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280B1 -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280B1
KR101903280B1 KR1020170039708A KR20170039708A KR101903280B1 KR 101903280 B1 KR101903280 B1 KR 101903280B1 KR 1020170039708 A KR1020170039708 A KR 1020170039708A KR 20170039708 A KR20170039708 A KR 20170039708A KR 101903280 B1 KR101903280 B1 KR 101903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tank
vehicle
bracket
longitudinal direction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3345A (ko
Inventor
시게루 사사키
마나부 후지이
?이치 시바사키
노리히데 하카마타
신스케 야노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3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60K15/07Mounting of tanks of ga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006Ga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60L50/72Constructional details of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17C13/084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small-sized storage vessels, e.g. compressed gas cylinders or bottles, disposable gas vessels, vessels adapted for automotive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118Multiple tanks, i.e. two or more separate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09Tan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fuels
    • B60K2015/03315Tan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fuels for hydro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2015/0634Arrangement of tanks the fuel tank is arranged below the vehicl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2015/0635Arrangement of tanks the fuel tank is arranged between th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2015/0638Arrangement of tanks the fuel tank is arranged in the rear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60K2015/0675Mounting of tanks allowing deflection movements of the tank in case of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04Shape cylindrical
    • F17C2201/0109Shape cylindrical with exteriorly curved end-pie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65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 F17C2270/0168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by vehicles
    • F17C2270/0178C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Abstract

차량(10)에 있어서: 차체(11); 원통 형상의 동체부(42)를 포함하는 탱크 본체(43)와, 상기 탱크 본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설치된 구금부를 갖는 가스 탱크(40); 상기 구금부를 상기 차체에 고정하는 브래킷(70); 및 상기 동체부의 외주면을 둘러싸서 상기 동체부를 상기 차체에 고정하는 밴드(60)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탱크는, 상기 길이 방향이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구금부에 설치된 피결합부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상기 가스 탱크의 상기 길이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걸림 결합부(85, 95)를 갖고, 상기 가스 탱크는, 상기 가스 탱크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가스 탱크의 타단부 중 상기 일단부에 있어서만 상기 가스 탱크의 상기 길이 방향의 움직임이 상기 걸림 결합부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가스 탱크(봄베)를 센터 터널 내에 배치하고, 봄베 지지 벨트를 사용하여 차체에 가스 탱크의 동체부를 고정한 차량이 알려져 있다.
가스 탱크의 차량 전후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봄베 지지 벨트와 가스 탱크의 동체부의 마찰력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여기서, 차량이 충돌하거나 차량이 급격하게 가감속하거나 하는 것 등에 기인하여 가스 탱크에 대하여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큰 외력이 가해질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가스 탱크의 차량에 있어서의 탑재 위치가 본래의 탑재 위치로부터 어긋날 가능성이 있다. 가스 탱크의 탑재 위치가 어긋나면, 차량을 구성하는 다른 부재에 가스 탱크가 닿는다. 또한, 가스 탱크의 길이 방향의 길이(탱크 길이)는, 설계 사양 등에 따라 다양한 값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차체에 가스 탱크를 고정할 때에 탱크 길이와 상관없이 차체에 가스 탱크를 고정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형태는, 차량에 있어서: 차체; 원통 형상의 동체부를 포함하는 탱크 본체와, 상기 탱크 본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설치된 구금부를 갖는 가스 탱크; 상기 구금부를 상기 차체에 고정하는 브래킷; 및 상기 동체부의 외주면을 둘러싸서 상기 동체부를 상기 차체에 고정하는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탱크는, 상기 길이 방향이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구금부에 설치된 피결합부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상기 가스 탱크의 상기 길이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걸림 결합부를 갖고, 상기 가스 탱크는, 상기 가스 탱크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가스 탱크의 타단부 중 상기 일단부에 있어서만 상기 가스 탱크의 상기 길이 방향의 움직임이 상기 걸림 결합부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브래킷에 의해 가스 탱크의 길이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차량이 충돌하거나 차량이 가감속하거나 하는 것에 기인하여 가스 탱크에 대하여 차량의 전후 방향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가스 탱크가 본래의 탑재 위치로부터 어긋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브래킷의 걸림 결합부는, 구금부의 피결합부와 걸림 결합하기 위하여,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피결합부의 위치는, 브래킷의 걸림 결합부의 위치에 대응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밴드는, 원통 형상의 동체부를 차체에 고정하는 부재이다. 이에 의해, 차량 전후 방향에 있어서 동체부가 위치하는 범위에서 밴드를 사용하여 동체부를 차체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차체에 가스 탱크를 고정할 때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차체에 가스 탱크를 고정할 때에, 가스 탱크의 탱크 길이와 상관없이 차체에 가스 탱크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스 탱크보다도 전방측과 후방측 중 어느 쪽에 위치하고, 길이 방향이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된 제2 가스 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구금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스 탱크의 타단부보다도 상기 제2 가스 탱크에 가까운 측에 위치해도 된다. 가스 탱크는, 충전물(예를 들어, 가스로서의 수소)이 충전되거나 충전물을 방출하거나 함으로써 팽창하거나 수축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브래킷은 가스 탱크의 길이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걸림 결합부를 갖고, 이 브래킷이 다른 가스 탱크에 가까운 측의 구금부를 차체에 고정한다. 이에 의해, 가스 탱크가 팽창하거나 수축하거나 하여 길이 방향의 가스 탱크의 길이가 변화한 경우에도, 다른 가스 탱크에 가스 탱크가 충돌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차체는, 차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플로어 패널을 갖고,
상기 플로어 패널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차실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가스 탱크가 배치된 센터 터널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 터널은, 제1 터널과,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널의 후단부에 접속되고,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2 터널을 갖고, 상기 동체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널의 위치에서 상기 밴드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밴드가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터널의 내부의 단면적은, 상기 제2 터널의 내부의 단면적보다도 커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2 터널의 내부보다도 큰 단면적을 갖는 제1 터널의 부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동체부를 둘러싸는 밴드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차체는, 차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플로어 패널을 갖고, 상기 플로어 패널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차실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가스 탱크가 배치된 센터 터널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 터널은, 제1 터널과,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널의 후단부에 접속되고,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2 터널을 갖고, 상기 밴드는, 상기 동체부를 주위 방향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된 밴드 본체와, 상기 동체부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밴드 본체를 조이는 밴드 본체 체결 부재를 갖고, 상기 동체부는, 상기 차량의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널의 위치에서 상기 밴드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밴드가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터널의 내부의 단면의 높이는, 상기 제2 터널의 내부의 단면의 높이보다도 높아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제1 터널의 내부 중 밴드가 위치하는 부분의 단면에 있어서의 높이는, 제2 터널의 내부 단면에 있어서의 높이보다도 높으므로, 밴드 본체 체결 부재를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구금부는, 상기 탱크 본체에 삽입 관통되고, 외부와 상기 탱크 본체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을 형성하는 구금 본체와, 상기 구금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연통 구멍을 개폐시키는 밸브를 갖고, 상기 피결합부는, 상기 구금 본체와 상기 밸브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의 상기 걸림 결합부는, 상기 구금 본체와 상기 밸브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상기 피결합부와 걸림 결합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걸림 결합부는, 구금 본체와 밸브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피결합부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가스 탱크의 길이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피결합부는, 제1 볼록부 또는 제1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의 상기 걸림 결합부는, 상기 제1 볼록부와 걸림 결합하는 제2 오목부 또는 상기 제1 오목부와 걸림 결합하는 제2 볼록부를 포함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피결합부를 볼록부 또는 오목부, 걸림 결합부를 오목부 또는 볼록부라는 단순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피결합부와 걸림 결합부를 걸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제1 볼록부와 상기 제2 오목부 사이 또는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볼록부 사이에 배치된 완충 부재를 더 가져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피결합부와 걸림 결합부가 충돌하여 파손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구금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금부를 끼워 넣고, 상기 걸림 결합부를 갖는 브래킷 본체와, 상기 브래킷 본체를 상기 차체에 고정하는 체결 부재를 가져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브래킷 본체에 의해 구금부의 길이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체결 부재에 의해 구금부를 차체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상기 가스 탱크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 중 상기 동체부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상기 구금부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둘러싸고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브래킷에 의해 탱크의 일단부측에 위치하는 구금부를 차체에 고정하고, 밴드에 의해, 동체부 중 동체부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구금부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둘러싸서 차체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가스 탱크가 기울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실현 가능하며, 예를 들어 상기한 차량 이외에, 가스 탱크의 차량에의 고정 방법 등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의 기술적 및 산업적 중요성, 특징, 이점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서 유사한 부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의 차량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차량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3은 플로어 패널의 개략도.
도 4는 제1 가스 탱크의 외관도.
도 5는 제2 가스 탱크의 외관도.
도 6은 제1 가스 탱크와 제2 가스 탱크의 배치 위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제1 가스 탱크의 배치 위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밴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6의 IX-IX 단면도.
도 10은 브래킷의 사시도.
도 11은 플로어 패널에 제1 가스 탱크를 고정한 상태를, 후방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12는 제1 브래킷 본체 및 제2 브래킷 본체와, 구금 본체의 걸림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제1 변형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4는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제2 변형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5는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제3 변형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6은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제4 변형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7은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제5 변형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8은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제6 변형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9는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제7 변형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0은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제8 변형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1은 고정 방법의 제2 구체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2는 고정 방법의 제2 구체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3은 브래킷의 제2 변형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4a는 노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4b는 노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5는 노치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브래킷의 제3 변형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오목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A.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의 차량(1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차량(10)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플로어 패널(12)의 개략도이다. 도 1에는 차량(10)의 전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FRD와, 차량(10)의 높이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HLD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에는 화살표 FRD와, 차량(10)의 폭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BD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에는 화살표 FRD, 화살표 HLD, 화살표 BD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후의 도면에 있어서도 필요에 따라, 화살표 FRD, 화살표 HLD, 화살표 BD를 도시하고 있다. 전후 방향 FRD 중 화살표 FD는 차량(10)의 전방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RD는 차량(10)의 후방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높이 방향 HLD 중 화살표 HD는 차량(10)의 상측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LD는 차량(10)의 하측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는, 차량(10)의 폭 방향 BD의 중앙 위치에서의, 차량(10)의 전방 방향 FD 및 후방 방향 RD를 따른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서는, 차량(10)을 상측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며 내부의 일부 구조도 도시하고 있다.
