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346B1 - 접목 장치 - Google Patents

접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346B1
KR102129346B1 KR1020187027603A KR20187027603A KR102129346B1 KR 102129346 B1 KR102129346 B1 KR 102129346B1 KR 1020187027603 A KR1020187027603 A KR 1020187027603A KR 20187027603 A KR20187027603 A KR 20187027603A KR 102129346 B1 KR102129346 B1 KR 102129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grafting
thermoplastic resin
seedling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6378A (ko
Inventor
나츠키 나카야먀
게이타 요시나가
로안 티 탄 겐
다카시 후루야마
히토시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고쿠리츠겐큐가이하츠호징 노우교 · 쇼쿠힝 산교기쥬츠 소고겐큐기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리츠겐큐가이하츠호징 노우교 · 쇼쿠힝 산교기쥬츠 소고겐큐기코 filed Critical 고쿠리츠겐큐가이하츠호징 노우교 · 쇼쿠힝 산교기쥬츠 소고겐큐기코
Publication of KR20180116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01G2/32Automatic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01G2/35Cutting; Inser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01G2/38Holding; Ligating

Abstract

회전 테이블(20)은, 접가지의 절단면과 대목의 절단면을 밀착시킨 상태의 접목묘를 소정 방향(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테이프 공급 장치(31, 32)는, 접목묘의 이동 경로 상에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인출 가능하게 배치한다. 또한, 핀(28)은, 접목묘에 선행하여 이동 경로 상을 이동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를 테이프 공급 장치로부터 인출하고,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의 사이에 접목묘의 밀착 부분을 끼운다. 그리고, 용착기(40)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를 용착하여, 접목묘의 밀착시킨 부분의 주위를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로 덮는다. 이에 의해, 심플한 구성으로 접목의 자동화를 실현한다.

Description

접목 장치
본 발명은 접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토양 병해 대책이나 수량 향상의 일조로서 접목의 이용이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종래, 접목에 있어서 대목과 접가지를 접합하는 접합 자재로서는, 대략 C자상의 튜브(특허문헌 1 등 참조), 점착 테이프(특허문헌 2 내지 4 등 참조), 열수축성 플라스틱(특허문헌 5 등 참조), 신축성을 갖는 부직포(특허문헌 6 등 참조), 클립(특허문헌 7 등 참조)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4-9399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4-18332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5951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3-5871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5-3085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4333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05547호 공보
그러나, C자상의 튜브의 경우, 대목이나 접가지의 축 직경에 따른 직경의 것을 몇 종류 준비하며, 또한 선택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접목을 자동화할 때의 접합 자재로서 사용하면, 장치가 복잡화할 우려가 있다.
점착 테이프의 경우, 토마토와 같이 배축 주변에 털이 있는 모종에서는, 테이프 사이에 털을 끼워 넣어 버려, 점착제가 기능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접합 부분에 수분이 있는 경우나, 접목 후의 고습도 하에서의 양생 관리 중에 있어서도, 점착제가 기능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점착제가 사용되기 때문에, 취급이 어려워, 접목을 자동화할 때의 접합 자재로서는 부적합하다.
열수축성 플라스틱의 경우, 가열 처리가 필요하게 되므로, 모종에 대한 열에 의한 영향이 염려된다. 또한, 신축성이 있는 부직포의 경우, 부직포는 통기성 및 보수성을 갖는 소재이기 때문에, 접가지로부터 자근이 발생하여, 접목이 활착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클립으로 야채묘의 접목을 행하는 경우, 접합 상태로서는 양호하지만, 야채묘의 줄기는 부드럽기 때문에, 접목 접합 후에 클립의 자중의 영향에 의해 접목의 줄기부가 꺽일 우려가 있다. 또한, 클립은 다른 접합 자재와 비교하면 고가이며, 유저에게는 자재비의 저감이 요구되고 있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이와 같이, 이제까지 사용 또는 제안되어 온 접목의 접합 자재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다. 또한, 근년, 접목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의 확보가 어려워지고 있으며,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접목 작업의 기계화도 행해지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테이프의 초음파 용착에 의한 접목묘의 접합 방법에 있어서 심플한 구성으로 접목의 자동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접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접목 장치는, 접가지의 절단면과 대목의 절단면을 밀착시킨 상태의 접목묘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접목묘의 이동 경로 상에 테이프를 인출 가능하게 배치하는 테이프 공급부와, 상기 접목묘에 선행하여 상기 이동 경로 상을 이동함으로써, 상기 테이프를 상기 테이프 공급부로부터 인출하고, 상기 테이프의 제1 부분과 해당 제1 부분과 대향한 제2 부분의 사이에 상기 접목묘의 밀착시킨 부분을 끼우는, 인출 부재와, 상기 접목묘의 밀착시킨 부분의 주위를 상기 테이프로 덮어, 용착하는 용착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접목 장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대와, 상기 회전대의 외주부에, 접가지 및 대목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와, 상기 접가지와 상기 대목의 절단면을 밀착시킨 상태의 접목묘의 이동 경로 상에 열가소성 수지를 재료로 하는 테이프를 인출 가능하게 배치하는 테이프 공급부와, 상기 테이프를 상기 테이프 공급부로부터 인출하고, 상기 테이프의 제1 부분과 해당 제1 부분과 대향한 제2 부분의 사이에 상기 접목묘의 밀착시킨 부분을 끼워 넣는 끼워 넣기 기구와, 상기 테이프의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초음파 용착하여, 상기 접목묘의 밀착시킨 부분의 주위를 덮는 용착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접목 장치는, 테이프의 초음파 용착에 의한 접목묘의 접합 방법에 있어서 심플한 구성으로 접목 작업의 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접목 장치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접목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접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측 테이블 근방의 평면도이다.
도 5는, 파지 기구 근방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파지 기구 및 용착기 근방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테이프 인출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8의 (a) 내지 도 8의 (c)는, 파지 해제부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제어 장치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10의 (a), 도 10의 (b)는, 도 9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의 1)이다.
도 11은, 도 10의 (b)의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2의 (a), 도 12의 (b)는, 도 9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의 2)이다.
도 13은, 접목 후의 접가지와 대목의 접합면 근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4의 (a), 도 14의 (b)는, 도 9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의 3)이다.
도 15는, 핀을 벨트 컨베이어에서 이동시키는 변형예에 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6의 (a), 도 16의 (b)는, 상측 테이블과 하측 테이블을 각각의 회전축에 마련하는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7의 (a), 도 17의 (b)는, 테이프 공급 장치를 1개만 사용하는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의 1)이다.
도 18은, 도 18의 (a), 도 18의 (b)는, 테이프 공급 장치를 1개만 사용하는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의 2)이다.
도 19는, 도 19의 (a) 내지 도 19의 (c)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를 척 기구로 인장하는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20의 (a), 도 20의 (b)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의 핀과 접목묘의 사이의 부분을 절단하지 않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변형예 1에 관한 접목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로부터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와 접목묘를 생략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가압 부재로서 비틀림 스프링을 사용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가압 부재로서 탄성 부재 및 롤 부재를 사용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압출판에 판상 부재를 마련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변형예 2에 관한 접목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7은, 변형예 2에 관한 접목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인장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힘 작용부 및 제2 파지부를 가압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테이프 인출 기구의 고정 부재의 하면에 스토퍼 부재를 마련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접목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4의 (b)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실시 형태의 접목 장치(100)의 개요가 도시되어 있다. 접목 장치(10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부로서의 회전 테이블(20)을 갖고 있고, 시계 방향으로 30°씩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회전 테이블(20)에 대하여, 「(A) 접가지ㆍ대목의 공급」 처리, 「(B) 접가지ㆍ대목의 절단」 처리, 「(C) 접가지ㆍ대목의 접합」 처리, 「(D) 접합된 모종의 배출」 처리의 4개의 처리를 순차적으로 실행함으로써, 접목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장치이다.
도 2에는, 접목 장치(10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A) 접가지ㆍ대목의 공급」 처리는, 도 2에 도시하는 모종 공급부(12)가 실행하고, 「(B) 접가지ㆍ대목의 절단」 처리는, 모종 절단부(14)가 실행하고, 「(C) 접가지ㆍ대목의 접합」 처리는, 모종 접합부(110)가 실행하고, 「(D) 접합된 모종의 배출」 처리는, 모종 배출부(112)가 실행한다. 이때, 「(B) 접가지ㆍ대목의 절단」 처리에 있어서는, 접가지의 절단면과 대목의 절단면을 밀착시킨 상태로 할 때까지의 공정을 행하며, 그 후, 접가지와 대목은 밀착된 접목묘의 상태로 이동한다. 「(C) 접가지ㆍ대목의 접합」 처리에서는, 이동해 온 접목묘의 밀착된 부분을 접합 자재로 덮어, 밀착면이 어긋나지 않도록 한다(이하, 「접합」이라고 함).
