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473B1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473B1
KR102031473B1 KR1020177027933A KR20177027933A KR102031473B1 KR 102031473 B1 KR102031473 B1 KR 102031473B1 KR 1020177027933 A KR1020177027933 A KR 1020177027933A KR 20177027933 A KR20177027933 A KR 20177027933A KR 102031473 B1 KR102031473 B1 KR 102031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ole
toothbrush
head part
bristle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6245A (ko
Inventor
사치코 나카야마
료스케 하치스카
히로유키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6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16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wires or other anchoring means, specially for U-shaped bristle tuf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07Bristl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e.g.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4Preparing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3/00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 A46D3/04Machines for inserting or fixing bristles in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속이 식모 구멍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고, 구강 내 조작성에 우수하고, 게다가 충분한 강도를 갖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식모면(10a)에 복수의 식모 구멍(11)이 마련된 개략 판형상의 헤드부(10)를 구비하고, 쇄모의 모속(1b)을 2개로 접어, 그 사이에 끼워 넣어진 평선을 상기 식모 구멍(11)에 타입함에 의해, 상기 모속(1b)이 상기 식모 구멍(11)에 식설되어 이루어지는 칫솔로서, 이 헤드부는, 두께가 2.0 내지 4.0㎜이고, 이 헤드부의 폭방향의 최외측의 식모 구멍(11a)과 단 테두리(12)와의 최단 거리(W)가 0.4 내지 0.9㎜인 칫솔.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0년 3월 24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2010-068132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미리 핸들체의 헤드부에 마련된 식모 구멍에, 나일론이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의 쇄모(刷毛)의 모속을 평선으로 고정함에 의해 제조되어 있다. 평선을 이용하여 식모된 모속은 2개로 접혀져 있기 때문에, 식모 구멍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헤드부의 재질로서는, 비용 및 성형성의 면에서, 폴리프로필렌(PP)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칫솔로 구강 내의 구석구석, 특히 어금니의 쇄소(刷掃)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모속이 식모되는 헤드부의 두께가 얇은 편이 좋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구강 내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핸들체를 폴리아세탈 수지로 구성함과 함께 헤드부를 3 내지 4㎜로 얇게 한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7-143914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칫솔이라도,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이 충분하지않은 일이 있고, 닦이지 않는 부분이 생기는 일이 있다. 또한, 헤드부를 얇게 하면, 헤드부의 내절(耐折) 강도가 저하되는 일이 있다. 또한, 강도의 저하에 수반하여, 헤드부의 테두리부에서의 크랙 또는 백화의 발생에 의한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모속이 식모 구멍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고, 구강 내 조작성에 우수하고, 게다가 충분한 강도를 갖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제 1의 양태는, 식모면에 복수의 식모 구멍이 마련된 개략 판형상의 헤드부를 구비하고, 쇄모의 모속을 2개로 접어, 그 사이에 끼워 넣어진 평선을 상기 식모 구멍에 타입함에 의해, 상기 모속이 상기 식모 구멍에 식설(植設)되어 이루어지는 칫솔로서, 상기 헤드부는, 두께가 2.0 내지 4.0㎜이고, 상기 헤드부의 폭방향의 최외측의 식모 구멍과 단 테두리와의 최단 거리가 0.4 내지 0.9㎜인 칫솔이다.
본원 발명의 제 2의 양태는, 상기 제 1의 양태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칫솔이다.
본 발명의 칫솔은, 모속이 식모 구멍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고, 구강 내 조작성에 우수한데다가, 충분한 강도를 갖기 때문에, 헤드부 내절(耐折) 강도 저하나 외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칫솔의 한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칫솔의 헤드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
본 발명의 칫솔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 및 2에, 본 실시 형태의 칫솔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은, 헤드부(10)를 구비한 핸들체(1a)와, 헤드부(10)의 식모 구멍(11)에 식설된 모속(1b)을 갖는다.
