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656Y1 - 거꾸로 깡통 - Google Patents

거꾸로 깡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656Y1
KR200214656Y1 KR2020000022602U KR20000022602U KR200214656Y1 KR 200214656 Y1 KR200214656 Y1 KR 200214656Y1 KR 2020000022602 U KR2020000022602 U KR 2020000022602U KR 20000022602 U KR20000022602 U KR 20000022602U KR 200214656 Y1 KR200214656 Y1 KR 2002146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opening
existing
opener
upside d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6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명석
Original Assignee
고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명석 filed Critical 고명석
Priority to KR2020000022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6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6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656Y1/ko

Links

Landscapes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의 음료수 깡통 개관장치가 가지고 있는 위생적이지 못하고 불합리한 부분을 개선한 점과 손톱이 긴 사람도 깡통을 쉽게 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의 음료수 깡통 개관부분([도 1]의 2)이 깡통 윗뚜껑 부분에 위치함으로써 음료가 나오는 부분에 턱(10)이 생겨 음료를 마지막까지 마시고자 할 때, 약간의 음료가 완전히 나오지 못하는 불합리한 점과 윗뚜껑 부분 제작 공정 마무리 작업상 생기게 되는 가장자리 돌출부분(6) 안쪽과 홈(8) 부분에 쌓이게 되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곤란하여 생기는 위생적이지 못한 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깡통 개관부분을 기존 음료수깡통의 아래 부분에 제작함으로써, 위와 같은 부적절한 점을 해소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음료수 깡통 밑부분에 개관부분을 만들어 깡통을 뒤집어 놓은 상태로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Description

