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919B1 - 수성 첩부제 - Google Patents

수성 첩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919B1
KR101938919B1 KR1020147004139A KR20147004139A KR101938919B1 KR 101938919 B1 KR101938919 B1 KR 101938919B1 KR 1020147004139 A KR1020147004139 A KR 1020147004139A KR 20147004139 A KR20147004139 A KR 20147004139A KR 101938919 B1 KR101938919 B1 KR 101938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queous
aqueous adhesive
solid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9560A (ko
Inventor
가즈하 다니
다카시 가마쿠라
Original Assignee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9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9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61K9/7061Polyacryl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수성 첩부제의 제조 공정, 특히 전연 공정 및 숙성 공정에 있어서, 수성 점착 기제의 겔 강도가 적정한 상태로 유지되고, 또한, 최종 제제에 대해서는, 피부에 점착하는 데에 최적인 점착성을 나타낼 수 있는 수성 첩부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수용성 고분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성 점착 기제 중에, 가교 조정제로서 상온에서 액체이고, 또한, 점도가 1000 (mPa·s, 20 ℃) 이상인 고급 지방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첩부제로서, 고급 지방산이 이소스테아르산이고, 그 배합량이 1 ∼ 10 중량% 인 수성 첩부제이다.

Description

수성 첩부제{WATER-BASED PLASTER}
본 발명은 수성 첩부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용성 고분자 및 가교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성 점착 기제 중에, 가교 조정제로서, 특이적인 점도를 갖는 상온에서 액체인 고급 지방산을 함유한 수성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수용성 고분자, 보습제, 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성 점착 기제를 부직포 등의 지지체에 전연 (展延) 하여 이루어지는 수성 첩부제는, 소염·진통 등을 목적으로 한 의약 제제, 혹은 냉각제로서 시장에 널리 유통되고 있다.
수성 점착 기제는, 수용성 고분자인 폴리카르복실산 및 그 염의 카르복실기와, 수성 점착 기제에 배합되는 기제 성분 중 하나인, 알루미늄 화합물로부터 용해 되어 오는 알루미늄 이온의 가교에 의해 겔 강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다용되고 있다. 가교의 정도는, 최종 제제로서의 수성 첩부제의 점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 외에, 제조 공정에서의 작업성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
수성 첩부제의 제조 공정은 크게 나누면, 각 기제 성분을 혼합하는 공정 (반죽 공정) 과, 혼합한 기제 성분을 부직포 등에 얇게 전연 (도고 (塗膏)) 하는 공정 (전연 공정) 및 전연 공정에서 얻어진 제제를 원하는 크기로 재단하는 공정 (재단 공정), 재단한 제제를 숙성하는 공정, 즉 수용성 고분자와 가교제 사이에서 일어나는 가교 반응이 진행되어 겔 강도가 정상 상태가 될 때까지, 제제를 가만히 정지시켜, 보존해 두는 공정 (숙성 공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수성 첩부제에 있어서는, 수성 점착 기제의 가교 속도의 조정이 충분하지 않으면, 반죽 공정에 있어서, 혼합물의 급격한 점성의 상승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고, 또한, 전연 공정에 있어서는, 혼합한 기제 성분을 지지체에 균일하게 전연할 수 없게 되어, 전연 불균일 (고체 (膏體) 가 불균일하게 전연된 상태) 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부직포 등의 통기성이 높은 지지체를 사용한 경우, 숙성 공정에 있어서 고체가 부직포를 침투하여 이면으로부터 삼출되는 등의 품질상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수성 점착 기제의 가교의 정도를 치밀하게 조정하는 것은, 수성 첩부제의 