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335B1 - 안전 개봉 캡 - Google Patents

안전 개봉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335B1
KR101875335B1 KR1020170124991A KR20170124991A KR101875335B1 KR 101875335 B1 KR101875335 B1 KR 101875335B1 KR 1020170124991 A KR1020170124991 A KR 1020170124991A KR 20170124991 A KR20170124991 A KR 20170124991A KR 101875335 B1 KR101875335 B1 KR 101875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ody
lid
loop
wall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만
Original Assignee
김경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만 filed Critical 김경만
Priority to KR1020170124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335B1/ko
Priority to PCT/KR2018/009382 priority patent/WO2019066248A1/ko
Priority to US16/640,449 priority patent/US20200207510A1/en
Priority to EP18860991.1A priority patent/EP3689772A4/en
Priority to CN201880062885.4A priority patent/CN111132905B/zh
Priority to JP2020509478A priority patent/JP7440408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52Attachment of opening tools, e.g. slotted keys, to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complete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40Devices for engaging tags, strips, or tongues for opening by tearing, e.g. slotted keys for opening sardine tins
    • B67B7/403Devices for engaging tags, strips, or tongues for opening by tearing, e.g. slotted keys for opening sardine tins adapted for engaging the ring of a pull tab for opening an aper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18Upper closure of the 43-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71Lower closure of the 17-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안전 개봉 캡은 음식물이 보관되는 캔의 상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림과, 상기 돌출림 내측에 형성되어 캔 상부를 덮고 있는 캔 뚜껑과, 상기 캔 뚜껑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는 캔고리를 포함하는 캔에 있어서, 상기 캔의 캔 뚜껑을 개봉하기 위한 안전 개봉 캡으로서, 몸체를 형성하는 캡 바디와, 상기 캡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외측벽과, 상기 캡 바디 상부면에서 소정 두께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경사면을 갖는 캔고리 들림부와, 상기 캡 바디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캡 바디가 하측으로 가압되는 때에 상기 캔고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캔고리 통과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 개봉 캡{Cap to open can cover safely}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안전하게 캔 뚜껑을 개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안전 개봉 캡에 대한 것으로서, 캔 뚜껑을 개봉하기 위하여 캔고리를 들어올리는 동작에서나 캔고리를 잡아당겨 캔 뚜껑을 개봉하는 동작 모두의 경우에 사용자의 손톱과 손가락이 다치지 않도록 하는 안전 개봉 캡을 제안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 및 유통하기 위해서는 일명 통조림이라 불리는 캔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캔은 대개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보관된 음식물을 꺼낼 때에는 캔의 상부를 개봉할 수 있도록 캔 뚜껑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캔에 보관된 음식물을 꺼내기 위해서는 캔 뚜껑에 부착된 캔고리를 캔 뚜껑으로부터 들어올린 상태에서 손가락을 캔고리에 걸은 다음, 소정의 힘으로 캔고리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취하는 것에 의해 캔 뚜껑이 뜯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이 때 캔 뚜껑은 캔고리의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쉽게 뜯어지도록 캔 뚜껑의 둘레부에 절단부가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흔히 먹고 있는 참치캔의 경우 캔 뚜껑을 따기 위한 별도의 도구가 없어도 캔 뚜껑을 딸 수 있도록 캔의 상면에 구비되는 캔 뚜껑의 둘레부를 따라 절취선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캔 고리에 손가락을 걸어 캔 고리를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절취선을 따라 캔 뚜껑이 뜯어지면서 캔 뚜껑이 따지도록 하여 별도의 도구 없이도 캔을 개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한 손으로는 캔의 외부 둘레를 파지하여 캔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른 한 손의 손가락을 캔 고리에 걸은 상태에서 캔 고리를 위로 잡아당겨 캔 뚜껑을 개봉한다.
그러나, 음식물을 장기간 동안 보관하도록 이루어진 캔의 재질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또한 캔 뚜껑 역시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캔 뚜껑의 절단면이 날카로울 수밖에 없어 캔을 개봉하는 사용자의 손이 캔 뚜껑의 절단면에 베이게 되는 신체적인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특허문헌 1) KR10-1479529 B
특허문헌 1의 경우, 캔 뚜껑 개봉 시에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 덮개를 제안하고 있으며,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평판의 덮개부와, 캔고리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사용자가 캔 뚜껑의 캔고리를 잡아당기기 이전에 캔고리를 회전시키기 위한 들어올림 동작을 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톱에 스크래치가 가해지거나 손톱이 부러질 위험을 갖고 있다.
또한, 위의 특허문헌 1에서는 캔고리를 잡아당겨 캔 뚜껑을 개봉하는 과정에서 캔 뚜껑의 날카로운 가장자리가 그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손이나 손가락에 상처가 생길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발명은 음식물이 보관되는 캔의 뚜껑을 개봉하는데 있어 사용자의 안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는 장치로서, 캔 뚜껑에 구성된 캔고리를 들어올리는 동작, 들어올려진 캔고리를 사용자가 잡아당기는 1차 개봉 동작 및 캔고리를 계속하여 잡아당겨 캔 뚜껑을 완전히 개봉하는 2차 개봉 동작 모두에 걸쳐서 사용자의 안전을 배려할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안전 개봉 캡은 사용자가 안전 개봉 캡의 상부면을 하측으로 가압하고, 안전 개봉 캡을 캔 뚜껑에 밀착된 캔고리 측으로 밀착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캔고리가 점차 들어올려지도록 함으로써, 캔 뚜껑에 밀착되어 눕혀져 있는 캔고리를 직접 손톱으로 세워 들어올릴 필요가 없는 안전 개봉 캡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캔 뚜껑의 개봉 과정에서 캔 뚜껑이 안정적으로 절곡 또는 휘어지도록 안내를 할 수 있고, 날카로운 면을 갖는 캔 뚜껑에 의하여 개봉 과정 중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안전 개봉 캡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안전 개봉 캡은 음식물이 보관되는 캔의 상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림과, 상기 돌출림 내측에 형성되어 캔 상부를 덮고 있는 캔 뚜껑과, 상기 캔 뚜껑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는 캔고리를 포함하는 캔에 있어서, 상기 캔의 캔 뚜껑을 개봉하기 위한 안전 개봉 캡으로서, 몸체를 형성하는 캡 바디와, 상기 캡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외측벽과, 상기 캡 바디 상부면에서 소정 두께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경사면을 갖는 캔고리 들림부와, 상기 캡 바디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캡 바디가 하측으로 가압되는 때에 상기 캔고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캔고리 통과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안전 개봉 캡에 의해서, 캔 뚜껑에 구성된 캔고리를 들어올리는 동작, 들어올려진 캔고리를 사용자가 잡아당기는 1차 개봉 동작 및 캔고리를 계속하여 잡아당겨 캔 뚜껑을 캔과 완전히 분리하여 개봉하는 2차 개봉 동작 모두에 걸쳐서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톱으로 캔고리를 직접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서 캔고리를 들어올리다가 손톱이 부러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개봉 캡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안전 개봉 캡의 하면 구조에 있어서 도 4와는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개봉 캡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실시예의 안전 개봉 캡에 적용될 수 있는 꺾임 절개선과 꺾임 절취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안전 개봉 캡을 이용하여 캔뚜껑을 개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안전 개봉 캡을 이용하여 캔 뚜껑을 개봉할 때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과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개봉 캡의 상부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과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개봉 캡의 상부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실시예의 안전 개봉 캡을 구성하는 내측벽의 다양한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실시예의 안전 개봉 캡의 하부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개봉 캡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26은 본 실시예의 안전 개봉 캡을 이용하여 캔 뚜껑을 개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설명에 사용되는 접미어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개봉 캡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안전 개봉 캡의 상부측 구성을 설명하면, 안전 개봉 캡(100)은 캔에 구성된 캔 뚜껑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캡 바디(101)와, 상기 캡 바디(101)에 형성된 절취부(140)와, 상기 캡 바디(101)에 소정 두께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캔고리 들림부(130)와, 상기 캡 바디(10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캔(10)의 돌출림(40) 외측에 밀착 고정되는 외측벽(110)을 포함한다.
