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804B1 -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 Google Patents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804B1
KR102574804B1 KR1020230007768A KR20230007768A KR102574804B1 KR 102574804 B1 KR102574804 B1 KR 102574804B1 KR 1020230007768 A KR1020230007768 A KR 1020230007768A KR 20230007768 A KR20230007768 A KR 20230007768A KR 102574804 B1 KR102574804 B1 KR 102574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over
lid
fit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7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금진
전미선
Original Assignee
전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미선 filed Critical 전미선
Priority to KR1020230007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3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pull or lift tabs
    • B65D17/3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pull or lift tabs adapted for engagement with opening tools, e.g. slotted keys
    • B65D17/38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pull or lift tabs adapted for engagement with opening tools, e.g. slotted keys with strip or tool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preformed openings, e.g. tearable strips or plastic plugs
    • B65D17/506Rigid or semi-rigid members, e.g. plugs
    • B65D17/507Rigid or semi-rigid members, e.g. plugs moulded in situ, e.g. during production of container
    • B65D17/508Rigid or semi-rigid members, e.g. plugs moulded in situ, e.g. during production of container and combined with a rigid or semi-rigid, e.g. metallic sheet and a moulded plastic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캔 용기의 상부 뚜껑판을 위생커버가 감싸 위생적으로 보관되게 하면서, 음료를 마시기 위해 위생커버를 분리하는 동작으로 캔고리가 당겨지면서 마개판이 젖혀져 음료를 간편하게 마실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판 형상을 갖고 캔 용기(10)의 뚜껑판(11) 상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덮개부(31)와;
상기 캔 용기(10)의 외경 둘레에 형성된 시밍연결부(12)가 삽입되게 요 형상의 둘레끼움홈(34)이 상기 덮개부(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외측둘레부(33)와;
상기 덮개부(31)의 저면에서 끼움측벽(41)의 하부에 받침면(42)이 형성되어, 뚜껑판(11)에 구비된 캔고리(14)가 상기 끼움측벽(41) 사이에 삽입되면서 받침면(42) 상부에 거치되는 고리끼움부(40)와;
상기 고리끼움부(40)의 받침면(42)에서 캔고리(14)의 일측에 구비된 리벳 방향으로 연장 성형된 고리안내편(43)을 포함해 구성된다.

Description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Sanitary cover with can lid open function}
본 발명은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캔 용기의 상부 뚜껑판을 위생커버가 감싸 위생적으로 보관되게 하면서, 음료를 마시기 위해 위생커버를 분리하는 동작으로 캔고리가 당겨지면서 마개판이 젖혀져 음료를 간편하게 마실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류 및 각종 음료수 캔은 보관과 사용의 편리성으로 인하여 일상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캔 용기는 상부 뚜껑판이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장기 보관 시 먼지가 기타 이물질이 묻게 되어 사용자가 캔의 음료수를 섭취 시 손으로 닦거나 휴지 등으로 이물질을 닦아 제거한 다음에 음용하기 때문에 위생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캔의 상부에 조립되는 합성수지재의 위생커버를 구비해, 상기 캔 상부의 뚜껑판에 위생커버를 덮어 외부의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상기 위생커버는 단순히 원판 형상을 갖고 캔 용기의 상부에 덮여져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 위생커버 분리 후 사용자가 음료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다시 캔고리를 들어 올려 마개판이 개방되게 하기 위한 단계가 여전히 요구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었다.
