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4533A -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 Google Patents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4533A
KR20240024533A KR1020220102634A KR20220102634A KR20240024533A KR 20240024533 A KR20240024533 A KR 20240024533A KR 1020220102634 A KR1020220102634 A KR 1020220102634A KR 20220102634 A KR20220102634 A KR 20220102634A KR 20240024533 A KR20240024533 A KR 20240024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over
sanitary cover
container
sani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2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금진
전미선
Original Assignee
전금진
전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금진, 전미선 filed Critical 전금진
Priority to KR1020220102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4533A/ko
Publication of KR20240024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4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16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1/165Cylindrical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preformed openings, e.g. tearable strips or plastic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47Provided with additional elements other than for closing the opening
    • B65D2517/0049Straws, spouts, funnels, or other devices facilitating pouring or emptying
    • B65D2517/005Straws, spouts, funnels, or other devices facilitating pouring or emptying formed as part of the t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캔 용기의 상부 뚜껑판을 위생커버가 감싸 위생적으로 보관되게 하면서, 음료를 마시기 위해 위생커버를 분리하는 동작으로 마개판이 젖혀져 음료를 간편하게 마실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캔 용기(10)의 뚜껑판(11)에 조립되어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위생커버(30)에 있어서;
상기 위생커버(30)에는, 캔 용기(10)의 외경 둘레에 형성된 시밍가공턱(12)에 걸려져 조립되는 커버돌기(32a)가 외측둘레부(32)에 구비되고, 덮개부(31)의 저면에는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고리끼움구(33)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리끼움구(33)가 캔고리(14)의 고리구멍(14a) 내측에서 캔고리(14)의 외측 저면으로 걸려지게 끼워지면서 캔 용기(10)와 위생커버(30)가 조립되어 달성한다.

Description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Sanitary cover with can lid open function}
본 발명은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캔 용기의 상부 뚜껑판을 위생커버가 감싸 위생적으로 보관되게 하면서, 음료를 마시기 위해 위생커버를 분리하는 동작으로 마개판이 젖혀져 음료를 간편하게 마실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류 및 각종 음료수 캔은 보관과 사용의 편리성으로 인하여 일상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캔 용기는 상부 뚜껑판이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장기 보관 시 먼지가 기타 이물질이 묻게 되어 사용자가 캔의 음료수를 섭취 시 손으로 닦거나 휴지 등으로 이물질을 닦아 제거한 다음에 음용하기 때문에 위생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캔의 상부에 조립되는 합성수지재의 위생커버를 구비해, 상기 캔 상부의 뚜껑판에 위생커버를 덮어 외부의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상기 위생커버는 단순히 원판 형상을 갖고 캔 용기의 상부에 덮여져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 위생커버 분리 후 사용자가 음료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다시 캔고리를 들어 올려 마개판이 개방되게 하기 위한 단계가 여전히 요구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었다.
또, 상기 위생커버는 캔 용기의 뚜껑판에 걸려 조립되므로 이동 및 충격에 쉽게 위생커버가 분리되거나, 뚜껑판에 억지 끼워져 사용자가 위생커버를 어렵게 분리시켜야 하는 등 사용하는데 문제점이 여전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18272호. 캔 뚜껑용 보호커버 (등록일자 2006년 06월 01일)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캔 용기의 상부에 조립되는 위생커버가 분리되면서 캔고리를 잡아당겨 마개판이 젖혀지게 구성하여 사용자가 음료를 바로 음용할 수 있는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캔 용기의 시밍가공홈에 위생커버의 커버돌기가 끼워져 보관 및 운반 중에 위생커버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뚜껑판과의 간격을 유지시켜 캔고리에 조립된 고리끼움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캔 용기(10)의 뚜껑판(11)에 조립되어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위생커버(30)에 있어서;
상기 위생커버(30)에는, 캔 용기(10)의 외경 둘레에 형성된 시밍가공턱(12)에 걸려져 조립되는 커버돌기(32a)가 외측둘레부(32)에 구비되고, 덮개부(31)의 저면에는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고리끼움구(33)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리끼움구(33)가 캔고리(14)의 고리구멍(14a) 내측에서 캔고리(14)의 외측 저면으로 걸려지게 끼워지면서 캔 용기(10)와 위생커버(30)가 조립되어 달성한다.