상기 캡 바디(101)는 안전 개봉 캡의 몸체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도면에 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사각 형상이나 그 외 다른 형상의 캔에 안전 개봉 캡이 실시되는 경우라면 그 캔의 형상 내지는 캔 뚜껑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모양이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캔 뚜껑(20)을 개봉할 때, 먼저 손톱으로 캔고리(30)를 세운 후 캔고리(30)를 당겨 개봉을 한다. 그러므로 캔고리(30)를 세울 때 손톱이 부러지거나, 개봉 과정에서 캔 뚜껑(20)의 외주에 손가락을 베이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구를 사용하여 개봉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캔(10)과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유통 보관하고, 캔(10)의 음식을 섭취할 때 도 15와 같이 상기 절취부(140)에 상기 캔고리(30)를 끼운 후 캔고리(30)를 당겨 안전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여타의 도구가 필요 없이 상기 캔 뚜껑(20)에 밀착되어 눕혀진 상기 캔고리(30)를 손톱을 사용하지 않고 세울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개봉 과정에서 손가락이 베이는 사고를 방지하여 안전하게 상기 캔 뚜껑(20)을 개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개봉 시 안전 개봉 캡(100)을 사용함으로써, 안전 개봉 캡(100)을 뒤집거나 하는 별도의 작동 행위 없이 캔고리(30)를 상기 절취부(140)에 삽입시켜서 개봉하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손톱을 보호하고 손가락에 대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안전하게 상기 캔 뚜껑(20)을 개봉할 수 있도록 하여 간편성과 실효성을 높였다.
본 발명의 안전 개봉 캡(100)의 구성 분류는, 캔고리(30)를 세울 때 손톱을 보호하면서 세울 수 있도록 하는 구성 부분과, 개봉 과정에서 상기 캔 뚜껑(20)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며 안전하게 개봉할 수 있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손톱을 보호하면서 상기 캔고리(30)를 세울 수 있는 구성 요소는, 위에서 언급한 상기 캡 바디(101)의 상면에 구성된 절취부(140)와 캔고리 들림부(130)가 있다.
그리고 개봉 과정에서 캔 뚜껑(20)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 요소는, 상기 절취부(140)와, 하기에서 각 부분별로 설명할 상기 외측벽(110)에 형성되는 꺾임 절취선(160) 및 꺾임 절개홀(170)과, 그리고 상기 캡 바디(101)의 하면에 형성되는 내측벽(120)과 뚜껑 걸림편(121)이 있다.
상기 캔고리(30)를 상기 절취부(140)에 삽입하는 것은, 상기 캔고리(30)를 손톱으로 세운 후에 상기 절취부(140)를 캔고리(30)에 삽입시킬 수도 있으며, 손톱을 보호하면서 상기 캔고리(30)를 세우기 위해서는 도 12와 같이 상기 캔고리(30)가 상기 캔 뚜껑(20)에 밀착되어 눕혀져 있는 상태에서 삽입시킬 수 있다.
먼저 손톱을 보호하면서 상기 캔고리(30)를 세우도록 하는 상기 절취부(140)와 상기 캔고리 들림부(13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절취부(140)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캔 뚜껑(20)을 개봉할 때 상기 캔 뚜껑(20)에 밀착되어 있는 상기 캔고리(30)를 상기 절취부(140)로 통과시켜 상기 캡 바디(101)의 상면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캔고리 통과수단이 된다. 이하에서 설명하겠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캔고리 통과수단은 상기 절취부(140)로 구성되거나, 도 19와 도 20에 예시된 캔고리 유입홀(340)과 같이 캡 바디에 형성된 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절취부(140)는, 개봉 시 상기 캔고리(30)가 세워지는 위치로서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손톱을 보호하면서 상기 캔고리(30)를 세우고자 할 때 상기 캔 뚜껑(20)과 상기 캔고리(30)가 밀착되어 있는 것을 틈이 벌어지도록 하는 기능과, 개봉 시 도 15와 같이 세워진 상기 캔고리(30)를 당겨 개봉할 때 캔고리(30)가 세워진 위치에서 밑으로(캔고리를 당기는 방향) 밀려 내려가지 않도록 하는 지지대 기능을 하여 안전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취부(140)는 상기 캡 바디(101)의 일측 단부(가장자리)와 상기 캔고리 들림부(130) 사이에 절취되는 부위에 해당하는 제 1 절취선(141)과, 상기 제 1 절취선(141)과 상기 캡 바디(101)의 일측 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캡 바디의 개방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절취선(141)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절취되는 제 2 절취선(142)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 1 절취선(141)이 제 1 방향으로 절취되는 부위라고 한다면, 제 2 절취선(142)은 상기 제 1 절취선(141)으로부터 연장되는 절취부위이면서 상기 제 1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그 절취가 형성되는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개봉 시, 사용자가 도 11, 도 12와 같이 상기 캡 바디(101)를 밑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절취부(140)를 상기 캔고리(30)의 손잡이(고리부분) 끝 부분 밑에 위치해 놓고, 상기 캡 바디(101)를 상기 캔고리(30) 축(리벳) 방향으로 밀어서 이동시키면, 상기 캔고리(30)가 상기 절취부(140)에 삽입이 시작되면서 캔 뚜껑(20)과 틈이 벌어진다.
또한 도 13과 같이 상기 캔고리(30)가 상기 절취부(140)에 삽입이 되어가면서 상기 캔고리 들림부(130)에 의해 캔 뚜껑(20)으로부터 점차적으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 캡 바디(101)를 밑으로 가압할 때, 상기 캡 바디(101)가 부드럽게 하강되도록 하기 위함과 캔고리(30)가 상기 절취부(14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제 1 절취선(141)과 제 2 절취선(142)과 함께 개방되는 폭을 확장하기 위한 제 1 서브 절취선(143)과 제 2 서브 절취선(14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제 1 서브 절취선(143)은 상기 제 2 절취선(14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절취부위로서, 상기 제 2 절취선(142)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절취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서브 절취선(144)은 상기 제 1 서브 절취선(143)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서브 절취선(143)과 제 2 서브 절취선(144) 역시 서로 그 절취되는 방향이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절취 방향이 상이하지만 상호 연결되어 있는 절취선들의 단부에는 그 절취가 단절되도록 하기 위한 절취 단절홀(150)이 형성된다. 상기 절취 단절홀(150)이 형성됨으로써 절취선에 의해 캡 바디 일부 영역이 개방될 때 절취선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까지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취부(140)에 의하여 캡 바디(101)의 일부가 개방되고, 사용자가 안전 개봉 캡(100)을 캔고리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캔고리의 일측 단부가 캔 뚜껑으로부터 벌어지는 방향에 해당하는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들뜸 동작이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캔고리 들림부(130)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본다.
