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803Y1 - 맥주용 캔 개봉장치 - Google Patents

맥주용 캔 개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803Y1
KR200280803Y1 KR2020020010144U KR20020010144U KR200280803Y1 KR 200280803 Y1 KR200280803 Y1 KR 200280803Y1 KR 2020020010144 U KR2020020010144 U KR 2020020010144U KR 20020010144 U KR20020010144 U KR 20020010144U KR 200280803 Y1 KR200280803 Y1 KR 2002808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ressing
contents
gripping
open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보연
Original Assignee
황보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보연 filed Critical 황보연
Priority to KR2020020010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803Y1/ko
Priority to PCT/KR2002/001069 priority patent/WO2003084824A1/en
Priority to US10/179,898 priority patent/US2003018904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8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8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4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and push-down tea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74Local recess in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79Local recess in container end panel located beneath tab hand grip to facilitate initial lif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91Means for venting upon initial opening
    • B65D2517/0094Means for venting upon initial opening formed as a separat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캔 개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내용물을 담고 있으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캔의 상면에 구현되는 개봉장치로써: 캔의 원형 상면(110)에서 양측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절개라인(122a,124a)에 의하여 성형되는 제1개봉부분(122) 및 제2개봉부분(124)과; 상면(110)의 외측에 위치하고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파지부(142)와, 상면의 내측에 위치하고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보강부(144), 그리고 상기 보강부와 파지부가 연결되는 양측단부에서 상기 개봉부분(122,124) 측으로 연장 성형되어 상기 개봉부분을 눌러서 개봉하기 위한 가압부(146,148)를 포함하는 개봉부재(140); 그리고 상기 파지부와 보강부가 연결되는 양측단부의 중심에서 상기 가압부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면과 개봉부재를 고정하도록 연결하는 한쌍의 지지축(Hn,Hm)을 포함하고; 내용물이 유출되는 제1개봉부분(122)은 제2개봉부분(124)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146)는 제1개봉부분(122)의 중심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1개봉부분(122)은 상면(110)의 하부 반지름의 중심 이상에 위치한다.

Description

맥주용 캔 개봉장치{Opening device for can containing beer}
본 고안은 음료용 캔의 개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캔의 내부에 내장된 음료수가 보다 쉽게 외부로 흘러나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캔의 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캔의 개봉부분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같이, 캔몸체(10)의 내부에는 음용하는 음료수 또는 맥주 등이 내용물이 일반적으로 들어있고, 상면(12) 또는 하면에는 캔을 개봉하기 위한 개봉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캔몸체(10)의 상면을 개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 지렛대축(24)을 통하여 상면(12)에 부착되어 있는 개봉부재(20)이다. 그리고 상기 개봉부재(20)는 지렛대축(24)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연장된 파지부(22)와, 그 반대측으로 연장된 가압부(26)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26)의 하부에 해당하는 상면(12)에는, 일정한 깊이로 홈이 성형된 절개라인(28)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봉부분(29)이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22)를 상부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재봉부재(20)는 지렛대축(24)을 중심으로 하여, 그 반대편에 있는 가압부(26)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가압부(26)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개봉부분(29)이 상부에서 하방을 향하는 힘을 받게 되는데, 이 때 상기 개봉부분(29)은 절개라인(28)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면(12)에서 분리되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캔몸체(10)는 상기 개봉부분(29)이 열리게 되어, 내부의 음료수가 