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6001A - 음료수캔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음료수캔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6001A
KR20010016001A KR1020000052890A KR20000052890A KR20010016001A KR 20010016001 A KR20010016001 A KR 20010016001A KR 1020000052890 A KR1020000052890 A KR 1020000052890A KR 20000052890 A KR20000052890 A KR 20000052890A KR 20010016001 A KR20010016001 A KR 20010016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opening
closing means
side memb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복
Original Assignee
박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복 filed Critical 박창복
Priority to KR1020000052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6001A/ko
Publication of KR20010016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00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52Caps or cap-like covers with elastic parts adapted to be stretched over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사용자가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으면서도 음료수 등을 마실 경우에도 음료수캔에 부착되어 있는 각종 먼지의 오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음료수캔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개폐수단(120)은 음료수캔측면부재(110)의 일측면에 배설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재(121)와, 상기 손잡이부재(121)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한 후 상기 개폐수단(120)을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멍부(122)와, 음료수캔상측부재(112)의 상단부에 결착되어 있는 개폐수단몸체(126)와, 상기 개폐수단(120)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로부터 분리시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와 분리되지 않고 결착되어 있는 결착부(128)와,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개폐수단(120)을 분리시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와 분리되는 분리부(127)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료수캔 개폐장치{OPEN-CLOSED APPARATUS OF DRINKING WATER CAN}
본 발명은 음료수캔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으면서도 음료수 등을 마실경우에도 음료수캔에 부착되어 있는 각종 먼지의 오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음료수캔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에는 음료수 캔을 개방하기 위해서 병뚜껑식과 같은 방식에서부터 음료수캔의 상부에 부착된 고리를 잡아당기면서 음료수캔을 개방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으나, 이러한 방식은 음료수캔을 개방시 많은 힘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음료수캔은 상부가 개방되면서 음료수를 마실 경우 개방되는 부분이 음료수 내부로 삽입되므로 음료수캔의 제작, 운반 및 보관과정에서 쌓여 있는 많은 이물질을 마시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음료수캔은 상부의 일부분만이 개방되므로서 음료수를 마실 경우 입부분이 음료수캔의 일단부와 접촉하게 되어 음료수캔의 일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음료수와 함께 마시게 되므로서 위생상 불결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료수 캔을 개방하기 위해서 음료수캔의 일측면으로 연장되어 있는 고리를 잡아당기면서 음료수캔을 개방하므로서 간단한 힘으로도 캔을 개방할 수 있는 음료수캔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음료수캔의 상부가 개방시 외측으로 분리되므로서 사용자가 음료수를 마실 경우 이물질을 마시지 않아도 되므로 위생적인 음료수캔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음료수캔의 일측면으로 연장되어 있는 고리를 분리하므로서 음료수를 마시게 되는 것으로서 음료수를 마실 경우 입부분에 이물질이 접촉되지 않은 부분과 접촉되면서 마시게 되므로서 위생적인 음료수캔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수캔 개폐장치는, 음료수캔의 몸통을 구성하는 음료수캔측면부재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의 상단부에 결착되어 있는 음료수캔상측부재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 및 음료수캔상측부재의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부재와,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 및 음료수캔측면부재의 상단부에 결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당기도록 형성되어 있는 개폐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음료수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의 일측면에 배설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재와, 상기 손잡이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한 후 상기 개폐수단을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멍부와,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의 상단부에 결착되어 있는 개폐수단몸체와, 상기 개폐수단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로부터 분리시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와 분리되지 않고 결착되어 있는 결착부와,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개폐수단을 분리시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와 분리되는 분리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테두리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개폐수단이 직선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의 상단부의 일측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몸체의 형상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마름모, 하트, 기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수단의 결착부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음료수캔 개폐장치는, 음료수캔의 몸통을 구성하는 음료수캔측면부재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 및 음료수캔상측부재의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음료수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 및 음료수캔측면부재의 상단부에 결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를 외측으로 잡아당기도록 형성되어 있는 개폐수단과, 상기 테두리부재의 일측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힘을 가하게 되면 외측으로 이동되는 음료배출부와, 상기 음료배출부와 결착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개폐수단을 잡고 외측으로 당김에 따라 상기 음료배출부와 분리되는 절개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개폐수단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한 후 상기 개폐수단을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멍부와, 상기 개폐수단이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에 결착되도록 지지하는 결착수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에 배설되어 사용자가 구멍부를 잡고 상방향으로 당기도록 연결되어 있는 개폐수단몸체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의 외측부에 결착되어 상기 음료배출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결착력을 유지하는 결착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테두리부재의 일측면이 절개되어 상기 개폐수단몸체가 직선으로 형성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의 절개되는 부분과 외주면의 일정부분이 중첩되게 결착되도록 분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료수캔 개폐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음료수캔 개폐장치를 개폐했을 경우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을 개폐했을 경우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음료수캔 110 : 음료수캔측면부재