도 3은, 접목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목 장치(100)는, 알루미늄 프레임 등으로 형성된 받침대부(90)와, 받침대부(90) 상에 마련된 회전 테이블(20)과, 테이프 공급부로서의 테이프 공급 장치(31, 32)와, 용착부(43)와, 파지 해제 기구(51)와, 컨베이어(60)와, 제어 장치(10)(도 2 참조)를 구비한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도 2의 모종 공급부(12)나 모종 절단부(14) 등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모종 공급부(12) 및 모종 절단부(14)는 기존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회전 테이블(20)은, 상측 테이블(26A) 및 하측 테이블(26B)을 갖는다. 상측 테이블(26A)과 하측 테이블(26B)은, 동일 직경의 원반상 부재이며, 상하 방향(도 3의 Z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둔 상태에서, 회전축(120)에 고정되어 있다. 상측 테이블(26A)과 하측 테이블(26B)은, 도 2에 도시하는 회전 테이블 구동 장치(22)에 의해, 소정 시간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30°씩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4에는, 상측 테이블(26A) 근방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측 테이블(26A)의 상면(+Z면)의 외주부 근방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0°간격으로 보유 지지부로서의 파지 기구(24)가 마련되어 있다(도 3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도시하지 않음). 또한, 하측 테이블(26B)의 하면(-Z면)의 외주부 근방에도, 30°간격으로 보유 지지부로서의 파지 기구(124)가 마련되어 있다(도 6 참조). 상측 테이블(26A)에 마련된 파지 기구(24)는 접목에 사용하는 접가지(102)를 파지하고, 하측 테이블(26B)의 파지 기구(124)는 대목(104)을 파지한다(도 6 참조). 또한, 상측 테이블(26A)에 마련된 파지 기구(24)와, 하측 테이블(26B)에 마련된 파지 기구(124)는, 각각 접가지(102), 대목(104)을 파지하고, 접가지(102), 대목(104)의 절단면이 밀착된 상태의 접목묘(103)로 되도록 위치가 조정되어 있다. 즉, 파지 기구(24)가 파지하는 접가지(102)의 축심 위치(줄기의 중심 위치)와 파지 기구(124)가 파지하는 대목의 축심 위치(줄기의 중심축의 위치)가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파지 기구(24) 및 파지 기구(124)의 위치가 조정되어 있다. 또한, 접목묘(103)는, 회전 테이블(20)의 회전과 함께 이동하므로, 접목묘(103)의 이동 경로는, 회전 테이블(20)의 외주를 따른 경로로 되어 있다.
도 5는, 파지 기구(24) 근방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6은, 파지 기구(24, 124) 및 용착기(40) 근방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 기구(24)는 제1 파지부(29A), 제2 파지부(29B), 힘 작용부(34), 토션 스프링(36), 블록상 부재(38) 및 축(129)을 갖는다. 제1 파지부(29A)는, 상측 테이블(26A)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2 파지부(29B)는, 상측 테이블(26A)의 상면에, 축(129)을 개재시켜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파지부(29B)는, 축(129)을 중심으로 하여, Z축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힘 작용부(34)는, 제2 파지부(29B)의 축(129) 근방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힘 작용부(34)와, 상측 테이블(26A)의 상면에 고정된 블록상 부재(38)의 사이에는, 토션 스프링(36)이 마련되어 있다. 이 토션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힘 작용부(34) 및 제2 파지부(29B)에는 축(129)을 중심으로 한 시계 방향의 힘이 상시 가압되고 있다. 이에 의해, 힘 작용부(34)에 파지 해제부(50)가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 파지부(29B)와 제1 파지부(29A)의 사이에서 접가지(102)를 보유 지지할 수 있도록(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반대로 파지 해제부(50)로부터 힘 작용부(34)로 +Y 방향의 힘을 받으면, 힘 작용부(34) 및 제2 파지부(29B)는, 축(129)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보유 지지하고 있던 접가지(102)를 해방한다.
파지 기구(124)는, 전술한 파지 기구(24)와 마찬가지의 구조를 갖는다. 즉, 파지 기구(124)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파지부(29A)와, 제2 파지부(29B)와, 힘 작용부(34)를 가짐과 함께, 파지 기구(24)와 마찬가지로, 토션 스프링(도시하지 않음), 블록상 부재(도시하지 않음), 축(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있다.
또한, 회전 테이블(20)이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의 파지 기구(24, 124)의 위치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계 문자판의 숫자의 위치와 대응한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는, 도 4의 가장 +Y측의 파지 기구(24, 124)의 위치를 「12시의 위치」라고 칭하고, 12시의 위치로부터 30°시계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를 「1시의 위치」, 1시의 위치로부터 30°시계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를 「2시의 위치」라고 칭하기로 한다. 즉, 가장 -Y측의 위치(용착기(40)와 대향하는 위치)는 「6시의 위치」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 접가지ㆍ대목의 공급」 처리는, 12시의 위치에 있는 파지 기구(24, 124)에 대하여 실행되고, 「(B) 접가지ㆍ대목의 절단」 처리는, 3시의 위치에 있는 파지 기구(24, 124)가 보유 지지하는 접가지 및 대목에 대하여 실행된다. 또한, 「(C) 접가지ㆍ대목의 접합」 처리는, 6시의 위치에 있는 파지 기구(24, 124)가 보유 지지하는 접가지 및 대목에 대하여 실행되고, 「(D) 모종의 배출」 처리는, 7시의 위치에 있는 파지 기구(24, 124)에 대하여 실행된다.
상측 테이블(26A)의 상면의 파지 기구(24) 각각의 근방(각 파지 기구(24)의 시계 방향 전방)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인출 기구(39)가 마련되어 있다. 도 7은, 테이프 인출 기구(39)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테이프 인출 기구(39)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Z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U자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27)와, 고정 부재(27)가 갖는 요동축(127)에 마련된 인출 부재로서의 핀(28)을 구비한다. 요동축(127)은, 상측 테이블(26A)의 외주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이다. 핀(28)은, 요동축(127)에 마련됨으로써, 화살표(B) 방향(회전 테이블(20)의 반경 방향 외측 방향, 즉 외주 방향)으로는 요동 가능하지만, 그 밖의 방향으로는 요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핀(28)은, 회전 테이블(20)의 회전과 함께 이동하므로, 핀(28)이 요동하지 않으면, 핀(28)의 이동 경로는, 회전 테이블(20)의 외주를 따른 경로로 된다.
테이프 공급 장치(31, 32)는, 도 4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핀(28)이나, 접목묘(103)의 이동 경로 상을 가로지르는 상태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공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텐션 부가 기능을 갖는 테이프 공급 장치(31, 32)의 양쪽으로부터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공급하는 것으로 하고, 롤상으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가 감겨진 것이므로, 연속적으로 테이프를 공급한다. 또한, 테이프 공급 장치(31, 32)는, 텐션 부가 기능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에 걸리는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목 장치(100)에 의한 동작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에는, 테이프 공급 장치(31, 32)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에 대하여, 2.0N 이상의 장력(권취 텐션)을 걸기로 한다. 또한, 텐션 부가 기능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토크 모터를 텐션 부가 장치로서 사용하여, 텐션 부가 장치(33A, 33B)를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가 감긴 롤의 축과 연동시킴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에 텐션을 거는 것으로 하고 있다. 단,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롤의 축에 텐션 부가 기능이 내장된 것을 사용하여,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의 공급에 브레이크를 걸음으로써, 텐션을 걸어도 된다. 또한, 테이프 공급 장치(31, 32)의 배치 관계에서 테이프 공급 방향을 도중에 변경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테이프 유도 부재를 마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4의 예에서는 테이프 유도 부재(37)를 프레임(135)에 설치하고, 당해 테이프 유도 부재(37)를 통하여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공급 방향을 변경하고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로서는, 신축성을 갖는 수지, 예를 들어 인장 강도가 300 내지 700kg/㎠이고, 인장 신도가 300 내지 700%인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두께는 예를 들어 0.28mm이며, Z축 방향의 폭은 예를 들어 10mm인 것으로 한다. 또한, 테이프의 두께나 Z축 방향의 폭은 접합 대상의 작물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는, 두께가 0.4mm 정도이고, Z축 방향의 폭이 12mm 정도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로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염화비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어느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를 사용해도 접합 자재는, 점착 테이프나 C자상 튜브, 클립 등과 비교하여, 1/2 내지 1/7의 비용으로 할 수 있다.
회전 테이블(20)의 외주에 마련되어 있는 파지 기구(24, 124)의 회전 방향 전방에는, 테이프 인출 기구(39)가 마련되어 있다. 테이프 공급 장치(31)로부터 공급되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는 인출 부재로서의 핀(28)에 의해 파지 기구(24, 124)의 이동 경로로 유도된다. 핀(28)에 의해 인출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는 핀(28)을 축으로 하여 대략 U자상으로 된다. 핀(28)의 후방을, 접목묘(103)를 파지한 파지 기구(24, 124)가 이동하므로, 파지 기구(24, 124)가 6시의 위치에 왔을 때, 접목묘(103)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된다. 즉, 핀(28)은,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테이프 공급부(39)로부터 인출하고,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의 사이에 접목묘(103)(접가지(102), 대목(104)의 절단면이 밀착된 부분)를 끼워 넣는 끼워 넣기 기구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용착부(43)는, 용착기(40), 용착기용 전동 슬라이더(42), 압박 부재(35)를 갖는다. 용착기(4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테이블(20)의 6시의 위치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용착기(40)는, 미세한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6시의 위치에 있는 파지 기구(24, 124)에 파지된 접가지(102) 및 대목(104)의 절단면이 밀착된 부분을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로 접합하기 위해 사용된다. 용착기(40)는, 용착기용 전동 슬라이더(42)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용착기(40)의 +Y측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테이블(26A)과 하측 테이블(26B)의 사이에 마련된 압박 부재(35)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용착기(40)의 구체적인 기능이나 동작 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용착기용 전동 슬라이더(42)의 가동 방법에 대해서는, 전동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동 이외에도 공기압, 수동 등의 방법을 취할 수 있지만, 어느 방법을 채용할지는, 실시자가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박 부재(35)가 회전 테이블(20)의 외주 외측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프레임(135)에 설치되어 있지만, 압박 부재(35)는, 상측 테이블(26A) 또는 하측 테이블(26B)에 직접 마련되어도 된다.
