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482Y1 - 빨대를 수용시킨 음료수 캔 - Google Patents

빨대를 수용시킨 음료수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482Y1
KR200242482Y1 KR2020010015816U KR20010015816U KR200242482Y1 KR 200242482 Y1 KR200242482 Y1 KR 200242482Y1 KR 2020010015816 U KR2020010015816 U KR 2020010015816U KR 20010015816 U KR20010015816 U KR 20010015816U KR 200242482 Y1 KR200242482 Y1 KR 200242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support
beverage
incision
cu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환
Original Assignee
최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환 filed Critical 최성환
Priority to KR2020010015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4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482Y1/ko

Links

Landscapes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빨대를 수용시킨 음료수 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캔의 상판에 형성된 1차 절취선과 연결된 또 하나의 2차 절취선에 각각의 절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2차 절취선의 절개부에 빨대를 고정시키는 지지부재와 지지간을 상판에 리벳트로 고정하여 체결시키고, 상기 캔 속에 내장된 빨대를 외부로 빼낼 수 있도록 개방손잡이의 돌기부와 작동판을 사용하여 2개의 개구부를 연속적으로 개방할 수 있어 상황에 따라 빨대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2차 절개부를 통하여 음료수를 그 대로 마실 수 있는 특징과 함께 걸림턱이 형성된 상기 빨대는 지지간에서 이탈되게 않게 되므로 빨대를 잡기가 편리해지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빨대를 수용시킨 음료수 캔{The beverage can with a struw}
본 고안은 빨대를 수용시킨 음료수 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캔의 상판에 형성된 1차 절취선과 연결된 또 하나의 2차 절취선에 각각의 절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2차 절취선의 절개부에 빨대를 고정시키는 지지부재와 지지간을 리벳팅하여 캔 속에 내장된 빨대를 외부로 빼낼 수 있도록 개방손잡이의 돌기부와 작동판을 사용하여 2개의 개구부를 연속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음료수 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료수 캔은 개봉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절개부를 절개한 후, 그 내용물을 마시기 위해서 상기 절개부에 직접 입을 데고 마시거나 또는 빨대를 사용하여야만 마실 수 있었다.
그리고 직접 입을 데고 마실경우 음료수 캔 외부에 묻어있는 이물질 등에 의해 매우 불결하여 위생상 좋지 못하며, 빨대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음료수 캔과는 별도로 매번 빨대를 준비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뒤따랐다.
또한, 상기 빨대를 이용하여 캔 바닥에 남아 있는 음료수를 마실경우에는 캔을 여러방향으로 기울리거나 아니면 빨대를 제거한 후, 직접 입을 데고 마시는 번거러운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많은 내용들이 있으나, 이들은 모두 캔의 내부에 보관된 빨대를 상판의 절취부 하측에 고정시키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상황에서 사용자가 음료수를 입에 데고 마실려면 상기 빨대를 홀더에서 분리한 후, 음료수가 묻은 상기 빨대를 캔의 내부에서 다시 꺼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이를 분리 수거함에 버리거나 아니면 음료수를 완전히 마시는동안 손에 잡고 있어야 하는 번거러운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보다 간단하게 캔 내부에 수장된 빨대를 외부로 꺼낼 수 있으며, 상기 빨대가 수장된 상태에서 입을 데고 음료를 먹을 수 있는 음료수 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개봉손잡이의 돌기부와 작동판에 의해 캔의 상판에 형성된 1차 절취선과 2차 절취선의 각절개부를 연속적으로 오픈시키며, 상기 2차 절개부의 지지부재에 지지간을 리벳팅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간에 의해 빨대의 걸림턱을 고정시킬 수 있는 음료수 캔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가 형성된 상태의 평면도
도 2a, 2b, 2c, 2d는 본 고안의 요부가 작동하는 상태의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조립된 상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캔 11. 개봉손잡이
12. 빨대 13. 걸림턱
14. 지지간 15. 리벳트
16. 1차 절취선 17. 2차 절취선
18. 상판 19. 작동판
20. 돌기부 21. 1차 절개부
22. 2차 절개부 23. 지지부재
24. 뚜껑
본 고안은 개봉손잡이(11)와 연결된 돌기부(20)와 작동판(19)에 의해 개방되는 1차, 2차 절개부(21,22)로 구성되며, 상기 작동판(19)은 상판(18)과 리벳팅시켜 고정하고, 상기 2차 절개부(22)의 지지부재(23) 하측에 지지간(14)이 고정되도록 구성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가 형성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2a, 2b, 2c, 2d는 본 고안의 요부가 작동하는 상태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이 조립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먼저 캔(10)의 상판(18)에는 개봉손잡이(11)와 작동판(19) 그리고 1차 절취선(16) 및 2차 절취선(17)으로 구성되는데 있어서, 개봉손잡이(11)의 돌기부(20)와 작동판(19)은 리벳트(15)에 의해 고정되고 또한, 상기 작동판(19)역시 상판(18)과 리벳팅으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2차 절개부(22)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재(23)와 지지간(14) 역시 리벳트(15)에 의해 서로 압착되어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1차 절개부(21)는 통상의 개봉손잡이(11)와 일체로 형성된 돌기부(20)의작용으로 오픈되면서 동시에 작동판(19)에 의해 2차 절개부(22)의 지지부재(23)를 오픈시킬 수 있다.
상기의 상황에서 1차 절개부(21)가 상승되면서 동시에 2차 절개부(22)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빨대(12)를 고정한 지지간(14)은 지지부재(23) 하측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지지간(14)은 빨대(12)의 걸림턱(13)이 효율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그 끝단을 다각형으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2차 절개부(22)의 지지부재(23) 외주연 절취선(17)은 고정 리벳트(15)를 중심으로 하여 만곡지게 형성시켜 작동판(19)의 강압되는 힘에 의해 간단하게 오픈될 수 있는 구조이다.
한편, 빨대(12)의 걸림턱(13)이 지지간(14)에 걸려있으므로 인하여 1차 절개부(21)가 개봉손잡이(11)에 의해 상승하게 되면서 작동판(19)에 의해 2차 절개부(22)의 지지부재(23)가 오픈 되면서 상기 빨대(12)와 지지간(14)도 동시에 상승하고 빨대(12)를 외부로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본 고안을 사용할 때에는 먼저, 개봉손잡이(11)와 일체로 형성된 돌기부(20)를 이용하여 1차 절취선(16)을 일부 절개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개봉손잡이(11)를 반대로 잡아 당기게 되면서 1차 절개부(2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봉손잡이(11)와 작동판(19)은 상판에 고정된 리벳트(15)를 기준으로 하여 상승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작동판(19)의 끝부분이 2차 절개부(22)를 다시 강압시키게 되면서 지지부재(23)는 캔(10)의 내부로 수장되면서 오픈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3) 하측에 고정된 지지간(14) 또한, 캔(10)의 내부에서 상승하면서 지지간(14)에 고정된 주름관식 빨대(12)는 1차 절개부(21)를 통해 외부로 빠져 나오게 된다.
한편, 상기 1차 절개부(21)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 빨대(12)에는 뚜겅(2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하여 이를 제거한 후, 음료를 마시게 되며, 또한 상기 빨대(12)에는 걸림턱(13)과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있어 지지간(14)에서 이탈되지 않고 일정 거리 만큼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 빨대(12)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2차 절개부(22)를 통하여 음료수를 그대로 마실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캔 상부의 1차 절개부와 2차 절개부를 절개하면 캔 내부에 수장된 빨대가 외부로 돌출되므로 빨대를 잡기가 편리할 뿐아니라 빨대를 잡았다 놓치는 경우에는 빨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면서 이탈되지 않는 특징과 함께 상황에 따라 빨대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2차 절개부를 통하여 음료수를 그대로 마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빨대를 수용시킨 음료수 캔에 있어서,
    상기 캔의 상판에 형성된 1차 절취선과 연결된 2차 절취선에 각각의 1차, 2차 절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2차 절개부의 지지부재 하부와 빨대를 고정시키는 지지간을 상판에 리벳팅하여 일체로 체결시키고, 상기 캔 속에 내장된 빨대를 외부로 빼낼 수 있도록 상판과 리벳트로 고정된 개방손잡이의 돌기부와 작동판을 사용하여 상기 1차, 2차의 절개부를 연속적으로 오픈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빨대를 수용시킨 음료수 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일체로 고정된 지지간에 걸림턱과 뚜껑이 형성된 빨대가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빨대를 수용시킨 음료수 캔
KR2020010015816U 2001-05-29 2001-05-29 빨대를 수용시킨 음료수 캔 KR200242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816U KR200242482Y1 (ko) 2001-05-29 2001-05-29 빨대를 수용시킨 음료수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816U KR200242482Y1 (ko) 2001-05-29 2001-05-29 빨대를 수용시킨 음료수 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482Y1 true KR200242482Y1 (ko) 2001-10-15

