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008B1 -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008B1
KR102211008B1 KR1020190093119A KR20190093119A KR102211008B1 KR 102211008 B1 KR102211008 B1 KR 102211008B1 KR 1020190093119 A KR1020190093119 A KR 1020190093119A KR 20190093119 A KR20190093119 A KR 20190093119A KR 102211008 B1 KR102211008 B1 KR 102211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
strip
ribbon
fabric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5404A (ko
Inventor
페터 라인더스
Original Assignee
슈말레-홀딩 게엠베하 운트 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말레-홀딩 게엠베하 운트 코 filed Critical 슈말레-홀딩 게엠베하 운트 코
Publication of KR20200015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6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 D05B35/066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for attaching small textile pieces, e.g. labels, belt loop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6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02Rotary devices, e.g. with helical forwarding surfaces
    • B65H51/04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 B65H51/08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 B65H51/10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with opposed coacting surfaces, e.g. providing nips
    • B65H51/105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with opposed coacting surfaces, e.g. providing nips one of which is an endless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9/00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3/00Applied objects or articles
    • D05D2303/20Small textile objects e.g., labels, beltloop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5/00Operations on the work before or after sewing
    • D05D2305/02F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요성 리본(2)으로부터 루프(1, 1 ')를 형성하고 루프(1, 1')를 직물 조각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리본 공급부로부터 리본의 스트립(4)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스트립 이동 방향(5)으로 리본(2)의 스트립(4)을 전진시키는 단계,
스트립(4)이 충분한 길이가 될 때까지 리본 공급 장치로부터 추가의 리본(2)을 전진시키면서 제1 닙 포인트(8)에서 스트립 이동 방향(5)으로 안내하는 스트립(4)의 단부(7)를 클램핑하는 단계,
그 다음에, 스트립(4)의 트레일링 단부(12)에서 제1 닙 포인트(8)로부터 이격된 제2 닙 포인트(10)에서 스트립(4)을 클램핑하는 단계, 및
공급된 리본(2)으로부터, 제1 닙 포인트(8)와 제2 닙 포인트(10) 사이에서 연장되는 루프(1)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길이의 단일 스트립으로 스트립(4)을 분리시키기 위해 제2 닙 포인트(10)의 상류에서 스트립(2)의 이동 방향으로 리본(2)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LOOP}
본 발명은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특히 직물 조각의 에지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장치들 및 방법들은 본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EP 0 607 196[US 5,599,410]호는 루프-폴드 라벨(loop-fold label)들을 포함하는 라벨들이 리본으로부터 생성되는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피더(feeder)에 도입되는 리본은 피더에 의해 그리퍼(gripper)를 향해 이송된다. 그리퍼가 리본, 즉, 리본의 단부를 픽업하는 동안, 피더는 그의 시작 포지션으로 다시 이동된다. 그 후에, 이동 방향이 리본의 클램핑된(clamped) 표면에 수직으로 정렬되는 모션으로 폴딩 플레이트가 설정된다. 폴딩 플레이트는 스트립 이동 방향(strip-travel direction)으로 이동되고 그것을 길이방향으로 폴딩하여, 그에 의해 단순 루프를 형성한다. 폴딩 플레이트는 리본을 단일 리본으로 분리하는 한 쌍의 가위들과 동시에 폐쇄되는 위치결정 그리퍼 내로 스트립과 함께 후퇴되고, 이때 위치결정 그리퍼는 종료된 폴딩된 루프를 픽업하는 동안 폴딩 플레이트는 그의 시작 포지션으로 복귀된다. 그 후에, 스트립의 단부들이 접착되고, 루프는 재봉 스테이션으로 전진되고, 여기서 그것은 라벨의 형태로 직물의 솔기에 고정된다.
대안적으로, 장치는 플래그 라벨을 생성하는 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그 경우에, 폴딩 플레이트는 가위들이 스트립을 절단한 후에 추가로 전진되고, 위치결정 그리퍼에서 이전에 폴딩된 루프가 직선화된다. 단지 위치결정 그리퍼가 폐쇄된 후에만, 작은 플래그가 직물 조각에 플래그 라벨로서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U 자형 루프들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장치는 그 목적을 위해 확장되어야 한다. 이 실시예에서, 리본의 폭이 변화될 수 있게 하는 캐리지에는 머신 프레임 상의 가이드가 제공된다. 부가적으로, 성형 플레이트(shaping plate) 및 U 자형 폴딩 플레이트는 장치에서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있고, 리본은 성형 플레이트 상에 놓여진다. 폴딩 플레이트는 스트립 부분 위의 포지션으로부터 하향으로 이동되고 성형 플레이트에 대해 이동되어, 그것이 리본의 레벨 아래에 있도록 한다. 성형 플레이트에 대한 폴딩 플레이트의 이동으로 인해, 스트립의 레그(leg)들이 폴딩되어, 따라서 U 자형 루프를 형성한다. 그 후에, 성형 플레이트는 설명된 방식으로 루프를 위치결정 그리퍼 내로 푸시한다.
WO 2001 092626 호에서는 또 다른 장치를 개시한다.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는 해법들은, 상이한 라벨 포맷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이한 장치들이 요구되어, 예를 들어, 단순 루프-폴드 라벨로부터 U 자형 라벨로의, 생성 변경의 경우에, 단순 루프-폴드 라벨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U 자형 라벨을 제조하기 위한 다른 장치로 교체할 것을 요구하는 정교한 수정들이 장치에 대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EP 0 607 196호는 상이한 유형들의 라벨을 제조할 수 있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U 자형 라벨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부가적인 요소들이 장치에 또한 도입되어야 한다. 이 장치로는 전혀 V 자형 라벨이 제조될 수 없다.
이 종래 기술을 출발점으로 삼아,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비용 효율적이고 단순한 방식으로 다양한 라벨 포맷들을 제조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청구항 제1 항에 따른 방법을 제안한다.
루프로 형성되는 리본은 편평한 리본, 코드(cord), 또는 임의의 다른 테이프형 재료일 수 있다. 임의의 가요성 재료가 리본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스트립 이동 방향으로 선두에 있는 스트립의 단부는 특정 포지션에의 도달 시에 클램핑된다. 제1 닙 포인트(first nip point)에서의 클램핑 후에, 스트립이 루프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될 때까지 부가적인 리본이 리본 공급부(ribbon supply)로부터 전진되거나 또는 리본 공급부 스풀(ribbon supply spool)을 벗어나 피딩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리본은, 예를 들어, 컨베이어에 의해 추가로 전진되고 닙 포인트를 지나 어느 정도 푸시 및 이송될 수 있고, 그 결과 추가로 전진된 리본이 뒤집히고 루프를 형성한다. 스트립이 충분한 길이의 단순 루프를 형성할 때까지 리본이 전진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리본은, 스트립을 제1 닙 포인트에서 유지하는 클램프에 의해, 예를 들어, 클램프를 스트립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스트립이 루프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질 때까지 리본을 당김으로써, 리본 공급부로부터 또한 전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초기에는 어떠한 루프도 생성되지 않지만, 오히려 스트립은 직선 스트립을 형성한다.
일단 스트립이 단순 루프로서 또는 직선 스트립으로서 존재하면, 제1 닙 포인트로부터 상류로 이격된 제2 닙 포인트에 스트립의 후단 단부(trailing end)가 클램핑 및 유지된다.