제조상에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것으로, 종래부터 여러 가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폴리아크릴산 등의 지방족 카르복실산, 혹은 그 염의 수용성 중합체의 알루미늄염을 주체로 하는 습포약이 개시되고, 중합체의 반응 속도는, 난 (難) 수용성의 알루미늄 화합물의 용해 속도, 즉 난수용성 알루미늄 화합물의 표면적과 용해적, 용액의 pH 에 지배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분자 내에 OH 기를 포함하는 유기산 또는 그 염류를 첨가함으로써 가교 반응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동일하게 특허문헌 2 에는, 함수 겔의 골격을 형성하는 수용성 고분자인 폴리아크릴산 및 염의 조합에 주목하여, 고분자의 폴리아크릴산 1 가 염과 저분자의 폴리아크릴산을 병용하고, 가교제로서 이 (易) 수용성 알루미늄염을 사용함으로써, 제조 직후부터 겔 강도가 높고, 즉 가공성이 양호한 함수 겔 첩부제 기제가 제안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3 에는, 기제 성분의 혼합 공정에 있어서 다가 금속염과 고분자 화합물 및 물 등을 미리 저 pH 의 조건에서 혼합해 두고, 그 밖의 기제 성분을 혼합할 때에 고체 pH 를 상승시키는 함수성 고체의 제조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개시되는 수성 첩부제에 관해서는, 겔 강도는, 배합하는 난수용성 알루미늄 화합물의 물리 화학적 특성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매우 엄격한 품질 관리가 필요하다. 게다가 OH 기를 포함하는 유기산 (옥시산) 이 지나치게 많으면 반대로 가교가 진행되지 않게 되는 등, 기제 성분의 미묘한 배합 조정이 필요하였다.
또, 특허문헌 2 에 있어서는, 용해 용이성 알루미늄염을 가교제로서 사용함으로써 제조 직후부터 알루미늄 이온이 용해되어 오기 때문에, 겔 강도가 높고, 전연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겔화가 진행되어 수성 점착 기제의 점도가 현저하게 높아지기 때문에, 지지체에 고체를 전연할 시간이 단시간에 한정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3 의 함수성 고체에 대해서도, 전연 공정시에 고체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고체의 지지체로의 전연이 불균일해질 가능성이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0-22680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635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2277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수성 첩부제의 제조 공정, 특히 전연 공정 및 숙성 공정에 있어서, 겔 강도가 적정한 상태로 유지되고, 또한, 최종 제제에 대해서는, 피부에 점착하는 데에 최적인 점착성을 나타낼 수 있는 수성 첩부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의외로, 상온에서 액체이고, 또한 점도가 1000 (mPa·s, 20 ℃) 이상인 고급 지방산을 가교 조정제로서 수성 점착 기제 중에 배합함으로써, 전연 공정에 있어서는 전연 불균일 등이 발생하지 않고, 숙성 공정에 있어서는 부직포의 이측으로의 고체의 삼출 등이 보이지 않는, 점착성이 우수한 수성 첩부제가 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또한, 「mPa·s」는 「밀리파스칼초」로서 표시되는, SI 단위계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의 점도 단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기본적 양태로서, 수용성 고분자 및 가교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성 점착 기제 중에, 가교 조정제로서 상온에서 액체이고, 또한, 점도가 1000 (mPa·s, 20 ℃) 이상인 고급 지방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첩부제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그 고급 지방산이 이소스테아르산인 수성 첩부제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그 고급 지방산의 배합량이 1 ∼ 10 중량% 인 수성 첩부제이다.
또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용성 고분자로서,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코올,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 배합한 것인 수성 첩부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교제가 알루미늄 화합물인 수성 첩부제이다.