핸들체(1a)는, 헤드부(10)와, 사용시에 파지되는 파지부(20)와, 헤드부(10)와 파지부(20)의 사이에 배치된 네크부(30)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핸들체(1a)는, 헤드부(10)와 파지부(20)와 네크부(30)가 동일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핸들체(1a)를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폴리프로필렌 수지(PP), 폴리아세탈 수지(POM),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일부를 이소프탈산으로 치환한 수지(PCT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핸들체(1a)를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적당한 강성과 인성을 겸비한 수지가 바람직하고, 구부림 탄성률이 1900MPa 이상이면서 인장 파괴 변형이 80% 이상의 수지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구부림 탄성률」이란, ISO 178에 준거하여 측정한 값이고, 「인장 파괴 변형」이란, ISO 527-1, 2에 준거하여 측정한 값이다.
상기 구부림 탄성률이 1900MPa 이상, 또한 상기 인장 파괴 변형이 80% 이상이면, 핸들체(1a)의 인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헤드부(10)를 얇게 하여도 충격에 대해 갈라지기 어려워지고, 파단면이 예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부림 탄성률 및 상기 인장 파괴 변형의 상한에는 특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 사용되는 수지라면, 구부림 탄성률은 5000MPa 이하, 및 인장 파괴 변형은 500% 이하이다.
상기의 구부림 탄성률 및 인장 파괴 변형을 용이하게 충족시킬 수 있는 점에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내약품성, 및 내열성에 우수하다. 그 때문에,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핸들체(1a)에 사용한 칫솔(1)은, 장기간 사용하여도 열화가 적고, 평선에 의해 강하게 모속(1b)을 고정하여도 갈라지기 어렵기 때문에, 보다 고품질이 된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테레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 디메틸에스테르와 1,4부탄디올을 원료로 하여 중축합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이고, 예를 들면, 폴리플라스틱스사제의 듀라넥스, 미쯔비시엔지니어링 플라스틱스사제의 노바듈린, 도레사제의 토레콘 등을 들 수 있다.
헤드부(10)는, 략 평판형상의 부분이고, 식모면(10a)에 마련된 복수의 식모 구멍(11)에 모속(1b)이 식설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부(10)의 식모면(10a)은, 개략 사각형상으로, 폭방향의 양단 테두리(12)가 서로 평행하면서 핸들체(1a)의 긴변 방향에 따라, 최선단측의 단 테두리(13)가 곡선형상으로 되어 있다.
헤드부(10)의 두께(T)는 2.0 내지 4.0㎜이고, 2.5 내지 3.5㎜인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10)의 두께(T)가 2㎜ 미만이면, 헤드부 내절 강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칫솔질 중에 헤드부(10)가 절손할 우려가 있는데다가, 평선으로 모속(1b)을 지지하는데 충분한 식모 구멍(11)의 깊이를 확보할 수가 없게 된다. 한편, 헤드부(10)의 두께(T)가 4㎜를 초과하면, 구강 내 조작성이 불충분하게 된다.
헤드부(10)의, 헤드부(10)의 폭방향(긴변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의 최외측의 식모 구멍(11a)과 단 테두리(12)와의 최단 거리(W)(이하, 이 거리(W)인 것을 「테두리폭(W)」이라고 한다.)는 0.4 내지 0.9㎜이고, 0.6 내지 0.8㎜인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10)의 테두리폭(W)이 0.4㎜ 미만이면, 헤드부 내절 강도가 부족하고, 또한, 식모에 의해 생기는 응력 때문에 헤드부(10)의 테두리부가 변형하는 일이 있다. 테두리폭(W)이 0.9㎜를 초과하면, 헤드부(10)의 두께(T)에 대해 테두리폭(W)이 넓게 되어, 가장 안쪽 어금니 등을 닦을 때에 잇몸이나 턱 점막에 헤드부(10)가 접촉하여 조작성이 저하되고, 또한, 닦는 감이 좋지 않게 된다.
또한, 헤드부(10)에서는, 헤드부(10)의 긴변 방향의 최선단측의 식모 구멍(11b)과 선단측의 단 테두리(13)와의 최단 거리도 0.4 내지 0.9㎜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모 구멍(11b)와 선단측의 단 테두리(13)와의 최단 거리가 0.4㎜ 미만이면, 헤드부 내절 강도가 부족할 우려가 있고, 0.9㎜를 초과하면, 구강 내 조작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파지부(2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봉형상의 부분이다.