단순 루프가 이미 형성되었고 스트립이 제1 및 제2 닙 포인트에서 클램핑되는 경우, 닙 포인트들은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놓인다. 리본은 제2 닙 포인트의 스트립 이동 방향의 상류에서 절단되고, 단순 루프는 직물 조각의 에지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트립 이동 방향에 횡방향인 스트립의 평면에서 선단 단부(leading end) 또는 후단 단부를 다른 단부에 대해 위치결정하여 단부들이 서로 옆에 있고 V 자형 루프가 단순 루프로부터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단순 루프가 추가로 프로세싱될 수 있다. 스트립 이동 방향에 횡방향인 스트립의 평면에서 양측 단부들이 서로에 대해 이동되어 단부들이 서로 옆에 있고 V 자형 루프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단순 루프는 단부들 중 하나가 다른 단부에 대해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팅되고 U 자형 루프가 형성되도록 추가로 프로세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부들 중 하나가 그 후에 스트립의 평면에서 다른 단부에 대해 그리고 그로부터 멀리 이동되어, U 자형 루프가 인장되도록 한다. 루프를 인장하기 위해 이 평면에서 양측 단부들을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리본이 리본 공급부 밖으로 직선으로 전진되고 있고 어떠한 루핑(looping)도 일어나지 않은 경우, 선단 단부 또는 후단 단부가 적어도 하나의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팅될 수 있어서 단부들이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있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거나 또는 서로 옆에 있고 스트립이 단순 루프, V 자형 루프, 또는 U 자형 루프를 형성하도록 한다. 피봇팅 후에 단부들이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있고 스트립이 단순 루프로 형성되는 경우, 그러면 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스트립의 평면에서 다른 단부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어서 단부들이 서로 옆에 있도록 하고, 단순 루프 대신에, V 자형 루프가 형성된다. 하나의 단부를 다른 단부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거나 또는 양측 단부들을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것은, 단부들이 서로 옆에 있고 스트립이 U 자형 루프를 형성할 때 또한 발생하여, 루프를, 이격된 레그들을 갖는 U 자형으로 인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리본이 리본 공급부로부터 피딩되고 있고 어떠한 루핑도 발생하지 않은 경우, 스트립의 평면에서 또는 이 평면에 평행하게 단부들 중 하나가 다른 단부에 대해 이동될 수 있거나 또는 양측 단부들이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순 루프 형상을, 즉, 선단 단부 또는 후단 단부가 다른 단부를 향해 이동되거나 또는 양측 단부들이 서로를 향해 이동되어, 단부들이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있도록 하는 경우에 생성하거나, 또는 V 자형 루프를, 즉, 양측 단부들 또는 선단 단부 또는 후단 단부가 다른 단부를 향해 비스듬히 이동되어, 단부들이 서로 옆에 있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하는 경우에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리본은 그것이 제2 닙 포인트의 스트립 이동 방향의 상류로 이동됨에 따라 절단된다. 절단은 제2 닙 포인트에서의 클램핑 후에 그리고 임의로 단부들이 피봇팅 또는 이동되기 전에 발생할 수 있는데, 그 경우에 양측 단부들이 피봇팅 또는 위치결정 동안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절단은 또한 단지 피봇팅 또는 위치결정 후에만 발생할 수 있는데, 그 경우에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루프의 배향에 따라, 선단 단부 및 후단 단부는 그 후에, 단부들을 직물 조각의 에지 상에 위치결정하고 단부들을 직물 조각에 체결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직물 조각에 횡방향인 포지션에 정렬되어야 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스트립 이동 방향이 직물 조각의 에지에 평행하게 이어질 때 필요하다. 이 경우에, 완전히 형성된 루프의 단부들은 직물 조각의 에지로부터 멀리 향하고, 이들이 직물 조각에 체결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에지를 향해 연장되어야 한다. 정렬은 단부들을 위치결정 또는 피봇팅함으로써 또는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루프가 직물 조각의 에지에 횡방향으로 형성, 즉, 정렬될 때 이미 올바르게 되어 있는 경우, 그러면 단부들의 어떠한 정렬도 필요하지 않다. 이 올바른 정렬은, 스트립 이동 방향이 직물 조각의 에지에 대략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달성된다.
그 후에, 형성된 루프는 임의의 방식으로 직물 조각에 고정될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은 특히 단순하고, 가변적이며, 구현하기에 저렴하고, 모두가 단순한 구성을 가진 콤팩트한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하나의 라벨 포맷으로부터 다른 라벨 포맷으로 생성이 변경되어야 할 때 종래의 방법들로 수행되어야 했던 고비용의 수정들 또는 변환 조치들을 제거한다. 본 방법에 의하면, 원하는 루프 형성에 따라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프로그래밍하고 이에 따라 방법 단계들의 시퀀스 또는 실행을 조정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립 이동 방향은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바람직하게는, 직물 조각의 에지에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리본의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직물 조각의 에지에 대략 횡방향으로 직물에 이르게 된다. 예를 들어, 에지 영역에 횡방향인 이 배향에 의해, 모든 라벨 포맷들이 직물 조각의 에지에 루프의 후속 회전 없이 고정될 수 있다는 이점이 발생한다.
"스트립 이동 방향에 횡방향인"이라는 표현은, 그것이 반드시 수직 배향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비스듬한 배향들도 또한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피봇 축은 리본의 스트립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또는 평행하게 연장된다.
리본의 피딩 후에 단순 루프가 이미 형성되었고 스트립이 제1 닙 포인트에서 그리고 제2 닙 포인트에서 클램핑되는 경우, 단부들 또는 닙 포인트들은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있다. 그 후에, 단부들 중 하나가 다른 단부에 대해 스트립의 평면에 평행한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팅되어, 단순 루프가 U 자형 루프로 형성되도록 한다. 평행한 피봇 축을 중심으로 하는 피봇팅은, 스트립의 전방 영역, 예를 들어, 직물 조각의 전진 영역에서 어떠한 개입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그 대신에, 이동은 직물 조각 또는 그의 에지 영역 옆에서 일어난다.
리본이 리본 공급부 밖으로 직선으로 전진되고 있고 어떠한 루핑도 아직 일어나지 않은 경우, 선단 단부 또는 후단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피봇팅된다. 스트립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된 피봇 축을 중심으로 단부들 중 하나가 피봇팅되는 경우, U 자형 루프가 형성된다. 이 경우에, 단부들 중 하나가 스트립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팅되는 경우, 그러면 단순 루프 또는 V 자형 루프가 형성된다.
리본이 리본 공급부 밖으로 직선으로 전진되고 있고 어떠한 루핑도 아직 일어나지 않은 경우, 단부들 중 하나가 스트립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된 피봇 축을 중심으로 먼저 피봇팅되는 경우, 그러면 단순 루프가 형성된다. 이 단부는 스트립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된 부가적인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팅될 수 있고, 이로써 U 자형 루프가 형성된다.
따라서, 선단 또는 후단 단부는 리본의 스트립의 평면에 평행하게 또는 수직으로 이어지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팅될 수 있다.
그러나, 단부들 중 하나가 복수의 피봇 축들, 예를 들어, 리본의 스트립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피봇 축 및 리본의 스트립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팅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 닙 포인트는 스트립이 루프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될 때까지 스트립 이동 방향으로 또는 스트립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선단 단부를 반출시키면서 이동된다.
그 결과, 리본은 스트립 이동 방향으로 제1 닙 포인트를 통해 당겨지고 리본에 대해 인장력을 가하여, 그것은 스트립이 루프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될 때까지 리본 공급부 밖으로 전진되거나 또는 리본 공급부 스풀을 벗어나 피딩되도록 한다. 그 후에, 리본의 스트립은 직선 스트립으로서 존재하고 임의의 루프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단 단부는, 스트립 이동 경로 아래 또는 위에 있는, 스트립 이동 경로의 외측의 포지션으로 이동되고 그 포지션에 위치결정되고, 리본은 원하는 길이에 도달될 때까지 위치결정 포인트를 통해 스트립 이동 방향으로 추가로 전진된다.
스트립 이동 경로의 외측의 제1 닙 포인트의 위치결정은, 제1 닙 포인트의 클램핑 후에, 리본은 리본의 추가 반송의 결과로서 닙 포인트를 넘어서 뒤집히고 루프를 원하는 방향으로 형성한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반송 동안 리본이 느려지지 않고 루프의 형성이 차단된다는 것이 보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립은 선단 또는 후단 단부의 피봇팅 및/또는 위치결정 전에 리본으로부터 절단된다.
리본은 그것이 스트립 이동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닙 포인트의 상류에서 절단된다. 절단은 바람직하게는, 제2 닙 포인트를 클램핑한 후에―이는 스트립이 그 후에 그의 원하는 길이로 고정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임의로 피봇팅 또는 위치결정 전에 수행되는데, 그 경우에 양측 단부들이 피봇팅 또는 위치결정 동안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다는 이점이 달성된다.
대안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스트립은 선단 또는 후단 단부의 피봇팅 및/또는 위치결정 후에 리본으로부터 절단된다.
