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010Y1 - 덮개를 구비하는 부상 방지용 취음부를 포함하는 음료저장 용기 - Google Patents

덮개를 구비하는 부상 방지용 취음부를 포함하는 음료저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010Y1
KR200346010Y1 KR20-2003-0036401U KR20030036401U KR200346010Y1 KR 200346010 Y1 KR200346010 Y1 KR 200346010Y1 KR 20030036401 U KR20030036401 U KR 20030036401U KR 200346010 Y1 KR200346010 Y1 KR 200346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ab
beverage
cut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4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성
Original Assignee
송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태성 filed Critical 송태성
Priority to KR20-2003-00364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0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0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16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1/165Cylindrical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취음부를 구비하는 음료 저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음료 저장 용기는, (1) 음료가 저장되는 용기와, (2) 상기 용기의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제공되며, 제공되는 면에서 절취선에 의해 구획되는 절취부와, 상기 절취부의 하면에 제공되는 탭을 포함하는 절취편과, (3) 음료 받이부와, 상기 탭의 주부에 탈착 가능하게 계지되며 음료받이부의 주위에 제공되는 계지부와, 계지부의 반대측에서 음료 받이부의 주위에 제공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의 내부에 제공되는 취음부를 포함한다.
상기 음료 받이부는, 상기 절취편이 절취선을 따라 절취되어 나갈 때 상기 절취편과 함께 용기 외부로 따라 올라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은 음료 받이부가 소정의 양만큼 상기 용기의 외부로 돌출한 상태에서 절취편이 제공되는 상기 용기의 면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탭과 상기 계지부의 계지 상태는 상기 걸림턱이 상기 용기의 면에 걸린 후에도 상기 절취편의 절취를 계속할 때에 해제 가능하다.