상기 캔고리 들림부(130)는 상기 캡 바디(101) 상부면에 소정 두께 돌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캔고리 들림부(130)의 상부면에는 유입되는 캔고리(3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캔고리 가이드턱(13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캔고리 가이드턱(132)은 상기 캔고리가 점차 상기 캔고리 들림부(130)와 접촉하는 면적이 많아짐에 따라 그 이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한 쌍의 캔고리 가이드턱이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캔고리 들림부(130)는 그 단면 형상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차 증가하는 형상, 즉 경사면(131)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캔고리(30)의 유입면적이 점차 증가할수록 자연스럽게 캔고리(30)의 수직방향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안전 개봉 캡의 전방은 캡 바디(101)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캔의 캔고리(30)가 캡 바디의 상면으로 삽입되는 영역 쪽이라고 정의할 수 있고, 안전 개봉 캡의 후방은 상기 캡 바디(101)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기 전방과 반대 쪽 위치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캡 바디(101)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캔고리 들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절취부(140)와 캔고리 들림부(130)는 상기 캡 바디(101)의 중심부로부터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구성된다. 상기 절취부(140)는 상기 캡 바디(101)가 캔의 돌출림(40)에 결합된 상태로 보았을 때 상기 캔고리(30) 축(리벳)의 중앙부 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캔고리 들림부(130)는 상기 절취부(140)를 통하여 인입되는 캔고리를 자연스럽게 들어올리도록 하기 위하여 도 1과 같이 제1 절취선(141)에 인접되도록 하거나 또는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들 구성은 캡 바디(101)의 중앙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캔고리 들림부(130)는 일방향(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인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절취선(141)은 상기 캔고리 들림부(13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절취선(142)은 상기 제 1 절취선(141)과 함께 캡 바디(101)의 상면으로 상기 캔고리(3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 영역을 확장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절취선(141)의 각 단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이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제 개봉 과정의 실시예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안전 개봉 캡을 이용하여 캔 뚜껑을 개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10)과 일체형으로 캔에 결합되어 있는 안전 개봉 캡(100)을 분리한 다음, 사용자가 손톱을 보호하면서 캡 바디(101)의 상부면을 가압하면서 캔 뚜껑의 개봉이 시작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10)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설치된 캔 뚜껑(20)을 개봉하기 위하여, 안전 개봉 캡(100)의 캡 바디(101)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가압하게 되면, 절취부(140)들에 의하여 상기 캔고리 들림부(130)의 일부가 상기 제1 절취선(141) 보다 낮은 위치로 하강하여 절취부(140)들에 의하여 캡 바디(101)에 상기 캔고리(30)가 삽입될 수 있는 틈이 형성된다.
그리고 안전 개봉 캡(100)을 상기 캔고리(30) 측으로 밀면, 캔고리(30)의 일측이 캔 뚜껑(20)에 접한 상태로 있다가 절취부(140)의 틈새로 점차 삽입되고, 캔고리(30)의 타측은 캔 뚜껑(20)에 결합 상태로 있게 된다.
안전 개봉 캡(100)의 절취부(140)로 캔고리(30)의 단부의 일부가 삽입되면, 사용자가 안전 개봉 캡(100)을 서서히 캔고리(30)측으로 밀어 넣게 되고, 이때, 캡 바디(101)의 상부면에 구성된 캔고리 들림부(130)가 캔고리(30) 하측으로 밀려들어가면서 캔고리(30)의 일측 단부가 점차 캔 뚜껑(20)으로부터 멀리 벌어지는 회전 동작이 발생된다(도 11 내지 도 13 참조).
상기 캔고리 들림부(130)에 의하여 캔고리(30)가 점차 들뜨게 되어, 캔 뚜껑(20)에 밀착된 캔고리(30)를 들어올리는 도중에 손톱이나 손가락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고리(30)가 캔 뚜껑(2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는, 손톱을 이용할 필요 없이 들떠 있는 캔고리(30)를 손가락으로 간단하게 수직으로 세울 수 있다(도 14 참조).
상기 안전 개봉 캡(100)을 상기 캔고리(30) 측으로 밀어 넣을 때, 상기 외측벽(110)에 꺾임 절취선(160)이 형성되어 있으나, 꺾임 절취선(160)이 예각으로 되어 있어서 외측벽(110)이 돌출림(40)에 걸리거나 방해를 받지 않는다. 꺾임 절취선(160)에 관하여는 하기에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와 같이, 사용자가 캔고리(30)를 캔 뚜껑(20)에 대하여 직각에 가깝게 세우면, 캔고리(30)가 도 15와 같이, 제 1 절취선(141)의 위치에 인접 또는 접촉되어(도 17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 2 절취선(242)의 위치에 인접 또는 접촉된다), 상기 캔고리(30)를 잡아 당기면 캔고리(30)가 제 1 절취선(141)의 절취된 면(도 17의 경우는 제 2 절취선(242)의 절취된 면)에 지지가 되어 밀려 내려가지 않고 캔고리(30)의 위치가 고정된다. 그러므로 캔고리(30)를 당길 때 캔 뚜껑(20)과 캡 바디(101)가 함께 대등하게 꺾이면서 동반 개봉이 된다. 따라서 캔 뚜껑(20)과 캡 바디(101)가 나란히 휘거나 절곡되어 밀착이 향상된다. 이로써 상기 캔 뚜껑(20)과 상기 캡 바디(101) 사이가 들뜨는 현상이 현저히 저하되어, 캔 뚜껑(20)이 캡 바디(101)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개봉할 수 있다.
이제 상기 캔고리(30)를 당겨 개봉하는 과정에서 캔 뚜껑(20)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는, 내측벽(120)과 뚜껑 걸림편(121)과 꺾임 절취선(160) 및 꺾임 절개홀(170)에 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4와 도 5에는 본 실시예의 안전 개봉 캡의 하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와 도 5는 각각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5의 경우에는 내측벽(120)에 뚜껑 걸림편(121)이 형성되는 경우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안전 개봉 캡(100)은 통상적으로 음식물을 보관하는 캔에 형성되는 돌출림(40, 도 12 참조)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앞서 언급한 외측벽(110)과 외측벽(110)의 내측에 형성한 내측벽(120)을 포함한다.
상기 내측벽(120)은 개봉 시 상기 캔고리(30)를 당길 때, 안전 개봉 캡(100)이 캔의 돌출림(40)에서 갑작스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상기 내측벽(120)은 굴곡이 없이 평면 형태인 상기 캡 바디(101)의 하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수직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캡 바디(101)의 하부면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된다.
