 내용기(3)에 각각 모발화장료의 제1 제와 제2 제를 충전한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 모발화장료 용품의 부가적인 구성요소로서 제3 제가 첨부된다.
제1 제와 제2 제를 충전한 이중구조용기(1)에서는, 내용기(2, 3) 중의 제1 제와 제2 제는 분사제 충전 공간(9)의 압축가스에 의하여 항상 모두 토출압을 받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부세 스프링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액추에이터(6)를 밀어 내리면, 밸브 스템이 '개방' 상태가 되어, 제1 제와 제2 제가 동시에 토출된다. 액추에이터(6)에 대한 압력을 해제하면, 밸브 스템이 '폐쇄'로 되어, 제1 제와 제2 제의 토출이 동시에 정지한다.
[실시예]
다음으로, 제4 실시형태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모발화장료의 조제〕
말미의 표 14 내지 표 17에 조성을 나타내는 제4 실시형태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3,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의 각 예에 따른 2제식 산화염모제의 제1 제와 제2 제를 상법에 따라서 조제하였다. 이들 제1 제와 제2 제는 모두 유화된 크림 형상의 제제이다. 표에 있어서, 각 성분의 함유량을 나타내는 수치는, 제1 제 또는 제2 제에 있어서의 질량% 단위의 수치이다.
다음으로, 각 표에 있어서, 제1 제, 제2 제에 대하여 각각 '30rpm 점도(mPa·s) 3일 후'로 되어 있는 것은, 각 실시예, 각 비교예에 따른 제1 제 또는 제2 제를 조제 후 3일간 가만히 놓고 안정화시킨 후, 25℃의 조건 하에서 도키산교 주식회사 제품의 B형 점도계인 BL형 점도계 VISCOMETER를 이용하여, 4호 로터에서 1분간, 30rpm/min의 측정조건으로 측정한 점도값(mP·s)이다. 또한, '12rpm 점도(mP·s) 3일 후'로 되어 있는 것은, 각 실시예, 각 비교예에 따른 제1 제 또는 제2 제를 조제 후 3일간 가만히 두고 안정화시킨 후, 25℃의 조건 하에서 도키산교 주식회사 제품의 B형 점도계인 BL형 점도계 VISCOMETER를 이용하여, 4호 로터에서 1분간, 12rpm/min의 측정조건으로 측정한 점도값(mP·s)이다.
또한, 각 표에 있어서, 제1 제, 제2 제에 대하여 각각 'V30/V12(f)', 'V30/V12(s)'로 되어 있는 것은, 각 예에 따른 제1 제(f)와 제2 제(s)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측정점도(V30)와 측정점도(V12)의 비'V30/V12(f)'의 값을 나타낸 것이다. 각 실시예, 각 비교예에 따른 제1 제의 점도비(V30/V12(f))와, 제2 제의 점도비(V30/V12(s))의 양자의 값이, 서로 1.3배를 넘는지 아닌지, '(V30/V12(f))/(V30/V12(s))'란과 '(V30/V12(s))/(V30/V12(f))'란에 계산결과를 나타낸다. 한편, 'V30/V12(f)', 'V30/V12(s)'란에는 소수점 이하 제3위에서 반올림한 수치를 기입하였는데, '(V30/V12(f))/(V30/V12(s))', '(V30/V12(s))/(V30/V12(f))'의 계산에 있어서는, 소수점 이하 제3위에서 반올림하지 않는 'V30/V12(f)', 'V30/V12(s)'의 수치를 사용하여 계산하고 있다.
다음으로, 각 표에 있어서, 제1 제에 대하여 '노니온양', '유성분량'이란, 각 예에 따른 제1 제 중의 각각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유성성분의 합계함유량을 질량% 단위의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다음으로, 각 표에 있어서, 제1 제에 대하여 'C(n)/C(a)'란, 제1 제 중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합계함유량(C(n))과 고급알코올의 합계함유량(C(a))과의 질량% 단위의 비율 'C(n)/C(a)'의 값을 나타낸 것이다.
더욱이, 각 표에 있어서, 제1 제에 대하여 'C(i)/C(n)'이란, 제1 제 중의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합계함유량(C(i))과 제1 제 중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합계함유량(C(n))과의 질량% 단위의 비율 'C(i)/C(n)'의 값을 나타낸 것이다.