Description

덮개를 구비하는 부상 방지용 취음부를 포함하는 음료 저장 용기{Beverage-Reserving Container with Additional Outlet Member with Cover for Preventing Injury}
본 고안은 수용되어 있는 음료수 등을 간편하게 취음할 수 있도록 별도의 취음부를 구비하는 음료 저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취음자의 입술 등에 부상을 입히지 않고 안전하게 취음할 수 있으며 보관 용이성이 증대된 취음부를 구비하는 음료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 저장 용기는 알루미늄이나 스틸 재질로 제작되어 음료수 등을 담아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부에 개방 가능한 개구를 구비한다. 이 개구는 제거 가능한 절취편에 의해 밀봉되어 있으며, 음료를 취음하고자 하는 경우 이 절취편을 제거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음료를 유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절취편이 제거된 부위에 입을 접촉하여 내용물을 마시면 음료 저장 용기의 취급 과정에서 오염된 음료 저장 용기의 외부면과 입이 접촉하게 되어 비위생적으로 취음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인은 실용신안등록 제298285호에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취음부를 포함하는 음료 저장 용기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런데 이 음료 저장 용기에 의해 음료를 취음하는 경우 상기 문제점은 해결되지만, 취음부의 엣지 부분이 날카로와 사용자의 입술 등에 부상을 입힐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이 취음부에는 덮개가 구비되지 않아 음료를 마시다가 남겨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불편함이 수반되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취음부 구비 음료 저장 용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사용자의 입술 등에 부상의 우려가 없는 신규한 음료 저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덮개를 구비하는 취음부를 포함하는 음료 저장 용기를 제공하여 보관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음료 저장 용기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 저장 용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취음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절취편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절취편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절취편의 저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음료 저장 용기 10: 용기 본체
20: 상면 30: 취음부
40: 절취편 45: 절취 개시 수단
50: 절취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음료 저장 용기는, (1) 음료가 저장되는 용기와, (2) 상기 용기의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제공되며, 제공되는 면에서 절취선에 의해 구획되는 절취부와, 상기 절취부의 하면에 제공되는 탭을 포함하는 절취편과, (3) 음료 받이부와, 상기 탭에 탈착 가능하게 계지되며 음료받이부의 주위에 제공되는 계지부와, 계지부의 반대측에서 음료 받이부의 주위에 제공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의 내부에 제공되는 취음부를 포함한다.
상기 음료 받이부는, 상기 절취편이 절취선을 따라 절취되어 나갈 때 상기 절취편과 함께 용기 외부로 따라 올라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은 음료 받이부가 소정의 양만큼 상기 용기의 외부로 돌출한 상태에서 절취편이 제공되는 상기 용기의 면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탭과 상기 계지부의 계지 상태는 상기 걸림턱이 상기 용기의 면에 걸린 후에도 상기 절취편의 절취를 계속할 때에 해제 가능하다.
이러한 음료 저장 용기에 의하면 취음부의 계지부가 상기 절취편의 탭에 계지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비록 절취편이 음료 저장 용기로부터 절취되더라도 사용자의 입술이 접촉하는 취음부의 엣지 부분이 날카롭지 않기 때문에 부상의 위험이 없어져서 안전하게 취음을 할 수 있다. 또한, 취음부의 계지부가 절취편의 탭에 탈착 가능하게 계지되기 때문에 절취편을 취음부의 덮개로 기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음료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는 취음부와 탭의 계지 상태를 해제하여 마시고,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탭과 취음부를 다시 계지 상태로 하여 보관할 수 있는 편의성이 제공된다.
상기 탭의 주부(周部)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계지부는 주부의 홈에 탈착 가능하게 계지되는 돌출부로 구성할 수 있다.
계지 가능한 다른 구성으로, 상기 주부에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계지부에는 주부의 돌기에 탈착 가능하게 계지되는 홈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절취편은 절취 개시 수단을 더 포함하여 절취가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취부는 상기 탭이 부착되는 탭 부착면과, 탭 부착면과 용기 본체 사이에 제공되는 연결면을 포함하며, 상기 탭의 일부는 상기 연결면까지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탭의 일부가 연결면까지 연장되기 때문에 특히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구성하는 경우 연결면의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탭의 주부는 절취편의 둘레부 안쪽에 배치되거나 또는 탭의 주부는 절취편의 둘레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절취편의 둘레부를 따라 탭의 주부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절취편의 날카로운 엣지에 의한 사용자의 부상의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 저장 용기(1)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음료 저장 용기(1)는 음료가 저장되는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10)의 상면(20)에 제공되는 절취선(50)에 의해 구획되는 절취부(41)와, 이 절취부(41)의 하면에 제공되며 절취부(41)의 절취선 안쪽을 따라 연장하는 주부(周部)를 구비하는 탭(47)을 포함하는 절취편(40)을 포함한다. 용기의 상면(20) 주위에는 유출된 음료가 흘러버리지 않도록 방지하는 턱(15)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는 절취편(40)의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절취편(40)의 절취부(41)는 탭 부착면(43)과, 용기 본체(10)의 상면(20)에 연결되는 연결면(42)을 포함한다. 그리고 탭 부착면(43)의 하면에 탭(47)이 고정되는데, 이 탭(47)의 주부에는 계지홈(49)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홈(49)은 주부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도 되고 주부의 일부에 걸쳐서 형성될 수도 있다.