차량(10)(도 1, 도 2)은, 1쌍의 전륜 FW와, 1쌍의 후륜 RW와, 모터 M과, 차체(11)와, 프레임(18)과, 전력원으로서의 연료 전지(19)와, 제1 가스 탱크(40)와, 제2 가스 탱크(50)를 구비한다. 차량(10)은 연료 전지(19)를 전력원으로서 탑재하는 연료 전지 차량이다. 차량(10)은 연료 전지(19)로부터 발생하는 전력에 의해 모터 M을 구동함으로써, 후륜 RW를 구동시킨다.
차체(11)는 차량(10)의 본체를 형성한다. 차체(11)는 차실(15)의 천장면을 형성하는 루프 패널(17)(도 1)과, 차실(15)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플로어 패널(12)(도 3)을 포함한다. 차실(15) 내에는, 2개의 전방 좌석(152)(도 1에서는 1개만 도시)과, 3개의 후방 좌석(153)(도 1에서는 1개만 도시)이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18)은 차체(11)를 지지한다. 프레임(18)은 판 형상의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8)은, 예를 들어 사이드 멤버이다. 프레임(18)에는 플로어 패널(12)이 설치되어 있다.
연료 전지(19)는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이다. 연료 전지(19)는 연료 가스인 수소와 산화제 가스인 공기가 공급되어 발전한다. 연료 전지(19)는 차량(10)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프론트 룸(110)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론트 룸(110)은 차실(15)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한다.
제1 가스 탱크(40) 및 제2 가스 탱크(50)는, 배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연료 전지(19)에 접속되어 있다. 제1 가스 탱크(40) 및 제2 가스 탱크(50)는, 연료 전지(19)에 공급하기 위한 수소를 고압으로 저류한다. 제1 가스 탱크(40) 및 제2 가스 탱크(50)는 플로어 패널(12)보다도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플로어 패널(12)(도 3)은, 제1 플로어 패널(121)과, 제1 플로어 패널(121)에 접속된 제2 플로어 패널(124)을 갖는다. 제1 플로어 패널(121)은, 제2 플로어 패널(124)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한다.
제1 플로어 패널(121)은 폭 방향 BD 양측에 위치하고 전방 좌석(152)이 설치되는 2개의 본체부(125)와, 폭 방향 BD에 있어서 2개의 본체부(125) 사이에 위치하는 센터 터널(20)을 갖는다. 본체부(125)는 대략 수평한 부재이다.
센터 터널(20)은 본체부(125)로부터 상측(차실(15)측)으로 돌출된다. 센터 터널(20)은, 제1 플로어 패널(121) 중 차량(10)의 폭 방향 BD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센터 터널(20)은 차량(10)의 전후 방향 FRD로 연장된다. 센터 터널(20)은 본체부(125)로부터 상승되는 2개의 측부(232)와, 2개의 측부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센터 터널(2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231)를 갖는다. 센터 터널(20)은 높이 방향 HLD에 있어서 상부(231)와 대향하는 측은 개구되어 있다. 센터 터널(20)의 내부에는 제1 가스 탱크(40)가 배치되어 있다.
센터 터널(20)은, 제1 터널(22)과, 제2 터널(24)을 갖는다. 제1 터널(22)은,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향함에 따라 내부의 높이(22H)가 낮아진다. 또한, 제1 터널(22)은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향함에 따라 폭(22W)이 좁아진다. 제2 터널(24)은 제1 터널(22)의 후단부에 접속되고, 후방 방향 RD측으로 연장된다. 제2 터널(24)의 내부 높이(24H) 및 폭(24W)은 일정하다. 제1 터널(22)의 높이(22H)는 제2 터널(24)의 높이(24H)보다도 높다. 또한, 제1 터널(22)의 폭(22W)은 제2 터널(24)의 폭(24W)보다도 크다.
제2 플로어 패널(124)은 단차(127)에 의해 제1 플로어 패널(121)의 본체부(125)보다도 상측(차실(15)측)에 위치한다. 제2 플로어 패널(124)의 하측에는 제2 가스 탱크(50)가 배치되어 있다. 제2 플로어 패널(124)이 상면을 형성하는 제2 가스 탱크(50)가 배치되는 부분을, 제2 가스 탱크 배치부(30)라고도 칭한다. 또한, 제2 플로어 패널(124)은,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밴드(후술)가 고정되는 고정 벽(도시하지 않음)을 갖는다.
도 4는 제1 가스 탱크(40)의 외관도이다. 도 4에는 제1 가스 탱크(40)의 축선 AX1을 도시하고 있다. 제1 가스 탱크(40)는, 탱크 본체(43)와, 제1 구금부(47)와, 제2 구금부(49)를 구비한다. 제1 가스 탱크(40)의 길이 방향 PD1은 지면 좌우 방향이다.
탱크 본체(43)는 내부에 차량(10)(상세하게는 연료 전지(19))의 연료가 되는 수소를 저류한다. 탱크 본체(43)는 동체부(42)와, 제1 돔부(44)와, 제2 돔부(48)를 구비한다.
동체부(42)는 길이 방향 PD1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제1 돔부(44)는 길이 방향 PD1에 있어서 동체부(42)의 일단부에 접속된 반구 형상의 부재이다. 제1 돔부(44)는 동체부(42)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직경 축소되어 있다. 제2 돔부(48)는 길이 방향 PD1에 있어서 동체부(42)의 타단부에 접속된 반구 형상의 부재이다. 제2 돔부(48)는 동체부(42)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직경 축소되어 있다.
제1 구금부(47)는 제1 돔부(44)의 정상부에 위치한다. 즉, 제1 구금부(47)는 길이 방향 PD1에 있어서 제1 가스 탱크(40)의 일단부에 위치한다. 제1 구금부(47)는 구금 본체(45)와, 밸브(46)를 갖는다. 구금 본체(45)는 탱크 본체(43)의 일단부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 관통되고, 외부와 탱크 본체(43)의 내부(402)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45H)을 형성한다. 밸브(46)는 구금 본체(45)에 삽입 관통되어 구금 본체(45)에 설치되어 있다. 밸브(46)는 연통 구멍(45H)을 개폐시킨다. 구금 본체(45) 중 탱크 본체(4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의 외주면에는, 주위 방향에 걸쳐 연장되는 피결합부로서의 볼록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41)는 구금 본체(45)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제2 구금부(49)는 제2 돔부(48)의 정상부에 위치한다. 즉, 제2 구금부(49)는 길이 방향 PD1에 있어서 제1 가스 탱크(40)의 타단부에 위치한다. 제2 구금부(49)는 탱크 본체(43)의 타단부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제2 구금부(49)에는 탱크 본체(43)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5는 제2 가스 탱크(50)의 외관도이다. 도 5에는 제2 가스 탱크(50)의 축선 AX2를 도시하고 있다. 제2 가스 탱크(50)와 제1 가스 탱크(40)(도 4)의 상이한 점은, 제2 가스 탱크(50)의 구금 본체(55)에는 볼록부(4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이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가스 탱크(40)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과 함께 설명을 생략한다. 구금 본체(55)는 탱크 본체(43)의 일단부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 관통되고, 탱크 본체(43)의 외부와 내부(402)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45H)을 형성한다. 또한, 화살표 PD2는 제2 가스 탱크(50)의 길이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제1 가스 탱크(40)와 제2 가스 탱크(50)의 배치 위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 가스 탱크(40)의 배치 위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차량(10)을 하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모식도이다. 도 7은 제1 가스 탱크(40)가 배치된 센터 터널(20)을 차량(10)의 폭 방향 BD로부터 본 단면 모식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 터널(20)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 PD1이 차량(10)의 전후 방향 FRD와 평행해지도록 제1 가스 탱크(40)가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가스 탱크 배치부(30)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 PD2가 차량(10)의 폭 방향 BD와 평행해지도록 제2 가스 탱크(50)가 배치되어 있다. 제2 가스 탱크(50)는, 제1 가스 탱크(40)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한다. 또한, 차량(10)의 높이 방향 HLD에 있어서, 제1 가스 탱크(40)와 제2 가스 탱크(50)는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가스 탱크(40)는, 브래킷(70)과 밴드(60)에 의해, 차체(11)를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12)에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70)은, 제1 가스 탱크(40)의 길이 방향 PD1의 양단부 중 제2 가스 탱크(50)에 가까운 측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1 구금부(47)를 플로어 패널(12)에 고정한다.
밴드(60)는 동체부(42)를 둘러싸서 보유 지지한 상태로 플로어 패널(12)에 고정한다. 밴드(60)는, 동체부(42) 중 제1 가스 탱크(40)의 길이 방향 PD1에 있어서, 동체부(42)의 중앙 CP보다도 제1 가스 탱크(40)의 타단부측(도 6의 지면 좌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둘러싼다. 즉, 밴드(60)는, 길이 방향 PD1에 있어서, 동체부(42) 중 중앙 CP를 사이에 두고 제1 구금부(47)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둘러싼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 FRD에 있어서, 동체부(42)는 제1 터널(22)의 위치에서 밴드(60)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제2 가스 탱크(50)(도 6)는 2개의 밴드(60)에 의해, 차체(11)를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12)에 고정되어 있다. 2개의 밴드(60)는, 제2 가스 탱크(50)의 동체부(42)에 있어서, 길이 방향 PD2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8은 밴드(60)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IX-IX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사용하여 밴드(6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한다.