밖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개라인(28)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봉부분(29)은, 일부가 캔의 상면(12)과 붙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26)에 의하여 개봉부분(29)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캔이 열릴 때, 상기 개봉부분(29)은 캔의 상면(12)에 일부가 붙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도 공지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캔몸체(10)의 내부에서 음료수가 흘러나오면, 이와 반대로 외부의 공기가 캔몸체(10)의 내부로 들어가야 보다 원활한 음료수의 배출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종래의 캔의 구조에 의하면 개봉부분(29)이 하나 밖에 성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와 같이 외부공기가 들어감과 동시에 음료수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내용물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개봉초기 캔에서 일정한 양의 음료수가 흘러나오기 전까지(즉 캔 자체가 일정한 경사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짐으로써, 개봉부분의 상부로는 공기가 유입되고 하부로는 음료수가 배출되기까지)의 초기단계에 있어서 음료수의 배출이 매우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개봉부재(20)의 파지부(22)의 전체적인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상기 파지부(22)를 상부로 잡아당기는 부분에 있어서도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파지부(22)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손가락이 굵은 사람들은 그것을 잡기 힘들뿐만 아니라, 캔의 개봉에 필요한 힘 이상으로 잡아당기는 것이 힘들게 된다. 그리고 손가락의 힘이 약한 어린이 및 노약자, 그리고 여성들에게 있어서는, 상기 파지부(22)를 잡고 당기는 것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캔 개봉장치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98-55776호 및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55-69029호로 제안된 바 있다. 도 2를 참조하면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캔 개봉장치는, 캔의 상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개봉부분(32,3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개봉부분(32,34)은 금형에 의하여 제조될때 캔의 상면을 보다 얇게 처리한 절단라인에 의하여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개봉부분(32,34)은, 실질적으로 캔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내릴 수 있는 제1개봉부분(32)과, 외부에서 캔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제2개봉부분(3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개봉장치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기 위한 파지부(30)와, 상기 파지부의 양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개봉부분(32,34)을 가압하여 열기 위한 한쌍의 가압부(36a,36b)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30)를 상부로 잡아당기게 되면, 축(Ha,Hb)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압부(36a,36b)가 개봉부분(32,34)을 하방으로 눌러서, 상기 개봉부분(32,34)이 캔의 상면과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을 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두개의 개봉부분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내용물이 보다 쉽게 외부로 흘러나오도록 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개봉부분을 한쌍으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특히 탄산음료 또는 맥주와 같이 거품이 발생하는 내용물이 내장된 캔의 경우에는 특히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개봉부분(36a,36b)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몇가지 고려하지 않으면 안되는 사항이 있다.
두개의 개봉부분을 캔의 상면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먼저 파지부(30)의 강도를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종래의 한개의 개봉부분을 눌러서 따는 경우와는 달리, 하나의 파지부(30)를 이용하여 두개의 개봉부분(36a,36b)을 따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기 파지부(30) 및 가압부(36a,36b)의 강도가 충분히 고려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캔 및 파지부가 동일 재질로 성형되는 점을 고려하면, 두개의 개봉부분을 동시에 딸 수 있도록 강도를 보강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은 것이다.
그리고 두번째로, 두개의 개봉부분 중의 하나는 내용물이 외측으로 흘러나오는 부분이고, 다른 하나는 외부의 공기가 캔의 내부로 들어가는 부분이다. 여기서 외부의 공기가 캔의 내부로 들어가는 제2개봉부분(36b)은, 그 크기가 적절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만일 공기가 들어가는 개봉부분의 크기가 너무 크면 내용물이 두개의 개봉부분을 통하여 동시에 흘러내릴 우려가 있고, 이와 동시에 개봉부분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파지부(30)를 잡아당길 때, 가압부(36b)에 의하여 제2개봉부분(36b)을 따기 어렵다는 문제점으로 남게 된다.