파지 해제 기구(51)는, 파지 해제부(50), 파지 해제용 전동 슬라이더(52)를 갖는다. 파지 해제부(50)는, 도 4에 도시하는 파지 해제용 전동 슬라이더(52)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파지 해제부(50)는, 7시의 위치에 있는 파지 기구(24, 124)의 힘 작용부(34)에 대하여, -Y측으로부터 접촉부(56A, 56B)를 가압함으로써, 7시의 위치에 있는 파지 기구(24, 124)에 의한 접목묘(103)의 파지를 해제한다. 여기서, 파지 해제부(50)는,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YZ 단면이 대략 U자상(コ자상)인 파지 해제 부재(54)와, 파지 해제 부재(54)의 +Y 단부에 마련된 접촉부(56A, 56B)를 갖고, 접촉부(56A)는 접촉부(56B)보다 +Y측에 위치하고 있다. 파지 해제부(50)가 +Y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부(56A)가 상측 테이블(26A)에 마련된 힘 작용부(34)를 누르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파지 해제부(50)가 더 +Y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도 8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부(56B)가 하측 테이블(26B)에 마련된 힘 작용부(34)를 누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 파지 해제용 전동 슬라이더(52)의 가동 방법에 대해서는, 전동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동 이외에도 공기압, 수동 등의 방법을 취할 수 있지만, 어느 방법을 채용할지는, 실시자가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또한, 접촉부(56A, 56B)의 Y축 방향의 위치를 동일하게 하고, 상측 테이블(26A)에 마련된 힘 작용부(34)와 하측 테이블(26B)에 마련된 힘 작용부(34)의 위치(도 8의 (a) 내지 도 8의 (c)에서는 Y축 방향의 위치)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접촉부(56A)가 상측 테이블(26A)측의 힘 작용부(34)를 누르는 타이밍과 접촉부(56B)가 하측 테이블(26B)측의 힘 작용부(34)를 누르는 타이밍을 어긋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접촉부(56A, 56B)의 Y축 방향의 위치를 상이하게 함과 함께, 상하의 힘 작용부(34)의 Y축 방향의 위치를 상이하게 하도록 해도 된다.
도 3으로 되돌아가서, 컨베이어(60)는, 7시의 위치에 있는 파지 기구(24)에 의한 파지가 해제된 접목묘(103)를 수취하고, 도 3의 화살표(A) 방향으로 반송한다.
제어 장치(10)는, 도 2에 도시하는 접목 장치(100)의 각 부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제어 장치(10)는, 입력부(70)가 갖는 스타트 버튼이나 스톱 버튼이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었음을 검출하면, 해당 조작에 따라 접목 장치(10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장치(10)의 처리)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10)의 처리(「(C) 접가지ㆍ대목의 접합」 처리와 「(D) 모종의 배출」 처리)에 대하여, 도 9의 흐름도를 따라, 기타 도면을 적절하게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9의 처리의 전제로서, 도 9의 처리가 개시되면, 회전 테이블(20)의 12시의 위치에 있어서는 「(A) 접가지ㆍ대목의 공급」 처리가 실행되고, 회전 테이블(20)의 3시의 위치에 있어서는, 「(B) 접가지ㆍ대목의 절단」 처리가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9의 처리가 개시되는 단계에서, 12시의 위치, 1시의 위치, 2시의 위치에는 절단 전의 접가지(102) 및 대목(104)이 세트되어 있고, 3시의 위치, 4시의 위치, 5시의 위치에는, 절단 후의 접가지(102) 및 대목(104)이 세트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절단 후의 접가지(102)와 대목(104)은, 각각의 절단면이 밀착되어, 접목묘(103)의 상태로 되어 있다.
도 9의 처리에서는, 우선, 스텝 S10에 있어서, 제어 장치(10)는 스타트 버튼이 눌릴 때까지 대기한다.
제어 장치(10)는, 작업자에 의해 입력부(70)의 스타트 버튼이 눌렸음을 검출하면, 스텝 S12로 이행하고, 장치의 원점 맞춤을 실행한다. 즉, 제어 장치(10)는, 회전 테이블 구동 장치(22)를 제어하여, 회전 테이블(20)의 각 파지 기구(24, 124)가 규정 위치에 오도록 회전 테이블(20)의 각도를 조정한다. 또한, 제어 장치(10)는, 용착기용 전동 슬라이더(42)와 파지 해제용 전동 슬라이더(52)의 위치를 초기 위치(-Y 단부)로 위치 결정한다.
이어서, 스텝 S14에서는, 제어 장치(10)는, 텐션 부가 장치(33A, 33B)의 테이프 장력 조정을 ON으로 함과 함께, 컨베이어(60)를 ON으로 한다. 즉, 제어 장치(10)는, 테이프 공급 장치(31, 32)에 연동되는 텐션 부가 장치(33A, 33B)를 제어하여,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에 대하여, 2.0N 이상의 장력을 건다. 또한, 제어 장치(10)는, 컨베이어(60)의 상면이 도 3의 화살표(A)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컨베이어(60)를 제어한다.
이어서, 스텝 S16에서는, 제어 장치(10)는, 회전 테이블 구동 장치(22)를 제어하여, 회전 테이블(20)을 30°만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스텝 S16의 처리를 실행하기 전의 상태가, 도 10의 (a)에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a)의 상태에서는, 5시의 위치에 있는 파지 기구(24, 124)의 시계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핀(28)에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가 걸린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스텝 S16의 처리를 실행하면,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이 경우,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테이블(20)의 30°회전에 수반하여, 파지 기구(24, 124)에 파지된 접목묘(103)가 시계 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핀(28)이 이동하여,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인출한다. 또한, 도 10의 (b)의 상태에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목묘(103)의 밀착된 부분은,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에 의해 Y축 방향 양측으로부터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 중, 도 11에 있어서 접목묘(103)의 +Y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1 부분(130A)」이라고 칭하기로 하고,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 중 제1 부분(130A)에 대향하는 부분을 「제2 부분(130B)」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어서, 스텝 S18에서는, 제어 장치(10)는, 용착기용 전동 슬라이더(42)를 전방(+Y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파지 해제용 전동 슬라이더(52)를 전방(+Y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용착기용 전동 슬라이더(42)의 이동에 의해,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착기(40)와 압박 부재(35)가 근접한다. 여기서, 압박 부재(35)는,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막신 굽상의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압박 부재(35)의 간극 부분에 접목묘(103)의 밀착된 부분이 들어간다. 그리고,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제1 부분(130A)과 제2 부분(130B)) 중, 용착기(40)와 압박 부재(35)의 사이에 끼워진 부분에는, 미세한 초음파 진동과 압력이 걸린다. 이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제1 부분(130A), 제2 부분(130B))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끼리 순시로 용융되고, 용착되며, 추가로 용착된 부분의 일부에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가 용단된다(스텝 S20). 또한, 압박 부재(35)의 -Y 단부는, 각도나 형상, 그리고 초음파 조사 시간을 변경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용착ㆍ용단의 상태를 변경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는, 인장 하중이 걸린 상태에서 용착ㆍ용단되기 때문에, 용단된 타이밍에 수축된다. 이 수축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는, 접목묘(103)의 밀착된 부분에 밀착되기 때문에,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가지(102)와 대목(104)이 밀착된 상태(각 절단면이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용착ㆍ용단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테이프 공급부측의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는 용착되어,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파지 해제부(50)도 +Y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지만, 최초의 접목묘(103)가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에 의해 접합된 시점에서는 7시의 위치에 모종이 존재하고 있지 않으므로, 「(D) 모종의 배출」 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이어서, 스텝 S22에서는, 제어 장치(10)가 용착기용 전동 슬라이더(42)를 후방(-Y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파지 해제용 전동 슬라이더(52)를 후방(-Y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12의 (b)에는, 용착기용 전동 슬라이더(42)를 후방(-Y 방향)으로 이동시킨 것에 수반하여, 용착기(40)가 -Y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2의 (b)에 있어서의 핀(28)의 주위에 잔류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는, 이후, 자연적으로 낙하한다. 그리고, 테이프 공급 장치(31, 32)는, 텐션 부가 장치(33A, 33B)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에 장력(권취 텐션)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용착ㆍ용단되어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는 도 12의 (b)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권취되고), 도 14의 (a)의 상태로 천이한다. 도 14의 (a)의 상태에서는, 5시의 위치에 와 있는 파지 기구(24, 124)의 시계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핀(28)에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가 걸린 상태로 된다.