파지부(20)에서는, 파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질 수지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피복되어도 좋다.
상기 연질 수지로서는, 경도(JISK6253 경도 시험, 시험 조건 JIS A)가 5 내지 100의 연질 수지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60의 연질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연질 수지의 경도가 5 이상이면, 충분한 연질성을 가져 파지성이 보다 향상된다.
상기 연질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폴리스티렌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1,2-폴리부타디엔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에틸렌-아세트산 비닐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폴리 염화 비닐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천연고무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불소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트랜스-폴리이소프렌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핸들체(1a)를 구성하는 수지로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용성의 점에서, 연질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로서는, 예를 들면, 도레·듀폰주식회사제의 하이토렐이나 미쯔비시화학주식회사제의 푸리마로이 등을 들 수 있다.
네크부(30)는, 헤드부(10)와 파지부(20)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네크부(30)의 폭은, 헤드부(10)의 폭보다 작다. 네크부(30)의 폭이 헤드부(10)의 폭보다 작음으로서, 헤드부(10)를 구강 내에 삽입하기 쉬워진다.
모속(1b)는, 2개로 접혀진 쇄모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그 2개로 접혀진 쇄모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 평선이 식모 구멍(11)에 타입됨에 의해 헤드부(1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쇄모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예를 들면, 나일론6-12, 나일론6-10, 12나일론 등), 폴리에스테르(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폴리프로필렌, 일래스토머, 천연 재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재질이 조합되어도 좋다.
상기 쇄모의 횡단면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형상, 3각형상, 4각형상, 6각형상, 꽃잎형상, 원호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형상을 조합시켜도 좋다.
또한, 쇄모는 미리 웨이브형상, 트위스트형상, 지그재그형상 등으로 가공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쇄모의 외경은 3 내지 15mil(즉, 0.076 내지 0.381㎜)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10mil(즉, 0.127 내지 0.25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각 쇄모는, 상기 쇄모의 선단에 통상 형성되는 모선(毛先) 둥근부를 제외하고, 개략 동일 지름의 통상모 라도 좋고, 선단을 향함에 따라 외경이 점차로 가늘어지는 테이퍼모 라도 좋다. 이들 통상모와 테이퍼모를 혼모(混毛) 하여도 좋고, 식모 구멍(11)마다 바꾸어도 좋다. 테이퍼모는, 좁은 간극에의 모선의 진입성이 좋고, 소프트하게 닿는 느낌을 실현할 수 있고, 잇몸부(齒頸部)의 쇄소나 마사지에 보다 알맞다.
상기 테이퍼모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6-14192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같은 양단이 테이퍼 가공된 테이퍼모, 일본 특개소57-5022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같은 편단(片端) 테이퍼 가공된 테이퍼모, 일본 특개2002-5883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같은 1개의 모에 다수의 선예부가 형성된 테이퍼모, 일본 특개평 9-32282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해도 구조를 갖는 테이퍼모, 일본 특개2001-17854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심초 구조의 테이퍼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쇄모의 길이는 7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고, 8 내지 1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쇄모의 길이는 전부가 동일하여도 좋고, 동일하지 않아도 좋다.
전 모속(1b)의 선단에 의해 형성된 쇄소면은, 예를 들면, 식모면(10a)에 대해 평행한 평면 ; 식모면(10a)에 대해 경사한 평면 ; 긴변 방향에 따라 식모면(10a)에 대해 점차 이간 또는 점차 근접하는 곡면, 볼록면, 오목면, 또는 파상(波狀)의 요철면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쇄소의 하기 쉬운 점에서는, 선단부터 후단을 향함에 에 따라 식모면(10a)에 점차 근접하도록 경사한 평면 또는 곡면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선의 길이는, 쇄모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헤드부(10)에 균열 및 백화를 발생시키지 않는 길이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식모 구멍(11)보다도 0.3 내지 0.5㎜ 길다란 평선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선의 높이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충분한 타입 강도를 확보하면서, 식모 적성(適性)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0.9 내지 2.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찬가지 이유 때문에 평선의 두께는 0.20 내지 0.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선이 타입 각도는 적절히 선택되고, 균열 및 백화의 발생을 피하기 위해서는, 핸들체(1a)의 긴변 방향에 대해 5 내지 8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5 내지 3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평선이 타입하고 각도는 모든 평선에서 동일하여도 좋고, 달라도 좋다.