〔모발화장료의 평가〕
(유화안정성)
각 실시예, 각 비교예에 따른 크림 형상의 제1 제를 조제한 후, 즉시 60℃의 항온실로 옮겨 가만히 놓고, 유상(油相)과 수상(水相)의 상분리가 발생할 때까지의 소요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유화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층분리가 발생할 때까지 72시간 이상을 필요로 한 경우에 '◎', 24시간 이상에서 72시간 미만을 필요로 한 경우에 '○', 12시간 이상에서 24시간 미만을 필요로 한 경우에 '△', 12시간 미만에서 층분리가 발생한 경우를 '×'로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각 표의 '유화안정성'란에 나타낸다.
(염모성능)
각 실시예, 각 비교예에 따른 크림 형상의 제1 제 및 제2 제를 조제한 후, 솔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길이 10cm의 평가용 백모 혼합의 모발다발 샘플에 각각 2ml씩을 균일하게 도포하여 30분간 방치하고, 염모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모발다발 샘플을 물로 씻어낸 후 건조시키고, 각각 10명의 패널리스트에게 염모효과를 평가하게 하였다. 평가의 기준으로는, 염모효과가 매우 양호한 경우를 '◎', 양호한 경우를 '○', 나쁘지도 않지만 양호하다고도 할 수 없는 경우를 '△', 나쁜 경우를 '×'로 평가하였다.
어떠한 경우에도 10명의 패널리스트의 가장 다수의 평가를 채용하였다. 가장 다수의 평가가 2종류로 나뉜 경우에는, 낮은 쪽 평가를 채용하였다. 평가 결과를 각 표의 '염모성능'란에 나타낸다.
(등량토출성)
각 실시예, 각 비교예에 따른 크림 형상의 제1 제 및 제2 제를 분리충전·동일 가압토출형의 이중구조용기에 각각 동일한 기지량(旣知量)만큼 충전한 후, 제1 제와 제2 제의 동시 토출조작을 제2 제의 충전량의 딱 절반의 양(질량% 기준)이 토출될 때까지 행하고, 그 시점에서 동시 토출조작을 정지하였다.
그리고, 그 시점까지의 제1 제의 질량기준의 토출량을 측정하여, 제2 제의 토출량에 대한 제1 제의 토출량의 질량기준의 비가 0.9이상~1.1이하인 경우를 '◎', 그 비가 0.8이상~0.9미만, 또는 1.1초과~1.2이하인 경우를 '○', 그 비가 0.7이상~0.8미만, 또는 1.2초과~1.3이하인 경우를 '△', 그 비가 0.7미만, 또는 1.3초과인 경우를 '×'라고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를 각 표의 '등량토출성'란에 나타낸다.
[표 14]
Figure 112019091617097-pat00014
[표 15]
Figure 112019091617097-pat00015
[표 16]
Figure 112019091617097-pat00016
[표 17]
Figure 112019091617097-pat00017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원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하여, 파우치 용기 내의 잔량을 적게 할 수 있는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원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하여, 일광 조사 하에서도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에 뛰어난 제2 제가 제공된다. 즉, 잔량을 시인할 수 있는 이중구조용기로의 충전에 적합한 제2 제가 제공된다. 또한, 그 제2 제를 구성에 포함하는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 및 에어로졸식의 모발화장료 용품이 제공된다.
본원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하여, 이중구조용기에 있어서 봉투형상체로부터 바깥쪽 용기의 내부에 누출된 제1 제와 제2 제의 접촉에 의한 산소가스의 발생이 적은 모발화장료가 제공된다.
본원의 제4 실시형태에 의하여, 특정한 토출기구를 가지는 이중구조용기에 의한 제1 제와 제2 제의 등량토출이 가능하고, 경시적으로도 등량토출성을 유지할 수 있는 리올로지 특성을 구비한 모발화장료가 제공된다.
1: 이중구조용기
2: 제1 내용기
3: 제2 내용기
4: 외용기
5: 밸브 유닛
6: 액추에이터
7, 8: 토출구멍
9: 분사제 충전공간
10: 개구부
11, 12: 통형상 스템
13: 개구부

Claims (1)

  1.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제1 제와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2 제를 구성에 포함하고, 산화염모제 또는 모발탈색제인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한 상기 제1 제를 충전하는 제1 내용기와 상기 제2 제를 충전하는 제2 내용기가 동일한 외용기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외용기와 상기 각 내용기 사이의 공간이 분사제를 충전하는 분사제 충전공간이 되며, 상기 제1 제 및 상기 제2 제를 동시에 토출하는 기구를 구비한 이중구조용기에 충전하여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제1 내용기 및 상기 제2 내용기가, 수지층을 포함하는 단층 또는 다층 구조의 시트재를 접합하여 형성한 파우치 용기이며, 그 파우치 용기의 최내층은 폴리올레핀 수지층이고,
    상기 파우치 용기에 충전되는 제1 제 및 제2 제는 각각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고급알코올을 함유하며, 질량기준의 함유량비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고급알코올=0.07~1.8의 조건을 만족하고, 또한, 파우치 용기 충전제에 있어서의 질량기준의 함유량비인 탄소수 14~18의 고급알코올/모든 고급알코올을 0.7 이상으로 하는, 에어로졸식 모발화장료 조성물.
