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5963B1 - 스트로가 내장된 캔 - Google Patents

스트로가 내장된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5963B1
KR100525963B1 KR10-2003-0031755A KR20030031755A KR100525963B1 KR 100525963 B1 KR100525963 B1 KR 100525963B1 KR 20030031755 A KR20030031755 A KR 20030031755A KR 100525963 B1 KR100525963 B1 KR 100525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rivet
straw
rotating
rive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9691A (ko
Inventor
우한석
Original Assignee
우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한석 filed Critical 우한석
Priority to KR10-2003-0031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963B1/ko
Publication of KR20040099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캔 뚜껑부의 상부로 돌설된 리벳부와 결합되는 작동링이 잡아 당겨지면 뚜껑부 상부 일측에 일부 구획된 절개선이 절개되면서 탭이 캔의 내부로 함입됨과 동시에 입구부가 개방되도록 된 캔에 있어서, 캔에 내장되며 상단 외주연부에 소정크기의 걸림돌기가 연계형성된 스트로와; 리벳부에 수직관통되어 캔의 내,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된 소정크기의 통공과; 리벳부의 저부에서 통공으로 관통되도록 일단에 회동축이 다단으로 형성되고, 타단을 향하여 소정길이로 아암이 형성되고, 이 아암의 타단에 스트로가 파지되도록 파지부가 형성되어 뚜껑부의 저면으로 가압밀착되는 작동레버와; 리벳부와 결합되는 작동링의 회동와셔가 리벳부를 중심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작동레버가 회동될 수 있도록 작동레버를 회동와셔에 결합시키기 위한 작동레버의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캔에 수용된 내용물을 음용하고자 할 경우, 작동링을 이용한 일반적 개방수단에 의해 입구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입구부로부터 직접 배출 및 음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입구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캔에 내장된 스트로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구부에 출현할 수 있도록 하여 스트로를 이용한 음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트로가 내장된 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트로가 내장된 캔{Can having a straw}
본 발명은 캔 뚜껑부의 상부로 돌설된 리벳부와 결합되는 작동링이 잡아 당겨지면 뚜껑부 상부 일측에 일부 구획된 절개선이 절개되면서 탭이 캔의 내부로 함입됨과 동시에 입구부가 개방되도록 된 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캔에 수용된 내용물을 음용하고자 할 경우, 작동링의 조작에 의한 일반적인 개방수단으로 입구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입구부로부터 직접 배출 및 음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입구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캔에 내장된 스트로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구부에 출현할 수 있도록 하여 스트로를 이용한 음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트로가 내장된 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틸이나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된 캔은 내용물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 리벳부에 의해 캔의 상면에 결합된 작동링을 상부로 당겨 캔 상부에 형성된 스토어 라인이 절개되도록 함과 동시에 절개된 탭이 캔 내부로 함입되도록 함으로써 입구를 개방하여 캔 내부에 담긴 내용물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캔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이러한 캔은 알루미늄 시트나 석도강판과 같은 금속박판을 소재로 하여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만들어진 캔 몸체부(1)의 상단은 뚜껑부(2)로 시이밍작업하여 일체로 결합시킴으로써 캔을 밀폐하였으며, 