상기 평선의 재질로서는, 금속, 플라스틱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강도, 생산성, 및 비용의 점에서, 금속이 바람직하고, 황동 또는 알루미늄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평선의 표면에는, 식모 구멍(11)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하기 위해, 홈이나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식모 구멍(11)는, 원형상이고, 헤드부(10)의 식모면(10a)에 격자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식모 구멍(11)의 깊이 방향의 형상에 관해서는, 깊이 방향에 대해 형상이 변화하지 않는 원주형상이라도 좋고, 하방을 향함에 따라 구멍 지름이 작아지즌 것 같은 테이퍼형상이라도 좋고, 구멍의 도중에 단차가 형성된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단차와 테이퍼가 각각 형성된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식모 구멍(11)의 저부에 0.3㎜ 정도의 모따기 가공이 행하여저 있어도 좋다.
식모 구멍(11)의 개구부의 구멍 지름은 1.0 내지 2.0㎜(즉, 면적 0.75 내지 3.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멍 지름에 모속(1b)을 식모함에 의해, 잇몸부에의 닿는 기분이 좋아지고, 치간부 등 미세한 간극에의 모선의 삽입 실감이 높은 칫솔이 된다.
이상 설명한 칫솔(1)에서는, 헤드부(10)의 두께(T)가 2.0㎜ 이상이며, 또한 테두리폭(W)이 0.4㎜ 이상이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그 결과, 헤드부 내절 강도 저하나 외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칫솔(1)에서는, 헤드부(10)의 두께(T)가 4.0㎜ 이하이고, 테두리폭(W)이 0.9㎜ 이하이기 때문에, 구강(口腔) 내로의 헤드부(10)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구강 내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칫솔(1)에서는, 모속(1b)이 평선에 의해 식모 구멍(11)에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빠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헤드부(10)와 파지부(20)와 네크부(30)는 동일한 수지로 구성되지 않아도 좋다.
또한, 헤드부(10)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전체적으로 동일한 두께로 상기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네크부(30)측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헤드부(10)의 길이의 1/3 이하가 두껍게 되어 있어도 좋다. 헤드부(10)의 네크부(30)측을 두껍게 함에 의해, 네크부(30)와의 접속을 매끈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칫솔에서는, 네크부(30)가 생략되어 있어도 좋다. 즉, 핸들체가 헤드부(10)와 파지부(20)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헤드부(10)는, 식모면(10a)이 개략 사각형상이 아니라도 좋고, 예를 들면, 원형상, 타원형상 등이라도 좋다.
식모 구멍(11)의 개구부의 형상은, 원형상 이외에, 예를 들면, 원형, 3각형, 4각형 등의 다각형이나, 그 밖의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식모 구멍(11)의 전부를 동일한 개구부 형상으로 하여도 좋고, 2 이상의 개구부 형상을 조합시켜도 좋다.
식모 구멍(11)의 배치 패턴은 지그재그상이라도 좋고, 헤드부(10)의 폭방향의 양단측의 단부에, 헤드부(10)의 중앙측으로 만곡한 원호상의 식모 구멍군을 형성하는 패턴이라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은 원호상의 식모 구멍군을 갖는 경우에는, 모속(1b)이 잇몸부에 밀착하기 쉽다. 치면의 쇄소 실감을 높이는 점에서, 원호상의 식모 구멍군에 식모된 모속(1b)이, 상기 식모 구멍군 이외의 식모 구멍에 식모된 모속(1b)보다도 길가란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평균 쇄모 길이의 차가 0.3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모속(1b) 자체를 원호상으로 할 수도 있지만, 그 경우에도, 헤드부(10)의 폭방향의 양단측의 단부에 마련하고, 원호상의 모속(1b)을 그 밖의 모속(1b)보다도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의 예에서, 하기한 수지를 사용하였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 미쯔비시엔지니어링 플라스틱스사제 노바듈린5010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일부를 이소프탈산으로 치환한 수지(PCTA) : 이스트만·케미컬사제 BR203
폴리프로필렌(PP) : 프라임폴리머사제 J700GP
폴리아세탈(POM) : 아사히가세이케미칼즈사제 HC490
또한, 사용한 수지의 구부림 탄성률을, ISO 178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인장 파괴 변형을, ISO 527-1, 2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실시예 1 내지 8, 비교예 1 내지 3)
표 1에 표시하는 수지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하고, 식모 구멍의 구멍 지름이 1.55㎜, 및 식모 구멍 사이의 거리가 0.725㎜이고, 표 1에 표시하는 두께(W), 폭(L), 및 테두리폭(W)의 헤드부와 파지부와 네크부를 구비한 핸들체를 제작하였다.