거꾸로 깡통{Inverted Can}
기존의 음료수 깡통([도 1])은 '몸체와 밑부분'과 '윗뚜껑'의 두 부분([도 1]의 B)으로 제작되는 알루미늄(또는 철제도 가능) 깡통인데 제작공정을 크게 세가지로 분류한다면,
첫째 '몸체와 밑부분'을 만드는 공정, 이는 알루미늄 판을 원통형 압착기로 누르는 공정으로 밑부분은 안쪽으로 오목해지며 알루미늄 판의 두께가 몸체에 비해 두껍고, 몸체의 측면은 얇아지게 된다. 이는 팽창력을 갖는 음료수의 팽창력을 지탱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둘째 '윗뚜껑 부위의 알루미늄 판에 개관장치를 제작(알루미늄 판에 개관부위(2)를 압착기로 누르고 깡통따개(4)를 리벳(24)으로 붙이는 작업)'하는 공정,
셋째 '윗뚜껑 부위를 몸체와 부착'시키는 세가지의 공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둘째와 셋째의 공정관계로 깡통의 개관부위(2)를 깡통의 가장자리까지 만들지 못하고, [도 1]의 (C)에서 보이듯이 개관부위에 '돌출부분(6), 홈(8), 턱(10)'이 생기게 되어 음료를 마실 때 마지막 단계에서 약간씩 남게 되고, 마지막 남은 적은 양까지 마시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불합리한 요소가 되기도 한다. 또한 이처럼 약간의 음료가 남음으로 인해서 음료깡통을 버리거나 치우는 등의 처리를 하는 도중 남아있던 약간의 음료가 쏟아져 곤란한 경우(옷을 젖기도 하고, 바닥에 음료액이 떨어지기도 하고 등)를 당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뚜껑부위의 돌출부분(6)과 홈(8) 부분에 이물질이 묻어있는 경우가 종종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깡통에 직접 입을 대고 마시는 경우에는 홈 부위의 이물질 제거가 곤란하여 위생적이지 못한 경우가 발생하곤 한다. 또한 깡통 따개(4)도 뚜껑부위에 밀착된 관계(이는 제조공정상 뚜껑부위를 쌓아두는 부피를 줄이기 위해 따개부위를 표면에 밀착시켜 만드는 제조공정비용 절감차원의 문제이기도 함) 로 손톱이 긴 사람들은 깡통을 따려고 따개 밑부분에 손톱을 넣어야 하므로 불편함이 생기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 음료수 깡통이 가지고 있는 불합리한 점(약간의 음료가 남게 됨)과 비위생적(홈 부분의 이물질 제거가 어려움)인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 음료수 깡통이 가지고 있는 공학적인 점, 즉 측면은 원통형이고 밑부분은 안쪽으로 오목하게 만들어진 점(이는 음료수 중 맥주 및 탄산가스가 들어있는 음료수의 팽창력을 유지하기 위해 만들어진 형태임)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개관부위(2)를 개선한 것으로써, 본 고안도 역시 3 단계의 제조공법이기는 하지만 기존의 음료수 깡통의 개관부위(2)를 윗뚜껑 부위의 알루미늄 판에 제작하는 공정대신, 기존 음료수 깡통의 밑부분에 개관부위를 제작함으로써 제고공정의 순서 또는 위치만 바뀌는 셈이 된다. 즉 거꾸로된 깡통의 제작공정을 기술하면,
첫째 공정은 기존 음료수 깡통처럼 '몸체와 밑부분'을 만들고,
둘째 공정으로 '밑부분에 개관장치를 제작(깡통의 밑부분의 개관부위를 압착기로 누르고(22) 따개([도 2]의 (F))를 리벳(24)에 의해 붙이는 작업)'하게 된다. 여기에 음료수를 넣고,
셋째 공정인 '뚜껑 부위를 몸체에 부착'하고 음료수 깡통을 거꾸로 뒤집어 ([도 2]) 놓으면 되는 것처럼 제조공정 순서만 바뀌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기존깡통의 아래부분이 안쪽으로 오목하게 만들어진 부위에 개관장치를 만들게 되면 따개 부위를 위로 들어올릴 때 불편한 요인이 생기게 되므로 따개부위의 한쪽을 손가락이 약간 들어갈 정도로 약간 들어올린 형태로 꺽음부(14)를 제작하면 문제는 해결된다. 기존의 깡통뚜껑에서는 제조 공정상 쌓아두는 문제로 인해 따개를 뚜껑표면에 밀착시킬 수밖에 없었던 반면에, 거꾸로 깡통에서는 기존깡통 아래부분의 오목한 부분에 따개를 만듦으로 해서 따개를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로([도2]의 (F)처럼) 충분히 높게 만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처럼 따게 부위의 한쪽을 약간 들어올림으로 해서 손톱이 긴 사람들도 손톱이 아니라 손가락이 꺽음부(14)에 약간 들어감으로 해서 깡통을 개관하는데 불편함이 없어지는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음료수 깡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의 [A]는 기존 음료수 깡통의 상부에서 내려다 본 평면도
도 1의 [B]는 기존 음료수 깡통의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윗뚜껑, 몸체와 밑부분의 두 개로 조립된 형태임)
도 1의 [C]는 기존 음료수 깡통의 돌출부분, 홈, 턱 부분을 확대한 상세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깡통 개관부분을 기존깡통의 아래부분에 제작하고 거꾸로 세워놓은 거꾸로 깡통의 사시도
도 2의 [F]는 거꾸로 깡통의 따개부분만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의 [D]는 거꾸로 깡통의 상부에서 내려다 본 평면도
도 3의 [E]는 거꾸로 깡통의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몸체와 윗부분, 밑뚜껑의 두 개로 조립된 형태임)
도 3의 [G]는 돌출부분, 턱, 홈이 없는 거꾸로 깡통 부분을 확대한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개관부분 4. 따개
6. 돌출부분 8. 홈
10. 턱 12. 결합부
14. 꺽음부 16. 깡통 몸체 외부
18. 깡통 상부(볼록한 반원형) 20. 개관부 가장자리
22. 압착기로 눌려지는 부분 24. 리벳(결합볼트)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의 음료수 깡통 제조시 제작 공정 순서를 바꾸어 깡통 개관부위(2)를 기존깡통의 밑부분에 제작한 것으로서, 개관부위(2)가 기존깡통의 밑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점과 깡통 따개의 한쪽이 손가락이 약간 들어갈 정도로 들어올려진 꺽음부(14)를 만드는 점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기존깡통의 아래부분에 개관부위가 제작되어 거꾸로 세워놓은 깡통을 도시한 것으로서, (F)의 꺽음부가 있는 깡통따개를 부착된 거꾸로 깡통의 모습이다.
도 2의 (F)부분에 도시한 깡통따개는 한쪽부분을 손가락이 약간 들어갈 정도로 들어올려지게 꺽음부(14)를 포함하여 제작한 것으로서, 이는 손톱이 긴 사람들도 깡통따개(4)를 들어올리는데 불편하지 않도록 한 것이며, 이렇게 함으로써 깡통을 개관할 때 먼저 약간 들어올려진 꺽음부 부분(14)에 손가락을 집어넣고 따개를 약간 들어올린 후 나머지 부분을 개관부위(2)가 아래로 눌려질 정도로 밀어 올리면 개관부위가 깡통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면서 깡통이 개관되어 음료를 마실 수 있는 것이다.
도 3의 (D)는 거꾸로 깡통의 상부에서 내려다본 평면도로서 개관부위가 깡통의 가장자리(20)까지 위치하여 기존의 음료수 깡통에서 생기는 턱(10)부분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깡통내의 음료가 남지 않고 모두 마실 수가 있다는 것이다.
도 3의 (E)는 거꾸로 깡통의 가장자리에 개관부위가 위치한다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알 수 있는데, (E)의 좌측에 있는 상세도(G)에서 보이듯이 기존의 음료수 깡통에 있던 돌출부분(6)과 홈(8)이 없어 이물질이 쌓일 경우 쉽게 제거하고 음료를 마실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존 음료수 깡통에 있는 턱(10)이 없어 깡통속의 음료를 완전히 마실 수도 있게된다. 상세도(G)에서 보이는 점선(22)은 거꾸로 깡통의 제작공정 중 개관부위를 제작하는 둘째 공정에서 압착기로 눌려지는 부분을 표시한 것이다. 이는 기존 음료수 깡통에서도 그러듯이 깡통의 상부 및 하부는 몸체의 측면에 비해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압착기로 미리 적당량을 눌러놓아 쉽게 개관이 쉽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으로 제작된 음료수 깡통은, 깡통의 음료액이 나오는 부분에 턱(10)이 없이 개관부위(2)를 제작할 수 있어 깡통 속에 들어있는 음료수를 마실 때 음료 액이 남지 않도록 완전히 마실 수 있게 되며, 또한 기존의 깡통 뚜껑부분의 돌출부분(6)과 홈(8)으로 인해 이물질의 제거가 어려웠던 점을 거꾸로 깡통에서는 곡선모형(원형부위)의 깡통 부분에 개관부위(2)를 제작함으로 인해 이물질 제거가 손쉽게 되어 비위생적인 점을 해결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따개 부분의 한쪽을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로 약간 들어올린 형태([도 2]의 (F))로 꺽음부(14)를 제작하여 손톱이 긴 사람들도 쉽게 음료수 깡통을 개관할 수 있게 되어 소비자에게 이롭게 된다는 것이다.