밴드(60)는, 동체부(42)의 외주면을 둘러싸서 보유 지지한 상태로 동체부(42)를 플로어 패널(12)에 고정한다. 밴드(60)(도 8)는, 제1 상측 밴드 본체(61)와, 제2 상측 밴드 본체(62)와, 하측 밴드 본체(64)와, 밴드 본체 체결 부재(63)와, 제1 내지 제4 체결 부재(170a 내지 170d)(도 9)를 구비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상측 밴드 본체(61)와 제2 상측 밴드 본체(62)와 하측 밴드 본체(64)는, 동체부(42)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동체부(42)를 보유 지지하고 있다. 제1 상측 밴드 본체(61)와 제2 상측 밴드 본체(62)는 각각 하측 밴드 본체(64)보다도 상측에 위치한다. 제1 상측 밴드 본체(61)와 제2 상측 밴드 본체(62)에 의해 동체부(42)의 상측 부분을 둘러싸고, 하측 밴드 본체(64)에 의해 동체부(42)의 하측 부분을 둘러싸고 있다.
제1 상측 밴드 본체(61)와 제2 상측 밴드 본체(62)와 하측 밴드 본체(64)는 각각 강 등의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상측 밴드 본체(61)와 제2 상측 밴드 본체(62)와 하측 밴드 본체(64)는 각각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체결 부재(170a 내지 170d)는 각각 볼트(171)와 너트(173)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상측 밴드 본체(61)는 동체부(42)의 외주면의 일부에 대하여 주위 방향을 따라 접촉하는 밴드 본체부(612)와, 밴드 본체부(612)의 일단부에 접속된 제1 체결부(614)와, 밴드 본체부(612)의 타단부에 접속된 제2 체결부(615)를 갖는다. 제1 체결부(614)에는 제2 체결 부재(170b)의 볼트(171)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 h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체결부(615)에는 밴드 본체 체결 부재(63)가 갖는 볼트(631)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 he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상측 밴드 본체(62)는 동체부(42)의 외주면의 다른 일부에 대하여 주위 방향을 따라 접촉하는 밴드 본체부(622)와, 밴드 본체부(622)의 일단부에 접속된 제1 체결부(624)와, 밴드 본체부(622)의 타단부에 접속된 제2 체결부(625)를 갖는다. 제1 체결부(624)에는 제3 체결 부재(170c)의 볼트(171)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 hc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체결부(625)에는 밴드 본체 체결 부재(63)가 갖는 볼트(631)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 he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체결부(615)의 관통 구멍 he와 제2 체결부(625)의 관통 구멍 he는, 차량(10)의 폭 방향 BD를 대향한다.
하측 밴드 본체(64)는, 동체부(42)의 하측 부분이 배치되는 프레임 본체부(641)와, 프레임 본체부(641)의 일단부에 접속된 제1 하측 밴드 체결부(645)와, 프레임 본체부(641)의 타단부에 접속된 제2 하측 밴드 체결부(646)를 갖는다. 프레임 본체부(641)는 저면을 형성하고, 폭 방향 BD가 연장되는 프레임 저부(642)와, 폭 방향 BD에 있어서 프레임 저부(642)의 양단부에 접속되고, 양단부로부터 상승되는 1쌍의 경사부(643)를 갖는다. 프레임 저부(642)와 경사부(643)는, 동체부(42)의 하측 부분과 접촉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 저부(642) 및 경사부(643)와, 동체부(42) 사이에 고무 부재나 접시 스프링 등의 완충 부재를 배치해도 된다.
높이 방향 HLD에 있어서, 제1 하측 밴드 체결부(645)는 제1 상측 밴드 본체(61)의 제1 체결부(614)와 대향한다. 제1 하측 밴드 체결부(645)에는 제1 체결 부재(170a)의 볼트(171)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 ha와, 제2 체결 부재(170b)의 볼트(171)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 hb가 형성되어 있다. 높이 방향 HLD에 있어서, 제2 하측 밴드 체결부(646)는 제2 상측 밴드 본체(62)의 제1 체결부(624)와 대향한다. 제2 하측 밴드 체결부(646)에는 제3 체결 부재(170c)의 볼트(171)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 hc와, 제4 체결 부재(170d)의 볼트(171)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 hd가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상측 밴드 본체(61)의 제1 체결부(614)와 하측 밴드 본체(64)의 제1 하측 밴드 체결부(645)는, 제2 체결 부재(170b)(볼트(171)와 너트(173))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또한, 제2 상측 밴드 본체(62)의 제1 체결부(624)와 하측 밴드 본체(64)의 제2 하측 밴드 체결부(646)는, 제3 체결 부재(170c)(볼트(171)와 너트(173))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하측 밴드 본체(64)의 제1 하측 밴드 체결부(645)와 플로어 패널(12)의 본체부(125)는, 제1 체결 부재(170a)(볼트(171)와 너트(173))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하측 밴드 본체(64)의 제2 하측 밴드 체결부(646)와 플로어 패널(12)의 본체부(125)는, 제4 체결 부재(170d)(볼트(171)와 너트(173))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밴드 본체 체결 부재(63)(도 8)는 제1 상측 밴드 본체(61)의 제2 체결부(615)와 제2 상측 밴드 본체(62)의 제2 체결부(625)를 서로 고정하고, 제1 상측 밴드 본체(61)와 제2 상측 밴드 본체(62)를 조인다. 밴드 본체 체결 부재(63)는 동체부(42)보다도 상측에 위치한다. 밴드 본체 체결 부재(63)는 코일 스프링(636)과, 코일 스프링받이(635)와, 볼트(631)와, 너트(633)(도 9)를 갖는다.
코일 스프링(636)은 압축 상태로 배치되고, 제1 상측 밴드 본체(61)의 제2 체결부(615)와 제2 상측 밴드 본체(62)의 제2 체결부(625)를 체결하기 위한 가압력을 발생시킨다. 코일 스프링(636)의 일단부는 코일 스프링받이(635)에 맞닿고, 코일 스프링(636)의 타단부는 제2 상측 밴드 본체(62)의 제2 체결부(625)에 맞닿아 있다. 볼트(631)의 축부(631b)는, 제1 상측 밴드 본체(61)의 제2 체결부(615)와, 제2 상측 밴드 본체(62)의 제2 체결부(625)와, 코일 스프링받이(635)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볼트(631)의 헤드부(631a)는, 제1 상측 밴드 본체(61)의 제2 체결부(615)에 맞닿는다. 너트(633)는 코일 스프링받이(635)를 통해 코일 스프링(636)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볼트(631)의 축부(631b)에 체결된다. 이에 의해, 제1 상측 밴드 본체(61)의 제2 체결부(615)와 제2 상측 밴드 본체(62)의 제2 체결부(625)가 근접하여, 제1 상측 밴드 본체(61)와 제2 상측 밴드 본체(62)와 하측 밴드 본체(64)에 의해 동체부(42)를 둘러싸는 영역이 작아진다. 동체부(42)를 둘러싸는 영역이 작아짐으로써 제1 상측 밴드 본체(61)와 제2 상측 밴드 본체(62)와 하측 밴드 본체(64)에 의해 동체부(42)가 체결되어 보유 지지된다. 밴드(60)는 길이 방향 PD1의 제1 가스 탱크(40)의 움직임을 마찰력에 의해 규제한다.
여기서, 동체부(42)의 직경은, 탱크 본체(43)의 내압이 변화함으로써 팽창하거나 축소하거나 한다. 동체부(42)의 직경 변화에 따라 코일 스프링(636)의 압축 정도가 변화함으로써, 제1 상측 밴드 본체(61)의 제2 체결부(615)와 제2 상측 밴드 본체(62)의 제2 체결부(625)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밴드(60)에 의한 동체부(42)의 체결력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터널(22)의 내부 중 밴드(60)가 위치하는 부분의 높이(22Ha)는, 제2 터널(24)의 내부 높이(24H)(도 3)보다도 높다. 또한, 제1 터널(22)의 내부 중 밴드(60)가 위치하는 부분의 폭(22Wa)은, 제2 터널(24)의 폭(24W)(도 3)보다도 크다. 또한, 전후 방향 FRD와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제1 터널(22)의 내부 중 밴드(60)가 위치하는 직사각 형상 부분의 단면적은, 제2 터널(24)의 내부(직사각 형상 부분)의 단면적보다도 크다. 여기서, 제1 터널(22)의 내부의 단면적은, 2개의 측부(232)의 하측단부를 직선으로 연결한 경우에 형성되는 폐쇄 영역의 면적이다. 또한, 제2 터널(24)의 내부의 단면적도 마찬가지로 폐쇄 영역의 면적이다.
도 10은 브래킷(70)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플로어 패널(12)에 제1 가스 탱크(40)를 고정한 상태를, 후방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브래킷(70)(도 11)은 차량(1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2 터널(24)의 위치에서, 제1 가스 탱크(40)의 제1 구금부(47)를 둘러싼 상태로 플로어 패널(12)에 제1 구금부(47)를 고정한다. 브래킷(70)은 제1 브래킷 본체(80)와 제2 브래킷 본체(90)와 제1 내지 제4 체결 부재(180a 내지 180d)를 갖는다. 제1 내지 제4 체결 부재(180a 내지 180d)는 각각 볼트(181)와 너트(183)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브래킷 본체(80)와 제2 브래킷 본체(90)는 각각 강 등의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브래킷 본체(80)와 제2 브래킷 본체(90)는 각각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브래킷 본체(80)는 구금 본체(45)(도 4)를 상측으로부터 누르고, 제2 브래킷 본체(90)는 구금 본체(45)를 하측으로부터 누름으로써, 구금 본체(45)가 보유 지지된다. 즉, 제1 브래킷 본체(80)와 제2 브래킷 본체(90)는, 구금 본체(45)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구금 본체(45)를 끼워 넣어 보유 지지한다.
제1 브래킷 본체(80)(도 10)는, 만곡부(81)와, 기단부(82)와, 선단부(83)를 구비한다. 만곡부(81)는 구금 본체(45)의 외주면을 따라 만곡되어 있다. 기단부(82)는 만곡부(81)의 만곡 방향을 따른 일단부로부터 제1 가스 탱크(4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기단부(82)는 플로어 패널(12)의 본체부(125)에 고정된다. 선단부(83)는 만곡부(81)의 만곡 방향을 따른 타단부로부터 제1 가스 탱크(4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브래킷 본체(90)도 제1 브래킷 본체(80)와 마찬가지로, 만곡부(91)와, 기단부(92)와, 선단부(93)를 구비한다.