뒤이어, 나일론으로 이루어지는 쇄모(용모 : 8mil, 길이 : 9.0㎜, 평절(平切))의 모속을 2개로 접어, 그 되접어 꺾은 부분에 평선(폭 : 1.3㎜, 길이 : 2.1㎜, 두께 : 0.25㎜)을 끼우고, 헤드부에 형성한 식모 구멍에 삽입하고, 모속을 식설하였다. 이에 의해, 칫솔을 얻었다.
얻어진 각 칫솔의 구강 내 조작성, 헤드부 내절 강도, 모속 지지 강도 및 외관을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1) 구강 내 조작성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칫솔을 10인의 피험자가 실제로 사용하고, 구강 내에서의 칫솔의 조작성에 관해 이하의 기준으로 점수를 붙였다. 그리고, 10인의 평균치에 의해 구강 내 조작성을 평가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구강 내 조작성에 우수하다.
[점수 기준]
7점 : 매우 좋다.
6점 : 꽤 좋다.
5점 : 약간 좋다.
4점 : 어느쪽이라고 말할 수가 없다.
3점 : 약간 좋지 않다.
2점 : 꽤 좋지 않다.
1점 : 매우 좋지 않다.
[평가 기준]
◎ : 평균치 5.5점 이상
○ : 평균치 5.0점 이상 5.5점 미만
△ : 평균치 4.0점 이상 5.0점 미만
× : 평균치 4.0점 미만
(2) 헤드부 내절 강도
칫솔의 쇄모의 식모 구멍으로부터 나와 있는 부분을 절단하고, 헤드부의 식모면측을 평활하게 하였다. 그 후, 주식회사 동양정밀기계 제작소사제 아이조트 충격 시험기에 고정하고, 식모면측부터 해머에 의해 충격을 주어, 헤드부가 파단한 때의 충격 에너지를 측정(측정수 10)하고, 평균치를 구하였다. 그리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평균치 0.3J 이상
△ : 평균치 0.15J 이상 0.3J 미만
× : 평균치 0.15J 미만
(3) 모속 지지 강도
1구멍중의 전 쇄모를 전용 기구에 의해 파지하고, 시마즈제작소제 오토 그래프를 이용하여 식모 구멍으로부터 모속이 빠지기 까지의 최대 인장 응력(N)을 측정(인장 속도 20㎜/분간)(n=20)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모속 지지 강도가 높을수록, 모속이 빠지기 어렵다.
[평가 기준]
○ : 평균치 20N 이상
△ : 평균치 10N 이상 20N 미만
× : 평균치 10N 미만
(4) 외관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칫솔을 10개씩 제작하고, 헤드부의 테두리부 변형, 크랙, 백화 및 휘여짐의 발생을 육안에 의해 하기 평가 기준을 기초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변형·균열·백화·휘여짐의 발생률 : 0%
△ : 변형·균열·백화·휘여짐의 발생률 : 20% 미만
× : 변형·균열·백화·휘여짐의 발생률 : 20% 이상
Figure 112017095719171-pat00001
헤드부의 두께(T)가 2.0 내지 4.0㎜이면서 테두리폭(W)이 0.4 내지 0.9㎜인 실시예 1 내지 8의 칫솔에서는, 구강 내 조작성이 우수하였다. 그 중에서도, 핸들체의 수지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한 실시예 1 내지 5의 칫솔에서는, 외관에 우수하고, 충분한 헤드부 내절 강도를 갖고 있다. 또한, 핸들체의 수지를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한 실시예 7 이외의 실시예 1 내지 6 및 8의 칫솔에서는, 높은 모속 지지 강도를 갖고 있다.