즉, 상기 내측벽(120)은 상기 외측벽(110)과는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측벽(120)과 외측벽(110) 사이에 캔의 돌출림(40)이 삽입되도록 하며, 또한 개봉 시 상기 캔 뚜껑(20)이 상기 내측벽(120)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측벽(120)의 형성이 없으면, 개봉 시 상기 캔고리(30)를 잡아당겨 캔 뚜껑(20)을 개봉할 때, 상기 캔고리(30)를 당기는 장력으로 인하여 안전 개봉 캡(100)이 캔의 돌출림(40)에서 갑작스럽게 밑으로 미끄러져 이탈된다. 그러면 캔 뚜껑의 날카로운 면이 그대로 노출되어 신체에 대한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도 15 및 도 26 참조). 그러므로 캔(10)으로부터 안전 개봉 캡(1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내측벽(120)을 형성한다. 즉, 캔 뚜껑(20)을 개봉하는 때에, 캔고리(30)를 당기는 힘이 상기 캔고리(30)가 위치한 캡 바디(101) 전방보다는 반대 위치인 캡 바디(101) 후방으로 힘이 집중되어 안전 개봉 캡(100)이 상기 돌출림(40)의 뒤로 밀려 이탈되는 힘이 가해진다. 그러나, 상기 내측벽(120)이 돌출림(40)의 내측면에 걸려 저항을 받게 됨으로써 안전 개봉 캡이 뒤로 밀려 캔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측벽(120)은 개봉 과정 중 날카로운 캔 뚜껑(20)의 외주가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벽(120)에도 상기 외측벽에 형성된 꺾임 절취선 또는 꺾임 절개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꺾임 절취선과 꺾임 절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캔 뚜껑 개봉 시에 캔 뚜껑이 휘거나 꺾어지는 형상 변형에 의하여 캔 뚜껑의 날카로운 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 5,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봉 과정에서 캔의 캔 뚜껑(20)이 위치되는 상기 내측벽(120)의 내주면에 소정 두께 돌출 형성된 뚜껑 걸림편(121)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뚜껑 걸림편(121)의 형성이 없으면, 상기 캔고리(30)를 당겨 개봉할 때 상기 캔 뚜껑(20)이 휘거나 꺾이는 형상 변형이 발생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높아진다. 즉, 상기 캔고리(30)를 좌우로 흔들며 당길 때 당기는 힘이 일정하지 않으면, 휘거나 꺾여진 캔 뚜껑(20)이 캡 바디(101)의 하부면에서 멀리 벌어져 캔 뚜껑(20)의 외주가 노출되어 손가락을 다칠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 내측벽(120)의 내주면에 상기 뚜껑 걸림편(121)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캔 뚜껑(20)의 개봉 과정에서 안전성을 확고히 할 수 있다.
상기 뚜껑 걸림편(121)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은, 상기 내측벽(120)이 굴곡이 없이 평면 형태인 상기 캡 바디(101)로부터 하측으로 수직 돌출하여 형성되었기에 가능한 것이다. 즉, 상기 내측벽(120)은 상기 뚜껑 걸림편(121)을 구성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상기 뚜껑 걸림편(12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안전 개봉 캡(100)을 이용하여 캔 뚜껑(20)을 개봉할 때의 하면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6과 같이 상기 캔 뚜껑(20)이 개봉이 되면서 뚜껑 걸림편(121)에 닿고, 캔고리(30)를 당기는 장력에 의해 뚜껑 걸림편(121)이 휘어져 꺾이면서 상기 캔 뚜껑(20)이 캡 바디(101)의 하면으로 인입되어 상기 내측벽(120)의 내측으로 안착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캔 뚜껑(20)의 외주를 내측벽(120)과 외측벽(110)이 이중으로 감싸고, 개봉 과정에서 캔고리(30)를 좌우로 흔들며 개봉할 때, 캔고리(30)를 당기는 힘이 일정하지 않아도 요동되는 캔 뚜껑(20)이 뚜껑 걸림편(121)에 걸리므로, 캔 뚜껑(20)이 내측벽(120)에서 외측으로 노출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위치가 유지된다. 또한 캔(10)과 캔 뚜껑(20)을 완전히 분리하여 개봉을 하여도 상기 뚜껑 걸림편(121)이 캔 뚜껑(20)의 이탈을 방지하여, 날카로운 캔 뚜껑(20)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실시예의 안전 개봉 캡을 구성하는 내측벽(120)의 다양한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내측벽(120)의 형상은 캔고리 들림부(130)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 근방에는 내측벽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전체적으로 내측벽(120)의 형상이 'C'자 형상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로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바디(101)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외측벽(1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전체적으로 내측벽(120)이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 더 정확하게는 캔의 돌출림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바디(101)의 전방향 일부와, 후방향 일부를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에 내측벽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내측벽은 캡 바디(101)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내측벽(122)과, 캡 바디(101)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내측벽(123)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바디(101)의 후방향 일부에만 내측벽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내측벽은 후방 내측벽(124)만이 형성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상기 외측벽(110)에는 앞에서 언급한 꺾임 절취선(160) 및 꺾임 절개홀(170)과 밀착 돌기(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꺾임 절취선(160)과 꺾임 절개홀(170)은, 캔 뚜껑(20)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과 상기 캔 뚜껑(20)을 개봉할 때 개봉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밀착 돌기(111)는 유통 과정 중에 캔(10)에 결합된 안전 개봉 캡(100)이 쉽게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먼저 상기 밀착 돌기(11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밀착 돌기 (111)는 도 4와 같이 상기 외측벽(110)의 내주면에 소정 두께 돌출 형성되어, 캔의 돌출림(40)의 외측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밀착 돌기(111)가 형성됨으로써 유통 과정 중 안전 개봉 캡(100)이 캔(10)으로부터 쉽게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밀착 돌기(111)는 상기 외측벽(110)의 내주면 전체에 형성되거나, 내주면 일부분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상기 밀착 돌기(111)를 상기 외측벽(110)의 내주면 일부에만 형성한 것을 보여주는 안전 개봉 캡의 하부면의 도면이다.
상기 밀착 돌기(111)를 도 24와 다르게 상기 외측벽(110)의 내주면 전체에 형성할 경우에는(원형 형태), 개봉 시 상기 캔고리(30)를 세운 후 캔고리(30)를 초기에 당길 때, 도 4와 같이 돌출 형성된 밀착 돌기(111)가 캔(10)의 돌출림(40)에 걸려서 안전 개봉 캡(100)이 상기 돌출림(40)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아 개봉이 어려워진다. 이로 인해 상기 캔고리(30)에 힘을 주어 당기게 되어 캔고리(30)가 끊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 절취선(141)의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위치를 기준으로, 캔고리 들림부(130)의 방향이 후방이라고 할 때, 전방 쪽(캔고리 들림부(130)의 반대 방향) 외측벽(110)의 내주면 부분은 도 24와 같이 밀착 돌기(111)를 형성하지 않도록 한다(제 1 절취선(141)과 캔고리 들림부(130)의 위치는 도 1 참조). 그리하여 상기 캔고리(30)를 초기에 당길 때, 안전 개봉 캡(100)이 캔(10)의 돌출림(40)에서 쉽게 빠지도록 하여 캔고리(30)의 끊어짐을 방지하도록 한다.
즉, 밀착 돌기(111)를 'C'자 형상으로 하거나, 또한 상기 꺾임 절개홀(170)이 위치된 곳에도 일부분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 꺾임 절개홀(170)이 위치하는 외측벽(110)에 상기 밀착 돌기(111)가 있으면, 돌출된 밀착 돌기(111)의 두께로 인하여 개봉 시 상기 외측벽(110)의 휨 및 절곡 작용에 반발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꺾임 절개홀(170)이 위치된 곳에도 밀착 돌기(111)를 일부분 제거하여, 개봉 시 외측벽(110)의 휨 및 절곡 작용에 반발력을 저하시켜 개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앞에서 언급한 상기 외측벽(110)에 형성된 꺾임 절취선(16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꺾임 절취선(160)은 도 4, 도 15와 같이, 개봉 시 엄지손가락을 지지하는 상기 캡 바디(101)의 중앙부 언저리에서 좌우에 대칭하여 상기 외측벽(110)에 형성된다.