또, 상기 위생커버는 캔 용기의 뚜껑판에 걸려 조립되므로 이동 및 충격에 쉽게 위생커버가 분리되거나, 뚜껑판에 억지 끼워져 사용자가 위생커버를 어렵게 분리시켜야 하는 등 사용하는데 문제점이 여전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18272호. 캔 뚜껑용 보호커버 (등록일자 2006년 06월 01일)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위생커버의 폐쇄형 고리끼움부에 캔고리를 삽입하여 조립되게 구성하고, 캔 용기의 상부에 조립된 위생커버가 분리되면서 캔고리를 잡아당겨 마개판이 젖혀지게 구성하여 사용자가 음료를 바로 음용할 수 있는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위생커버의 고리끼움부에 캔고리를 안내하는 고리안내편이 구비해, 캔 용기 상부에 위생커버가 조립되면서 캔고리를 보다 쉽게 고리끼움부에 삽입되게 하여 조립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위생커버의 용기끼움홈에 등간격을 갖고 커버돌기가 형성되어, 마개판이 젖혀져 개구된 캔 용기의 상부에 상기 위생커버를 간편하게 재조립하여 음용중인 캔 용기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함과 아울러 보관 및 운반 중에 위생커버가 분리되지 않고 뚜껑판 상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판 형상을 갖고 캔 용기(10)의 뚜껑판(11) 상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덮개부(31)와;
상기 캔 용기(10)의 외경 둘레에 형성된 시밍연결부(12)가 삽입되게 요 형상의 둘레끼움홈(34)이 상기 덮개부(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외측둘레부(33)와;
상기 덮개부(31)의 저면에서 끼움측벽(41)의 하부에 받침면(42)이 형성되어, 뚜껑판(11)에 구비된 캔고리(14)가 상기 끼움측벽(41) 사이에 삽입되면서 받침면(42) 상부에 거치되는 고리끼움부(40)와;
상기 고리끼움부(40)의 받침면(42)에서 캔고리(14)의 일측에 구비된 리벳 방향으로 연장 성형된 고리안내편(43)을 포함해 구성된다.
또, 상기 받침면(42)과 연장 성형된 고리안내편(43)은, "V" 형상의 접힘라인(44)이 상면 또는 하면에서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리안내편(43)이 뚜껑판(11)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성형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안내편(43)은, 뚜껑판(11)과 캔고리(14)를 연결하는 리벳(13)의 외경이 끼워지게 선단에 리벳끼움구(45)가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외측둘레부(33)는, 단부에서 상기 둘레끼움홈(34)을 향하여 돌출된 커버돌기(35)를 포함하여 상기 커버돌기(35)가 상기 둘레끼움홈(34)에 삽입되는 시밍연결부(12)의 외면에 구비된 시밍가공턱(12a)에 걸려져 조립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둘레부(33)는, 캔고리(14) 및 고리끼움부(40)를 지나는 연장선 상에 배치되고, 외측으로 연장된 당김손잡이(37)를 포함하여, 상기 당김손잡이(37)를 당기면 고리끼움부(40)에 삽입된 캔고리(14)를 들어 올려 마개판(15)이 젖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고리안내편(43)은, 받침면(42)의 선단에서 접힘라인(44)을 따라 30 내지 75도의 각도를 갖고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갖고 뚜껑판(11)과 캔고리(14) 사이에 끼워지며, 캔 용기(10)에 위생커버(30)가 조립되면서 뚜껑판(11)과 캔고리(14) 사이에서 5 내지 25도 각도를 갖고 형상이 유지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끼움부(40)는, 받침면(42)에에서 캔고리(14)를 향하여 돌출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캔고리(14)에 형성된 고리구멍(14a)에 걸리는 고리걸림돌기(42a)를 포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덮개부(31)는, 절곡되지 않고 고리끼움부(40)에 삽입된 캔고리(14)를 들어 올려 마개판(15)이 젖혀지면서 캔 용기(10)와 분리되고, 고리끼움부(40)의 받침면(42)에 캔고리(14)가 눌려지면서 상기 덮개부(31)를 뚜껑판(11) 상부에 재결합하여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캔 용기의 상부에 조립되어 있는 위생커버를 분리하면서 동시에 캔고리를 들어 올려 마개판이 젖혀지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음료를 바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캔고리가 위생커버의 폐쇄형 고리끼움부에 삽입됨으로서, 상기 고리끼움부가 캔고리를 당기기 위해 필요한 힘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어 캔고리를 손쉽게 잡아당겨 캔뚜껑을 오픈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위생커버의 