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802B1 - 캔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덮개 및 이를 이용한 캔의 개구방법 - Google Patents

캔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덮개 및 이를 이용한 캔의 개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802B1
KR101056802B1 KR1020110015239A KR20110015239A KR101056802B1 KR 101056802 B1 KR101056802 B1 KR 101056802B1 KR 1020110015239 A KR1020110015239 A KR 1020110015239A KR 20110015239 A KR20110015239 A KR 20110015239A KR 101056802 B1 KR101056802 B1 KR 101056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itary cover
opening
handle
cover
sani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이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준 filed Critical 이승준
Priority to KR1020110015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802B1/ko
Priority to PCT/KR2011/006517 priority patent/WO201211531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40Devices for engaging tags, strips, or tongues for opening by tearing, e.g. slotted keys for opening sardine tins
    • B67B7/403Devices for engaging tags, strips, or tongues for opening by tearing, e.g. slotted keys for opening sardine tins adapted for engaging the ring of a pull tab for opening an aper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및 주류용 캔(can)의 위생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음료나 주류의 캔으로 제공되는 제품을 보다 쉽게 오픈할 수 있고 위생적으로 관리가 가능한 위생덮개 및 이를 이용한 캔의 개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기본적으로 음료나 주류용 캔의 취음구가 있는 뚜껑 외연을 감싸도록 제공되는 위생덮개에 관한 것으로, 위생덮개가 표면부, 중간부, 저부로 구분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는바, 표면부는 위생덮개의 상부전체를 감싸 밀폐시키는 구성을 이루어서 외부의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뚜껑을 이루게 되고, 위생덮개의 중간부는 원주 내부에 캔의 리벳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 캔 오픈용 손잡이부가 위치하는 공간부로 제공되는 구성이며, 위생덮개 저부에는 원주의 일측에서 중앙부로 돌출되는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를 갖는 구성으로 제공되어 캔을 오픈시키고 싶을 때 캔의 상부를 감싼 위생덮개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위생덮개의 저부에 마련되어 있는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가 캔의 오픈용 손잡이부 밑으로 내삽시킨 상태를 이루고 위생덮개를 들어올리면, 손잡이걸이부를 손잡이가압부 방향으로 젖혀주는 결과가 되어 손잡이걸이부 반대편의 손잡이가압부가 절취선 안쪽의 취음구를 가압하여 절취선을 따라 취음구가 절취되면서 캔이 오픈되는 구성을 이루도록 제공된다.

Description

캔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덮개 및 이를 이용한 캔의 개구방법{hygiene cover of can opener an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료 및 주류용 캔(can)의 위생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음료나 주류의 캔으로 제공되는 제품을 보다 쉽고 안전하게 오픈할 수 있고 위생적으로 관리가 가능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캔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덮개 및 이를 이용한 캔의 개구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캔 오픈 수단들을 살펴보면, 예를 들어 캔 맥주를 구입하여 소비자가 직접 자신의 손가락을 캔 뚜껑에 밀착되어 있는 손잡이 걸이부에 손가락을 끼우기 위해 손톱이나 손가락 마디 끝으로 상기 캔 뚜껑을 뚜껑 표면으로부터 들어올려야 하므로 소비자의 손톱이 다치게 되고 통증을 유발시킬 사용상의 불편이 있었으며, 또한 캔은 유통과정 중에 아무런 덮개도 없이 유통되거나 창고나 진열장에 보관되었다가 사용자가 직접 입을 대고 음용할 때에는 표면의 먼지를 불어내거나 손으로 닦고 음용하면서도 캔의 용기가 오염되지 않았는지 취음구에 세균번식 등의 위험은 없는지 걱정을 하며 마셔야 하는 비위생적 관리수준이었다.