상기 꺾임 절취선(160)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캔 뚜껑(20)의 개봉 과정에서 발생되는 상기 외측벽(110)의 반발력을 소멸시켜, 상기 캔 뚜껑(20)과 상기 캡 바디(101)의 밀착성이 향상되도록 하여 안전하게 캔 뚜껑(20)을 개봉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외측벽(110)에 꺾임 절취선(160)을 형성하지 않고 안전 개봉 캡(100)을 개봉할 경우에는, 개봉 과정에서 오목하게 휘면서 꺾어져 형상 변형이 된 캔 뚜껑(20)과, 외측벽(110)의 반발력으로 휨 및 꺾어짐이 용이하지 못한 상기 캡 바디(101)가 대등하게 휘거나 꺾이지 못한다. 따라서 캔 뚜껑(20)을 좌우로 흔들면서 개봉할 때, 상기 캔 뚜껑(20)과 상기 캡 바디(101)가 밀착성을 유지 못하고 들뜨게 되어, 노출된 날카로운 캔 뚜껑(20)에 손가락을 다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꺾임 절취선(160)이 형성됨으로써 안전하게 개봉할 수 있다.
상기 외측벽(110)이 개봉 과정에서 반발력이 발생되는 것은, 외측벽(110)의 형태가 도 4, 도 5와 같이 링(고리) 형태로 상기 캡 바디(101)의 외주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수직 돌출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기 외측벽(110)에 꺾임 절취선(160)을 형성하여, 개봉 시 상기 캔고리(30)를 당길 때 외측벽(110)에 형성된 상기 꺾임 절취선(160)이 자연히 완전 절개되도록 하여 외측벽(110)의 반발력이 소멸되도록 한다. 그러면 외측벽(110)의 반발력이 소멸되어 상기 캡 바디(101)가 용이하게 꺾이게 되고, 캡 바디(101)와 캔 뚜껑(20)이 대등하게 꺾여 밀착이 향상된다. 그러므로 개봉 과정에서 캔고리(30)를 좌우로 흔들며 당길 때 당기는 힘이 일정하지 않아도 캔 뚜껑(20)의 노출이 방지되어 안전하게 개봉할 수 있다(도 15, 도 16, 도 26 참조). 참고로, 도 26에는 캔고리를 당길 때에 내측벽(120)이 캔의 돌출림(40)에 밀착되어 안전 개봉 캡이 밑으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에 대해서 부분확대도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측벽(110)에 상기 꺾임 절취선(160)의 형성이 없으면, 상기 외측벽(110)이 링(고리) 형태로 상기 캡 바디(101)로부터 하측으로 수직 돌출되어, 캔고리(30)를 잡아 당길 때 상기 외측벽(110)이 오므라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안전 개봉 캡(100)이 캔(10)의 돌출림(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캔고리(30)를 잡아 당기면, 외측벽(110)의 내면에 돌출 형성된 상기 밀착 돌기(111)가 캔의 돌출림(40)에 꼭 끼이게 되어 개봉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도 4, 도 24의 밀착 돌기 참조).
그러므로 캔고리(30)에 힘을 주어 당기다가 상기 캔고리(30)가 끊어질 수 있으나, 상기 꺾임 절취선(160)을 구성하면 상기 캔고리(30)를 당길 때 개봉이 되면서 링(고리) 형태의 상기 외측벽(110)에 형성된 상기 꺾임 절취선(160)이 자연히 완전 절개가 되어 오므라지는 현상이 소멸된다. 이로써 캔고리(30)의 끊어짐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캡 바디(101)를 사용자가 개봉 전에 인위적으로 상기 꺾임 절취선(160)을 완전히 절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꺾임 절취선(160)은 도 9와 도 10과 같이 캡 바디(101)로부터 예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봉 과정에서 절취가 될 때 추가적인 절취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취 단절홀(16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취 단절홀(161)은 필요에 따라 형성할 수도 있고 안할 수도 있다.
상기 꺾임 절취선(160)은 일부분 절개하고 일부분 칼집을 내어 유통 과정에서는 캡 바디(101)가 캔(10)의 돌출림(4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개봉 시 캔고리(30)를 당길 때 자연히 완전 절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외측벽(110)에는 캔(10)의 크기에 따라서 좌우로 대칭되는 꺾임 절취선(160)만으로 하나 또는 추가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도 11 내지 도 15와 같이 꺾임 절취선(160)과 꺾임 절개홀(170)을 병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꺾임 절취선(160)과 꺾임 절개홀(170)을 병행하여 형성할 때 형성되는 위치는, 도 8과 도 11과 같이 상기 캡 바디(101)의 중앙 부위를 C로 나타냈을 때, 캔고리 들림부(130) 측을 전방이라 정의하고 반대편을 후방이라 정의하면, 상기 꺾임 절개홀(170)은 전방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꺾임 절취선(160)은 반대로 후방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꺾임 절개홀(170)과 꺾임 절취선(160)을 병행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병행하지 않고 꺾임 절취선(160)만 추가하여 전방과 후방 모두 꺾임 절취선(160)으로 형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캡 바디(101)의 전방과 후방에 꺾임 절개홀(170)과 꺾임 절취선(160)을 병행하여 형성하였거나, 또는 전방과 후방 모두 꺾임 절취선(160)으로 형성했을 때, 도 15와 같이 캡 바디(101)를 지지하는 엄지손가락의 지지 위치에 따른 개봉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개봉 시 캔고리(30)를 당길 때 엄지손가락의 지지하는 위치를 도 15와 같이 캡 바디(101)의 후방으로 멀리 할 경우에는, 상기 꺾임 절취선(160)이 절개가 되어 외측벽(110)과 내측벽(120)의 휨 및 절곡 작용에 반발력이 약화되어 개봉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엄지손가락의 지지하는 위치를 캔고리 들림부(130)에 가까이 할 경우에는, 캔고리(30)와 가까운 위치를 엄지손가락으로 누르면서 캔고리(30)를 당기게 되므로 개봉이 어려우나, 캡 바디(101)의 전방에 꺾임 절개홀(170)(홀 내지 홈 형태) 또는 꺾임 절취선(160)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외측벽(110)과 내측벽(120)의 휨 및 절곡 작용의 반발력이 약화되어 개봉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엄지손가락이 캔 뚜껑(20)을 지지하는 위치가 자유로워질 수 있다.
또한 개봉 과정에서 캔고리(30)를 당길 때, 캔 뚜껑(20)이 휨 및 절곡되어 형상 변형 되는데, 캔 뚜껑(20)의 휨 및 절곡이 꺾임 절취선(160) 또는 꺾임 절개홀(170)의 언저리에서 이루어져, 캔 뚜껑(20)과 캡 바디(101)가 대등하게 휘거나 절곡되어 밀착이 향상된다.
이로써 개봉 과정에서 캔고리(30)를 좌우로 흔들며 당길 때 당기는 힘이 일정하지 않아도 캔 뚜껑(20)과 캡 바디(101) 사이가 들뜨는 현상이 현저히 저하되어 안전하게 개봉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안전 개봉 캡(100)을 가압하면서 상기 캔고리(30) 측으로 밀어 넣어 이동시켜서, 상기 캔고리(30)가 캔 뚜껑(20)으로부터 멀리 벌어지도록 들어 올려지는 동작 과정에서의 상기 꺾임 절취선(160)과 상기 꺾임 절개홀(17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캔 뚜껑(20)을 개봉할 때, 상기 외측벽(110)에 꺾임 절취선(160) 또는 꺾임 절취선(160)과 꺾임 절개홀(170)을 병행하여 형성하면, 개봉의 용이함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꺾임 절취선(160)과 상기 캡 바디(101) 상부면과의 이뤄지는 각도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하지만 안전 개봉 캡(100)을 가압하면서 상기 캔고리(30) 측으로 밀어 넣어 이동시킬 때, 상기 꺾임 절취선(160)이 캔(10)의 돌출림(40)에 걸려 안전 개봉 캡(100)을 밀면서 이동시키는 것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캡 바디(101)의 중앙 부위에서 전방(캔고리 들림부(130)쪽 방향)에 상기 꺾임 절취선(160)이 형성되면, 안전 개봉 캡(100)을 가압하면서 캔고리(30) 측으로 밀어 이동시킬 때, 상기 꺾임 절취선(160)의 틈새가 캔(10)의 돌출림(40)에 걸려 방해가 된다.