이것에 대해, 헤드부의 선폭(W)가 0.4㎜ 미만이었던 비교예 1의 칫솔은, 헤드부 내절 강도가 낮고, 외관 불량도 나타났다.
헤드부의 두께(T)가 4.0㎜를 초과하고 있던 비교예 2의 칫솔, 및 헤드부의 선폭(W)이 0.9를 초과하고 있던 비교예 3의 칫솔은, 구강 내 조작성이 낮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모속이 식모 구멍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고, 구강 내 조작성에 우수하고, 게다가 충분한 강도를 갖는 칫솔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상 극히 유용하다.
1 : 칫솔
1a : 핸들체
1b : 모속
10 : 헤드부
10a : 식모면
11, 11a, 11b : 식모 구멍
12, 13 : 단 테두리
20 : 파지부
30 : 네크부

Claims (5)

  1. 식모면에 복수의 식모 구멍이 마련된 개략 판형상의 헤드부를 구비하고, 쇄모의 모속을 2개로 접어, 그 사이에 끼워 넣어진 평선을 상기 식모 구멍에 타입(打入)함에 의해, 상기 모속이 상기 식모 구멍에 식설되어 이루어지는 칫솔로서,
    상기 헤드부는,
    구부림 탄성률이 1900MPa 이상이고, 또한 인장 파괴 변형이 80% 이상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의해 구성되고,
    하기 헤드부의 내절 강도의 측정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내절 강도가 0.15J 이상이고,
    하기 모속 지지 강도의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모속 지지 강도가 20N 이상이고,
    두께가 2.5 내지 3.5㎜이고,
    상기 헤드부의 폭방향의 최외측의 식모 구멍과 단 테두리와의 최단 거리가 0.6 내지 0.9㎜이고,
    상기 평선의 높이가 0.9 내지 1.3㎜이고,
    상기 평선의 길이가, 상기 식모 구멍의 개구부의 구명 지름보다도 0.3 내지 0.5㎜길고,
    상기 평선의 두께가 0.20 내지 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부의 내절 강도의 측정 방법]
    칫솔의 쇄모의 식모 구멍으로부터 나와 있는 부분을 절단하고, 헤드부의 식모면측을 평활하게 하였다. 그 후, 아이조트 충격 시험기에 고정하고, 식모면측부터 해머에 의해 충격을 주어, 헤드부가 파단한 때의 충격 에너지를 측정한다. 그 충격 에너지를 내절 강도로 한다.
    [모속 지지 강도의 측정 방법]
    1구멍중의 전 쇄모를 전용 기구에 의해 파지하고, 오토 그래프를 이용하여 식모 구멍으로부터 모속이 빠지기까지의 최대 인장 응력(N)을 측정(인장 속도 20㎜/분간)한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선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는, 홈 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선의 타입 각도가, 상기 헤드부를 구비하는 핸들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면시(平面視)로, 5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 1항, 제 3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 구멍의 개구부의 구멍 지름이, 1.0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177027933A 2010-03-24 2011-03-18 칫솔 KR102031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68132 2010-03-24
JP2010068132A JP5530776B2 (ja) 2010-03-24 2010-03-24 歯ブラシ
PCT/JP2011/056644 WO2011118538A1 (ja) 2010-03-24 2011-03-18 歯ブラシ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423A Division KR20130004299A (ko) 2010-03-24 2011-03-18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245A KR20170116245A (ko) 2017-10-18
KR102031473B1 true KR102031473B1 (ko) 2019-10-11

Family

ID=446730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933A KR102031473B1 (ko) 2010-03-24 2011-03-18 칫솔
KR1020127024423A KR20130004299A (ko) 2010-03-24 2011-03-18 칫솔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423A KR20130004299A (ko) 2010-03-24 2011-03-18 칫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530776B2 (ko)
KR (2) KR102031473B1 (ko)
CN (1) CN102821648B (ko)
MY (1) MY183865A (ko)
TW (1) TWI520698B (ko)