이 뚜껑부(2)의 일부영역에 절개선(3)을 형성하고, 이 절개선(3)이 절개되도록 뚜껑부(2)에 돌설된 리벳부(4)에 작동링(5)을 리벳팅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캔의 음용방법을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뚜껑부(2)에 리벳부(4)와 결합된 작동링(5)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잡아당기면, 지렛대의 원리와 같이 작동링(5) 타단의 가압부(7)가 하향회동하면서 절개선(3)을 하향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링(5)의 가압부(7)에 의해 절개선(3)이 절개되면 절개된 탭은 입구부(6)의 하측으로 회동되며, 이에 따라 입구부(6)가 개방되어 캔(1)에 수용된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캔의 음용방법은, 캔의 입구부(6)를 개방한 후, 사용자가 입구부(6)에 입을 대고 캔(1)을 기울임으로써, 내용물이 입구부(6)로 배출되어짐과 동시에 내용물이 입으로 흘러들어 갈 수 있도록 하여 이를 음용하는 일반적인 방법과 캔(1)의 입구부(6)를 개방한 후, 별도의 용기에 내용물을 부어서 이를 음용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캔(1)의 입구부(6)에 입을 대고 내용물을 음용하는 경우, 내용물을 마실수록 캔(1)을 더욱 기울이거나 목을 뒤로 젖혀서 캔(1)에 잔류된 나머지 내용물을 음용을 하여야 하는 바, 어린이나 노약자 등은 캔의 파지가 곤란하거나 목을 뒤로 젖히는 것이 불편하여 주로 별도로 제공되는 스트로(빨대)를 입구부(6)를 통해 캔(1)의 내부로 삽입하여 캔(1) 내부의 내용물을 스트로를 통해 음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캔(1)의 내용물을 음용하고자 할 경우, 스트로가 구비되지 못하면 어린아이나 노약자 등은 캔의 내용물을 불편하게 음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스트로를 이용하여 캔(1)의 내용물을 음용하고자 할 경우 항상 스트로를 준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별도의 스트로를 구비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캔에 내장된 스트로를 입구부로 노출시켜 음용할 수도 있으며, 스트로가 입구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입구부를 통해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은, 캔(100) 뚜껑부(101)의 상부로 돌설된 리벳부(102)와 결합되는 작동링(103)이 잡아 당겨지면 뚜껑부(101) 상부 일측에 일부 구획된 제1절개선(104)이 절개되면서 탭(105)이 캔(100)의 내부로 함입됨과 동시에 입구부가 개방되도록 된 캔에 있어서, 상기 캔(100)에 내장되며 상단 외주연부에 소정크기의 걸림돌기(106)가 연계형성된 스트로(107)와; 상기 리벳부(102)에 수직관통되어 캔(100)의 내,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된 소정크기의 통공(108)과; 상기 리벳부(102)의 저부에서 통공(108)으로 관통되도록 일단에 회동축(109)이 다단으로 형성되고, 타단을 향하여 소정길이로 아암(110)이 형성되며, 이 아암(110)의 타단에 스트로(107)가 파지되도록 파지부(111)가 형성되어 뚜껑부(101)의 저면으로 가압밀착되는 작동레버(112)와; 상기 리벳부(102)와 결합되는 작동링(103)의 회동와셔(113)가 리벳부(102)를 중심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작동레버(112)가 회동될 수 있도록 작동레버(112)를 회동와셔(113)에 결합시키기 위한 작동레버의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가 내장된 캔(100)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레버 결합수단의 제1실시예는, 상기 리벳부(102)의 상부 선단연부를 소정의 열원과 함께 수직하향으로 프레싱하여 상부의 선단연부 조직 일부가 일시적으로 용융되면서 회동와셔(113)에 용접되도록 한 후, 상기 통공(108)으로 돌출되는 회동축(109)을 소정의 열원과 함께 수직하향으로 프레싱하여 회동축(109)의 상부가 일시적으로 용융됨과 동시에 리벳부(102)를 덮으면서 회동와셔(113)에 용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 결합수단의 제2실시예는, 상기 통공(108)으로 돌출되는 회동축(109)을 소정의 열원과 함께 수직하향으로 프레싱하여 회동축(109)의 상부를 일시적으로 용융시켜 리벳부(102)를 덮으면서 회동와셔(113)에 용접되도록 함과 동시에 리벳부(102)의 상부 선단연부의 조직이 일시적으로 일부 용융되면서 회동와셔(113)에 용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 결합수단의 제3실시예는, 상기 리벳부(102)의 통공(108) 하부에 배치되는 회동축(109)의 하단부에 리벳부(102)의 삽입홈(115)보다 비교적 큰 직경의 곡률를 갖는 구배부(116)를 형성하고 통공(108)으로 