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797B1 - 테이프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테이프 카트리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4797B1 KR102144797B1 KR1020187024946A KR20187024946A KR102144797B1 KR 102144797 B1 KR102144797 B1 KR 102144797B1 KR 1020187024946 A KR1020187024946 A KR 1020187024946A KR 20187024946 A KR20187024946 A KR 20187024946A KR 102144797 B1 KR102144797 B1 KR 1021447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pe
- cartridge
- printing
- wall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329 compou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2/00—Ink-ribbon cartridges
- B41J32/02—Ink-ribbon cartridges for endless ribb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4—Cassettes or cartridges containing continuous copy material, tape, for setting into prin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32—Detachable carriers or holders f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mechanis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2/00—Ink-ribbon cartridges
Landscapes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Abstract
테이프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와, 장착된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로부터 인쇄 테이프를 풀어내면서 이송하는 테이프 이송 기구부와, 상기 인쇄 테이프의 이송에 동기하여 잉크 리본을 이송하는 리본 이송 기구부와, 상기 인쇄 테이프에 인쇄를 행함과 함께, 인쇄 위치와 퇴피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인쇄 헤드부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쇄 헤드부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상기 인쇄 헤드부를 덮음과 함께 복수의 모서리부를 갖는 헤드 커버와, 상기 헤드 커버의 1개의 모서리부에 돌출 형성된 볼록부를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테이프 카트리지로서,
상기 테이프 이송 기구부로부터 동력 전달되고, 상기 인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 테이프 및 상기 잉크 리본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인쇄 헤드부에 대치하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잉크 리본을 권취하는 권취 코어와,
상기 인쇄 테이프, 상기 잉크 리본, 상기 플래튼 롤러 및 상기 권취 코어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케이스와,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에 상기 헤드 커버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와,
상기 삽입 개구의 내벽부 중, 상기 인쇄 테이프를 수용하는 테이프 수용 영역측에 위치하는 제1 내벽부와, 상기 잉크 리본을 수용하는 리본 수용 영역측에 위치하는 제2 내벽부가 교차하는 코너부로서,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볼록부에 대향하는 개소에 대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상기 테이프 이송 기구부로부터 동력 전달되고, 상기 인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 테이프 및 상기 잉크 리본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인쇄 헤드부에 대치하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잉크 리본을 권취하는 권취 코어와,
상기 인쇄 테이프, 상기 잉크 리본, 상기 플래튼 롤러 및 상기 권취 코어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케이스와,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에 상기 헤드 커버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와,
상기 삽입 개구의 내벽부 중, 상기 인쇄 테이프를 수용하는 테이프 수용 영역측에 위치하는 제1 내벽부와, 상기 잉크 리본을 수용하는 리본 수용 영역측에 위치하는 제2 내벽부가 교차하는 코너부로서,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볼록부에 대향하는 개소에 대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Description
본 발명은, 테이프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하여 이용되는 테이프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 테이프 및 잉크 리본을 탑재한 테이프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테이프 카트리지 및 이 테이프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로서, 이하의 테이프 카트리지와 테이프 인쇄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테이프 카트리지는, 인쇄 테이프가 테이프 코어에 감겨 있는 테이프체와, 잉크 리본이 리본 권취 코어에 감겨 있는 리본체와, 사용후의 잉크 리본을 권취하는 리본 권취 코어와, 인쇄 테이프를 테이프체로부터 풀어내 공급하는 플래튼 롤러와, 테이프체, 리본체, 리본 권취 코어 및 플래튼 롤러를 수용한 카트리지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테이프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의 바닥판 상에, 테이프 코어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돌기와, 헤드 커버로 덮인 인쇄 헤드와, 플래튼 롤러를 회전시키는 플래튼 구동축과, 리본 권취 코어를 통하여 잉크 리본을 권취하는 리본 권취 구동축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장착부의 하측 공간에는, 플래튼 구동축 및 리본 권취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구동의 테이프 이송 기구가 내장되어 있다.
그런데, 이 테이프 카트리지를 이러한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하는 경우, 스스로 헤드 커버가 초기의 장착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그런데, 헤드 커버에, 헤드 커버를 보강하는 리브가 형성된 경우, 가이드 기능을 해치지 않으면서, 돌출하는 리브의 치수에 대응하도록, 테이프 카트리지의 삽입 개구를 크게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면, 헤드 커버와 삽입 개구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인쇄 헤드 또는 플래튼 롤러 주변으로 먼지 등이 침입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테이프 카트리지에서는, 테이프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 인쇄 테이프 및 잉크 리본을 이송하도록, 플래튼 구동축으로부터 플래튼 롤러로 회전력이 인가된다. 동일하게, 잉크 리본을 권취하도록, 리본 권취 구동축으로부터 리본 권취 코어에 회전력이 작용한다. 플래튼 롤러에 입력하는 회전력의 일부는, 플래튼 롤러와 그 베어링 부분의 사이의 마찰에 의해, 베어링부를 통하여 카트리지 케이스에 회전 모멘트로서 인가된다. 동일하게, 리본 권취 코어에 입력된 회전력의 일부도, 카트리지 케이스에 회전 모멘트로서 인가된다.
이 경우, 플래튼 롤러는, 평면으로 본 경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리본 권취 코어는, 평면으로 본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테이프 카트리지에는, 플래튼 롤러측의 회전 모멘트와, 리본 권취 코어측의 회전 모멘트의 합성력이 작용한다. 이 합성력은, 플래튼 롤러와 리본 권취 코어를 연결하는 가상선 상에 있어서는, 회전력은 서로 상쇄하는 벡터 성분이 없기 때문에, 가상선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겹쳐, 가장 큰 힘으로서 인가된다. 이 때문에, 테이프 인쇄 장치가 구동하여 인쇄를 행하면, 카트리지 장착부 내에서 테이프 카트리지의 위치가 어긋날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테이프 카트리지의 위치 어긋남은, 인쇄 헤드에 대한 테이프 카트리지의 위치 어긋남으로 되어, 인쇄 품질에 악영향을 준다.
본 발명은,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한 장착의 가이드 기능을 해치는 일 없이, 먼지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카트리지 장착부 내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는 테이프 카트리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프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와, 장착된 테이프 카트리지로부터 인쇄 테이프를 이송하는 테이프 이송 기구부와, 인쇄 테이프의 이송에 동기하여 잉크 리본을 이송하는 리본 이송 기구부와, 인쇄 테이프에 인쇄를 행하고, 인쇄 위치와 퇴피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인쇄 헤드부와, 카트리지 장착부에 설치된 헤드 커버와, 헤드 커버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테이프 카트리지의 장착을 안내하는 볼록부를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테이프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테이프 카트리지는 인쇄 테이프와, 잉크 리본과, 테이프 이송 기구부로부터 동력을 받고, 인쇄 위치에 있어서 인쇄 테이프 및 잉크 리본을 사이에 끼고 인쇄 헤드부에 대치하는 플래튼 롤러와, 인쇄 테이프, 잉크 리본 및 플래튼 롤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케이스와, 카트리지 케이스에 형성되고, 테이프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는 경우에 헤드 커버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와, 삽입 개구의 개구 주연벽부에 형성되고, 볼록부를 수용하여 테이프 카트리지의 변위를 규제하는 대향부를 구비한다.
이 경우, 대향부는, 오목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헤드 커버는, 인쇄 헤드부의 이면측을 덮는 제1 커버 측벽과, 제1 커버 측벽의 양 외단으로부터 각각 연재하는 2개의 제2 커버 측벽을 갖는 3개의 커버 측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삽입 개구의 개구 주연벽부는 제1 커버 측벽에 대응하는 제1 개구 내벽과, 2개의 제2 커버 측벽에 대응하는 2개의 제2 개구 내벽을 갖는 3개의 개구 내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테이프 카트리지가 테이프 인쇄 장치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3개의 개구 내벽은, 3개의 커버 측벽과 상보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구성에 의하면, 테이프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 삽입 개구는 헤드 커버에 의해 가이드되어, 적절한 장착 위치에 장착된다. 삽입 개구의 개구 주연벽부에는, 헤드 커버의 볼록부를 수용하는 대향부(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개구 주연벽부를 크게 형성하지 않아도, 장착은 원활하게 행해진다. 이 때문에, 헤드 커버의 3개의 커버 측벽과, 삽입 개구의 3개의 개구 내벽의 사이에, 큰 간극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한 장착의 가이드 기능을 해치는 일 없이, 먼지의 침입이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목부는 볼록부에 상대적으로 끼워맞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테이프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할 때, 헤드 커버의 볼록부에 삽입 개구의 오목부가 상대적으로 끼워맞춤된다. 따라서, 삽입 개구를 통하여, 카트리지 케이스가 헤드 커버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즉, 헤드 커버로 덮인 인쇄 헤드부에 대하여 삽입 개구를, 좀 더 상세하게는 플래튼 롤러를, 정밀도 좋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인쇄 테이프의 이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1 커버 측벽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에 대하여, 오목부는, 제1 개구 내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인쇄 헤드부의 이동에 의해, 카트리지 케이스에 형성한 플래튼 롤러를 가압하면, 플래튼 롤러를 통하여 카트리지 케이스로 가압력이 인가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쇄 헤드부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제1 커버 측벽의 볼록부에 의해 제1 개구 내벽의 오목부가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인쇄 헤드부의 가압력은, 오목부를 통하여, 볼록부에 의해 받게 된다. 즉, 인쇄 헤드부의 가압력은, 인쇄 헤드부를 덮는 헤드 커버에 의해 흡수된다. 그러므로, 이 가압력에 의한 위치 어긋남이 카트리지 케이스에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인쇄 품질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2개의 제2 커버 측벽의 외면 각각으로부터 돌출한 볼록부에 대하여, 2개의 제2 개구 내벽의 각각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플래튼 롤러가, 플래튼 롤러와 인쇄 헤드부와의 사이에 인쇄 테이프 및 잉크 리본을 보유지지한 상태로 회전을 개시하면(테이프 이송), 카트리지 케이스에 플래튼 롤러 주변의 회전력이 인가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2개의 제2 커버 측벽의 볼록부에 의해 2개의 제2 개구 내벽의 오목부가 위치 결정된다. 플래튼 롤러 주변의 회전력은, 2개의 오목부를 통하여, 이간되어 있는 2개의 볼록부에 수용된다. 즉, 플래튼 롤러 주변의 회전력은, 헤드 커버에 의해 감소되기 때문에, 이 회전력에 의한 카트리지 케이스에서 발생하는 위치 어긋남이 감소된다. 따라서, 인쇄 품질을 안정시킬 수 있다.