본원은 음료나 주류가 담겨져 식음하도록 제공되는 캔 제품에 관한 것으로 예를들면, 식혜나 오랜지 쥬스 등이 담기는 캔 음료나 또는 맥주 등의 주류가 담긴 캔 제품에 캔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덮개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손쉽게 캔을 개구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캔 제품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바, 도 1a는 종래 캔 오픈장치의 상부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b는 상기 도 1a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캔 구조는 캔 본체 (60)의 상부로 압착되어 접합되는 상부 캡(2)을 갖고 상부 캡(2)의 바닥부(1)에 가벼운 힘을 가해 본체(60)에 마련되는 절취선(4)에 따라 취음구마개(3)가 개구/분리될 수 있도록 취음구마개(3) 외연을 따라 절취선(4)이 형성되고 그 반대 측에서 손잡이걸이부(13)에 손가락을 걸어 당기면 절취선(4)을 따라 상부 캡(2)의 일부인 취음구마개(3)가 절취되는 구성을 이루기 위해 손잡이부(10)가 상부 캡(2)의 상면에 밀착되게 구성되되, 손잡이부(10)는 중앙으로 리벳모형 체결부(11)를 갖는 손잡이고정부(12)를 중심으로 취음구마개(3)쪽으로는 손잡이가압부(14)를 갖고 손잡이가압부(14)가 취음구마개(3) 외연의 절취선(4)을 압박하여 취음구마개(3)를 개구시키도록 기능하고, 그 반대쪽으로는 손잡이걸이부(13)에 손가락을 걸어 당기도록 제공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손잡이걸이부(13)에 손가락을 걸어 당기면 절취선(4)을 따라 상부 캡(2)의 일부인 취음구마개(3)가 절취되어 한번의 동작으로 편리하게 캔을 오픈시킬 수 있게 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 캔은 오픈된 후에도 절취된 부분 일부가 상부 캡(2)에 연결된 상태로 남아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제공되며, 손잡이부(10)는 손가락을 거는 손잡이걸이부(13)와 리벳모형 체결부(11)에 의해 절취선(4)에 인접하여 뚜껑(2)에 고정되는 손잡이고정부(12)와 절취선(4) 내측의 취음구마개(3)를 가압하기 위해 절취선(4) 안쪽의 상측으로 위치하는 손잡이가압부(1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손잡이걸이부(13)에 손가락을 걸고 손잡이(10)를 손잡이가압부(14) 방향으로 젖히면, 손잡이고정부(12)를 중심으로 손잡이걸이부(13) 반대편의 손잡이가압부(14)가 절취선(4) 안쪽의 취음구마개(3)를 가압하여 절취선을 따라 취음구마개(3)의 일부분이 절취되어 구부러지면서 캔이 오픈되는 구조이다.
또한, 도 1b의 단면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캔 오픈구조는 캔의 상부 캡(2) 테두리 표면보다 상부 캡(2) 바닥부(1)에 손잡이걸이부(13), 손잡이고정부(12) 손잡이가압부(14) 등으로 구분되는 손잡이부(10)가 밀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취음구마개(3)를 개구시키고자 손가락을 걸기 위해 손톱이나 손가락 마디 끝으로 이를 상부 캡(2)의 바닥부(1)에서 들어올려야 하므로, 사용자의 손톱을 다치게 하거나 통증을 유발하는 등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1b의 단면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캔 본체(60)를 감싸 마련되는 상부 캡(2)의 내측과 취음구마개(3)가 오픈됨으로 마련되는 취음구(3')를 마련하기 위해 소비자가 손가락 한 개를 끼워 넣어야 할 손잡이걸이부(13)와의 사이에는 굵은 손가락은 끼워 넣을 수 없는 좁은 공간(w1) 사이로 소비자의 손가락을 넣어 압력에 의해 들어올려야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도면 부호 w1은 상부 캡(2)의 내측과 손잡이걸이부(13)사이의 공간을 말한 것이고, 도면 부호 w2는 상부 캡(2) 바닥부(1)와 손잡이부(10)와의 밀접된 공간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캔 구조는 유통 및 보관 과정에서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캔 의 상부 캡(2)이나 바닥부(1)뿐 아니라 캔 뚜껑의 도면 부호 w1, 도면 부호 w2에 묻고 음지에서 보관되는 경우 대기 중의 습기에 의한 세균의 번식 우려 등으로 입을 취음구(50)에 직접 대고 시음하고자 할 경우 비위생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문제로 인하여 손수건이나 휴지 등으로 닦아내고 식음해야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원은 기존의 음료나 주류를 내장하는 캔 구조가 유통과정에서 아무런 보호수단이 없이 판매 진열됨으로 소비자가 캔 음료를 마시고자 할 때 위생관리에 대한 신뢰감을 주지 못해 소비자가 취음구가 있는 뚜껑부위를 손수건으로 닦고 음용을 하거나 입으로 먼지를 불어낸 후 음용하는 비 위생적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또한 캔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해 취음구를 열고 싶을 때 소비자가 캔 손잡이부의 좁은 공간으로 손가락을 끼워 넣어야 하는 문제점 등을 해소하기 위한 과제인식을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은 캔의 흡음구가 있는 뚜껑을 완전히 감싸 뚜껑부를 보호하는 위생덮개를 제공하되, 위생덮개가 캔의 취음구를 손쉽게 개구시킬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된 위생덮개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 발명이다.