또, 상기 위생커버(30)에는, 고리끼움구(33)의 동일선상으로 외측둘레부(32)의 수평방향으로 당김손잡이(36)가 연장 성형되어, 상기 당김손잡이(36)를 당기면 고리끼움구(33)의 내측에 걸려진 캔고리(14)를 들어 올리도록 구성되고, 덮개부(31)의 상면에는 다른 캔 용기(10)의 바닥면이 수납되는 적층홈(31a)이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생커버(30)의 고리끼움구(33)는, 평평(平平)한 플레이트로 구비되고, 선단부에 하향 절곡된 탄력부(33a)가 구비되어, 캔 용기(10)의 뚜껑판(11)에 상기 탄력부(33a)가 지지되면서 고리끼움구(33) 내측에 끼워진 캔고리(14)의 하면을 받쳐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생커버(30)의 고리끼움구(33)는, 평평(平平)한 플레이트의 선단부를 첨탑형상을 갖게 성형하면서, 상기 첨탑형상의 상단면에 경사부(33b)를 성형하여, 캔 용기(10)의 뚜껑판(11) 상부에서 캔고리(14)의 고리구멍(14a) 사이에 상기 경사부(33b)가 가이드되며 삽입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위생커버(30)의 고리끼움구(33)는, 평평(平平)한 플레이트에 하향 돌출된 보강부(33c)가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성형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생커버(30)의 고리끼움구(33)는, 눕혀진 "S"자 형태의 굴곡부(35)를 갖게 성형되어, 캔 용기(10)의 뚜껑판(11)에 굴곡받침면(35a)이 지지되며, 끼움선단부(35b)가 캔고리(14)의 고리구멍(14a)으로 끼워져 내측의 고리끼움공간(35c)에 캔고리(14)가 위치하게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생커버(30)의 덮개부(31)에는, 캔고리(14)를 뚜껑판(11)에 고정하는 리벳(13)을 중심으로 캔고리(14)와 수직선상으로 접힘라인(37)이 더 형성되어, 캔고리(14)를 포함한 1차분리부(38a)와 2차분리부(38b)로 구획지게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위생커버(30)의 외측둘레부(32)는, 캔 용기(10)의 시밍가공턱(12)을 포함해 상부 둘레면을 감싸며 하방으로 연장된 커버부(34)가 더 구비되고, 외측둘레부(32) 및 당김손잡이(36)와 구분되는 절취라인(34a)이 더 형성되어, 상기 절취라인(34a)을 따라서 커버부(34)를 절취해 분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캔 용기의 상부에 조립되어 있는 위생커버를 분리하면서 동시에 캔고리를 들어 올려 마개판이 젖혀지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음료를 바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 캔 용기의 시밍가공홈에 위생커버의 커버돌기가 끼워져 보관 및 운반 중에도 위생커버가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상기 캔 용기의 외경에 커버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면서, 뚜껑판과 캔고리 사이에 고리끼움구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조립하여 작업 편의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키는 효과 등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인 위생커버의 닫힘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인 위생커버의 열림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인 위생커버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의 결합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의 실시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본 발명인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는, 캔 용기의 상부 뚜껑판을 위생커버가 감싸 위생적으로 보관되게 하면서, 음료를 마시기 위해 위생커버를 분리하는 동작으로 마개판이 젖혀져 음료를 간편하게 마실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30)는, 크게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합성수지 재질의 얇은 덮개부(31)가 캔 용기(10)의 뚜껑판(11)을 덮을 수 있게 하부가 개구된 형상을 갖고 있으며, 캔 용기(10)의 외측 둘레에 구비된 시밍가공턱(12)에 걸려지는 커버돌기(32a)가 덮개부(31)의 외경면에 절곡되어 일체 성형된다.
