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7428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7428A
KR20210087428A KR1020217000918A KR20217000918A KR20210087428A KR 20210087428 A KR20210087428 A KR 20210087428A KR 1020217000918 A KR1020217000918 A KR 1020217000918A KR 20217000918 A KR20217000918 A KR 20217000918A KR 20210087428 A KR20210087428 A KR 20210087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handle
brush body
inflection point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0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츠구 니시노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061181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1008742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87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4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부를 얇게 하고 넥부를 가늘게 한 경우에도, 브러시 본체의 전체에서 넥부의 휨을 억제할 수 있고, 핸들부의 우수한 파지성과 양호한 구강내의 조작성을 양립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핸들부(3)와, 핸들부(3)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된 넥부(4)와, 넥부(4)의 선단에 설치된 헤드부(5)를 포함하는 브러시 본체(2)를 구비하고, 헤드부(5)의 식모면(5a)에 복수의 모속이 심어 설치된 칫솔(1)로서, 브러시 본체(2)가 헤드부(5)로부터 핸들부(3)를 향해서 넥부(4)의 두께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을 갖고, 또한 헤드부(5)에 있어서의 두께(D1)가 2∼4㎜이고, 넥부(4)에 있어서의 최소 두께(D2)가 3∼4.5㎜이고, 핸들부(3)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D3)가 13∼16㎜이다.

Description

칫솔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8년 11월 8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 출원 2018-210804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예를 들면, 충치나 치주병의 예방에는 칫솔을 사용한 브러싱에 의한 구강내의 플라크 제거가 중요하다. 또한, 플라크의 제거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칫솔의 헤드부를 얇고, 넥부를 가늘게 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통상의 칫솔에서는 닿기 어려운 어금니의 안쪽(어금니의 인후측)까지 용모를 닿게 할 수 있다.
그런데, 폴리아세탈 수지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같은 강도가 높은 수지로 헤드부를 구성함으로써, 이 헤드부를 얇게 하고 넥부도 가늘게 한 경우에도, 헤드부의 충분한 식모 강도 및 넥부의 내절 강도가 얻어지는 칫솔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2를 참조). 또한, 브러시 본체가 강도가 높은 수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브러시 본체를 정면에서 볼 때(식모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및 측면에서 볼 때(식모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의 양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헤드부의 선단으로부터 핸들부의 후단까지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지보다 강도가 낮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구성한 칫솔의 경우,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하면서, 헤드부를 얇게 하고 넥부도 가늘게 하면, 치마시에 넥부가 휘어버리고 식모부가 헤드부의 배면측(즉, 치아나 잇몸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변위해 버린다. 그 결과, 핸들부에 가해진 힘이 식모부에 전달되기 어려워져, 핸들부의 조작성이 저하하는 과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브러시 본체를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만곡시킨 형상(S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헤드부로부터 넥부까지의 사이(브러시 본체의 일부)에서 넥부의 휨을 상쇄한 칫솔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을 참조).
그런데, 최근에는 악력이 약한 등의 이유로 가는 핸들을 파지하는 것이 곤란한 사용자를 위해서, 손바닥 전체로 파지하기 쉽고 가벼운 힘으로 팜 그립이 가능하도록, 핸들부를 굵게 한 칫솔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를 참조). 이러한 칫솔에서는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헤드부의 선단으로부터 핸들부의 후단까지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함으로써, 치마시에 정확하게 헤드부를 조작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를 참조).
그러나, 이러한 칫솔에서는 구강내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핸들부의 굵은 스트레이트 형상을 유지한 채, 단순하게 헤드부를 얇게 해서 넥부를 가늘게 하면, 핸들부와 넥부의 강성의 차가 커지고, 사용시의 응력이 핸들부와 넥부의 경계 영역에 집중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넥부가 너무 휘어서 배면측(치아나 잇몸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핸들부에 가해진 힘이 식모부에 전달되기 어려워져, 구강내의 조작성이 저하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특히, 굵은 핸들부를 파지했을 때는 핸들부와 손바닥 사이의 간격이 적어짐으로써 손바닥 전체로 핸들부를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즉, 가벼운 힘으로 팜 그립으로 파지할 수 있는 핸들 형상이기 때문에), 핸들부가 가는 경우보다, 치마시에 헤드부에 부하를 가하기 쉬워져, 상술한 응력 집중의 과제가 현저해진다. 즉, 이러한 과제는 얇은 헤드부 및 가는 넥부에 의한 구강내의 조작성과, 파지성이 우수한 스트레이트 형상의 굵은 핸들부를 양립시킨 칫솔에 특유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2011-485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3-118944호 공보 국제 공개 제 2017/155039호 일본 특허 공개 2006-202호 공보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이러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며, 헤드부를 얇게 하고 넥부를 가늘게 한 경우에도, 브러시 본체의 전체에서 넥부의 휨을 억제할 수 있고, 핸들부의 우수한 파지성과 양호한 구강내의 조작성을 양립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즉, 청구항 1에 의한 발명의 양태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된 넥부와, 상기 넥부의 선단에 설치된 헤드부를 포함하는 브러시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복수의 모속이 심어 설치된 칫솔로서, 상기 브러시 본체가,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핸들부를 향해서 상기 넥부의 두께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고, 또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두께(D1)가 2∼4㎜이고, 상기 넥부에 있어서의 최소 두께(D2)가 3∼4.5㎜이고, 상기 핸들부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D3)가 13∼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이다.
또한, 청구항 2에 의한 발명의 양태는 상기 브러시 본체를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식모면에 연속한 제 1 대략 직선 영역(S1)과, 상기 제 1 대략 직선 영역(S1)으로부터 제 1 변곡점(P1)을 통해서 상기 브러쉬 본체의 식모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제 1 곡선 영역(E1)과, 상기 제 1 곡선 영역(E1)으로부터 제 2 변곡점을 통해서 상기 브러시 본체의 배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제 2 곡선 영역(E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칫솔이다.
또한, 청구항 3에 의한 발명의 양태는 상기 제 1 곡선 영역(E1)의 곡률 반경(R1)이 상기 제 2 곡선 영역(E2)의 곡률 반경(R2)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칫솔이다.
또한, 청구항 4에 의한 발명의 양태는 상기 제 1 변곡점(P1)과 상기 제 2 변곡점(P2) 사이의 거리가 10∼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칫솔이다.
또한, 청구항 5에 의한 발명의 양태는 상기 제 2 변곡점(P2)과 상기 최대 두께(D3)로 되는 위치 사이의 거리가 45∼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 기재된 칫솔이다.
