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399B1 - 화장 필름 - Google Patents

화장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399B1
KR102015399B1 KR1020157013361A KR20157013361A KR102015399B1 KR 102015399 B1 KR102015399 B1 KR 102015399B1 KR 1020157013361 A KR1020157013361 A KR 1020157013361A KR 20157013361 A KR20157013361 A KR 20157013361A KR 102015399 B1 KR102015399 B1 KR 102015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rinting
transparent resin
resin layer
microme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0069A (ko
Inventor
사토시 시오타
Original Assignee
리켄 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켄 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리켄 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0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resins; comprising acrylic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3Coloured on the layer surface, e.g. 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6Bright, glossy, shiny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02Amorph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표면측으로부터 제1 투명 수지층(102)과, 인쇄 모양을 가지는 인쇄층(104)과, 제2 투명 수지층(106)과, 하지층(110)을 이 순서대로 설치하고, (a) 상기 인쇄층의 인쇄 모양의 전광선 투과율이 0% 내지 30%이며, (b) 상기 제1 투명 수지층의 평면의 면적에 대하여 상기 인쇄층의 인쇄 모양의 면적이 90% 이하이며, (c) 상기 제2 투명 수지층의 두께가 50μm 내지 5,000μm이며, (d) 상기 하지층이 광휘층 또는 L*값 60 이상의 단색층인 화장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 필름{COSMETIC FILM}
본 발명은 화장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깊이 있는 뛰어난 입체감을 가지는 화장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화장 필름은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자동차, 가구, 캐비닛, 창호, 찬장 등의 금속계나 목질계(木質系)의 재료에 결합(貼合)되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 상기와 같은 물품에는 디자인(意匠)성, 특히 깊이 있는 입체감을 부여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유리판에 인쇄 필름을 결합한 화장판이 가전제품 등을 중심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예컨대 하기(下記)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를 참조].
하지만 유리판은 깊이 있는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두께가 필요하며, 그 결과 중량이 증가하여 취급성이나 작업성을 악화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리판은 견고하여 굴곡 가공을 할 수 없는 등 성형 가공성이 낮은 것과 함께, 깨지기 쉽고 재활용도 불가능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합성 수지층 및 인쇄층을 적층한 화장 필름에 의해 깊이 있는 입체감을 부여하려는 시도가 다수 수행되고 있다(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3, 특허문헌 4, 특허문헌 5 등을 참조). 하지만 종래 기술의 화장 필름에서는 요즘 당업계에 요구되는 높은 수준의 입체감을 부여하지 못하여 개선이 요구되고 있었다.
1. 일본 특개 평5-133677호 공보 2. 일본 특개 2002-166516호 공보 3. 일본 특개 평10-34883호 공보 4. 일본 특개 평5-104695호 공보 5. 일본 특개 평5-220917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 수지층 및 인쇄층을 적층한 종래 기술의 화장 필름보다 깊이 있는 뛰어난 입체감을 부여 가능한 화장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는 합성 수지층 및 인쇄층을 설치한 화장 필름의 구성에서 인쇄층의 전광선(全光線) 투과율 및 사이즈를 특정하고 또한 화장 필름의 하지(下地)를 구성하는 층을 특정화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킬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1. 최표면측(最表面側)으로부터 제1 투명 수지층과, 인쇄 모양을 가지는 인쇄층과, 제2 투명 수지층과, 하지층을 이 순서대로 설치하고, 이하의 조건(a) 내지 조건(d)을 모두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필름.
(a) 상기 인쇄층의 인쇄 모양의 전광선 투과율이 0% 내지 30%다.
(b) 상기 제1 투명 수지층의 평면의 면적에 대하여 상기 인쇄층의 인쇄 모양의 면적이 90% 이하다.
(c) 상기 제2 투명 수지층의 두께가 50μm 내지 5,000μm다.
(d) 상기 하지층이 광휘층(光輝層) 또는 L*값 60 이상의 단색층(單色層)이다.
2. 상기 최표면측으로부터 입사(入射)하는 광(光)에 의해 상기 인쇄층의 인쇄 모양의 그림자가 상기 하지층 상에 형성되고, 비인쇄부를 통해서 상기 그림자가 시인(視認)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화장 필름(단, 상기 비인쇄부란 상기 인쇄층의 인쇄 모양이 설치되지 않은 부분을 의미한다).