캔 용기(1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캔 몸체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뚜껑판(11)으로 상부를 밀봉하게 되는데, 상기 캔 몸체의 개구부 테두리와 뚜껑판(11)의 테두리를 함께 감아 압착하게 되며 이와 같이 뚜껑판(11)을 캔 몸체에 감아서 압착하는 작업을 일반적으로 캔 시밍(seaming)작업 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상기 캔 시밍 작업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시밍 척(seaming chuck) 및 시밍 롤(seaming roll)로 구성된 시밍 수단이 하강하면서, 시밍 척이 캔몸체와 뚜껑판을 고정 및 회전시키는 동안 시밍 롤이 캔몸체와 뚜겅판의 테두리를 함께 가압하면서 캔이 밀봉되는데, 상기 시밍 작업에 의해 캔 용기(10)의 외경면에는 오목한 시밍가공턱(12)이 형성된다.
또, 상기 뚜껑판(11)에는, 리벳(13)을 이용해 고정되는 캔고리(14)와 상기 캔고리(14)를 상부로 당기는 하중에 의해 뚜껑판에 형성된 미세한 절개홈을 따라 마개판(15)이 하향 절곡되어 개방됨으로서, 캔 용기에 저장된 음료가 배출될 수 있게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뚜껑판(11)의 구성에 대해서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때, 상기 캔고리(14)에는, 내측에 원형, 타원형 등의 링 형상을 갖도록 고리구멍(14a)이 구비되게 형성하는 것도 이미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인 위생커버(30)는, 상기 캔 용기(10)의 뚜껑판(11) 상부에 덮개부(31)가 위치하고, 캔 용기(10)의 외경 둘레에 형성된 시밍가공턱(12)에 커버부(34)의 내측에 절곡 형성된 커버돌기(32a)가 끼워져 외부 이물질이 상기 뚜껑판(11)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덮개부(31)의 저면에 고리끼움구(33)를 구비해 캔고리(14)의 고리구멍(14a)에 내측에서 캔고리(14)의 외측 저면으로 걸려지게 끼워지면서 캔 용기(10)와 위생커버(30)가 조립되게 구성한다.
상기 고리끼움구(33)는, 덮개부(31)의 저면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저면의 내부홈으로 캔고리(1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고리끼움구(33)를 당기는 과정에서 상기 캔고리(14)도 함께 당겨지게 한다.
또, 위생커버(30)의 덮개부(31)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하여 내부의 뚜껑판(11)과 고리끼움구(33)에 삽입된 캔고리(14) 등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오염상태 및 오조립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덮개부(31)의 외경 둘레에는 캔 용기(10)의 상단부 외경둘레를 감싸도록 외측둘레부(32)가 하향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외측둘레부(32)의 내측으로 돌출된 커버돌기(32a)가 더 구비되어, 시밍가공턱(12)의 요홈부에 커버돌기(32a)가 걸려져 위생커버(30)가 캔 용기(10)의 상부에 조립되어진다.
이때, 상기 외측둘레부(32)는 커버돌기(32a)의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성형되어, 캔 용기(10)의 뚜껑판(11) 상부에 위생커버(30)를 조립하는 작업에서 보다 용이하게 외측둘레부(32)의 커버돌기(32a)가 시밍가공턱(12)에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여기에, 상기 위생커버(30)에는, 고리끼움구(33)의 동일선상으로 외측둘레부(32)의 수평방향으로 당김손잡이(36)가 연장 성형되게 구성하여, 상기 당김손잡이(36)를 당기게 되면 고리끼움구(33)의 내측에 걸려진 캔고리(14)를 들어 올리도록 구성함으로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캔고리(14)를 당겨 마개판(15)이 젖혀지도록 하여 캔 용기(10)의 내용물을 보다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게 한다.