이것은 프로세스 동안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는 이점을 발생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립은 시작 포지션으로부터 전진되는 동안 원하는 종단 포지션에 도달할 때까지 리본을 반출하는 성형 슬라이드를 통해 전진되고 리본은 전진 동안 단순 루프를 형성하는데, 이때 선단 단부의 클램핑은 성형 슬라이드가 원하는 종단 포지션에 도달하기 전에 발생하고, 성형 슬라이드는 종단 포지션에 도달한 후에 그의 시작 포지션으로 다시 이동되고 선단 단부는 전체 변위 동작의 지속기간 동안 클램핑된 채로 유지되고, 스트립의 후단 단부의 클램핑은 바람직하게는 시작 포지션으로의 성형 슬라이드의 후방 변위 동안 또는 성형 슬라이드가 시작 포지션에 도달한 후에 발생한다.
성형 슬라이드는 제1 닙 포인트를 향해 이동하고, 성형 슬라이드가 전진되기 전에 선단 단부가 이미 클램핑된 채로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선단 단부의 클램핑은 단지 성형 슬라이드가 이미 조금 전진한 후에만 또한 일어날 수 있다. 어떤 경우든, 클램핑은 성형 슬라이드가 원하는 종단 포지션, 즉, 전방 종단 포지션에 도달하기 전에 일어나서, 리본이 전방 종단 포지션으로의 변위 동안 클램핑되고 그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그 결과, 성형 슬라이드는 전방 종단 포지션으로의 이동에 의해 리본을 루프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목적을 위해, 성형 슬라이드는 스트립이 원하는 길이의 단순 루프를 형성할 때까지 리본을 제1 닙 포인트 위 또는 아래로 그리고 제1 닙 포인트를 지나 이송 또는 푸시한다. 성형 슬라이드가 원하는 종단 포지션에 도달하였고 루프를 형성한 후에, 슬라이더는 그의 시작 포지션으로 다시 이동되고, 스트립의 후단 단부는 클램핑된 채로 유지된다. 한편, 선단 단부는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전체 변위 동작의 전체 지속기간 동안 클램핑된다. 성형 슬라이드의 변위는 성형 슬라이드가 다시 그의 시작 포지션에 도달할 때에만 단지 종료된다.
후단 단부의 클램핑은 바람직하게는 성형 슬라이드가 그의 시작 포지션으로 다시 이동되고 있는 동안 수행된다. 그러나, 후단 단부는 단지 시작 포지션에 도달된 후에만 클램핑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그 후에, 클램핑된 단부들은 단순 루프의 추가 프로세싱을 위해 이동 또는 피봇팅될 수 있다.
성형 슬라이드는, 예를 들어, 루프가 항상 올바르게 형성된다는 것을 보장한다. 피드 경로는 원하는 경로 길이로 설정될 수 있고, 루프의 길이 치수가 또한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리본은 간헐적으로 전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가적인 리본이 전진되기 전에 루프가 먼저 완성될 수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청구항 제13 항에 따른 장치를 제안한다.
루프로 형성되는 리본은 편평한 리본, 코드, 또는 임의의 다른 가요성 테이프형 재료일 수 있다.
리본의 스트립은 컨베이어에 의해 직물 조각에 이르게 된다. 스트립이 루프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될 때까지 리본이 전진된다.
스트립은 제1 닙 포인트에서의 제1 클램프에 의해 그리고 제2 닙 포인트에서의 제2 클램프에 의해 클램핑되고, 리본의 스트립은 닙 포인트들 사이에 형성되는 루프를 형성하도록 의도된다.
리본은 이미 단순 루프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클램프들 사이에서 직선 스트립으로서 연장될 수 있다.
커터는 제2 닙 포인트의 스트립 이동 방향으로 리본을 분리하여, 스트립이 절단되고 클램프들이 리본 공급부에 부착되거나 또는 연결에 의해 이들의 이동에 방해되는 일 없이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도록 한다.
스트립이 이미 단순 루프로 형성된 경우, 그것은, 예를 들어, 루프 단부들을 에지에 재봉함으로써, 직물 조각의 에지에 직접 위치결정 및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단부들 및 닙 포인트들을 갖는 클램프들은 대략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있다.
그러나, 단순 루프는 또한, 클램프들 및/또는 닙 포인트들을 피봇팅 및/또는 위치결정함으로써 V 자형 또는 U 자형 루프가 형성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추가로 프로세싱될 수 있다.
하나의 클램프를 다른 클램프에 대해 피봇팅함으로써, 단순 루프가 U 자형 루프로 형성되고, 스트립의 평면에서 또는 이 평면에 평행하게 닙 포인트들 중 하나가 그 후에 바람직하게는 다른 닙 포인트로부터 멀리 이동되거나, 또는 닙 포인트들 둘 모두가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되어 스트립이 클램프들 사이에서 팽팽해지도록 한다.
대안적으로, 단순 루프가 형성된 후에, 스트립의 평면에서 또는 이 평면에 평행하게 닙 포인트들 중 하나가 다른 닙 포인트에 대해 이동되거나 또는 양측 닙 포인트들이 서로에 대해 이동되고 스트립의 단부들이 서로 옆에 있고 스트립이 V 자형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단순 루프로부터 V 자형 루프가 형성된다.
스트립이 클램프들 사이에서 직선으로 연장되고 어떠한 루핑도 아직 일어나지 않은 경우, 그것은 클램프들 또는 닙 포인트들을 피봇팅 또는 위치결정함으로써 단순 루프 형상 또는 V 자형 또는 U 자형 루프 형상으로 성형된다. 직선 스트립의 경우에, 클램프들은 초기에는, 스트립 이동 방향으로 대략 대향하도록 배열된다. 단순 루프를 형성하기 위해, 클램프들 중 하나는 다른 클램프에 대해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팅되어, 클램프들은 닙 포인트들과 함께 있고 단부들은 대략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있도록 한다. 따라서, 클램프들 사이의 스트립은 단순 루프로 형성된다. 그에 후속하여, 스트립의 평면에서 또는 이 평면에 평행하게 닙 포인트들 중 하나가 다른 닙 포인트에 대해 이동되거나, 또는 양측 닙 포인트들이 서로에 대해 이동되어 스트립의 단부들이 서로 옆에 있고 스트립이 V 자형을 형성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단순 루프가 추가로 프로세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피봇팅은 또한, 클램프들이 서로 인접한 단부들 및 닙 포인트들과 함께 있거나 또는 피봇팅 후에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따라서 V 자형 루프를 형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일어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순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클램프들의 어떠한 피봇팅도 없지만, 오히려 닙 포인트들의 서로에 대한 위치결정이 있다. 그 경우에, 대략 대향하는 닙 포인트들 중 하나는 스트립의 평면에서 또는 이 평면에 평행하게 다른 닙 포인트에 대해 이동되어, 닙 포인트들은 스트립들의 단부들과 함께 있고 서로 옆에 있거나 또는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있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스트립은 V 자형 또는 단순 루프를 형성하도록 한다. 양측 닙 포인트들을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클램프들 또는 닙 포인트들을 피봇팅 및/또는 위치결정할 목적으로, 장치는 피봇팅 디바이스 및/또는 위치결정 디바이스를 갖는다.
클램프들 중 하나가 다른 클램프에 대해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팅되어 U 자형 루프가 단순 루프로부터 또는 직선 스트립으로부터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 그러면 스트립의 평면에서 제1 닙 또는 제2 닙이 바람직하게는 다른 닙 포인트에 대해 후속하여 이동되거나 또는 닙 포인트들 둘 모두가 서로에 대해 이동되어, 클램프들 사이의 U 자형 루프가 인장되도록 한다.
그 후에, 형성된 루프는 임의의 방식으로 직물 조각에 고정될 수 있다.