3. 상기 비인쇄부는 지름 1mm의 원이 들어갈 수 있는 부분을 적어도 1개소(箇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에 기재된 화장 필름.
본 발명에 의하면, 최표면측으로부터 제1 투명 수지층과, 인쇄층과, 제2 투명 수지층과, 하지층을 이 순서대로 설치하고, 인쇄층의 전광선 투과율 및 인쇄 면적을 특정하고, 또한 제2 투명 수지층의 두께를 규정하고 하지층으로서 광휘층 또는 특정 단색층을 채택했기 때문에, 종래 기술의 화장 필름보다 깊이 있는 뛰어난 입체감을 부여 가능한 화장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 필름은 최표면측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면, 인쇄층의 그림자가 하지, 즉 광휘층 또는 단색층 상에 형성된다. 제2 투명 수지층의 두께가 특정 범위로 설정되기 때문에 비인쇄부를 통해서 그림자가 시인 가능해지고, 깊이 있는 뛰어난 입체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 필름은 유리판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취급성이나 작업성을 악화시키지 않고, 성형 가공성이 뛰어나고 재활용도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 필름의 일 실시 형태의 단면도.
도 2는 화장 필름의 관찰자가 비인쇄부를 통해서 인쇄 모양의 그림자를 시인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비인쇄부에 지름 1mm의 원이 들어갈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 필름의 일 실시 형태의 단면도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화장 필름(10)은 최표면측으로부터 제1 투명 수지층(102)과, 인쇄층(104)과, 제2 투명 수지층(106)과, 하지층(110)을 이 순서대로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각(各) 층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투명 수지층(102)으로서는 용도에 따라 공지(公知)의 투명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올레핀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불소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투명한 수지를 동종(同種) 또는 이종(異種)으로서 적층해도 좋다. 제1 투명 수지층(102)은 전광선 투과율이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전광선 투과율은 ASTM D-1003에 의해 측정된 값을 의미한다. 또한 제1 투명 수지층(102)의 두께는 예컨대 1μm 내지 500μm이며, 바람직하게는 1μm 내지 300μm다.
인쇄층(104)은 예컨대 그라비어 인쇄, 플렉소 인쇄, 오프셋 인쇄, 스크린 인쇄, 잉크젯 인쇄 등의 인쇄 방법에 의해 원하는 인쇄 모양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인쇄 모양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미세 나뭇결무늬 모양, 추상 모양, 기하학적 모양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쇄층(104)의 인쇄 모양은 전광선 투과율이 0% 내지 30%일 필요가 있다. 이 조건은 예컨대 인쇄 잉크로서 산화티타늄, 카본블랙, 메탈릭 등을 이용하거나, 인쇄층의 두께를 증가시키는(예컨대 3μm 이상) 것에 의해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인쇄층(104)의 인쇄 모양의 전광선 투과율은 0% 내지 20%다. 전광선 투과율이 30%를 초과하면 인쇄층(104)의 인쇄 모양의 그림자가 후술하는 하지층 상에 형성되지 않아 깊이 있는 입체감을 얻을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인쇄층(104)의 인쇄 모양의 면적은 제1 투명 수지층의 평면의 면적에 대하여 90% 이하일 필요가 있다. 90%를 초과하면 인쇄층(104)의 인쇄 모양의 그림자를 최표면측으로부터 시인할 수 없어 결과적으로 깊이 있는 입체감을 얻을 수 없다. 보다 바람직한 인쇄층(104)의 인쇄 모양의 면적은 80% 이하이며, 더 바람직한 인쇄층(104)의 인쇄 모양의 면적은 5% 내지 80%다.
제2 투명 수지층(106)으로서는 용도에 따라 공지의 투명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올레핀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불소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투명한 수지를 동종 또는 이종으로서 적층해도 좋다.