만곡부(81, 91)의 각각의 내주면에는, 걸림 결합부로서의 오목부(85, 9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85)는, 만곡부(81)의 내주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되어 있다. 오목부(95)는, 만곡부(91)의 내주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되어 있다. 오목부(85)는, 만곡부(81)의 주위 방향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95)는, 만곡부(91)의 주위 방향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85, 95)는, 구금 본체(45)의 볼록부(41)와 끼워맞춰 걸림 결합함으로써 제1 가스 탱크(40)의 길이 방향 PD1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오목부(85, 95)와 볼록부(41)의 걸림 결합에 관한 상세는 후술한다.
기단부(82, 92)에는, 제1, 제2 체결 부재(180a, 180b)가 각각 갖는 볼트(181)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 hA, hB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 hA, hB는, 기단부(82, 92)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다. 선단부(83, 93)에는, 제3, 제4 체결 부재(180c, 180d)가 각각 갖는 볼트(181)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 hC, hD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 hC, hD는 선단부(83, 93)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다. 기단부(82, 92)(도 11)는, 높이 방향 HLD로 겹쳐진 상태로, 제1, 제2 체결 부재(180a, 180b)의 볼트(181)와 너트(183)에 의해 본체부(125)에 고정된다. 선단부(83, 93)는 높이 방향 HLD로 겹쳐진 상태로, 제3, 제4 체결 부재(180b, 180d)의 볼트(181)와 너트(183)에 의해 본체부(125)에 고정된다. 기단부(82, 92)나 선단부(83, 93)의 두께 방향은, 차량(10)의 높이 방향 HLD와 동일하다.
도 12는 제1 브래킷 본체(80) 및 제2 브래킷 본체(90)와, 구금 본체(45)의 걸림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제1, 제2 브래킷 본체(80, 90)에 대해서는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2에서는, 고무 부재 G1, G2에 대해서도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구금 본체(45)의 볼록부(41)와 제1 브래킷 본체(80)의 오목부(85) 사이에는 완충 부재로서의 고무 부재 G1이 배치되고, 구금 본체(45)의 볼록부(41)와 제2 브래킷 본체(90)의 오목부(95) 사이에는 완충 부재로서의 고무 부재 G2가 배치되어 있다. 볼록부(41)와 오목부(85)는 고무 부재 G1을 통해 끼워맞춰 걸림 결합하고 있다. 볼록부(41)와 오목부(95)는 고무 부재 G2를 통해 끼워맞춰 걸림 결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볼록부(41)와 오목부(85, 95)가 끼워맞춰 걸림 결합함으로써, 플로어 패널(12)에 대한 제1 가스 탱크(40)의 길이 방향 PD1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있다.
고무 부재 G1은, 오목부(85)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내측면과 내저면과, 볼록부(41)의 양측면과 정상면 사이에 개재하고 있다. 고무 부재 G2도 마찬가지이다. 고무 부재 G1은, 볼록부(41)와 오목부(85)에 의해 끼워지기 전의 상태에서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얇은 판 형상이다. 볼록부(41)와 오목부(85)에 의해 끼워짐으로써, 고무 부재 G1은 탄성 변형됨으로써, 볼록부(41)와 오목부(85)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변형되어 있다. 고무 부재 G2, 볼록부(41), 오목부(9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고무 부재 G1, G2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볼록부(41)에 대응하도록, 한쪽 면에 오목부 형상의 홈이 형성된 형상이어도 된다.
고무 부재 G1, G2를 가짐으로써, 제1 가스 탱크(40)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진 경우라도, 고무 부재 G1, G2가 탄성 변형되어 충격 등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고무 부재 G1, G2를 가짐으로써, 볼록부(41)와 오목부(85, 95)가 충돌하여 파손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고무 부재 G1, G2는 판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고무 부재 G1, G2는, 볼록부(41)의 외주면을 따른 성형품이어도 된다. 성형품은, 반원 형상의 2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링 형상의 일체 성형품으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고무 부재 G1, G2를 볼록부(41)의 외주면을 따른 성형품으로 함으로써, 고무 부재 G1, G2가 마모되거나 하는 등의 경우에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밸브(46)의 작동음이나 기류음이 브래킷(70)을 경유하여 플로어 패널(12) 등의 차체로 진동 전달되어, 노이즈가 차실(15) 내에 울리는 경우가 있다. 고무 부재 G1, G2를 볼록부(41)의 외주면을 따른 성형품으로 함으로써, 판 형상의 부재에 비하여 차량(10)에의 조립 전과 조립 후에 있어서 형상이 크게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무 부재 G1, G2의 특성을 고정밀도로 발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감쇠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고무 부재 G1, G2를 차량(10)에 조립할 수 있다.
또한, 고무 부재 G1, G2가 감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고무 경도나 형상을 최적화해도 된다. 예를 들어, 진동 전달의 정도가 큰 차량(10)의 경우에는, 브래킷(70)에 의해 구금 본체(45)를 보유 지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고무 경도를 낮게 설계한다. 고무 경도가 낮을수록 큰 감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진동 전달의 정도가 큰 차량(10)의 경우에는, 고무 부재 G1, G2를 오목부(85, 95)와 볼록부(41) 사이의 공간 전체에 충전시키는 것이 아니고, 공간의 일부에만 고무 부재 G1, G2를 배치해도 된다. 즉, 오목부(85, 95)와 볼록부(41) 사이에는 고무 부재 G1, G2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간극이 생긴다. 이에 의해, 큰 감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고무 부재 G1, G2 중 볼록부(41)와 접하는 부분이나 오목부(85, 95)와 접하는 부분을 가황해도 된다. 이에 의해, 고무 부재 G1, G2와 볼록부(41)의 밀착의 정도나, 고무 부재 G1, G2와 오목부(85, 95)의 밀착의 정도가 높아지므로, 고무 부재 G1, G2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브래킷(70)은 제1 구금부(47)의 볼록부(41)와 끼워맞춰 걸림 결합함으로써 제1 가스 탱크(40)의 길이 방향 PD1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오목부(85)를 갖는다(도 12).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차량(10)이 충돌하거나 차량(10)이 가감속하거나 하는 것에 기인하여 제1 가스 탱크(40)에 대하여 차량(10)의 전후 방향 FRD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제1 가스 탱크(40)가 본래의 탑재 위치로부터 어긋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볼록부(41)와 오목부(85)라는 단순한 구성에 의해, 볼록부(41)와 오목부(85)를 걸림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브래킷(70)의 오목부(85, 95)는 제1 가스 탱크(40)의 제1 구금부(47)의 볼록부(41)와 걸림 결합하기 위하여, 차량(10)의 전후 방향 FRD에 있어서의 오목부(85, 95)의 위치는, 브래킷(70)의 볼록부(41)의 위치에 대응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밴드(60)는 동체부(42)를 차체(11)에 고정하는 부재이다(도 8). 이에 의해, 차량(10)의 전후 방향 FRD에 있어서 동체부(42)가 위치하는 범위에서 밴드(60)를 사용하여 동체부(42)를 차체(11)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차체(11)에 제1 가스 탱크(40)를 고정할 때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차체(11)에 제1 가스 탱크(40)를 고정할 때에 탱크 길이와 상관없이 차체(11)에 제1 가스 탱크(40)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값의 탱크 길이를 갖는 제1 가스 탱크(40)를 차체(11)에 고정할 수 있다.
제1 가스 탱크(40)는, 수소가 충전되거나, 수소를 방출하거나 함으로써 팽창하거나 수축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브래킷(70)은 제1 가스 탱크(40)의 길이 방향 PD1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오목부(85, 95)를 갖고, 이 브래킷(70)이 제2 가스 탱크(50)에 가까운 측의 제1 구금부(47)를 차체(11)에 고정한다(도 6). 이에 의해, 제1 가스 탱크(40)가 팽창하거나 수축하거나 하여 길이 방향 PD1의 제1 가스 탱크(40)의 길이가 변화한 경우에도, 제1 구금부(47)의 길이 방향 PD1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가스 탱크(50)에 제1 가스 탱크(40)가 충돌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후 방향 FRD와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제1 터널(22)의 내부 중 밴드(60)가 위치하는 부분의 단면적은, 제2 터널(24)의 내부의 단면적보다도 크다(도 6, 도 7, 도 9). 이에 의해, 제1 터널(22)의 제2 터널(24)의 내부보다도 큰 단면적을 갖는 부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동체부(42)를 둘러싸는 밴드(60)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전후 방향 FRD와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제1 터널(22)의 내부 중 밴드(60)가 위치하는 부분의 단면에 있어서의 높이(22Ha)는, 제2 터널(24)의 내부 단면에 있어서의 높이(24H)보다도 높다(도 3, 도 9). 따라서, 동체부(42)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밴드 본체 체결 부재(63)를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브래킷(70)에 의해 제1 가스 탱크(40)의 일단부측에 위치하는 제1 구금부(47)를 플로어 패널(12)에 고정하고, 밴드(60)에 의해 동체부(42) 중 중앙 CP를 사이에 두고 제1 구금부(47)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둘러싼 상태로 플로어 패널(12)에 고정하고 있다(도 6). 이에 의해, 제1 가스 탱크(40)가 높이 방향 HLD로 기울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가스 탱크(40), 제1 구금부(47), 제2 가스 탱크(50)가 각각 과제의 해결 수단에 기재된 「가스 탱크」, 「구금부」, 「다른 가스 탱크」에 상당한다. 또한, 제1 상측 밴드 본체(61)와, 제2 상측 밴드 본체(62)와, 하측 밴드 본체(64)가, 과제의 해결 수단에 기재된 「밴드 본체」에 상당한다.
B. 브래킷(70)의 걸림 결합부와 구금 본체의 피결합부의 변형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브래킷(70)은 걸림 결합부로서의 오목부(85, 95)를 갖고, 구금 본체(45)는 피결합부로서의 볼록부(41)를 갖고 있었지만(도 12), 걸림 결합함으로써 제1 가스 탱크(40)의 길이 방향 PD1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는 형태라면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 브래킷(70)의 걸림 결합부와, 구금 본체(45)의 피결합부에 관한 변형 형태를 설명한다.