또한, 청구항 6에 의한 발명의 양태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넥부의 경계(O)와, 상기 최대 두께(D3)로 되는 위치 사이의 거리가 7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칫솔이다.
또한, 청구항 7에 의한 발명의 양태는 상기 브러시 본체를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헤드부의 배면에 연속한 제 2 대략 직선 영역(S2)과, 상기 제 2 대략 직선 영역(S2)으로부터 제 3 변곡점(P3)을 통해서 만곡하는 제 3 곡선 영역(E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칫솔이다.
또한, 청구항 8에 의한 발명의 양태는 상기 제 3 변곡점(P3)이 상기 제 1 변곡점(P1)보다 상기 핸들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7에 기재된 칫솔이다.
또한, 청구항 9에 의한 발명의 양태는 상기 제 3 곡선 영역(E3)의 곡률 반경(R3)이 상기 제 1 곡선 영역(E1)의 곡률 반경(R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7 또는 8에 기재된 칫솔이다.
또한, 청구항 10에 의한 발명의 양태는 상기 제 3 곡선 영역(E3)이 상기 브러시 본체의 식모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7∼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칫솔이다.
또한, 청구항 11에 의한 발명의 양태는 상기 브러시 본체를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식모면의 연장 라인이 상기 핸들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상기 브러시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칫솔이다.
또한, 청구항 12에 의한 발명의 양태는 상기 브러시 본체를 구성하는 수지의 굽힘 탄성률이 1000㎫ 이상, 28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칫솔이다.
또한, 청구항 13에 의한 발명의 양태는 상기 브러시 본체를 구성하는 수지가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칫솔이다.
또한, 청구항 14에 의한 발명의 양태는 상기 핸들부의 표면을 피복하는 피복 재를 가지고, 상기 피복재가 상기 브러시 본체를 구성하는 수지보다 연질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칫솔이다.
또한, 청구항 15에 의한 발명의 양태는 상기 피복재가 엘라스토머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4에 기재된 칫솔이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헤드부를 얇게 하고 넥부를 가늘게 한 경우에도, 브러시 본체의 전체에서 넥부의 휨을 억제할 수 있고, 핸들부의 우수한 파지성과 양호한 구강내의 조작성을 양립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칫솔을 식모면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 중에 나타내는 선분 A-A에 의한 칫솔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중에 나타내는 선분 B-B에 의한 칫솔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중에 나타내는 선분 C-C에 의한 칫솔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은 특징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편의상 특징이 되는 부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경우가 있고, 각 구성 요소의 치수 비율 등이 실제와 같다고 할 수 없는 것으로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모속의 도시를 생략하고, 모속이 심어 설치되는 식모구멍만을 도시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후술하는 헤드부(5)의 식모면(5a)이 설치된 측을 칫솔(1)의 정면측으로 하고, 헤드부(5)의 식모면(5a)이 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을 칫솔(1)의 배면측으로 한다. 추가해서, 식모면(5a)와 평행 또한 브러시 본체(2)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칫솔(1)의 폭방향으로 하고, 식모면(5a)에 직교하는 방향을 칫솔(1)의 두께방향(측면측)으로 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1∼도 5에 나타내는 칫솔(1)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칫솔(1)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칫솔(1)을 식모면(5a)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 중에 나타내는 선분 A-A에 의한 칫솔(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중에 나타내는 선분 B-B에 의한 칫솔(1)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중에 나타내는 선분 C-C에 의한 칫솔(1)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칫솔(1)은 전체로서 장척 형상으로 형성된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브러시 본체(2)를 구비하고 있다.
브러시 본체(2)는 핸들부(3)와, 핸들부(3)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된 넥부(4)와, 넥부(4)의 선단에 설치된 헤드부(5)를 가지고 있다. 칫솔(1)에서는 헤드부(5)의 식모면(5a)에 심어 설치된 복수의 모속(도시 생략)에 의해 구강내를 청소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브러시 본체(2)를 구성하는 수지에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수지나, 폴리아세탈(POM)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응력 분산성과 강도면에서 밸런스가 좋은 PP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브러시 본체(2)를 구성하는 수지의 굽힘 탄성률(JIS K 7171)은 1000∼28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0∼25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0∼2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헤드부)
헤드부(5)는 복수의 모속에 의해 구강내를 쇄소하는 부분이며,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함과 아울러, 각 부가 둥그스름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헤드부(5)의 식모면(5a)과, 그것과는 반대측의 배면은 서로 평탄한 면을 형성하고 있다.
헤드부(5)는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4개의 정부가 곡선으로 모따기된 대략 사각형의 평판상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헤드부(5)와 넥부(4)의 경계(O)는 헤드부(5)의 평면으로 볼 때 형상에 있어서의, 넥부(4)보다 모따기를 형성하는 곡선의 종점, 즉 모따기를 형성하는 곡선의 휨 방향이 변화하는 위치이다. 따라서, 헤드부(5)와 넥부(4)의 경계(O)는 평면으로 볼 때의 헤드부(5)에 있어서의 넥부(4)보다 모따기 부분의 폭이 좁아지는 양쪽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곡선 또는 직선으로부터, 폭이 넓어지는 곡선 또는 직선, 또는 폭이 동일한 직선으로 변화하는 위치이다.
또한, 헤드부(5)는 구강내를 쇄소하기 쉬운 형상이나 크기이면 좋고, 그 형상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그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서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헤드부(5)는 그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서 점차 두께가 얇아지는 테이퍼 형상이어도 좋고, 헤드부(5)의 배면측의 중앙부가 솟아오른 둥그스름한 형상이어도 좋다.