그러므로 상기 캡 바디(101)의 전방에는 홀 내지 홈으로 형성된 꺾임 절개홀(170)을 형성한다.
또한, 후방에는 개봉 시 완전 절개가 되는 상기 꺾임 절취선(160)을 형성하되, 도 10과 같이 수직으로 형성하면 캔(10)의 돌출림(40)에 걸리게 되므로, 도 9와 같이 예각으로 형성하여 안전 개봉 캡(100)을 상기 캔고리(30) 측으로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도 12와 같이, 개봉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상기 꺾임 절취선(160)을 손으로 절개를 시킨 후에, 안전 개봉 캡(100)을 가압하면서 캔고리(30) 측으로 이동시켜 개봉을 시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외측벽(110)의 반발력이 약화된 상태이므로 안전 개봉 캡(100)을 붙잡고 가압하는 것과 캔고리(30) 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개봉 캡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되는 안전 개봉 캡의 경우, 캡 바디(101)의 중앙을 가로지는 절취선이 형성되는 경우로서, 안전 개봉 캡을 이용하여 캔 뚜껑을 개봉할 때 캡 바디의 휨 내지는 꺾임을 용이하게 하여 개봉 과정에서 상기 캡 바디(101)와 상기 캔 뚜껑(20)의 밀착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캡 바디(101)에는 캔 뚜껑(20) 개봉 시에 캡 바디(101)의 중앙 부위가 절곡되도록 하기 위한 캡 바디 꺾임 절취선(210)이 형성된다. 상기 캡 바디 꺾임 절취선(210)은 캡 바디 중심부 언저리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며, 상기 꺾임 절개홀(170)과 상기 꺾임 절취선(160)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꺾임 절개홀(170)과 상기 꺾임 절취선(160)에 연결하지 않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 바디 꺾임 절취선(210)은 캔(10)의 크기에 따라서 하나 또는 추가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캡 바디 꺾임 절취선(210)은 칼집을 내거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7과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개봉 캡의 상부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캔고리 통과수단이 앞서 실시예에서 예시된 절취부의 구성과 다른 절취선들과, 들림부 지지벽(243)이 형성되는 경우가 예시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캡 바디(101)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때에, 상기 캔고리 들림부(130)의 전방에 캔고리(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틈이 형성되고, 안전 개봉 캡(100)을 상기 캔고리(30) 측으로 밀어서 캔고리가 삽입되는 때에, 캔고리 들림부(130)가 캔고리 하측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절취부(240)가 구성된다.
상기 절취부(240)는, 상기 캡 바디(101)를 가압하는 때에 상기 캔고리 들림부(130) 일부가 하강하도록 절취된 제 1 절취선(241)이, 상기 캔고리 들림부(130)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제 2 절취선(242)과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캡 바디(101)를 하측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캔고리(30) 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면, 상기 캔고리 들림부(130)의 일부가 제 2 절취선(242) 보다 낮은 위치로 하강하게 되고, 상기 제 2 절취선(242)과 캔고리 들림부(130) 사이로 캔고리(30)가 삽입이 되면서 캔고리 들림부(130)에 의해 캔고리(30)의 일측 단부가 캔 뚜껑(20)으로부터 벌어지는 회전 동작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제 3 실시예의 경우, 도 17과 같이 상기 캔고리 들림부(130)를 형성하여 캔고리 들림부(130)에 의해 캔 뚜껑(20)으로부터 멀리 벌어진 캔고리(30)를 손톱을 사용할 필요 없이 손가락으로 세운 후 개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캔고리 들림부(130)의 후방에 도 18과 같이, 경사면(131)을 갖는 캔고리 들림부(130)의 후방(경사면의 높은 쪽) 높이와 동일하게 돌출되는 들림부 지지벽(243)을 상기 캔고리 들림부(130)에 인접 또는 접촉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들림부 지지벽(243)은 개봉 시 상기 캔고리(30)를 들어올리면서 당길 때, 캔고리 들림부(130)가 지나치게 위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캡 바디(101) 또는 캔고리 들림부(130)를 상기 캔고리(30) 측으로 밀면서 하측으로 가압하는 때는, 도 18과 같이, 제 1 절취선(241)이 캔고리 들림부(130)까지 형성되어 있어서, 캔고리 들림부(130)의 일부만 낮은 위치로 하강되고 상기 들림부 지지벽(243)은 그대로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캔고리(30)를 들어올리면서 당길 때는, 하강되었던 상기 캔고리 들림부(130)가 올라오게 되는데, 상기 들림부 지지벽(243)이 캔고리 들림부(130)를 지지하여 캔고리 들림부(130)가 지나치게 위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와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개봉 캡의 상부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 4 실시예의 안전 개봉 캡(100)은, 캡 바디(101) 상부면에 캔고리 들림부(130)가 형성되는 것은 동일하지만, 상기 캔고리 들림부(130)의 전방에는 절취부 또는 절취선 대신에, 캔고리 통과수단이 캔고리(30)의 삽입이 가능한 크기의 캔고리 유입홀(340)로 형성되는 경우이다.
도 19와 도 20에는 상기 캔고리 유입홀(340)이 부채꼴 형상 내지는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직사각형상, 타원형상 등 캔고리(30)가 삽입 또는 유입될 수 있는 모양이라면 어떤 모양도 가능할 것이다.
제 4 실시예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캡 바디(101)를 하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캔고리 들림부(130)가 하강하게 되고, 사용자가 안전 개봉 캡(100)을 캔고리측으로 밀면, 캔고리(30)가 상기 캔고리 유입홀(340)을 통하여 삽입되면서 캔고리(30)의 하면이 상기 캔고리 들림부(130)에 의해 들어올려지면서 회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들어올려진 상기 캔고리(30)를 손톱이 아닌 손가락으로 수직으로 세우면, 상기 캔고리(30)가 캔고리 지지면(341)에 인접 또는 접촉된다.