한편, 오목부는, 2개의 오목부 측벽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테이프 카트리지는, 볼록부가 돌출하는 방향을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2개의 오목부 측벽면과 볼록부에 의해 위치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목부는, 오목부 바닥벽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오목부 바닥벽면은, 장착 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구성에 의하면, 볼록부에 대하여, 그 오목하게 된 방향 및 오목하게 된 방향을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대향부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개선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케이스의 삽입 개구를, 헤드 커버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장착부의 장착 베이스면으로부터, 잉크 리본의 이송 경로에 있어서의 장착 방향의 앞쪽측에 있는 끝 위치에 가까운 위치까지 연장하는 볼록부에 대하여, 오목부는, 3개의 개구 내벽의 장착 방향 앞측의 단면으로부터, 상기 끝 위치에 가까운 위치까지 연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장착 베이스에 부딪히도록 카트리지 장착부에 테이프 카트리지를 장착한다. 따라서, 인쇄 헤드부에 대한 삽입 개구의 위치 결정 정밀도, 좀 더 상세하게는 플래튼 롤러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인쇄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3개의 개구 내벽은, 내벽 본체와, 내벽 본체와 장착 베이스면측의 케이스벽이 서로 교차하는 코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오목부는, 코너부에 있어서 오목 홈 및 내벽 본체에 있어서 개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오목부는, 코너부에 있어서 오목 홈과 내벽 본체의 개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돌기와 같은 돌출부가 내벽 본체에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오목부는, 카트리지 케이스 내의 부품, 인쇄 테이프 또는 잉크 리본의 이송 경로와의 간섭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케이스는, 장착 방향으로 분할할 수 있는 2개의 케이스를 포함하고, 오목부는, 장착 방향 앞면에 가깝게 위치하는 일방의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카트리지 장착부의 헤드 커버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일방의 케이스의 설계 변경만으로 이에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 테이프와 잉크 리본을 갖는 테이프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에, 인쇄 테이프를 이송하기 위한 정회전 동력을 출력하는 제1 출력부와, 잉크 리본을 권취하기 위한 역회전 동력을 출력하는 제2 출력부와, 테이프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테이프 카트리지에 맞닿을 수 있는 본체측 맞닿음부가 형성된 테이프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테이프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테이프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 테이프 인쇄 장치의 제1 출력부로부터 정회전 동력이 입력되는 제1 입력부와, 테이프 인쇄 장치의 제2 출력부로부터 역회전 동력이 입력되는 제2 입력부와, 테이프 인쇄 장치의 제1 출력부 및 제2 출력부의 회전력에 의해 테이프 카트리지에 대하여 발생하는 회전력에 저항하도록, 제1 출력부와 제2 출력부를 연결하는 가상선 상 또는 가상선의 근방에 존재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의 상기 본체측 맞닿음부와 맞닿을 수 있는 카트리지측 맞닿음부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카트리지측 맞닿음부가, 제1 출력부 및 제2 출력부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에 저항하도록, 본체측 맞닿음부에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출력부 및 제2 출력부의 회전력에 기인하는 힘은, 카트리지측 맞닿음부와 본체측 맞닿음부 사이의 위치 관계를 안정시키기 위해 서로 강하게 맞닿게 한다. 또한, 카트리지측 맞닿음부가 제1 출력부와 제2 출력부를 연결하는 가상선상(가상선의 근방 포함)에 존재하거나 또는 가상선의 근방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출력부 및 제2 출력부의 각 회전력은, 이 가상선상 또는 가상선의 근방의 위치에서는 서로 상쇄하는 벡터 성분이 없어 최대값으로 된다. 따라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는 회전력을 이용함으로써, 카트리지 장착부 내에 있어서의 테이프 카트리지의 위치 어긋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입력부는,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플래튼 롤러 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입력부는,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권취 코어 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는, 인쇄 헤드부와, 복수의 모서리부를 갖는 헤드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 커버의 모서리부 중 하나로부터 본체측 맞닿음부가 돌출되어 있는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하여, 헤드 커버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개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카트리지측 맞닿음부는, 그 삽입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주연벽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오목부 및 볼록부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은 오목부와 볼록부 사이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더욱 확실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인쇄 헤드부의 회전 지지축측을 덮고, 서로 교차하는 제1 커버 측벽 및 제2 커버 측벽을 포함하고, 제1 커버 측벽과 제2 커버 측벽이 서로 교차하는 모서리부로부터 돌출하는 본체측 맞닿은부를 갖는 헤드 커버에 대하여, 개구 주연벽부는, 제1 커버 측벽에 대응하는 제1 개구 내벽과, 제1 개구 내벽을 교차하고 제2 커버 측벽에 대응하는 제2 개구 내벽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카트리지측 맞닿음부는, 제1 개구 내벽과 제2 개구 내벽이 서로 교차하는 코너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카트리지측 맞닿음부를, 개구 주연벽부에 있어서의 제1 개구 내벽과 제2 개구 내벽 사이의 코너부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카트리지측 맞닿음부를 개구 주연벽부에 오목하게 형성해도, 개구 주연벽부의 강도가 손상되는 일이 없다.
이 경우, 카트리지측 맞닿음부는 본체측 맞닿음부를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테이프 카트리지는, 카트리지측 맞닿음부를 통하여, 본체측 맞닿음부를 갖는 카트리지 장착부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즉, 전술된 회전 모멘트 이외의 힘이 작용해도, 카트리지 장착부 내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서리부에 있어서, 제1 커버 측벽으로부터 돌출한 제1 볼록부와, 제2 커버 측벽으로부터 돌출한 제2 볼록부를 갖는 본체측 맞닿음부에 대하여, 카트리지측 맞닿음부는, 제1 볼록부에 대응하도록 제1 개구 내벽에 오목하게 형성한 제1 오목부와, 제2 볼록부에 대응하도록 제2 개구 내벽에 오목하게 형성한 제2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테이프 카트리지는,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부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즉, 전술된 회전 모멘트 이외의 힘이 인가되어도, 카트리지 장착부 내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카트리지측 맞닿음부는, 카트리지 장착부로의 장착 방향을 향해 확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테이프 카트리지를 장착하는데 있어 본체측 맞닿음부를 따라서 카트리지측 맞닿음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가이드되기 때문에, 테이프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장착부에 정밀도 좋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코너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카트리지측 맞닿음부에 대신하여, 코너부가, 카트리지측 맞닿음부로서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카트리지측 맞닿음부를, 제1 개구 내벽과 제2 개구 내벽 사이의 코너부에 반드시 오목하게 형성하지 않고, 이 코너부 자신이 카트리지측 맞닿음부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코너부 근방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인쇄 헤드부와, 헤드 커버가 형성되어 있고, 헤드 커버로부터 본체측 맞닿음부가 돌출되어 있는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하여, 헤드 커버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개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카트리지측 맞닿음부는, 삽입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주연벽부의 본체측 맞닿음부에 대향하는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카트리지측 맞닿음부를, 반드시 오목하게 형성할 필요는 없다. 대신에, 이 개구 주연벽부에 의해 카트리지측 맞닿음부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 주연벽부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측 맞닿음부와 본체측 맞닿음부가 서로 맞닿음하는 방향을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외력이 적은 경우는, 이 구성에 의하여 충분한 위치 어긋남 방지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르는 커버가 개방되어 있는 테이프 인쇄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실시 형태에 따르는 테이프 카트리지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카트리지 장착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이면측으로부터 본 개폐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상부 케이스를 제거한 테이프 카트리지의 평면도 및 상부 케이스의 이면도이다.
도 6은 이면측으로부터 본 테이프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한 상태의 삽입 개구 주변의 확대 평면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카트리지 장착부의 헤드 커버 주변의 확대 평면도 및 확대 측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카트리지의 삽입 개구 주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했을 때의 삽입 개구 주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한 상태의, 카트리지측 맞닿음부 주변의 확대 평면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카트리지 장착부의 헤드 커버 주변의 확대 평면도 및 확대 측면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카트리지의 카트리지측 맞닿음부 주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한 상태의, 카트리지측 맞닿음부 주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제4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헤드 커버 주변의 확대 평면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제4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헤드 커버 주변의 확대 평면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한 상태의, 카트리지측 맞닿음부 주위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실시 형태에 따르는 테이프 카트리지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카트리지 장착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이면측으로부터 본 개폐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상부 케이스를 제거한 테이프 카트리지의 평면도 및 상부 케이스의 이면도이다.
도 6은 이면측으로부터 본 테이프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한 상태의 삽입 개구 주변의 확대 평면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카트리지 장착부의 헤드 커버 주변의 확대 평면도 및 확대 측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카트리지의 삽입 개구 주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했을 때의 삽입 개구 주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한 상태의, 카트리지측 맞닿음부 주변의 확대 평면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카트리지 장착부의 헤드 커버 주변의 확대 평면도 및 확대 측면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카트리지의 카트리지측 맞닿음부 주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한 상태의, 카트리지측 맞닿음부 주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제4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헤드 커버 주변의 확대 평면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제4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헤드 커버 주변의 확대 평면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한 상태의, 카트리지측 맞닿음부 주위의 확대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카트리지에 대하여, 테이프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테이프 인쇄 장치와 함께 설명한다. 이 테이프 인쇄 장치는, 장착한 테이프 카트리지로부터 인쇄 테이프 및 잉크 리본을 풀어내면서 인쇄를 행하고, 인쇄 테이프의 인쇄된 부분을 절단하여, 라벨(테이프편)을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테이프 인쇄 장치의 개요]
도 1은, 테이프 인쇄 장치 및 그 테이프 인쇄 장치에 장착되는 테이프 카트리지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외각(outer shell)을 구성하는 장치 케이스(3)와,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5)와, 카트리지 장착부(5)를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개폐 커버(7)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 케이스(3)의 상면에는, 카트리지 장착부(5)가 안쪽측에 형성되며, 디스플레이(11)는 중앙측에 형성되고, 키보드(13)는 앞쪽측에 형성된다. 개폐 커버(7)의 근방에는, 손가락-걸이용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 커버(7)는, 이 오목부(15)에 손가락을 걸어 올려질 때 개방된다. 그리고, 장치 케이스(3)의 측면(좌측면)에는, 가늘고 긴 테이프 배출구(17)가 인쇄 테이프(102)를 배출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카트리지 장착부(5)에 세워 형성된 인쇄 헤드(21)을 갖는 인쇄 기구부(23)와, 카트리지 장착부(5)의 이측 공간에 내장된 테이프 이송 기구부(25)와, 테이프 배출구(17)의 근방에 내장된 테이프 절단 기구부(27)를 구비하고 있다. 유저는, 키보드(13)를 통하여 인쇄 정보를 입력하고, 디스플레이(11) 상의 인쇄 정보를 확인한 후, 키 조작에 의해 인쇄를 행한다. 인쇄가 지시되면, 테이프 이송 기구부(25)는, 인쇄 테이프(102)와 잉크 리본(110)이 서로 평행하게 주행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인쇄 기구부(23)로부터 잉크 리본(110)으로 인가된 열에 의하여, 잉크 리본(110)의 잉크가 인쇄 테이프(102)로 전사됨으로써 인쇄를 행한다. 이 인쇄 이송에 의해, 인쇄 테이프(102)는 테이프 배출구(17)로부터 배출된다. 인쇄가 완료되면, 테이프 절단 기구부(27)가 구동하여, 인쇄 테이프(102)의 인쇄된 부분을 절단한다.
[테이프 카트리지의 개요]
도 2(a) 및 도 2(b), 그리고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테이프 코어(104)에 인쇄 테이프(102)가 감겨 있는 테이프 롤(106)과, 잉크 리본(110)이 풀어냄 코어(112)에 감겨 있는 리본 롤(114)을 구비한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사용된 잉크 리본(110)을 권취하는 권취 코어(116)와, 잉크 리본(110)과 인쇄 테이프(102)를 통하여 인쇄 헤드(21)가 맞닿음과 함께 인쇄 테이프(102) 및 잉크 리본(110)을 이송하는 플래튼 롤러(120)(플래튼)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이들 테이프 롤(106), 리본 롤(114), 권취 코어(116) 및 플래튼 롤러(120)를 수용한 카트리지 케이스(130)를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외각이 카트리지 케이스(130)로 덮여 있는, 소위 쉘 구조를 갖는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테이프 인쇄 장치(1)에 장착되었을 때에, 인쇄 헤드(21)를 수용하는 삽입 개구(134)를, 카트리지 케이스(130)에 구비한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카트리지 케이스(130)에 형성되어 인쇄 테이프(102)가 송출되는 테이프 송출구(138)를 구비하고 있다. 삽입 개구(134)는 관통공 또는 백공(bag hole)일 수도 있다. 또한,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지만, 테이프 롤(106)은,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내부에 돌출하고 있는 원통 형상의 코어축(192)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120) 및 권취 코어(116)가 테이프 이송 기구부(25)에 의하여 구동될 때, 인쇄 테이프(102)가 테이프 코어(104)로부터 풀어 내어지고, 잉크 리본(110)은 풀어냄 코어(112)로부터 풀어 내어진다. 풀어내어진 인쇄 테이프(102) 및 잉크 리본(110)은, 플래튼 롤러(120)의 부분에서 서로 평행하게 주행하고, 인쇄 헤드(21)에 의해 인쇄가 가해진다. 인쇄가 행해진 인쇄 테이프(102)의 풀어내어진 단부(인쇄된 부분)는, 테이프 송출구(138)로부터 테이프 배출구(17)를 향하여 송출된다. 한편, 잉크 리본(110)은, 삽입 개구(134)의 주연벽부를 돌아서, 권취 코어(116)에 권취된다. 테이프 카트리지(100)로는, 인쇄 테이프(102)의 테이프 폭에 따라서, 두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테이프 카트리지가 사용될 수 있다.