B-1.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제1 변형 형태: 도 13은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제1 변형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과 함께 설명을 생략한다.
제1 구금부(47a)의 구금 본체(45a)는, 구금 본체(45a)의 주위 방향에 걸쳐 연장된 볼록부(413, 415)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413, 415)는 길이 방향 PD1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볼록부(413, 415) 사이에 피결합부로서의 오목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70a)의 제1 브래킷 본체(80a)가 갖는 만곡부(81)에는, 구금 본체(45a)를 향하여 돌출된 걸림 결합부로서의 볼록부(85a)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브래킷 본체(90a)의 만곡부(91)에도 마찬가지로 걸림 결합부로서의 볼록부(95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1a)는 볼록부(85a, 95a)의 형상과 대응하고 있다. 오목부(41a)와 볼록부(85a, 95a)는, 고무 부재 G1, G2를 통해 끼워맞춰 걸림 결합하고 있다. 오목부(41a)와 볼록부(85a, 95a)에 의해 제1 가스 탱크(40)의 길이 방향 PD1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다.
B-2.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제2 변형 형태: 도 14는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제2 변형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과 함께 설명을 생략한다.
제1 구금부(47b)는, 구금 본체(45b)의 외주면에 고정된 링 형상의 링 부재(105)를 갖는다. 링 부재(105)는, 구금 본체(45b)와는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 링 부재(105)의 외주면에는, 주위 방향에 걸쳐 연장된 피결합부로서의 오목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15)는, 걸림 결합부로서의 볼록부(85a, 95a)의 형상과 대응하고 있다. 오목부(115)와 볼록부(85a, 95a)는, 고무 부재 G1, G2를 통해 끼워맞춰 걸림 결합하고 있다. 오목부(115)와 볼록부(85a, 95a)에 의해 제1 가스 탱크(40)의 길이 방향 PD1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다.
B-3.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제3 변형 형태: 도 15는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제3 변형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과 함께 설명을 생략한다.
제1 구금부(47ba)는 구금 본체(45b)의 외주면에 고정된 링 형상의 링 부재(105a)를 갖는다. 즉, 피결합부로서의 링 부재(105a)는 구금 본체(45b)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볼록부로서 파악할 수 있다. 링 부재(105a)는 오목부(85, 95)의 형상과 대응하고 있다. 링 부재(105a)와 오목부(85, 95)는, 고무 부재 G1, G2를 통해 끼워맞춰 걸림 결합하고 있다. 링 부재(105a)와 오목부(85, 95)에 의해 제1 가스 탱크(40)의 길이 방향 PD1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링 부재(105, 105a)(도 14, 도 15)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반원 형상의 2개의 부재를 조합하여 링 형상의 부재로 해도 된다. 반원 형상의 2개의 부재를 제1 브래킷 본체(80)와 제2 브래킷 본체(90)에 의해 끼워 넣음으로써 링 형상의 부재 위치를 고정한다. 링 부재(105, 105a)를 반원 형상의 2개의 부재로 형성함으로써 밸브(46)가 구금 본체(45b)에 설치된 상태라도, 링 부재(105, 105a)를 구금 본체(45b)에 설치하거나, 제거하거나 할 수 있다.
B-4.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제4 변형 형태: 도 16은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제4 변형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6은 도 12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과 함께 설명을 생략한다. 제4 변형 형태에서는, 피결합부로서의 볼록부(41b)가 밸브(46a)에 설치되어 있다.
제1 구금부(47bb)가 갖는 밸브(46a)의 외주면에는, 주위 방향에 걸쳐 연장되는 피결합부로서의 볼록부(41b)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41b)는, 밸브(46a)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브래킷(70b)이 갖는 제1 브래킷 본체(80b)의 만곡부(81b)의 내주면에는 걸림 결합부로서의 오목부(85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브래킷 본체(90b)의 만곡부(91b)의 내주면에는 걸림 결합부로서의 오목부(95b)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41b)는 오목부(85b, 95b)의 형상과 대응하고 있다. 볼록부(41b)와 오목부(85b, 95b)는, 고무 부재 G1, G2를 통해 끼워맞춰 걸림 결합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볼록부(41b)와 오목부(85b, 95b)에 의해 제1 가스 탱크(40)의 길이 방향 PD1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다.
B-5.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제5 변형 형태: 도 17은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제5 변형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7은 도 12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과 함께 설명을 생략한다. 제5 변형 형태에서는, 피결합부로서의 오목부(41c)가 밸브(46b)에 설치되어 있다.
제1 구금부(47bc)의 밸브(46b)의 외주면에는 주위 방향에 걸쳐 연장되는 피결합부로서의 오목부(41c)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1c)는 밸브(46b)의 외주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되어 있다. 브래킷(70c)이 갖는 제1 브래킷 본체(80c)의 만곡부(81c)에는 내주면으로부터 밸브(46b)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걸림 결합부로서의 볼록부(85c)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브래킷 본체(90c)의 만곡부(91c)에는, 내주면으로부터 밸브(46b)를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 결합부로서의 볼록부(95c)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1c)는 볼록부(85c, 95c)의 형상과 대응하고 있다. 오목부(41c)와 볼록부(85c, 95c)는, 고무 부재 G1, G2를 통해 끼워맞춰 걸림 결합하고 있다. 오목부(41c)와 볼록부(85c, 95c)에 의해 제1 가스 탱크(40)의 길이 방향 PD1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다.
B-6.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제6 변형 형태: 도 18은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제6 변형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8은 도 12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과 함께 설명을 생략한다.
볼록부(41)와 오목부(85) 사이에는 2개의 고무 부재 G1a, G1b가 개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85)의 한쪽 내측면과 볼록부(41)의 한쪽 외측면 사이에 고무 부재 G1a가 개재하고, 오목부(85)의 다른 쪽 내측면과 볼록부(41)의 다른 쪽 외측면 사이에 고무 부재 G1b가 개재한다. 마찬가지로, 오목부(95)의 한쪽 내측면과 볼록부(41)의 한쪽 외측면 사이에 고무 부재 G2a가 개재하고, 오목부(95)의 다른 쪽 내측면과 볼록부(41)의 다른 쪽 외측면 사이에 고무 부재 G2b가 개재한다. 또한, 오목부(85, 95)의 내저면과 볼록부(41)의 외주면 사이에는 고무는 개재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이 해도, 볼록부(41)와 오목부(85, 95)에 의해 제1 가스 탱크(40)의 길이 방향 PD1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다.
B-7.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제7 변형 형태: 도 19는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제7 변형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9는 도 12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과 함께 설명을 생략한다.
브래킷(70d)은 박판 형상의 제1 브래킷 본체(80d)와, 박판 형상의 제2 브래킷 본체(90d)를 갖는다. 제1 브래킷 본체(80d)는 만곡됨으로써 걸림 결합부로서의 볼록부(85d)를 형성한다. 제2 브래킷 본체(90d)는 만곡됨으로써 걸림 결합부로서의 볼록부(95d)를 형성한다. 볼록부(85d, 95d)는 각각 구금 본체(45d)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제1 구금부(47d)는 구금 본체(45d)의 외주면으로부터 오목해진 오목부(41d)를 갖는다. 오목부(41d)는 피결합부로서 기능하고, 구금 본체(45d)의 주위 방향에 걸쳐 연장된다. 오목부(41d)는, 볼록부(85d, 95d)의 형상과 대응하고 있다. 오목부(41d)와 볼록부(85d, 95d)는, 고무 부재 G1, G2를 통해 끼워맞춰 걸림 결합하고 있다. 오목부(41d)와 볼록부(85d, 95d)에 의해 제1 가스 탱크(40)의 길이 방향 PD1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다.
B-8.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제8 변형 형태: 도 20은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제8 변형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0은 도 12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과 함께 설명을 생략한다. 제8 변형 형태에서는, 밸브를 갖고 있지 않은 제2 구금부(49e)에 피결합부로서의 오목부(41e)가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8 변형 형태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의 제1 가스 탱크(40)의 방향이 전후 방향 FRD에서 반대가 된다. 즉, 제2 구금부(49e)는 제1 구금부(47)(도 4)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한다.
제2 구금부(49e)의 외주면에는 주위 방향에 걸쳐 연장되는 피결합부로서의 오목부(41e)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1e)는 제2 구금부(49e)의 외주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되어 있다. 오목부(41e)는 걸림 결합부로서의 볼록부(85a, 95a)의 형상과 대응하고 있다. 오목부(41e)와 볼록부(85a, 95a)는, 고무 부재 G1, G2를 통해 끼워맞춰 걸림 결합하고 있다. 오목부(41e)와 볼록부(85a, 95a)에 의해 제1 가스 탱크(40)의 길이 방향 PD1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다.
C. 링 부재(105)의 고정 방법의 구체예: 상기한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변형 형태에 있어서의, 제2 변형 형태(도 14)의 링 부재(105)의 구금 본체(45b)에의 고정 방법은, 다양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하에 그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C-1. 고정 방법의 제1 구체예: 구금 본체(45b)의 외주면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링 부재(105)의 내주면에 암나사를 형성한다. 수나사와 암나사에 의해 구금 본체(45b)와 링 부재(105)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단순한 형상에 의해 링 부재(105)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C-2. 고정 방법의 제2 구체예: 도 21은 고정 방법의 제2 구체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제2 변형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과 함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21에서는, 고무 부재 G1, G2나 브래킷(70a)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제1 구금부(47bA)는 단차부(453)를 갖는 구금 본체(45bA)를 갖는다. 단차부(453)는 구금 본체(45bA) 중 탱크 본체(43)에 접속된 측의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453)는 구금 본체(45bA)의 주위 방향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즉, 구금 본체(45bA) 중 단차부(453)의 직경은, 단차부(453)보다도 탱크 본체(43)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직경보다도 작다. 단차부(453)에 링 부재(105)를 배치한 후에, 밸브(46)를 구금 본체(45bA) 내에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구금 본체(45bA)와 밸브(46)에 의해 길이 방향 PD1로 링 부재(105)를 끼워 넣는다. 이에 의해, 링 부재(105)가 구금 본체(45bA)에 고정된다. 이 구체예에 의하면, 구금 본체(45bA)에 단차부(453)를 형성한다는 단순한 형상으로 링 부재(105)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D. 링 부재(105a)의 고정 방법의 구체예: 상기한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변형 형태에 있어서의, 제3 변형 형태(도 15)의 링 부재(105a)의 구금 본체(45b)에의 고정 방법은, 다양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하에 그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D-1. 고정 방법의 제1 구체예: 구금 본체(45b)의 외주면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링 부재(105a)의 내주면에 암나사를 형성한다. 수나사와 암나사에 의해 구금 본체(45b)와 링 부재(105a)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단순한 형상에 의해 링 부재(105a)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링 부재(105a)의 내주면은, 암나사를 형성할 수 있을 정도로 길이 방향 PD1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D-2. 고정 방법의 제2 구체예: 도 22는 고정 방법의 제2 구체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2에서는, 고무 부재 G1, G2나 브래킷(70a)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제1 구금부(47bA)는, 링 부재(105)의 고정 방법의 제2 구체예(도 21)와 마찬가지의 형상이다. 따라서, 링 부재(105)의 고정 방법의 제2 구체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과 함께 설명을 생략한다.