그러므로 개봉 시 세워진 상기 캔고리(30)를 당기면, 캔고리(30)가 상기 캔고리 지지면(341)에 지지가 되어 밀려 내려가지 않고 캔고리(30)의 위치가 고정이 된다. 그리하여 상기 캔 뚜껑(20)과 캡 바디(101)가 동반하여 개봉이 되고, 개봉 과정에서 캔 뚜껑 (20)과 캡 바디(101)가 대등하게 휘거나 절곡되어 밀착이 향상되므로 안전하게 개봉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의 경우, 도 20과 같이 캔고리 유입홀(340)에 접한 외측벽(110)을 제거할 수도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개봉 캡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25에 도시되는 안전 개봉 캡의 상면의 경우, 캔고리 들림부(130)를 형성하지 않고 캔고리 통과수단인 절취부(140)의 제 1 절취선(141)과 제 2 절취선(142), 그리고 제 1 서브 절취선(143)과 제 2 서브 절취선(144)과 절취 단절홀(150)로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서브 절취선(143)과 상기 제 2 서브 절취선(144)이 절취부(140)와 함께 개방되는 폭을 확장하게 된다. 이로써 안전 개봉 캡(100)을 가압하는 것과 상기 절취부(140)에 상기 캔고리(30)를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상기 안전 개봉 캡(100)의 사용은, 안전 개봉 캡(100)을 하측으로 가압하면서 캔고리(30)측으로 밀어 이동을 시켜 상기 캔고리(30)가 상기 절취부(140)의 틈으로 삽입되면, 상기 캔고리(30)를 손톱 또는 손가락으로 세우지 않고 안전 개봉 캡(100)의 후방 하면에 손을 넣어 안전 개봉 캡(100)을 들어올려서 캔고리(30)를 세운 후, 캔고리(30)를 당겨 개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서브 절취선(143)과 상기 제 2 서브 절취선(144)은 필요에 따라 각을 이루지 않고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캔 20 : 캔 뚜껑
30 : 캔고리 100 : 안전 개봉 캡
110 : 외측벽 120 : 내측벽
130 : 캔고리 들림부 140 : 절취부
150 : 절취 단절홀 160 : 꺾임 절취선
170 : 꺾임 절개홀

Claims (18)

  1. 음식물이 보관되는 캔의 상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림과, 상기 돌출림 내측에 형성되어 캔 상부를 덮고 있는 캔 뚜껑과, 상기 캔 뚜껑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는 캔고리를 포함하는 캔에 있어서, 상기 캔의 캔 뚜껑을 개봉하기 위한 안전 개봉 캡으로서,
    몸체를 형성하는 캡 바디와,
    상기 캡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외측벽과,
    상기 캡 바디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캔고리를 세울 때 손톱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 두께 돌출 형성되는 경사면 형태의 캔고리 들림부로서, 상기 캔고리가 세워졌을 때 상기 캔고리의 축 또는 리벳에 접촉하거나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캔고리 들림부와,
    상기 캡 바디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캡 바디가 하측으로 가압되는 때에 상기 캔고리의 단부의 일부가 점차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캔고리 통과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캔고리 통과수단은 상기 캡 바디 일부가 절취된 절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취부는 상기 캔고리 들림부와 접촉 또는 상기 캔고리 들림부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 제 1 절취선과, 상기 제 1 절취선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절취선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절취선을 포함하고,
    상기 캔 뚜껑의 개봉시 상기 캔고리를 당길 때 상기 캔고리의 끊어짐을 방지하면서 개봉 과정에서 상기 캡 바디의 휨 또는 절곡이 용이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캔고리 들림부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꺾임 절취선 또는 꺾임 절개홀이 형성되거나, 상기 꺾임 절취선과 꺾임 절개홀 모두 형성되고,
    상기 캡 바디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기 캔고리 들림부가 형성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상기 전방의 역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면,
    상기 캡 바디의 전방측에 상기 꺾임 절개홀이 형성되고 상기 캡 바디의 후방측에는 상기 꺾임 절취선이 형성되거나,
    상기 캡 바디의 전방측에 상기 꺾임 절취선이 형성되고 상기 캡 바디의 후방측에는 상기 꺾임 절개홀이 형성되고,
    상기 꺾임 절취선은 상기 캡 바디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수직 또는 예각이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전 개봉 캡.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상기 절취부의 개방되는 폭을 확장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절취선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제 2 절취선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상기 돌출림을 따라 상기 돌출림에 근접하여 소정 길이로 절취되는 서브 절취선을 더 포함하는 안전 개봉 캡.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절취선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캡 바디의 가압에 따라 절취가 더이상 연장되지 않도록 억제하기 위한 홀 구조의 절취 단절홀이 형성되는 안전 개봉 캡.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캔고리 들림부의 후방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돌출된 들림부 지지벽이 상기 캔고리 들림부의 후방에 인접 또는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안전 개봉 캡.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림으로부터 상기 외측벽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측벽의 내주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소정 두께 돌출 형성되는 밀착 돌기가 구성되고,
    상기 밀착 돌기는 상기 돌출림의 외주면을 따라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캔고리 들림부에 근접하는 상기 전방측의 외측벽 내주면에는 기설정된 길이만큼 상기 밀착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안전 개봉 캡.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바디의 후면에서 하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내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벽은 상기 외측벽과 소정 간격 이격됨으로써, 상기 내측벽의 외측과 상기 외측벽 사이에 상기 돌출림이 밀착되고,
    상기 내측벽의 내측으로 상기 캔 뚜껑의 개봉시 상기 캔 뚜껑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안전 개봉 캡.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캔 뚜껑의 개봉 과정에서 상기 캔 뚜껑이 내측벽의 내측 위치에서 외측으로 노출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뚜껑 걸림편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뚜껑 걸림편은 상기 캔고리 들림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응하여 위치되는 안전 개봉 캡.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바디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기 캔고리 들림부가 형성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상기 전방의 역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했을 때,
    상기 캔고리 들림부는 상기 캡 바디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안전 개봉 캡.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캔고리 들림부의 상부면의 양측에는 상기 캔고리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소정 두께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캔고리 가이드턱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안전 개봉 캡.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캔고리 통과수단은 상기 캡 바디 일부가 제거된 캔고리 유입홀로 이루어지고,
    상기 캔고리 유입홀은 상기 캡 바디의 일측 단부와 상기 캔고리 들림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캔고리의 삽입이 가능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안전 개봉 캡.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캔고리 통과수단은 상기 캔고리 유입홀이 위치한 부분의 상기 외측벽을 제거하여 형성되는 안전 개봉캡.
  16. 음식물이 보관되는 캔의 상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림과, 상기 돌출림 내측에 형성되어 캔 상부를 덮고 있는 캔 뚜껑과, 상기 캔 뚜껑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는 캔고리를 포함하는 캔에 있어서, 상기 캔의 캔 뚜껑을 개봉하기 위한 안전 개봉 캡으로서,
    몸체를 형성하는 캡 바디와,
    상기 캡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외측벽과,
    상기 캡 바디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캡 바디가 하측으로 가압되는 때에 상기 캔고리의 단부의 일부가 점차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캔고리 통과수단과,
    상기 캡 바디의 후면에서 하측으로 돌출 연장되면서 상기 외측벽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내측벽으로서, 상기 내측벽의 외측과 상기 외측벽 사이에 상기 돌출림이 밀착되어 상기 내측벽의 내측으로 상기 캔 뚜껑의 개봉시 상기 캔 뚜껑이 삽입되도록 하는 내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캔고리 통과수단은 상기 캡 바디 일부가 절취된 절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취부는 상기 캡 바디 상부면의 일측에 상기 캔고리가 세워졌을 때 상기 캔고리의 축 또는 리벳에 접촉 또는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절취부는 제 1 절취선과 상기 제 1 절취선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절취선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절취선이 형성되고, 상기 절취부의 개방되는 폭을 확장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절취선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제 2 절취선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상기 돌출림을 따라 상기 돌출림에 근접하여 소정 길이로 절취되는 서브 절취선을 포함하는 안전 개봉 캡.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바디 상부면에서 소정 두께 돌출되는 경사면을 갖고, 상기 캔고리가 세워졌을 때 상기 캔고리의 축 또는 리벳에 접촉 또는 소정 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캔고리 들림부를 더 포함하는 안전 개봉 캡.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림으로부터 상기 외측벽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측벽의 내주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소정 두께 돌출 형성되는 밀착 돌기가 구성되고,
    상기 밀착 돌기는 상기 돌출림의 외주면을 따라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캔고리 들림부에 근접하는 상기 전방측의 외측벽 내주면에는 기설정된 길이만큼 상기 밀착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안전 개봉 캡.