스트립의 단부들을 직물 조각의 에지 상에 위치결정하여 이들이 직물 조각에 정밀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결정 디바이스가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위치결정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제2 피봇팅 디바이스 또는 위치결정 디바이스일 수 있다. 루프의 배향에 따라, 선단 단부 및 후단 단부는 단부들을 직물 조각의 에지 상에 정밀하게 위치결정하고 이들이 그에 체결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직물 조각에 횡방향인 포지션에 이 위치결정 디바이스와 함께 정렬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완성된 루프의 단부들이 직물 조각의 에지로부터 멀리 향하고 그에 따라 에지를 향해 정렬 및 위치결정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필요하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립의 위치결정된 단부와 함께 직물 조각을 체결 디바이스에 이송하는 컨베이어가 또한 제공되고, 체결 디바이스는 스트립의 단부들을 직물 조각에 올바른 포지션으로 체결한다.
이 장치는 특히 단순하고 구현하기에 저렴하며 콤팩트한 설계로 통합될 수 있다. 장치는 광범위한 변환 조치들 또는 수정들을 착수해야 하는 일 없이 상이한 라벨 포맷들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립 이동 방향은 평행하게 배향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바람직하게는, 직물 조각의 에지에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배향된다.
모든 라벨 포맷들이 이 포지션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루프들이 후속 회전 또는 피봇팅 없이 직물 조각의 에지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스트립 이동 방향에 횡방향인"이라는 표현은 반드시 그 부분의 에지에 수직인 배향을 지칭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비스듬한 배향들도 또한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피봇 축은 리본의 스트립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또는 평행하게 정렬된다.
단순 루프가 이미 형성되었고 스트립이 제1 및 제2 클램프에 의해 제1 및 제2 닙 포인트에 클램핑되는 경우, 단부들 또는 닙 포인트들은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있다. 클램프들 중 하나가 다른 클램프에 대해 스트립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피봇 축을 중심으로 그 후에 피봇팅될 수 있거나 또는 그 후에 피봇팅되어, 단순 루프가 U 자형 루프로 형성되도록 한다. 평행한 피봇 축을 중심으로 하는 피봇팅은, 그것이 장치의 전방 영역, 예를 들어, 직물 조각들이 이송되는 영역에서 클램프들과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리본의 스트립이 클램프들 사이에서 직선 라인으로 연장되고 어떠한 루프 형성도 아직 일어나지 않은 경우, 제1 클램프 또는 제2 클램프는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피봇팅될 수 있거나 또는 피봇팅되고 직선 스트립은 단순 루프로 형성된다. 직선 스트립의 경우에, 클램프들은 초기에는, 스트립 이동 방향으로 대략 대향하도록 배열된다.
클램프 중 하나가 스트립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된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팅되는 경우, 그러면 클램프들은 서로 옆에 있고 스트립은 U 자형 루프로 형성된다.
클램프들 중 하나가 스트립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펑행하게 정렬된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팅되는 경우, 그러면 클램프들은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있고 스트립은 단순 루프로 형성된다.
리본이 리본 공급부 밖으로 직선으로 전진되고 있고 어떠한 루핑도 아직 일어나지 않은 경우, 클램프들 중 하나가 스트립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된 피봇 축을 중심으로 먼저 피봇팅되는 경우, 그러면 단순 루프가 형성된다. 그에 후속하여, 이 클램프는 스트립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된 부가적인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팅될 수 있어서, U 자형 루프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1 또는 제2 클램프는 리본의 스트립의 평면에 평행하게 또는 수직으로 이어지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팅될 수 있다.
그러나, 클램프들 중 하나가 복수의 피봇 축들을 중심으로, 예를 들어, 리본의 스트립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피봇 축을 중심으로 그리고 리본의 스트립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팅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컨베이어는, 이송 베이스를 갖는 벨트 드라이브이고, 리본은 벨트 드라이브의 벨트와 이송 베이스 사이에서 전진된다.
바람직하게는 이송 베이스는 성형 슬라이드로서 또는 성형 슬라이드가 장치에 부가적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구체화되고, 그 경우에 벨트 드라이브 및/또는 성형 슬라이드는, 스트립 이동 방향으로의 시작 포지션으로부터, 리본이 단순 루프로 성형되는 작업 포지션으로 전진될 수 있고 시작 포지션으로 다시 이동될 수 있다.
성형 슬라이드는, 시작 포지션의 제1 닙 위 또는 아래에서, 성형 슬라이드가 전방 종단 포지션에 있는 작업 포지션으로 이동될 수 있고, 시작 포지션으로부터 작업 포지션으로의 전진 시에, 스트립이 원하는 길이의 U 자형 루프를 형성할 때까지 제1 닙 포인트를 지나 스트립 이동 방향으로 리본을 푸시한다. 바람직하게는, 벨트 드라이브는 스트립 이동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출된다.
그 후에, 성형 슬라이드 그리고, 임의로, 벨트 드라이브가 그의 시작 포지션으로 다시 이동된다. 성형 슬라이드는, 예를 들어, 루프가 항상 올바르게 형성된다는 것을 보장한다. 피드 경로는 원하는 경로 길이로 설정될 수 있고, 이로써 루프의 길이 치수가 또한 설정된다.
예를 들어, 벨트 드라이브는 리본이 벨트 드라이브의 벨트에 의해 이송 베이스에 대해 가압되고 이송 베이스에 걸쳐 전진되는 반송 포지션으로 설정되고, 그 경우에 벨트 드라이브는 바람직하게는, 반송 포지션으로부터, 벨트 드라이브가 리본으로부터 맞물림해제되는 휴지 포지션(rest position)으로 이동될 수 있다.
벨트 드라이브가 반송 포지션에 있을 때, 리본은 벨트 드라이브의 벨트에 의해 이송 베이스에 대해 가압되고 이송 베이스에 걸쳐 스트립 이동 방향으로 전진된다. 그 동안에, 이송 베이스 또는 이송 베이스로서 작용하는 성형 슬라이드는, 예를 들어, 리본을 루프로 형성하기 위해 스트립 이동 방향으로 리본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벨트 드라이브는 벨트 드라이브가 리본에 닿지 않는 휴지 포지션으로 또한 이동될 수 있다. 이것은 리본이 단순한 방식으로 이송 베이스 또는 성형 슬라이드와 함께 스트립 이동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리본이 제1 클램프에 의해 리본 공급부 밖으로 전진되고 있거나 또는 리본 스풀을 벗어나 피딩되는 경우에 유리한데, 이는 리본이 저항 없이 전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클램프는 선단 단부를 스트립 이동 방향으로 또는 스트립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반출시키면서 이동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클램프가 리본을 팽팽하게 하고 그것을 리본 공급부 밖으로 또는 리본 스풀을 벗어나도록 당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또는 제2 클램프는, 선단 단부 및/또는 후단 단부가 다른 단부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컨베이어를 갖거나 또는 컨베이어이다.
스트립이 이미 U 자형 루프인 경우, 이것은 닙 포인트들 그리고 그에 따라 단부들을 위치결정할 수 있고, 스트립은 클램프들 사이에서 인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닙 포인트들이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놓이고 스트립이 단순 루프를 형성하는 경우, 이격되는 이동의 결과로서 V 자형 루프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또는 제2 클램프는 그리퍼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또는 제2 클램프는, 벨트 드라이브에 대향하여 놓여진 지지 요소를 갖는 벨트 드라이브이고, 스트립에는 벨트 드라이브의 벨트 또는 피드 롤러와 지지 요소 사이에 그의 제1 및/또는 제2 닙 포인트가 배열된다.
따라서, 제1 및/또는 제2 클램프는 제1 및/또는 제2 닙 포인트에서 클램핑될 수 있고, 닙 포인트들을 서로에 대해 배향시키기 위한 조정기로서 작용한다. 하나의 요소에서의 2 개의 기능들의 조합은 특히 공간을 절약한다.
동일한 이유로, 제1 및/또는 제2 클램프는 조정가능 클램프이고, 그 경우에 스트립은 클램프의 컴포넌트들 사이의 제1 및/또는 제2 닙 포인트로 클램프된 채로 유지되고 클램프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부들은 닙 포인트들을 지나 돌출되고, 돌출 부분으로 직물 조각에 고정될 수 있다.