이어서, 스텝 S24에서는, 제어 장치(10)는, 스톱 버튼이 눌려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스텝 S24의 판단이 부정된 경우에는, 스텝 S16으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스텝 S16에 있어서, 제어 장치(10)가 회전 테이블 구동 장치(22)를 통하여 회전 테이블(20)을 30°회전시키면, 도 1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그리고, 스텝 S18로 이행하면, 제어 장치(10)는, 용착기용 전동 슬라이더(42)를 전방(+Y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파지 해제용 전동 슬라이더(52)를 전방(+Y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용착기(40)가 압박 부재(35)에 눌러지므로, 스텝 S20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가 용착ㆍ용단되고, 접목묘(103)의 접합이 행해진다. 또한, 스텝 S18에 의해, 파지 해제부(50)의 접촉부(56A, 56B)가 도 8의 (a) 내지 도 8의 (c)와 같이 파지 기구(24)(7시의 위치)의 힘 작용부(34)에 눌러진다. 이에 의해, 7시의 위치에 위치하는 파지 기구(24, 124)에 의한 접합 후의 접목묘(103)의 파지가 해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8의 (a) 내지 도 8의 (c)와 같이, 접촉부(56A, 56B)가 힘 작용부(34)를 누르는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고 있으므로, 접가지(102)와 대목(104)이 확실하게 접합된 상태에서 파지 기구(24, 124)에 의한 모종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다. 즉, 대목(104)의 파지가 먼저 해제되면 대목(104)만이 낙하해 버리는 경우가 있지만, 상기와 같이 먼저 접가지(102)의 파지를 해제함으로써, 대목(104)만이 낙하할 가능성을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스텝 S18의 결과, 접목 후의 모종은 컨베이어(60) 상에 낙하하므로, 낙하한 모종은 컨베이어(60)에 의해 도 3의 화살표(A) 방향으로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그 후에는 스텝 S16 내지 S24의 처리ㆍ판단을, 스텝 S24의 판단이 긍정될 때까지(스톱 버튼이 눌릴 때까지) 반복한다. 이에 의해, 접목 작업을 연속적으로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스텝 S24의 판단이 긍정되면, 스텝 S26으로 이행하고, 제어 장치(10)는, 테이프 공급 장치(31, 32)의 텐션 부가 장치(33A, 33B)에 의한 테이프 장력 조정을 OFF로 함과 함께, 컨베이어(60)의 동작을 OFF로 한다. 이상에 의해, 도 9의 전체 처리가 종료된다.
여기서, 테이프 인출 기구(39)는 파지 기구(24, 124)의 이동 경로로부터 일시적으로 핀(28)을 퇴피시키는 퇴피 기능을 갖는다. 핀(28)은, 고정 부재(27)가 갖는 요동축(127)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135) 등이 이동 경로 상에 있는 경우에는, 회전 테이블(20)의 외주 방향으로 요동함으로써 프레임(135) 등을 피할 수 있다. 도 14의 (b)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테이블(2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7시의 위치 부근에서, 압박 부재(35)를 보유 지지하는 프레임(135)이나 테이프 공급 장치(31)로부터 용착부를 향하여 공급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핀(28)이 타고 넘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나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35), 및 테이프 공급 장치(31)로부터 공급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 위를 커버하도록 커버 부재(198)를 마련하고 있다.
커버 부재(198)는, 프레임(135)의 상면 및 테이프 공급 장치(31)로부터 공급되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상방에서 덮는 평면부와, 프레임(135)으로부터 -Y 방향으로 소정 구배로 경사짐과 함께, -X 방향을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는 대략 삼각 형상의 경사면(98)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경사면(98)의 +X측 단부는 상측 테이블(26A)과 하측 테이블(26B)의 사이에 들어가고, -X측 단부가 회전 테이블(20)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회전 테이블(20)의 회전에 수반하여 핀(28)이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우선 핀(28)의 축부 측면과 경사면(98)의 하단이 맞닿는다. 그리고, 더 회전이 진행됨에 따라, 경사면(98)의 하단과 맞닿는 핀(28)의 축부 측면 위치가 선단 방향으로 이동하고, 결국에는 핀(28)의 선단부가 경사면(98)에 올라 앉아, 커버 부재(198)의 평면부 상으로 안내된다. 또한, 핀(28)이 압박 부재(35)가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135)이나, 테이프 공급 장치(31)로부터 용착부를 향하여 공급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타고 넘기 위해 마련되어 있는 커버 부재(198)는, 도 4나 도 7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상이어도, 핀(28)을 가이드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예를 들어, 커버 부재(198)에는 경사면(98)이 없어도 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작업자가 스타트 버튼을 누르는 시점에서 12시의 위치, 1 내지 5시의 위치에 접가지(102)나 대목(104)이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접가지(102)나 대목(104)이 세트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스타트 버튼이 눌려도 된다. 이 경우, 접가지(102)와 대목(104)이 6시의 위치에 올 때까지의 동안은, 6시의 위치에 있어서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용착ㆍ용단만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회전 테이블(20)은, 접가지(102)의 절단면과 대목(104)의 절단면을 밀착시킨 상태의 접목묘(103)를 소정 방향(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테이프 공급 장치(31, 32)는, 접목묘(103)의 이동 경로 상에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인출 가능하게 배치한다. 또한, 핀(28)은, 접목묘(103)에 선행하여 이동 경로 상을 이동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테이프 공급 장치(31, 32)로부터 인출하고,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사이에 접목묘(103)의 밀착 부분을 끼운다. 그리고, 용착기(40)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제1 부분(130A)과 제2 부분(130B))를 용착하여, 접목묘(103)의 밀착된 부분의 주위를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로 덮는다. 이와 같이, 핀(28)이 접목묘(103)에 선행하여 이동하여,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인출하므로, 접목묘(103)가 직접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인출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에 의해, 접목 시의 접가지(102)와 대목(104)의 접합면의 위치 어긋남의 발생을 억제하고, 접목묘(103)에 부담이 가해지기 어려워져, 확실한 접목묘의 접합이 가능하게 되므로, 접목의 효율(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테이프를 초음파 용착하여 접목하는 경우에, 심플한 구성으로 접목의 자동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저비용의 접합 자재를 사용한 테이프의 초음파 용착에 의한 접목묘의 접합에 있어서, 심플한 구성으로 효율이 좋은 접목 작업의 자동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초음파 용착에 의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사용한 접목의 접합을 행함으로써, 접목묘(103)의 접합 상태를 적절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초음파 용착에서는 마찰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접합 자재로서 점착제를 이용한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주변의 온도 조건이나, 접목묘(103) 주변의 털이나 수분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접목묘의 접합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용착에서는, 접합 자재로서 열수축성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플라스틱을 수축시키는 대량의 열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접목묘(103)에 대한 열적인 영향도 없고, 또한 용착에 요하는 시간을 짧게(예를 들어 1초 이하) 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용착에서는, 접목 후의 고습도 하에서의 관리 중에 있어서도, 점착제를 사용한 테이프와 같이 습도의 영향을 받아 간단하게 박리되지 않고, 접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접합 자재로서 튜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여러 가지 직경(축 직경)의 접가지나 대목에 대응하기 위해, 복수 종류의 사이즈의 튜브를 준비하고, 적절한 사이즈의 튜브를 선택할 필요가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사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굵기의 접가지나 대목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는 경량이기 때문에, 접합 자재로서 클립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접합 자재의 자중에 의한 접목묘(103)에 대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로, 접목묘(103)의 밀착 부분을 덮음으로써, 접합 자재로서 통기성이나 보수성을 갖는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접가지측으로부터 자근이 발생하여 접목이 활착되지 않는다고 하는 사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접목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클립에 비하여, 접합 자재의 비용이 낮기 때문에, 접목 장치에 의한 접목묘의 가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용착기(40)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용착한 부분을, 용착과 동시에 절단(용단)할 수 있으므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절단하는 장치를 별도로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용착과 동시에 절단함으로써, 접목 작업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단, 용착기(40)에 있어서는 반드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용단하지는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7시의 위치 등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소정의 절단 기구에 의해 절단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납땜인두나 초음파 등을 사용하여 열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절단해도 되고, 니퍼나 가위 등을 사용하여 전단력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절단해도 된다. 또한, 용착기(40)의 선단에 절단날을 설치하여 용착과 함께 절단해도 된다. 