본원은 음료나 주류를 내장하여 제공되는 캔(can) 뚜껑의 취음구 및 취음구를 오픈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뚜껑부에 위생덮개가 씌워져서 외부에서 이물질이나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제공되는 캔 구조를 전제로 한다.
본원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위생덮개가 표면부 중간부 저부로 구분되어 뚜껑형태를 이루어 제공되되, 표면부는 위생덮개의 상부전체를 감싸 밀폐시키는 구성이고, 중간부는 캔 오픈용 손잡이부가 위치하는 공간부로 제공되며, 위생덮개 저부는 원주의 일측에서 중앙부로 돌출되는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를 갖는 구조로 제공되는 구성의 위생덮개를 통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을 갖는다.
본원은 음료나 주류용 캔의 취음구가 있는 뚜껑 외연을 감싸도록 제공되는 위생덮개 구조에서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를 갖고 안전하고 손쉽게 취음구를 개구하는 부분에 특징을 갖는바, 본원에서 제공되는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를 갖는 위생덮개의 구조를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위상덮개를 표면부, 중간부, 저부로 구분되는 3중 구조로 설명될 수 있는바, 표면부는 위생덮개의 상부전체를 감싸 밀폐시키는 구성을 이루어서 외부의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뚜껑부를 형성하게 되고, 위생덮개의 중간부는 원주 내부에 캔의 리벳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 캔 오픈용 손잡이부가 위치하는 공간부로 제공되는 구성이며, 위생덮개 저부에는 원주의 일측에서 중앙부로 돌출되는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를 갖는 구성을 이루는 위생덮개 구조로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조의 위생덮개를 이용하여, 캔을 오픈시키고 싶을 때 캔의 상부를 감싼 위생덮개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위생덮개의 저부에 마련되어 있는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가 캔의 오픈용 손잡이부 밑으로 내삽시킨 상태를 이루고 위생덮개를 들어올리는 작업이 진행되면, 손잡이부 밑으로 내삽된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와 일체로 형성된 위생덮개가 손잡이걸이부를 손잡이가압부 방향으로 젖혀주는 결과가 되어 손잡이걸이부 반대편의 손잡이가압부가 절취선 안쪽의 취음구를 가압하여 절취선을 따라 취음구가 절취되면서 캔이 오픈되는 구성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 위생덮개를 일측으로 돌려 캔을 오픈시킬 때 캔의 회전 정도를 알려주기 위해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의 후단부에는 정지돌기부가 마련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위생덮개의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 단부가 캔의 손잡이부 밑으로 쉽게 내삽되는 구조를 이루기 위해 위생덮개의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 단부가 예리부를 갖도록 제공되어 위생덮개를 일측으로 돌릴 때 예리부에서 시작되어 후박부로 이동되며 캔의 손잡이걸이부를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는 구성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본원에서 제공되는 위생덮개는 중앙부에 일직선으로 접힐 수 있는 힌지선이 마련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캔의 취음구를 오픈시키고자 할 때 위생덮개를 회전시키고 위생덮개의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가 