112, 132, 152 : 음료수캔상측부재
116 : 오목부 114, 134, 154, 174 : 테두리부재
120, 140, 160, 177 : 개폐수단
121, 141, 161 : 손잡이부재
122, 142, 162, 178, 186 : 구멍부
124, 144, 164 : 절곡부 126, 146, 184 : 개폐수단몸체
127, 147 : 분리부 128, 148 : 결착부
136, 171, 173 : 절개부 179, 182 : 결착수단
175 : 음료배출부
본 발명의 음료수캔 개폐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첨부도면을 통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료수캔 개폐장치에 대한 사시도로서, 음료수캔(100)은 통상의 음료수캔이며, 상기 음료수캔(100)의 몸통을 구성하는 음료수캔측면부재(110)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의 상단부에 결착되어 있는 음료수캔상측부재(112)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 및 음료수캔상측부재(112)의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부재(114)와,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 및 음료수캔측면부재(110)의 상단부에 결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당기도록 형성되어 있는 개폐수단(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수단(120)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의 일측면에 배설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재(121)와, 상기 손잡이부재(121)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한 후 상기 개폐수단(120)을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멍부(122)와,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의 상단부에 결착되어 있는 개폐수단몸체(126)와, 상기 개폐수단(120)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로부터 분리시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와 분리되지 않고 결착되어 있는 결착부(128)와,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개폐수단(120)을 분리시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와 분리되는 분리부(12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재(121)와 상기 개폐수단몸체(126)를 연결하는 절곡부(124)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재(121)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므로서 사용자가 상기 구멍부(122)에 손가락을 삽입한 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굴곡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부(127)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재(121)를 잡고 상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와 분리되면서 음료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다만, 상기 분리부(127)는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와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결착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도 1 내지 도 3과 상이한 점은 상기 테두리부재(114)의 원주면의 일부를 절개하므로서 상기 개폐수단(120)이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로부터 분리시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면서 사용자가 음료수를 마실 경우 편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발명의 구성은, 상기 음료수캔(100)의 몸통을 구성하는 음료수캔측면부재(110)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의 상단부에 결착되어 있는 음료수캔상측부재(132)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 및 음료수캔상측부재(132)의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부재(134)와,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32) 및 음료수캔측면부재(110)의 상단부에 결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당기도록 형성되어 있는 개폐수단(1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수단(140)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의 일측면에 배설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재(141)와, 상기 손잡이부재(141)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한 후 상기 개폐수단(140)을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멍부(142)와,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32)의 상단부에 결착되어 있는 개폐몸체수단(146)과, 상기 개폐수단(140)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32)로부터 분리시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32)와 분리되지 않고 결착되어 있는 결착부(148)와,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개폐수단(140)을 분리시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32)와 분리되는 분리부(14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부(147)의 외측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32)의 절개되는 부분과 일정부분 중첩되게 결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중첩되도록 결착하는 방식은 테이프접착방식 또는 실링용접 등과 같이, 외부에서 볼 때 미감이 있으면서도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 당겨도 용이하게 상기 분리부(147)가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32)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재(141)와 상기 개폐몸체수단(146)을 연결하는 절곡부(144)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재(141)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므로서 사용자가 상기 구멍부(142)에 손가락을 삽입한 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굴곡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재(134)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부(136)에는 상기 개폐수단(140)의 상측면이 일직선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내용과 대부분 유사하며 다만 상기 개폐수단(120)을 구성하는 손잡이부재(121)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손잡이부재(121)를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의 상단부의 일측면에 오목부(116)의 홈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즉, 본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음료수캔(100)의 몸통을 구성하는 음료수캔측면부재(110)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의 상단부에 결착되어 있는 음료수캔상측부재(152)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 및 음료수캔상측부재(152)의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부재(154)와,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52) 