절취편(40)의 상면에는 절취편(40)의 절취를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절취 개시 수단(45)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취 개시 수단(45)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끼워 용기 본체(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는 취음부(3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취음부(3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음료 받이부(37)와, 음료 받이부(37)의 주위에 제공되는 계지부(31)와, 걸림턱(33)을 포함한다. 취음부(30)는 최초 상태에서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제공된다. 계지부(31)는 상기 탭(47)의 주부에 형성되어 있는 계지홈(49)에 계지 가능한 계지 돌부로서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턱(33)에는 그 둘레를 따라서 홈(35)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홈(35)은 용기 본체(10)의 상면(20)에 계지된다.
도 2a 및 도 2b에는 절취 개시 수단(45)을 잡아 당겨서 절취편(40)을 용기 본체(10)의 상면(20)으로부터 절취선(50)을 따라서 절취시킴과 동시에 취음부(30) 역시 용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최초에는 취음부(30)가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자리잡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절취편(40)은 절취선(50)을 따라서 절취 가능한 상태로 용기 본체(10)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고, 절취편(40)의 계지홈(49)을 따라서 취음부(30)의 계지 돌부(31)가 계지되어 있는 상태로 취음부(30)가 절취편(40)에 결합되어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자리잡고 있다.
사용자가 음료를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 절취 개시 수단(45)을 당겨서 절취편(40)의 개시를 시작하는데, 절취편(40)이 절취선(50)을 따라 절취된 후 계속 당겨지면 절취편(40)에 결합되어 있는 취음부(30) 역시 절취편(40)을 따라서 용기 본체(10)의 외부로 올라오게 된다. 계속 절취편(400을 따라 올라오다가 취음부(30)의 걸림턱(33)이 용기 본체(10)의 상면(20)에 걸리게 되면 홈(35)에 상면(20)이 계지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계속 절취 개시 수단(45)을 잡아 당기면 절취편(40)의 탭(47)의 계지홈(49)과 취음부(30)의 계지 돌부(31)의 계지 상태가 해제되면서 절취편(40)과 취음부(30)의 박리가 생긴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절취편(40)과 취음부(30)가 박리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어 취음부(30)를 통해서 사용자가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탭(47)의 주부가 절취편(40)의 절취선 안쪽을 따라 연장하고, 취음부(30)의 계지 돌기(31) 역시 이 주부의 계지홈(49)을 따라서 계지되는 형상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음료 음용을 위해 입술을 접촉하는 취음부(30)의 엣지부 즉 계지 돌기(31)가 날카롭지 않게 된다. 종래의 취음부를 구비한 음료 저장 용기에서는 절취선을 따라서 취음부의 엣지가 형성되기 때문에 날카로운 엣지로 인해 사용자의 입술 등에 부상의 우려가 있었다.
음료를 모두 마셔버리지 않고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탭(47)의 주부의 계지홈(49)과 취음부(30)의 계지 돌기(31)를 다시 계지 상태로 하면 된다.
도 5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절취편(40)의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탭(47)의 일부가 절취부(41)의 연결면(42)까지 연장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구현하는 경우 두께가 매우 얇은 연결면(42)의 강성을 보강해 주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6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절취편(40)의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탭 부착면(43)에 인접한 탭(47)의 면이 탭 부착면(43)의 둘레를 따라서 그 둘레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절취편(40)의 날카로운 엣지에 의한 사용자의 부상의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어 안정성이 고양된다. 이 면은 연결면(42)을 둘레를 따라서 연장할 수도 있는데, 이 실시예에서는 연결면(42)의 엣지 역시 덜 날카롭게 하여 이 엣지에 의한 부상의 위험성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탭(47)의 주부를 계지 돌기로 형성하고, 취음부(30)의 엣지부를 계지 홈으로 형성하여 양자를 계지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취음부(30)가 용기 상면(2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었지만, 용기 상면 이외에 용기의 측면 등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원통 형상의 음료 저장 용기 뿐만 아니라 여러 형상의 음료 저장 용기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금속 재질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등 모든 재질의 용기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첨부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되며 전술한 실시예 또는 첨부 도면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 아님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고안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내지 수정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이 명백하다.
전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절취편(40)의 절취선 안쪽을 따라 주부가 형성되는 탭(47)에 취음부(30)의 엣지가 계지되는 형상을 취하므로 취음부(30)의 엣지를 날카롭지 않게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절취편(40)을 취음부(30)로부터 박리하여 음료를 취음하더라도 사용자의 입술 등에 부상을 입힐 염려가 없다. 나아가 절취편(40)의 탭(47)과 취음부(30)가 탈착 가능하게 계지되기 때문에 절취편(40)이 일종의 취음부(30)의 덮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 용이성이 증대된다.