[테이프 인쇄 장치의 상세]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5)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평면 형상과 상보적인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장착 가능한 복수 종류의 테이프 카트리지(100) 중에서, 최대 두께의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대응하는 깊이를 가지면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카트리지 장착부(5)의 바닥판부를 구성하는 장착 베이스(31)와 측판부(33)는, 수지 등으로 일체로 형성(성형)되어 있다. 카트리지 장착부(5)와 전술의 테이프 배출구(17)의 사이에는, 슬릿 형상의 테이프 배출 경로(35)가 형성되어 있고, 이 장소에, 테이프 절단 기구부(27)가 내장되어 있다.
카트리지 장착부(5)의 장착 베이스(31)에는, 코어축(192)을 끼워맞춤하여 위치 결정시키는 위치 결정 돌기(41)와, 헤드 커버(43)로 덮여 있는 인쇄 헤드(21)가 세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래튼 롤러(120)를 회전 및 구동하는 플래튼 구동축(45)과, 권취 코어(116)를 회전 및 구동하는 권취 구동축(47)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장착 베이스(31)에는, 인쇄 테이프(102)의 종별(속성 정보)을 검출하는 테이프 검출부(51)와, 풀어냄 코어(112) 및 권취 코어(116)의 회전-정지를 해제하는 코어 해제부(53)가 권취 구동축(47)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 베이스(31)에는, 한 쌍의 작은 돌기(55)가 대각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장착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중간부를 유지하는 한 쌍의 유지 편(retaining piece)(5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장착 베이스(31)의 이측 공간에는, 플래튼 구동축(45) 및 권취 구동축(47)을 회전시키는 모터, 기어 열(gear train)(모두 도시 생략) 등으로 구성되는, 테이프 이송 기구부(25)가 내장되어 있다. 테이프 이송 기구부(25)는, 기어 열로 동력 분기하여, 플래튼 구동축(45) 및 권취 구동축(47)을 서로 동기하여 회전시킨다.
인쇄 기구부(23)는, 서멀 헤드로 구성된 인쇄 헤드(21)와, 인쇄 헤드(21)를 지지하고, 회전 지지축(63)을 통하여 인쇄 헤드(21)를 회전시키는 헤드 지지 프레임(61)을 갖고 있다. 또한, 인쇄 기구부(23)는, 헤드 지지 프레임(61)을 통하여 인쇄 헤드(21)를 인쇄 위치와 퇴피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시키는 헤드 릴리스 기구(도시 생략)와, 인쇄 헤드(21)(및 헤드 지지 프레임(61))를 덮는 헤드 커버(43)를 갖고 있다.
헤드 릴리스 기구는, 상기의 개폐 커버(7)가 개폐할 때 작동한다. 개폐 커버(7)의 폐색 동작에 따라서 인쇄 헤드(21)를 인쇄 위치로 이동(회전)시킨다. 또한, 헤드 릴리스 기구는, 개방 동작에 따라서 인쇄 헤드(21)를 퇴피 위치로 이동(회전)시킨다. 인쇄 위치로 이동한 때에는 인쇄 헤드(21)는, 잉크 리본(110) 및 인쇄 테이프(102)를 통하여 플래튼 롤러(120)와 맞닿아 있고, 퇴피 위치로 이동한 때에는 인쇄 헤드(21)는, 플래튼 롤러(120)로부터 이간한다. 이에 따라,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착탈할 때에, 인쇄 테이프(102) 및 잉크 리본(110)은 인쇄 헤드(21)와의 간섭이 방지된다.
인쇄 헤드(21)에는, 복수의 발열 소자가 설치되고, 복수의 발열 소자는, 플래튼 롤러(120)의 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줄지어 있다. 또한, 인쇄 테이프(102) 및 잉크 리본(110)이 이송되고 복수의 발열 소자가 선택적 구동될 때 인쇄가 행해진다.
헤드 커버(43)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장착 베이스(31)(카트리지 장착부(5))와 일체로 형성(성형)되어 있다. 또한, 헤드 커버(43)는, 장착 베이스(31)로부터 수직으로 크게 돌출하고 있다. 헤드 커버(43)는 내측에서는 인쇄 헤드(21)의 회전을 허용하고, 외측에서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장착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테이프 검출부(51)는, 복수의 마이크로 스위치(51a)로 구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피검출부(180)와 선택적으로 걸어맞춤하고, 인쇄 테이프(102)의 테이프 폭, 테이프 색, 재질 등의 종별을 검출한다. 또한, 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인쇄 헤드(21) 및 테이프 이송 기구부(25)의 구동이 제어된다. 코어 해제부(53)는, 풀어냄 코어(112)용 및 권취 코어(116)용의 2개의 해제 핀(53a)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카트리지 케이스(130)에는, 풀어냄 코어(112) 및 권취 코어(116)에 의해 유지되는 회전-정지 훅(206)이 설치된다(도 6 참조).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장착되면, 해제 핀(53a)이 회전-정지 훅(206)과 걸어맞춤하여, 풀어냄 코어(112) 및 권취 코어(116)의 회전-정지를 해제한다.
플래튼 구동축(45)은, 플래튼 롤러(120)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길게 연장된 고정축(45a)과, 고정축(45a)의 베이스부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스프라인(spline) 형상의 가동축(45b)을 구비한다. 테이프 이송 기구부(25)의 회전력은, 이 가동축(45b)으로 전달되고, 그런 후 가동축(45b)으로부터 플래튼 롤러(120)로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권취 구동축(47)은, 고정축(47a)과, 고정축(47a)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스프라인 형상의 가동축(47b)을 포함한다. 이 경우도, 테이프 이송 기구부(25)의 회전력은, 가동축(47b)으로 전달되고, 그런 후 또한 가동축(47b)으로부터 권취 코어(116)로 전달된다.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하면, 코어축(192)(테이프 코어(104))은 위치 결정 돌기(41)에 걸어맞춤되고, 플래튼 롤러(120)는 플래튼 구동축(45)에 걸어맞춤되고, 추가로 권취 코어(116)는 권취 구동축(47)에 걸어맞춤된다. 그리고, 개폐 커버(7)를 폐색하면, 인쇄 헤드(21)는 회전하고, 인쇄 테이프(102) 및 잉크 리본(110)을 사이에 두고 플래튼 롤러(120)와 맞닿아서, 테이프 인쇄 장치(1)를 인쇄 대기 상태로 가져온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커버(7)는, 후측에 설치된 힌지부(71)를 통하여, 장치 케이스(3)에 회전가능하게, 즉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개폐 커버(7)는, 평면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개폐 커버 본체(73)와, 개폐 커버 본체(73)의 중앙에 설치된 관측창(75)을 포함한다. 또한, 개폐 커버(7)는, 개폐 커버 본체(73)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힌지부(71)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한 쌍의 축지지 편(77)과, 개폐 커버 본체(73)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인쇄 헤드(21)를 회전시키는 작동 레버(79)를 갖고 있다. 또한, 개폐 커버(7)는, 개폐 커버 본체(73)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압력을 가하는 2개의 가압 돌기(81)와, 개폐 커버 본체(73)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내장된 커버 폐색 검출 스위치(도시 생략)를 작동("ON")시키는 가압 돌기(83)를 구비한다.
관측창(75)은, 측면에서 측면으로 길게 형성되고, 개폐 커버 본체(73)와는 별체로 형성된 투명(가시광에 대하여 투명)한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관측창(75)을 통하여,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인쇄 테이프(102)의 종별이나 테이프 잔량)를 시각적으로 관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축지지 편(77), 작동 레버(79), 2 개의 가압 돌기(81) 및 가압 돌기(83)는, 개폐 커버 본체(73)와 수지로 일체로 형성(성형)되어 있다.
작동 레버(79)는, 개폐 커버 본체(73)의 이면으로부터 크게 돌출되어 있고, 개폐 커버(7)가 폐색될 때, 카트리지 장착부(5)의 측방에 형성된 슬릿 개구(87)에 삽입된다. 슬릿 개구(87)에 삽입된 작동 레버(79)는, 전술된 헤드 릴리스 기구를 작동시켜, 인쇄 헤드(21)를 회전시킨다. 마찬가지로, 개폐 커버(7)가 폐색될 때, 가압 돌기(83)는, 슬릿 개구(87)에 인접하는 직사각형 개구(91)에 삽입되고, 커버 폐색 검출 스위치를 작동("ON")시킨다.
가압 돌기(81) 중 하나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플래튼 롤러(120)의 근방에 있도록 위치 결정되고, 가압 돌기(81) 중 다른 하나는, 테이프 검출부(51) 바로 위에 있도록 위치결정된다. 개폐 커버(7)가 폐색될 때, 2개의 가압 돌기(81)는, 카트리지 장착부(5)의 장착 베이스(31)에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놓이도록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가압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부상을 방지한다.
[테이프 카트리지의 상세]
다음으로, 도 2(a) 및 도 2(b), 도 5(a) 및 도 5(b), 그리고 도 6을 참조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설명에서는, 도 2(a) 및 도 2(b)를 예로서 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장착 방향으로 앞쪽측의 면, 즉 상부 정면을 "표면"이라 하고, 장착 방향으로 안쪽측의 면, 즉 반대측의 면을 「이면」이라 하고,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좌측의 측면을 "좌측면"이라 하고, 우측의 측면을 "우측면"이라 하고, 상측의 원호 형상의 측면을 "선단면(tip end surface)"이라 하고, 하측의 측면을 "베이스단부면(base end surface)"라고 한다.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케이스(130)와, 이 카트리지 케이스(130)에 수용되어 있는 테이프 롤(106), 리본 롤(114), 권취 코어(116) 및 플래튼 롤러(1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카트리지 케이스(13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 개구(134)와, 플래튼 롤러(120)의 근방에서 좌측면에 형성된 테이프 송출구(138)와, 테이프 롤(106)이 수용되어 있는 위치의 표면을 경유하여 좌측면에서 우측면까지 부착된 식별 라벨(141)(도 1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식별 라벨(141)에는, 카트리지 케이스(130)에 수용된 인쇄 테이프(102)의 테이프 폭, 테이프 색, 재질 등이, 표면 및 좌측면의 2개소에 표시되어 있다.