KR1020170124991A 2017-09-27 2017-09-27 안전 개봉 캡 KR101875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991A KR101875335B1 (ko) 2017-09-27 2017-09-27 안전 개봉 캡
PCT/KR2018/009382 WO2019066248A1 (ko) 2017-09-27 2018-08-16 안전 개봉 캡
US16/640,449 US20200207510A1 (en) 2017-09-27 2018-08-16 Safety opening cap
EP18860991.1A EP3689772A4 (en) 2017-09-27 2018-08-16 SAFETY OPENING CAP
CN201880062885.4A CN111132905B (zh) 2017-09-27 2018-08-16 安全开封盖
JP2020509478A JP7440408B2 (ja) 2017-09-27 2018-08-16 安全開封キャップ(injury-preventive can c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991A KR101875335B1 (ko) 2017-09-27 2017-09-27 안전 개봉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335B1 true KR101875335B1 (ko) 2018-07-05

Family

ID=62920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991A KR101875335B1 (ko) 2017-09-27 2017-09-27 안전 개봉 캡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207510A1 (ko)
EP (1) EP3689772A4 (ko)
JP (1) JP7440408B2 (ko)
KR (1) KR101875335B1 (ko)
CN (1) CN111132905B (ko)
WO (1) WO20190662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121B1 (ko) 2018-07-19 2019-03-05 손기정 안전성이 개선된 캔용 뚜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50524A1 (en) * 2020-08-06 2022-02-09 Robertus Jan Tangenberg Hygiene cap for a ca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2Y1 (ko) * 2002-10-04 2003-01-15 옥윤채 원터치식 금속캔
JP2003212264A (ja) * 2002-01-18 2003-07-30 Dainippon Printing Co Ltd 缶蓋面用メンコ
KR200355583Y1 (ko) * 2004-04-22 2004-07-07 권민재 안전캡을 구비한 원터치 캔
JP2004189338A (ja) * 2002-05-01 2004-07-08 Yumec:Kk タブ開け手段を設けた缶用キャップ
JP2007137514A (ja) * 2005-11-17 2007-06-07 Hitoshi Tominaga 飲料缶用衛生キャップ及びフイルム
KR101056802B1 (ko) * 2011-02-21 2011-08-12 이승준 캔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덮개 및 이를 이용한 캔의 개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962Y2 (ko) * 1972-07-08 1978-02-28
JPS5924682Y2 (ja) * 1981-10-22 1984-07-21 東洋製罐株式会社 罐体容器の安全キヤツプ
JP3021834U (ja) * 1995-08-23 1996-03-12 株式会社永谷園 缶容器用上部キャップおよびこれを備えた缶容器
ES1040791Y (es) * 1998-07-27 1999-09-01 Gonzalez Carrete Benjamin Dispositivo protector para el consumo de productos enlatados, tales como bebidas, conservas y otros.
JP2000203574A (ja) * 1999-01-11 2000-07-25 Mine:Kk 裂開容器用開蓋補助具
JP3558271B2 (ja) * 1999-08-30 2004-08-25 花王株式会社 容器
US6290084B1 (en) * 2000-02-17 2001-09-18 Chun Chiu Louie Rotary protective cover attachment for beverage container
JP2002087497A (ja) * 2000-09-12 2002-03-27 Okuda Seisakusho:Kk プルトップ缶用オープナー
JPWO2005087599A1 (ja) * 2004-03-15 2008-01-24 ソワコキーヌ有限会社 飲料缶用キャップおよびこれを備えた飲料容器
JP3115590U (ja) * 2005-08-09 2005-11-10 有限会社寿プロセシング プルトップオープナー
JP4916278B2 (ja) * 2006-01-31 2012-04-11 日清食品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湯切り孔付き蓋材
US20110232423A1 (en) * 2010-03-23 2011-09-29 Keith Raymond Combination Beverage Can Opener and Cover
KR20110009920U (ko) * 2010-04-14 2011-10-20 나태식 광고스티커 겸용 안전 캔 따개
CN106468383A (zh) * 2015-08-21 2017-03-01 斗利化学株式会社 管连接组装体
CN205274071U (zh) * 2015-12-01 2016-06-01 何贤平 一种保护指甲的易拉罐
CN106945909B (zh) * 2017-05-09 2018-09-28 广东工业大学 一种环保油罐
EP3950524A1 (en) * 2020-08-06 2022-02-09 Robertus Jan Tangenberg Hygiene cap for a ca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2264A (ja) * 2002-01-18 2003-07-30 Dainippon Printing Co Ltd 缶蓋面用メンコ
JP2004189338A (ja) * 2002-05-01 2004-07-08 Yumec:Kk タブ開け手段を設けた缶用キャップ
KR200300922Y1 (ko) * 2002-10-04 2003-01-15 옥윤채 원터치식 금속캔
KR200355583Y1 (ko) * 2004-04-22 2004-07-07 권민재 안전캡을 구비한 원터치 캔
JP2007137514A (ja) * 2005-11-17 2007-06-07 Hitoshi Tominaga 飲料缶用衛生キャップ及びフイルム
KR101056802B1 (ko) * 2011-02-21 2011-08-12 이승준 캔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덮개 및 이를 이용한 캔의 개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121B1 (ko) 2018-07-19 2019-03-05 손기정 안전성이 개선된 캔용 뚜껑
US11434045B2 (en) 2018-07-19 2022-09-06 Kijung SON Safety-enhanced can l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35080A (ja) 2020-12-03
CN111132905A (zh) 2020-05-08
CN111132905B (zh) 2021-11-19
WO2019066248A1 (ko) 2019-04-04
US20200207510A1 (en) 2020-07-02
EP3689772A4 (en) 2021-03-24
EP3689772A1 (en) 2020-08-05
JP7440408B2 (ja) 202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1806B2 (ja) 家庭用衛生薄葉紙の収納箱
KR101875335B1 (ko) 안전 개봉 캡
JP5463523B1 (ja) ロールペーパー保持切断装置
EP0158711A2 (en) A container lid having a safe open edge
KR101892808B1 (ko) 캔 뚜껑 안전 캡
JP3000518U (ja) イージーオープン式の缶容器
KR200371280Y1 (ko) 마개
JP6041935B2 (ja) ラップフィルムケースの受け皿システム。
KR200300922Y1 (ko) 원터치식 금속캔
JP3218169U (ja) 開封が容易なアイスクリーム容器
JP6214306B2 (ja) 包装箱
JP6644400B1 (ja) 缶オープナ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開缶方法。
JP3057992U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の箱におけるティッシュペーパー取り出し構造
JP2012006657A (ja) 飲料缶
KR200349327Y1 (ko) 케이크 포장 케이스
JP6990050B2 (ja) 開缶用タブ及び缶蓋
KR20220002264U (ko) 손톱줄을 구비한 다용도 오프너
JPH0133464Y2 (ko)
KR101831269B1 (ko) 놀이용 카드 포장케이스
KR101499788B1 (ko) 액체용기용 공기 흡입구
KR200200868Y1 (ko) 스파우트 캡
KR20200019324A (ko) 캔따개
JPH0424835Y2 (ko)
KR101141745B1 (ko)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KR20210000613U (ko) 플라스틱 밀폐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