캔의 손잡이부 저부로 내삽된 후 위생덮개를 들어올릴 때 힌지선이 접혀지며 위생덮개가 1/2로 접혀지는 구조를 이루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가 캔의 손잡이부 저부로 내삽되어 힌지선과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가 대체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는 위치에서 위생덮개를 들어올릴 때 1/2로 접혀지면서 안전하고 쉽게 취음구를 오픈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의 위생덮개 제조시에는 위생덮개 외연으로는 1~8개 범위의 식별표시 및 방향제시 기능을 갖는 식별돌기부를 갖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식별돌기부는 위생덮개의 자동화 제조공정에서 힌지선이나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가 일정 방향으로 이동하며 생산되도록 도움을 주게되며, 위생덮개를 캔 상부로 재치시킬 때 또는 오픈시킬 때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나 캔의 손잡이부의 위치 알림이나 방향제시 기능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원의 구성으로 제공되는 위생덮개를 이용하여 캔을 오픈시키는 개구방법은 캔의 취음구가 있는 뚜껑 바닥부에 마련되는 취음구 및 취음구를 오픈하도록 상부뚜껑 바닥부 중심부인 리벳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 손잡이부를 갖는 구조로 캔 뚜껑이 제공되는 단계; 및 상기 캔 뚜껑을 감싸 보호하도록 제공되는 위생덮개가 표면부 중간부 저부로 구분되어 원주형태로 제공되는 구성을 이루되, 표면부는 위생덮개의 상부전체를 감싸 밀폐시키는 구성이고, 중간부는 원주 중심부에 캔의 리벳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 캔 오픈용 손잡이부가 위치하는 공간부로 제공되며, 위생덮개 저부는 원주의 일측에서 중앙부로 돌출되는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를 갖는 구조로 제공되는 단계; 및 캔의 상부에서 위생덮개를 회전시키면 위생덮개의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가 캔의 손잡이부 저부로 내삽된 후 위생덮개를 상부로 들어올려 캔의 취음구를 개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단을 통하여 안전하고 쉽게 캔을 개구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본원 발명의 기술사상은 기존구조의 캔 구조에서 손잡이를 수직으로 직접 당기므로 강력하고 순간적인 가압력이 요구되고 손톱과 손가락을 이용하므로 불편하고 특히 어린이 노약자 여자들의 경우에는 손톱이나 손가락 등의 손상 또는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본원에서 제공되는 위생덮개를 이용하여 일 측부로 돌려주는 회전력에 의해 안전하고 쉽게 캔을 오픈할 수 있도록 편리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원은 기존의 음료나 주류를 내장하는 캔 구조가 유통과정에서 아무런 보호수단이 없이 판매 진열됨으로 소비자가 캔 음료를 마시고자 할 때 위생관리에 대한 신뢰감을 주지 못해 소비자가 취음구가 있는 뚜껑부위를 손수건으로 닦고 음용을 하거나 입으로 먼지를 불어낸 후 음용하는 비 위생적 문제점을 해소하여 위생관리에 안전함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종래의 캔 오픈장치의 일반적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도 2: 본원에서 제공되는 오프너 기능을 갖는 위생덮개(A타입) 예시도.
도 3: 도 2에 제시된 위생덮개(A타입)가 캔 상부에 재치되는 예시도.
도 4: 본원에서 제공되는 오프너 기능을 갖는 위생덮개(B타입) 예시도.
도 5: 도 4에 제시된 위생덮개(B타입)가 캔 상부에 재치되는 예시도.
도 6: 본원의 위생덮개가 캔 상부로 올려진 상태의 상부평면도.
도 7: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또 다른 형태의 적용양태 예시도.