제2 투명 수지층(106)의 두께는 50μm 내지 5,000μm일 필요가 있다. 50μm 미만이면 인쇄층(104)의 인쇄 모양의 그림자를 시인하기 어려워져 깊이 있는 입체감을 얻을 수 없다. 반대로 5,000μm을 초과하면 제조 시 등의 취급성이 악화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바람직한 제2 투명 수지층(106)의 두께는 100μm 내지 3,000μm다. 또한 제2 투명 수지층(106)의 두께는 화장 필름의 사용 형태, 예컨대 3차원 성형용, 굴곡 가공용(2차원), 평첩용(平貼用)에 의해 적절히 선택된다. 예컨대 3차원 성형용으로서는 제2 투명 수지층(106)의 두께를 비교적 얇게 예컨대 50μm 내지 1,000μm의 범위로 설정하고, 각 층간(層間)을 열융착제 또는 접착제에 의해 강고하게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투명 수지층(106)의 두께를 1,000μm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예컨대 화장 필름(10)을 에릭슨 시험기에 의한 5mm 가압을 한 경우에도 재료가 파쇄되지도 부유하지도 않아 3차원 성형에 바람직하다. 굴곡 가공용으로서는 제2 투명 수지층(106)의 두께를 예컨대 50μm 내지 3,000μm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투명 수지층(106)의 두께를 3,000μm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예컨대 화장 필름(10)을 90° 절곡(R=15mm)을 했을 때에도 재료가 파쇄되지 않고 2차원 성형을 견딘다. 평첩용으로서는 제2 투명 수지층(106)의 두께를 두껍게 예컨대 100μm 내지 5,000μm의 범위로 설정하여 깊이 있는 입체감을 한층 더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투명 수지층(106)은 전광선 투과율이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투명 수지층(106)은 성형 가공성의 관점에서 올레핀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불소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비닐부틸알계 수지, 카보네이트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투명 수지층(106)의 두께를 두껍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아크릴계 수지, 카보네이트계 수지, 비닐 부틸알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비정성(非晶性) 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투명 수지층(106)은 디자인성의 관점에서 비정성 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비닐부틸알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제2 투명 수지층(106)에 이용되는 비정성 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예컨대 디카르본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며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60몰% 내지 90몰%와 시클로헥산디메탄올 10몰% 내지 40몰%인 시클로헥산디메탄올 공중합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디카르본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며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60몰% 내지 90몰%와 네오펜틸글리콜 10몰% 내지 40몰%인 네오펜틸글리콜 공중합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디카르본산 성분이 테레프탈산 60몰% 내지 98몰%와 이소프탈산 2몰% 내지 40몰%이며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인 이소프탈산공중합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디카르본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며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60몰% 내지 90몰%와 시클로헥산 디메탄올 10몰% 내지 40몰%인 시클로헥산디메탄올 공중합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제2 투명 수지층(106)에 이용되는 아크릴계 수지로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아크릴계 수지,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위와 스티렌 단위나 우레탄 구조를 가지는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수지와 열가소성(熱可塑性) 폴리우레탄 수지의 혼합 수지, 또는 상기 아크릴계 수지와 아크릴 고무의 혼합 수지 등도 이용할 수 있다.
제2 투명 수지층(106)에 이용되는 염화비닐계 수지로서는 예컨대 염화비닐의 단독 중합체, 염화비닐과 초산 비닐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하지층(110)은 광휘층 또는 L*값 60 이상의 단색층이다. 광휘층은 예컨대 철판, 스텐레스판, 알루미늄판 등의 금속판; 금, 알루미늄, 은, 구리, 진유(놋쇠, 眞鍮), 티타늄, 크롬, 니켈, 니켈크롬, 스텐레스 등의 금속박; 금, 알루미늄, 은, 구리, 진유, 티탄, 크롬, 니켈, 니켈크롬, 스텐레스 등의 금속을 표면에 증착시킨 수지층; 알루미늄, 진유 등의 금속 안료, 이산화티타늄 피복 운모(雲母), 염기성 탄산연 등의 박분(箔粉)으로 이루어지는 진주 광택(pearl) 안료 등의 광휘성 안료를 포함하는 수지층;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을 표면에 증착시킨 수지층을 채택하는 경우, 사용되는 수지로서는 예컨대 올레핀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불소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금속의 증착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 등의 물리적 기상(氣相) 증착법(PVD법) 또는 화학적 기상 증착법(CVD법) 등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얻어지는 금속 증착층의 두께는 20nm 내지 500nm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휘성 안료를 포함하는 수지층을 채택하는 경우, 사용되는 수지로서는 예컨대 올레핀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불소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광휘성 안료는 수지층중, 예컨대 0.05질량% 내지 20질량%첨가된다.