돌출되는 회동축(109)을 상향으로 인출시켜 구배부(116)가 리벳부(102)의 삽입홈(115)에 강제압입되도록 한 후, 회동축(109)의 상단을 소정의 열원과 함께 수직하향으로 프레싱하여 회동축(109)의 상부가 일시적으로 용융되어 리벳부(102)를 덮으면서 회동와셔(113)에 용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 결합수단의 제4실시예는, 상기 리벳부(102) 상부의 선단연부를 소정의 열원과 함께 수직하향으로 프레싱하여 선단연부를 일시적으로 일부 용융시켜 회동와셔(113)와 용접시키고, 삽입공(119)이 형성되고 리벳부(102)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너비를 갖는 연결와셔(117)를 통공(108)으로 돌출되는 회동축(109)에 삽입하여 삽입공(119)을 회동축(109)에 용접시키며, 연결와셔(117)의 외주연부와 접하는 회동와셔(113)의 소정영역을 연계하여 용접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 결합수단의 제5실시예는, 상기 리벳부(102)의 외경면 소정위치와 삽입홈(115)에 삽입된 회동축(109) 하단부의 외경면 소정위치를 연계하여 용접시켜 용접부(118)를 형성시키되, 용접부(118)의 리벳부(102) 외경면에는 소정 크기의 제2절개선(120)을 연계형성하고, 삽입공(119)이 형성되고 리벳부(102)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너비를 갖는 연결와셔(117)를 통공(108)으로 돌출되는 회동축(109)에 삽입하여 삽입공(119)을 회동축(109)에 용접시키며, 연결와셔(117)의 외주연부와 접하는 회동와셔(113)의 소정영역을 연계하여 용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100)의 뚜껑부(101)에 형성되는 리벳부(102)는 뚜껑부(101)의 저부에서 상향으로 프레싱하여 리벳부(102)가 돌설되며, 이때, 리벳부(102)가 돌설됨과 동시에 리벳부(102)의 저부에는 소정크기의 삽입홈(115)이 형성되고, 뚜껑부(101)의 상부로 돌설되는 이 리벳부(102)에는 작동링(103)의 회동와셔(113)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리벳부(102)의 상단에는 뚜껑부(101)의 상부와 하부가 연통되도록 통공(10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112)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뚜껑부(101)의 저부에 밀착되되, 제1절개선(104)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완곡한 형태의 아암(110)이 마련되며, 이 아암(110)의 일단에는 삽입홈(115)에 삽입되는 고정부(114)가 마련되고, 그 상부로 통공(108)에 삽입되는 회동축(109)이 형성되며, 상기 아암(110)의 타단에는 캔(100)에 내장되는 스트로(107)를 파지할 수 있도록 'C'자 또는 굴절된 형상의 파지부(11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리벳부(102)의 삽입홈(115)으로 작동레버(112)의 고정부(114)가 삽입되면 통공(108)으로는 회동축(109)이 돌출된다.
아울러, 상기 작동레버(112)의 타측에 마련된 파지부(111)에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107)를 끼워 고정부(114)가 삽입홈(115)에 삽입될 때 스트로(107)의 걸림돌기(106)가 파지부(111)의 상단에 걸려진 상태에서 뚜껑부(101)의 저부면 중 제1절개선(104)에 인접한 위치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고정되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와셔(113)가 회동될때 작동레버(112)가 동시에 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작동레버의 결합수단을 실시예별로 제시하는 바, 이하에서, 각 실시예별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작동레버 결합수단의 제1실시예는, 상기 리벳부(102)의 상부 선단연부를 소정의 열원과 함께 수직하향으로 프레싱하여 선단연부의 조직 일부가 도 3과 같이 일시적으로 용융되면서 회동와셔(113)에 용접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리벳부(10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벳팅되어 회동와셔(113)와 결합된 상태이어도 무방하고, 리벳팅되기 전의 상태인 회동와셔(113)가 리벳부(102)에 끼워져 있는 상태이어도 무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결합전이든 결합후이든 프레싱에 의해 리벳부(102)의 선단 외주연부가 용융되면서 회동와셔(113)에 용접되어 캔(100) 내부로부터 외부로 빠져나가려 하는 가스를 차단하기만 하면 되며, 후술하게 되는 작동링(103)이 사용자에 의해 회동될 때,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 용접부분(131)이 전단되어 회동축(109)이 회동될 수 있을 정도로만 용접되어지면 된다.