그리고 세번째로, 개봉부분(30)을 따기 위하여, 캔의 상면에 장착되는 파지부(30)의 크기를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상기 파지부(30)의 크기가 너무 크게 되면, 캔의 내용물을 음용하는 사용자의 입에 접촉하게 되어, 내용물의 음용시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종래 기술은, 상기와 같은 조건을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어서, 실질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렵고,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내용물이 아주 원활하게 외부로 흘러나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캔의 개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한쌍의 개봉부분을 정확하게 딸 수 있음과 동시에,내용물이 일측의 개봉부분만을 통하여 원활하게 흘러나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캔의 개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캔의 상면에 부착되는 개봉장치가, 음용시 사용자의 입술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음용시의 불쾌감을 없앨 수 있도록 구성되는 캔의 개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캔 개봉장치의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캔 개봉장치의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캔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캔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캔 110 ..... 상면
122 ..... 제1개봉부분 124 ..... 제2개봉부분
140 .... 개봉부재 142 ..... 파지부
144 ..... 보강부 146, 148 ..... 가압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내용물을 담고 있으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캔의 상면에 구현되는 개봉장치로써: 캔의 원형 상면에서 양측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절개라인에 의하여 성형되는 제1개봉부분 및 제2개봉부분과; 상면의 외측에 위치하고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파지부와, 상면의 내측에 위치하고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보강부, 그리고 상기 보강부와 파지부가 연결되는 양측단부에서 상기 개봉부분 측으로 연장 성형되어 상기 개봉부분을 눌러서 개봉하기 위한 가압부를 포함하는 개봉부재; 그리고 상기 파지부와 보강부가 연결되는 양측단부의 중심에서 상기 가압부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면과 개봉부재를 고정하도록 연결하는 한쌍의 지지축을 포함하고; 내용물이 유출되는 제1개봉부분은 제2개봉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제1개봉부분의 중심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1개봉부분은 상면의 하부 반지름의 중심 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개봉부분은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부분이고, 제2개봉부분은 내용물이 흘러나올 때 외기가 캔 내부로 들어가는 부분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제2개봉부분은,5mm 내지 12mm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파지부의 하부에는, 상면에서 오목하게 들어간 파지용 오목부분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캔 개봉장치가 적용된 캔의 전체적인 사시도로서 개봉부분이 개봉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캔 개봉장치가 적용된 캔의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캔 개봉장치는, 캔(100)의 상면(110)에 형성되는 한쌍의 개봉부분(122,12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개봉부분(122,124)은, 캔 내부의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제1개봉부분(122)과, 상기 제2개봉부분(124)에서 내용물이 흘러나올 때 외부의 공기가 캔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제2개봉부분(124)으로 구성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개봉부분(122)은 제2개봉부분(124)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성형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개봉부분(122)과 제2개봉부분(124)은, 실질적으로 원형인 캔의 상면에서 서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성형되어 있다. 즉 상기 한쌍의 개봉부분(122,124)의 중심부분은, 원형인 상면(110)의 지름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면부호 Cp는, 세로방향의 중심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개봉부분(122,124)은 이러한 중심선과 거의 일치하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1개봉부분(122) 및 제2개봉부분(124)은, 캔의 상면(110)에 절개라인(122a,124a)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성형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절개라인(122a,124a)는 원형의 개봉부분 전체에 형성되는 것은 아니고, 가압부분(146,148)의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일부분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구성은, 실질적으로 상기 개봉부분(122,124)이 상면(110)에서 절개되어 캔이 개봉되는 경우 개봉부분(122,124)이 캔의 상면(110)에 일부분 붙어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개봉부분(122) 및 제2개봉부분(124)은 대략적으로 원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이와 같이 개봉부분(122,124)을 원형으로 형성하게 되면, 후술하는 가압부(146)에 의하여 가압될 때, 최소한의 힘으로 개봉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그러나 상기 개봉부분(122,124)은, 이와 같은 원형으로 성형하는 것으로 본 고안이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고, 현재 적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 제2개봉부분(124)은, 제1개봉부분(122)이 개봉된 상태에서 캔 내부의 내용물이 흘러나올 때,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제1개봉부분(122)에서 내용물이 흘러나올 때, 상기 제2개봉부분(124)에서 같이 내용물이 흘러나와서는 안되기 때문에, 그 크기가 너무 크면 안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개봉부분(124)을 너무 작게 성형하게 되면, 가압부(148)에 의하여 가압되어도 잘 개봉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규격화되어 있는 맥주용 캔을 기준으로 여러 번의 실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규격화되어 있는 맥주캔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2개봉부분(124)의 직경이 4mm 이하로 성형되면 가압부(148)에 의하여 쉽게 개봉되지 않게 되고, 그 직경이 12mm를 초과하게 되면 내용물이 흘러내릴 우려가 있음을 알았다.