Family

ID=73102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816U KR200242482Y1 (ko) 2001-05-29 2001-05-29 빨대를 수용시킨 음료수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4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L170232A (en) Closure with push type opener
US20020139800A1 (en) Can opening device
US5913953A (en) Can opener apparatus for pull-ring containers
KR200242482Y1 (ko) 빨대를 수용시킨 음료수 캔
KR100302638B1 (ko) 오픈기능성 및 위생성이 개선된 캔 개봉수단을 가지는 캔뚜껑
KR100648733B1 (ko)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KR200174392Y1 (ko) 음료캔
KR200182113Y1 (ko) 빨대를 내장한 캔의 구조
JPH09165093A (ja) プルトップ開口具
KR200207440Y1 (ko) 개방이 용이한 캔뚜껑
KR20010019690A (ko) 음료캔
KR200233596Y1 (ko) 음료용 캔 마개의 자동열림구조
KR200174379Y1 (ko) 음료용 캔
KR200187704Y1 (ko) 음료용 캔의 개방구조
KR200328417Y1 (ko) 음료수 용기
KR100364632B1 (ko) 탄성력을 이용한 자동 캔따개 장치
KR910007767Y1 (ko) 눌름 개전식 캔용기의 내용물 유출장치
JPH0610128U (ja)
KR19990017362U (ko) 캔을 쉽게 열 수 있는 구조
KR100337432B1 (ko)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
KR200285248Y1 (ko) 빨대가 구비된 음료용 캔
KR20010016001A (ko) 음료수캔 개폐장치
KR200316565Y1 (ko) 음료용 캔
KR100525964B1 (ko) 스트로가 내장된 캔
KR200185024Y1 (ko) 음료용기의 스트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