헤드부(5)의 식모면(5a)에는 동일 직경의 식모구멍(6)이 격자 형상으로 복수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모속은 복수개의 솔(필라멘트)을 묶어 반으로 접고, 그 사이에 평선이라고 불리는 금속제의 고정구(도시되지 않음)를 끼워 식모구멍(6)에 박아 넣음으로써, 각 식모구멍(6)에 심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모속의 도시를 생략하고, 식모구멍(6)만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식모구멍(6)은 격자 형상으로 복수 나란히 배치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복수 나란히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식모구멍(6)의 내경은 식모되는 모속의 개수와 상관이 있으므로, 모속의 경도나 사용감에 영향을 주지만, 식모할 때에 사용하는 모속의 굵기나 털 길이에 의해 사용감은 어느 정도 조정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1.0∼3.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모속은 그 솔의 재질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예: 6-12나일론, 6-10나일론), 폴리에스테르(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예: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예: 올레핀계, 스티렌계) 등의 합성 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수지 재료를 복수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고, 예를 들면 심초 구조 등과 같이 심부와 초부에서 상이한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솔의 횡단면 형상은 통상은 원형이지만, 그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별형, 세잎 클로버형, 네잎 클로버형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모속의 털 길이는 헤드부(5)의 식모면(5a)으로부터, 성인용으로 8㎜∼13㎜, 아이용으로 6㎜∼9㎜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솔의 굵기(최큰 직경)는 구강내의 사용성이나 사용감의 점에서, 0.12㎜∼0.26㎜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감이나, 쇄소감, 청소 효과, 내구성 등 고려하여, 굵기가 상이한 복수개의 솔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모속의 식모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솔의 모속을 반으로 접고, 그 사이에 평선을 끼워 식모구멍(6)에 심어 설치하는 평선 식모법 이외에도, 모속의 하단을 헤드부(5)가 되는 용융 수지 중에 압입하여 고정하는 열융착법이나, 모속의 하단을 가열하여 용융괴를 형성한 후에, 금형의 캐비티 내에 용융 수지를 충전해서 헤드부(5)와 일체로 성형하는 인몰드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헤드부(5)에 있어서의 두께(D1)는 2∼4㎜인 것이 바람직하고, 2.5∼3.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부(5)와 넥부(4)의 경계(O)로부터 헤드부(5)의 선단측을 향해서 점차 두께가 얇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경우, 두께(D1)는 헤드부(5)의 전체의 두께의 평균값으로 정의한다.
이에 따라, 헤드부(5)의 두께를 얇게 하여 구강내에 있어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어금니의 안쪽(어금니의 인후측)까지 모속(솔)을 닿게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넥부(4)의 최소 두께(D2)와 헤드부(5)의 두께(D1)의 관계는 구강내 삽입성의 점에서 D1≤D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부(5)의 길이는 구강내의 삽입성의 점에서, 1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5)의 폭(W1)은 너무 크면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이 저하하고, 너무 작으면 식모되는 모속의 수가 너무 적어져 청소력이 손상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5∼16㎜인 것이 바람직하다.
(넥부)
넥부(4)는 핸들부(3)와 헤드부(5)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면에서 볼 때 및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넥부(4)와 핸들부(3)의 외형 형상은 경계(O)로부터 핸들부(3)측을 향해서 대략 직선 또는 완만한 곡선이 복수 연결된 형상이다. 또한, 넥부(4)와 핸들부(3)의 경계가 불명확한 형상이지만, 구강내 삽입성의 점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넥부(4)의 길이는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경계(O)를 기점으로 해서 핸들부(3)측 방향으로 50㎜ 이내로 정의한다.
넥부(4)의 최소 두께(D2)를 길이방향(넥부(4)로부터 핸들부(3)의 후단측)으로 일정한 길이로 유지하는 경우, 이 일정한 길이로 유지하는 영역은 경계(O)로부터 핸들부(3)측으로 25㎜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2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넥부(4)의 최소 두께(D2)는 3∼4.5㎜인 것이 바람직하고, 3.5∼4.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측면에서 볼 때에 헤드부(5)로부터 핸들부(3)를 향해서 넥부(4)의 두께를 연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고, 구강내에 삽입했을 때에 입술의 벌어짐이 커지지 않고, 구강내에 있어서의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추가해서, 치마시에 넥부(4)에 가해지는 응력 집중의 위치가 헤드부(5)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핸들부(3) 방향으로 응력을 분산시키는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넥부(4)의 휨 과다를 억제할 수 있다.
넥부(4)의 최소폭(W2)을 길이방향(넥부(4)로부터 핸들부(3)의 후단측에 일정한 길이로 유지하는 경우, 이 일정 길이로 유지하는 영역은 경계(O)로부터 핸들부(3)측에 25㎜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2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넥부(4)의 최소폭(W2)은 3∼4.5㎜인 것이 바람직하고, 3.5∼4.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구강내에 삽입했을 때에 입술의 벌어짐이 커지지 않고, 구강내에 있어서의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핸들부)
핸들부(3)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며, 장척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넥부(4)와 핸들부(3)의 경계가 불명확한 형상이지만, 이 핸들부(3)를 파지해서 사용하는데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서,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경계(O)로부터 핸들부(3)의 후단까지의 길이를 100∼2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핸들부(3)는 브러시 본체(2)를 측면에서 볼 때에, 그 선단측(넥부(4)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해서 두께가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최대 두께(D3)에 도달한 후에, 그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핸들부(3)에 있어서, 최대 두께(D3)가 되는 개소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가장 넥부(4)측에 위치하는 장소를 핸들부(3)의 최대 두께(D3)가 되는 개소와 일의적으로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
핸들부(3)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D3)는 13∼16㎜인 것이 바람직하고, 13.5∼15.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핸들부(3)에 있어서의 최대폭(W3)이 13∼16㎜인 것이 바람직하고, 14.5∼1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핸들부(3)의 파지성을 양호한 것으로 해서, 팜 그립 등에 의한 우수한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칫솔(1)에서는 3.5≤D3/D1≤7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5≤D3/D1≤6.5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핸들부(3)의 파지성이 우수함과 함께, 두께가 얇은 헤드부(5)에 의한 양호한 구강내의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칫솔(1)에서는 3≤D3/D2≤5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5≤D3/D2≤5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넥부(4)를 가늘게 해도 넥부(4)가 너무 휘지 않고, 양호한 구강내의 조작성과 파지의 용이함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칫솔(1)은 후술하는 브러시 본체(2)의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정면측과 배면측의 특징적인 형상에 의해, 자세한 넥부(4)와 굵은 핸들부(3)의 조합이어도, 넥부(4)에의 응력 집중을 회피하고, 헤드부(5)로부터 핸들부(3)까지의 브러시 본체(2)의 전체를 휘게 함으로써 넥부(4)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칫솔(1)에서는 최대 두께(D3)를 포함하고, 또한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경계(O)로부터 핸들부(3)의 후단까지의 길이에 있어서의 적어도 70% 이상에 있어서, 핸들부(3)의 두께를 핸들부(3)의 폭으로 나눈 값(이하, 애스펙트비라고 함)이 0.8∼1.2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9∼1.1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핸들부(3)의 두께방향만 또는 폭방향만 치우친 방향으로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브러시 본체의 정면측의 형상)
본 실시형태의 칫솔(1)은 브러시 본체(2)를 측면에서 볼 때에, 브러시 본체(2)의 정면측에 있어서, 넥부(4)의 선단측으로부터 핸들부(3)측을 향해서 헤드부(5)의 식모면(5a)에 연속한 제 1 대략 직선 영역(S1)과, 제 1 대략 직선 영역(S1)으로부터 제 1 변곡점(P1)을 통해서 브러시 본체(2)의 식모면(5a)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제 1 곡선 영역(E1)과, 제 1 곡선 영역(E1)으로부터 제 2 변곡점(P2)을 통해서 브러시 본체(2)의 배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제 2 곡선 영역(E2)을 가지고 있다.