KR1020197026147A 2013-06-28 2014-06-27 모발화장료 조성물 및 그 산화물 함유 조성물, 모발화장료 및 모발화장용품 KR102148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36476A JP6292778B2 (ja) 2013-06-28 2013-06-28 エアゾール式毛髪化粧料組成物の第2剤
JP2013136475A JP6502007B2 (ja) 2013-06-28 2013-06-28 エアゾール式毛髪化粧料組成物
JPJP-P-2013-136476 2013-06-28
JPJP-P-2013-136475 2013-06-28
JPJP-P-2013-139321 2013-07-02
JP2013139321A JP6338329B2 (ja) 2013-07-02 2013-07-02 毛髪化粧料及び毛髪化粧料用品
JP2013142176A JP6391919B2 (ja) 2013-07-05 2013-07-05 毛髪化粧料及び毛髪化粧料用品
JPJP-P-2013-142176 2013-07-05
PCT/JP2014/067208 WO2014208735A1 (ja) 2013-06-28 2014-06-27 毛髪化粧料組成物及びその酸化物含有組成物、毛髪化粧料並びに毛髪化粧用品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416A Division KR102099801B1 (ko) 2013-06-28 2014-06-27 모발화장료 조성물 및 그 산화물 함유 조성물, 모발화장료 및 모발화장용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674A KR20190105674A (ko) 2019-09-17
KR102148838B1 true KR102148838B1 (ko) 2020-08-27

Family

ID=5214206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416A KR102099801B1 (ko) 2013-06-28 2014-06-27 모발화장료 조성물 및 그 산화물 함유 조성물, 모발화장료 및 모발화장용품
KR1020177017417A KR102099802B1 (ko) 2013-06-28 2014-06-27 모발화장료 조성물 및 그 산화물 함유 조성물, 모발화장료 및 모발화장용품
KR1020197026147A KR102148838B1 (ko) 2013-06-28 2014-06-27 모발화장료 조성물 및 그 산화물 함유 조성물, 모발화장료 및 모발화장용품
KR1020157001491A KR20150023821A (ko) 2013-06-28 2014-06-27 모발화장료 조성물 및 그 산화물 함유 조성물, 모발화장료 및 모발화장용품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416A KR102099801B1 (ko) 2013-06-28 2014-06-27 모발화장료 조성물 및 그 산화물 함유 조성물, 모발화장료 및 모발화장용품
KR1020177017417A KR102099802B1 (ko) 2013-06-28 2014-06-27 모발화장료 조성물 및 그 산화물 함유 조성물, 모발화장료 및 모발화장용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491A KR20150023821A (ko) 2013-06-28 2014-06-27 모발화장료 조성물 및 그 산화물 함유 조성물, 모발화장료 및 모발화장용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20160128915A1 (ko)
EP (1) EP3015099B1 (ko)
KR (4) KR102099801B1 (ko)
CN (4) CN108082752A (ko)
SG (2) SG10201710783VA (ko)
TW (3) TWI766461B (ko)
WO (1) WO20142087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17024A1 (de) * 2013-08-27 2015-03-05 Henkel Ag & Co. Kgaa Produkte im Spender zur oxidativen Farbveränderung von keratinischen Fasern
DE102014226364A1 (de) 2014-12-18 2016-06-23 Henkel Ag & Co. Kgaa Zwei-Komponenten-Produkte in Beuteln zur oxidativen Farbeveränderung von keratinischen Fasern
JP6570263B2 (ja) 2015-02-27 2019-09-04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2液混合型エアゾール製品
JP6570264B2 (ja) * 2015-02-27 2019-09-04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2液混合型エアゾール製品
EP3380248A1 (en) * 2015-11-27 2018-10-0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ulti-component fragrance dispensing apparatus
EP3181244A1 (de) * 2015-12-18 2017-06-21 HILTI Aktiengesellschaft Baugruppe aus einem foliengebinde und einer auspressvorrichtung sowie foliengebinde
CN117898952A (zh) * 2015-12-28 2024-04-19 花王株式会社 气溶胶型染发用或毛发脱色用化妆品
WO2017115820A1 (ja) * 2015-12-28 2017-07-06 花王株式会社 エアゾール型染毛剤又は毛髪脱色剤の第2剤組成物
CN117017797A (zh) * 2015-12-28 2023-11-10 花王株式会社 气溶胶型染发用或毛发脱色用化妆品