또, 상기 덮개부(31)의 상면에는 다른 캔 용기(10)의 바닥면이 적층 수납될 수 있도록 요(凹)형상의 적층홈(31a)이 더 형성되도록 하여, 캔 용기(10)의 보관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위생커버(30)의 고리끼움구(33)는, 평평(平平)한 플레이트로 구비되고, 선단부가 캔 용기(10)의 뚜껑판(11)과 고리끼움구(33)의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첨탑형상을 갖게 성형되어, 고리끼움구(33)의 내측으로 캔고리(14)가 위치되게 한다.
또, 상기 고리끼움구(33)는, 플레이트 선단부에 하향 절곡된 탄력부(33a)가 구비되어, 캔 용기(10)의 뚜껑판(11)에 상기 탄력부(33a)가 지지되면서 고리끼움구(33) 내측에 끼워진 캔고리(14)의 하면을 받쳐주어 뚜껑판(11)과 탄력부(33a)의 높이만큼 간격을 갖도록 구성하여, 이후에 상기 고리끼움구(33)가 캔고리(14)를 보다 작은 힘으로 잡아 당길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위생커버(30)의 고리끼움구(33)는, 덮개부(31)의 저면에 눕혀진 "S"자 형태의 굴곡부(35)가 성형되어, 캔 용기(10)의 뚜껑판(11)에 굴곡받침면(35a)이 지지되면서 일측의 끼움선단부(35b)가 캔고리(14)의 고리구멍(14a)으로 끼워져 굴곡받침면(35a)이 형성된 내측의 고리끼움공간(35c)에 캔고리(14)가 위치하게 조립한다.
따라서, 상기 굴곡부(35)의 고리끼움공간(35c)에 위치한 캔고리(14)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굴곡받침면(35a)으로 뚜껑판(11)과 캔고리(14)가 일정간격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위생커버(30)의 고리끼움구(33)는, 평평(平平)한 플레이트의 선단부를 첨탑형상을 갖게 성형하면서, 상기 첨탑형상의 상단면에 경사부(33b)를 성형하여, 캔 용기(10)의 뚜껑판(11) 상부에서 캔고리(14)의 고리구멍(14a) 사이에 상기 경사부(33b)가 가이드되며 삽입되게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 상기 위생커버(30)의 고리끼움구(33)는, 평평(平平)한 플레이트에 하향 돌출된 보강부(33c)가 고리끼움구(33)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성형되게 구성하여, 상기 고리끼움구(33)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보강부(33c)의 저면이 뚜껑판(11)에 지지되도록 하여 뚜껑판(11)과 캔고리(14)가 일정간격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끼움구(33)의 보강부(33c)를 캔고리(14)의 형상에 맞춰 곡면형상을 갖게 성형하여, 캔고리(14)가 상기 보강부(33c)에 끼워져 안착되게 함으로서, 상기 위생커버(30)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캔고리(14)가 고리끼움구(33)에서 이탈되지 않고 함께 당겨져 마개판(15)이 젖혀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위생커버(30)는 캔 용기(10)의 마개판(15)이 젖혀진 다음에도 상기 캔 용기(10) 상부에 재조립하여, 내용뮬이 남은 캔 용기(10)의 내부로 외부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내용물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위생커버(30)를 캔 용기(10)에 재조립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도 7의 (a)에서와 같이 캔고리(14)가 상부로 경사지게 위치한 상태에서 위생커버(30)가 상측에 위치되게 하고, 도 7의 (b)에서와 같이 고리끼움구(33)가 캔고리(14)의 고리구멍(14a)에 삽입되게 이동시킨 다음에 위생커버(30)의 일측을 캔 용기(10)의 시밍가공턱(12) 방향으로 가압해 외측둘레부(32)의 커버돌기(32a)가 끼워져 조립되게 하고, 다시 도 7의 (c)에서와 같이 위생커버(30)의 타측을 가압해 외측둘레부(32)의 커버돌기(32a)가 시밍가공턱(12)에 걸려져 재조립되게 구성한다.