고리끼움부에 캔고리를 안내하는 고리안내편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캔 용기 상부에 위생커버를 조립하는 최조작업에서는 캔고리를 보다 쉽게 고리끼움부에 삽입하여 조립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위생커버를 사용한 제품에서는 고리안내편이 비교적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위생커버의 재사용을 방지해 식품안전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위생커버의 용기끼움홈에 등간격을 갖고 커버돌기가 형성되어, 보다 간편하게 캔 용기의 상부에 위생커버를 조립하면서도 보관 및 운반 중에 위생커버가 분리되지 않고 뚜껑판 상부의 오염을 방지함으로서 작업 편의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키는 효과 등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의 저면도.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인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인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는 캔 용기의 상부 뚜껑판을 위생커버가 감싸 위생적으로 보관되게 하면서, 음료를 마시기 위해 위생커버를 분리하는 동작으로 캔고리가 당겨지면서 마개판이 젖혀져 음료를 간편하게 마실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캔 용기(1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캔 몸체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뚜껑판(11)으로 상부를 밀봉하게 되는데, 상기 캔 몸체의 개구된 테두리와 뚜껑판(11)의 테두리를 함께 감아 압착하게 되며 이와 같이 뚜껑판(11)을 캔 몸체에 감아서 압착하는 작업을 일반적으로 캔 시밍(seaming)작업 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상기 캔 시밍 작업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시밍 척(seaming chuck) 및 시밍 롤(seaming roll)로 구성된 시밍 수단이 하강하면서, 시밍 척이 캔몸체와 뚜껑판을 고정 및 회전시키는 동안 시밍 롤이 캔몸체와 뚜겅판의 테두리를 함께 가압하면서 캔이 밀봉되는데, 상기 시밍 작업에 의해 캔 용기(10)의 외경면에는 압착 돌출된 시밍연결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시밍연결부(12)의 외측에 캔용기와 뚜껑판의 압착된 선단부가 단턱지게 위치한 시밍가공턱(12a)이 형성된다.
또, 상기 뚜껑판(11)에는, 리벳(13)을 이용해 고정되는 캔고리(14)와, 상기 캔고리(14)의 일단부를 상부로 당기는 하중에 의해 상기 캔고리(14)의 타단부가 뚜껑판에 형성된 미세한 절개홈을 따라 구비된 마개판(15)을 하향 절곡시켜 캔 용기의 내부를 개방함으로서, 캔 용기에 저장된 음료가 배출될 수 있게 구성되는데, 이러한 뚜껑판(11)의 구성에 대해서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때, 상기 캔고리(14)에는, 내측에 원형, 타원형 등의 링 형상을 갖도록 고리구멍(14a)이 구비되게 형성하는 것도 이미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인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30)는, 크게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합성수지 재질의 얇은 덮개부(31)가 캔 용기(10)의 뚜껑판(11)을 덮을 수 있게 하부가 개구된 형상을 갖고 있으며, 상기 덮개부(31)의 둘레를 따라 요(凹)홈을 갖는 외측둘레부(33)가 구비되어 캔 용기(10)의 뚜껑판(11) 둘레에 구비된 시밍연결부(12)가 삽입되게 하며, 상기 덮개부(31)의 저면에 구비된 고리끼움부(40)에 캔고리(14)가 끼워져 조립되게 구성한다.
즉, 상기 덮개부(31)는, 판 형상을 갖고 캔 용기(10)의 뚜껑판(11) 상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되게 하며, 상기 캔 용기(10)의 외경 둘레에 형성된 외측둘레부(33)의 둘레끼움홈(34)을 시밍연결부(12)에 삽입하여 캔 용기(10)에 조립한다.
이때, 상기 덮개부(31)의 저면에 형성된 고리끼움부(40)에 캔고리(14)의 일단부가 삽입되게 하는데, 상기 고리끼움부(40)는 덮개부 저면에 눕혀진 "ㄷ" 형상과 같이 양측에 끼움측벽(41)이 구비되고, 상기 끼움측벽(41)을 하부에서 연결하는 받침면(42)으로 성형되어, 뚜껑판(11)에 구비된 캔고리(14)가 상기 끼움측벽(41) 사이에 삽입되면서 받침면(42) 상부에 거치되도록 구성하여 캔고리를 당기기 위해 필요한 힘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 상기 외측둘레부(33)의 둘레끼움홈(34)에는, 등간격을 갖고 복수개의 커버돌기(35)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둘레끼움홈(34)에 삽입되는 시밍연결부(12)의 외면에 구비된 시밍가공턱(12a)에 상기 커버돌기(35)가 걸려져 캔 용기(10)의 상부에 위생커버(30)가 조립된다.