(브러시 본체의 배면측의 형상)
본 실시형태의 칫솔(1)은 브러시 본체(2)를 측면에서 볼 때에, 브러시 본체(2)의 배면측에 있어서, 넥부(4)의 선단측으로부터 핸들부(3)측을 향해서 헤드부(5)의 배면에 연속한 제 2 대략 직선 영역(S2)과, 제 2 대략 직선 영역(S2)로부터 제 3 변곡점(P3)을 통해서 브러시 본체(2)의 식모면(5a)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제 3 곡선 영역(E3)과, 제 3 곡선 영역(E3)으로부터 제 4 변곡점(P4)을 통해서 브러시 본체(2)의 식모면(5a)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제 4 곡선 영역(E4)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대략 직선」이란 브러시 본체(2)를 측면에서 볼 때에, 식모면(5a)을 따른 축선방향(장축방향)의 연장 라인(L)에 대하여 평행한 직선 또는 3° 이내로 교차하는 직선인 것을 말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칫솔(1)에서는 제 1 변곡점(P1)이 넥부(4)에 위치하고, 그 후단측에 제 2 변곡점(P2)을 가지고 있다. 브러시 본체(2)의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제 1 변곡점(P1)과 제 2 변곡점(P2) 사이의 거리는 10∼45㎜인 것이 바람직하고, 25∼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헤드부(5)로부터 핸들부(3)를 향해서 넥부(4)의 두께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에 있어서, 헤드부(5)와 핸들부(3) 사이의 표면을 넥부(4)를 통해서 매끄러운 곡선으로 연속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을 수 있다. 또한, 넥부(4)를 전체 길이에 걸쳐서 보다 가늘게 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일반적인 헤드부 및 넥부의 치수에서, 스트레이트 형상의 굵은 핸들부를 갖는 칫솔의 경우, 어금니의 안쪽에 모속을 닿게 하여 구강내 조작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단순히 헤드부를 얇게 하고 넥부도 가늘게 하면, 제 1 대략 직선 영역(S1)과 제 1 곡선 영역(E1)의 두께가 얇아진다.
그 결과, 치마시의 헤드부의 부하에 의해, 제 1 변곡점(P1)의 응력 집중이 과도하게 되어, 제 1 곡선 영역(E1)과 제 2 곡선 영역(E2)에의 응력 분산이 불충분하게 된다. 또한, 핸들부가 굵을수록, 응력 집중이 넥부 영역 내에 머무르기 쉽게 되기 때문에, 이 경향이 현저하게 된다. 그리고, 넥부가 너무 휘어서, 식모부가 헤드부의 배면측(즉, 치아나 잇몸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변위해 버림으로써, 핸들부에 가해진 힘이 식모부로 전달되기 어려워져 핸들부의 조작성이 저하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헤드부(5)를 얇게 하고 넥부(4)를 가늘게 한 경우에도, 핸들부(3)가 우수한 파지성 및 양호한 구강내 조작성을 얻기 위해서는 넥부(4)에 있어서의 제 1 변곡점(P1)의 응력 집중을 「브러시 본체(2)의 전체」로 분산할 수 있는 것이 유효한 것을 발견했다. 구체적으로는, 핸들부(3)측으로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해서, 상술한 곡선 영역의 곡률 반경의 크기 및 변곡점의 위치 관계가 중요한 요인인 것을 발견했다.
본 실시형태의 칫솔(1)에서는 얇은 헤드부(5), 가는 넥부(4) 및 스트레이트 형상의 굵은 핸들부(3)를 갖기 때문에, 치마시에 헤드부(5)에 부하가 가해지면, 우선 정면측의 제 1 대략 직선 영역(S1)을 통해서 제 1 변곡점(P1)에 응력이 집중한다. 제 1 변곡점(P1)은 배면측의 제 2 대략 직선 영역(S2) 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제 2 대략 직선 영역(S2)에서는 이 제 1 변곡점(P1)에 있어서 배면 방향으로 받은 응력을 분산하려고 정면방향으로 항력(반발력)이 작용한다.
본 발명자 등은, 이 작용을 살려서 「브러시 본체(2)의 전체」에서 응력 분산시키기 위해서, 이하의 시책(1)∼(3)이 유효한 것을 발견했다.
(시책(1): 헤드부→S1→P1→S2→E1에 의한 응력 분산)
제 1 변곡점(P1)에서 배면방향의 응력 집중이 작용한 경우, 제 1 변곡점(P1)과 대향하는 영역이 대략 직선 형상(제 2 대략 직선 영역(S2))이면, 제 2 대략 직선 영역(S2)에서는 정면측에 항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이 항력은 제 2 대략 직선 영역(S2)과 대향하는 정면측의 제 1 곡선 영역(E1)으로 전해진다.
또한, 정면측에서 제 1 변곡점(P1)을 통해서 브러시 본체(2)의 식모면(5a)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제 1 곡선 영역(E1)을 설치하면, 제 1 변곡점(P1)에서 배면방향의 응력 집중이 작용한 경우, 그 곡 형상의 성질로부터, 정면측에 항력이 작용하기 쉬운 성질이 있다. 추가해서, 제 1 곡선 영역(E1)의 곡률 반경이 클수록, 항력이 분산되어 전해지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성질을 조합시킴으로써, 브러시 본체(2)의 전체에서 응력 분산을 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제 1 변곡점(P1)에서 배면방향의 응력이 작용한 경우에, 제 2 대략 직선 영역(S2)에 의한 정면방향의 항력이 보다 작용하기 쉬워지고, 또한 핸들부(3)의 방향으로 전해져 응력 분산을 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시책(2): 헤드부→S1→P1→S2→P3→E3에 의한 응력 분산)
상기 시책(1)이 반복되지만, 제 1 변곡점(P1)에서 배면방향의 응력 집중이 작용한 경우, 제 1 변곡점(P1)과 대향하는 영역이 대략 직선 형상(제 2 대략 직선 영역(S2))이면, 제 2 대략 직선 영역(S2)에서는 정면측에 항력이 작용한다. 또한, 제 1 변곡점(P1)에서 받은 배면방향의 응력은 핸들부(3)의 방향(제 3 곡선 영역(E3))으로 전해진다.