단색층은 L*값 60 이상의 단색의 층이다. 또한 L*값이란 색 밝기의 정도인 명도(明度)를 나타내는 주지(周知)의 척도이며, JIS Z8722 등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L*값이 클수록 명도가 높고, 최대 L*값, 즉 L*값=100은 백색을 의미하고, 최소 L*값, 즉 L*값=0은 흑색을 의미한다. L*값이 60 미만이면 인쇄층(104)의 인쇄 모양의 그림자를 시인(視認)하기 어려워져 깊이 있는 입체감을 얻을 수 없다. 또한 바람직한 L*값은 70 이상이다. 하지층(110)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인쇄층(104)의 인쇄 모양의 그림자가 보다 선명해져 깊이감을 한층 더 두드러진다. 하지층(110)의 두께는 1μm 내지 200μm이 바람직하고, 1μm 내지 150μm이 더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색조로서는 백색, 담색계의 회색, 황색 등이다.
또한 하지층(110)에 접착성을 부여하여 화장 필름의 피착체(被着體)에 결합해도 좋다.
본 발명의 화장 필름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1 투명 수지층(102)을 준비하고, 그 위에 상기와 같은 인쇄 방법에 의해 인쇄 모양을 가지는 인쇄층(104)을 형성하고, 인쇄층(104) 상에 제2 투명 수지층(106) 및 하지층(110)을 열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적층한다. 이와는 별도로 제1 투명 수지층(102)을 준비하고, 그 위에 상기와 같은 인쇄 방법에 의해 인쇄 모양을 가지는 인쇄층(104)을 형성하고, 인쇄층(104) 상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2 투명 수지층(106) 및 하지층(110)을 결합해도 좋다.
도 2는 화장 필름의 관찰자가 비인쇄부를 통해서 상기 그림자를 시인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화장 필름(10)은 최표면측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에 의해 인쇄층(104)의 인쇄 모양의 그림자(S)가 하지층(110) 상에 형성된다. 관찰자는 제1 투명 수지층(102)과, 그 하부에서 인쇄층(104)의 인쇄 모양이 설치되지 않은 비인쇄부(N)를 통해서 상기 인쇄 모양 및 그림자(S)를 동시에 시인한다. 이때 관찰자는 인쇄층(104)의 인쇄 모양의 뒷면에 깊이를 느끼고, 깊이 있는 뛰어난 입체감이 얻어진다.
또한 관찰자가 인쇄층(104)의 인쇄 모양 및 그림자(S)를 동시에 양호하게 시인하기 위해서는 비인쇄부(N)가 지름 1mm의 원이 들어갈 수 있는 부분을 적어도 1개소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비인쇄부에 지름 1mm의 원이 들어갈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다. 도 3의 (a)는 인쇄층(104)의 인쇄 모양으로서 불규칙하게 배열된 도트무늬(D)를 채택한 예지만, 이 경우, 도트무늬의 일부에 지름 1mm의 원(C)이 들어갈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한다. 즉 지름 1mm의 원(C)에 상당하는 크기의 비인쇄부(N)의 공간이 존재하는 것에 의해, 관찰자는 인쇄 모양이 설치되지 않은 비인쇄부(N)를 통해서 상기 인쇄 모양 및 그림자(S)를 동시에 시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층(104)의 인쇄 모양의 뒷면에 깊이가 느끼고, 깊이 있는 뛰어난 입체감이 얻어진다. 도 3의 (b)는 인쇄층(104)의 인쇄 모양으로서 격자무늬(L)를 채택한 예지만, 이 경우에도 도트무늬의 일부에 지름 1mm의 원(C)이 들어갈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한다. 따라서 관찰자는 인쇄 모양이 설치되지 않은 비인쇄부(N)를 통해서 상기 인쇄 모양 및 그림자(S)를 동시에 시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층(104)의 인쇄 모양의 뒷면에 깊이를 느끼고, 깊이 있는 뛰어난 입체감이 얻어진다. 하지만 도 3의 (c)에서는 인쇄층(104)의 인쇄 모양으로서 격자무늬(L')를 채택한 예이며, 제1 투명 수지층(102)의 평면의 면적에 대하여 인쇄층(104)의 인쇄 모양의 면적이 90% 이하임에도 불구하고, 비인쇄부(N)에 지름 1mm의 원(C)이 들어갈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비인쇄부(N)를 통해서 상기 인쇄 모양 및 그림자(S)를 동시에 시인하는 것이 곤란해져 관찰자는 인쇄층(104)의 인쇄 모양의 뒷면에 깊이를 느끼지 않는다. 따라서 깊이 있는 뛰어난 입체감을 얻을 수 없다. 또한 하나의 제품에서 비인쇄부(N)는 지름 1mm의 원이 들어갈 수 있는 부분을 1제품당 1개소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1]