및 음료수캔측면부재(110)의 상단부에 결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52)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당기도록 형성되어 있는 개폐수단(1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수단(160)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의 일측면에 배설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재(161)와, 상기 손잡이부재(161)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한 후 상기 개폐수단(160)을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멍부(16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16)에는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160)의 일단부인 손잡이부재(161)가 설치되면서도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내용에 모두 포함되는 내용으로,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내용을 중심으로 나타내면 상기 개폐수단(120)의 개폐수단몸체(126)의 부분을 사용자가 사용하기 용이하면서도 신선한 느낌을 줄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절개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직사각형, 정사각형, 마름모, 하트, 기타 다른 형상의 모양으로 절개부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맥주병이나 소주병등에도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에 기술한 내용과 차이점은 상기 개폐수단(120)의 개폐수단몸체(126) 부분이 더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착부(128)가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의 상측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필요한 경우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의 일측면에 형성되므로서, 상기 개폐수단몸체(126)에 의해서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가 절개되시 절개되는 힘에 의해서 자동으로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가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우 상기 결착부(128)가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의 상측면이 아니라 일측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로서, 상기 테두리부재(174)의 상단부의 일측면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의 외측 상단부에 사용자가 구멍부(178)을 잡고 외측으로 당기게되면, 상기 결착수단(179)에 의해 결착되어 있는 음료배출부(175) 부분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도 13에서와 같이 내용물을 마실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결착수단(179)는 통상적인 음료수캔에 적용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즉, 리벳작업 또는 용접 방식 등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도 10과는 대부분 동일하고, 다만 상기 개폐수단(177) 대신에 다른 개폐수단(180)을 구성하므로서, 사용자가 상기 구멍부(186)를 잡고 좌측 상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결착수단(182)에 의해서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의 외측부에 결착되므로서, 상기 음료배출부(175)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도 11과는 상기 테두리부재(174)의 일측면이 절개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서 상기 개폐수단몸체(184)가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서 상기 음료배출부(175)의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상기 음료수캔(100)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료수를 마시기 위해서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의 상단부 및 측면에 결착되어 있는 개폐수단(120)의 손잡이부재(121)를 잡고 상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손잡이부재(121)와 연결되어 있는 개폐수단몸체(126)가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와 분리되면서 절개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재(121)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부(122)에 손가락을 넣은 후 상방향으로 당기게 되므로서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에 저장되어 있는 음식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따라서, 예를 들면 어린아이와 같은 경우 상기 개폐수단몸체(126)의 절개부를 조금만 개방하므로서 음료수의 배출량이 소량씩 나오도록 할 수 있으며, 한번에 음료수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수단몸체(126)의 분리부(127)가 상기 결착부(128)에 오도록 절개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부득이 음료수를 마시다가 다음에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는 개방되어있는 개폐수단몸체(126)를 다시 원위치시키게 되면 어느 정도는 밀봉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에 결착되어 있는 개폐수단(120)을 분리하도록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서로 같은 음료수를 마시더라도 상이한 느낌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음료수캔 개폐장치는 상기에 기술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비록 상기에 기술되어 있지는 않다록 하더라도 상기의 기술내용으로부터 단순한 변환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부(127)의 길이 및 폭을 보통, 짧게 등과 같이 상이하게 형성하므로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하므로서, 특히 어린아이나 차량 운행중에 음료수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분리부(127)의 폭 및 길이가 적은 제품을 선택하게 되면 음료의 배출량이 적으므로서 용이하게 마실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필요한 경우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몸체(126)의 넓이를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의 절개부의 폭보다 넓게하여, 즉 상기 개폐수단몸체(126)의 외측면이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의 상단부에 일정폭이 중첩되게 결착하므로서, 사용자가 음료수를 마시기 위해서 상기 개폐수단몸체(126)를 분리시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의 절개부의 거칠은 면으로 인해서 사용자의 입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개폐수단의 개폐수단몸체의 폭과 길이를 가변적으로 자유롭게 형성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며, 게다가 상기 개폐수단몸체의 형상 및 모양을 다양하게 형성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음료수캔 개폐장치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음료수캔을 열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음료수캔을 마시기 위해서 개봉후 나중에 다시 마시고 싶은 경우에는 개폐수단을 닫으므로서 어느 정도의 밀봉 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제조공정 또는 운송중에 발생하는 많은 이물질이 음료수캔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료수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 부득이하게 마시게 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므로서 위생상 사용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으며, 그리고 종래와 같이 단순하게 음료수캔의 개폐수단을 획일적인 모양으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즉, 개폐수단몸체의 형상 및 모양을 다양하게 형성하므로서, 사용자의 취향에 더욱 접근할 수 있는 발명이다.