또한, 배면측에서 제 3 변곡점(P3)을 통해서 브러시 본체(2)의 식모면(5a)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제 3 곡선 영역(E3)을 형성하면, 제 3 변곡점(P3)에 배면방향의 응력이 전해진 경우, 그 곡 형상의 성질로부터, 제 3 곡선 영역(E3)에서는 정면측에 항력이 작용하기 쉬워진다. 추가해서, 제 3 곡선 영역(E3)의 곡률 반경이 클수록, 항력이 분산되어 전해지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성질을 조합시킴으로써, 브러시 본체(2)의 전체에서 응력 분산을 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제 1 변곡점(P1)에서 배면방향의 응력 집중이 작용한 경우에, 제 2 대략 직선 영역(S2)에 의한 정면방향의 항력이 보다 작용하기 쉬워지고, 또한 핸들부(3)의 방향으로 전해져 응력 분산을 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시책(3): 헤드부→S1→P1→S2→E1·E3→E2에 의한 응력 분산)
브러시 본체(2)의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제 2 변곡점(P2)은 제 3 곡선 영역(E3) 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 또한, 제 1 곡선 영역(E1)과 제 3 곡선 영역(E3)이, 브러시 본체(2)의 식모면(5a)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형상으로부터 제 2 변곡점(P2)에 있어서의 항력방향은 정면측이 된다.
여기에서, 정면측에서 제 2 변곡점(P2)을 통해서 브러시 본체(2)의 배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제 2 곡선 영역(E2)을 형성하면, 제 2 변곡점(P2)에서 정면방향의 항력이 작용한 경우, 그 곡 형상의 성질로부터 배면측에 항력이 작용하기 쉬운 성질이 있다. 추가해서, 제 2 곡선 영역(E2)의 곡률 반경이 클수록, 항력이 분산되어 전해지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성질을 조합시킴으로써, 브러시 본체(2)의 전체에서 응력 분산을 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제 2 변곡점(P2)에서 정면방향의 항력이 작용한 경우에, 제 2 곡선 영역(E2)에 의한 배면방향의 항력이 보다 작용하기 쉬워지고, 또한 핸들부(3)의 방향으로 전해져 응력 분산을 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추가해서, 제 2 곡선 영역(E2)에서는 제 3 곡선 영역(E3)으로부터의 정면방향의 효력도 전해지므로, 작용하는 항력이 정면측과 배면측에서 서로 상쇄되어 보다 응력을 분산할 수 있는 것도 기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칫솔(1)에서는 상기 시책(1)∼(3)에 근거하는 브러시 본체(2)의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정면측과 배면측의 특징적인 형상에 의해, 넥부(4)에의 응력 집중을 회피하고, 헤드부(5)로부터 핸들부(3)까지의 브러시 본체(2)의 전체에서 응력을 분산시켜 넥부(4)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변곡점(P1)의 위치, 경계(O)로부터 제 1 변곡점(P1)까지의 거리)
본 실시형태의 칫솔(1)에서는 제 1 변곡점(P1)이 넥부(4)에 위치하고 있다. 상술한 넥부(4)의 정의 대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넥부(4)의 길이는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경계(O)를 기점으로 해서 핸들부(3)측 방향으로 50㎜ 이내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경계(O)로부터 제 1 변곡점(P1)까지의 거리는 30㎜ 이내의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5㎜ 이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내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변곡점(P2)의 위치)
본 실시형태의 칫솔(1)에서는 제 2 변곡점(P2)이 제 1 변곡점(P1)보다 핸들부(3)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변곡점(P2)은 넥부(4)에 있어도 좋고, 핸들부(3)에 있어도 좋다.
(제 1 변곡점(P1)과 제 2 변곡점(P2) 사이의 거리(제 1 곡선 영역(E1)))
브러시 본체(2)의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제 1 변곡점(P1)과 제 2 변곡점(P2) 사이의 거리는 10∼45㎜인 것이 바람직하고, 25∼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1 변곡점(P1)에 가해지는 응력 집중을 제 1 곡선 영역(E1)과 제 2 곡선 영역(E2)을 통해서 핸들부(3)측으로 분산시키는데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곡률 반경(R1, R2)의 관계)
본 실시형태의 칫솔(1)에서는 제 1 곡선 영역(E1)의 곡률 반경(R1)이 제 2 곡선 영역(E2)의 곡률 반경(R2)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곡선 영역(E1)의 곡률 반경(R1)은 50∼3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2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곡선 영역(E2)의 곡률 반경(R2)은 150∼6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4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넥부(4)로부터 핸들부(3)측을 향해서, 표면을 매끄러운 곡선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넥부(4)의 제 1 변곡점(P1)의 응력 집중을 제 1 곡선 영역(E1)으로 전해진다. 이어서, 제 2 변곡점(P2)을 통해서 브러시 본체(2)의 배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제 2 곡선 영역(E2)에 전해짐으로써 핸들부(3)측에의 응력 집중을 분산할 수 있어, 넥부(4)가 너무 휘지 않고 양호한 구강내의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3)를 굵게 한 경우에도, 이 핸들부(3)의 양호한 파지성을 얻을 수 있다.
(제 2 곡선 영역(E2): 제 2 변곡점(P2)으로부터 핸들부의 후단까지의 특정 영역)
제 2 곡선 영역(E2)은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제 2 변곡점(P2)으로부터 핸들부(3)의 최후단부까지의 길이의 70%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핸들부(3)를 굵게 한 경우에도, 이 핸들부(3)의 양호한 파지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핸들부(3)의 표면을 매끄러운 곡선으로 구성함으로써, 제 1 곡선 영역(E1)을 통한 응력 집중을 제 2 곡선 영역(E2)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곡선 영역(E2)을 핸들부(3)의 전체 길이에 있어서의 적어도 70% 이상으로 한 것은, 핸들부(3)의 정면측으로부터 돌출된 손가락 대는 부(7)와 같은 핸들부(3)의 표면은 불연속인 영역을 설치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제 2 변곡점(P2)으로부터 핸들부(3)의 최후단부까지의 길이 중에서, 예를 들면 R200과 R300이 연결되어 곡선을 형성하고 있는, 즉 복수의 R로 연결되어 있는 곡선의 경우에도, 1개의 R의 연결로 정의한다.