카트리지 케이스(130)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외각을 구성하고(쉘 구조), 우측면의 베이스단부가 약간 돌출된, 평면에서 보았을 때 "L" 형상으로 형성된 외관을 갖는다. 표리 방향에 있어서, 카트리지 케이스(130)는, 하부 케이스(150)와 상부 케이스(152)로 구성되어 있으며, 카트리지 케이스(130)를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했을 때에, 하부 케이스(150)와 상부 케이스(152)는 각각 안쪽측과 앞쪽측에 위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카트리지 케이스(130)에서는, 상부 케이스(152)가 수지의 성형품으로 구성되고, 하부 케이스(150)가 불투명한 수지의 성형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52)는,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표면을 구성하는 천정벽부(156)와, 천정벽부(156)의 주연부에 연결되어 있는 상부 주연벽부(158)가 일체로 형성(성형)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50)는,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이면을 구성하는 바닥벽부(160)와, 바닥벽부(160)의 주연부에 세워 형성된 하부 주연벽(162)과, 삽입 개구(134)를 구획하기 위해 바닥벽부(160)에 세워 형성된 개구 주연벽부(164)가 일체로 형성(성형)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52)의 상부 주연벽부(158)의 하단면에는, 적절한 간격으로 복수의 접합 핀(170)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하부 케이스(150)의 하부 주연벽(162)에는, 이 복수의 접합 핀(170)에 대응하여 복수의 접합 공(172)이 설치되어 있다(도 5(a) 및 도 5(b) 참조). 하부 케이스(150)에, 테이프 롤(106) 및 리본 롤(114) 등의 구성 부품을 배치한 후, 복수의 접합 공(172)에 복수의 접합 핀(170)을 프레스 끼워맞춤(press-fit)하여, 하부 케이스(150)에 상부 케이스(152)를 접합함으로써,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조립한다. 각 접합 공(172)은, 성형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관통공으로 형성된다.
한편, 하부 케이스(15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한 쌍의 유지 편(57)에 의해 유지되는 한 쌍의 유지 수용부(174)가 형성되어 있다(도 2(a) 및 도 2(b) 그리고 도 6 참조). 장착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한 쌍의 유지 수용부(174)에, 카트리지 장착부(5)측의 한 쌍의 유지 편(57)이 유지될 때,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부상이 방지된다. 또한, 하부 케이스(150)의 이면에는, 한 쌍의 작은 돌기(55)가 약간 여유를 갖고 끼워맞춤되는 작은 끼워맞춤 공(176)이 설치되어 있다(도 6 참조). 장착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한 쌍의 작은 끼워맞춤 공(176)에, 카트리지 장착부(5)측의 한 쌍의 작은 돌기(55)가 끼워맞춤할 때, 장착 베이스(31) 상에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용이하게 위치 결정된다.
또한, 하부 케이스(150)의 이면에는, 테이프 검출부(51)에 대응하는 피검출부(180)가 베이스단면측의 좌코너부(즉, 표면측으로부터 볼 때 우코너부)에 설치되어 있다(도 6 참조). 피검출부(180)는, 테이프 검출부(51)의 복수의 마이크로 스위치(51a)에 대응하는 장소에서 구성되어 있고, 복수의 비트 패턴이, 이 장소에 형성된 수용공(180a)의 존재의 유무에 기초하여 얻어진다. 즉, 이 비트 패턴은, 인쇄 테이프(102)의 종류에 대응하고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케이스(130) 내의 상측 공간(선단면측)에는, 넓게 테이프 롤(106)이 수용되는 테이프 수용 영역(190)이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수용 영역(190)의 중앙에는, 하부 케이스(150)와 일체로 형성(성형)된 코어축(192)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코어축(192)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테이프 롤(106)(테이프 코어(104))은 코어축(192)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 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수용 영역(190)에는, 풀어 내어진 인쇄 테이프(102)를 플래튼 롤러(120)로 안내하는 테이프 가이드(194)가, 하부 케이스(150)와 일체로, 플래튼 롤러(120)의 근방에 세워 형성되어 있다.
즉,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내부에는, 테이프 롤(106)을 기점으로 하여, 테이프 가이드(194) 및 플래튼 롤러(120)를 거쳐 테이프 송출구(138)에 이르는 테이프 이송 경로(196)가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롤(106)로부터 풀어 내어진 인쇄 테이프(102)는, 테이프 가이드(194)를 통하여 플래튼 롤러(120)로 안내되고, 플래튼 롤러(120)에 의해서 인쇄에 제공된다. 그런 후, 인쇄 테이프(102)는 또한 플래튼 롤러(120)로부터 테이프 송출구(138)로 안내된다.
테이프 롤(106)은, 인쇄 테이프(102) 및 테이프 코어(104) 이외에, 롤 형상의 인쇄 테이프(102)의 양단면에 부착된 2매의 원형의 필름(198)을 갖고 있다. 이 2매의 원형의 필름(198)은, 테이프 코어(104)에 감겨 있는 인쇄 테이프(102)가 펼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테이프 코어(104)에는, 역회전-정지 기구가 내장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운반하는 경우에는, 이 역회전-정지 기구에 의해, 인쇄 테이프(102)의 역회전이 정지된다. 한편,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하면, 위치 결정 돌기(41)에 의해 역회전-정지 기구의 역회전-정지가 해제되어, 인쇄 테이프(102)의 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카트리지 케이스(130) 내의 베이스부 우측에는, 삽입 개구(134)에 인접하여 리본 수용 영역(200)이 구성되어 있다. 리본 수용 영역(200)에서는, 리본 롤(114)(풀어냄 코어(11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풀어냄측 베어링부(202)와, 권취 코어(11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권취측 베어링부(204)가, 각각 그 우부분과 좌부분에 카트리지 케이스(1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부 케이스(152) 및 하부 케이스(150)의 각각에, 풀어냄측 베어링부(202) 및 권취측 베어링부(204)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150)에 형성된 풀어냄측 베어링부(202) 및 권취측 베어링부(204)의 절결 부분에는, 선단부를 이들 풀어냄측 베어링부(202) 및 권취측 베어링부(204)에 임하게 갖는 회전-정지 훅(206)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방 및 타방의 회전-정지 훅(206)은 풀어냄 코어(112) 및 권취 코어(116)에, 각각 회전 정지 상태로 걸어맞춤하고 있다.
리본 수용 영역(200)에는, 풀어 내어진 잉크 리본(110)을 플래튼 롤러(120)로 안내하는 제1 리본 가이드(210)가, 하부 케이스(150)와 일체로 풀어냄측 베어링부(202)의 근방에 세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 주연벽부(164)의 외주측에는, 잉크 리본(110)의 둘레회전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2 리본 가이드(2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내부에는, 리본 롤(114)을 기점으로 하고, 제1 리본 가이드(210), 플래튼 롤러(120) 및 복수의 제2 리본 가이드(212)를 거쳐 권취 코어(116)에 이르는 리본 이송 경로(214)가 구성되어 있다. 리본 롤(114)로부터 풀어 내어진 잉크 리본(110)은, 제1 리본 가이드(210)를 통하여 플래튼 롤러(120)로 안내되고, 플래튼 롤러(120)에 의하여 인쇄가 행해진다. 또한, 플래튼 롤러(120)를 경유하여 개구 주연벽부(164)(복수의 제2 리본 가이드(212))를 둘레회전하여 권취 코어(116)에 권취된다.
개구 주연벽부(164)를 둘레회전하는 리본 이송 경로(214)에는, 잉크 리본(110)의 하방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하기 위하여, 복수의 리브 형상 규제부(168)가 형성되어 있다(도 7(a) 및 도 7(b) 참조). 복수의 리브 형상 규제부(168) 각각은, 하부 케이스(150)의 바닥벽부(160) 상에 있어서, 제1 리본 가이드(210)의 위치, 제2 리본 가이드(212)의 위치, 개구 주연벽부(164)의 코너의 위치에,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리본 롤(114)은 잉크 리본(110) 및 풀어냄 코어(112)를 구비한다. 또한 리본 롤(114)은 풀어냄 코어(112)에 제동 부하를 부여하는 원환상의 판 스프링(220)을 갖고 있다(도 5(b) 참조). 판 스프링(220)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물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방향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152)의 천정벽부(156)와 풀어냄 코어(112)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즉, 풀어냄 코어(112)에는, 이 판 스프링(22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 제동 부하가 부여된다. 이에 따라, 권취 코어(116)에 의해 풀어 내어지는 잉크 리본(110)에는, 백 텐션이 부여되어 잉크 리본(110)에서의 느슨함이 방지된다.
풀어냄 코어(11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절결(222)이 하부 케이스(150)측의 단부에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회전-정지 훅(206)이 복수의 절결(222)과 걸려 맞춤 되거나 또는 걸려 맞춤 해제된다. 또한, 풀어냄 코어(112)를 지지하는 하부 케이스(150)측의 풀어냄측 베어링부(202)는 원형의 개구로 구성되어 있지만, 상부 케이스(152)측의 풀어냄측 베어링부(202)는, 원통 형상의 돌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출 부분에 판 스프링(220)이 장착되어 있다(구성 부품의 양자에 대하여 도 5(b) 참조).
마찬가지로, 권취 코어(116)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 케이스(150)측의 단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절결(2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절결(224)에는, 회전-정지 훅(206)이 걸려 맞춤 되거나 걸려 맞춤 해제된다. 또한, 권취 코어(116)의 내주면에는 스프라인 홈(226)이 형성되고, 권취 구동축(47)에 스프라인 걸어맞춤한다. 이에 따라, 권취 구동축(47)의 회전력이 권취 코어(116)에 전달되어, 잉크 리본(110)이 권취된다.
카트리지 케이스(130) 내의 베이스부 좌측에는, 삽입 개구(134)에 인접하여 플래튼 수용 영역(230)이 구성되어 있다. 플래튼 수용 영역(230)의 중앙에는, 하부 케이스(150)에 형성된 타원상 개구를 갖는 하부 베어링부(234)와(도 6 참조), 상부 케이스(152)에 형성된 타원상 개구의 상부 베어링부(232)(도 5(b)) 참조)가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상부 베어링부(232) 및 하부 베어링부(234)에 의해, 플래튼 롤러(120)가 회전가능하고 또한 횡적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타원상의 상부 베어링부(232) 및 하부 베어링부(234)에 지지된 플래튼 롤러(120)는, 플래튼 롤러(120)가 플래튼 구동축(45)에 걸어맞춤하는 홈(home) 위치와, 플래튼 롤러(120)가 인쇄 테이프(102)를 사이에 끼워 테이프 가이드(194)와 맞닿는 홀딩(holding) 위치의 사이에서, 횡적 이동(미소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운반될 때, 인쇄 테이프(102)의 풀어 내어진 단부는, 테이프 송출구(138)로부터 외부로 약간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도 1 참조). 이때, 잘못하여 인쇄 테이프(102)의 풀어 내어진 단부에 압입력(pressing force)이나 인입력(withdrawing force)이 작용하면, 이 힘에 의해 당겨진 플래튼 롤러(120)는 전술의 홀딩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인쇄 테이프(102)의 풀어 내어진 단부가, 테이프 송출구(138)로부터 카트리지 케이스(130) 내로 끌려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플래튼 롤러(120)는, 원통 형상의 롤러 베이스체(240)와, 롤러 베이스체(240)의 외주면에 장착한 고무 롤러(242)를 포함한다. 고무 롤러(242)는, 축방향에 있어서 인쇄 헤드(21)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인쇄 위치로 이동할 때 인쇄 헤드(21)는, 인쇄 테이프(102) 및 잉크 리본(110)을 사이에 끼워 이 고무 롤러(242)와 맞닿는다. 또한, 스프라인 홈(spline groove: 244)은 롤러 베이스체(240)의 내주면에는 형성되고, 플래튼 구동축(45)과 스프라인 걸어맞춤한다. 이에 따라, 플래튼 구동축(45)의 회전력이 플래튼 롤러(120)에 전달되어, 인쇄 테이프(102)(및 잉크 리본(110))가 인쇄-이송된다.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도입]
그런데,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 주연벽부(164)에 의해 구획된 삽입 개구(134)는, 카트리지 장착부(5)의 헤드 커버(43)가 삽입되는 부분이며, 헤드 커버(43)는, 그 베이스에,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한 3개의 가이드 볼록부(67)(볼록부)를 포함한다. 한편, 개구 주연벽부(164)는, 헤드 커버(43)에 형성한 3개의 가이드 볼록부(67)에 대응하는 3개의 가이드 오목부(169)(대향부)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장착부(5)에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장착하면, 헤드 커버(43)의 3개의 가이드 볼록부(67)에,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3개의 가이드 오목부(169)가 각각 걸어맞춤하고, 이에 의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카트리지 장착부(5)에 위치 결정된다(상세는 후술한다).