링 부재(105aA)는, 내주면이 길이 방향 PD1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다. 링 부재(105aA)는, 길이 방향 PD1에 평행한 단면 형상이 T자 형상이다. 단차부(453)에 링 부재(105aA)를 배치한 후에, 밸브(46)를 구금 본체(45bA) 내에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구금 본체(45bA)와 밸브(46)에 의해 길이 방향 PD1로 링 부재(105aA)를 끼워 넣는다. 이에 의해, 링 부재(105aA)가 구금 본체(45bA)에 고정된다. 이 구체예에 의하면, 구금 본체(45bA)에 단차부(453)를 형성한다는 단순한 형상으로 링 부재(105aA)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E. 브래킷의 변형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브래킷(70)(도 10, 도 11)은, 제1 브래킷 본체(80)와, 제2 브래킷 본체(90)와, 제1 브래킷 본체(80)와 제2 브래킷 본체(90)를 플로어 패널(12)에 고정하는 제1 내지 제4 체결 부재(180a 내지 180d)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브래킷(70)은 제1 구금부(47)를 차체(11)에 고정하고, 제1 구금부(47)의 피결합부로서의 볼록부(41)와 끼워맞춰 걸림 결합함으로써 제1 가스 탱크(40)의 길이 방향 PD1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는 구성이면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 브래킷(70)의 변형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E-1. 브래킷의 제1 변형 형태: 제1 가스 탱크(40)에는, 차량(10)이 충돌하거나 하는 것 등에 기인하여 상측 방향 HD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1 내지 제4 체결 부재(180a 내지 180d)는, 제1 가스 탱크(40)에 대하여 제1 가스 탱크(40)가 파손될 정도의 외력(파손 시 외력)이 가해지기 전에 제1 브래킷 본체(80)와 제2 브래킷 본체(9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볼트(181)에 대하여 상측 방향 HD로 파손 시 외력보다도 작은 소정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볼트(181)의 헤드부가 축부로부터 이탈되도록, 볼트(181)의 헤드부와 축부가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너트(183)에 대하여 상측 방향 HD로 파손 시 외력보다도 작은 소정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너트(183)가 볼트(181)로부터 이탈되도록 너트(183)가 볼트(181)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볼트(181)와 너트(183) 대신에, 힌지 핀 등의 핀에 의해 제1 내지 제4 체결 부재(180a 내지 180d)를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핀은 상측 방향 HD로 파손 시 외력보다도 작은 소정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파단되는 강도를 갖는다.
브래킷의 제1 변형 형태에 의하면, 제1 가스 탱크(40)를 파손시킬 정도의 외력(파손 시 외력)이 제1 가스 탱크(40)에 가해지기 전에, 제1 브래킷 본체(80)와 제2 브래킷 본체(90)로부터 제1 가스 탱크(40)를 이탈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가스 탱크(40)에 파손 시 외력이 가해질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제1 가스 탱크(40)가 파손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E-2. 브래킷의 제2 변형 형태: 도 23은 브래킷의 제2 변형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a, 도 24b는 노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10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4a, 도 24b는 제1 고정부(97)의 단면 중 전후 방향 FRD와 폭 방향 BD에 평행한 단면이다. 도 24a는 볼트(181)의 축부(185)가, 관통 구멍 hAa에 삽입 관통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24b는 볼트(181)의 축부(185)가, 관통 구멍 hAa로부터 빠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2 변형 형태의 브래킷(70e)에 있어서, 상기 실시 형태의 브래킷(70)(도 10, 도 1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과 함께 설명을 생략한다.
제1 내지 제4 체결 부재(180Aa 내지 180Da)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볼트(181)와 너트(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브래킷 본체(80e)의 기단부(82) 및 선단부(83)에는 각각 1개의 관통 구멍 hB, h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브래킷 본체(90e)의 기단부(92) 및 선단부(93)에는 각각 1개의 관통 구멍 hB, hC가 형성되어 있다. 기단부(82, 92)는 높이 방향 HLD로 겹쳐진 상태로, 제2 체결 부재(180Ba)의 볼트(181)와 너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선단부(83, 93)는 높이 방향 HLD로 겹쳐진 상태로, 제3 체결 부재(180Ca)의 볼트(181)와 너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또한, 제2 체결 부재(180Ba)와 제3 체결 부재(180Ca)에 따라서는, 제1 브래킷 본체(80e) 및 제2 브래킷 본체(90e)는 플로어 패널(12)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제2 브래킷 본체(90e)는, 기단부(92) 중 만곡부(91)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접속된 제1 고정부(97)와, 선단부(93) 중 만곡부(91)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접속된 제2 고정부(98)를 갖는다.
제1 고정부(97)는 관통 구멍 hAa와, 노치 Nt를 갖는다. 관통 구멍 hAa는, 두께 방향(차량(10)의 높이 방향 HLD)으로 관통한다. 제1 고정부(97)의 관통 구멍 hAa와 플로어 패널(12)의 관통 구멍에는, 제1 체결 부재(180Aa)의 볼트(181)가 삽입 관통되고, 이 삽입 관통된 상태로 볼트(181)에 너트가 설치된다. 노치 Nt는, 관통 구멍 hAa로부터 제1 고정부(97) 중 전방측의 측면까지 연장된다. 노치 Nt는, 관통 구멍 hAa와 마찬가지로, 제1 고정부(97)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다.
제2 고정부(98)(도 23)는 관통 구멍 hDa와, 노치 Nt를 갖는다. 관통 구멍 hDa는, 두께 방향(차량(10)의 높이 방향 HL0)로 관통한다. 제2 고정부(98)의 관통 구멍 hDa와 플로어 패널(12)의 관통 구멍에는 제4 체결 부재(180Da)의 볼트(181)가 삽입 관통되고, 이 삽입 관통된 상태로 볼트(181)에 너트가 설치된다. 노치 Nt는 관통 구멍 hDa로부터 제2 고정부(98) 중 전방측의 측면까지 연장된다. 노치 Nt는 관통 구멍 hDa와 마찬가지로, 제2 고정부(98)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다.
도 2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치 Nt의 폭 WNt는, 볼트(181)의 축부(185)의 직경보다도 작다. 노치 Nt는, 제1 가스 탱크(40)가 파손될 정도의 외력(파손 시 외력)보다도 작은 전방 방향 FD의 소정의 외력이 볼트(181)에 의해 가해진 경우에 축부(185)의 직경보다도 개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 설정은 노치 Nt를 형성하는 제2 브래킷 본체(90e)의 재료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축부(185)가 노치 Nt를 통과함으로써, 볼트(181)로부터 제2 브래킷 본체(90e)가 빠진다. 도 24a, 도 24b의 예에서는, 제2 브래킷 본체(90e)에 대하여, 차량(10)의 충돌 등에 의해 후방 방향 RD로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제2 브래킷 본체(90e)가 볼트(181)로부터 빠지는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브래킷 본체(90e)가 후방 방향 RD로 이동하려고 하여, 볼트(181)에 의해 전방 방향 FD의 일정 이상의 외력이 노치 Nt에 가해진 경우에, 제2 브래킷 본체(90e)가 볼트(181)로부터 빠져 제1 가스 탱크(40)의 브래킷(70e)에 의한 차체(11)에의 고정이 해제된다. 따라서, 제1 가스 탱크(40)에 파손 시 외력이 가해지기 전에, 제1 가스 탱크(40)의 브래킷(70e)에 의한 차체(11)에의 고정이 해제되므로, 제1 가스 탱크(40)에 큰 외력이 가해져 파손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노치 Nt는, 관통 구멍 hAa, hDa로부터 제1 고정부(97), 제2 고정부(98)의 전방측의 측면까지 연장되어 있었지만, 그 대신에 제1 고정부(97), 제2 고정부(98)의 후방측의 측면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볼트(181)에 의해 후방 방향 RD로 소정의 외력이 노치 Nt에 가해진 경우에, 제2 브래킷 본체(90e)가 볼트(181)로부터 빠져 제1 가스 탱크(40)의 브래킷(70e)에 의한 차체(11)로의 고정이 해제된다. 따라서, 제1 가스 탱크(40)에 큰 외력이 가해지기 전에, 제1 가스 탱크(40)의 브래킷(70e)에 의한 차체(11)로의 고정이 해제되므로, 제1 가스 탱크(40)가 파손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노치 Nt는 관통 구멍 hAa, hDa로부터 제1 고정부(97), 제2 고정부(98)의 전방측의 측면 및 후방측의 측면의 양측면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도 25는 노치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a, 도 24b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상기한 브래킷(70e)의 제2 변형 형태에서는, 노치 Nt는 관통 구멍 hAa, hDa로부터 전후 방향 FRD로 연장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치 Ntg는 관통 구멍 hAa로부터 제1 고정부(97) 중 폭 방향 BD에 있어서의 단부면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제2 고정부(98)에 형성되는 노치 Ntg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관통 구멍 hDa로부터 제2 고정부(98) 중 폭 방향 BD에 있어서의 단부면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노치 Ntg를 구획하는 제1 고정부(97)의 부분(972a, 972b)은, 전후 방향 FRD로 소정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축부(185)가 제2 브래킷 본체(90e)로부터 빠질 정도로 변형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2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2 브래킷 본체(90e)에 대하여, 차량(10)의 충돌 등에 의해 후방 방향 RD로의 소정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부분(972b)이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됨으로써, 축부(185)가 제2 브래킷 본체(90e)로부터 빠지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2 고정부(98)에 형성된 노치도 제1 고정부(97)에 형성된 노치 Ntg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또한,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브래킷 본체(90e)에 노치 Nt, Ntg를 형성한 경우, 제1 가스 탱크(40)의 동체부(42)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배치해도 된다. 지지 부재는, 동체부(42) 중 길이 방향 PD1의 중앙보다도 제1 가스 탱크(40)의 일단부측(브래킷(70e)이 위치하는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부재를 가짐으로써, 제2 브래킷 본체(90e)가 차체(11)로부터 빠진 경우라도, 제1 가스 탱크(40)의 일단부측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는, 동체부(42)에 항상 접촉하고 있을 필요는 없어, 동체부(42)가 낙하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간극을 두고 동체부(42)보다도 하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지지 부재는, 차량(10)의 프레임(18)(도 2) 등에 접속됨으로써, 차량(10)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E-3. 브래킷의 제3 변형 형태: 도 26은 브래킷(70)의 제3 변형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구금부(47)와, 제1 브래킷 본체(80) 및 제2 브래킷 본체(90)는 별체이었지만(도 10, 도 11),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래킷(70h)의 브래킷 본체(80h)는, 용접이나 주조에 의해 제1 구금부(47)의 밸브(46)와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브래킷 본체(80h)는, 밸브(46)의 외주면으로부터 폭 방향 BD로 돌출되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브래킷 본체(80h)는,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차체(11)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나 각종 변형 형태의 브래킷(70, 70a 내지 70h)의 브래킷 본체(예를 들어, 실시 형태의 제1 브래킷 본체(80) 및 제2 브래킷 본체(90))는 제1 내지 제4 체결 부재(180a 내지 180d)에 의해 차체(11)에 고정되어 있었지만, 제1 내지 제4 체결 부재(180a 내지 180d) 대신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도 된다.