(제 2 변곡점(P2)과 최대 두께(D3)로 되는 위치 사이의 거리)
또한, 브러시 본체(2)의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제 2 변곡점(P2)과 핸들부(3)의 최대 두께(D3)로 되는 위치 사이의 거리는 45∼65㎜인 것이 바람직하고, 50∼6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1 곡선 영역(E1)을 통한 넥부(4)의 응력 집중을 회피하고, 제 2 곡선 영역(E2)으로 응력을 분산시키는데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경계(O)와 최대 두께(D3)로 되는 위치 사이의 거리)
또한, 헤드부(5)와 넥부(4)의 경계(O)와, 핸들부(3)의 최대 두께(D3)로 되는 위치 사이의 거리는 60∼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70∼1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헤드부(5)를 얇게 하고, 넥부(4)를 가늘게 하고, 핸들부(3)를 두껍게 해도, 핸들부(3)의 표면을 매끄러운 곡선으로 구성할 수 있고, 넥부(4)에의 응력 집중이 핸들부(3)의 후단측으로 분산되고, 넥부(4)의 휨 과다를 억제할 수 있다.
(제 3 변곡점(P3)의 위치 관계)
제 1 변곡점(P1)의 응력 집중을 제 2 대략 직선 영역(S2)을 통해서 제 3 변곡점(P3)으로 전하여, 받은 응력 집중을 제 3 곡선 영역(E3)으로 분산할 수 있는 점에서, 제 3 변곡점(P3)은 제 1 변곡점(P1)보다 핸들측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대략 직선 영역(S2)에 의한 정면방향의 항력을 제 1 곡선 영역(E1)으로 전하고, 제 1 곡선 영역(E1)으로부터 제 2 곡선 영역(E2)으로 더 전함으로써 응력을 더욱 분산할 수 있는 점에서, 제 3 변곡점(P3)은 제 2 변곡점(P2)보다 넥부측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률 반경(R3, R1)의 관계)
제 3 곡선 영역(E3)의 곡률 반경(R3)은 제 1 곡선 영역(E1)의 곡률 반경(R1)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3 곡선 영역(E3)의 곡률 반경(R3)은 100∼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5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넥부(4)의 제 1 변곡점(P1)의 응력 집중은 제 2 대략 직선 영역(S2)을 통해서 제 3 변곡점(P3)으로 전해지고, 받은 응력 집중을 제 3 곡선 영역(E3)으로 분산할 수 있고, 넥부(4)의 휨 과다를 억제함과 아울러, 구강내의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 3 곡선 영역(E3))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칫솔(1)에서는 브러시 본체(2)의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제 3 변곡점(P3)으로부터 핸들부(3)의 최후단부까지의 길이의 적어도 30% 이상이 제 3 곡선 영역(E3)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넥부(4)와 핸들부(3)를 넘은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치마시의 넥부(4)의 제 1 변곡점(P1)의 응력 집중이 제 2 대략 직선 영역(S2)을 통해서 제 3 변곡점(P3)으로 전해지고, 제 3 곡선 영역(E3)의 곡형상의 성질로부터, 정면측에 항력이 작용하기 쉬운 성질을 이용하여 제 2 대략 직선 영역(S2)에 의한 정면방향의 항력이 작용하기 쉬워져, 제 1 변곡점(P1)에 있어서의 응력 집중을 분산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넥부(4)의 휨 과다를 억제 함과 아울러, 구강내의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곡률 반경(R3, R2)의 관계)
제 3 곡선 영역(E3)의 곡률 반경(R3)은 제 2 곡선 영역(E2)의 곡률 반경(R2)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2 대략 직선 영역(S2)에 의한 정면방향의 항력과 제 1 곡선 영역(E1)에 의한 정면방향의 항력과 제 3 곡선 영역(E)의 정면방향의 항력을, 제 1 곡선 영역(E1)으로부터 제 2 곡선 영역(E2)으로 전하여 응력을 더욱 분산할 수 있다.
(곡률 반경(R4, R2)의 관계)
제 4 곡선 영역(E4)의 곡률 반경(R4)은 제 2 곡선 영역(E2)의 곡률 반경(R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4 곡선 영역(E4)의 곡률 반경(R4)은 5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3 곡선 영역(E3)으로 전해진 응력 집중이 제 4 변곡점(P4)에 전해지고, 받은 응력 집중을 제 4 곡선 영역(E4)으로 분산할 수 있고, 넥부(4)의 휨 과다를 억제함과 아울러,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4 곡선 영역(E4)은 브러시 본체(2)의 식모면(5a)측에 곡률 중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핸들부(3)를 파지했을 때에, 이 핸들부(3)와 손바닥 사이의 간격을 적게 해서 손바닥 전체에서 파지할 수 있어 파지성이 향상된다.
(제 4 곡선 영역(E4))
브러시 본체(2)의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제 4 변곡점(P4)으로부터 핸들부(3)의 최후단부까지의 길이의 적어도 50% 이상이 제 4 곡선 영역(E4)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3 곡선 영역(E3)으로 전해진 응력 집중이 제 4 변곡점(P4)에 전해지고, 받은 응력 집중을 제 4 곡선 영역(E4)으로 분산할 수 있고, 넥부(4)의 휨 과다를 억제함과 아울러,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 4 곡선 영역(E4)의 만곡방향)
제 4 곡선 영역(E4)의 곡률 반경(R4)은 브러시 본체(2)의 식모면(5a)측에 곡률 중심을 가지고 있지만, 헤드부(5)의 배면측에 가지고 있어도 좋다. 헤드부(5)의 배면측에 가지고 있으면, 제 4 곡선 영역(E4)을 따라 핸들부(3)가 파지되었을 때에, 이 핸들부(3)의 회전이 규제되기 때문에, 파지 방향을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치마시에 핸들부(3)가 회전하지 않아 구강내 조작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브러시 본체(2)의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특징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브러시 본체(2)를 구성하는 수지(1차 수지)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설명하고 있었지만, 브러시 본체(2)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표면을 피복하는 피복재(8)가 설치된 구성의 경우에는, 상술한 특징적인 형상은 브러시 본체(2)의 아웃라인으로 일의적으로 정의한다.
