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7432B1 -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 - Google Patents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432B1
KR100337432B1 KR1020000032826A KR20000032826A KR100337432B1 KR 100337432 B1 KR100337432 B1 KR 100337432B1 KR 1020000032826 A KR1020000032826 A KR 1020000032826A KR 20000032826 A KR20000032826 A KR 20000032826A KR 100337432 B1 KR100337432 B1 KR 100337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pening
beverage
handl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8566A (ko
Inventor
희 철 남
이성하
Original Assignee
이상진
(주)아이디 솔로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진, (주)아이디 솔로몬 filed Critical 이상진
Priority to KR1020000032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432B1/ko
Publication of KR20000058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4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74Local recess in container end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a preformed opening
    • B65D2517/5072Details of hand grip, tear- or lift-tab
    • B65D2517/5075Hand grip with finger opening
    • B65D2517/5081Hand grip with finger opening the hand grip formed as an annular or U-shaped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수 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의 일부를 절취하여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음료수를 마신 후 다시 개구를 원상태로 폐쇄시켜 음료수 잔량을 일시적으로 안전하게 보존하도록 하는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10)의 상부에 커버(20)가 접합되어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커버(20) 상에서 절취부(20b)를 이용하여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절편(20a)이 형성되고, 커버(20) 상에서 절편(20a)을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30)가 리벳(40)을 개재하여 부착되며, 손잡이(30)의 선단부가 절편(20a)의 상면에 점용접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손잡이(30)의 후단측 커버(20)의 상면에 손가락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요홈부(20c)가 형성된 음료수 캔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0)의 절개홈(30a)과 맞물림되어 스프링백을 방지하도록 커버(20)의 상면에 돌기부(20d)가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커버의 일부를 절취하여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음료수를 마신 후 다시 개구를 원상태로 폐쇄시켜 음료수 잔량을 일시적으로 안전하게 보존함에 따른 작동상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 {A beverage can of open and close structure}
본 발명은 음료수 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의 일부를 절취하여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음료수를 마신 후 다시 개구를 원상태로 폐쇄시켜 음료수 잔량을 일시적으로 안전하게 보존하도록 하는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료수의 저장용기는 음료수의 종류에 따라 합성수지, 유리, 코팅종이, 금속 등의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성형된다. 그 중 합성수지의 음료수 캔은 비교적 대용량으로 성형하기 유리하고 개폐할 수 있는 마개를 구비하여 필요한 양만큼씩 음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금속제 음료수 캔은 비교적 소용량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되지만 운반시 내충격성이나 원터치로 개방하는 편리성에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음료수 캔의 용량이 작다고 해도 성인을 기준으로 하는 양이므로 아동들이 한번에 전부 음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이때마다 잔량을 제대로 보존하거나 처리하는 일이 불편을 초래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본 출원인에 의한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1998-006846(출원일자 1998.04.21)에서는 개방후 다시 폐쇄할 수 있는 음료수 캔이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금속제 음료수 캔에서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절편이 소성변형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위치로 유지되는 과정에서 스프링백(Spring Back) 현상이 발생하므로 특히 절편의 폐쇄시 완전한 밀착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거나 완전한 밀착을 위해 여러 번 폐쇄동작을 반복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버의 일부를 절취하여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음료수를 마신 후 다시 개구를 원상태로 폐쇄시켜음료수 잔량을 일시적으로 안전하게 보존함에 따른 작동상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음료수 캔의 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 및 2b는 각각 도 1의 변형예에 따른 음료수 캔의 작동상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음료수 캔의 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몸체 20 : 커버
20a : 절편 20b : 절취부
20c : 요홈부 20d : 돌기부
30 : 손잡이 30a : 절개홈
40 : 리벳 50 : 패킹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몸체(10)의 상부에 커버(20)가 접합되어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커버(20) 상에서 절취부(20b)를 이용하여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절편(20a)이 형성되고, 커버(20) 상에서 절편(20a)을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30)가 리벳(40)을 개재하여 부착되며, 손잡이(30)의 선단부가 절편(20a)의 상면에 점용접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손잡이(30)의 후단측 커버(20)의 상면에 손가락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요홈부(20c)가 형성된 음료수 캔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0)의 절개홈(30a)과 맞물림되어 스프링백을 방지하도록 커버(20)의 상면에 돌기부(20d)가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커버(20)의 절편(20a)은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상향 만곡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커버(20)는 절편(20a)의 폐쇄시 틈새의 수밀성을 향상하도록 패킹(50)을 더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음료수 캔의 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몸체(10)의 상부에 커버(20)가 접합되어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커버(20) 상에서 절취부(20b)를 이용하여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절편(20a)이 형성되고, 커버(20) 상에서 절편(20a)을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30)가 리벳(40)을 개재하여 부착되며, 손잡이(30)의 선단부가 절편(20a)의 상면에 점용접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음료수 캔에 관련된다.