JP6869760B2 (ja) * 2016-03-18 2021-05-12 花王株式会社 エアゾール染毛化粧品
CN108024918A (zh) * 2016-03-25 2018-05-11 株式会社漫丹 整发剂组合物
JP6821167B2 (ja) * 2016-05-25 2021-01-27 ホーユー株式会社 毛髪化粧料組成物
FR3052035B1 (fr) * 2016-06-02 2020-10-09 Oreal Systeme de distribution d'un produit cosmetique
WO2018062971A1 (ko) * 2016-09-30 2018-04-05 (주)아모레퍼시픽 미세 유체 채널에 기반하여 순간 유화된 멀티플 제형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 장치
DE102016012650A1 (de) * 2016-10-24 2018-04-26 Beiersdorf Ag Mehrkomponentenapplikator
US11607168B2 (en) 2016-11-30 2023-03-21 Conopco, Inc. Method of assessing hair
JP7406218B2 (ja) * 2017-06-30 2023-12-27 ホーユー株式会社 酸化剤含有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WO2019016977A1 (ja) * 2017-07-19 2019-01-24 株式会社サニープレイス 毛髪化粧料組成物、ヘアカラー剤組成物、ヘアカラートリートメント方法
US10918183B2 (en) 2017-12-21 2021-02-16 L'oreal Hair color cartridge and compositions for use in the hair color cartridge
JP6994970B2 (ja) * 2018-02-08 2022-01-14 株式会社サニープレイス ヘアカラー方法
EP3766586B1 (en) * 2018-04-06 2024-03-27 Toyo Aerosol Industry Co., Ltd. Aerosol product
CN112384307B (zh) * 2018-06-29 2023-06-16 宝洁公司 双相产品分配器
JP7208267B2 (ja) 2018-06-29 2023-01-1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二相製品
WO2020005787A2 (en) 2018-06-29 2020-01-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ual phase products
US11603257B2 (en) 2018-07-18 2023-03-14 Daizo Corporation Double pressurized container, discharge product, discharge member, dispenser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discharge product
US20210346268A1 (en) * 2018-10-18 2021-11-11 Sunnyplace Co., Ltd. Hair coloring method
KR102252534B1 (ko) * 2018-12-14 2021-05-14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혼합용 주 용기, 화장료 혼합용 보조 용기 및 이들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252373B1 (ko) * 2018-12-31 2021-05-14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제조 장치
JP2022519111A (ja) * 2019-02-01 2022-03-18 エルジー ハウスホールド アンド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髪染め用の製剤
KR102086071B1 (ko) * 2019-02-01 2020-03-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염색용 제제
JP6801738B2 (ja) * 2019-04-12 2020-12-16 東洋製罐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およびエアゾール容器のアクチュエータ
EP3996851A1 (en) * 2019-07-09 2022-05-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composition product dispenser
KR20220007738A (ko) 2019-07-09 2022-01-18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다중-성분 제품 분배기
JP7323168B2 (ja) * 2019-08-26 2023-08-08 株式会社アリミノ 酸化染毛剤第一剤
US11298308B1 (en) * 2021-05-13 2022-04-12 Elc Management Llc Hair bleach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CN115350112B (zh) * 2022-04-18 2024-04-19 广州艾柔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染发组合物及其制备方法、应用以及染发慕斯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1359A (ja) * 2002-08-30 2004-03-25 Kanebo Ltd エアゾール型クリーム状染毛剤
JP2005194207A (ja) 2003-12-26 2005-07-21 Kao Corp 二剤式毛髪化粧料
JP2005231644A (ja) 2004-02-17 2005-09-02 Toyo Seikan Kaisha Ltd 染毛剤における二重構造エアゾール缶容器及びエアゾール缶容器に収納される内装パウチ