본 발명에 의해, 수용성 고분자 및 가교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성 점착 기제 중에, 가교 조정제로서 상온에서 액체이고, 또한, 점도가 1000 (mPa·s, 20 ℃) 이상인 고급 지방산을 배합함으로써, 전연 공정에 있어서는 고체의 전연 불균일 등이 발생하지 않고, 또 숙성 공정에 있어서는 부직포 이측으로의 고체의 삼출 등이 보이지 않는, 점착성이 우수한 수성 첩부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제공하는 수성 첩부제는, 특이적인 점도를 갖는 상온에서 액체인 고급 지방산을 가교 조정제로서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수성 첩부제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산견된, 고체의 전연 불균일 등의 발생, 또한 숙성 공정에 있어서는 부직포 이(裏)측으로의 고체의 삼출 등의 발생이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매우 특이적인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수성 첩부제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 및 가교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성 점착 기제 중에 함유되는 가교 조정제로는, 상온에서 액체이고, 또한, 그 점도가 1000 (mPa·s, 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고급 지방산의 점도가 1000 (mPa·s, 20 ℃) 미만이면, 가교를 조정할 수 없고, 따라서, 전연 공정시에 전연 불균일이 발생하거나, 특히 지지체로서 부직포를 사용하여 고체를 전연한 경우에는, 부직포측으로부터 고체의 삼출이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한 고급 지방산으로는, 리놀렌산, 리놀레산, 올레산, 이소스테아르산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이소스테아르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가교 조정제로서의 고급 지방산의 배합량은, 고체 조성 중의 1 ∼ 10 중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2 ∼ 8 중량% 이다.
고급 지방산의 배합량이 1 중량% 보다 적으면, 고급 지방산에 의한 수성 점착 기제 중에서의 카르복실기와 알루미늄 이온의 가교를 조정할 수 없어, 지지체 상에 고체를 균일하게 전연할 수 없다.
한편, 10 중량% 보다 많으면, 다른 기제 성분과의 상용성이 나빠져, 고급 지방산이 고체 표면 혹은 부직포측으로 삼출되어 나올 가능성이 있어, 수성 첩부제의 점착력 저하의 원인이 되거나 끈적임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수성 첩부제에 있어서, 수성 점착 기제의 주성분으로서 사용되는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젤라틴, 가수분해 젤라틴,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 폴리아크릴산 전분,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멜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메톡시에틸렌 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아크릴산메틸·아크릴산2-에틸헥실 공중합 수지 에멀션, 크산탄 검, 아라비아 검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비교적 다량의 고급 지방산이 배합되므로, 수용성 고분자 중에서도, 유화제로서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러한 수용성 고분자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멜로오스나트륨이고, 특히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코올,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의 고체 조성 중에 있어서의 배합량은 3 ∼ 20 중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15 중량% 이다.
배합량이 3 중량% 미만에서는, 고체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 첩부제로서 성형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한편, 20 중량% 를 초과하면 수용성 고분자가 고체 중에서 균일하게 용해되지 않아, 고체가 불균일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물의 배합량은 고체 중량에 대해 30 ∼ 60 중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 50 중량% 이다.
함수량이 60 중량% 를 초과한 경우, 고체 점도의 저하에 의한 보형성 악화 및 고체의 끈적임이 관찰된다. 또, 점착력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첩부 부위로의 접착력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30 중량% 미만에서는, 고체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전연 공정의 작업성이 나빠진다. 또, 점착력이 지나치게 강해지기 때문에, 첩부제를 떼어낼 때에 통증이 발생하거나 하여 피부 자극이 생겨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수성 첩부제에 있어서, 가교제로는 예를 들어, 건조 수산화알루미늄 겔, 합성 규산알루미늄, 디하이드록시알루미늄아미노아세테이트, 합성 하이드로탈사이트,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등의 난수용성 알루미늄 화합물이나, 칼륨 명반, 암모늄 명반, 황산알루미늄, 염화알루미늄, 아세트산알루미늄 등의 이수용성 알루미늄염을 단독 또는 2 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 배합량은, 그 종류에 따라 상이하지만, 0.01 ∼ 1 중량% 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이 제공하는 수성 첩부제에 있어서는, 수성 점착 기제 중에 보습제가 배합된다. 그러한 보습제로는, 예를 들어, 진한 글리세린, D-소르비톨액,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 등을 단독 또는 2 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 배합량은 10 ∼ 55 중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10 ∼ 4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35 중량% 이다.