제1 투명 수지층(102)으로서 두께가 100μm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Toray Industries 사제(社製), 상품명 T60)을 이용하여, 이 제1 투명 수지층(102) 상에 도트무늬 모양을 그라비어 인쇄에 의해 인쇄하고, 인쇄층(104)을 형성했다. 또한 도트무늬 모양은 잉크로서 산화티타늄을 이용하여 형성하고, 그 전광선 투과율은 5%였다. 또한 도트무늬 모양은 제1 투명 수지층(102)의 평면의 면적에 대하여 50%이며, 비인쇄부(N)는 지름 1mm의 원(C)이 들어갈 수 있는 부분을 다수 포함한다. 즉 지름 1mm의 원(C)에 상당하는 크기의 비인쇄부(N)의 공간이 다수 존재한다. 계속해서 제2 투명 수지층(106)으로서 두께가 300μm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Toray Industries 사제, 상품명 T60]을 이용하여, 인쇄층(104) 상에 접착제(TOYOBO VYLON 63SS, 3μm 두께)를 개재하여 결합했다. 다음으로 하지층(110)으로서 두께가 10μm인 알루미늄박을 이용하고, 이를 제2 투명 수지층(106) 상에 접착제(TOYOBO VYLON 63SS, 3μm 두께)를 개재하여 결합했다.
얻어진 화장 필름에 대하여 하기의 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에 정리했다.
<디자인감>
관찰자 5명(A 내지 E)에 의해 깊이 있는 입체감이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2점: 인쇄 모양이 설치되지 않은 비인쇄부(N)를 통해서 인쇄 모양 및 그림자(S)를 동시에 시인할 수 있고, 인쇄층(104)의 인쇄 모양의 뒷면에 깊이를 느끼고, 깊이 있는 뛰어난 입체감을 느낀다.
1점: 다소 입체감을 느낀다.
0점: 입체감을 느끼지 않는다.
관찰자 5명의 합계 점수가 8점 이상인 경우, 깊이 있는 뛰어난 입체감이 부여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평가). 관찰자 5명의 합계 점수가 5점 내지 7점인 경우, 「◎」평가만큼 좋지 않지만, 깊이 있는 입체감이 부여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평가). 관찰자 5명의 합계 점수가 3점 내지 4점인 경우, 깊이 있는 입체감은 불충분하지만 허용 가능한 선의 범위다(△평가). 관찰자 5명의 합계 점수가 2점 이하인 경우, 입체감은 지극히 불충분하여 불합격이다(×평가).
<제조 시의 취급성>
각 제조 공정에서 원반(原反)의 핸들링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아무런 지장 없이 취급할 수 있다.
△: 다소의 곤란성은 있지만, 지장 없는 범위에서 취급할 수 있다.
×: 중량 과다, 두께 과잉으로 취급이 곤란하다.
[실시예2]
제1 투명 수지층(102)의 두께를 50μm로 변경하고, 또한 제2 투명 수지층(106)의 두께를 200μm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1을 반복했다.
[실시예3]
제2 투명 수지층(106)의 두께를 4,000μm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1을 반복했다.
[실시예4]
제2 투명 수지층(106)으로서 200μm의 폴리염화비닐 필름(Riken Technos 사제, 제품명 S3238 Fc025)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1을 반복했다.
[실시예5]
제2 투명 수지층(106)으로서 200μm의 아크릴 필름(Sumitomo Chemical 사제, 제품명 TECHNOLLOY)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1을 반복했다.
[실시예6]
제2 투명 수지층(106)으로서 200μm의 PETG필름(Riken Technos 사제, 제품명 TPT027 FZ025, 시클로헥산디메탄올 공중합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1을 반복했다.
[실시예7]
하지층(110)으로서 100μm의 백색 폴리염화비닐 필름[Riken Technos 사제, 제품명 S23127 Fc13644(L*값 95)]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1을 반복했다.