JP2007217293A (ja) 2006-02-14 2007-08-30 Kao Corp 染毛用又は毛髪脱色用第2剤組成物
JP2012180318A (ja) * 2011-03-02 2012-09-20 Hoyu Co Ltd 毛髪化粧料組成物
JP2013043659A (ja) * 2011-08-22 2013-03-04 Daizo:Kk 2液吐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650174A (en) * 1973-03-14 1975-09-11 John Thompson Spraying gels
US5012978A (en) * 1988-10-03 1991-05-07 Bolduc Lee R Aerosol dispenser and method
JP2000297018A (ja) * 1999-04-13 2000-10-24 Hoyu Co Ltd 毛髪化粧剤、毛髪化粧品及び毛髪化粧剤の使用方法
JP2001122364A (ja) * 1999-10-27 2001-05-08 Hoyu Co Ltd 二重エアゾール容器
US6783558B2 (en) * 2001-03-15 2004-08-31 Kao Corporation Hair coloring method and composition
JP2005500341A (ja) * 2001-07-30 2005-01-06 プラグマティック ビジョ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メラニンの溶解剤および、それをケラチン質繊維に適用する方法
CN1241541C (zh) * 2001-08-27 2006-02-15 株式会社漫丹 头发处理用组合物
JP2003201225A (ja) * 2001-10-30 2003-07-18 Kanebo Ltd エアゾール型クリーム状染毛剤
JP2002240873A (ja) 2001-12-25 2002-08-28 Hoyu Co Ltd エアゾール容器及び2剤吐出容器
GB0209136D0 (en) * 2002-04-22 2002-05-29 Procter & Gamble Durable hair treatment composition
ATE490932T1 (de) * 2002-06-26 2010-12-15 Daizo Co Ltd Verpackungsbehulter zum austragen von mehreren inhalten, verpackungsprodukt mit dem verpackungsbehult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verpackungsprodukts
JP2004075099A (ja) * 2002-08-13 2004-03-11 Toyo Seikan Kaisha Ltd 二重構造容器
US7967220B2 (en) * 2002-09-13 2011-06-28 Bissell Homecare, Inc. Manual sprayer with dual bag-on-valve assembly
JP2004161292A (ja) * 2002-11-11 2004-06-10 Daizo:Kk 複数内容物吐出用の包装製品
JP2004189717A (ja) * 2002-11-27 2004-07-08 Shiseido Co Ltd 染毛用組成物
JP2005194205A (ja) * 2003-12-26 2005-07-21 Kao Corp 二剤式毛髪化粧料
AU2005289777B2 (en) * 2004-09-24 2010-08-12 Noxell Corporation Methods of rapid hair dyeing
JP4955920B2 (ja) * 2004-12-08 2012-06-20 花王株式会社 染毛剤組成物
JP3947554B1 (ja) * 2006-05-17 2007-07-25 英昌化学工業株式会社 染毛剤第2剤用の過酸化水素含有組成物
JP5351376B2 (ja) 2006-05-24 2013-11-27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化粧料
DE602006016590D1 (de) * 2006-07-12 2010-10-14 Procter & Gamble Auf Gelnetzwerk-Emulgatoren basierende Verdickersysteme für Haarfärbe und Haaraufhellungszusammensetzungen
JP5275581B2 (ja) * 2007-05-22 2013-08-28 花王株式会社 毛髪脱色又は染色用組成物
JP2008105753A (ja) * 2007-12-17 2008-05-08 Daizo:Kk 2液吐出用のエアゾールバルブ、隔壁部材、係合部材および内部容器
JP2010235578A (ja) 2009-03-11 2010-10-21 Kao Corp 二剤式染毛剤
JP5630989B2 (ja) * 2009-03-11 2014-11-26 花王株式会社 二剤式染毛剤
JPWO2011151880A1 (ja) * 2010-05-31 2013-07-25 ホーユー株式会社 毛髪化粧料組成物と発泡用具のセット及び毛髪化粧料組成物の使用方法
JP5580677B2 (ja) * 2010-07-15 2014-08-2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放電灯点灯回路
JP6077737B2 (ja) * 2011-10-07 2017-02-08 株式会社ダイゾー 二重エアゾール製品
CN103328347B (zh) * 2010-12-22 2015-05-27 株式会社大造 阀总成以及使用它的空气溶胶容器、空气溶胶制品及其制造方法
JP2012229318A (ja) 2011-04-26 2012-11-22 Toyo Aerosol Ind Co Ltd 泡沫形成用エアゾール製品
EP2816994B1 (en) * 2012-02-24 2020-01-01 Noxell Corporation Hair colouring methods and compositions thereof
