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767Y1 - 눌름 개전식 캔용기의 내용물 유출장치 - Google Patents

눌름 개전식 캔용기의 내용물 유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767Y1
KR910007767Y1 KR2019880007706U KR880007706U KR910007767Y1 KR 910007767 Y1 KR910007767 Y1 KR 910007767Y1 KR 2019880007706 U KR2019880007706 U KR 2019880007706U KR 880007706 U KR880007706 U KR 880007706U KR 910007767 Y1 KR910007767 Y1 KR 9100077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container
plate
open type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77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2889U (ko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20198800077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767Y1/ko
Publication of KR8900228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28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7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7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3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ll-out tear panel, e.g. by means of a tear-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47Provided with additional elements other than for closing the opening
    • B65D2517/0049Straws, spouts, funnels, or other devices facilitating pouring or emptying
    • B65D2517/005Straws, spouts, funnels, or other devices facilitating pouring or emptying formed as part of the t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눌름 개전식 캔용기의 내용물 유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유출장치가 용기에 부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용기의 절취판을 개봉하고 유출장치를 안출시킨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출구 2 : 당김밴드
3 : 끼움돌기 4 : 끼움공
5 : 부착편 6 : 절취선
7 : 받침판 8, 8' : 고정돌기
본 고안은 캔용기의 평판부에 절취부를 형성하고 그 절취부를 상부에서 안쪽으로 눌러 개전시키는 캔용기에 있어서 위생적으로 마실수 있도록 한 유출장치를 용기 내부에 부착하여 절취판을 절취한 다음 유출장치를 인출시켜 간단히 음료를 위생적으로 마실수 있도록 한 눌름 개전식 캔용기의 내용물 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눌름개전식 캔용기는 평판부에 형성된 절취부를 내측으로 눌러서 절취부가 용기의 내부로 절곡되면서 개전된 절취공을 통해서 내용물을 마시게 됨으로 절취된 절취판 자체가 내용물에 잠기게 되고 이 절취판에 묻어 있는 먼지나 오물 또는 절취판을 손으로 눌러서 개전하기 때문에 이 절취판이 음료에 잠겼을대 말할 수 없이 비위생적이며 절취된 구멍에 입을 대고 내용물을 마시게 됨으로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용기 내부 별도의 유출구를 내장하여 이 유출구를 입에 대고 내용물을 먹을 수 있게 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반원상으로 만곡된 유출구(1)를 형성하여 그 외벽 상부에는 당김밴드(2)를 형성하여 이에 형성된 끼움돌기(3)를 유출구(1)의 끼움공(4)에 끼워넣고 유출구(1)의 하부에는 절취선(6)을 가진 부착편(5)을 형성하며 유출구(1) 하단 연부에는 받침판(7)과 고정돌기(8)(8')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0)은 용기, (11)은 절취판, (12)는 절취공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절취판(11)의 직하방 용기(10)의 내벽에 유출구(1)의 부착편(5)을 부착시킨 다음 용기(10)의 내용물을 넣고 밀폐시키며 용기(10)를 개전하여 사용시에는 제3도의 표시와 같이 용기(10)의 절취판(11)을 용기(10)의 안쪽으로 누르면 절취판(11)이 절취되면서 절취공(12)이 생기게 되며 이와 동시에 약간 압착되어 있던 당김밴드(2)가 압착력이 해지되면서 절취공(12)의 외부로 유출구(1)의 당김밴드(2)가 튀어나오게 된다.
이후 당김밴드(2)를 손으로 당기면 부착편(5)이 용기(1)의 내벽에 부착된 상태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 절취선(6)이 절취되고 유출구(10)가 절취공(12) 밖으로 끌려오다가 유출구(1)의 받침판(7)이 절취공(12)의 저면까지 끌려 올라오면 받침판(7)에 의해 유출구(1)는 더이상 끌려 올라오지 못하게 되며 이때 받침판(7)의 윗쪽 양측에 돌설된 고정돌기(8)(8')는 강하게 당기는 힘에 의해 절취공(12)의 표면으로 튀어나오게 되면 그 위치가 용기(10)의 상면과 일치하여 결과적으로 받침판(7)과 공정돌기(8)(8')사이에 절취공(12)의 연부가 끼워지게 됨으로서 유출구(1)가 재차 용기(10)내로 들어가지 못하게 고정돌기(8)(8')가 고정하는 결과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당김밴드(2)를 제3도와 같이 옆으로 당기면 당김밴드(2)에 형성된 끼움돌기(3)가 유출구(1)의 끼움공(4)에서 빠져나오면서 당김밴드(2)가 유출구(1)와 격리됨으로서 유출구(1)에 입을 대고 내용물을 위생적으로 마실수 있는 잇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반원상으로 만곡된 유출구(1)를 형성하여 그 외벽 상부에는 당김밴드(2)를 형성하여 이에 형성된 끼움돌기(3)를 유출구(1)의 끼움공(4)에 끼워넣고 유출구(1)의 하부에는 절취선(6)을 가진 부착편(5)을 형성하며 유출구(1) 하단 연부에는 받침판(7)과 고정돌기(8)(8')를 형성하여서된 눌름 개전식 캔용기의 내용물 유출장치.
KR2019880007706U 1988-05-25 1988-05-25 눌름 개전식 캔용기의 내용물 유출장치 KR9100077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7706U KR910007767Y1 (ko) 1988-05-25 1988-05-25 눌름 개전식 캔용기의 내용물 유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7706U KR910007767Y1 (ko) 1988-05-25 1988-05-25 눌름 개전식 캔용기의 내용물 유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2889U KR890022889U (ko) 1989-12-01
KR910007767Y1 true KR910007767Y1 (ko) 1991-10-05

Family

ID=19275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7706U KR910007767Y1 (ko) 1988-05-25 1988-05-25 눌름 개전식 캔용기의 내용물 유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7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2889U (ko) 198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21835U (ja) 缶容器
JPH0777902B2 (ja) 飲料金属容器用閉鎖体
US3362607A (en) Container with drinking tube
KR910007767Y1 (ko) 눌름 개전식 캔용기의 내용물 유출장치
JP3089256U (ja) 飲用手段を備えた飲料水缶
KR200181029Y1 (ko) 물병의 흡입구 개폐장치
JP3026918U (ja) 飲料用缶の飲み口用ストロー付きキャップ
JPH0472149A (ja) ストロー内蔵液体飲料容器
CN211167828U (zh) 易拉罐
JPH031380Y2 (ko)
KR200346010Y1 (ko) 덮개를 구비하는 부상 방지용 취음부를 포함하는 음료저장 용기
KR200174379Y1 (ko) 음료용 캔
KR970000343Y1 (ko) 캔 마개
KR0140842Y1 (ko) 음료수 캔
JP2001328661A (ja) 飲物用カップの蓋
KR0132379Y1 (ko) 음료수 캔
JPS629405Y2 (ko)
KR860003506Y1 (ko) 빨대를 내장시킨 깡통
KR200241964Y1 (ko) 손쉽게 열 수 있는 손잡이가 내장된 위생 종이 용기
KR910007081Y1 (ko) 병마개를 부설한 유출구
JP2002128125A (ja) 注出装置
KR920002861Y1 (ko) 캔용기의 내용물 유출장치
KR930001621Y1 (ko) 휴대용 컵
JPH0511148Y2 (ko)
KR19980065796A (ko) 빨대가 부착된 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