또, 상기 위생커버(30)의 외측둘레부(33)에는, 캔고리(14)가 고리끼움부(40)에 삽입되는 방향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당김손잡이(37)가 돌출되게 성형되어, 상기 당김손잡이(37)를 당기면 시밍가공턱(12a)에 걸리진 커버돌기(35)가 분리되면서 위생커버(30)가 젖혀지며 고리끼움부(40)에 삽입된 캔고리(14)의 일단부를 들어 올리게 되며, 상기 캔고리(14)의 타단부가 마개판(15)을 눌러 하향 절곡시키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리끼움부(40)의 받침면(42)에는, 뚜껑판(11)의 중앙에 구비되어 캔고리(14)의 일측과 연결된 리벳(13) 방향으로 고리안내편(43)이 연장 성형되는데, 상기 받침면(42)과 고리안내편(43)을 구분하기 위해 횡방향으로 접힘라인(44)이 형성된다.
상기 접힘라인(44)은, 파형의 절개홀이 연속 성형되거나 또는 "V" 형상의 절개홈이 상면 또는 하면에서 횡방향으로 형성되게 하여, 상기 고리안내편(43)이 뚜껑판(11)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성형한다.
이때, 상기 고리안내편(43)은, 받침면(42)의 선단에서 접힘라인(44)을 따라 30 내지 75도의 각도를 갖고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갖고 뚜껑판(11)과 캔고리(14)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함으로서, 고리끼움부(40)의 고리안내편(43)을 뚜껑판(11)과 캔고리(14) 사이에 간편하게 삽입하면서 캔 용기(10)의 상부에 위생커버(30)가 조립되게 구성한다.
또, 상기 고리안내편(43)의 선단에는 호형상을 갖는 리벳끼움구(45)를 형성하여, 상기 고리안내편(43)이 뚜껑판(11)과 캔고리(14) 사이에 삽입되면서 뚜껑판(11)과 캔고리(14)를 연결하는 리벳(13)의 외경에 리벳끼움구(45)가 걸려져 끼워지게 함으로서, 고리끼움부(40)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리벳(13)에 지지된 고리안내편(43)에 의해 고리끼움부(40)에 삽입된 캔고리(14)를 보다 안정적으로 들어 올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리끼움부(40)의 받침면(42)에는, 전방에 경사면을 갖고 후방은 단턱진 고리걸림돌기(42a)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리끼움부(40)에 삽입되는 캔고리(14)가 전방 경사면을 타고 이동되면서, 캔고리(14)의 내측에 형성된 고리구멍(14a)의 내면이 상기 고리걸림돌기(42a)에 걸려지도록 함으로서 위생커버(30)의 조립작업 중 작업자가 고리끼움부(40)에 캔고리(14)가 정확히 삽입된 과정을 청각 및 촉각 등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위생커버(30)를 캔 용기(10)에 조립하고, 캔고리(14)를 젖히며 분리하는 실시 예를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a와 같이 캔 용기(10)의 상부에서 캔고리(14)의 일측으로 치우쳐 위생커버(30)를 배치하고, 고리끼움부(40)의 고리안내편(43)이 30 내지 75도의 각도를 갖고 하향 경사지게 구비하여, 뚜껑판(11)과 캔고리(14) 사이에 상기 고리안내편(43)이 삽입되게 하면서 리벳(13) 방향으로 위생커버(30)를 전진 이동시킨다.