또한, 어느 경우라도 절단 후의 테이프 공급부측의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는 용착에 의해 연결된 상태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에는, 소정의 장력이 부가되어 있으므로, 용착기(40)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용착하고, 용단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수축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접목묘(103)에 밀착시킬 수 있고, 접합 후의 접가지와 대목의 어긋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접가지나 대목이 약간 구부러져 있는 경우나, 접가지와 대목의 직경에 차가 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 특히 유효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테이블(20)은, 상측 테이블(26A)에 접가지(102)를 파지하는 파지 기구(24)를 고정하고, 하측 테이블(26B)에 대목(104)을 파지하는 파지 기구(124)를 고정하여, 일체로서 회전하므로, 회전 테이블(20)의 회전이라고 하는, 간이한 동작에 의해, 접목묘(103)를 회전 테이블(20)의 외주를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절단면을 밀착시킨 접가지(102)와 대목(104)을 회전 테이블(20)의 외주를 따라 함께 회전시켜 용착부까지 이동시키고,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를 접목묘(103)의 주위를 덮도록 용착하므로, 효율적으로 접목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테이블(20)의 외주부에 설치한 파지 기구(24)의 회전 방향 전방에 핀(28)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핀을 구동하기 위한 특별한 기구를 마련하지 않아도, 핀(28)을 접목묘(103)에 선행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핀(28)을 접목묘(103)의 이동 경로로부터 일시적으로 퇴피시키는 퇴피 기구(커버 부재(198)나, 고정 부재(27)의 요동축(127)으로 핀(28)을 지지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기구)를 갖고 있다(도 7 참조). 이에 의해, 핀(28)이 프레임(135)이나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와 접촉하여, 회전 테이블(20)의 회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핀(28)이, 상측 테이블(26A)의 외주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축(127)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커버 부재(198)에는, 회전 테이블(20)의 회전에 의해 핀(28)이 소정의 위치에서 들어 올려지도록, 핀(28)을 가이드하는 경사면(98)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모터 등에 의해 핀(28)을 구동하지 않아도, 간이한 구성에 의해, 핀(28)을 퇴피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회전 테이블(20)은, 외주부에 있어서 접목묘(103)를 보유 지지하고,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테이프 공급부는, 접목묘(103)의 이동 경로 상에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인출 가능하게 배치한다. 그리고, 핀(28)은, 회전 테이블(20)의 회전에 수반하여,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테이프 공급 장치(31, 32)로부터 인출하고,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사이에 접목묘(103)의 밀착된 부분을 끼워 넣는다. 또한, 용착기(40)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초음파 용착하여, 접목묘(103)의 밀착된 부분의 주위를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로 덮는다. 회전 테이블(20)의 회전과, 용착기(40)에 의한 초음파 용착에 의해, 접목묘(103)에 열의 영향을 주지 않고, 단시간에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에 의한 접목묘(103)의 접합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열수축 플라스틱에 의한 접합과 비교하여, 플라스틱을 수축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에너지보다 적은 에너지로 접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가 투명하므로, 작업자는, 접가지(102)와 대목(104)이 적절하게 밀착된 상태로 되어 있는지를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 너머로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파지 기구(24, 124)를 30°간격으로 배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각도 간격으로 파지 기구(24, 124)를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도 9의 스텝 S16에서는, 파지 기구(24, 124)를 배치한 간격(각도)만큼 회전 테이블(20)을 회전하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파지 기구(24, 124)나 파지 해제부(50)의 구성은 일례이다. 예를 들어, 파지 기구(24, 124)의 파지 동작이나 파지 해제 동작을 모터 제어 등에 의해 실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핀(28)이, 커버 부재(198)의 경사면(98)에 의해 가이드되어, 요동되는(들어 올려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핀(28)을 모터 등의 구동 기구에 의해 요동시키거나, 구동 기구에 의해 핀(28)을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거나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핀(28)이, 상측 테이블(26A)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핀(28)이 하측 테이블(26B)에 마련되어도 된다. 혹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인출 기구를, 핀(28), 벨트 컨베이어(41)로 구성해도 되고, 벨트 컨베이어(41)에 고정된 복수의 핀(28)을 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파지 기구(24, 124)가 5시의 위치로부터 6시의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파지 기구(24, 124)에 앞서 핀(28)이 -X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벨트 컨베이어(41)를 구동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핀(28)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테이프 공급 장치(31, 32)로부터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 테이블(26A)과 하측 테이블(26B)을 동일한 회전축(120)에 마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6의 (a), 도 1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테이블(26A)과 하측 테이블(26B)을, 상이한 회전축(120A, 120B)에 마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상측 테이블(26A)과 하측 테이블(26B)을 역방향(도 16의 (b)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16의 (b)의 위치(Q)에 있어서, 상기 실시 형태의 6시의 위치와 마찬가지의 상태(접목묘(103)를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사이에 끼운 상태)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따라서, 위치(Q)에 있어서 용착기(40)를 압박 부재(35)에 누름으로써,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접목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테이프 공급 장치(31, 32)의 양쪽으로부터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공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테이프 공급 장치로부터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공급하고,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선단을 고정하는 것으로 하고, 테이프 공급 장치에는 역회전 가능한 텐션 부가 장치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공급 장치(131)로부터 공급되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일단을 척 기구(111)에 의해 파지함으로써, 핀(28)과 접목묘(103)의 이동 경로 상에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배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핀(28)과 접목묘(103)가 도 17의 (b)와 같이 이동함으로써, 상기 실시 형태의 도 10의 (b)와 마찬가지의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착기(40)에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용착ㆍ용단한 후, 도 1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공급 장치(131)의 텐션 부가 장치(133)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Y 방향으로 인장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다시, 핀(28)과 접가지(102) 및 대목(104)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용착ㆍ용단 후에 있어서, 용단된 테이프 공급 장치(131)측의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와, 척 기구(111)에 파지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는 용착되어, 연결된 상태로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부로서 회전 테이블(20)의 외주에 접가지(102) 및 대목(104)을 파지하는 파지 기구(24, 124)를 마련하고, 회전 테이블(20)의 회전으로 접가지(102) 및 대목(104)을 이동시켰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1조의 파지 장치를 사용하여, 접가지(102) 및 대목(104)을 파지하고, 접가지(102) 및 대목(104)의 절단면을 밀착한 상태의 접목묘(103)를 도 17의 (a)의 +X 방향으로부터 -X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후 테이프 인출 기구(39)의 핀(28)에 의해 접목묘(103)의 부하를 걸지 않는 상태에서 테이프 공급부로부터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를 인출하고, 용착부에 있어서 초음파 용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핀(28)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테이프 공급 장치(31, 32)로부터 인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일부를 보유 지지하는 척 기구(111D)가, 접목묘(103)에 선행하여 이동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회전 테이블(20)에 설치한 테이프 인출 기구의 인출 부재(핀(28))를,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를 사이에 끼우는 척 기구(111D)로 치환하여, 회전 테이블(20)의 회전에 맞추어 파지 기구의 회전 방향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시킨다. 그리고, 도 19의 (b), 도 19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목묘(103)가 6시의 위치에 오고, 용착기(40)에 의해 용착ㆍ용단이 행해지기 직전에, 밀착된 접목묘의 뒤에 위치하는 척 기구(111D)가, 테이프 공급 장치(31, 32)로부터 공급되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2개 함께 사이에 끼워,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가 용착ㆍ용단된다. 그 후, 회전 테이블(20)의 회전에 수반하여, 접합한 접목묘의 뒤에 위치하는 척 기구(111D)가 테이프를 인출하고, 다음 접목묘가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된다. 이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자동으로 접목묘의 접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척 기구(111D)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기계적으로 파지(끼움 지지)해도 되고,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진공 흡착 보유 지지해도 된다. 또한, 척 기구(111D)는, 정전기나 자기를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흡착 보유 지지해도 된다. 이 경우,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대전시키거나,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에 자성체를 부착시키거나 하면 된다. 또한, 이 경우, 척 기구(111D)가 끼워 넣기 기구로 된다.