본 발명의 수성 첩부제에는 약효 성분을 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성 첩부제에 있어서 배합되는 약효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록소프로펜나트륨, 케토프로펜, 플루르비프로펜, 이부프로펜, 잘토프로펜, 펜부펜, 프라노프로펜, 피록시캄, 멜록시캄, 펠비낙, 메페남산, 인도메타신, 디클로페낙나트륨, 디펜하이드라민,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글리콜, 디부카인, 프로카인, 옥시부프로카인, 리도카인, 글리시레틴산, 발레르산베타메타손, 아세트산하이드로코르티손, 아세트산덱사메타손, 프로피온산데프로돈, 염산크로코나졸, 라노코나졸, 옥시코나졸, 질산미코나졸, 질산이소코나졸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약효 성분은 필요에 따라 단독으로도 또한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그 외, 본 발명의 수성 첩부제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카올린, 산화티탄, 무수 규산, 산화아연, 벤토나이트 등의 부형제, 에데트산염,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아황산수소나트륨,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의 안정화제, 아세트산토코페롤, 아스코르브산,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토코페롤 등의 항산화제, L-멘톨, 박하유, dl-캠퍼, d-보르네올 등의 청량화제, 고추 분말, 고추 엑기스, 고추 팅크 등의 고추 유래 물질, 캡사이신, 디하이드록시캡사이신, 캡시노이드 등의 캡사이신 유사체, 노닐산바닐릴아미드, 니코틴산벤질 등의 온감 자극제,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등의 방부제, 지방산 에스테르, 크로타미톤, 식물유 등의 가소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올레일에테르 등의 계면 활성제 등을 적절히 적당량 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수용성 첩부제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은 없고, 공지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기제 성분으로 조성된 첩부 기제를 지지체 상에 전연하고, 수성 기제 표면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피복함으로써 수성 첩부제를 성형할 수 있다.
지지체 상의 첩부 기제를 피복하는 플라스틱 필름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의 단독 혹은 첩합 (貼合) 을 사용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이들 표면을 실리콘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요철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을 실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지지체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우레탄 등의 다공체, 발포체, 직포, 부직포, 나아가서는, 필름 또는 시트와 다공체, 발포체, 직포, 부직포와의 라미네이트 물품 등을 들 수 있는데, 특히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섬유 재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등이 사용된다. 또, 제조법으로는, 니들펀치법, 스펀레이스법, 스펀본드법, 스티치 본드법, 멜트 블로우법 등을 들 수 있다. 부직포의 겉보기 중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 ∼ 150 g/㎡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 지지체로서의 부직포는 신축성을 갖는 것으로서, 세로 및/또는 가로로의 신장률이 100 % 이상인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록소프로펜나트륨 수화물 1.1 g 에 정제수 2.5 g 을 첨가하고 교반 용해하여 주약액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70 % D-소르비톨액 25 g, 카올린 3 g, 산화티탄 0.5 g, 타르타르산 0.5 g, 에데트산나트륨 수화물 0.06 g, 20 % 폴리아크릴산 수용액 5.0 g, 33 %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 2.5 g, 아크릴산메틸·아크릴산2-에틸헥실 공중합 수지 에멀션 1.0 g, 정제수로서 잔부 (적당량) 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혼합하였다.
이 액에, 메틸파라벤 0.1 g 및 프로필파라벤 0.05 g 을, 프로필렌글리콜 1.0 g 과 박하유 0.5 g 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킨 액을 첨가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추가로 이 액에, 카르멜로오스나트륨 4.0 g, 폴리아크릴산나트륨 5.0 g,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0.25 g, 디하이드록시알루미늄아미노아세테이트 0.09 g 을 진한 글리세린 20 g 에 분산시킨 분산액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마지막으로, 주약액 및 이소스테아르산 3.0 g 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수성 점착 기제를 얻었다. 이 수성 점착 기제를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에 전연하고, 점착 기제 표면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피복함으로써 수성 첩부제를 성형하였다.