[가이드 오목부와 가이드 볼록부(제1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7(a) 및 도 7(b)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가이드 오목부(169)의 구조에 대하여, 헤드 커버(43)의 가이드 볼록부(67)의 구조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청구항에 기재된 인쇄 헤드부는, 헤드 커버(43)로 덮인 인쇄 헤드(21) 및 인쇄 헤드(21)를 지지하는 헤드 지지 프레임(61)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7(a) 및 도 7(b) 그리고 도 8(a) 및 도 8(b)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5)의 장착 베이스(31)에 세워 형성된 헤드 커버(43)에는, 3개소에 가이드 볼록부(67)(볼록부)가 외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헤드 커버(43)는, 인쇄 헤드(21)의 후면측을 덮은 후 커버 측벽(280)과, 후 커버 측벽(280)의 양 외단으로부터 각각 직각으로 연장되는 좌 커버 측벽(282) 및 우 커버 측벽(284)과, 상부측으로부터 인쇄 헤드(21)(인쇄 헤드부)를 덮는 커버 천정벽(288)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좌 커버 측벽(282)는, 후 커버 측벽(280)으로부터 짧게 연재하고, 우 커버 측벽(284)은, 후 커버 측벽(280)으로부터 길게 연재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3의 "제1 커버 측벽"은, 후 커버 측벽(280)에 상당하고, 청구항 3의 "제2 커버 측벽"은, 좌 커버 측벽(282) 및 우 커버 측벽(284)에 상당한다.
3개의 가이드 볼록부(67)는, 장착 베이스(31) 상에 있어서, 후 커버 측벽(28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한 후 가이드 볼록부(300)와, 좌 커버 측벽(282)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한 좌 가이드 볼록부(302)와, 우 커버 측벽(284)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한 우 가이드 볼록부(304)를 포함한다. 후 가이드 볼록부(300)는, 후 커버 측벽(280)의 연재 방향으로 중간 위치에 배치되고,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 가이드 볼록부(302)는, 좌 커버 측벽(282)의, 후 커버 측벽(280) 근방측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단면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동일하게, 우 가이드 볼록부(304)는, 우 커버 측벽(284)의, 후 커버 측벽(280) 근방의 위치에 배치되고, 단면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 가이드 볼록부(300), 좌 가이드 볼록부(302) 및 우 가이드 볼록부(304)는, 장착 베이스(31)로부터의 높이가 동일해지도록 형성되고, 리브 형상 규제부(168)보다 낮아지도록 설계되어 있다(도 7(b) 및 도 8(b) 참조). 상세는 후술하겠지만, 가이드 볼록부(67)에 대응하는 가이드 오목부(169)가, 리브 형상 규제부(168)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계하고, 가이드 오목부(169)가 리본 이송 경로(214)에 돌출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후 가이드 볼록부(300), 좌 가이드 볼록부(302) 및 우 가이드 볼록부(304)는, 헤드 커버(43) 및 장착 베이스(31)와 일체로 형성(성형)되고, 헤드 커버(43)의 장착 가이드 및 헤드 커버(43)를 보강하는 리브로서 기능하고 있다.
도 7(a) 및 도 7(b) 그리고 도 9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가이드 볼록부(67)를 수용하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3개의 가이드 오목부(169)는, 삽입 개구(134)를 구획하는 개구 주연벽부(164)에 형성되어 있다. 개구 주연벽부(164)는, 후 커버 측벽(280)에 대응하는 후 개구 내벽(310)과, 좌 커버 측벽(282)에 대응하는 좌 개구 내벽(312)과, 우 커버 측벽(284)에 대응하는 우 개구 내벽(314)과, 전(front) 커버 측벽(286)에 대응하는 전 개구 내벽(316)을 갖고 있다. 그리고, 후 개구 내벽(310), 좌 개구 내벽(312) 및 우 개구 내벽(314)에 의해 구성되는 내측의 윤곽(장착 방향으로부터 본 윤곽)과, 후 커버 측벽(280), 좌 커버 측벽(282) 및 우 커버 측벽(284)에 의해 구성되는 외측의 윤곽(장착 방향으로부터 본 윤곽)은, 서로 상보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청구항 3의 "제1 개구 내벽"은, 후 개구 내벽(310)에 상당하고, 청구항 3의 "제2 개구 내벽"은, 좌 개구 내벽(312) 및 우 개구 내벽(314)에 상당한다.
3개의 가이드 오목부(169)는, 후 개구 내벽(310)에 형성되어 후 가이드 볼록부(300)가 끼워맞춤하는 후 가이드 오목부(330)와, 좌 개구 내벽(312)에 형성되어 좌 가이드 볼록부(302)가 끼워맞춤하는 좌 가이드 오목부(332)와, 우 개구 내벽(314)에 형성되어 우 가이드 볼록부(304)가 끼워맞춤하는 우 가이드 오목부(334)를 갖고 있다. 그리고, 후 가이드 오목부(330)는, 단면으로 직사각형 형상, 즉 단면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후 가이드 볼록부(300)에 대하여, 상보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 가이드 오목부(332)는, 단면으로 직사각형 형상, 즉, 좌 가이드 볼록부(302)에 대하여 상보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동일하게, 우 가이드 오목부(334)는, 단면으로 직사각형 형상, 즉 우 가이드 볼록부(304)에 대하여 상보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후 가이드 오목부(330), 좌 가이드 오목부(332) 및 우 가이드 오목부(334)는, 각각 서로 평행한 2개의 오목부 측벽면(340)을 포함하고, 이 2개의 오목부 측벽면(340)이, 각 가이드 볼록부(67)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후 가이드 오목부(330)는, 후 가이드 볼록부(300)에 의해 좌우 방향(돌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동일하게, 좌 가이드 오목부(332)는, 좌 가이드 볼록부(302)에 의해 전후 방향(돌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고, 우 가이드 오목부(334)는, 우 가이드 볼록부(304)에 의해 전후 방향(돌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후 가이드 오목부(330), 좌 가이드 오목부(332) 및 우 가이드 오목부(334)는, 모두 장착 방향으로 오름 경사면을 갖는 오목부 바닥벽면(342)을 포함한다(도 7(b) 참조). 이에 따라, 카트리지 장착부(5)에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장착하면, 후 가이드 볼록부(300)에 의해, 후 가이드 오목부(330)에 있어서, 후 가이드 볼록부(300)의 돌출 방향으로 후 가이드 볼록부(300)의 변위가 규제된다. 가압력은, 예를 들면 상부 베어링부(232) 및 하부 베어링부(234)를 통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전달되어, 후 가이드 오목부(330)를 후 가이드 볼록부(300)를 향해서 변위시키고자 하지만, 후 가이드 볼록부(300)에 의해서 규제된다. 마찬가지로, 좌 가이드 오목부(332)의 위치는, 좌 가이드 볼록부(302)에 의하여 규제를 받고, 우 가이드 오목부(334)의 위치는, 우 가이드 볼록부(304)에 의하여 규제를 받는다. 이 때문에,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 결정된다.
한편, 후 가이드 오목부(330), 좌 가이드 오목부(332) 및 우 가이드 오목부(334)는, 바닥벽부(160)로부터의 높이가 동일해지도록 형성되고, 그 높이는, 리브 형상 규제부(168)보다 약간 낮아지도록 설계되어 있다(도 7(b) 참조). 이에 따라, 3개의 가이드 오목부(169)가, 리본 이송 경로(214)로 돌출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후 가이드 오목부(330), 좌 가이드 오목부(332) 및 우 가이드 오목부(334)는, 각각 개구 주연벽부(164)와 바닥벽부(160)가 서로 교차하는 코너부(350)에 실질적으로 배치되어 있다(도 7(b) 및 도 9 참조). 이들 오목부(330, 332 및 334)는, 코너부(350)에 있어서 오목 홈으로 구성되고, 개구 주연벽부(164)측(내벽 본체)에 있어서 개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3개의 가이드 오목부(169)는, 그 기능을 해치는 일 없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5)에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장착하면, 헤드 커버(43)의 3개의 가이드 볼록부(67)에,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3개의 가이드 오목부(169)가 각각 걸어맞춤하고,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카트리지 장착부(5)에 위치 결정된다. 이 때문에,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인쇄 헤드(21)의 가압력 또는 플래튼 구동축(45) 및 권취 구동축(47)의 회전력(회전 모멘트)이 인가되어도,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위치 어긋남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위치 어긋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인쇄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볼록부(67)와 가이드 오목부(169)의 협동에 의해,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장착이 가이드되기 때문에, 헤드 커버(43)와 삽입 개구(134)의 사이의 간극을 매우 좁게할 수 있어, 이 부분으로부터의 먼지 등의 침입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오목부와 가이드 볼록부(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카트리지(100A)의 가이드 오목부(169A)의 구조에 대하여, 헤드 커버(43)의 가이드 볼록부(67)의 구조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주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 커버(43)에 4개의 가이드 볼록부(67)가 형성되고, 이 4개의 가이드 볼록부(67)에 대응하도록, 테이프 카트리지(100A)의 개구 주연벽부(164)에는, 4개의 가이드 오목부(169A)가 형성되어 있다.
4개의 가이드 볼록부(67)는, 후 커버 측벽(28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한 2개의 후 가이드 볼록부(300)와, 좌 커버 측벽(282)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한 좌 가이드 볼록부(302)와, 우 커버 측벽(284)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한 우 가이드 볼록부(304)를 갖고 있다. 후 가이드 볼록부(300) 중 하나와 좌 가이드 볼록부(302)는, 후 커버 측벽(280)과 좌 커버 측벽(282)의 코너 근방에 배치되고, 또한 후 가이드 볼록부(300)의 다른 하나와 우 가이드 볼록부(304)는, 후 커버 측벽(280)과 우 커버 측벽(284)의 코너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4개의 가이드 볼록부(67)에 대응하기 위하여, 4개의 가이드 오목부(169A)는, 후 개구 내벽(310)에 형성되어, 2개의 후 가이드 볼록부(300)가 끼워맞춤하는 2개의 후 가이드 오목부(330)와, 좌 개구 내벽(312)에 형성되어, 좌 가이드 볼록부(302)가 끼워맞춤하는 좌 가이드 오목부(332)와, 우 개구 내벽(314)에 형성되어, 우 가이드 볼록부(304)가 끼워맞춤하는 우 가이드 오목부(334)를 갖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구 주연벽부(164)의 2개의 코너 중 하나(좌측)에 있어서, 후 가이드 볼록부 중 하나(300)에 후 가이드 오목부(330) 중 하나가 끼워맞춤하고, 좌 가이드 볼록부(302)에 좌 가이드 오목부(332)가 끼워맞춤한다. 또한, 다른 코너(우측상)에 있어서도, 후 가이드 볼록부(300) 중 다른 하나에 후 가이드 오목부(330) 중 다른 하나가 끼워맞춤하고, 우 가이드 볼록부(304)에 우 가이드 오목부(334)가 끼워맞춤한다. 이에 따라, 개구 주연벽부(164)의 2개의 코너는, 전후 좌우 모두에 위치 결정된다. 즉, 테이프 카트리지(100A)는, 인쇄 헤드(21) 근방의 이간된 2개소에 있어서, 전후 좌우 양자에서 위치 결정된다.