그러나, 공정상 리벳부(102)와 회동와셔(113)가 리벳팅되어 결합상태를 이루는 것이 작업시간의 단축과 제품의 신뢰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벳부(102)가 회동와셔(113)에 용접되면 통공(108)으로 돌출된 회동축(109)을 소정의 열원과 함께 수직하향으로 프레싱하여 회동축(109)이 일시적으로 용융되면서 리벳부(102)를 덮음과 동시에 회동와셔(113)와 접하는 연접부(132)가 용접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캔(100) 내부의 내용물을 음용하고자 할 경우, 작동링(103)을 잡아 당기면, 탭(105)이 제1절개선(104)에 따라 절개되면서 캔(100) 내부로 함입되어 입구부(130)가 개방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구부(130)에 입을 대고 내용물을 음용할 수도 있으며, 입구부(130)로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겨 담을 수도 있게 된다.
그러나, 여기서는 사용자의 선택이 캔(100)에 내장된 스트로(107)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본 발명에 의한 캔(100)의 작용설명을 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링(103)을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바, 이때, 작동링(103)의 회동과 회동와셔(113)의 회동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회동와셔(113)에 용접된 리벳부(102)의 선단연부(131)는 사용자가 작동링(103)을 회동시키려 하는 힘에 의해 전단되면서 회동축(109)과 고정부(114)가 회동와셔(113)를 따라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114)에서 타단을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아암(110)이 회동하게 되고, 아암(110) 끝단의 파지부(111)에 파지된 스트로(107)가 캔(100) 뚜껑부(101)의 저면을 따라 회동하게 됨으로써 입구부(130)로 노출된다.
따라서, 캔(100) 내부의 내용물과 스트로(107)의 자체부력에 의해 스트로(107)가 승강하기도 하며, 내용물에 가스(예를 들면, 탄산가스)가 방출되면서 스트로(107)를 승강시켜 스트로(107)가 입구부(130)의 상부로 떠오르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트로(107)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작동레버 결합수단의 제2실시예는, 상기 리벳부(102)의 상부 선단연부를 소정의 열원과 함께 수직하향으로 프레싱하면, 상부의 선단연부 조직 일부가 일시적으로 용융되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와셔(113)에 용접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리벳부(102)와 회동와셔(113)가 용접된 후에는 통공(108)으로 돌출되는 회동축(109)을 소정의 열원과 함께 수직하향으로 프레싱하여 회동축(109)의 상부가 일시적으로 용융됨과 동시에 리벳부(102)를 덮으면서 회동와셔(113)에 용접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게 되는 바, 제1실시예는 리벳부(102)를 회동와셔(113)에 용접하는 것과 회동축(109)이 리벳부(102)를 감싸면서 회동와셔(113)에 용접되는 것이 한 공정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는 반면에, 제2실시예는 리벳부(102)와 회동와셔(113)를 용접한 후, 다시 회동축(109)을 프레싱하여 리벳부(102)를 감싸면서 회동와셔(113)에 용접하는 것으로서, 작용은 상호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작동레버 결합수단의 제3실시예는, 상기 리벳부(102)의 통공(108) 하부에 배치되는 회동축(109) 하단의 