즉, 상기 제2개봉부분(124)의 직경이 12mm를 초과할 경우, 캔을 급격하게 기울리게 되면, 맥주와 같은 내용물이 제1개봉부분(122)에서 흘러나옴과 같이 비록 소량이지만 상기 제2개봉부분(124)을 통하여 흘러나올 우려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규격화되어 있는 맥주캔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2개봉부분은 그 직경이 5mm 이상 12mm 이하의 범위를 가지도록 성형하는 것이, 개봉의 용이성 및 내용물 유출을 방지하기에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 제2개봉부분(124)의 크기가 클수록 외기가 캔 내부로 쉽게 유입되는 점을 감안하면 6 ~ 9mm 정도가 가장 바람직한 조건임을 실험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캔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제1개봉부분(122)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것과 같이 20~30mm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범위 내에서, 그 규격에 대해서는 얼마든지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개봉부분(122)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고려되어야 한다. 캔내부의 내용물이 외측으로 흘러나오는 제1개봉부분(122)은 사용자의 입술이 접촉하게 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용자의 입술이, 제1개봉부분(122)의 가압부(146)를 포함하는 개봉부재(140)에 접촉하게 되면, 내용물의 음용시 불쾌감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음료수를 흘리기 쉽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술이 상기개봉부재(140)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들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먼저 상기 제1개봉부분(122)을 눌러서 따기 위한 가압부(146)가, 가능하면 상기 제1개봉부분(122)의 상부측[제2개봉부분(124) 방향]에 위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146)는 제1개봉부분(122)의 상부측(중간 이상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압부(146)를, 제1개봉부분(122)의 가로방향의 지름 상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음용시 사용자의 입술에 상기 개봉부재(140)가 접촉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도 설명하겠지만, 상기 가압부(146)를 가지는 개봉부재(140)를 원호형으로 성형하고 있어서, 실질적으로 그 하부의 가압부(146)는 상부에서 하방으로 향하되 일정한 경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가압부(146)가 음용자의 입술에 접촉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제1개봉부분(122) 자체를, 캔의 상면(110)의 하부 반지름(SC)의 중심부분 이상의 위치에 성형하고 있다. 즉, 음용자가 상기 제1개봉부분(122)에 입술이 접촉할 때, 캔 상면의 하단부(110a)에서 상부로 가능하면 이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개봉부분(122) 자체를 가능하면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계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개봉부분(122)의 가압부(146)를 제1개봉부분(122)의 중심 이상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계하고 있음과 동시에, 제1개봉부분(122) 자체의 위치를 하부반지름(SC)의 중간 이상의 위치에 설계함으로써, 캔 내용물의 음용시 사용자의 입술이 개봉부재(140)와 접촉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 한쌍의 개봉부분(122,124)을 따기 위한 개봉부재(14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봉부분(122,124)을 따기 위한 개봉부재(140)는, 사용자의 음용시 입술 부분에 닿지 않아야 하는 제1조건과, 한쌍의 개봉부분(122,124)을 동시에 따기 위해서 사용자가 파지부(142)를 당길 때 가해지는 힘이 한쌍의 개봉부분(122,124)으로 동시에 전달할 수 있는 강도를 가져야 하는 제2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설계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에는 개봉부재(140)가 가져야 하는 강도조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개봉부재(14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하부를 잡고 상부로 당기기 위한 파지부(142)와, 상기 파지부(142)의 내측부분에 형성되는 보강부(144), 그리고 상기 파지부(142) 및 보강부(144)의 양측단부에 형성되는 가압부(146,1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142)와 보강부(144) 사이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재료비의 절감을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142)와 보강부(144)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142)와 보강부(144)가 만나는 양측 단부에는, 개봉부분(122,124)을 상부에서 하방으로 누르기 위한 가압부(146,14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146,148)는, 한개의 파지부(142)를 상방으로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그 하측에 있는 한쌍의개봉부분(122,124)을 동시에 하방으로 눌러서 개봉부분(122,124)이 따지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146,148)의 약간의 후방에는 지지축(Hn,Hm)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축(Hn,Hm)은 상기 개봉부재(140)와 캔의 상면(110)을 동시에 잡고 있는 것으로, 캔의 개봉시 지렛대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개봉부재(140)는, 전체적으로 원호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손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파지부(142)와, 상기 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면(110)의 중심측에 위치하는 보강부(144)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142)와 보강부(144)는 실질적으로 재료(알미늄)의 두께를 좀더 두껍게 하거나 컬링시킨 부분으로 충분한 지지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142)를 상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지 지지축(Hn,Hm)을 중심으로 하여 파지부(142) 및 보강부(144)가 동시에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면서, 양측에 위치하고 있는 가압부(146,148)가 개봉부분(122,124)을 하방으로 누르게 된다. 