이러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카트리지 장착부(5)에 테이프 카트리지(100A)를 장착하면, 헤드 커버(43)의 4개의 가이드 볼록부(67)에, 테이프 카트리지(100A)의 4개의 가이드 오목부(169A)가 각각 끼워맞춤하고, 테이프 카트리지(100A)가 카트리지 장착부(5)에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 결정된다. 이 때문에, 테이프 카트리지(100A)에 외력이 인가되어도,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결국, 테이프 카트리지(100A)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인쇄 품질의 저하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이드 볼록부(67) 및 가이드 오목부(169)의 수는 임의이다. 또한, 가이드 볼록부(67) 및 가이드 오목부(169)의 길이도 임의이다. 예를 들면, 가이드 볼록부(67) 및 가이드 오목부(169)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각각 헤드 커버(43)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의 가이드 볼록부(67) 및 개구 주연벽부(164)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의 가이드 오목부(169)로 해도 좋다. 또한, 가이드 오목부(169)에 대신하여, 삽입 개구(134)의 후 개구 내벽(310), 좌 개구 내벽(312) 및 우 개구 내벽(314)의 전체를,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가이드 오목부(169A)에 있어서의 바닥부까지 후퇴시킨 형상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주요 위치 어긋남이 이 내벽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타나는 경우,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삽입 개구(134)의 형상을 간소하게 할 수 있어, 테이프 카트리지(100 및 100A)의 제조가 용이해지고, 테이프 카트리지(100, 100A)는 걸림없이 원활히 장착될 수 있다.
[제3 내지 제5 실시 형태의 도입]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테이프 카트리지(100)에서는, 플래튼 구동축(45)으로부터 플래튼 롤러(120)로 회전력이 입력됨과 함께, 권취 구동축(47)으로부터 권취 코어(116)에 회전력이 입력된다. 이 때문에, 플래튼 롤러(120)의 베어링부의 마찰을 통하여, 카트리지 케이스(130)에 회전 모멘트를 인가함과 함께, 권취 코어(116)의 베어링부의 마찰을 통하여, 카트리지 케이스(130)에 회전 모멘트를 인가한다. 이 2개의 회전 모멘트는, 서로 역방향으로 인가된다. 또한, 플래튼 롤러(120)와 권취 코어(116)를 연결하는 가상선(L)상에 있어서 서로 상쇄하는 벡터 성분이 없기 때문에, 합성력(M)이 가상선(L)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장 크게 인가된다(도 11(a) 참조). 그러므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 커버(43)에 본체측 맞닿음부(65)를 형성함과 함께, 테이프 카트리지(100B)에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를 형성하여, 합성력(M)에 저항하도록 하고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커버(43)는, 회전 지지축(63)측의 모서리부(370)에, 테이프 카트리지(100B)를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한 본체측 맞닿음부(65)를 갖고 있다. 한편, 개구 주연벽부(164)에 의해 구획된 삽입 개구(134)는, 카트리지 장착부(5)의 헤드 커버(43)가 삽입되는 부분이며, 개구 주연벽부(164)는, 헤드 커버(43)에 형성한 본체측 맞닿음부(65)에 대응하는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를 갖고 있다. 카트리지 장착부(5)에 테이프 카트리지(100B)를 장착하면, 헤드 커버(43)의 본체측 맞닿음부(65)에, 테이프 카트리지(100B)의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가 맞닿고, 이에 의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0B)가 카트리지 장착부(5)에 위치 결정된다(상세는 후술한다).
[카트리지측 맞닿음부와 본체측 맞닿음부(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11(a) 및 도 11(b)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카트리지(100B)의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의 구조에 대해서, 헤드 커버(43)의 본체측 맞닿음부(65)의 구조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청구항 3에 개시되어 있는 인쇄 헤드부는 헤드 커버(43)에 덮인 인쇄 헤드(21) 및 인쇄 헤드(21)를 지지하는 헤드 지지 프레임(61)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1(a) 및 도 11(b) 그리고 도 12(a) 및 도 12(b)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5)의 장착 베이스(31)에 세워 설치된 헤드 커버(43)에는, 회동 지지축(63)측의 모서리부(370)에 본체측 맞닿음부(65)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 커버(43)는, 인쇄 헤드(21)의 이면측을 덮는 후 커버 측벽(280)과, 후 커버 측벽(280)의 양 외단으로부터 각각 직각으로 연장되는 좌 커버 측벽(282) 및 우 커버 측벽(284)을 갖고 있다. 또한, 헤드 커버(43)는, 인쇄 헤드(21)의 전측 반부를 덮는 전 커버 측벽(286)과, 인쇄 헤드(21)를 상측으로부터 덮는 커버 천정벽(288)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벽들은,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15의 "제1 커버 측벽"은, 우 커버 측벽(284)에 상당하고, 청구항 15의 "제2 커버 측벽"은, 전 커버 측벽(286)에 상당한다.
본체측 맞닿음부(65)는, 우 커버 측벽(284)과 전 커버 측벽(286)이 교차하는 모서리부(370)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체측 맞닿음부(65)는, 단면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모서리부(370)의 정점(apex)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본체측 맞닿음부(65)는, 장착 베이스(31)로부터 헤드 커버(43)와 동일 높이가 되도록 연재하고 있다. 상술과 같이, 헤드 커버(43)와 장착 베이스(31)는, 서로 일체로 형성(성형)되어 있고, 본체측 맞닿음부(65)도, 헤드 커버(43)와 장착 베이스(31)와 일체로 형성(성형)되어 있다.
도 11(a) 및 도 11(b) 및 도 1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측 맞닿음부(65)를 수용하는 테이프 카트리지(100B)의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는, 삽입 개구(134)를 구획하는 개구 주연벽부(164)에 있어서, 모서리부(370)에 대응하는 코너부(372)에 형성되어 있다. 이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120)와 권취 코어(116)를 연결하는 가상선(L)의 근방에 위치한다. 개구 주연벽부(164)는, 후 커버 측벽(280)에 대응하는 후 개구 내벽(310)과, 좌 커버 측벽(282)에 대응하는 좌 개구 내벽(312)을 갖고 있다. 또한, 개구 주연벽부(164)는, 우 커버 측벽(284)에 대응하는 우 개구 내벽(314)과, 전 커버 측벽(286)에 대응하는 전 개구 내벽(316)을 갖고 있다. 그리고, 후 커버 측벽(280)과 후 개구 내벽(310)은, 간극을 두고 대면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좌 커버 측벽(282)과 좌 개구 내벽(312), 우 커버 측벽(284)과 우 개구 내벽(314), 전 커버 측벽(286)과 전 개구 내벽(316)도 각각 간극을 두고 대면하고 있다. 청구항 15의 "제1 개구 내벽"은, 우 개구 내벽(314)에 상당하고, 청구항 15의 "제2 개구 내벽"은, 전 개구 내벽(316)에 상당한다.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는, 우 개구 내벽(314)과 전 개구 내벽(316)이 서로 교차하는 코너부(372)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는, 단면으로 직사각형 형상, 즉 단면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측 맞닿음부(65)에 대하여, 상보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측 맞닿음부(65)에 대응하도록,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는,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표측으로부터 이측까지 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는, 플래튼 롤러(120)와 권취 코어(116)를 연결하는 가상선(L)을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본체측 맞닿음부(65)에 맞닿고, 또한 끼워맞춤하고 있다. 도시에서는,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와 본체측 맞닿음부(65)가 서로 맞닿아 있지 않다. 그러나, 회전 모멘트이 인가와 함께, 테이프 카트리지(100B)가 공차만큼 움직였을 때에 양 맞닿음부(166 및 65)가 맞닿아, 테이프 카트리지(100B)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는, 서로 평행한 2개의 측벽면(374)을 갖고 있고, 이 2개의 측벽면(374)이, 본체측 맞닿음부(65)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카트리지 케이스(130))는, 본체측 맞닿음부(65)에 의해, 가상선(L)의 방향(볼록 형성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이 2개의 측벽면(374)은, 장착 베이스(31)측을 향해 확대하도록, 각각 경사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테이프 카트리지(100B)를 장착하는 경우에 이 경사면이 가이드로서 기능하여, 카트리지 케이스(130)를, 가상선(L)의 방향으로 정밀도 좋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전술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카트리지 장착부(5)에 테이프 카트리지(100B)를 장착하면, 헤드 커버(43)의 본체측 맞닿음부(65)에, 테이프 카트리지(100B)의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가 끼워맞춤하고 부딪쳐진다.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가, 플래튼 롤러(120)와 권취 코어(116)를 연결하는 가상선(L)상(도 11(a) 및 도 11(b)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근방을 포함한다)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플래튼 구동축(45)과 권취 구동축(47)의 구동력을 근원으로 하는 회전력(회전 모멘트)은, 회전력이 서로 상쇄되는 방향의 벡터 성분이 거의 없고, 따라서 결합력(합성력)이 발생된다. 이 때문에, 테이프 카트리지(100B)에, 플래튼 구동축(45) 및 권취 구동축(47)의 회전력(회전 모멘트)이 인가되어도, 본체측 맞닿음부(65)와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는, 전술한 결합력으로 서로에 대하여 부딪치게 되어, 테이프 카트리지(100B)의 위치 어긋남이 감소된다. 따라서, 테이프 카트리지(100B)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인쇄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측 맞닿음부(65)를 헤드 커버(43)와 동일 높이로 형성하고 있지만, 헤드 커버(43)보다 짧게(낮게) 형성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도 짧게 형성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 테이프(102)의 복수의 폭에 맞추어 복수의 두께를 갖는 복수 형태의 테이프 카트리지(100B)를 사용할 수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102)가 두께가 큰 경우는, 인쇄 헤드(21)(헤드 커버(43))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134)가, 관통공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인쇄 헤드(21)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이면, 천정이 있는 백공이라도 좋다. 그 경우는, 이 백공의 깊이의 범위 내의 길이를 갖도록 하는 것만이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에 요구된다.
[카트리지측 맞닿음부와 본체측 맞닿음부(제4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카트리지(100C)의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A)의 구조에 대하여, 헤드 커버(43)의 본체측 맞닿음부(65)의 구조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주로 제3 실시 형태와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본체측 맞닿음부(65)는, 헤드 커버(43)에 있어서의 우 커버 측벽(284)과 전 커버 측벽(286)이 서로 교차하는 모서리부(370)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체측 맞닿음부(65)는, 모서리부(370)의 정점 근방에 있어서, 단면으로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우 커버 측벽(284)으로부터 돌출한 제1 볼록부(65a)와, 단면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 커버 측벽(286)으로부터 돌출한 제2 볼록부(65b)를 갖고 있다. 또한, 제1 볼록부(65a) 및 제2 볼록부(65b)는, 장착 베이스(31)로부터 헤드 커버(43)와 동일 높이가 되도록 연재하고 있다. 이 높이의 베리에이션(variation)에 대해서는, 제3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하다.
한편,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A)도, 개구 주연벽부(164)에 있어서의 우 개구 내벽(314)과 전 개구 내벽(316)이 서로 교차하는 코너부(372)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A)는, 제1 볼록부(65a)에 대응하도록 우 개구 내벽(314)에 오목하게 형성한 제1 오목부(380)를 갖고 있다. 또한,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A)는, 제2 볼록부(65b)에 대응하도록 전 개구 내벽(316)에 오목하게 형성한 제2 오목부(382)를 갖고 있다. 이 경우도, 제1 오목부(380)는, 단면으로 직사각형 형상, 즉 제1 볼록부(65a)에 대하여 상보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오목부(382)는, 단면으로 직사각형 형상, 즉 제2 볼록부(65b)에 대하여 상보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오목부(380) 및 제2 오목부(382)는,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표측으로부터 이측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우도, 제1 오목부(380) 및 제2 오목부(382)는, 각각 서로 평행한 2개의 측벽면(374)을 갖고 있고, 이 2개의 측벽면(374)은, 제1 볼록부(65a) 및 제2 볼록부(65b)의 대응하는 측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 케이스(130)는, 전후 좌우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러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카트리지 장착부(5)에 테이프 카트리지(100C)를 장착하면, 헤드 커버(43)의 제1 볼록부(65a) 및 제2 볼록부(65b)(본체측 맞닿음부(65))에, 테이프 카트리지(100C)의 제1 오목부(380) 및 제2 오목부(382)(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A))가 각각 끼워맞춤하고 부딪쳐진다. 이 때문에, 테이프 카트리지(100C)에, 플래튼 구동축(45) 및 권취 구동축(47)의 회전력(회전 모멘트)이 인가되어도, 테이프 카트리지(100C)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되지는 않는다.