고정부(114)에는 리벳부(102)의 삽입홈(115)보다 비교적 큰 직경의 곡률를 갖는 구배부(116)를 형성하고, 상기 통공(108)으로 돌출되는 회동축(109)을 상향으로 강제인출시켜 구배부(116)가 리벳부(102)의 삽입홈(115)에 도 4와 같이 강제압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강제압입되는 구배부(116)와 삽입홈(115)의 내경면과는 강제압입시 긴밀한 접촉관계가 유지되는 바, 상기 삽입홈(115)은 확경되지 않으려 하는 관성을 갖고 있으며, 구배부(116)는 축경되지 않으려 하는 관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힘이 서로 맞대응하고 있으므로 긴밀한 접촉관계가 유지되어 캔(100) 내부의 가스나 내용물이 새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회동축(109)의 상단을 소정의 열원과 함께 수직하향으로 프레싱하여 회동축(109)의 상부가 일시적으로 용융되어 리벳부(102)를 덮으면서 회동와셔(113)에 용접되도록 하는 기술은 상술한 제1,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작동링(103)을 잡아당겨 가압부(133)가 제1절개선(104)을 절개하고 탭(105)을 캔(100) 내부로 함입시켜 입구부(130)를 개방한 후, 작동링(103)을 회동시키면 작동링(103)은 회동와셔(113)와 회동축(109) 및 구배부(116)와 아암(110)을 회동시켜 파지부(111)에 파지된 스트로(107)가 입구부(130)에 노출됨으로써 스트로(107)의 부력, 내용물 중에 포함된 가스의 상승 및 방출로 스트로(107)가 입구부(130)로 승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제3실시예의 경우는 리벳부(102)와 회동축(109)이 결합됨에 있어, 캔(100) 상부로 리벳부(102)가 비교적 높이 돌출되는 구조를 이루게 되는 바, 상기한 리벳부(102)의 높이에 따라 작동링(103)이 캔(100) 상부면과 이격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작동링(103)과 캔(100) 상부면 사이로 손톱이나 손가락을 넣고 잡아당기기 용이하게 되는 부수적 편리성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작동레버 결합수단의 제4실시예는, 상기 리벳부(102) 상부의 선단연부를 소정의 열원과 함께 수직하향으로 프레싱하여 선단연부를 일시적으로 일부 용융시켜 도 5와 같이 회동와셔(113)와 용접시키고, 이 용접된 부분(131)이 작동링(103)의 회동에 의해 전단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축(109)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119)이 형성되고 리벳부(102)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너비를 갖는 연결와셔(117)를 통공(108)으로 돌출되는 회동축(109)에 삽입한 후, 삽입공(119)을 회동축(109)에 용접하고, 연결와셔(117)의 외주연부와 접하는 회동와셔(113)의 소정영역(134)을 연계하여 용접시킴으로써, 회동와셔(113)와 연결와셔(117)와 회동축(109)이 일체로 용접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링(103)의 조작에 의해 입구부(130)가 개방된 후, 작동링(103)을 회동시키면 리벳부(102)와 회동와셔(113)간의 용접부위(131)가 전단되면서 회동와셔(113)와 연결와셔(117)가 회동하며, 이때, 연결와셔(117)와 용접된 회동축(109)이 회동하면서 고정부(114) 및 아암(110)이 회동하여 파지부(111)에 파지된 스트로(107)가 입구부(130)에 노출됨으로써, 스트로(107)가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작동레버 결합수단의 제5실시예는, 상기 리벳부(102)의 외경면 소정위치와 삽입홈(115)에 삽입된 회동축(109) 하단부의 외경면 소정위치를 연계하여 용접시켜 용접부(118)를 형성시킴으로써, 캔(100) 내부로부터 외부로 내용물이나 가스의 배출을 차단시킨다.