[실시예8]
인쇄층(104)에서의 도트무늬 모양의 인쇄 조건을 변경하고, 도트무늬 모양의 전광선 투과율을 25%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1을 반복했다.
[실시예9]
인쇄층(104)에서의 인쇄 모양을 전광선 투과율 5%의 격자무늬로 변경하고, 그 격자무늬의 인쇄 면적을 제1 투명 수지층(102)의 평면의 면적에 대하여 85%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1을 반복했다.
[실시예10]
제2 투명 수지층(106)의 두께를 50μm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1을 반복했다.
[실시예11]
하지층(110)을 L*값 65의 담색 회색 단색층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1을 반복했다.
[비교예1]
인쇄층(104)에서의 도트무늬 모양의 인쇄 조건을 변경하고, 도트무늬 모양의 전광선 투과율을 35%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1을 반복했다.
[비교예2]
인쇄층(104)에서의 인쇄 모양을 전광선 투과율 5%의 격자무늬로 변경하고, 그 격자무늬의 인쇄 면적을 제1 투명 수지층(102)의 평면의 면적에 대하여 95%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1을 반복했다.
[비교예3]
제2 투명 수지층(106)의 두께를 25μm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1을 반복했다.
[비교예4]
광휘층(110)을 L*값 50의 농색 회색 단색층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1을 반복했다.
[비교예5]
제2 투명 수지층(106)의 두께를 6,000μm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1을 반복했다.
Figure 112015048675145-pct00001
Figure 112015048675145-pct00002
Figure 112015048675145-pct00003
실시예의 화장 필름은 최표면측으로부터 제1 투명 수지층과, 인쇄층과, 제2 투명 수지층과, 하지층을 이 순서대로 설치하고, 인쇄층의 전광선 투과율 및 인쇄 면적을 특정하고 또한 제2 투명 수지층의 두께를 특정하여 하지층으로서 광휘층 또는 특정 단색층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종래 기술의 화장 필름보다 깊이 있는 뛰어난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1의 화장 필름은 인쇄층(104)의 인쇄 모양의 전광선 투과율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상한을 초과하였기 때문에 깊이 있는 입체감을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2는 인쇄층(104)의 인쇄 모양의 인쇄 면적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상한을 초과하였기 때문에 깊이 있는 입체감을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3은 제2 투명 수지층(106)의 두께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하한 미만이었기 때문에 깊이 있는 입체감을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4는 하지층(110)의 L*값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상한을 초과하였기 때문에 깊이 있는 입체감을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5는 제2 투명 수지층(106)의 두께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상한을 초과하였기 때문에 제조 시의 취급성이 곤란했다.
본 발명의 화장 필름은 깊이 있는 뛰어난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자동차, 가구, 캐비닛, 창호, 찬장 등의 금속계나 목질계의 화장재로서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10: 화장 필름 102: 제1 투명 수지층
104: 인쇄층 106: 제2 투명 수지층
110: 하지층 N: 비인쇄부
S: 그림자

Claims (3)

  1. 최표면측(最表面側)으로부터 제1 투명 수지층과, 인쇄 모양을 가지는 인쇄층과, 제2 투명 수지층과, 하지층(下地層)을 이 순서대로 설치하고, 이하의 조건(a) 내지 조건(d)을 모두 충족시키고, 또한 상기 최표면측으로부터 입사(入射)되는 광(光)에 의해 상기 인쇄층의 인쇄 모양의 그림자가 상기 하지층 상에 형성되고, 비인쇄부를 통해서 상기 그림자가 시인 가능해지는(단, 상기 비인쇄부란 상기 인쇄층의 인쇄 모양이 설치되지 않은 부분을 의미한다)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필름.
    (a) 상기 인쇄층의 인쇄 모양의 전광선(全光線) 투과율이 0% 내지 30%다.
    (b) 상기 제1 투명 수지층의 평면의 면적에 대하여 상기 인쇄층의 인쇄 모양의 면적이 90% 이하다.
    (c) 상기 제2 투명 수지층의 두께가 50μm 내지 5,000μm다.
    (d) 상기 하지층이 광휘층(光輝層) 또는 L*값 60 이상 100 이하의 단색층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인쇄부는 지름 1mm의 원이 들어갈 수 있는 부분을 적어도 1개소(箇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필름.