또한, 도 19의 (a)의 예에 있어서는, 용착기(40)에 있어서, 용단까지 행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척 기구(111D)에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인장한 후에, 7시의 위치에 위치하는 접목묘(103)와 접목묘(103) 전후의 척 기구(111D)의 사이를 절단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전동 니퍼나 에어 니퍼 등의 절단 기구를 갖고 있으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핀(28) 등을 사용하여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테이프 공급 장치(31, 32)로부터 인출함으로써, 접목묘(103)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접가지(102)나 대목(104)이 수목인 경우에는, 줄기가 단단하기 때문에, 접가지(102)나 대목(104)에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인출해도 손상은 적다. 이 경우, 파지 기구(24, 124)에 의해 파지한 수목의 접목묘(103)가 회전 테이블(20)의 회전에 의해, 테이프 공급부로부터 공급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를 인출하여, 6시의 위치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용착부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로 U자상으로 덮여 있는 접목묘(103)의 회전 방향 후측을 용단ㆍ용착함으로써 접목묘(103)의 접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핀(28) 등을 마련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10)는, 각 장치의 동작을 시퀀셜하게 제어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접목 장치(100)의 필요 개소에 센서를 마련하고,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가 투명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불투명, 반투명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용착기(40)의 선단부의 좌우(도 6에 있어서의 X축 방향의 일측과 타측)의 돌출량, 및/또는 압박 부재(35)의 좌우(X축 방향의 일측과 타측)의 돌출량을 상이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용착기(40)와 압박 부재(35)의 접촉력(압박력)이 약한 측을 용착하고, 접촉력이 강한 측을 용착, 또한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핀(28)과 접목묘(103)의 사이(접목묘의 -X측)의 용착 부분의 압박력을 약하게 하고, 다른 쪽을 강하게 하면, 도 2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28)의 주위의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가 접목묘(103)를 덮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에 연결된 상태로 남게 된다. 이 경우, 도 2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28)의 주위의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링상 부분)는, 모종 배출부(112)에 있어서의 배출 후에도 접목묘(103)를 덮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에 연결된 채로 되기 때문에, 링상 부분에 지주를 삽입함으로써, 지주에 접목을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핀(28)의 주위를 덮고 있던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가 핀(28)으로부터 빠져, 모종 접합부(110) 근방으로 산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형예 1)
도 21에는, 변형예 1에 관한 접목 장치(200)의 일부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2에는, 도 21로부터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와 접목묘(103)(접가지(102), 대목(104))를 생략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1,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 1에 있어서는, 핀(28)의 소정 높이 위치에 규제부로서의 원환상 부재(28a)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의 소정 높이 위치는, 핀(28)이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대략 수평으로 인출한 상태에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상단과 거의 접하는 위치이다. 또한, 압박 부재(35)의 근방에는, 규제부로서의 가이드 부재(206A, 206B)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206A)는, 압박 부재(35)의 +X측, 또한 -Y측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지주에 마련되어 있고, Y 방향 가이드 부재(214A, 214B)와, Z 방향 가이드 부재(216A, 216B)를 갖는다. Z 방향 가이드 부재(216A, 216B)는, 지주에 마련된 Y 방향 가이드 부재(214B)에 나사 고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단, 이에 한정되지 않고, Z 방향 가이드 부재(216A, 216B)는, Y 방향 가이드 부재(214A)에 고정되어도 되고, Y 방향 가이드 부재(214A, 214B)의 양쪽에 고정되어도 된다. 또한, 한쪽의 Z 방향 가이드 부재가 한쪽의 Y 방향 가이드 부재에 고정되고, 다른 쪽의 Z 방향 가이드 부재가 다른 쪽의 Y 방향 가이드 부재에 고정되어도 된다. 또한, 고정 방법은, 나사 고정 이외의 고정 방법이어도 된다. Y 방향 가이드 부재(214A, 214B)는, Y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고, 간극(215)을 형성하고 있다. 이 간극(215)에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가 통과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가 Z 방향 가이드 부재(216A, 216B)의 사이로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Z 방향 가이드 부재(216A, 216B)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폭과 거의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Z 방향 가이드 부재(216A, 216B)는, Y 방향 가이드 부재(214A, 214B)에 의해 유도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Z 방향(연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Z 방향 가이드 부재(216A, 216B)가 Y 방향 가이드 부재(214A, 214B)보다 -X측(핀(28)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Z 방향 가이드 부재(216A, 216B)의 위치가 핀(28)의 궤도에 가까운 위치에 설정되기 때문에, 핀(28)이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인장할 때의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상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가이드 부재(206B)는, 압박 부재(35)의 +X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206B)는, 상단과 하단이 -Y측으로 돌출된 コ자상(U자상)의 형상을 갖고, -Y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상하로부터 끼워,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Z 방향(연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이들 원환상 부재(28a)나 가이드 부재(206A, 206B)에 의해, 핀(28)에 의해 인출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인출 방향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연직 방향에 대한 어긋남이 억제되므로, 접가지(102)와 대목(104)의 적절한 위치를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로 덮을 수 있다. 즉, 원환상 부재(28a), 가이드 부재(206A, 206B)에 의해, 접목묘(103)의 밀착된 부분을 사이에 끼워 상하로 대략 균등한 폭으로 밀착된 부분을 덮도록,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상단 및 하단을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접합 후의 접가지(102)와 대목(104)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원환상 부재(28a)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핀(28)의 주위에 잔류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자연 낙하가 원환상 부재(28a)에 의해 방해되는 일은 없다. 또한, 핀(28)에 원환상 부재(28a)를 마련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핀(28)의 중앙부 근방보다 하단부측의 직경을 작게 하고, 상단부측의 직경을 크게 해도 된다.
여기서, 도 21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Y 방향 가이드 부재(214A, 214B)의 사이의 간극(215)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개폐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Y 방향 가이드 부재(214A, 214B)를 서로 Y축 방향 역방향으로 구동해도 되고, 어느 한쪽을 Y축 방향으로 구동해도 된다. 단,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안정 공급의 관점에서 보면, Y 방향 가이드 부재(214B)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간극(215)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Z 방향 가이드 부재(216A)는, Y 방향 가이드 부재(214A, 214B)의 어느 것에 고정하도록 하고, Z 방향 가이드 부재(216B)에 대해서도, Y 방향 가이드 부재(214A, 214B)의 어느 것에 고정하도록 하면 된다. 제어 장치(10)는,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회전 테이블(20)의 회전 중에는 간극(215)을 넓게 하고, 회전 테이블(20)이 정지함과 동시에 간극(215)을 좁게 하여, Y 방향 가이드 부재(214A, 214B)의 사이에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파지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회전 테이블(20)의 회전 시에는 소정의 텐션을 걸면서 핀(28)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인장할 수 있도록 하고, 회전 테이블(20)의 정지 시에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텐션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테이블(20)이 정지한 상태에서, 용착기(40)에 의한 초음파 용착이 행해지고, 압박 부재(35)의 간극에 접목묘(103)가 압입될 때, 접목묘(103)의 접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텐션을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에 확실하게 걸 수 있다. 또한, Y 방향 가이드 부재(214A, 214B) 각각이 대향하는 면에 스펀지나 고무 등의 탄성 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를 파지할 때의 미끄럼을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206A)의 지주에 대한 상하 위치(Z 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가이드 부재(206A)의 상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접목묘(103)의 -Y측에 위치하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와, +Y측에 위치하는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상하 위치를 맞출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 1에 있어서는,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박 부재(35)의 간극(접목묘(103)의 밀착된 부분이 들어가는 개소)에 가압 부재로서의 스프링 부재(208)가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208)는, 대략 L자상의 금속 부재이다. 본 변형예 1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압박 부재(35)의 간극에 접가지(102), 대목(104)이 들어간 상태에서,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가 압박 부재(35)와 용착기(40)에 의해 사이에 끼워져, 용착, 용단된다. 이 경우, 접합된 접목묘(103)가 압박 부재(35)의 간극에 위치하게 되지만, 본 변형예 1과 같이 스프링 부재(208)를 마련해 둠으로써, 스프링 부재(208)의 탄성력에 의해, 접합 후의 접목묘(103)가 압박 부재(35)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접합 후의 접목묘(103)가 압박 부재(35)의 간극에 들어맞은 상태에서 회전 테이블(20)이 회전하여, 접목묘(103)에 과도한 힘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2에서는, 압박 부재(35)의 간극에 스프링 부재(208)를 마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로서, 압박 부재(35)의 상측 근방 및 하측 근방에 비틀림 스프링(308A, 308B)을 마련해도 된다. 비틀림 스프링(308A, 308B)은, 압박 부재(35)와 마찬가지로, 프레임(135)(도 4 참조)에 고정된 보유 지지 부재(310)에 마련되어 있다. 비틀림 스프링(308A, 308B)은, 스프링 부재(208)와 마찬가지로, 탄성력에 의해, 접합 후의 접목묘(103)를 압박 부재(35)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접합 후의 접목묘(103)가 압박 부재(35)의 간극에 들어맞은 상태에서 회전 테이블(20)이 회전하여, 접목묘(103)에 과도한 힘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308A, 308B) 대신에,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철사를 역ㄷ자상(U자상)으로 절곡하여, 일단부 근방 및 타단부 근방에 비틀림 스프링을 형성한 탄성 부재(308)를 가압 부재로서 사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탄성 부재(308)의 일부가 압박 부재(35)의 간극에 들어가도록 하고, 당해 탄성 부재(308)의 일부(압박 부재(35)의 간극에 들어가는 부분)에 롤 부재(309)를 마련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롤 부재(309)를 마련함으로써, 탄성 부재(308)의 탄성력을 접목묘(103)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변형예 1에 있어서는, 도 21,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테이블(26A)에 마련된 파지 기구(24)의 힘 작용부(34)에는, 압출판(202)이 마련되고, 하측 테이블(26B)에 마련된 파지 기구(124)의 제2 파지부(29B)에는, 압출봉(204)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힘 작용부(34)와 압출판(202)은 별도의 부재여도 되지만, 압출판(202)과 힘 작용부(34)를 일체 성형해도 된다.