선단 및 후단 단부들의 돌출 부분들은 직물 조각의 에지에 쉽게 고정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장치 컴포넌트들, 즉,
컨베이어(3),
제1 클램프(6),
제2 클램프(9),
커터(11),
피봇팅 디바이스,
조정기,
위치결정 디바이스, 및
바람직하게는 체결 디바이스
에 대응하고 이들의 활동들 및 기능들을 제어하는 조정가능 컴퓨터 제어기(adjustable computer control)가 제공된다.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컴퓨터 제어기는, 원하는 루프 형상, 루프 길이, 루프 위치결정, 및 다른 유용한 파라미터들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가 설정들을 쉽게 입력하게 한다. 장치 자체는 변경되지 않은 채로 유지되어, 시간 및 비용 집약적인 변환 조치들이 요구되지 않고, 오히려 단지 조정가능 컴퓨터 제어기의 단순한 프로그래밍만을 요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에 예시되고 이하에 추가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에서:
도 1은 시작 포지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개방 그리퍼를 갖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폐쇄된 그리퍼 및 전진된 성형 슬라이드를 갖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후퇴된 성형 슬라이드 및 폐쇄된 제2 클램프를 갖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리본의 스트립을 리본으로부터 절단한 후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그 평면도이다.
도 7은 피봇팅된 제2 클램프를 갖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그 정면도이다.
도 9는 그 평면도이다.
도 10은 피봇팅된 그리고 이동된 제2 클램프를 갖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그 정면도이다.
도 12는 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는 가요성 리본(2)으로 이루어지는 루프(1, 1')를 형성하고 루프(1, 1')를 직물 조각에, 특히 직물 조각의 에지에 고정하는 방법의 단계들,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직물 조각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1 내지 도 7에서 그것은 장치의 예시된 컴포넌트들의 좌측에 있다.
가요성 리본(2)으로부터 루프(1, 1')를 형성하기 위해 그리고 루프(1, 1')를 직물 조각에, 특히 직물 조각의 에지에 고정시키기 위해, 장치는,
루프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리본 공급부 스풀을 벗어나 리본(2)의 스트립(4)을 당기거나 또는 리본 공급부로부터 리본의 스트립(4)에 평행하게 그러나 직물 조각의 에지에 평행하지 않게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직물 조각의 에지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립 이동 방향(5)으로 스트립(4)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3),
스트립(4)의 제1 닙 포인트(8)에서 스트립 이동 방향(5)으로 스트립(4)의 선단 단부(7)를 그리핑하는 제1 클램프(6),
제1 닙 포인트(8)로부터 이격된 제2 닙 포인트(10)에서 스트립(4)을 그리핑하여 리본의 스트립(4)의 닙 포인트들(8, 10) 사이에서 형성하는 루프를 형성하는 제2 클램프(9),
후단 단부(12)를 절단한 후에 갖는 단일 스트립(4)을 리본(2)으로부터 절단하기 위한 커터(11)―이때 제2 닙 포인트(10)가 후단 단부(12)에 있음―,
바람직하게는 스트립(4)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피봇 축(21)을 중심으로 제1 클램프(6)를 제2 클램프(9)에 대해 피봇팅할 수 있는 피봇팅 디바이스, 및
바람직하게는 스트립(4)의 평면에서 또는 그에 평행하게 제1 닙 포인트(8)에 대해 제2 닙 포인트(10)를 위치결정할 수 있어서, 스트립(4)이, 단부들(7, 12)이 서로 옆에 있고 직물의 에지 상에 위치결정되고 그 에지에 고정가능한 U 자형 루프(1')를 형성하도록 하는 조정기,
바람직하게는 단부들(7, 12)을 직물 조각의 에지에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 디바이스, 및 스트립의 위치결정된 단부들(7, 12)과 함께 직물 조각을, 스트립의 단부들(7, 12)을 직물 조각에 올바른 포지션으로 체결하는 체결 디바이스에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갖는다.
루프(1, 1')로 형성되는 리본(2)은 편평한 리본, 코드, 또는 임의의 다른 리본일 수 있다.
도 1은 리본(2)이 우측에 위치된 리본 공급부로부터 전진되거나 또는 리본 공급부 스풀을 벗어나 피딩되는 시작 상황을 도시한다. 리본(2)은 바람직하게는 간헐적으로 전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가적인 리본(2)이 전진되기 전에 루프(1, 1')가 완성되는 것이 항상 가능하다.
리본(2)은 루프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리본 공급부 스풀을 벗어나 피딩되거나 또는 리본 공급부로부터 스트립(4)의 형태로 스트립(4)에 평행하게 그리고 직물 조각의 에지에 평행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직물 조각의 에지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립 이동 방향(5)으로 전진된다. 예를 들어, 직물 조각의 에지에 횡방향인 이 배향에 의해, 모든 라벨 포맷들이 직물 조각의 에지에 루프(1, 1')의 후속 회전 또는 피봇팅 없이 고정될 수 있다는 이점이 발생한다.
도 1은 여기서 초기에는 폐쇄되고 제1 닙 포인트(8)에서 리본(2)을 추후에 클램핑 및 유지하도록 의도되는 그리퍼로서 구체화되는 제1 클램프(6)를 도시한다.
컨베이어(3)는, 예를 들어, 성형 슬라이드로서 구성되는 이송 베이스(14)를 갖는 벨트 드라이브(13)이고, 리본(2)은 벨트 드라이브(13)의 벨트와 이송 베이스(14) 사이에서 전진된다. 벨트 드라이브의 회전 방향은 도 2에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성형 슬라이드는 도 1에 도시된 시작 포지션으로부터 이동되는 동안 도 3에 도시된 작업 포지션으로 스트립(4)의 이동 방향(5)으로(좌측을 향해) 리본(2)을 반출할 수 있고, 여기서 성형 슬라이드는, 리본(2)이 단순 루프(1)로 형성되는 원하는 상류 종단 포지션에 있고, 슬라이드는 시작 포지션으로 다시 되돌려 이동될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또한, 벨트 드라이브(13)는 리본(2)을 그리퍼로 가져오기 위해 스트립 이동 방향(5)으로 성형 슬라이드와 함께 적어도 피드 경로의 일부분에 걸쳐 이동가능하다.
성형 슬라이드가 리본(2)을 스트립 이동 방향(5)을 따라 운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벨트 드라이브(13)는 반송 포지션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고, 여기서 리본(2)은 벨트 드라이브(13)의 벨트에 의해 이송 베이스(14)에 대해 가압되고, 벨트 드라이브(13)가 리본(2)을 해제하는 휴지 포지션으로 이송 베이스(14)에 걸쳐 전진된다. 반송 포지션은, 예를 들어, 도 1, 도 2 및 도 4에 예시되어 있다. 도 3은 벨트 드라이브(13)가 리본(2)에 닿지 않는 벨트 드라이브(13)의 휴지 포지션을 도시한다. 이 포지션에서, 리본(2)은 성형 슬라이드와 함께 스트립 이동 방향(5)으로 쉽게 이동될 수 있다.
도 2는 개방 그리퍼를 갖는 장치를 도시한다. 그리퍼는 리본(2) 또는 선단 단부(7)가 그리퍼에 도달하기 전에 개방되어, 리본(2)이 그리퍼의 개방 레그들(15, 16)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리본(2)을 반출하는 동안, 성형 슬라이드는 단부(7)가 개방 그리퍼를 통해 원하는 길이로 전진될 때까지 스트립 이동 방향(5)으로 개방 그리퍼를 향해 스트립(4)의 선단 단부(7)를 푸시한다. 그 후에, 그리퍼가 폐쇄되어 스트립(4)의 선단 단부(7)가 그리퍼의 클램핑 레그들(15, 16)에 의해 제1 닙 포인트(8)에서 클램핑되도록 한다(예를 들어, 도 3 및 도 4 참조).