또, 본 발명의 사용 실시 예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위생커버(30)의 덮개부(31)에는, 상기 당김손잡이(36)와 수직되는 방향으로 상면에 'v' 홈형상을 갖는 접힘라인(37)이 더 형성되게 구성하여, 당김손잡이(36)가 위치한 일측을 1차분리부(38a)로 구분하고, 타측은 2차분리부(38b)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상기 덮개부(31)는 캔고리(14)를 뚜껑판(11)에 고정하는 리벳(13)을 중심으로 캔고리(14)와 수직선상으로 접힘라인(37)이 더 형성되어, 사용자가 당김손잡이(36)를 당기게 되면, 캔고리(14)를 포함한 1차분리부(38a)가 먼저 당겨지면서 마개판(15)이 젖혀지게 되고, 이후에 당김손잡이(36)를 다시 한번 당겨 2차분리부(38b)가 당겨지며 위생커버(30)가 캔 용기(10)에서 분리되어 사용자가 캔 용기(10)의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31)를 캔 용기(10)에 재조립하기 위한 과정에서도, 상기 접힘라인(37)을 따라 접은 상태에서, 1차분리부(38a)에 포함된 고리끼움구(33)를 캔고리(14)에 삽입한 다음에 2차분리부(38b)를 펼친 다음 상기 외측둘레부(32)를 시밍가공턱(12)에 간편하게 재조립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위생커버(30)의 외측둘레부(32)는, 캔 용기(10)의 시밍가공턱(12)을 포함해 상부 둘레면에 밀착 고정되게 커버부(34)가 더 포함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34)는 커버돌기(32a)의 하단에서 상기 캔 용기(10)의 외측둘레면을 따라 하방으로 더욱 연장 성형되어, 캔 용기(10)의 상측 둘레면에 밀착되는 바, 위생커버(30)가 캔 용기(1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캔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34)는, 외측둘레부(32)에서 연장되어 캔 용기(10)의 외경 상측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외부 오염물질이 캔 용기에 묻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보관 및 이동 중에 캔 용기끼리 서로 충격되어 도장면 및 코팅면이 등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커버부(34)는, 위생커버(30)에서 외측둘레부(32) 및 당김손잡이(36)와 구분되는 절취라인(34a)이 더 형성되어, 사용자가 음료를 섭취하기 위한 과정에서 먼저 상기 절취라인(34a)을 따라서 커버부(34)를 절취해 분리시킨 다음에 당김손잡이(36)를 당겨 마개판(15)이 접혀져 음료를 섭취할 수 있게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캔 용기 11. 뚜껑판
12. 시밍가공턱 13. 리벳
14. 캔고리 15. 마개판
30. 위생커버 31. 덮개부
32. 외측둘레부 32a. 커버돌기
33. 고리끼움구 33a. 탄력부
33b. 경사부 33c. 보강부
34. 커버부 35. 굴곡부
36. 당김손잡이 37. 접힘라인

Claims (8)

  1. 캔 용기(10)의 뚜껑판(11)에 조립되어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위생커버(30)에 있어서;
    상기 위생커버(30)에는, 캔 용기(10)의 외경 둘레에 형성된 시밍가공턱(12)에 걸려져 조립되는 커버돌기(32a)가 외측둘레부(32)에 구비되고, 덮개부(31)의 저면에는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고리끼움구(33)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리끼움구(33)가 캔고리(14)의 고리구멍(14a) 내측에서 캔고리(14)의 외측 저면으로 걸려지게 끼워지면서 캔 용기(10)와 위생커버(30)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커버(30)에는,
    고리끼움구(33)의 동일선상으로 외측둘레부(32)의 수평방향으로 당김손잡이(36)가 연장 성형되어, 상기 당김손잡이(36)를 당기면 고리끼움구(33)의 내측에 걸려진 캔고리(14)를 들어 올리도록 구성되고, 덮개부(31)의 상면에는 다른 캔 용기(10)의 바닥면이 수납되는 적층홈(3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커버(30)의 고리끼움구(33)는,
    평평(平平)한 플레이트로 구비되고, 선단부에 하향 절곡된 탄력부(33a)가 구비되어, 캔 용기(10)의 뚜껑판(11)에 상기 탄력부(33a)가 지지되면서 고리끼움구(33) 내측에 끼워진 캔고리(14)의 하면을 받쳐주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커버(30)의 고리끼움구(33)는,
    평평(平平)한 플레이트의 선단부를 첨탑형상을 갖게 성형하면서, 상기 첨탑형상의 상단면에 경사부(33b)를 성형하여, 캔 용기(10)의 뚜껑판(11) 상부에서 캔고리(14)의 고리구멍(14a) 사이에 상기 경사부(33b)가 가이드되며 삽입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커버(30)의 고리끼움구(33)는,
    평평(平平)한 플레이트에 하향 돌출된 보강부(33c)가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커버(30)의 고리끼움구(33)는,