실시예 2 - 7:
하기 표 1 에 나타내는 배합 처방 (단위:중량%) 에 의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실시예의 수성 첩부제를 제작하였다.
또한, 표 1 중에는 상기 실시예 1 의 처방도 함께 기재하였다.
Figure 112014015750614-pct00001
비교예 1 - 5:
표 2 에 나타내는 배합 처방 (단위:중량%) 에 의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 - 5 의 수성 첩부제를 제작하였다.
Figure 112014015750614-pct00002
시험예 1:전연 공정에 있어서의 고체의 전연 상태의 평가
실시예 1 - 7 및 각 비교예 1 - 5 의 수성 점착 기제가, 반죽 직후 ∼ 120 분간, 신축성을 갖는 부직포 상에 균일하게 고체를 전연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냈다.
또한, 표 중의 부호는,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는 결과이다.
○:반죽 직후부터 120 분간, 가교에 의한 고체의 변화가 적어, 균일하게 전연할 수 있었다.
× :반죽 직후의 고체 물성이, 이미 전연할 수 없는 상태로 되어 있거나, 혹은 반죽 직후의 고체 물성은 양호했지만, 그 후 가교가 급속히 진행되어 고체를 균일하게 전연할 수 없게 되었다.
Figure 112014015750614-pct00003
시험예 2:숙성 공정에 있어서의 부직포로부터의 고체 삼출의 유무 검토
실시예 1 - 4, 6 및 비교예 1 - 3, 5 의 수성 첩부제에 약 2 ㎏ 의 가중을 가하고, 20 ℃ 및 40 ℃ 의 보존 조건에서 7 일간 보존한 각 시료의 부직포 이측으로의 삼출의 유무를 육안으로의 관찰에 의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결과는 이하에 나타내는 평가 기준으로 표시하였다.
평가 기준
○:부직포의 이측에, 고체 성분의 삼출이 보이지 않았다.
△:부직포의 이측에, 고체 성분의 약간의 삼출이 보였다.
×:부직포의 이측에, 고체 성분의 현저한 삼출이 보였다.
Figure 112014015750614-pct00004
시험예 3:첩부 시험
실시예 1 - 4, 6 및 비교예 1 - 3 의 수성 첩부제를 실온에서 30 일간 숙성 후, 인폼드 컨센트 하에, 각 제제 (10 ㎝ × 7 ㎝) 를 4 명의 패널리스트의 전완 (前腕) 에 8 시간 첩부하고, 그 첩부 상태를 평가하였다. 첩부 시험의 결과는, 첩부 개시부터 8 시간 후의 제제의 첩부 상태를 하기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고, 4 명의 평균값으로 나타냈다.
그 결과를 표 5 에 나타냈다.
평가 기준
4:전혀 박리 없다.
3:일부 박리되어 있었다.
2:절반 이상 박리되어 있었다.
1:시험 중에 탈락하였다.
Figure 112014015750614-pct00005
<구체적 제제예>
이하에, 표 1 에 나타낸 본 발명의 수성 첩부제 이외의 구체적 제제예를, 표 6 에 나타냈다 (단위:중량%). 단,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4015750614-pct00006
이상의 결과로부터, 비교예의 수성 첩부제 중에는, 반죽 후, 120 분간 고체를 균일하게 전연할 수 없었던 것 (비교예 3 및 4) 이나, 숙성 공정에 있어서 부직포의 이측에 고체의 삼출이 보였던 것 (비교예 1 ∼ 3 및 5) 이 있어, 고체의 가교 조정이 불충분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 가교 조정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각 비교예의 최종 제제의 점착력도 불충분한 것이었다.