도 3 및 도 4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 단부(7)는, 스트립 이동 경로 아래에 있는, 리본의 스트립 이동 경로의 외측의 포지션으로 이동되고 그 포지션에 위치결정되고, 리본(2)은 루프(1)의 원하는 길이에 도달될 때까지 위치결정 포인트를 통해 스트립 이동 방향(5)으로 추가로 전진된다. 스트립 이동 경로의 외측의 제1 닙 포인트(8)의 위치결정은, 성형 슬라이드가 제1 닙 포인트(8)를 지나 리본(2)과 함께 푸시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성형 슬라이드는 시작 포지션으로부터 작업 포지션(원하는 종단 포지션)으로 제1 닙 포인트(8) 위에서 이동되고, 시작 포지션으로부터 작업 포지션으로의 전진 시에, 스트립(4)이 원하는 길이의 단순 루프(1)를 형성할 때까지 리본(2)을 제1 닙(8) 또는 제1 클램프(6)를 지나 스트립 이동 방향(5)으로 푸시한다. 길이는 성형 슬라이드의 피드 경로에 좌우된다. 그 후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 슬라이드는 그것이 그의 시작 포지션에 도달할 때까지 다시 이동된다(도 5). 성형 슬라이드는, 예를 들어, 루프(1)가 항상 올바르게 형성된다는 것을 보장한다. 피드 경로는 원하는 경로 길이로 설정될 수 있고, 루프(1)의 길이 치수가 또한 설정된다.
그 후에, 스트립(4)은,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클램프(9)에 의해 제2 닙 포인트(10)에서 클램핑되고, 제2 닙 포인트(10)는 제1 닙 포인트(8)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되고 스트립(4)의 후단 단부(12)를 저지시킨다. 단부들(7, 12) 및 닙 포인트들(8, 10)은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있다. 리본(2)은 제2 닙 포인트(10)의 스트립 이동 방향(5)의 상류에서 커터(11)에 의해 절단되고, 공급된 리본(2)으로부터 그리고 루프(1)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길이의 스트립으로 절단된다(도 5 참조).
리본(2)의 절단은 바람직하게는 제2 닙 포인트(10)에서의 클램핑 후에 그리고 임의로 단부들(7, 12)이 피봇팅 또는 이동되기 전에 발생하는데, 그 경우에 양측 단부들(7, 12)은 피봇팅 또는 위치결정할 목적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절단은 단지 피봇팅 또는 위치결정 후에만 또한 발생할 수 있다. 커터(11)는 도면들에서 한 쌍의 가위들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 루프(1)로 이미 형성된 스트립(4)은 제1 닙 포인트(8)와 제2 닙 포인트(10) 사이에서 연장된다.
단순 루프(1)는 직물 조각의 에지에 고정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V 자형 또는 U 자형 루프(1')와 같은 다른 루프 형상으로 프로세싱될 수 있다.
V 자형 루프로의 단순 루프(1)의 추가 프로세싱이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클램프들(6 또는 9) 중 하나가 스트립(4)의 평면에서 다른 클램프(6 또는 9)에 대해 이동된다. 이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클램프(6 또는 9)는 벨트 드라이브에 대향하는 지지 요소를 갖는 벨트 드라이브로서 구체화되고, 스트립(4)에는 벨트 드라이브의 벨트와 지지 요소 사이에 그의 닙 포인트(8 또는 10)가 배열된다. 클램프(6 또는 9)는 제1 또는 제2 닙 포인트(8 또는 10)에서 클램핑하고, 닙 포인트(8 또는 10)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디바이스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부들(7, 12)이 서로 옆에 있는 V 자형 루프는, 단부들(7, 12)이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있는 단순 루프로부터 형성된다. 그 후에, 루프는 직물 조각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동작은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U 자형 루프(1')가 단순 루프(1)로부터 형성되어야 하는 경우, 선단 단부(7)는 피봇팅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후단 단부(12) 및 제2 클램프(9)에 대해 피봇팅되는데, 이때 제1 클램프(6)는 U 자형 루프(1')를 형성하기 위해 리본의 스트립(4)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피봇 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에 후속하여 또는 동시에, 제2 클램프(9)는 스트립(4)의 평면에서 제1 클램프(6)에 대해 이동되어 U 자형 루프(1')가 닙 포인트들(8, 10) 사이에서 인장되도록 한다. 이동은 특히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때 이동 전의 단부는 파선으로 표시되고 19로 도시되어 있다. 이동은 화살표 20, 20'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일어난다.
이 목적을 위해, 클램프(9)는, 예를 들어 벨트 드라이브에 대향하여 놓여진 지지 요소(18)를 갖는 벨트 드라이브이고, 스트립(4)에는 벨트 드라이브(17)의 벨트와 지지 요소(18) 사이에 그의 제2 닙 포인트(10)가 위치결정된다.
따라서, 클램프(9)는 제2 닙 포인트(10)를 그리핑하고, 닙 포인트들(8, 10)을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기 위한 조정기로서 작용할 수 있다. 하나의 요소에서의 2 개의 기능들의 조합은 특히 공간을 절약한다. 벨트 드라이브(17)는 제2 닙 포인트(10)가 직물 조각의 에지에 평행하게 제1 닙 포인트(8)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컨베이어로서 작용한다. 스트립(4)이 U 자형 루프(1')로 형성되자마자, 닙 포인트들(8, 10)의 서로에 대한 이동이 일어날 수 있고, 루프(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들(6, 9) 사이에서 인장될 수 있다.
단부들(7, 12)은 나란히 위치결정되고, 루프(1')의 단부들(7 및 12)은 그 후에 임의의 방식으로 직물 조각에 고정될 수 있다.
인접 단부들(7, 12)은 닙 포인트들(8, 10)을 지나 돌출되고 직물 조각에 쉽게 고정될 수 있다.
단부들(7, 12)을 직물 조각의 에지에 위치시키는 위치결정 디바이스 및 스트립의 위치결정된 단부들(7, 12)과 함께 직물 조각을 체결 디바이스에 이송하는 컨베이어, 및 스트립의 단부들(7, 12)을 직물 조각에 올바른 포지션으로 체결하는 체결 디바이스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방법 및 장치는 특히 단순하고 구현하기에 저렴하며 콤팩트한 장치에 통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하나의 라벨 포맷으로부터 다른 라벨 포맷으로의 생성 동안 전환이 이루어질 때 종래의 방법들 및 장치들로 수행되어야 하는 고비용의 수정들 또는 변환 조치들을 제거한다. 본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원하는 라벨 포맷에 대해 요구되는 원하는 방법 단계들이 수행되기 위해 기능 및 모션 시퀀스들에 대한 기존의 조정가능 컴퓨터 제어기의 적절한 프로그래밍을 수행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Claims (30)

  1. 가요성 리본(flexible ribbon)(2)으로부터 루프(loop)(1, 1')를 형성하고 상기 루프(1, 1')를 직물 조각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루프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리본 공급부 스풀(ribbon supply spool)을 벗어나 또는 리본 공급부(ribbon supply)로부터 리본의 스트립(4)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스트립 이동 방향(strip-travel direction)(5)으로 상기 리본(2)의 스트립(4)을 전진시키는 단계,
    상기 스트립(4)이 단순 루프(1)를 형성하거나 또는 단순 루프(1) 및 직선 스트립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될 때까지 상기 리본 공급부로부터 부가적인 리본(2)을 전진시키면서, 제1 닙 포인트(first nip point)(8)에서 상기 스트립 이동 방향(5)으로 선두에 있는 상기 스트립(4)의 선단 단부(7)를 클램핑(clamping)하는 단계,
    상기 스트립(4)의 후단 단부(trailing end)(12)에서 상기 제1 닙 포인트(8)로부터 이격된 제2 닙 포인트(10)에서 상기 스트립(4)을 클램핑하는 단계,
    단순 루프(1)로 이미 형성되었거나 또는 루프(1, 1')로 형성될 수 있는 스트립(4)이 상기 제1 닙 포인트(8)와 상기 제2 닙 포인트(10)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공급된 상기 리본(2)으로부터 상기 스트립(4)을 상기 루프(1, 1')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길이의 단일 스트립으로 분리하기 위해, 상기 제2 닙 포인트(10)의 스트립 이동 방향(5)으로 상류에 있는 리본(2)을 절단하는 단계,
    직물 조각의 에지에 횡방향으로 있도록 선단 및 후단 단부들(7, 12)을 정렬하고 그 위에 위치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직물 조각의 에지에 횡방향으로부터 이탈되는 정렬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선단 및 후단 단부들(7, 12)이 상기 직물 조각의 에지에 횡방향으로 위치결정되는 포지션으로 상기 선단 및 후단 단부들(7, 12)을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선단 및 후단 단부들(7, 12)에서의 루프(1, 1')를 상기 직물 조각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닙 포인트(8)에서 클램프된 상기 스트립(4)의 선단 단부(7) 또는 상기 제2 닙 포인트(10)에서 클램프된 상기 스트립(4)의 후단 단부(12)가 나머지 하나의 단부 위에 배향되거나 또는 상기 단부들(7, 1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거나 또는 상기 단부들(7, 12)이 나란히 있는, 단순 루프(1) 또는 U 자형 루프(1') 또는 V 자형 루프가 형성되도록, 상기 단부들(7, 12) 중 하나가 나머지 하나의 단부(7 또는 12)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피봇 축(21)을 중심으로 피봇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닙 포인트(8)에서 클램프된 상기 스트립(4)의 선단 단부(7) 또는 상기 제2 닙 포인트(10)에서 클램프된 상기 스트립(4)의 후단 단부(12)가 나머지 하나의 단부 위에 배향되거나 또는 상기 단부들(7, 1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거나 또는 상기 단부들(7, 12)이 나란히 있는, 단순 