상기, 위생커버(30)가 전진하여, 도 5b에서와 같이 캔 용기(10)의 상부에 위치하면 외측둘레부(33)의 둘레끼움홈(34)에 시밍연결부(12)를 삽입하고, 상기 시밍연결부(12)의 외측 하부에 구비된 시밍가공턱(12a)에 둘레끼움홈(34)의 하측에 형성된 커버돌기(35)가 걸려져 상기 위생커버(30)가 캔 용기(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캔 용기(10)에 조립된 위생커버(30)를 분리하기 위해 당김손잡이(37)를 잡고 상부로 들어 올리게 되면, 도 5c와 같이 리벳(13)을 중심으로 고리끼움부(40)에 삽입된 캔고리(14)의 일단부가 함께 상부로 회전되고, 리벳(13)을 중심으로 타단부에 위치한 캔고리(14)는 하부로 회전하며 마개판(15)을 가압해 캔 용기(10)의 내부로 젖혀지게 함으로서 개방되게 한다.
여기에서, 상기 위생커버(30)는, 고리끼움부(40)의 고리안내편(43)이 뚜껑판(11)과 캔고리(14) 사이에 끼워져 조립되면서 고리끼움부(40)에서 5 내지 25도 각도를 갖고 형상이 유지되어, 상기 위생커버(30)가 캔 용기(10)와 분리되어도 고리안내편(43)이 덮개부 방향으로 젖혀진 상태를 유지해 한번 사용된 위생커버(30)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 상기 위생커버(30)의 덮개부(31)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하여 내부의 뚜껑판(11)과 고리끼움부(40)에 삽입된 캔고리(14) 등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오염상태 및 오조립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즉, 본 발명인 위생커버(30)는 캔 용기(10)의 마개판(15)이 젖혀진 다음에도 도 5d 및 도 5e에서와 같이 상기 캔 용기(10) 상부에 재조립하여, 내용물이 남은 캔 용기(10)의 내부로 외부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내용물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고리안내편(43)의 저면을 이용해 상부로 젖혀진 캔고리(14)를 하부로 가압하며 둘레끼움홈(34)에 시밍연결부(12)가 끼워져 조립된다.
따라서, 캔 용기(10)의 마개판이 개방된 상황에서 위생커버(30)를 재조립하여도 둘레끼움홈(34)에 시밍연결부(12)가 정확하게 삽입 고정되어 위생커버(30)가 임의로 분리되거나 캔 용기(10)의 내용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휴대와 보관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캔 용기 11. 뚜껑판
12. 시밍연결부 13. 리벳
14. 캔고리 15. 마개판
30. 위생커버 31. 덮개부
33. 외측둘레부 34. 둘레끼움홈
35. 커버돌기 37. 당김손잡이
40. 고리끼움부 41. 끼움측벽
42. 받침면 43. 고리안내편
44. 접힘라인 45. 리벳끼움구

Claims (8)

  1. 판 형상을 갖고 캔 용기(10)의 뚜껑판(11) 상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덮개부(31)와;
    상기 캔 용기(10)의 외경 둘레에 형성된 시밍연결부(12)가 삽입되게 요 형상의 둘레끼움홈(34)이 상기 덮개부(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외측둘레부(33)와;
    상기 덮개부(31)의 저면에서 끼움측벽(41)의 하부에 받침면(42)이 형성되어, 뚜껑판(11)에 구비된 캔고리(14)가 상기 끼움측벽(41) 사이에 삽입되면서 받침면(42) 상부에 거치되는 고리끼움부(40)와;
    상기 고리끼움부(40)의 받침면(42)에서 캔고리(14)의 일측에 구비된 리벳 방향으로 연장 성형된 고리안내편(43)을 포함해 구성되며,
    상기 고리안내편(43)은, "V" 형상의 접힘라인(44)이 상면 또는 하면에서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받침면(42)과 구분되고, 상기 고리안내편(43)이 뚜껑판(11)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성형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안내편(43)은,
    뚜껑판(11)과 캔고리(14)를 연결하는 리벳(13)의 외경이 끼워지게 선단에 리벳끼움구(4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둘레부(33)는, 단부에서 상기 둘레끼움홈(34)을 향하여 돌출된 커버돌기(35)를 포함하여 상기 커버돌기(35)가 상기 둘레끼움홈(34)에 삽입되는 시밍연결부(12)의 외면에 구비된 시밍가공턱(12a)에 걸려져 조립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둘레부(33)는, 캔고리(14) 및 고리끼움부(40)를 지나는 연장선 상에 배치되고, 외측으로 연장된 당김손잡이(37)를 포함하여, 상기 당김손잡이(37)를 당기면 고리끼움부(40)에 삽입된 캔고리(14)를 들어 올려 마개판(15)이 젖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안내편(43)은,
    받침면(42)의 선단에서 접힘라인(44)을 따라 30 내지 75도의 각도를 갖고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갖고 뚜껑판(11)과 캔고리(14) 사이에 끼워지며,