본원은 기존의 캔 구조에서 취음구를 오픈하고자 할 때는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수직으로 직접 당겨 오픈시키고자 할 때 순간적인 가압력이 요구되고 손톱과 손가락을 이용하므로 불편하고 특히 어린이 노약자 여자들의 경우에는 손톱이나 손가락 등의 손상 또는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는바, 본 발명은 위생덮개를 돌려주는 회전력에 의해 쉽고 안전하게 캔을 오픈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발명의 실시예를 겸하여 본원 기술사상이 구현되는 실시양태를 도면으로 제시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바,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발명의 기술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며, 또한 본원의 도면으로 제시되는 내용은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적용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원의 출원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원 발명의 기술사상이 구현되는 실시양태로, 기존의 주류나 음료용 캔 구조는 도 1에 상세히 그 명칭과 기능이 제시되어 있는바, 본원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기존의 주류나 음료용 캔 구조에 대한 설명은 도 1a 및 도 1b 도면을 그 대로 적용하는 것으로 하고 본원에서는 오프너 기능이 겸비된 위생덮개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는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위생덮개를 설명하고자 한 것으로 본원에서 제공되는 위생덮개는 하나의 독립제품으로 일체화되어 제공되는 것이나, 위생덮개의 구조를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 2a에서는 위생덮개(30)를 표면부(31), 중간부(32), 저부(33)로 구분되는 3중 구조로 분해시켜 도시한 것이고, 도 2b에서는 하부로 중간부(32) 및 저부(33)가 결합된 구조와 상부로 표면부(31)가 아직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분해시켜 도시한 것이며, 도 2c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본래의 위생덮개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표면부(31)는 일반뚜껑 형태로 위생덮개의 상부전체를 감싸 밀폐시키는 구성을 이루고 측면으로는 테두리부(20)를 갖는 구성으로 외부의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뚜껑부를 형성하게 되고, 위생덮개의 중간부(32)는 원주형태로 그 내부에 캔의 취음구(3) 및 리벳체결구(11)에 의해 고정되는 캔 오픈용 손잡이부(10)가 위치하는 공간부로 제공되는 구성이며, 위생덮개 저부(33)에는 원주의 일측에서 중앙부로 돌출되는 구조의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34)를 갖는 구성을 이루는 위생덮개(30)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34)의 후단부에는 더 이상 돌지 않도록 막아주는 정지돌기(35)를 갖도록 제공되는 실시양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위생덮개(30)는 실제적으로는 도 2c에 도시된 형태로 제공되는바, 도 1b에 제시된 캔의 상부캡(2)의 중앙부는 표면부(31)가 감싸주고 캔의 상부캡(2) 외연은 테두리덮개부(20)가 감싸도록 제공되는바, 테두리덮개부(20)가 캔의 상부캡(2) 외연을 탄력있게 감싸 테두리면의 밀착력으로 위생덮개(30)가 쉽게 벗겨지지 않는 구성을 이루도록 약간의 주름이 잡히는 구조로 외곽테두리(21)가 형성될 수 있고, 외곽테두리(21)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는 밀착 해소용 테이프(22) 및 분리선(23)을 갖도록 제공되어 위생덮개(30)를 캔의 일측으로 돌려 캔을 오픈하고자 할 때에는 밀착 해소용 테이프(22)를 상부로 잡아당겨 분리선(23)을 해제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 2에 제시된 위생덮개의 구체적인 형태로서 캔 상부로 덮여 감싸진 후 일반 보관 상태와 오픈시켰을 때 캔 상부에서 위생덮개(A타입)가 위치되는 구성을 상부 평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일반 보관 상태에서는 캔의 리벳체결구(11)를 중심으로 기준하여 취음구(3)가 상부위치이고 손잡이걸이부(13)가 하부위치에 있는 캔 구조를 가정하는 경우 위생덮개(30)를 손으로 잡고 우측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적용된다면,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34)도 도 3a와 같이 우측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보관하게 되고, 캔의 취음구(3)를 개구시키고자 하는 경우 위생덮개(30)를 우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위생덮개(30)의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34)가 도 3b의 도면에서와 같이 손잡이걸이부(13) 저부로 내삽되어 정지돌기(35)까지 이르면 손잡이걸이부(13)를 들어 올리는 구성을 이루게 되고 손잡이걸이부(13)가 위생덮개(30)의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34)에 걸려 빠지지 않은 상태로 손잡이걸이부(13)가 위생덮개(30)에 의해 손잡이가압부(14) 방향으로 압력을 가해 젖혀주는 결과가 되고 손잡이걸이부 반대편의 손잡이가압부(14)가 절취선 안쪽의 취음구(3)를 가압하여 캔을 오픈시키게 된다.