[제4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
다음으로, 도 14 및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여, 제4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A)가, 제4 실시 형태의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A)와 동일한 형태를 갖지만(도 14 참조), 본체측 맞닿음부(65)는, 제4 실시 형태의 본체측 맞닿음부(65)의 것과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 본체측 맞닿음부(6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a)는, 헤드 커버(43) 주변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 15(b)는, 헤드 커버(43) 주변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변형예의 본체측 맞닿음부(65)도, 제1 볼록부(65a) 및 제2 볼록부(65b)를 갖고 있고, 이 제1 볼록부(65a)가 제4 실시 형태의 제1 볼록부(65a)와 상이한 형태를 갖고 있다. 제1 볼록부(65a)는, 헤드 커버(4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제1 볼록부(65a)의 하반부(400)는, 헤드 커버(43)측(내측)의 부분이 깊게 절입(cut)되어 있도록, 하방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헤드 커버(43)는, 제1 볼록부(65a)의 하반부(400)를 수용하는 슬릿부(402)를 가지고 있다. 즉, 제1 볼록부(65a)의 하반부(400)는, 도면에 도시된 좌우 방향으로 탄성 특성을 갖는다.
또한, 제1 볼록부(65a)의 하반부(400)의 외측이 단차(404)를 갖고 연재되어 있으며, 그 연재부(406)가,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A)와 맞닿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볼록부(65a)의 하단부(408)는, 장착 베이스(31)의 직사각형 개구(410)에 헐겁게 삽입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100C)를 장착하면, 제1 볼록부(65a)가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A)의 제1 오목부(380)에 접촉하고, 제1 오목부(380)를 외측(도면에서 우방향)으로 가압(탄성 지지)한다. 즉, 테이프 카트리지(100C)를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하면, 테이프 카트리지(100C)는, 제1 볼록부(65a) 및 제1 오목부(380)를 통하여, 도면에 도시된 우 방향으로 가압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변형예에서는, 제1 볼록부(65a)가 탄성 특성을 갖기 때문에, 테이프 카트리지(100C)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헤드 커버(43)에 대하여 움직히지 않게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테이프 카트리지(100C)의 위치 어긋남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2 볼록부(65b)에 있어서도, 제1 볼록부(65a)와 동일한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
다음으로,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여, 제4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변형예에서도,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A)는, 제4 실시 형태의 카트리지 맞닿음부(166A)와 동일한 형태를 갖지만(도 14 참조), 본체측 맞닿음부(65)는, 제4 실시 형태의 본체측 맞닿음부(65)와 상이한 형태를 갖는다. 이 경우도, 본체측 맞닿음부(65)는, 제1 볼록부(65a) 및 제2 볼록부(65b)를 갖고 있고, 이 제1 볼록부(65a)가 제4 실시 형태의 제1 볼록부(65a)와 상이한 형태를 갖고 있다.
도 16(a)는, 헤드 커버(43) 주변의 확대 평면도이며, 도 16(b)는, 헤드 커버(43) 주변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2 변형예에서는, 헤드 커버(43)의 모서리부(370)의 상면에 검출 스위치(420)가 형성되어 있고, 이 검출 스위치(420)와 제1 볼록부(65a)의 협동에 의해, 테이프 카트리지(100C)의 장착이 검출된다.
헤드 커버(43)의 상면에는, 부착편(422)이 일체로 세워져 설치되고, 이 부착편(422)에 검출 스위치(420)가 하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검출 스위치(420)는, 그 스위치단(420a)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내장한 마이크로 스위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1 볼록부(65a)는, 헤드 커버(43)에 대하여 별체로 형성되고, 헤드 커버(43)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볼록부(65a)의 하반부(400)는, 제1 변형예 제1 볼록부(65a)와 동일한 형태를 갖고, 이에 대응하여 헤드 커버(43)는 슬릿부(402)를 갖는다. 제1 볼록부(65a)의 상반부(424)는, "L"자형상으로 연장되고, 검출 스위치(420)의 스위치단(420a)에 접촉하고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100C)를 장착하면, 제1 볼록부(65a)가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A)의 제1 오목부(380)에 접촉하여, 약간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검출 스위치(420)가 ON하고, 테이프 카트리지(100C)의 장착이 검출된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C)를 떼어내면, 반대의 순서로, 테이프 카트리지(100C)의 제거가 검출된다. 한편, 테이프 카트리지(100C)의 장착에 의해서 회전하는 제1 볼록부(65a)는, 검출 스위치(420)의 내장 스프링으로부터 탄성 지지력을 받아, 제1 오목부(380)를 외측(도면에서 도시된 우방향)으로 가압(탄성 지지)한다. 즉, 테이프 카트리지(100C)를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하면, 테이프 카트리지(100C)는, 제1 볼록부(65a) 및 제1 오목부(380)를 통하여, 도시의 우방향으로 가압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변형예에 따르면, 검출 스위치(420)와 제1 볼록부(65a)의 협동에 의해, 테이프 카트리지(100C)가 장착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검출 스위치(420)의 탄성력(내장 스프링)을, 제1 볼록부(65a)에 작용시키고 있기 때문에, 테이프 카트리지(100C)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헤드 커버(43)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게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테이프 카트리지(100C)의 위치 어긋남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측 맞닿음부와 본체측 맞닿음부(제5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17을 참조하여,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카트리지(100D)의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B)의 구조에 대하여, 헤드 커버(43)의 본체측 맞닿음부(65)의 구조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주로 제3 실시 형태와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 커버(43)의 본체측 맞닿음부(65)가, 제1 실시 형태의 본체측 맞닿음부(65)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 높이의 베리에이션에 대해서는, 제3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하다.
상술과 같이, 우 커버 측벽(284)과 우 개구 내벽(314)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 커버 측벽(286)과 전 개구 내벽(316)의 사이에도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헤드 커버(43)의 모서리부(370)와, 테이프 카트리지(100D)의 코너부(372) 사이에도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본체측 맞닿음부(65)는, 이 모서리부(370)와 코너부(372)의 간극에 대응하는 돌출 치수로, 헤드 커버(43)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한편, 본체측 맞닿음부(65)에는, 우 개구 내벽(314)과 전 개구 내벽(316)이 서로 교차하는 코너부(372)의 내측 코너와 맞닿아 있다. 즉, 제5 실시 형태의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B)는, 코너부(372)의 내측 코너로 구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코너부(372)의 내측 코너가,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B)를 겸하고 있다. 이 경우, 코너부(372)의 내측 코너는, 성형상의 요청으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측 코너에 대응하는 본체측 맞닿음부(65)의 선단도 원호 형상(상보적인 원호 형상)으로 대응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술된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카트리지 장착부(5)에 테이프 카트리지(100D)를 장착하면, 헤드 커버(43)의 본체측 맞닿음부(65)에, 테이프 카트리지(100D)의 코너부(372)(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B))가 부딪쳐진다. 이 때문에, 테이프 카트리지(100D)에, 플래튼 구동축(45) 및 권취 구동축(47)의 회전력(회전 모멘트)이 인가되어도, 테이프 카트리지(100D)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는다.
전술한 제3 내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본체측 맞닿음부(65)는, 모서리부(370) 또는 모서리부(370) 근방에 형성되고,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는, 코너부(372) 또는 코너부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치로 제한되지 않으며,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플래튼 롤러(120)와 권취 코어(116)를 연결하는 가상선(L)상(근방을 포함한다)에 위치하면,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는, 오목부 또는 코너부로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카트리지 맞닿음부(166)는 반드시 그러한 형태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플래튼 롤러(120)와 권취 코어(116)를 연결하는 가상선(L)상(근방을 포함한다)에 위치하고, 본체측 맞닿음부(65)로부터의 힘을 받을 수 있기만 하면, 카트리지측 맞닿음부(166)는, 단순한 개구 주연벽부(164)의 벽의 본체측 맞닿음부(65)에 대향하는 벽의 일부라도 좋다.