파지 해제부(50)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7시의 위치(도 1의 (D)의 위치)에 있는 파지 기구(24, 124)의 힘 작용부(34)에 대하여 -Y측으로부터 접촉부(56A, 56B)를 가압하여, 파지 기구(24, 124)에 의한 접목묘(103)의 파지를 해제한다. 이 경우, 파지 기구(24)의 힘 작용부(34)의 자세 변화에 따라, 압출판(202)의 자세도 변화하여, 압출판(202)이 접가지(102)를 파지 기구(24)의 외측으로 압출한다. 또한, 파지 기구(24)의 제2 파지부(29B)가 개방함으로써, 압출봉(204)의 자세가 변화하여, 압출봉(204)이 대목(104)을 파지 기구(124)의 외측으로 압출한다. 이에 의해, 접합 후의 접목묘(103)는, 7시의 위치에 있어서, 컨베이어(60) 상에 낙하하기 쉬워진다. 또한, 파지 기구(24)측에는, 압출판(202)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압출판(202)의 파지 기구(24)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접가지(102)의 잎을 포함하는 전체를 외측으로 효과적으로 누를 수 있다. 이에 의해, 접목묘(103)의 배출 시에, 접가지(102)나 접가지(102)의 잎이 파지 기구(24)에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단, 파지 기구(24)의 압출판(202) 대신에, 압출봉(204)과 마찬가지의 압출봉을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출판(202)에, 접가지(102)의 잎의 퍼짐을 억제하는 판상 부재(320)를 마련해도 된다. 이에 의해, 판상 부재(320)의 파지 기구(24)측과는 반대측(접촉부(56A)가 맞닿는 위치)에 접가지(102)의 잎이 퍼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접목묘(103)의 배출 시에, 압출판(202)과 파지 해제부(50)의 접촉부(56A)의 사이에 접가지(102)의 잎이 끼워져, 접목묘(103)가 손상을 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변형예 1과 같이, 압출판(202)을 마련해 둠으로써, 수작업으로 접가지를 파지 기구(24)에 세트할 때에는, 작업자는 접가지(102)를 보유 지지한 손으로 압출판(202)을 누름으로써, 파지 기구(24)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변형예 1의 접목 장치(200)는, 상술한 원환상 부재(28a), 스프링 부재(208), 비틀림 스프링(308A, 308B), 압출판(202), 압출봉(204)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변형예 2)
도 26은, 변형예 2에 관한 접목 장치(300)의 일부(6시의 위치(도 1의 (C)의 위치) 및 7시의 위치의 근방)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7은, 변형예 2에 관한 접목 장치(300)의 일부(7시의 위치의 근방)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형예 2에 있어서는, 상측 테이블(26A)에 마련된 파지 기구(24)의 힘 작용부(34)의 상면에, 축 부재(210A)를 개재시켜 회전체(212A)가 마련되고, 하측 테이블(26B)에 마련된 파지 기구(124)의 힘 작용부(34)의 하면에, 축 부재(210B)를 개재시켜 회전체(212B)가 마련되어 있다. 회전체(212A, 212B)는, 축 부재(210A, 210B)를 중심으로 한 Z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7시의 위치 근방에는, 회전체(212A)가 접촉하는 접촉 부재(294A)와, 회전체(212B)가 접촉하는 접촉 부재(294B)가 마련되어 있다. 접촉 부재(294A, 294B)는, 롤러상의 형상을 갖고, 지지 부재(296)(도 26 참조)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접촉 부재(294A, 294B)의 위치는 회전체(212A, 212B) 이외와는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접촉 부재(294A, 294B)의 표면에는, 회전체(212A, 212B)에 접촉한 회전체(212A, 212B)가 Z축 주위로 회전하기 쉬워지도록, 마찰 계수가 높은 재료(예를 들어 고무 등)를 마련해 두어도 된다.
본 변형예 2에서는,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 기구(24)에 마련된 회전체(212A)는, 7시의 위치 근방에서, 접촉 부재(294A)에 접촉한다. 그리고, 회전체(212A)는, 접촉 부재(294A)의 외주를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파지 기구(24)의 힘 작용부(34)가 눌려, 파지 기구(24)에 의한 접목묘(103)의 파지가 해제된다. 또한, 파지 기구(124)에 마련된 회전체(212B)는, 7시의 위치 근방에서, 접촉 부재(294B)에 접촉한다. 그리고, 회전체(212B)는, 접촉 부재(294B)의 외주를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파지 기구(124)의 힘 작용부(34)가 눌려, 파지 기구(124)에 의한 접목묘(103)의 파지가 해제된다. 또한, 본 변형예 2에 있어서도, 파지 기구(24)의 파지 해제의 타이밍이, 파지 기구(124)에 의한 파지 해제의 타이밍보다 빨라지도록, 접촉 부재(294A, 294B)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변형예 2에 따르면, 상기 실시 형태의 파지 해제 기구(51)와 같이 파지 해제용 전동 슬라이더(52) 등의 구동 기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파지 기구(24, 124)의 파지를 적절한 타이밍에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파지 기구(24, 124)의 파지를 해제하기 위해, 전동 모터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접촉 부재(294A, 294B)는, 롤러 형상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체(212A, 212B)와 접촉하는 것이라면, 다른 형상(예를 들어 판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변형예 1과 변형예 2를 적절하게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토션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힘 작용부(34) 및 제2 파지부(29B)에 축(129)을 중심으로 한 시계 방향의 힘을 가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장 코일 스프링(236)의 탄성력에 의해, 힘 작용부(34) 및 제2 파지부(29B)에 축(129)을 중심으로 한 시계 방향의 힘을 가압하도록 해도 된다. 도 28의 예에서는, 인장 코일 스프링(236)의 일단을, 제2 파지부(29B)에 접속하고, 인장 코일 스프링(236)의 타단을, 상측 테이블(26A)의 상면에 고정된 고정대(238)에 접속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고정대(238)에 긴 구멍(239)을 형성해 두고, 고정대(238)를 상측 테이블(26A)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나사(243)와, 긴 구멍(239)의 위치 관계를 변경함으로써 고정대(238)의 고정 위치를 조정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인장 코일 스프링(236)에 의한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인장 코일 스프링(236)에 의한 가압력을 조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고정대(238)에 긴 구멍(239)을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인장 코일 스프링(236)의 일단을 상측 테이블(26A)에 직접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하측 테이블(26B)측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파지 기구(24)의 제1 파지부(29A)를 생략하고, 테이프 인출 기구(39)의 고정 부재(27)에, 제1 파지부(29A)로서의 기능을 갖게 하도록 해도 된다. 즉, 고정 부재(27)와 제2 파지부(29B)에 의해 접가지(102)를 파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인출 기구(39)의 고정 부재(27)의 하면에 단면 L자상이며 블록상인 스토퍼 부재(243)를 마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스토퍼 부재(243)에 의해, 핀(28)이 수직 위치로부터 회전 테이블(20)의 안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 테이블(20)의 회전 시나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30)의 용착 시에 핀(28)이 회전 테이블(20)의 안측으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9에서는, 스토퍼 부재(243)가 고정 부재(27)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스토퍼 부재(243)는, 예를 들어 상측 테이블(26A)에 고정되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의 예이다. 단,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20: 회전 테이블(이동부)
24, 124: 파지 기구(보유 지지부)
26A: 상측 테이블(회전대)
26B: 하측 테이블(회전대)
28: 핀(인출 부재)
28a: 원환상 부재(규제 기구)
30: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테이프)
31, 32: 테이프 공급 장치(테이프 공급부)
35: 압박 부재
40: 용착기(용착부의 일부)
100: 접목 장치
102: 접가지
103: 접목묘
104: 대목
120: 회전축
127: 요동축(퇴피 기구의 일부)
198: 커버 부재(퇴피 기구의 일부, 가이드부)
206A, 206B: 가이드 부재(규제 기구)
208: 스프링 부재(가압 부재)

Claims (15)

  1. 접가지의 절단면과 대목의 절단면을 밀착시킨 상태의 접목묘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에, 테이프를 인출 가능하게 배치하는 테이프 공급부와,
    상기 접목묘에 선행하여 상기 접목묘의 이동 경로 상을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목묘의 밀착시킨 부분이 상기 테이프의 제1 부분과 해당 제1 부분과 대향한 제2 부분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테이프를 상기 테이프 공급부로부터 인출하는 인출 부재와,
    상기 테이프의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용착함으로써, 상기 접목묘의 밀착시킨 부분을 고정하는 용착부를,
    구비하는, 접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고,
    상기 용착부는, 상기 테이프를 초음파 용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에는, 상기 접가지와 상기 대목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부재가 상기 보유 지지부의 이동 방향 전방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 장치.
  5.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대와,
    상기 회전대의 외주부에 있어서 접가지 및 대목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와,
    상기 접가지와 상기 대목의 절단면을 밀착시킨 상태의 접목묘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이동 경로 상에, 열가소성 수지를 재료로 하는 테이프를 인출 가능하게 배치하는 테이프 공급부와,
    상기 테이프를 상기 테이프 공급부로부터 인출하고, 상기 테이프의 제1 부분과 해당 제1 부분과 대향한 제2 부분의 사이에 상기 접목묘의 밀착시킨 부분을 끼워 넣는 끼워 넣기 기구와,
    상기 테이프의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대향하는 방향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접가지 및 상기 대목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목묘의 밀착시킨 부분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는 제1 개소와 제2 개소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를 초음파 용착하여, 상기 접목묘의 밀착시킨 부분을 고정하는 용착부를,
    구비하는, 접목 장치.
  6.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착부가 상기 테이프를 초음파 용착할 때, 상기 용착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테이프를 끼우는 압박 부재와,
    상기 테이프로 덮인 상기 접목묘를 상기 압박 부재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더 구비하는, 접목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넣기 기구는, 상기 보유 지지부보다 회전 방향 전방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대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테이프를 상기 테이프 공급부로부터 인출하는 인출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부재를 상기 접목묘의 이동 경로로부터 일시적으로 퇴피시키는 퇴피 기구를 더 구비하는, 접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부재는, 상기 접목묘의 이동 경로로부터 퇴피하는 자세로 되도록 요동 가능하고,
    상기 퇴피 기구는,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인출 부재가 요동하도록, 상기 인출 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부재 또는 상기 인출 부재 근방에 마련되고, 상기 인출 부재에 의한 상기 테이프의 인출 방향을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더 구비하는, 접목 장치.
  11.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착부는, 상기 테이프를 용착한 부분을, 용착과 동시에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 장치.
  12.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부재가 상기 테이프 공급부로부터 인출한 상기 테이프에는, 소정의 장력이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 장치.