한편, 본 발명의 수성 첩부제는 전연 공정의 작업성이 우수하고, 숙성 공정에 대해서도 지지체 이면으로의 고체의 삼출 등이 보이지 않고, 또한 최종 제제에 있어서도 양호한 점착성을 발휘할 수 있는 등, 상온에서 액체이고, 또한, 그 점도가 1000 (mPa·s, 20 ℃) 이상인 고급 지방산의 배합에 의해, 고체의 가교 조정이 양호하게 실시되어, 결과적으로 제조시의 작업성에 있어서도, 혹은 최종 제제의 점착성에 있어서도 바람직한 수성 첩부제인 것이 실증되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수용성 고분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성 점착 기제 중에, 가교 조정제로서 상온에서 액체이고, 또한, 점도가 1000 (mPa·s, 20 ℃) 이상인 고급 지방산을 배합함으로써, 전연 공정에 있어서는 고체의 전연 불균일 등이 발생하지 않고, 또 숙성 공정에 있어서는 부직포 이측으로의 고체의 삼출 등이 보이지 않는, 점착성이 우수한 수성 첩부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산업상 이용성은 다대한 것이다.

Claims (5)

  1. 수용성 고분자 및 가교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성 점착 기제 중에, 가교 조정제로서 상온에서 액체이고, 또한, 점도가 1000 (mPa·s, 20 ℃) 이상인 고급 지방산인 이소스테아르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첩부제.
  2. 제 1 항에 있어서,
    그 고급 지방산의 배합량이 1 ∼ 10 중량% 인 수성 첩부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로서,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코올,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 배합한 것인 수성 첩부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알루미늄 화합물인 수성 첩부제.
  5. 삭제
KR1020147004139A 2011-07-21 2012-07-18 수성 첩부제 KR101938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59912 2011-07-21
JPJP-P-2011-159912 2011-07-21
PCT/JP2012/068189 WO2013012000A1 (ja) 2011-07-21 2012-07-18 水性貼付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560A KR20140049560A (ko) 2014-04-25
KR101938919B1 true KR101938919B1 (ko) 2019-01-15

Family

ID=47558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139A KR101938919B1 (ko) 2011-07-21 2012-07-18 수성 첩부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120956B2 (ko)
EP (1) EP2735308B1 (ko)
JP (1) JP5941466B2 (ko)
KR (1) KR101938919B1 (ko)
CN (1) CN103796646B (ko)
AU (1) AU2012284938B2 (ko)
CA (1) CA2842582C (ko)
ES (1) ES2705028T3 (ko)
TW (1) TWI513479B (ko)
WO (1) WO20130120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44944B2 (ja) * 2012-03-29 2017-06-07 興和株式会社 ロキソプロフェン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CN105473132B (zh) 2013-08-23 2019-01-29 久光制药株式会社 泥罨剂及其制造方法
EP3238717B1 (en) 2014-12-22 2019-08-28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Cataplasm
KR102471808B1 (ko) 2014-12-26 2022-11-28 카오카부시키가이샤 함수 겔 조성물
CN105380929A (zh) * 2015-11-23 2016-03-09 蚌埠丰原涂山制药有限公司 一种含洛索洛芬钠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6594937B2 (ja) * 2016-09-05 2019-10-23 久光製薬株式会社 シート状パック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066592A (ja) * 2018-10-24 2020-04-30 帝國製薬株式会社 水性貼付剤
CN114007594A (zh) * 2019-06-24 2022-02-01 帝国制药株式会社 水性贴剂
BR112022013896B1 (pt) * 2020-02-12 2023-03-14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Método de produção de composição de camada adesiva para produzir folha de refrigeração, método de produção de folha de refrigeração, e folha de refrigeraçã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6293A1 (en) 2004-06-07 2007-08-23 Jie Zha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hoto damaged ski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0512A (ja) * 1984-06-08 1985-12-23 Lion Corp パツプ剤