한편, 위생덮개(30)의 중앙부로는 힌지선(30a)이 마련되는 구조를 이룰 때 손잡이걸이부(13)저부로 내삽된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34)의 위생덮개(30)가 1/2로 꺽이며 들어 올리기 쉬운 구조를 이루게 되므로 힌지선(30a)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힌지선(30a)은 도 3b의 도면에서와 같이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34)가 손잡이걸이부(13) 저부에서 정지돌기(35)에 걸리기까지 충분히 내삽된 후 위생덮개(30)를 들어올리는 방향과 수평을 이루는 상태로 힌지선(30a)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위생덮개의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36)가 도 2의 정지돌기(35)를 갖지 않고 단부가 예리부(36a)에서 후박확대부(36b)로 경사형태를 이루도록 제공되는 B타입의 적용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에서는 위상덮개(30')를 3중 구조로 분해시켜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하부로 중간부(32) 및 저부(33)가 결합된 구조와 상부로 표면부(31)가 아직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분해시켜 도시한 것이며, 도 4c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본래의 위생덮개(30')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4에서와 같이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의 단부가 예리부(36a)에서 후박확대부(36b)로 경사각도를 갖도록 제공되는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정지돌기(35)를 갖지 않고서도 후박부에 의해 더 이상 돌지 않게 제공될 수 있는 실시양태를 나타내고 있는바,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도 2의 구성과 같다.
도 5는 상기 도 4에 제시된 위생덮개(B타입)가 캔 상부로 덮여 감싸진 후 일반 보관 상태와 오픈시켰을 때 캔 상부에서 위생덮개(B타입)가 위치되는 구성을 상부 평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일반 보관 상태에서는 캔의 리벳체결구(11)를 중심으로 기준하여 취음구(3)가 상부위치이고 손잡이걸이부(13)가 하부위치에 있는 캔 구조를 가정하는 경우 위생덮개(30')를 손으로 잡고 우측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적용된다면,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34)도 도 5a와 같이 우측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보관하게 되고, 캔의 취음구(3)를 개구시키고자 하는 경우 위생덮개(30)를 우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위생덮개(30)의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34)가 도 5b의 도면에서와 같이 손잡이걸이부(13)저부로 내삽되어 후박확대부(36b)에 이르면 경사높이에 의해 더 이상 돌지 않게 되면서 손잡이걸이부(13)를 들어 올리는 구성을 이루게 되고 손잡이걸이부(13)가 위생덮개(30)의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34)의 후단부가 후박확대부(36b)로 제공되어 위생덮개(30)를 들어 올릴 때 후박확대부(36b)가 손잡이걸이부(13)를 확실하게 지지하여 손잡이걸이부(13)가 손잡이가압부(14) 를 압박하며 취음구(3)를 가압하여 캔을 오픈시키게 된다.
도 6은 본원에서 제공되는 위생덮개(A타입)가 캔의 상부로 씌워져서 보관되는 상태와 오픈되는 상태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캔의 상부로 위생덮개(A타입)가 씌워져서 보관되는 상태도를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캔의 상부로 위생덮개(A타입)가 씌워져 있다가 오픈시키는 동작을 통하여 도 3b의 실시양태와 같이 손잡이걸이부(13) 저부로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34)가 내삽된 후 위생덮개(30)를 들어 올려 손잡이가압부 방향으로 압력을 가해 취음구(3)를 오픈시킨 상태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원에서 제공되는 위생덮개(30)가 자동화 제조공정에 의해 생산할 때 위생덮개(30)에 다수개(도면에서는 6개)의 식별돌기부(30b)를 갖도록 제공되어 힌지선(30a)이나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34)가 일정 방향을 갖고 이동하며 생산공정에 적용되는 실시양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7에 제시된 위생덮개(30)는 도 2 및 도 3에 제시된 A타입의 위생덮개(30)로 제공되는 경우를 가정할 때, 종선 및 횡선에 직각으로 90도를 이루며 다수개의 위생덮개(30)가 자동화 제조공정에 의해 일측으로 전진하며 만들어 질 때 어느 하나의 식별돌기부(30b)라도 종선 및 횡선에서 벗어나거나 모자람이 있을 때는 전체 위생덮개의 형태로 변형을 가져오는 결과로 연결되므로 식별돌기부(30b)가 도 7에 제시된 바와 같이 종선 및 횡선에 직각으로 90도를 이루며 다수개의 위생덮개(30)가 자동화공정에 의해 만들어지고 캔의 상부에 씌워질 때 도 3a에 제시된 사례와 같이 캔의 리벳체결구(11)를 중심으로 기준하여 취음구(3)가 상부위치이고 손잡이걸이부(13)가 하부위치에 있는 캔 구조를 가정하는 경우 위생덮개(30)의 힌지선(30a)이 취음구(3)의 상부위치와 손잡이걸이부(13)의 하부위치에 맞춰 일치하도록 위치를 인지하여 재치시키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는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기타 본원에서 제공되는 위생덮개(30, 30')는 기존에 사용되는 합성수지의 포장재로 연질이나 경질수지가 모두 사용될 수 있고 투명성 합성수지 사용이 바람직하며, 다만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34, 36) 돌출부를 제공하는 위생덮개의 저부에 사용되는 합성수지는 일정강도를 갖고 위생덮개를 일측으로 돌려 손잡이걸이부(13) 저부로 슬라이딩되면서 손잡이걸이부(13)를 밀어 올려 줄 충분한 정도의 강도를 확보하는 조건이면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다 할 것이다.