루프(1) 또는 U 자형 루프(1') 또는 V 자형 루프가 형성되도록, 상기 스트립(4)이 점유하는 평면에서 또는 상기 평면에 평행하게 상기 단부들(7, 12)이 서로에 대해 조정되거나 또는 상기 단부들(7, 12) 중 하나가 나머지 하나의 단부(7 또는 12)에 대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1, 1')는 상기 직물 조각의 에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이동 방향(5)은 상기 직물 조각의 에지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축(21)은 상기 리본의 스트립(4)의 평면에 수직하게 또는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닙 포인트(8)는 상기 스트립이 루프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될 때까지 상기 리본(2)의 상기 스트립 이동 방향(5)으로 또는 상기 스트립 이동 방향(5)에 평행하게 선두에 있는 상기 선단 단부(7)를 반출하도록(entrain)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단부(7)는, 스트립 이동 경로 아래 또는 위에 있는, 외측의 포지션으로 이동되고 상기 포지션에 위치결정되고, 상기 리본(2)은 원하는 길이에 도달될 때까지 위치결정 포인트를 통해 상기 스트립 이동 방향(5)으로 추가로 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상기 선단 또는 후단 단부(7 또는 12)의 피봇팅 또는 조정 전에 상기 리본(2)으로부터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상기 선단 또는 후단 단부(7 또는 12)의 피봇팅 또는 조정 후에 상기 리본(2)으로부터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4)은 원하는 종단 포지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리본(2)을 반출하면서 시작 포지션으로부터 이동되는 성형 슬라이드(shaping slide)를 통해 전진되고, 상기 리본은 전방 전진 동안 단순 루프(1)를 형성하는데, 상기 성형 슬라이드가 상기 원하는 종단 포지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선단 단부(7)를 클램핑하고, 상기 성형 슬라이드는 상기 종단 포지션에 도달한 후에 그의 시작 포지션으로 돌아가게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선단 단부(7)는 전체 변위 동작을 위해 클램핑된 채로 유지되고, 상기 스트립(4)의 상기 후단 단부(12)의 클램핑이 상기 시작 포지션으로의 상기 성형 슬라이드의 후방 변위 동안 또는 상기 성형 슬라이드가 상기 시작 포지션에 도달한 후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2)은 간헐적으로 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
  13. 가요성 리본(2)으로부터 루프(1, 1')를 형성하고 상기 루프(1, 1')를 직물 조각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루프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리본 공급부 스풀을 벗어나 리본(2)의 스트립(4)을 당기거나 또는 리본 공급부로부터 상기 리본의 스트립(4)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스트립 이동 방향(5)으로 상기 리본(2)의 스트립(4)을 전진시키기 위한 컨베이어(conveyor)(3),
    상기 스트립(4)의 제1 닙 포인트(8)에서 상기 스트립 이동 방향(5)으로 선두에 있는 상기 스트립(4)의 선단 단부(7)를 클램핑하기 위한 제1 클램프(first clamp)(6),
    상기 리본의 스트립(4)의 제1 닙 포인트(8) 및 제2 닙 포인트(10) 사이에서 루프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닙 포인트(8)로부터 이격된 상기 제2 닙 포인트(10)에서 상기 스트립(4)의 후단 단부(12)를 클램핑하기 위한 제2 클램프(second clamp)(9), 및
    상기 제2 닙 포인트(10)의 상류에 있는 상기 스트립(4)의 후단 단부(12)에서 상기 스트립(4)을 상기 리본(2)으로부터 절단하기 위한 커터(cutter)(11)를 포함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1, 1')는 직물 조각의 에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단부(7) 또는 상기 후단 단부(12)가 나머지 하나의 단부 위에 배향되거나 또는 선단 및 후단 단부들(7, 1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거나 또는 상기 단부들(7, 12)이 나란히 있고 그리고 상기 상기 단부들(7, 12)이 상기 직물의 에지 상에 위치결정될 수 있거나 위치결정되고 상기 직물 조각의 에지에 고정될 수 있거나 고정되는, 단순 루프(1) 또는 U 자형 루프(1') 또는 V 자형 루프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클램프(6) 또는 제2 클램프(9)를 나머지 하나의 클램프(6 또는 9)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피봇 축(21)을 중심으로 피봇팅하거나 피봇팅할 수 있는 피봇팅 디바이스(pivoting devic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단부(7) 및 상기 후단 단부(12) 중 하나가 나머지 하나의 단부 위에 배향되거나 또는 선단 및 후단 단부들(7, 1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거나 또는 상기 단부들(7, 12)이 나란히 있고 상기 단부들(7, 12)이 상기 직물의 에지 상에 위치결정될 수 있거나 위치결정되고 상기 직물 조각의 에지에 고정될 수 있거나 고정되는, 단순 루프(1) 또는 U 자형 루프(1') 또는 V 자형 루프를 상기 리본의 스트립(4)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립(4)의 평면에서 또는 상기 평면에 평행하게 상기 제1 닙 포인트(8) 및 상기 제2 닙 포인트(10)를 서로에 대해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닙 포인트(8) 또는 상기 제2 닙 포인트(10)를 나머지 하나의 닙 포인트(8 또는 10)에 대해 조정하기 위한, 조정기(adjus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조각의 에지에 선단 및 후단 단부들(7, 12)을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 디바이스(positioning device) 및 상기 스트립의 위치결정된 단부들(7, 12)과 함께 상기 직물 조각을, 상기 스트립의 단부들(7, 12)을 상기 직물 조각에 올바른 포지션으로 부착시키는 체결 디바이스에 이송하는 컨베이어(conveyor)를 포함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이동 방향(5)은 상기 직물 조각의 에지에 횡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축(21)은 상기 리본의 스트립(4)의 평면에 수직으로 또는 평행하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20. 제13 항 또는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3)는, 이송 베이스(14)를 갖는 벨트 드라이브(13)이고, 상기 리본(2)은 상기 벨트 드라이브(13)의 벨트와 상기 이송 베이스(14) 사이에서 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베이스(14)는 성형 슬라이드이거나 또는 성형 슬라이드가 상기 장치에 또한 제공되고, 그 경우에 상기 벨트 드라이브(13) 또는 상기 성형 슬라이드는, 상기 스트립(4)의 스트립 이동 방향(5)으로 시작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리본(2)이 단순 루프(1)로 성형되는 작업 포지션으로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시작 포지션으로 돌아가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드라이브(13)는, 상기 리본(2)이 상기 벨트 드라이브(13)의 벨트에 의해 상기 이송 베이스(14)에 대해 가압되고 상기 이송 베이스(14)에 걸쳐 전진되는 반송 포지션으로 설정되고, 상기 벨트 드라이브(13)는 상기 반송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벨트 드라이브(13)가 상기 리본을 자유롭게 하는, 휴지 포지션(rest position)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23. 제13 항 또는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6)는 상기 선단 단부(7)를 상기 리본(2)의 상기 스트립 이동 방향(5)으로 또는 상기 스트립 이동 방향(5)에 평행하게 반출하도록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24. 제13 항 또는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클램프(6 또는 9)는, 상기 선단 단부(7) 또는 상기 후단 단부(12)가 나머지 하나의 단부(7 또는 12)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컨베이어이거나 또는 그러한 컨베이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25. 제13 항 또는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클램프(6 또는 9)는 그리퍼(gripp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26. 제13 항 또는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클램프(6 또는 9)는 벨트 드라이브(17)이고, 상기 벨트 드라이브(17)는 상기 벨트 드라이브(17)에 대향하는 지지 요소(18)를 갖고, 상기 스트립(4)은 그의 제1 또는 제2 닙 포인트(8 또는 10)가 피드 롤러 또는 상기 벨트 드라이브(17)의 벨트와 상기 지지 요소(18) 사이에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27. 제13 항 또는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클램프(6 또는 9)는 조정가능 클램프이고, 상기 스트립(4)은 그의 제1 또는 제2 닙 포인트(8 또는 10)가 상기 클램프의 컴포넌트들 사이에서 클램핑되고 상기 클램프와 함께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28. 제13 항 또는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단부(7) 및 상기 후단 단부(12)은 상기 제1 닙 포인트(8) 및 상기 제2 닙 포인트(10)을 지나 돌출되고, 이들의 돌출 부분들로 상기 직물 조각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29. 제13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컨베이어(3), 제1 클램프(6), 제2 클램프(9), 커터(11), 피봇팅 디바이스, 조정기, 및 위치결정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인 장치 컴포넌트에 대응하고, 상기 장치 컴포넌트의 활동들 및 기능들을 제어하는 조정가능 컴퓨터 제어기(adjustable computer control)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30.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가능 컴퓨터 제어기는 체결 디바이스에 대응하고, 상기 체결 디바이스의 활동 및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리본으로부터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직물 조각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20190093119A 2018-08-03 2019-07-31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11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18937.0 2018-08-03