Claims (6)

  1. 음료가 저장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제공되며, 제공되는 면에서 절취선에 의해 구획되는 절취부와, 상기 절취부의 하면에 제공되는 탭을 포함하는 절취편과,
    음료 받이부와, 상기 탭에 탈착 가능하게 계지되며 음료받이부의 주위에 제공되는 계지부와, 계지부의 반대측에서 음료 받이부의 주위에 제공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의 내부에 제공되는 취음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 받이부는, 상기 절취편이 절취선을 따라 절취되어 나갈 때 상기 절취편과 함께 용기 외부로 따라 올라올 수 있으며,
    상기 걸림턱은 음료 받이부가 소정의 양만큼 상기 용기의 외부로 돌출한 상태에서 절취편이 제공되는 상기 용기의 면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탭과 상기 계지부의 계지 상태는 상기 걸림턱이 상기 용기의 면에 걸린 후에도 상기 절취편의 절취를 계속할 때에 해제 가능한, 음료 저장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탭의 주부(周部)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계지부는 주부의 홈에 탈착 가능하게 계지되는 돌출부인, 음료 저장 용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계지부는 주부의 돌기에 탈착 가능하게 계지되는 홈인, 음료 저장 용기.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편은 절취 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음료 저장 용기.
  5.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상기 탭이 부착되는 탭 부착면과, 탭 부착면과 용기 본체 사이에 제공되는 연결면을 포함하며, 상기 탭의 일부는 상기 연결면까지 연장하는, 음료 저장 용기.
  6.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탭의 주부는 절취편의 둘레부를 따라 배치되는, 음료 저장 용기.
KR20-2003-0036401U 2003-11-21 2003-11-21 덮개를 구비하는 부상 방지용 취음부를 포함하는 음료저장 용기 KR200346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401U KR200346010Y1 (ko) 2003-11-21 2003-11-21 덮개를 구비하는 부상 방지용 취음부를 포함하는 음료저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401U KR200346010Y1 (ko) 2003-11-21 2003-11-21 덮개를 구비하는 부상 방지용 취음부를 포함하는 음료저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010Y1 true KR200346010Y1 (ko) 2004-03-26

Family

ID=49344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401U KR200346010Y1 (ko) 2003-11-21 2003-11-21 덮개를 구비하는 부상 방지용 취음부를 포함하는 음료저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0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9860B2 (en) Plastic drink-through cup lid with fold-back tab
JP4786236B2 (ja) 分別廃棄性に優れたキャップ
US6578725B2 (en) Container lid with finger-receiving scoop
JP3603935B2 (ja) 分別廃棄性の良好なヒンジキャップ
US3362607A (en) Container with drinking tube
KR200346010Y1 (ko) 덮개를 구비하는 부상 방지용 취음부를 포함하는 음료저장 용기
JPH06199373A (ja) ウエットティッシュ容器
JP2001348049A (ja) ヒンジ付きキャップ
JP2007217054A (ja) 収納容器
JP4580049B2 (ja) シール用フィルム付ヒンジキャップ
JPH0958765A (ja) エアゾール容器
JPS5922038Y2 (ja) 液体注出容器の中栓
JPH10250754A (ja) 密閉容器
JP2732362B2 (ja) 広口液体包装容器の蓋
KR910007767Y1 (ko) 눌름 개전식 캔용기의 내용물 유출장치
JPH0627554Y2 (ja) 容 器
KR200298285Y1 (ko) 캔용기
JP3865936B2 (ja) 中栓およびキャップを具えた液注出容器
JP3841968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KR0140842Y1 (ko) 음료수 캔
JPH0744604Y2 (ja) ストロ−付きの飲料用容器
KR100312993B1 (ko) 위생 캔 음료용기
JP3064432U (ja) 飲料容器用蓋
KR200375757Y1 (ko) 빨대를 내장한 음료 저장용 팩.
KR200210295Y1 (ko) 위생용 음료수 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