1 : 캔의 상부 바닥부 2 : 상부 캡
3 : 취음구 4 : 절취선
10 : 손잡이부 11 : 리벳체결부
12 : 손잡이고정부 13 : 손잡이걸이부
14 : 손잡이가압부 20 : 테두리덮개부
21 : 외곽테두리 22 : 밀착 해소용 테이프
23 : 분리선 30 : 위생덮개
30a : 힌지선 30b : 식별돌기부
31 : 표면부 32 : 중간부
33 : 저부 34 :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
35 : 정지돌기 36a : 예리부
36b : 후박확대부 60 : 캔 본체

Claims (6)

  1. 음료나 주류용 캔의 취음구가 있는 뚜껑 외연을 감싸도록 위생덮개가 제공되고 이를 회전시켜 캔을 쉽고 안전하게 오픈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위생덮개에 있어서,
    위생덮개의 표면부는 위생덮개의 상부를 감싸 밀폐시키는 구성이고, 위생덮개의 중간부는 원주 내부에 캔의 리벳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 캔 오픈용 손잡이부가 위치하는 수용공간부로 제공되며, 위생덮개 저부는 원주의 일측에서 중앙부로 돌출되는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를 갖는 구성으로 제공되되, 돌진슬라이딩부의 단부는 예리부에서 후박부로 이동되며 캔을 오픈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덮개는 중앙부에 힌지선이 마련되고, 힌지선은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와 수평을 이루는 구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덮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덮개의 외연으로는 1~8개 범위의 식별돌기부(30b)를 갖도록 제공되어 위치알림이나 방향제시, 자동화설비를 이용한 위생덮개 제조 시 일정한 방향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덮개.
  4. 삭제
  5. 삭제
  6. 캔 뚜껑을 감싸 보호하도록 제공되는 위생덮개가 표면부 중간부 저부로 구분되며 원주형태로 제공되는 구성을 이루고 이를 이용하여 음료나 주류용 캔의 뚜껑 바닥부에 마련되는 취음구를 오픈하는 개구방법에 있어서,
    위생덮개의 표면부는 위생덮개의 상부전체를 감싸 밀폐시키는 구성이고, 위생덮개의 중간부는 원주 중심부에 캔의 리벳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 캔 오픈용 손잡이부가 위치하는 공간부로 제공되며, 위생덮개 저부는 원주의 일측에서 중앙부로 돌출되는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를 갖되, 돌진슬라이딩부의 단부가 예리부에서 후박부로 이동되며 캔을 오픈시킬 수 있는 구조의 위생덮개로 제공되어 캔의 취음구를 감싸 보호하는 단계;
    캔의 내용물을 음용하고자 할 때 취음구가 있는 부위에 위생덮개를 회전시키면 위생덮개의 개구용 돌진슬라이딩부가 캔의 손잡이부 저부로 내삽된 후 위생덮개를 상부로 들어올려 캔의 취음구를 개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의 개구방법.