JPS60260513A (ja) * 1984-06-08 1985-12-23 Lion Corp パツプ剤
JPS60226808A (ja) 1985-03-11 1985-11-12 Watanabe Yakuhin Kogyo Kk シツプ薬
JPH066533B2 (ja) 1985-09-13 1994-01-26 日東電工株式会社 含水ゲル貼付剤の基剤
JPH06260512A (ja) * 1993-01-14 1994-09-16 Toshiba Corp プロセスモニター用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JPH06219940A (ja) * 1993-01-27 1994-08-09 Shiseido Co Ltd 貼付剤
JP3031105B2 (ja) * 1993-03-08 2000-04-10 日本電気株式会社 電荷検出装置
JPH0789853A (ja) * 1993-09-24 1995-04-04 Shiseido Co Ltd 貼付剤
DE19950066A1 (de) * 1999-10-16 2001-04-26 Lohmann Therapie Syst Lts Transdermales therapeutisches System mit einem Gehalt an Tulobuterol-hydrochlorid zur Verabreichung des Bronchodilatators Tulobuterol über die Haut
JP2001122771A (ja) 1999-10-25 2001-05-08 Lion Corp 含水性膏体の製造方法
US20070196453A1 (en) * 2004-06-07 2007-08-23 Jie Zhang Two or more non-volatile solvent-contai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rmal delivery of drugs
JP2006001860A (ja) * 2004-06-16 2006-01-05 Shiseido Co Ltd 水難溶性薬物含有パップ剤
CN101879147B (zh) * 2010-06-21 2013-04-10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微生物流行病研究所 一种氯诺昔康水凝胶贴剂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6293A1 (en) 2004-06-07 2007-08-23 Jie Zha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hoto damaged sk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35308B1 (en) 2018-10-03
US9120956B2 (en) 2015-09-01
AU2012284938A1 (en) 2014-02-20
EP2735308A4 (en) 2015-04-08
TWI513479B (zh) 2015-12-21
CN103796646B (zh) 2016-06-22
JP5941466B2 (ja) 2016-06-29
EP2735308A1 (en) 2014-05-28
WO2013012000A1 (ja) 2013-01-24
ES2705028T3 (es) 2019-03-21
TW201311298A (zh) 2013-03-16
US20140171555A1 (en) 2014-06-19
KR20140049560A (ko) 2014-04-25
CN103796646A (zh) 2014-05-14
JPWO2013012000A1 (ja) 2015-02-23
AU2012284938B2 (en) 2017-01-19
CA2842582C (en) 2016-07-12
CA2842582A1 (en) 201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919B1 (ko) 수성 첩부제
KR102013478B1 (ko) 첩부제
KR101606950B1 (ko) 케토프로펜리신염을 함유하는 수성 첩부제
JPWO2019142940A1 (ja) 皮膚貼付用粘着シート
TWI825121B (zh) 黏著劑組合物及貼附劑
EP2494995A2 (en) Patch and patch preparation
WO1999036061A1 (fr) Plastifiant et timbre adhesif contenant ce plastifiant
JP5319950B2 (ja) 塩酸ブテナフィン含有水性貼付剤
EP3939661A1 (en) Patch
JP2008247807A (ja) ゲルパック材およびゲルパック材の製造方法
JPH06135828A (ja) 経皮吸収性製剤
JPH07223938A (ja) 貼付剤基剤
JP2887548B2 (ja) 使用性の改善された含水性皮膚外用貼付剤
JP2005314251A (ja) 医療用非架橋粘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医療用貼付材、ならびに医療用非架橋粘着剤の製造方法
KR102642707B1 (ko)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플라스타제 형태 카타플라스마제의 제조방법
JP4974535B2 (ja) 外用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4567998B2 (ja) 親水性粘着剤を用いた親水性皮膚外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親水性貼付剤
JP2008239497A (ja) 消炎鎮痛貼付剤
WO2022050056A1 (ja) 貼付剤、及びその製造方法
CN115315262A (zh) 贴剂
JPH1057468A (ja) 医療用粘着性組成物
TW202135830A (zh) 貼附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