피복재(8)로 피복하는 경우, 브러시 본체(2)에 1차 수지에 의한 단차부(9)를 설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차부(9)를 설치함으로써, 피복재(8)로 피복할 때에 핸들부(3)의 표면과 동일 높이면이 될 수 있어, 외관과 촉감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2색 성형에서의 제조성의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피복재(8)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엘라스토머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단차부(9)는 넥부(4)측보다 핸들부(3)측이 1∼3㎜이고, 일단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차부(9)의 최소 두께는 강도의 점에서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차부(9)를 갖는 경우, 핸들부(3) 또는 넥부(4)에 있어서의 두께방향과 폭방향의 치수가 짧아짐으로써 수지량이 줄고, 강도가 저하된다. 그 때문에, 일단 낮아지도록 형성된 단차부(9)는 넥부(4)측으로부터 핸들부(3)측으로, 곡률 반경이 0.5∼1.5가 되는 범위에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치마시에 헤드부(5)에 가해지는 응력이 단차부에 전해져도, 단차부(9)에의 응력 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다.
피복재(8)는 단차부(9)로부터 표면을 덮음으로써 핸들부(3)와 넥부(4) 사이에서 연속한 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구강내의 청소시에, 피복재(8)의 탄성력에 의해 핸들부(3)와 넥부(4)의 경계(단차부(9))에 생기는 응력 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다.
피복재(8)는 넥부(4)로부터 핸들부(3)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전체 둘레를 싸도록 덮여 있어도 좋다. 응력 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점에서, 넥부(4)로부터 핸들부(3)의 전체 둘레를 싸도록 덮여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핸들부(3)의 표면적에 있어서의 적어도 50% 이상이 피복재(8)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복재(8)의 두께는 0.5∼3.5㎜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재(8)가 주위를 덮도록 피복되는 형태에서는, 브러시 본체(2)를 구성하는 수지(1차 수지)는 피복된 부위에서의 단면에 있어서 중심 위치에 있어도 좋고, 편재한 위치에 있어도 좋다. 또한, 응력 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점에서, 피복재(8)의 중심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브러시 본체(2)로 이루어지는 수지의 단면적을 A1, 상기 부위에 있어서의 피복재(8)의 단면적을 A2라고 했을 때에, A2/(A1+A2)의 비는 0.45∼0.7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칫솔(1)에서는 핸들부(3)를 파지할 때의 그립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핸들부(3)의 최대 두께(D3)가 되는 위치에서는 A2/(A1+A2)의 비가 0.45∼0.75인 것이 바람직하고, 0.6∼0.7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칫솔(1)에서는 핸들부(3)를 파지할 때의 그립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응력 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들부(3)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에서는 A2/(A1+A2)의 비가 0.45∼0.75인 것이 바람직하고, 0.6∼0.7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칫솔(1)에서는 핸들부(3)를 파지할 때의 그립감을 높일 수 있다.
단차부(9)에서는 A2/(A1+A2)의 비가 0.45∼0.75인 것이 바람직하고, 0.45∼0.5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응력 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칫솔(1)에서는 브러시 본체(2)를 측면에서 볼 때에, 식모면(5a)의 연장 라인(L)이 핸들부(3)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브러시 본체(2)와 겹치는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응력 집중을 핸들부(3)의 후단측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즉, 식모면(5a)의 연장 라인(L)이 핸들부(3)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브러시 본체(2)와 겹치는 위치에 없도록 S자 형상의 핸들 형상에서는, 굵은 핸들부(3)의 경우에는 넥부(4)에 응력 집중이 보다 일어나기 쉬워진다. 그러나, 상술한 겹치는 위치, 즉 직선 형상임으로써 넥부(4)에의 응력 집중을 핸들부(3)의 후단측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칫솔(1)에서는 헤드부(5)를 얇게 하고 넥부(4)를 가늘게 한 경우에도, 브러시 본체(2)의 전체에서 넥부의 휨을 억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핸들부(3)가 우수한 파지성 및 양호한 구강내의 조작성을 양립한 칫솔(1)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핸드 폴리싱용 칫솔(1)에 본 발명을 적용했을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핸들부(3)를 포함하는 본체부에 대하여, 넥부(4) 및 헤드부(5)를 포함하는 교체 브러시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전동 칫솔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명백한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해서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1∼8, 비교예 1∼2)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수단에 따라서, 실시예 1∼8 및 비교예 1∼2의 칫솔을 제작했다. 구체적으로는, PP 수지를 사출 성형해서 브러시 본체를 제작했다. 이 때, 식모구멍의 배열은 헤드부의 선단으로부터 핸들체를 향해서 3구×1열, 4구×5열, 3구×1열로 했다. 또한, 헤드부의 폭을 10㎜로 하고, 길이를 25㎜로 했다. 그 후에, PBT제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테이퍼용 털(7.5mil)의 모속을, 평선식 식모에 의해 헤드부의 식모구멍에 심어 설치해서 칫솔을 제작했다. 또한, 실시예 8의 칫솔에 대해서는 브러시 본체를 사출 성형한 후에, 단차부에서 핸들부의 후단까지의 표면을 연질 부재로 피복했다. 이하, 각 칫솔의 수단을 정리한 것을 하기 표 1∼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파지성의 평가 방법)
실시예 1∼8 및 비교예 1∼2의 각 칫솔에 대해서, 치마시에 있어서의 「칫솔의 파지성」의 평가를 행했다. 그 평가 결과를 정리한 것을 상기 표 4에 나타낸다.
칫솔의 파지성에 대해서는 전문화 패널 10인이 각 칫솔을 사용하여,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를 행했다. 또한, 전문화 패널 10인의 평균점이 4.5점 이상을 「◎」으로 하고, 평균점 3.5점 이상 4.5점 미만을 「○」으로 하고, 평균점 2.5점 이상 3.5점 미만을 「△」로 하고, 평균점 2.5점 미만을 「×」로 평가를 행했다. 따라서, 점수가 높을수록, 칫솔의 파지성이 우수하고 있다.
<평가 기준>
5점: 매우 좋다.
4점: 약간 좋다.
3점: 좋다.
2점: 약간 좋지 않다.
1점: 좋지 않다.
(구강내 조작성의 평가 방법)
또한, 실시예 1∼8 및 비교예 1∼2의 각 칫솔에 대해서, 치마시에 있어서의 「칫솔의 구강내 조작성(입 안에서의 이동이 쉬움, 넥부의 휨 과다 없음)」의 평가를 행했다. 그 평가 결과를 정리한 것을 상기 표 4에 나타낸다.
칫솔의 조작성에 대해서는 전문화 패널 10인이 각 칫솔을 사용하여,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를 행했다. 또한, 전문화 패널 10인의 평균점이 4.5점 이상을 「◎」으로 하고, 평균점 3.5점 이상 4.5점 미만을 「○」으로 하고, 평균점 2.5점 이상 3.5점 미만을 「△」으로 하고, 평균점 2.5점 미만을 「×」로 평가를 행했다. 따라서, 점수가 높을수록, 구강내 조작성이 우수하고 있다.