WO2015180737A1 (en) * 2012-12-20 2015-12-03 Kao Germany Gmbh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emuls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1359A (ja) * 2002-08-30 2004-03-25 Kanebo Ltd エアゾール型クリーム状染毛剤
JP2005194207A (ja) 2003-12-26 2005-07-21 Kao Corp 二剤式毛髪化粧料
JP2005231644A (ja) 2004-02-17 2005-09-02 Toyo Seikan Kaisha Ltd 染毛剤における二重構造エアゾール缶容器及びエアゾール缶容器に収納される内装パウチ
JP2007217293A (ja) 2006-02-14 2007-08-30 Kao Corp 染毛用又は毛髪脱色用第2剤組成物
JP2012180318A (ja) * 2011-03-02 2012-09-20 Hoyu Co Ltd 毛髪化粧料組成物
JP2013043659A (ja) * 2011-08-22 2013-03-04 Daizo:Kk 2液吐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38524A1 (en) 2019-02-07
TW201507732A (zh) 2015-03-01
KR20160035614A (ko) 2016-03-31
KR20190105674A (ko) 2019-09-17
TW201924652A (zh) 2019-07-01
US20160128915A1 (en) 2016-05-12
TWI766461B (zh) 2022-06-01
CN108082752A (zh) 2018-05-29
KR102099802B1 (ko) 2020-04-10
SG11201510473RA (en) 2016-01-28
EP3015099A1 (en) 2016-05-04
KR20170076809A (ko) 2017-07-04
TWI659743B (zh) 2019-05-21
CN108042375A (zh) 2018-05-18
US20190038523A1 (en) 2019-02-07
CN105358120A (zh) 2016-02-24
EP3015099A4 (en) 2017-04-26
US20190038525A1 (en) 2019-02-07
KR102099801B1 (ko) 2020-04-10
SG10201710783VA (en) 2018-02-27
CN108042374A (zh) 2018-05-18
EP3015099B1 (en) 2020-06-17
TW202112347A (zh) 2021-04-01
WO2014208735A1 (ja) 2014-12-31
CN105358120B (zh) 2022-07-08
KR20150023821A (ko) 2015-03-05
TWI745674B (zh)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838B1 (ko) 모발화장료 조성물 및 그 산화물 함유 조성물, 모발화장료 및 모발화장용품
JP6338329B2 (ja) 毛髪化粧料及び毛髪化粧料用品
FR2989586A1 (fr) Procede de coloration mettant en oeuvre un melange comprenant un polymere cationique particulier, obtenu a partir d&#39;un dispositif aerosol, et dispositif
JP6502007B2 (ja) エアゾール式毛髪化粧料組成物
FR2989578A1 (fr) Procede de coloration mettant en oeuvre un melange comprenant un polyol ramifie en c6-c12, obtenu a partir d&#39;un dispositif aerosol et dispositif
JP6292778B2 (ja) エアゾール式毛髪化粧料組成物の第2剤
JP6978183B2 (ja) 毛髪化粧料
JP6391919B2 (ja) 毛髪化粧料及び毛髪化粧料用品
JP7463301B2 (ja) レベル2着色用冷間生産からの酸化的ヘアブライトナーまたは染毛剤
WO2019088134A1 (ja) 染毛用第1剤組成物
JP6858164B2 (ja) 毛髪化粧料及び毛髪化粧料用品
FR2989585A1 (fr) Procede de coloration mettant en oeuvre un melange comprenant un polymere epaississant associatif, obtenu a partir d&#39;un dispositif aerosol et dispositif
FR2989579A1 (fr) Procede de coloration mettant en oeuvre un melange comprenant un alcool gras liquide et un tensio-actif amphotere ou zwiterrionique, obtenu a partir d&#39;un dispositif aerosol
JP6557772B2 (ja) エアゾール式毛髪化粧料組成物
US20240041730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ltering the color of hair
JP2018090623A (ja) 毛髪化粧料及び毛髪化粧料用品
CN110693761A (zh) 毛发化妆品组合物
FR2989580A1 (fr) Procede de coloration mettant en oeuvre un melange comprenant un tensio-actif non-ionique oxyethylene, obtenu a partir d&#39;un dispositif aerosol
JP2020183349A (ja) 酸化染料含有組成物
FR2989582A1 (fr) Procede de coloration mettant en oeuvre un melange obtenu a partir d&#39;un dispositif aerosol comprenant un acide ether carboxylique oxyalkylene et dispositi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