WO (1) WO20111185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0802B2 (ja) * 2013-10-02 2017-07-26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用のハンドル体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歯ブラシ
JP6943541B2 (ja) * 2014-06-27 2021-10-06 小林製薬株式会社 歯ブラシ
ES2646278T3 (es) * 2015-02-19 2017-1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abezal para un utensilio de cuidado bucal y utensilio de cuidado bucal
JP6598352B2 (ja) * 2015-03-31 2019-10-30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SG11201807607XA (en) * 2016-03-09 2018-10-30 Lion Corp Toothbrush
CN108778049B (zh) 2016-03-09 2020-03-24 狮王株式会社 牙刷
KR102384895B1 (ko) 2016-03-09 2022-04-11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JP2017176224A (ja) * 2016-03-28 2017-10-05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SG10202104233SA (en) 2016-10-28 2021-06-29 Lion Corp Toothbrush
CN109890249B (zh) 2016-10-28 2021-05-11 狮王株式会社 牙刷
KR20200051640A (ko) * 2017-09-13 2020-05-13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KR102059506B1 (ko) 2017-11-03 2019-12-26 최만오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
SG11202004600XA (en) * 2017-11-30 2020-06-29 Lion Corp Replacement brush for electric toothbrush, and electric toothbrush
KR20190137620A (ko) 2018-06-02 2019-12-11 장주연 간편 칫솔
KR20200090421A (ko) 2019-01-21 2020-07-29 이지영 치약 장착 형 칫솔
US20220395082A1 (en) * 2019-11-04 2022-12-1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5306A (ja) * 1984-04-11 1985-10-28 ライオン株式会社 歯刷子
JPH0517929Y2 (ko) * 1987-02-16 1993-05-13
JP3387591B2 (ja) * 1993-11-22 2003-03-17 ジョンソン・エンド・ジョンソ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2004121823A (ja) * 2002-07-31 2004-04-22 Lion Corp 歯ブラシ
WO2005039355A1 (ja) * 2003-10-29 2005-05-06 Lion Corporation 歯ブラシ
WO2005060788A1 (ja) * 2003-12-24 2005-07-07 Lion Corporation 歯ブラシ
JP3129537U (ja) * 2006-09-19 2007-03-01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5178529B2 (ja) * 2006-12-28 2013-04-10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21648B (zh) 2015-06-10
CN102821648A (zh) 2012-12-12
TWI520698B (zh) 2016-02-11
WO2011118538A1 (ja) 2011-09-29
MY183865A (en) 2021-03-17
KR20130004299A (ko) 2013-01-09
JP2011200296A (ja) 2011-10-13
TW201143675A (en) 2011-12-16
KR20170116245A (ko) 2017-10-18
JP5530776B2 (ja)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473B1 (ko) 칫솔
JP5427486B2 (ja) 歯ブラシ
WO2016158526A1 (ja) 歯ブラシ
JP6915234B2 (ja) 歯間清掃具
KR102556409B1 (ko) 칫솔
JP6385027B1 (ja) 歯ブラシ
JPWO2008081697A1 (ja) 歯ブラシ
KR20210087428A (ko) 칫솔
JP5851115B2 (ja) 歯ブラシ
JP2022008391A (ja) 歯ブラシ
KR102319783B1 (ko) 칫솔
JP3192545U (ja) ワンタフト付歯ブラシ
TW202216007A (zh) 牙刷
WO2018135150A1 (ja) 歯ブラシ
JP5174510B2 (ja) 歯間ブラシ
JP3129537U (ja) 歯ブラシ
WO2021132398A1 (ja) 歯ブラシ
WO2021131553A1 (ja) 歯ブラシ
WO2019230845A1 (ja) 歯ブラシ
JP6452220B2 (ja) 歯ブラシ
WO2011048949A1 (ja) 歯ブラシ
JP5412233B2 (ja) 歯ブラシ
WO2019230838A1 (ja) 歯ブラシ
JP5412234B2 (ja) 歯ブラシ
JP2024052103A (ja) 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