Claims (10)

  1. 음료수캔(100)의 몸통을 구성하는 음료수캔측면부재(110)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의 상단부에 결착되어 있는 음료수캔상측부재(112)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 및 음료수캔상측부재(112)의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있는 테두리부재(114)와,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 및 음료수캔측면부재(110)의 상단부에 결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당기도록 형성되어 있는 개폐수단(120)으로 구성되어 있는 음료수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120)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의 일측면에 배설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재(121)와, 상기 손잡이부재(121)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한 후 상기 개폐수단(120)을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멍부(122)와,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의 상단부에 결착되어 있는 개폐수단몸체(126)와, 상기 개폐수단(120)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로부터 분리시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와 분리되지 않고 결착되어 있는 결착부(128)와,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개폐수단(120)을 분리시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12)와 분리되는 분리부(127)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캔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134)의 일측면에는 상기 개폐수단(140)이 직선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절개부(13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캔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의 상단부의 일측면에 오목부(11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캔 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몸체(126)의 형상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마름모, 하트, 기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캔 개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120)의 결착부(128)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의 상측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캔 개폐장치.
  6. 음료수캔(100)의 몸통을 구성하는 음료수캔측면부재(110)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 및 음료수캔상측부재(172)의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있는 테두리부재(174)로 구성되어 있는 음료수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72) 및 음료수캔측면부재(110)의 상단부에 결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를 외측으로 잡아당기도록 형성되어 있는 개폐수단과, 상기 테두리부재(174)의 일측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힘을 가하게 되면 외측으로 이동되는 음료배출부(175)와, 상기 음료배출부(175)와 결착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개폐수단을 잡고 외측으로 당김에 따라 상기 음료배출부(175)와 분리되는 절개부(171)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캔 개폐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한 후 상기 개폐수단(120)을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멍부(178)와, 상기 개폐수단이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에 결착되도록 지지하는 결착수단(179)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캔 개폐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172)에 배설되어 사용자가 구멍부(186)를 잡고 상방향으로 당기도록 연결되어 있는 개폐수단몸체(184)와, 상기 음료수캔측면부재(110)의 외측부에 결착되어 상기 음료배출부(175)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결착력을 유지하는 결착수단(182)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캔 개폐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174)의 일측면이 절개되어 상기 개폐수단몸체(184)가 직선으로 형성되도록 절개부(17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캔 개폐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캔상측부재의 절개되는 부분과 외주면의 일정부분이 중첩되게 결착되도록 분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캔 개폐장치.
KR1020000052890A 2000-09-06 2000-09-06 음료수캔 개폐장치 KR20010016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890A KR20010016001A (ko) 2000-09-06 2000-09-06 음료수캔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890A KR20010016001A (ko) 2000-09-06 2000-09-06 음료수캔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001A true KR20010016001A (ko) 2001-03-05

Family

ID=19687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890A KR20010016001A (ko) 2000-09-06 2000-09-06 음료수캔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60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8709A (en) Straw-containing cover attachment and assembly for a beverage container
US5819972A (en) Container for beverages, preserved foods and the like
KR0141618B1 (ko) 위생성이 개선된 캔뚜껑
US4728001A (en) Beverage container and packaging method
US4961510A (en) Sanitary lid for metal beverage container
US5292022A (en) Closure for beverages metal containers
KR101548973B1 (ko) 위생적이며 사용이 편리한 음료캔
US5934497A (en) Sanitary beverage can lid
JP2002544080A (ja) 二重溝型飲料缶蓋
KR20010016001A (ko) 음료수캔 개폐장치
US4745829A (en) Can opener for use with fulcrum-type opener tabs
KR200203506Y1 (ko) 알루미늄캔용 보조뚜껑
JPH0769358A (ja) 合成樹脂製の瓶蓋
JPH03256861A (ja) 飲料用容器
KR200202803Y1 (ko) 음료수 캔
KR100367873B1 (ko) 음료수 캔
WO2011117772A1 (en) A system for opening a container and a container equipped with said opening system
KR200209040Y1 (ko) 캔음료용다용도덮개
KR200254387Y1 (ko) 위생커버를 부착한 음료수 캔뚜껑
KR200242482Y1 (ko) 빨대를 수용시킨 음료수 캔
KR200171247Y1 (ko) 캔 결합체
KR200169033Y1 (ko) 캔 결합체
WO2004043801A1 (en) Pull tab with insect guard for drinks can
JP3082513U (ja) 飲料缶
KR950003564Y1 (ko) 음료용 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