KR1020110015239A 2011-02-21 2011-02-21 캔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덮개 및 이를 이용한 캔의 개구방법 KR101056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239A KR101056802B1 (ko) 2011-02-21 2011-02-21 캔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덮개 및 이를 이용한 캔의 개구방법
PCT/KR2011/006517 WO2012115319A1 (ko) 2011-02-21 2011-09-02 캔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덮개 및 이를 이용한 캔의 개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239A KR101056802B1 (ko) 2011-02-21 2011-02-21 캔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덮개 및 이를 이용한 캔의 개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6802B1 true KR101056802B1 (ko) 2011-08-12

Family

ID=4493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239A KR101056802B1 (ko) 2011-02-21 2011-02-21 캔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덮개 및 이를 이용한 캔의 개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56802B1 (ko)
WO (1) WO201211531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3082A1 (ko) * 2013-08-12 2015-02-19 Lee Sung Jun 통조림 캔 제품을 안전하게 개구하는데 이용되는 안전오프너
KR101875335B1 (ko) * 2017-09-27 2018-07-05 김경만 안전 개봉 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8808A1 (en) * 2018-07-19 2020-01-23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Mouth guard opening device for beverage ca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7497A (ja) * 2000-09-12 2002-03-27 Okuda Seisakusho:Kk プルトップ缶用オープナー
KR200300924Y1 (ko) 2002-10-04 2003-01-15 옥윤채 후킹 수단이 구비된 캔 뚜껑
KR200307944Y1 (ko) 2002-12-13 2003-03-20 이희정 투명위생커버가 끼워진 음료수캔 용기
KR200326459Y1 (ko) 2003-06-16 2003-09-13 이광희 알루미늄캔용 위생뚜껑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1834U (ja) * 1995-08-23 1996-03-12 株式会社永谷園 缶容器用上部キャップおよびこれを備えた缶容器
KR200326218Y1 (ko) * 2003-06-17 2003-09-17 김원겸 회전마개가 있는 음료캔
JP3115590U (ja) * 2005-08-09 2005-11-10 有限会社寿プロセシング プルトップオープナ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7497A (ja) * 2000-09-12 2002-03-27 Okuda Seisakusho:Kk プルトップ缶用オープナー
KR200300924Y1 (ko) 2002-10-04 2003-01-15 옥윤채 후킹 수단이 구비된 캔 뚜껑
KR200307944Y1 (ko) 2002-12-13 2003-03-20 이희정 투명위생커버가 끼워진 음료수캔 용기
KR200326459Y1 (ko) 2003-06-16 2003-09-13 이광희 알루미늄캔용 위생뚜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3082A1 (ko) * 2013-08-12 2015-02-19 Lee Sung Jun 통조림 캔 제품을 안전하게 개구하는데 이용되는 안전오프너
KR101875335B1 (ko) * 2017-09-27 2018-07-05 김경만 안전 개봉 캡
WO2019066248A1 (ko) * 2017-09-27 2019-04-04 김경만 안전 개봉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15319A1 (ko)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70440C (en) Plastic drink-through cup lid with fold-back tab
US6164485A (en) Container lid
US6290084B1 (en) Rotary protective cover attachment for beverage container
US20110068113A1 (en) Sanitary Cup Lids
US7568586B2 (en) Easy open container closure
KR101056802B1 (ko) 캔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덮개 및 이를 이용한 캔의 개구방법
KR102056575B1 (ko) 손잡이부재를 구비한 캔용기
KR100615946B1 (ko) 실링지 파지안내 구조를 갖는 식품포장용기용 뚜껑체
KR200307944Y1 (ko) 투명위생커버가 끼워진 음료수캔 용기
WO2004110891A1 (en) Cap of can for drinking and can for drinking having the same
WO2017100829A1 (en) Lid for container
AU2015236984B2 (en) Overcap having means which facilitate the opening of a container and the subsequent direct consumption of the content thereof
KR101374229B1 (ko) 캔의 보호기능과 오프너 기능을 겸하도록 제공되는 위생덮개
KR101047593B1 (ko) 오프너 기능을 갖는 음료 및 주류용 캔의 위생덮개
JP3174135U (ja) コップ付きペットボトル
KR200254387Y1 (ko) 위생커버를 부착한 음료수 캔뚜껑
KR20000074906A (ko) 위생캡을 구비한 음료용 캔
JP4516660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398960Y1 (ko) 돌려서 당겨따는 캔따개
WO2014128516A2 (en) Protective cover, especially for the hygienic sealing of containers containing drinks
TWI555679B (zh) 防非法開啟且開啟後易於辨識之容器
KR20090095069A (ko) 위생 음료용기
WO2005087599A1 (ja) 飲料缶用キャップおよびこれを備えた飲料容器
KR200436711Y1 (ko) 위생부재가 구비된 음료캔
TWM578276U (zh) Cup l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