Claims (1)

  1. 기존 음료수 깡통의 밑 부분에 개관부위을 제조하여 거꾸로 세워놓은 모형으로, 음료액이 나오는 부위에 돌출부분, 홈, 턱이 없이 만들어진 깡통
KR2020000022602U 2000-08-04 2000-08-04 거꾸로 깡통 KR2002146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602U KR200214656Y1 (ko) 2000-08-04 2000-08-04 거꾸로 깡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602U KR200214656Y1 (ko) 2000-08-04 2000-08-04 거꾸로 깡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656Y1 true KR200214656Y1 (ko) 2001-02-15

Family

ID=73087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602U KR200214656Y1 (ko) 2000-08-04 2000-08-04 거꾸로 깡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6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0103A (en) Cover for drink containers
US7513383B2 (en) Opening device for can
WO2002008074A1 (en) Beverage container with easy cleaning upper panel
US20020139800A1 (en) Can opening device
US8540105B2 (en) Easily openable can and method of opening the can
KR200214656Y1 (ko) 거꾸로 깡통
US6276013B1 (en) Beverage can top cleaner and tab lifting device
KR200174379Y1 (ko) 음료용 캔
KR200207440Y1 (ko) 개방이 용이한 캔뚜껑
KR100337432B1 (ko)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
JPH11105868A (ja) 飲料用容器
JPH09124045A (ja) 缶及び缶の端板
JP2001328661A (ja) 飲物用カップの蓋
KR200229237Y1 (ko) 위생캔
KR200237786Y1 (ko)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
KR200169039Y1 (ko) 음료용 캔
JPH0678232U (ja) 飲み口が蓋から離れない飲用缶
JP3030272U (ja) 飲物用コップの蓋
WO2003010054A1 (en) Easy open can end
JP3078323U (ja) ビール、ジュース等の飲料缶
KR200182113Y1 (ko) 빨대를 내장한 캔의 구조
JP3013877U (ja) 缶開け器
KR200187697Y1 (ko) 캔음료의 캔따개 구조
JP3077414U (ja) カップ式缶容器
KR200242482Y1 (ko) 빨대를 수용시킨 음료수 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