    눕혀진 "S"자 형태의 굴곡부(35)를 갖게 성형되어, 캔 용기(10)의 뚜껑판(11)에 굴곡받침면(35a)이 지지되며, 끼움선단부(35b)가 캔고리(14)의 고리구멍(14a)으로 끼워져 내측의 고리끼움공간(35c)에 캔고리(14)가 위치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커버(30)의 덮개부(31)에는,
    캔고리(14)를 뚜껑판(11)에 고정하는 리벳(13)을 중심으로 캔고리(14)와 수직선상으로 접힘라인(37)이 더 형성되어, 캔고리(14)를 포함한 1차분리부(38a)와 2차분리부(38b)로 구획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커버(30)의 외측둘레부(32)는,
    캔 용기(10)의 시밍가공턱(12)을 포함해 상부 둘레면을 감싸며 하방으로 연장된 커버부(34)가 더 구비되고, 외측둘레부(32) 및 당김손잡이(36)와 구분되는 절취라인(34a)이 더 형성되어, 상기 절취라인(34a)을 따라서 커버부(34)를 절취해 분리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KR1020220102634A 2022-08-17 2022-08-17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KR20240024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634A KR20240024533A (ko) 2022-08-17 2022-08-17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634A KR20240024533A (ko) 2022-08-17 2022-08-17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4533A true KR20240024533A (ko) 2024-02-26

Family

ID=90058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634A KR20240024533A (ko) 2022-08-17 2022-08-17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453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272Y1 (ko) 2006-02-07 2006-06-12 권민재 캔 뚜껑용 보호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272Y1 (ko) 2006-02-07 2006-06-12 권민재 캔 뚜껑용 보호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31691A1 (en) Lid having a reclosable spout
KR0141618B1 (ko) 위생성이 개선된 캔뚜껑
US5273176A (en) Reclosable cover for a beverage can
US7584866B2 (en) All plastic paint container
US6073797A (en) Sanitary lid for a beverage can that forms a seal with an aperture of the can
US4609123A (en) Beverage can with sanitary reclosable lid
KR20140135924A (ko) 제2 용기가 부착된 푸시 버튼 플립 마개
US9586732B2 (en) Drink can lid comprising an articulated neck
US20110036851A1 (en) Container closure
CN106829173B (zh) 一种按压打开的盖子
KR20110008147U (ko) 일회용 컵 뚜껑
KR20000030749A (ko)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된 용기뚜껑
EP0215756A2 (en) Plastic container and closure therefor
KR20240024533A (ko)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US20210300618A1 (en) A container with an improved closure arrangement restricting spillage
KR200271323Y1 (ko)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US3049264A (en) Sanitary removable covers for containers
NZ204276A (en) Container closure with nestable pouring spout and airvent
JP6846936B2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KR102574804B1 (ko)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KR200203506Y1 (ko) 알루미늄캔용 보조뚜껑
KR200445683Y1 (ko) 개량된 액체용기 뚜껑
EP0015264A1 (en) Container with side wall, cover and tearing device produced as a unit
WO2001087729A1 (en) Lid for beverage cans with reinforced seal
JP4263230B2 (ja) キャップ付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