    캔 용기(10)에 위생커버(30)가 조립되면서 뚜껑판(11)과 캔고리(14) 사이에서 5 내지 25도 각도를 갖고 형상이 유지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끼움부(40)는,
    받침면(42)에서 캔고리(14)를 향하여 돌출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캔고리(14)에 형성된 고리구멍(14a)에 걸리는 고리걸림돌기(42a)를 포함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31)는,
    절곡되지 않고 고리끼움부(40)에 삽입된 캔고리(14)를 들어 올려 마개판(15)이 젖혀지면서 캔 용기(10)와 분리되고, 고리끼움부(40)의 받침면(42)에 캔고리(14)가 눌려지면서 상기 덮개부(31)를 뚜껑판(11) 상부에 재결합하여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KR1020230007768A 2023-01-19 2023-01-19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KR102574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7768A KR102574804B1 (ko) 2023-01-19 2023-01-19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7768A KR102574804B1 (ko) 2023-01-19 2023-01-19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804B1 true KR102574804B1 (ko) 2023-09-06

Family

ID=87973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7768A KR102574804B1 (ko) 2023-01-19 2023-01-19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8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1834U (ja) * 1995-08-23 1996-03-12 株式会社永谷園 缶容器用上部キャップおよびこれを備えた缶容器
KR200418272Y1 (ko) 2006-02-07 2006-06-12 권민재 캔 뚜껑용 보호커버
US20110232423A1 (en) * 2010-03-23 2011-09-29 Keith Raymond Combination Beverage Can Opener and Cover
KR20150020029A (ko) * 2013-08-12 2015-02-25 이승준 통조림 캔 제품을 안전하게 개구하는데 이용되는 안전오프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1834U (ja) * 1995-08-23 1996-03-12 株式会社永谷園 缶容器用上部キャップおよびこれを備えた缶容器
KR200418272Y1 (ko) 2006-02-07 2006-06-12 권민재 캔 뚜껑용 보호커버
US20110232423A1 (en) * 2010-03-23 2011-09-29 Keith Raymond Combination Beverage Can Opener and Cover
KR20150020029A (ko) * 2013-08-12 2015-02-25 이승준 통조림 캔 제품을 안전하게 개구하는데 이용되는 안전오프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4638B2 (en) Plastic drink-through cup lid with fold-back tab
RO120833B1 (ro) Recipient de formă conică şi capac
US6932234B2 (en) Cup-shaped receptacle and lid
US20080000904A1 (en) Tamper evident container
EP2076445A2 (en) Beverage container construction
KR20040093727A (ko) 캔용 플라스틱 뚜껑
EP1817239B1 (en) Metallic lid for a can
KR102574804B1 (ko)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US20060157485A1 (en) Cup and lid combination
US6189719B1 (en) Plastic cover for a container
EP2159161B1 (en) Lid
JP4975320B2 (ja) 缶蓋及び缶
US20050051552A1 (en) Self-closing lid for beverage cups and the like
WO2004110891A1 (en) Cap of can for drinking and can for drinking having the same
KR20240024533A (ko)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JP4263230B2 (ja) キャップ付容器
EP1284908A1 (en) Lid for beverage cans with reinforced seal
WO2023221208A1 (zh) 一种上下组装式垃圾桶
KR200253340Y1 (ko) 진공용기
KR100337432B1 (ko)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
KR200253222Y1 (ko) 캔용기
KR100320633B1 (ko) 캔용기의 캡어셈블리
KR20120096249A (ko) 안전 캔 용기
KR200445683Y1 (ko) 개량된 액체용기 뚜껑
JP3975209B2 (ja) 綿棒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