본 출원인의 선행 실용신안등록출원에 의해 공지되는 바와 같이, 손잡이(30)가 리벳(40)이나 점용접에 의해 커버(20)상에 부착되고, 손잡이(30)의 선단이 절편(20a)과 점용접으로 접합되어 접합부(A)를 구성한다. 물론 노칭(notching) 처리되는 절취부(20b)는 절편(20a)의 개방시 커버(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리벳(40)에 근접한 후단에서 낮은 깊이로 가공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절취부(20b) 및 이에 의해 형성되는 절편(20a) 외에 요홈부(20c) 및 돌기부(20d)가 커버(20) 상에 일체로 구비된다.
요홈부(20c)는 손잡이(30)의 후단을 손가락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성형된다. 절편(20a)을 개폐할 때 손가락이 손잡이(30)에 걸릴 수 있는 깊이로 성형한다. 깊이가 깊을수록 손잡이(30)의 작동은 용이하지만 소성가공에 따른 가공경화 현상이 발생하여 강도가 약해지는 점에 주의한다.
돌기부(20d)는 손잡이(30)의 절개홈(30a)과 맞물림되어 스프링백을 방지하도록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성형된다. 돌기부(20d)는 요홈부(20c)와 동시에 프레스 가공으로 성형할 수 있는데, 그 돌출방향이 수직이 아닌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성형한다. 즉, 돌기부(20d)에서 손잡이(30)의 절개홈(30a)과 접촉되는 부분이 상호 맞물려 걸림 작용을 할 수 있을 정도로 경사면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돌기부(20d)도 요홈부(20c)와 마찬가지로 지나치게 큰 변형을 주어 성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돌기부(20d)와 손잡이(30)의 접촉부위에 고무 등 미끄럼 방지부재를 접합하여 물림상태를 견실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을 요홈부(20c)에 넣고 손잡이(30)의 후단을 밀어 올리면 손잡이(30)가 리벳(40)을 중심으로 변형되고 손잡이(30)의 선단이 절편(20a)을 밀어 절취부(20b)를 절단시킨다. 사용자가 절편(20a)에 의해 형성된 개구로 음료수를 마신 다음 손잡이(30)의 후단을 누르면 손잡이(30)의 선단에 접합된 절편(20a)이 상승하면서 최초의 상태대로 개구를 막게 된다.
이때 종래와는 달리 손잡이(30)의 후단을 눌러 돌기부(20d)에 맞물리게 하는 순간 절편(20a)이 개구에 정확하고 긴밀하게 안착되고 절편(20a)의 스프링백은 구속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절편(20a)을 개구에 맞추려고 여러 번 손잡이(30)를 조절할 필요가 없게 되고, 단 한번의 동작으로 개구가 막혀 음료수의 유출이 방지되므로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 비하여 절편(20a)의 폐쇄시 작동횟수가 줄어들게 되므로 피로강도가 증가하여 파손방지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는 절편(20a)을 개폐하는 작동횟수의 증가라는 측면보다 커버(20)의 두께 및 절취부(20b)의 깊이를 보다 작게 설계할 수 있어 재료비절감 및 경량화 측면에서 유리하다.
도 2a 및 2b는 각각 도 1의 변형예에 따른 음료수 캔의 작동상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는 상기 커버(20)의 절편(20a)이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만곡된다. 곡면은 도 2a에서와 같이 최초의 프레스 가공상태에서 상부로 볼록하게 만곡되며 손잡이(30)의 작동시 가압력에 의해 도 2b와 같이 오목하게 변형되면서 절취부(20b)가 절단된다. 이점쇄선은 절취부(20b)가 내려가서 개구가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도 2b의 상태로 될 때 절편(20a)이 스프링백에 의해 펴지면서 곡률반경이 약간 증가하므로 도 2a처럼 손잡이(30)의 후단을 눌러 절편(20a)을 다시 상승 변형시킬 때 개구와 맞물림이 보다 긴밀해지고 그만큼 음료수의 유출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절편(20a)의 스프링백이 지나치게 크면 오히려 개구와 긴밀하게 밀착되지 못하므로 절편(20a)의 만곡을 위한 곡률은 탄성한도 등 소재의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에는 없으나 커버(20)에 요홈부(20c) 및 돌기부(20d)를 형성하는 구성은 도 2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손잡이(30)의 후단을 올리거나 내려서 개구를 개폐하는 동작도 전술한 바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음료수 캔의 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로서, 커버(20)는 절편(20a)의 폐쇄시 틈새의 수밀성을 향상하도록 패킹(50)을 더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패킹(50)은 인체에 무해하면서 신축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또는 고무 소재를 사용하고 절편(20a)의 저면에 접착제로 부착한다. 패킹(50)은 반드시 판형으로 성형할 필요는 없고 개구와 절편(20a)의 틈새를 막을 수 있도록 고리형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절편(20a)보다 패킹(50)의 크기를 약간 크게 하여 절편(20a)의 외측으로 어느 정도 노출되도록 한다.