이때, 상기 용접부(118)의 리벳부(102) 외경면에는 소정의 크기의 제2절개선(120)을 도 6과 같이 연계형성하여 후술하게 되는 회동와셔(113)의 회동에 의해 용접부(118)의 제2절개선(120)이 전단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축(109)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119)이 형성되고 리벳부(102)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너비를 갖는 연결와셔(117)를 통공(108)으로 돌출되는 회동축(109)에 삽입한 후, 삽입공(119)을 회동축(109)에 용접하고, 연결와셔(117)의 외주연부와 접하는 회동와셔(113)의 소정영역(134)을 연계하여 용접시킴으로써, 회동와셔(113)와 연결와셔(117)와 회동축(109)이 일체로 용접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링(103)의 조작에 의해 입구부(130)가 개방된 후, 작동링(103)을 회동시키면 두께가 얇은 제2절개선(120)이 전단되어 회동와셔(113)와 연결와셔(117)가 회동하며, 이때, 연결와셔(117)와 용접된 회동축(109)이 회동하면서 고정부(114) 및 아암(110)이 회동하여 파지부(111)에 파지된 스트로(107)가 입구부(130)에 노출됨으로써, 스트로(107)가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스트로를 구비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캔에 내장된 스트로를 작동링을 조작함으로써, 입구부로 노출시켜 상승되도록 하고, 내용물을 스트로를 통해 손쉽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1은 알루미늄 캔의 외관을 도시한 외관사시도.
도2는 본 발명 캔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7a는 본 발명 개구부만 개방된 상태의 평면도.
도7b는 본 발명에 의해 작동링과 아암이 회동하여 스트로가 개구부에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에 의해 스트로가 승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뚜껑부 102 : 리벳부
103 : 작동링 104 : 제1절개선
105 : 탭 106 : 걸림돌기
107 : 스트로 108 : 통공
109 : 회동축 110 : 아암
111 : 파지부 112 : 작동레버
113 : 회동와셔 114 : 고정부
115 : 삽입홈 116 : 구배부
117 : 연결와셔 118 : 용접부
119 : 삽입공 120 : 제2절개선
130 : 입구부 131 : 리벳부와 회동와셔의 용접부분
132 : 회동축과 회동와셔의 연접부 133 : 가압부
134 : 회동와셔와 연결와셔의 용접부분

Claims (6)

  1. 캔 뚜껑부의 상부로 돌설된 리벳부와 결합되는 작동링이 잡아 당겨지면 뚜껑부 상부 일측에 일부 구획된 절개선이 절개되면서 탭이 캔의 내부로 함입됨과 동시에 입구부가 개방되도록 된 캔에 있어서,
    상기 캔에 내장되며 상단 외주연부에 소정크기의 걸림돌기가 연계형성된 스트로와;
    상기 리벳부에 수직관통되어 캔의 내,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된 소정크기의 통공과;
    상기 리벳부의 저부에서 통공으로 관통되도록 일단에 회동축이 다단으로 형성되고, 타단을 향하여 소정길이로 아암이 형성되고, 이 아암의 타단에 스트로가 파지되도록 파지부가 형성되어 뚜껑부의 저면으로 가압밀착되는 작동레버와;
    상기 리벳부와 결합되는 작동링의 회동와셔가 리벳부를 중심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작동레버가 회동될 수 있도록 작동레버를 회동와셔에 결합시키기 위한 작동레버의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가 내장된 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의 결합수단은,
    상기 리벳부의 상부 선단연부를 소정의 열원과 함께 수직하향으로 프레싱하여 상부의 선단연부 조직 일부가 일시적으로 용융되면서 회동와셔에 용접되도록 한 후, 상기 통공으로 돌출되는 회동축을 소정의 열원과 함께 수직하향으로 프레싱하여 회동축의 상부가 일시적으로 용융됨과 동시에 리벳부를 덮으면서 회동와셔에 용접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가 내장된 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의 결합수단은,
    상기 통공으로 돌출되는 회동축을 소정의 열원과 함께 수직하향으로 프레싱하여 회동축의 상부를 일시적으로 용융시켜 리벳부를 덮으면서 회동와셔에 용접되도록 함과 동시에 리벳부의 상부 선단연부의 조직이 일시적으로 일부 용융되면서 회동와셔에 용접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가 내장된 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의 결합수단은,