1 : 테이프 인쇄 장치
3 : 장치 케이스
5 : 카트리지 장착부
7 : 개폐 커버
21 : 인쇄 헤드
23 : 인쇄 기구부
25 : 테이프 이송 기구부
31 : 장착 베이스
43 : 헤드 커버
45 : 플래튼 구동축
47 : 권취 구동축
61 : 헤드 지지 프레임
63 : 회동 지지축
65 : 본체측 맞닿음부
65a : 제1 볼록부
65b : 제2 볼록부
67 : 가이드 볼록부
100, 100A, 100B, 100C, 100D : 테이프 카트리지
102 : 인쇄 테이프
110 : 잉크 리본
116 : 권취 코어
120 : 플래튼 롤러
130 : 카트리지 케이스
134 : 삽입 개구
150 : 하부 케이스
152 : 상부 케이스
156 : 천판부
160 : 바닥벽부
164 : 개구 주연벽부
166, 166A, 166B : 카트리지측 맞닿음부
169, 169A : 가이드 오목부
168 : 리브 형상 규제부
214 : 리본 이송 경로
280 : 후 커버 측벽
282 : 좌 커버 측벽
284 : 우 커버 측벽
286 : 전 커버 측벽
300 : 후 가이드 볼록부
302 : 좌 가이드 볼록부
304 : 우 가이드 볼록부
310 : 후 개구 내벽
312 : 좌 개구 내벽
314 : 우 개구 내벽
316 : 전 개구 내벽
330 : 후 가이드 오목부
332 : 좌 가이드 오목부
334 : 우 가이드 오목부
340 : 오목부 측벽면
342 : 오목부 바닥벽면
350 : 코너부
370 : 모서리부
372 : 코너부
380 : 제1 오목부
382 : 제2 오목부
3 : 장치 케이스
5 : 카트리지 장착부
7 : 개폐 커버
21 : 인쇄 헤드
23 : 인쇄 기구부
25 : 테이프 이송 기구부
31 : 장착 베이스
43 : 헤드 커버
45 : 플래튼 구동축
47 : 권취 구동축
61 : 헤드 지지 프레임
63 : 회동 지지축
65 : 본체측 맞닿음부
65a : 제1 볼록부
65b : 제2 볼록부
67 : 가이드 볼록부
100, 100A, 100B, 100C, 100D : 테이프 카트리지
102 : 인쇄 테이프
110 : 잉크 리본
116 : 권취 코어
120 : 플래튼 롤러
130 : 카트리지 케이스
134 : 삽입 개구
150 : 하부 케이스
152 : 상부 케이스
156 : 천판부
160 : 바닥벽부
164 : 개구 주연벽부
166, 166A, 166B : 카트리지측 맞닿음부
169, 169A : 가이드 오목부
168 : 리브 형상 규제부
214 : 리본 이송 경로
280 : 후 커버 측벽
282 : 좌 커버 측벽
284 : 우 커버 측벽
286 : 전 커버 측벽
300 : 후 가이드 볼록부
302 : 좌 가이드 볼록부
304 : 우 가이드 볼록부
310 : 후 개구 내벽
312 : 좌 개구 내벽
314 : 우 개구 내벽
316 : 전 개구 내벽
330 : 후 가이드 오목부
332 : 좌 가이드 오목부
334 : 우 가이드 오목부
340 : 오목부 측벽면
342 : 오목부 바닥벽면
350 : 코너부
370 : 모서리부
372 : 코너부
380 : 제1 오목부
382 : 제2 오목부
Claims (7)
- 테이프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와, 장착된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로부터 인쇄 테이프를 풀어내면서 이송하는 테이프 이송 기구부와, 상기 인쇄 테이프의 이송에 동기하여 잉크 리본을 이송하는 리본 이송 기구부와, 상기 인쇄 테이프에 인쇄를 행함과 함께, 인쇄 위치와 퇴피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인쇄 헤드부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쇄 헤드부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상기 인쇄 헤드부를 덮음과 함께 복수의 모서리부를 갖는 헤드 커버와, 상기 헤드 커버의 1개의 모서리부에 돌출 형성된 볼록부를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테이프 카트리지로서,
상기 테이프 이송 기구부로부터 동력 전달되고, 상기 인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 테이프 및 상기 잉크 리본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인쇄 헤드부에 대치하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잉크 리본을 권취하는 권취 코어와,
상기 인쇄 테이프, 상기 잉크 리본, 상기 플래튼 롤러 및 상기 권취 코어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케이스와,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에 상기 헤드 커버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와,
상기 삽입 개구의 내벽부 중, 상기 인쇄 테이프를 수용하는 테이프 수용 영역측에 위치하는 제1 내벽부와, 상기 잉크 리본을 수용하는 리본 수용 영역측에 위치하는 제2 내벽부가 교차하는 코너부로서,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볼록부에 대향하는 개소에 대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부는,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권취 코어를 연결하는 가상선상 또는 가상선 근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부는, 상기 제1 내벽부의, 상기 볼록부에 대향하는 벽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개구의 내벽부는,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헤드 커버의 측벽에 간극을 갖고 대면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부는, 상기 제1 내벽부로부터 상기 테이프 수용 영역측에 형성한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표측에서 이측(裏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4-060911 | 2014-03-24 | ||
JPJP-P-2014-060913 | 2014-03-24 | ||
JP2014060913 | 2014-03-24 | ||
JP2014060911 | 2014-03-24 | ||
JP2015008460A JP6113207B2 (ja) | 2014-03-24 | 2015-01-20 | テープカートリッジ |
JPJP-P-2015-008460 | 2015-01-20 | ||
PCT/JP2015/058314 WO2015146794A1 (ja) | 2014-03-24 | 2015-03-19 | テープカートリッジ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29640A Division KR101899525B1 (ko) | 2014-03-24 | 2015-03-19 | 테이프 카트리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9947A KR20180099947A (ko) | 2018-09-05 |
KR102144797B1 true KR102144797B1 (ko) | 2020-08-14 |
Family
ID=541953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24946A KR102144797B1 (ko) | 2014-03-24 | 2015-03-19 | 테이프 카트리지 |
KR1020167029640A KR101899525B1 (ko) | 2014-03-24 | 2015-03-19 | 테이프 카트리지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29640A KR101899525B1 (ko) | 2014-03-24 | 2015-03-19 | 테이프 카트리지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5) | US9352599B2 (ko) |
EP (1) | EP3124276B1 (ko) |
JP (1) | JP6113207B2 (ko) |
KR (2) | KR102144797B1 (ko) |
CN (4) | CN106132719B (ko) |
BR (1) | BR112016022089A2 (ko) |
RU (1) | RU2664375C2 (ko) |
TW (3) | TWI689422B (ko) |
WO (1) | WO201514679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113207B2 (ja) | 2014-03-24 | 2017-04-12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テープカートリッジ |
JP6321250B2 (ja) * | 2014-03-24 | 2018-05-09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テープカートリッジ |
JP1543547S (ko) * | 2015-04-03 | 2016-02-08 | ||
USD788844S1 (en) * | 2015-04-03 | 2017-06-06 | Seiko Epson Corporation | Tape cartridge for a label printer |
USD787588S1 (en) * | 2015-04-03 | 2017-05-23 | Seiko Epson Corporation | Tape cartridge for a label printer |
USD787590S1 (en) * | 2015-04-03 | 2017-05-23 | Seiko Epson Corporation | Tape cartridge for a label printer |
USD787587S1 (en) * | 2015-04-03 | 2017-05-23 | Seiko Epson Corporation | Tape cartridge for a label printer |
DE102016101137A1 (de) * | 2016-01-22 | 2017-07-27 | Phoenix Contact Gmbh & Co. Kg | Drucker zur Bedruckung von Bedruckungsobjekten und Farbbandkassette zur Verwendung bei einem Drucker |
JP6852473B2 (ja) | 2017-03-10 | 2021-03-31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テープ印刷装置 |
CN108724921B (zh) * | 2017-04-13 | 2020-05-15 | 精工爱普生株式会社 | 头加压机构和带印刷装置 |
JP7142564B2 (ja) * | 2018-03-29 | 2022-09-27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リボンカートリッジおよび印刷装置 |
JP7143648B2 (ja) * | 2018-06-28 | 2022-09-29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テープ印刷装置、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テープカートリッジセット |
JP7213680B2 (ja) * | 2018-12-26 | 2023-01-27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 |
CN111376620B (zh) * | 2018-12-26 | 2022-04-29 | 精工爱普生株式会社 | 装配于带印刷装置的盒 |
JP7208786B2 (ja) * | 2018-12-26 | 2023-01-19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 |
JP7247647B2 (ja) * | 2019-02-26 | 2023-03-29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印刷装置 |
JP7287860B2 (ja) * | 2019-03-19 | 2023-06-0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およびテープ印刷装置 |
JP2020158210A (ja) * | 2019-03-25 | 2020-10-01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カセット |
JP7379850B2 (ja) | 2019-03-31 | 2023-11-15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カセット |
JP7389963B2 (ja) * | 2019-07-31 | 2023-12-01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テープカセット |
JP7322638B2 (ja) * | 2019-09-30 | 2023-08-08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印刷装置及び印刷用カセット |
JP7367430B2 (ja) * | 2019-09-30 | 2023-10-24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印刷装置 |
JP7456204B2 (ja) * | 2020-03-11 | 2024-03-27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 |
CN114670559B (zh) | 2020-12-24 | 2023-10-24 | 精工爱普生株式会社 | 带盒 |
CN113135047B (zh) * | 2021-05-12 | 2022-08-26 | 重庆品胜科技有限公司 | 一种标签打印机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72895A (ja) * | 2005-03-30 | 2006-10-12 | Brother Ind Ltd | テープカセット |
JP2012006295A (ja) * | 2010-06-25 | 2012-01-12 | Seiko Epson Corp |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テープ印刷装置 |
US20130114988A1 (en) | 2010-07-16 | 2013-05-09 | Seiko Epson Corporation | Tape Cartridge and Tape Printer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150321U (ko) * | 1976-05-10 | 1977-11-15 | ||
JPS5461545A (en) | 1977-10-26 | 1979-05-17 | Hitachi Ltd | Optically scanning location |
JPS56140525A (en) | 1980-04-03 | 1981-11-0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Rotary magnetic head device |
JPH066931Y2 (ja) * | 1988-12-15 | 1994-02-23 | 東京電気株式会社 | サーマルプリンタ |
JP2867882B2 (ja) * | 1994-05-25 | 1999-03-10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テープカセット |
JP3212445B2 (ja) * | 1994-05-25 | 2001-09-25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テープカセット |
JP3968130B2 (ja) * | 1994-08-09 | 2007-08-29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テープカートリッジ |
JP3365157B2 (ja) * | 1995-08-03 | 2003-01-08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磁気テープ駆動装置 |
JP3564226B2 (ja) * | 1996-04-15 | 2004-09-0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テープ印刷装置 |
US5921688A (en) * | 1996-04-15 | 1999-07-13 | Seiko Epson Corporation | Tape printing apparatus |
JPH09277678A (ja) * | 1996-04-15 | 1997-10-28 | Seiko Epson Corp | 電子機器 |
US6485206B1 (en) * | 1999-09-14 | 2002-11-26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Cassette and detecting device for installation thereof |
JP2006116823A (ja) * | 2004-10-21 | 2006-05-11 | Seiko Epson Corp |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が着脱自在に装着されるテープ処理装置 |
JP4736457B2 (ja) * | 2005-02-17 | 2011-07-27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テープカセット |
WO2007135829A1 (ja) * | 2006-05-18 | 2007-11-29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印字テープと印字用カセット |
JP2009073135A (ja) * | 2007-09-25 | 2009-04-09 | Casio Comput Co Ltd | テープカセット |
JP5359820B2 (ja) * | 2009-11-27 | 2013-12-04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テープカセット |
JP2011046042A (ja) * | 2009-08-26 | 2011-03-10 | Seiko Epson Corp | カートリッジ及びテープ印刷装置 |
EP2514600B1 (en) * | 2009-12-16 | 2015-01-21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Tape cassette |
JP5348043B2 (ja) * | 2010-03-26 | 2013-11-20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テープカセット |
TWI525003B (zh) * | 2010-09-27 | 2016-03-11 | 兄弟工業股份有限公司 | 帶盒 |
CN106132712B (zh) | 2014-03-24 | 2018-01-16 | 精工爱普生株式会社 | 带打印装置和带打印系统 |
JP6113207B2 (ja) | 2014-03-24 | 2017-04-12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テープカートリッジ |
JP6321250B2 (ja) | 2014-03-24 | 2018-05-09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テープカートリッジ |
-
2015
- 2015-01-20 JP JP2015008460A patent/JP6113207B2/ja active Active
- 2015-03-19 TW TW108108533A patent/TWI689422B/zh active
- 2015-03-19 TW TW104108851A patent/TWI597185B/zh active
- 2015-03-19 CN CN201580016064.3A patent/CN106132719B/zh active Active
- 2015-03-19 RU RU2016141434A patent/RU2664375C2/ru active
- 2015-03-19 CN CN201710994476.5A patent/CN107856423B/zh active Active
- 2015-03-19 KR KR1020187024946A patent/KR10214479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3-19 CN CN201710993369.0A patent/CN107856424B/zh active Active
- 2015-03-19 TW TW106118161A patent/TWI660857B/zh active
- 2015-03-19 CN CN201710994486.9A patent/CN107878049B/zh active Active
- 2015-03-19 WO PCT/JP2015/058314 patent/WO201514679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3-19 EP EP15769098.3A patent/EP3124276B1/en active Active
- 2015-03-19 BR BR112016022089-7A patent/BR112016022089A2/pt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15-03-19 KR KR1020167029640A patent/KR10189952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6-16 US US14/741,284 patent/US9352599B2/en active Active
-
2016
- 2016-04-27 US US15/140,329 patent/US9821582B2/en active Active
-
2017
- 2017-10-18 US US15/787,402 patent/US10137716B2/en active Active
-
2018
- 2018-10-03 US US16/151,106 patent/US10569585B2/en active Active
-
2020
- 2020-01-09 US US16/738,528 patent/US1098795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72895A (ja) * | 2005-03-30 | 2006-10-12 | Brother Ind Ltd | テープカセット |
JP2012006295A (ja) * | 2010-06-25 | 2012-01-12 | Seiko Epson Corp |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テープ印刷装置 |
US20130114988A1 (en) | 2010-07-16 | 2013-05-09 | Seiko Epson Corporation | Tape Cartridge and Tape Printer |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4797B1 (ko) | 테이프 카트리지 | |
TWI651213B (zh) | 帶印刷裝置及帶印刷系統 | |
KR101892528B1 (ko) | 테이프 카트리지 | |
JP6574866B2 (ja) | テープカートリッジ | |
JP6459602B2 (ja) |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テープ印刷システム | |
WO2015146093A1 (ja) |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テープ印刷システム | |
JP6347173B2 (ja) |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テープ印刷システム | |
TW201544350A (zh) | 帶印刷裝置及帶印刷系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39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425 Effective date: 20200626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