제작에 있어서, 커버(20)에 절취부(20b), 요홈부(20c), 돌기부(20d)를 성형하고 손잡이(30)를 리벳(40)으로 부착한 다음 손잡이(30)의 선단부가 절편(20a)의 상면에 점용접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시키며, 마지막으로 절편(20a)에 패킹(50)을 접합하여 일체의 조립체를 성형한다. 이후 일체의 조립체로 된 커버(20)를 몸체(10)의 상단에 압착하면 음료수 캔이 완성된다.
사용에 있어서, 손잡이(30)의 후단을 밀어올려 절편(20a)을 하강시키고 개구를 형성한 다음 음료수를 마시는 동작과, 손잡이(30)의 후단을 밀어내려 절편(20a)을 상승시키고 개구를 폐쇄하는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만 손잡이(30)의 후단이 돌기부(20d)에 걸리도록 눌려지는 순간 절편(20a)이 개구를 막으면서 그 틈새가 패킹(50)에 의해 재차 수밀된다.
상기한 도 1 내지 도 3의 구성은 상호 복합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그에 의해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한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손잡이(30)를 눌러 개구를 폐쇄하는 동작이 편리하고 정확하다. 사용자가 비록 어린이나 노약자라고 하더라도 손잡이(30)를 누르는 순간 돌기부(20d)에 안착되면서 개구의 수밀이 유지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커버의 일부를 절취하여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음료수를 마신 후 다시 개구를 원상태로 폐쇄시켜 음료수 잔량을 일시적으로 안전하게 보존함에 따른 작동상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몸체(10)의 상부에 커버(20)가 접합되어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커버(20) 상에서 절취부(20b)를 이용하여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절편(20a)이 형성되고, 커버(20) 상에서 절편(20a)을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30)가 리벳(40)을 개재하여 부착되며, 손잡이(30)의 선단부가 절편(20a)의 상면에 점용접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손잡이(30)의 후단측 커버(20)의 상면에 손가락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요홈부(20c)가 형성된 음료수 캔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0)의 절개홈(30a)과 맞물림되어 스프링백을 방지하도록 커버(20)의 상면에 돌기부(20d)가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의 절편(20a)은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상향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는 절편(20a)의 폐쇄시 틈새의 수밀성을 향상하도록 패킹(5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
KR1020000032826A 2000-06-12 2000-06-12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 KR100337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826A KR100337432B1 (ko) 2000-06-12 2000-06-12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826A KR100337432B1 (ko) 2000-06-12 2000-06-12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566A KR20000058566A (ko) 2000-10-05
KR100337432B1 true KR100337432B1 (ko) 2002-05-22

Family

ID=19671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826A KR100337432B1 (ko) 2000-06-12 2000-06-12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74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84191A1 (de) 2018-06-19 2019-12-25 Top Cap Holding GmbH Metallischer dosendeck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566A (ko)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9597A (en) Self-closing container lid
CA2258724C (en) Dome lid for drinking cup
KR200233702Y1 (ko) 캔 개봉장치
MXPA06013203A (es) Extremo de lata con lengueta para accesibilidad mejorada.
KR200280803Y1 (ko) 맥주용 캔 개봉장치
KR100337432B1 (ko)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
KR200237786Y1 (ko)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
CA1252402A (en) Easy-open closure
EP0787097B1 (en) Beverage can with integral pour spout
USD419448S (en) One-piece end closure with re-closable punch out lid
US20050051552A1 (en) Self-closing lid for beverage cups and the like
KR102574804B1 (ko)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JP2007099363A (ja) ホット飲料用密封容器
KR200253340Y1 (ko) 진공용기
KR102440995B1 (ko) 안전 캔 뚜껑
KR100525963B1 (ko) 스트로가 내장된 캔
JP3186267U (ja) プルタブ型飲料缶
KR200485937Y1 (ko)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
KR200182113Y1 (ko) 빨대를 내장한 캔의 구조
KR100364632B1 (ko) 탄성력을 이용한 자동 캔따개 장치
KR200214656Y1 (ko) 거꾸로 깡통
KR200326350Y1 (ko) 김치저장고용 저장용기의 손잡이
KR200282106Y1 (ko) 캔 개봉장치
KR200174379Y1 (ko) 음료용 캔
JP3058327U (ja) プルトップ掛け起し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