    상기 리벳부의 통공 하부에 배치되는 회동축 하단의 고정부에 리벳부의 삽입홈보다 비교적 큰 직경의 곡률를 갖는 구배부를 형성하고 통공으로 돌출되는 회동축을 상향으로 인출시켜 구배부가 리벳부의 삽입홈에 강제압입되도록 한 후, 회동축의 상단을 소정의 열원과 함께 수직하향으로 프레싱하여 회동축의 상부가 일시적으로 용융되어 리벳부를 덮으면서 회동와셔에 용접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가 내장된 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의 결합수단은,
    상기 리벳부 상부의 선단연부를 소정의 열원과 함께 수직하향으로 프레싱하여 선단연부를 일시적으로 일부 용융시켜 회동와셔와 용접시키고, 삽입공이 형성되고 리벳부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너비를 갖는 연결와셔를 통공으로 돌출되는 회동축에 삽입하여 삽입공을 회동축에 용접시키며, 연결와셔의 외주연부와 접하는 회동와셔의 소정영역을 연계하여 용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가 내장된 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의 결합수단은,
    상기 리벳부의 외경면 소정위치와 삽입홈에 삽입된 회동축 하단부의 외경면 소정위치를 연계하여 용접시켜 용접부를 형성시키되, 용접부의 리벳부 외경면에는 소정크기의 절개선을 연계형성하고, 삽입공이 형성되고 리벳부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너비를 갖는 연결와셔를 통공으로 돌출되는 회동축에 삽입하여 삽입공을 회동축에 용접시키며, 연결와셔의 외주연부와 접하는 회동와셔의 소정영역을 연계하여 용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가 내장된 캔.
KR10-2003-0031755A 2003-05-20 2003-05-20 스트로가 내장된 캔 KR100525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755A KR100525963B1 (ko) 2003-05-20 2003-05-20 스트로가 내장된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755A KR100525963B1 (ko) 2003-05-20 2003-05-20 스트로가 내장된 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691A KR20040099691A (ko) 2004-12-02
KR100525963B1 true KR100525963B1 (ko) 2005-11-08

Family

ID=37377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755A KR100525963B1 (ko) 2003-05-20 2003-05-20 스트로가 내장된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9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5882A1 (ko) * 2016-04-05 2017-10-12 박해엽 빨대 및 이를 이용한 캔용기
WO2017175881A1 (ko) * 2016-04-05 2017-10-12 박해엽 빨대 및 이를 이용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691A (ko)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26024B1 (en) A cup with integral closure flaps
PT849187E (pt) Tampa descartavel com cupula
WO2008023983A1 (en) Sealing element for a drinks can, and drinks can provided with such a sealing element
KR100525963B1 (ko) 스트로가 내장된 캔
JPH09301364A (ja) 液体収容缶の開口装置
US6250491B1 (en) Side openable can
US20030189045A1 (en) Can opening device
US7051896B2 (en) Opening assembly
AU2002225199A1 (en) Opening assembly
JP2009249035A (ja) 容器蓋のキャップオープナー
JP4580049B2 (ja) シール用フィルム付ヒンジキャップ
AU9825598A (en) Lid for beverage container
JPH0528193Y2 (ko)
JP2004043007A (ja) 缶蓋
JPH0472149A (ja) ストロー内蔵液体飲料容器
WO2010109341A1 (en) Rotatable can cover having two openings
WO2002014167A1 (en) Can top opening assembly
JPH0744604Y2 (ja) ストロ−付きの飲料用容器
KR0132631Y1 (ko) 캔용기
KR100525964B1 (ko) 스트로가 내장된 캔
WO2001096190A1 (en) Can with sanitary lid-on
KR100337432B1 (ko)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
JP2002087497A (ja) プルトップ缶用オープナー
KR200182113Y1 (ko) 빨대를 내장한 캔의 구조
JP2003034351A (ja) 飲料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