  13.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착부에 의한 용착 후에, 상기 보유 지지부는, 상기 접가지의 보유 지지를 해제한 후, 상기 대목의 보유 지지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공급부는, 상기 테이프가 상기 접목묘의 상기 이동 방향과 교차하도록,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위치의 사이에, 상기 테이프를 인출 가능하게 배치하는, 접목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착부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대향하는 방향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접가지 및 상기 대목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목묘의 용착시킨 부분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는 제1 개소와 제2 개소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의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용착하는, 접목 장치
KR1020187027603A 2016-03-31 2017-03-31 접목 장치 KR1021293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73281 2016-03-31
JPJP-P-2016-072835 2016-03-31
JP2016073281 2016-03-31
JP2016072835 2016-03-31
PCT/JP2017/013800 WO2017171074A1 (ja) 2016-03-31 2017-03-31 接ぎ木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378A KR20180116378A (ko) 2018-10-24
KR102129346B1 true KR102129346B1 (ko) 2020-07-03

Family

ID=59964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603A KR102129346B1 (ko) 2016-03-31 2017-03-31 접목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53652B2 (ko)
EP (1) EP3437459B1 (ko)
JP (1) JP6751948B2 (ko)
KR (1) KR102129346B1 (ko)
CN (1) CN109068593B (ko)
ES (1) ES2807583T3 (ko)
WO (1) WO20171710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7695B (zh) * 2017-11-15 2023-12-12 张铁中 一种自动嫁接装置
CN108040650A (zh) * 2018-01-06 2018-05-18 广东工业大学 一种多工位自动嫁接设备
JP7003829B2 (ja) * 2018-04-27 2022-01-21 井関農機株式会社 接ぎ木装置
CN108575365B (zh) * 2018-06-08 2020-05-05 潍坊学院 一种用于嫁接的砧木处理工具
CN109479548B (zh) * 2018-12-26 2021-06-22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全自动机械嫁接设备
CN110089288B (zh) * 2019-05-22 2021-01-12 梁一坤 一种快速嫁接装置
CN110419347A (zh) * 2019-08-22 2019-11-08 河南农业大学 一种烟苗嫁接用接穗切割装置
CN112889508A (zh) * 2019-11-19 2021-06-04 河北农业大学 一种苹果自动化嫁接的缠膜装置
CN110777062B (zh) * 2019-11-27 2023-03-24 中国热带农业科学院热带生物技术研究所 一种木薯普通花叶病毒的接种器
US20230041239A1 (en) * 2019-12-27 2023-02-09 Elm Inc. Grafting device
CN111165197B (zh) * 2020-03-16 2023-05-23 山东省林木种苗和花卉站 一种白榆嫁接的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042406B (zh) * 2020-09-16 2022-10-11 武汉市苗业有限公司 一种苗木收集装置
CN112154797B (zh) * 2020-09-30 2022-04-22 国家林业和草原局哈尔滨林业机械研究所 一种嫁接苗木密封机
CN112740922B (zh) * 2021-02-19 2024-03-12 朔州美世科技有限公司 一种枝干类花卉嫁接辅助器
CN113615415B (zh) * 2021-09-14 2022-06-21 杭州植物园(杭州西湖园林科学研究院) 一种磁接替换式树木嫁接器
CN113692867B (zh) * 2021-09-15 2023-01-13 高敏丽 一种树木苗袋式自动嫁接装置
CN113597904B (zh) * 2021-09-24 2022-08-16 安庆市卉园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便捷的多彩月季嫁接装置
CN113841522B (zh) * 2021-10-29 2022-08-23 蒲县农业资源开发中心 一种培育桃形果树的方法
CN116982493B (zh) * 2023-09-21 2023-12-12 山东尊悦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新型农业苗木嫁接部位保护机构及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7222B2 (ja) * 1993-09-08 2001-01-22 茂雄 臼井 歯科医療用 寒天印象材注入器適合器
JP3536150B2 (ja) * 1993-12-31 2004-06-07 保志 伊須 接木装置
JP6097919B2 (ja) * 2011-09-01 2017-03-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立体視映像のための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3次元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59812A (en) * 1936-07-24 1936-11-03 Scaglione Rosario Method of grafting or welding
HU199209B (en) * 1985-11-20 1990-02-28 Savod Avtomatika Dve Mogili Device for paraffining and packing fine grape-vine grafts
SU1391537A1 (ru) * 1986-03-05 1988-04-30 Е,А.Ключиков и С.А.Гулин Способ прививки винограда
US4839986A (en) * 1988-03-18 1989-06-20 Grantham Debs E Grafting apparatus
JPH0755099B2 (ja) * 1989-01-19 1995-06-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幼植物の接木装置
WO1990007869A1 (en) 1989-01-19 1990-07-26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Young plant grafting apparatus
JPH0697919B2 (ja) 1989-07-25 1994-12-0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接木方法および接木具
JP2506005Y2 (ja) * 1990-04-03 1996-08-07 光洋電子工業株式会社 アブソリュ―トエンコ―ダ装置
JP2518023Y2 (ja) 1990-08-30 1996-11-20 生物系特定産業技術研究推進機構 接木装置における苗切断面接合機構
JPH04183326A (ja) * 1990-11-19 1992-06-30 Seibutsukei Tokutei Sangyo Gijutsu Kenkyu Suishin Kiko 接木における接木苗接着方法
JPH0530856A (ja) 1991-07-31 1993-02-09 Japan Tobacco Inc 接ぎ木装置
JP3291091B2 (ja) * 1993-11-22 2002-06-10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接ぎ木苗製造装置
JP2635526B2 (ja) 1995-03-10 1997-07-30 有限会社三協マシナリー 自動軸部材接合装置及び軸部材接合方法
JP4196166B2 (ja) 2002-11-11 2008-12-17 井関農機株式会社 接ぎ木方法
JP2004350548A (ja) 2003-05-28 2004-12-16 Yanmar Co Ltd 接木装置
JP4084708B2 (ja) 2003-06-04 2008-04-30 株式会社デュプロ 包装装置
JP2005143332A (ja) 2003-11-12 2005-06-09 Unitika Ltd 接木テープ
JP4884896B2 (ja) 2006-09-13 2012-02-29 株式会社デュプロ 包装装置
JP3127222U (ja) * 2006-09-13 2006-11-24 朝日産業株式会社 園芸用結束機
KR101080274B1 (ko) * 2008-10-22 2011-11-09 대한민국 비닐랩을 이용한 가지접용 랩핑 장치
IT1398756B1 (it) * 2010-03-02 2013-03-18 Tea Project Srl Apparato automatico per innesti di vegetali
JP5704329B2 (ja) 2011-03-30 2015-04-22 井関農機株式会社 接木クリップ
JP2014073091A (ja) 2012-10-03 2014-04-24 Mikuni Agri Techno:Kk 接木用クリップ装着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る接木装置
JP2014093990A (ja) 2012-11-12 2014-05-22 Takeshi Hanamura 接木用チューブ装着装置
CN103053344B (zh) * 2013-01-24 2014-01-22 聊城大学 一种苗木嫁接机器人
JP2015012831A (ja) 2013-07-05 2015-01-22 日東電工株式会社 接木用粘着テープ、接木用粘着部材、および、接木の接合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7222B2 (ja) * 1993-09-08 2001-01-22 茂雄 臼井 歯科医療用 寒天印象材注入器適合器
JP3536150B2 (ja) * 1993-12-31 2004-06-07 保志 伊須 接木装置
JP6097919B2 (ja) * 2011-09-01 2017-03-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立体視映像のための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3次元表示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27222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378A (ko) 2018-10-24
US20190110405A1 (en) 2019-04-18
CN109068593B (zh) 2020-09-08
EP3437459A1 (en) 2019-02-06
EP3437459B1 (en) 2020-05-13
JPWO2017171074A1 (ja) 2019-02-14
JP6751948B2 (ja) 2020-09-09
US11553652B2 (en) 2023-01-17
EP3437459A4 (en) 2019-04-10
WO2017171074A1 (ja) 2017-10-05
CN109068593A (zh) 2018-12-21
ES2807583T3 (es)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9346B1 (ko) 접목 장치
US5707470A (en) Rotary ultrasonic apparatus and methods
US10517223B2 (en) Grafting method
JP6397309B2 (ja) ベルト成形体の成形装置、及びベルト成形体の成形方法
US9174386B2 (en) Butt-joining device comprising rolling means
JP5344581B2 (ja) タイヤ製造装置及びタイヤ製造方法
EP3476210B1 (en) Tying machine, method and tie string for tying shoots of plants such as grapevines, vegetable plants and climbing plants
KR101615717B1 (ko)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밴딩 장치
GB1597347A (en) Method of tensioning and joining a formed strap loop about a package
KR102211008B1 (ko)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3424828A1 (en) Wrapping system with extensible plastic film and relative improved retaining device
US11787065B2 (en) Garment band attachment systems and methods
JP2019182632A (ja) 吸収性物品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製造装置
KR200191914Y1 (ko) 종이밴드 밴딩시스템
CN215040427U (zh) 口罩焊耳带机
EP3741718B1 (en)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and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device
TWI738956B (zh) 用於將橡膠條帶應用至鋼繩加強層的邊緣的設備及方法
JP2017001884A (ja) テープ巻付装置及びチューブ状外装部材取付装置
JP2002346261A (ja) ミシンの糸案内装置
JPS6238208B2 (ko)
JP3126769B2 (ja) テープ貼付け装置
JP3164531B2 (ja) ベルト用帆布の縫製方法及び縫製装置
KR20230008966A (ko) 마스크 제조 장치
JP2006007639A (ja) シールシステム
JP2001031032A (ja) 結束帯切断装置、結束帯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