DE102018118937.0A DE102018118937A1 (de) 2018-08-03 2018-08-03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lden einer Schlauf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404A KR20200015404A (ko) 2020-02-12
KR102211008B1 true KR102211008B1 (ko) 2021-02-01

Family

ID=6743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119A KR102211008B1 (ko) 2018-08-03 2019-07-31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961646B2 (ko)
EP (1) EP3604656B1 (ko)
JP (1) JP7343327B2 (ko)
KR (1) KR102211008B1 (ko)
CN (1) CN110791892B (ko)
BR (1) BR102019015794A2 (ko)
CA (1) CA3050958C (ko)
DE (1) DE102018118937A1 (ko)
ES (1) ES2928884T3 (ko)
PL (1) PL3604656T3 (ko)
PT (1) PT3604656T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0073B (zh) * 2022-06-14 2023-10-13 强联智创(北京)科技有限公司 金属丝输出机构以及塑形针塑形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58144A (en) * 1938-07-30 1939-05-16 Master Machine Mfg Co Inc Machine for cutting, folding, and pressing labels
DE1224694B (de) * 1965-10-08 1966-09-15 Kleindienst & Co Faltvorrichtung zur Faltung von Waeschestuecken od. dgl.
US3381639A (en) * 1966-02-21 1968-05-07 Quick Service Textiles Apparatus for feeding and cutting strip material
US3680509A (en) * 1970-01-27 1972-08-01 Quick Service Textiles Apparatus for feeding and cutting strip material
GB1445391A (en) * 1973-04-02 1976-08-11 Automatic Braiding Co Manufacture of garments
DE2319405A1 (de) * 1973-04-17 1974-11-07 Otto Hess V-foermiger aufhaenger und vorrichtung zum annaehen eines v-foermigen oder kantengeraden aufhaengers an ein stoffteil oder in einen saum
US4030429A (en) * 1976-08-18 1977-06-21 Special Sewing Systems, Inc. Sewing machine attachment
DE2824402C2 (de) * 1978-06-03 1985-09-12 Kleindienst GmbH, 8900 Augsburg Abwälzfaltvorrichtung
GB2079802A (en) * 1980-07-16 1982-01-27 Armstrong James & Co Ltd Web folding device
DE3334646C2 (de) * 1983-09-24 1986-01-30 Carl Schmale GmbH & Co KG, 4434 Ochtrup Vorrichtung zum Falten und Positionieren von Bandabschnitten an Gewebestücken
DE8632428U1 (ko) * 1986-12-03 1989-08-03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slautern, De
JPH056957Y2 (ko) * 1987-07-15 1993-02-22
US4920904A (en) * 1987-11-23 1990-05-01 Frye Ricky J Tape feeding method and apparatus
DE3824090A1 (de) * 1988-07-15 1990-02-15 Schips Ag Etikettenspender
GB8823270D0 (en) * 1988-10-04 1988-11-09 Courtaulds Plc Handling workpieces of flexible sheet material
US5599410A (en) 1991-10-09 1997-02-04 Carl Schmale Gmbh & Co. Kg Method of and device for making labels
US5983814A (en) * 1998-03-10 1999-11-16 Galkin Automated Products Automatic mattress handle sewing work station
DE10026439A1 (de) * 2000-05-29 2001-12-06 Schips Ag Naehautomation Tueba Etikettenspender mit Falzeinrichtung
EP1360134B1 (en) * 2001-02-12 2007-01-17 BKI Holding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package from a strip of material
DE20219201U1 (de) * 2002-12-11 2003-02-20 Texpa Maschb Gmbh & Co Kg Vorrichtung zum Ablängen und Falten eines Stoffabschnittes
DE602004006230T2 (de) * 2003-02-07 2008-01-10 Dunn, Richard Brian Gerät und verfahren zum falten eines folienblattes
DE102010031887B4 (de) * 2010-07-21 2021-02-18 Krones Aktiengesellschaft Führ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ühren von wenigstens einem Materialbahnende in einer Verpackungsmaschine
DE202013103937U1 (de) * 2013-08-30 2013-09-11 Schlesinger Maschinenbau Gmbh Messerfaltvorrichtung
CN105986369B (zh) * 2015-02-16 2020-05-01 Juki株式会社 带环材料的缝合方法以及带环缝制缝纫机
CN107503047B (zh) * 2017-09-25 2023-03-21 杰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缝制服装标签的自动化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604656T3 (pl) 2023-01-23
EP3604656B1 (de) 2022-09-07
US10961646B2 (en) 2021-03-30
CN110791892A (zh) 2020-02-14
DE102018118937A1 (de) 2020-02-06
CA3050958A1 (en) 2020-02-03
JP7343327B2 (ja) 2023-09-12
CA3050958C (en) 2021-08-10
KR20200015404A (ko) 2020-02-12
PT3604656T (pt) 2022-11-07
CN110791892B (zh) 2022-02-18
JP2020041249A (ja) 2020-03-19
BR102019015794A2 (pt) 2020-02-27
ES2928884T3 (es) 2022-11-23
EP3604656A1 (de) 2020-02-05
US20200040501A1 (en)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4284B2 (ja) バンド材、特に繊維コードバンドまたはスチールコードバンドの切断装置
US35124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chanically producing string-tied bags
JP4889839B2 (ja) 本又は仮綴本の製造方法
KR102211008B1 (ko)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6413459B (zh) 补强膜接着装置以及补强膜接着方法
JP2009529103A5 (ko)
JPH0413207B2 (ko)
CN107224042B (zh) 拉链制造装置
JPH06205701A (ja) 生地片付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チェーンの供給装置
EP0010937B1 (en) Apparatus for knotting the mouths of flexible packagings
JP2004168548A (ja) 綴付け針によって綴じられた印刷物から印刷製品を製造する綴付け装置
US11856704B2 (en) Tape auto-loading device and tape linking method therefor
US5570648A (en) Waist band-form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5097763A1 (ja) 補強フィルム接着装置
KR101404718B1 (ko) 자수기를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
US11235941B2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binding printed textile panels, or printed textile panels with flexible material strips
JP2000190656A (ja) 折目側で糸とじされて結合された印刷シ―トから本ブロックを製造する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JP3606084B2 (ja) 電線切換装置
US6511410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packets
JP3843417B2 (ja) 包材の製造装置
TWI702920B (zh) 帶長度調整裝置
US5456193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panel assemblies
JP7328646B1 (ja) ヘアゴムの製造装置及びヘアゴムの製造方法
JPS60116394A (ja) 自動ミシン
JPS61249493A (ja) ワ−クのラベル添付三つ巻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