F. 변형예: F-1. 제1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가스 탱크(40)의 길이 방향 PD1이 차량(10)의 전후 방향 FRD와 평행해지도록 제1 가스 탱크(40)가 센터 터널(20) 내에 배치되어 있다(도 6). 그러나, 길이 방향 PD1과 전후 방향 FRD가 평행한 상태에 한하지 않고, 길이 방향 PD1이 전후 방향 FRD를 따르도록 제1 가스 탱크(40)가 센터 터널(20) 내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길이 방향 PD1이 전후 방향 FRD를 따른다」란, 길이 방향 PD1이 전후 방향 FRD에 대하여 ±20° 이내의 방향이 되는 상태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가스 탱크(50)의 길이 방향 PD2가 차량(10)의 폭 방향 BD와 평행해지도록 제2 가스 탱크(50)가 제2 가스 탱크 배치부(30) 내에 배치되어 있다(도 6). 그러나, 길이 방향 PD2와 폭 방향 BD가 평행한 상태에 한하지 않고, 길이 방향 PD2가 폭 방향 BD를 따르도록 제2 가스 탱크(50)가 제2 가스 탱크 배치부(30) 내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길이 방향 PD2가 폭 방향 BD를 따른다」란, 길이 방향 PD2가 폭 방향 BD에 대하여 ±20° 이내의 방향이 되는 상태이다.
F-2. 제2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가스 탱크(50)는, 제1 가스 탱크(40)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었지만(도 6),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가스 탱크(40)가 충격 등에 의해 제2 가스 탱크(50)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1 구금부(47)를 대신하여 제2 구금부(49)가 브래킷(70)에 의해 차체(11)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10)은 제2 가스 탱크(50)를 갖고 있었지만,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F-3. 제3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10)은 연료 전지(19)를 탑재하는 연료 전지 차량이며, 제1 가스 탱크(40) 및 제2 가스 탱크(50)에는 충전물로서 연료 가스인 수소가 수용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차량(10)은 액화 석유 가스를 연료로 하는 LPG 자동차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가스 탱크(40) 및 제2 가스 탱크(50)에는 충전물로서 연료 가스로서의 LP 가스가 수용된다.
F-4. 제4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밴드 본체 체결 부재(63)는 동체부(42)의 상측 위치에서, 제1 상측 밴드 본체(61)와 제2 상측 밴드 본체(62)를 고정하고, 제1 상측 밴드 본체(61)와 제2 상측 밴드 본체(62)를 조이고 있었지만 밴드 본체 체결 부재(63)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밴드 본체 체결 부재(63)는 폭 방향 BD에 있어서 동체부(42)의 측방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2 체결부(615) 및 제2 체결부(625)(도 8)를 생략하고 제1 상측 밴드 본체(61)와 제2 상측 밴드 본체(62)를 일체의 밴드로서 형성하고, 예를 들어 제1 체결부(624)(도 8)와 하측 밴드 본체(64)의 제2 하측 밴드 체결부(646)를 밴드 본체 체결 부재(63)로 고정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밴드(60)는, 제1 상측 밴드 본체(61)와 제2 상측 밴드 본체(62)와 하측 밴드 본체(64)에 의해 동체부(42)의 외주면을 둘러싸서 동체부(42)를 보유 지지하고 있었지만, 동체부(42)의 외주면을 둘러싸서 동체부(42)를 보유 지지할 수 있으면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밴드(60)는, 동체부(42)의 외주면에 주위 방향에 걸쳐 접촉하는 링 형상의 부재를 갖고, 이 링 형상의 부재로 동체부(42)를 보유 지지해도 된다. 링 형상의 부재는, 볼트나 너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차체(11)에 고정된다.
F-5. 제5 변형예: 도 19에 설명한 걸림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제7 변형 형태에 있어서, 피결합부로서의 오목부(41d)는, 구금 본체(45d)의 외주면으로부터 오목해진 형상이었지만 오목부(41d)를 형성할 수 있으면 제7 변형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7은 오목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46i)에 오목부(41i)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단차(468)를 형성하고, 구금 본체(45i)에 오목부(41i)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단차(458)를 형성한다. 이들 2개의 단차(468, 458)에 의해 오목부(41i)를 형성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센터 터널(20)의 내부에 제1 가스 탱크(40)가 배치되고, 제2 가스 탱크 배치부(30)의 내부에 제2 가스 탱크(50)가 배치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가스 탱크(40) 및 제2 가스 탱크(50)는 차량(10)의 다른 위치(예를 들어, 프론트 룸(110))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느 실시 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변형 형태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어느 실시 형태의 구성에 다른 변형 형태의 구성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 형태의 구성 일부에 대하여, 다른 구성의 추가·삭제·치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 형태와 변형 형태와 변형예를 조합해도 된다.

Claims (9)

  1. 차량(10)에 있어서,
    차체(11);
    원통 형상의 동체부(42)를 포함하는 탱크 본체(43)와, 상기 탱크 본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설치된 구금부를 갖는 가스 탱크(40);
    상기 구금부를 상기 차체에 고정하는 브래킷(70); 및
    상기 동체부의 외주면을 둘러싸서 상기 동체부를 상기 차체에 고정하는 밴드(60)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탱크는, 상기 길이 방향이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구금부에 설치된 피결합부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상기 가스 탱크의 상기 길이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걸림 결합부(85, 95)를 갖고,
    상기 가스 탱크는, 상기 가스 탱크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가스 탱크의 타단부 중 상기 일단부에 있어서만 상기 가스 탱크의 상기 길이 방향의 움직임이 상기 걸림 결합부에 의해 규제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는, 차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플로어 패널(12)을 갖고,
    상기 플로어 패널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차실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가스 탱크가 배치된 센터 터널(20)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 터널은, 제1 터널(22)과,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널의 후단부에 접속되고,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2 터널(24)을 갖고,
    상기 동체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널의 위치에서 상기 밴드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밴드가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터널의 내부의 단면적은, 상기 제2 터널의 내부의 단면적보다도 큰,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스 탱크보다도 전방측과 후방측 중 어느 쪽에 위치하고, 길이 방향이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된 제2 가스 탱크(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구금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스 탱크의 타단부보다도 상기 제2 가스 탱크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차량.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상기 동체부를 주위 방향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된 밴드 본체(61, 62)와, 상기 동체부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밴드 본체를 조이는 밴드 본체 체결 부재(63)를 갖고,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밴드가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터널의 내부의 단면의 높이는, 상기 제2 터널의 내부의 단면의 높이보다도 높은, 차량.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금부는, 상기 탱크 본체에 삽입 관통되고, 외부와 상기 탱크 본체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을 형성하는 구금 본체(45)와, 상기 구금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연통 구멍을 개폐시키는 밸브(46)를 갖고,
    상기 피결합부는, 상기 구금 본체와 상기 밸브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의 상기 걸림 결합부는, 상기 구금 본체와 상기 밸브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상기 피결합부와 걸림 결합하는, 차량.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결합부는, 제1 볼록부 또는 제1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의 상기 걸림 결합부는, 상기 제1 볼록부와 걸림 결합하는 제2 오목부 또는 상기 제1 오목부와 걸림 결합하는 제2 볼록부를 포함하는, 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록부와 상기 제2 오목부 사이 또는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볼록부 사이에 배치된 완충 부재(G1, G2)를 더 포함하는, 차량.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구금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금부를 끼워 넣고, 상기 걸림 결합부를 갖는 브래킷 본체(80, 90)와, 상기 브래킷 본체를 상기 차체에 고정하는 체결 부재(181, 183)를 갖는, 차량.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상기 가스 탱크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 중 상기 동체부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상기 구금부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차량.