  3. 삭제
KR1020157013361A 2012-11-27 2012-11-27 화장 필름 KR1020153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80603 WO2014083610A1 (ja) 2012-11-27 2012-11-27 化粧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069A KR20150090069A (ko) 2015-08-05
KR102015399B1 true KR102015399B1 (ko) 2019-08-28

Family

ID=5082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361A KR102015399B1 (ko) 2012-11-27 2012-11-27 화장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926988B1 (ko)
JP (1) JP6018221B2 (ko)
KR (1) KR102015399B1 (ko)
CN (1) CN104812568B (ko)
TW (1) TWI625251B (ko)
WO (1) WO20140836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32131B2 (ja) * 2016-11-07 2021-02-24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ラミネート包材
JP7100992B2 (ja) * 2018-03-02 2022-07-1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7107779B2 (ja) * 2018-08-03 2022-07-2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建築部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0128B2 (ja) 1988-09-07 1998-12-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150624A (ja) * 1999-11-25 2001-06-05 Honda Motor Co Ltd 化粧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09282A1 (en) * 1989-02-20 1990-08-23 Dai Nippon Insatsu Kabushiki Kaisha Decorative sheet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JPH05104695A (ja) 1991-10-21 1993-04-27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JP3140110B2 (ja) 1991-11-13 2001-03-05 松下冷機株式会社 冷蔵庫の扉体
JP3125407B2 (ja) 1992-02-12 2001-01-15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材の製造方法
JP3284288B2 (ja) * 1993-12-24 2002-05-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建材用化粧板
JP3376703B2 (ja) * 1994-07-12 2003-02-10 シーアイ化成株式会社 化粧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DE19617021A1 (de) 1996-04-27 1997-11-06 Heidelberger Druckmasch Ag Zylinder einer Rotationsdruckmaschine mit veränderbarem Außendurchmesser
JPH1076623A (ja) * 1996-09-02 1998-03-24 Tosoh Corp 化粧フィルム
JP2002166516A (ja) 2000-09-22 2002-06-11 Ibiden Co Ltd 化粧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0128B2 (ja) 1988-09-07 1998-12-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150624A (ja) * 1999-11-25 2001-06-05 Honda Motor Co Ltd 化粧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33474A (zh) 2014-09-01
CN104812568A (zh) 2015-07-29
EP2926988A4 (en) 2016-05-11
JP6018221B2 (ja) 2016-11-02
JPWO2014083610A1 (ja) 2017-01-05
TWI625251B (zh) 2018-06-01
WO2014083610A1 (ja) 2014-06-05
EP2926988B1 (en) 2018-04-04
EP2926988A1 (en) 2015-10-07
CN104812568B (zh) 2017-10-24
KR20150090069A (ko)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6588B2 (en) Films expressing metallic appearance using ultraviolet curable res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6835500B2 (ja) 加飾フィルム及びそれを貼り付けた物品
JP6709018B2 (ja) 加飾フィルム及びそれと一体化した物品
KR20080012348A (ko) 금속 피복용 적층 필름, 스크린 보드용 금속 피복용 적층필름
KR102015399B1 (ko) 화장 필름
US10981368B2 (en) Decorative glass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0816063A1 (en) High-image-sharpness resin-coated metal sheet excellent in adhesion after work
JP6667854B1 (ja) 成形用加飾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加飾成形体
JP3907956B2 (ja) カード用シート
JP7215045B2 (ja) 積層体及び加飾物品
JP5655289B2 (ja) 化粧シート
JP7279321B2 (ja) 浮造調木目化粧材
US20240157722A1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member
JP4664111B2 (ja) 意匠性積層シート、および意匠性積層シート被覆金属板
CN216659173U (zh) 一种3d触感的复合板材
JP2010042575A (ja) 化粧金属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60841B1 (ko) 반사 광선의 흔들림이 방지 가능한 명판 제작용 적층체
JP2018187855A (ja) グラデーションフィルム、加飾成形品及びグラデーション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7001159A (ja) 装飾用シート
CN202388860U (zh) 复合膜
KR100913476B1 (ko) 입체감이 우수한 엠보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WO2019139136A1 (ja) 積層体
CN218583549U (zh) 装饰面板及冰箱
JP3697452B1 (ja) 金属蒸着フィルム
WO2020213465A1 (ja) 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