<평가 기준>
5점: 매우 좋다.
4점: 약간 좋다.
3점: 어느 쪽이라고 말할 수 없다.
2점: 약간 좋지 않다.
1점: 좋지 않다.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8의 칫솔은 비교예 1∼2의 칫솔에 비교해서, 치마시에 있어서의 「칫솔의 파지성」 및 「칫솔의 구강내 조작성」에 대해서, 높은 평가 결과가 얻어졌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칫솔에 대하여 폭넓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칫솔 2…브러시 본체
3…핸들부 4…넥부
5…헤드부 5a…식모면
6…식모구멍 7…손가락 대는 부
8…피복재 9…단차부
O…경계 S1…제 1 대략 직선 영역
S2…제 2 대략 직선 영역 E1…제 1 곡선 영역
E2…제 2 곡선 영역 E3…제 3 곡선 영역
E4…제 4 곡선 영역 P1…제 1 변곡점
P2…제 2 변곡점 P3…제 3 변곡점
P4…제 4 변곡점 L…연장 라인

Claims (15)

  1.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된 넥부와,
    상기 넥부의 선단에 설치된 헤드부를 포함하는 브러시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복수의 모속이 심어 설치된 칫솔로서,
    상기 브러시 본체는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핸들부를 향해서 상기 넥부의 두께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을 갖고,
    또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두께(D1)가 2∼4㎜이고,
    상기 넥부에 있어서의 최소 두께(D2)가 3∼4.5㎜이고,
    상기 핸들부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D3)가 13∼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본체를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식모면에 연속한 제 1 대략 직선 영역(S1)과,
    상기 제 1 대략 직선 영역(S1)으로부터 제 1 변곡점(P1)을 통해서 상기 브러시 본체의 식모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제 1 곡선 영역(E1)과,
    상기 제 1 곡선 영역(E1)으로부터 제 2 변곡점(P2)을 통해서 상기 브러시 본체의 배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제 2 곡선 영역(E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곡선 영역(E1)의 곡률 반경(R1)이 상기 제 2 곡선 영역(E2)의 곡률 반경(R2)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곡점(P1)과 상기 제 2 변곡점(P2) 사이의 거리가 10∼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곡점(P2)과 상기 최대 두께(D3)로 되는 위치 사이의 거리가 45∼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넥부의 경계(O)와, 상기 최대 두께(D3)로 되는 위치 사이의 거리가 7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본체를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헤드부의 배면에 연속한 제 2 대략 직선 영역(S2)과,
    상기 제 2 대략 직선 영역(S2)으로부터 제 3 변곡점(P3)을 통해서 만곡하는 제 3 곡선 영역(E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변곡점(P3)이 상기 제 1 변곡점(P1)보다 상기 핸들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곡선 영역(E3)의 곡률 반경(R3)이 상기 제 1 곡선 영역(E1)의 곡률 반경(R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곡선 영역(E3)은 상기 브러시 본체의 식모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본체를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식모면의 연장 라인이 상기 핸들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상기 브러시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본체를 구성하는 수지의 굽힘 탄성률이 1000㎫ 이상, 28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본체를 구성하는 수지가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의 표면을 피복하는 피복재를 갖고,
    상기 피복재는 상기 브러시 본체를 구성하는 수지보다 연질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가 엘라스토머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217000918A 2018-11-08 2019-11-05 칫솔 KR202100874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10804 2018-11-08
JP2018210804A JP7190872B2 (ja) 2018-11-08 2018-11-08 歯ブラシ
PCT/JP2019/043181 WO2020095867A1 (ja) 2018-11-08 2019-11-05 歯ブラ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428A true KR20210087428A (ko) 2021-07-12

Family

ID=7061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0918A KR20210087428A (ko) 2018-11-08 2019-11-05 칫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190872B2 (ko)
KR (1) KR20210087428A (ko)
CN (1) CN215603803U (ko)
TW (1) TW202031171A (ko)
WO (1) WO20200958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0770A1 (ja) * 2020-12-16 2022-06-23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2022100940A (ja) * 2020-12-24 2022-07-06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2022100465A (ja) * 2020-12-24 2022-07-06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0202A (ja) 2004-06-15 2006-01-05 Lion Corp 歯ブラシ
JP2011004852A (ja) 2009-06-24 2011-01-13 Lion Corp 歯ブラシ
JP2013118944A (ja) 2011-12-07 2013-06-17 Lion Corp 歯ブラシ
WO2017155039A1 (ja) 2016-03-09 2017-09-14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0002B2 (ja) * 2003-12-19 2009-10-21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3161188U (ja) * 2010-05-12 2010-07-22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みがき時に音の出る歯ブラシ
JP5993555B2 (ja) * 2011-08-09 2016-09-14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5785820B2 (ja) * 2011-08-26 2015-09-30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SG11201807607XA (en) * 2016-03-09 2018-10-30 Lion Corp Toothbrus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0202A (ja) 2004-06-15 2006-01-05 Lion Corp 歯ブラシ
JP2011004852A (ja) 2009-06-24 2011-01-13 Lion Corp 歯ブラシ
JP2013118944A (ja) 2011-12-07 2013-06-17 Lion Corp 歯ブラシ
WO2017155039A1 (ja) 2016-03-09 2017-09-14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5867A1 (ja) 2020-05-14
JP7190872B2 (ja) 2022-12-16
CN215603803U (zh) 2022-01-25
JP2020074983A (ja) 2020-05-21
TW202031171A (zh)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6922B2 (ja) 歯ブラシ
KR20210087428A (ko) 칫솔
JP2023026520A (ja) 歯ブラシ
TWI734760B (zh) 牙刷
JP7466539B2 (ja) 歯ブラシ
WO2021131553A1 (ja) 歯ブラシ
JP7378472B2 (ja) 歯ブラシ
JP2015036042A (ja) 歯ブラシ
CN111093430B (zh) 牙刷
JP7285832B2 (ja) 歯ブラシ
CN214127439U (zh) 牙刷
WO2022138016A1 (ja) 歯ブラシ
CN114025643B (zh) 牙刷
WO2020262341A1 (ja) 歯ブラシ
JP2024021493A (ja) 歯ブラシ
KR102622532B1 (ko) 칫솔
JP2024052103A (ja) 歯ブラシ
JP2024052102A (ja) 歯ブラシ
JP2024054019A (ja) 歯ブラシ
CN112203559A (zh) 牙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