KR1020170039708A 2016-04-01 2017-03-29 차량 KR101903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74221A JP6468234B2 (ja) 2016-04-01 2016-04-01 ガスタンクを搭載した車両
JPJP-P-2016-074221 2016-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345A KR20170113345A (ko) 2017-10-12
KR101903280B1 true KR101903280B1 (ko) 2018-10-01

Family

ID=59886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708A KR101903280B1 (ko) 2016-04-01 2017-03-29 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93684B2 (ko)
JP (1) JP6468234B2 (ko)
KR (1) KR101903280B1 (ko)
CN (1) CN107444107B (ko)
DE (1) DE1020171056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4933A (ko) * 2019-07-26 2022-03-03 포르시아 쥐스뗌 데샤피망 수소 저장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3018A1 (en) 2012-10-19 2014-04-24 Agility Fuel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unting a fuel system
JP6547769B2 (ja) * 2017-01-18 2019-07-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JP6766745B2 (ja) * 2017-05-11 2020-10-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6743769B2 (ja) * 2017-06-16 2020-08-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US10717356B2 (en) * 2017-08-09 2020-07-2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High pressure canister unit and fuel cell vehicle
JP7052333B2 (ja) * 2017-12-18 2022-04-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室下部構造
AU2019325602B2 (en) 2018-08-24 2022-06-30 Hexagon Purus North America Holdings Inc. Battery system for heavy duty vehicles
KR102130212B1 (ko) * 2018-08-31 2020-07-03 (주)두산 모빌리티 이노베이션 연료전지 파워팩
JP7183725B2 (ja) 2018-11-21 2022-12-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20093771A (ja) * 2018-12-11 2020-06-18 豊田合成株式会社 電動車両及びエネルギーパッケージ
US10589788B1 (en) * 2019-01-29 2020-03-17 Nikola Motor Company Llc Vehicle frame arrangement
US11040610B2 (en) 2019-04-19 2021-06-22 Hexagon Purus North America Holdings Inc. Electric powertrain system for heavy duty vehicles
BR112021020928A2 (pt) 2019-04-19 2022-01-25 Hexagon Purus North America Holdings Inc Conjunto de dispositivos acessórios de extremidade dianteira elétrica
CA3161967A1 (en) 2019-11-26 2021-06-03 Hexagon Purus North America Holdings Inc. Electric vehicle power distribution and drive control modules
CN111422058A (zh) * 2020-03-25 2020-07-17 武汉格罗夫氢能汽车有限公司 基于氢能源汽车的高压氢瓶的固定方法
JP2022014938A (ja) * 2020-07-08 2022-01-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タンクを備えた車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36619A (ko) * 2020-09-16 2022-03-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플로어구조
JP7481221B2 (ja) * 2020-09-30 2024-05-10 株式会社Subaru 燃料電池車両
US11926207B2 (en) 2020-10-09 2024-03-12 Hexagon Purus North America Holdings Inc. Battery and auxiliary components for vehicle trailer
KR102410607B1 (ko) * 2020-10-22 2022-06-20 일진하이솔루스 주식회사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
CA3205080A1 (en) 2020-12-11 2022-06-16 Hexagon Purus North America Holdings Inc. Trailer hookup breakaway mitigation systems and methods
DE102020134640A1 (de) * 2020-12-22 2022-06-23 Voith Patent Gmbh Treibstofftank-Modul für gasbetriebenes Fahrzeug
JP7415914B2 (ja) 2020-12-28 2024-01-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タンク装置
FR3118655B1 (fr) * 2021-01-07 2023-11-24 Faurecia Systemes Dechappement Dispositif de fixation d’un réservoir de gaz sous pression à un bâti
US20230035124A1 (en) * 2021-07-28 2023-02-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tank mounting assembly
JP2023031539A (ja) 2021-08-25 2023-03-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車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7413A (ja) * 2000-05-10 2001-11-16 Hino Motors Ltd 高圧ガス容器のバルブガード
US20030006349A1 (en) 2001-05-04 2003-01-09 Sadowski Mark M. M. Pressure vessel mounting system
JP3602777B2 (ja) * 2000-08-02 2004-12-15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燃料ガスボンベ搭載車
JP2011148324A (ja) 2010-01-19 2011-08-04 Toyota Motor Corp 高圧ガスタンクのタンク保持機構とこれを用いて高圧ガスタンクを搭載した車両
CN204567279U (zh) 2015-05-12 2015-08-19 丹东黄海汽车有限责任公司 两用燃料货车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9043A (en) * 1968-06-19 1969-11-18 Bill Piehl Gas transport apparatus
US4319728A (en) * 1980-04-14 1982-03-16 Aluminum Company Of America Liquified gas cylinder anti-rotation device
SE506972C2 (sv) * 1996-07-16 1998-03-09 Volvo Lastvagnar Ab Anordning vid drivmedelstank för fordon
US6053533A (en) * 1997-11-20 2000-04-25 Navistar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Corp Modular fuel tank assembly, vehicle mount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installation
JP3904864B2 (ja) * 2001-08-28 2007-04-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JP2003205754A (ja) 2002-01-11 2003-07-22 Nissan Motor Co Ltd 燃料容器の車両搭載構造
JP2005075224A (ja) * 2003-09-02 2005-03-24 Nissan Motor Co Ltd 高圧タンク取付構造
JP2005170272A (ja) 2003-12-12 2005-06-30 Nissan Motor Co Ltd 燃料タンク固定構造
JP4287305B2 (ja) * 2004-02-24 2009-07-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気体燃料タンクへの車体への搭載方法
US20060076001A1 (en) * 2004-10-12 2006-04-13 Haisley Gregory K Adjustable anti-siphon pin valve for paintball gun
JP2008518827A (ja) * 2004-10-29 2008-06-05 フォード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自動車及び、自動車用燃料貯蔵システム
JP2006168527A (ja) 2004-12-15 2006-06-29 Honda Motor Co Ltd 車体フレーム構造
JP4375233B2 (ja) * 2005-01-07 2009-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ガス燃料タンク搭載車両
CN200951716Y (zh) * 2006-07-28 2007-09-26 黄南贲 汽车cng气瓶快速固定装置
US7539062B2 (en) * 2006-12-20 2009-05-26 Micron Technology, Inc. Interleaved memory program and verify method, device and system
JP2009051296A (ja) * 2007-08-24 2009-03-12 Toyota Motor Corp 燃料ガスタンクを搭載した自動車
JP4492709B2 (ja) 2008-02-07 2010-06-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タンク車載機構
JP2009220680A (ja) 2008-03-14 2009-10-01 Toyota Motor Corp 車両用燃料タンクの固定構造
WO2009137530A2 (en) * 2008-05-05 2009-11-12 Coherex Medical, Inc. Ventricular assist device and related methods
KR20100057104A (ko) * 2008-11-21 2010-05-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탱크가 일체화된 리어 서스펜션 어셈블리
US9316359B2 (en) * 2009-04-10 2016-04-1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Tan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102009039079A1 (de) 2009-08-27 2011-03-03 Daimler Ag Tankanordnung
JP2012077849A (ja) * 2010-10-01 2012-04-19 Toyota Motor Corp 圧力容器の支持構造および車両
CN204161102U (zh) * 2014-10-17 2015-02-18 张家港富瑞特种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用侧置式lng气瓶放置框架
JP6595169B2 (ja) * 2014-10-31 2019-10-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タンク固定装置
CN204172787U (zh) * 2014-11-07 2015-02-25 李金怡 车用天然气瓶保护装置
JP6536367B2 (ja) 2015-11-12 2019-07-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タンクを車体に搭載する搭載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7413A (ja) * 2000-05-10 2001-11-16 Hino Motors Ltd 高圧ガス容器のバルブガード
JP3602777B2 (ja) * 2000-08-02 2004-12-15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燃料ガスボンベ搭載車
US20030006349A1 (en) 2001-05-04 2003-01-09 Sadowski Mark M. M. Pressure vessel mounting system
JP2011148324A (ja) 2010-01-19 2011-08-04 Toyota Motor Corp 高圧ガスタンクのタンク保持機構とこれを用いて高圧ガスタンクを搭載した車両
CN204567279U (zh) 2015-05-12 2015-08-19 丹东黄海汽车有限责任公司 两用燃料货车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4933A (ko) * 2019-07-26 2022-03-03 포르시아 쥐스뗌 데샤피망 수소 저장 시스템
KR102623310B1 (ko) 2019-07-26 2024-01-10 포르시아 쥐스뗌 데샤피망 수소 저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85843A (ja) 2017-10-12
US20170282709A1 (en) 2017-10-05
DE102017105656A1 (de) 2017-10-05
US10293684B2 (en) 2019-05-21
CN107444107B (zh) 2019-11-29
CN107444107A (zh) 2017-12-08
KR20170113345A (ko) 2017-10-12
JP6468234B2 (ja)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280B1 (ko) 차량
USRE47687E1 (en) Damping system for steering wheel
KR102020313B1 (ko) 차량
JP4965012B2 (ja) 車両用電池パック
JP5229303B2 (ja) 車両用電池パック
US8910737B2 (en) Service hole cover mounting structure, and vehicular battery mounting structure provided therewith
KR102205575B1 (ko) 충돌 시 차량 좌석을 감속시키기 위한 차량 좌석용 좌석 레일 모듈
US9868345B2 (en) Roll-rod for vehicle
JP6595371B2 (ja) 防振装置
JP6710140B2 (ja) 防振装置
KR101795067B1 (ko) 차량용 배터리 트레이
WO2017170054A1 (ja) 防振装置
US11964525B2 (en) Mounting structure of dynamic damper
US10654351B2 (en) Roll rod for vehicle
US11085501B2 (en) Support structure for driving source
JP7084236B2 (ja) 車両用のアルミダイカスト製ブラケット
CN111976467B (zh) 用于车辆的燃料箱的刚度加强结构
CN112440920A (zh) 一种减震主驾安全气囊
EP2711223A1 (en) Power unit mounting apparatus
JP2020180690A (ja) 防振装置用ストッパー
CN108215756B (zh) 动力传动系的安装装置
KR20190136653A (ko) 마스터 실린더 댐퍼 부재
US20230272838A1 (en) Vibration damping device
JP6637096B2 (ja) 車載用バッテリー
WO2006012217A2 (en) Multipurpose powertrain mount with integral restri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