따라서 절개라인(122a,124a)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봉부분(122,124)은, 가압부(146,148)에 의하여 가압되는 가장 가까운 부분의 절개라인을 시작으로 상면(110)에서 절개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142)가 완전하게 상부로 들리게 되면, 상기 개봉부분(122,124)은 절개라인이 형성되지 않은 일부만이 상면(110)과 연결된 상태이고, 그 나머지 부분은 상면(110)에서 완전히 떨어져서 캔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파지부(142) 및 보강부(144)를 원호형으로 일체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파지부(142)에서의 힘을 가장 유효하게 개봉부분(122,124)으로전달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체적으로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파지부(142) 및 보강부(144)는, 일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지 않기 때문에 비틀림 모멘트 및 응력의 집중에 의한 파단 또는 손상이 발생하지 않고, 가압부(146,148)가 개봉부분(122,124)을 정확하게 가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142)와 보강부(144)의 양측단부에 가압부(146,148)를 형성하는 것은 강도 유지의 측면에서 아주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보강부(144)를 형성하지 않고, 파지부(142) 만으로 상기 개봉부분(122,124)을 눌러서 따는 경우에는, 상기 파지부(142)와 가압부(146,148) 사이의 목부분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42)와 보강부(144)를 원호형으로 일체로 형성하고, 가압부(146,148)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146,148)의 바로 외측에는 지지축(Hn,Hm)이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축(Hn,Hm)은 실질적으로 파지부(142)와 보강부(144)의 양측단부의 중심부분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파지부(142)의 상방 이동시 가압부(146,148)가 안정적으로 하방의 개봉부분(122,124)을 누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142)의 하면에 해당하는 캔의 상면(110)에는 하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분(1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분(150)은,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142)를 잡을 때, 손가락으로 파지부(142)를 쉽게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캔의 상면(110)에서 하방으로 오목하게 성형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파지부(142)를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보면, 실질적으로 본 고안의 파지부(142)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크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캔 개봉장치를 장착한 캔을 딸 때, 본 고안의 파지부(142)는 한개의 손가락 또는 두개의 손가락으로 쉽게 잡아당길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캔의 상면(110)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개봉부분(122,124) 및 개봉부재(140)를 내측에 포함되도록 하는 또 하나의 오목부분(16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목부분(160)은 본 고안에 의한 캔의 상면 부분의 적재를 위하여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음료용 또는 맥주용으로 제공되는 캔은, 상면이 개방된 몸체부분과, 상면부분이 별도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면(110)을 포함하는 상면부분에서, 상기와 같은 개봉부재(140)는 상면(110)에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여러 개의 캔을 적재할 때 부피가 커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개봉부재(140)를 내부에 두고 있는 오목부분(160)을 형성함으로써, 상면부분의 적재시, 동일한 부피 내에서 보다 많은 상면부분을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본 고안에 의한 기술은, 맥주용 캔의 개봉장치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맥주를 내용물으로 하는 캔에 한정될 수 없음은 자명한 사실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렌지 입자 또는 포도 입자 등과 같이 소정의 입자를 내장하는 음료수용 캔으로도 적용 가능함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의 캔 개봉장치에 의하면, 내용물이 유출되는 제1개봉부분(122)과, 내용물의 유출과 동시에 외기가 캔의 내부로 들어가는 제2개봉부분(124)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개봉부분(122)으로 내용물 유출과 동시에 제2개봉부분(124)으로 외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아주 원활하게 내용물이 캔에서 나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은, 특히 맥주 또는 탄산음료 등의 유출시 아주 유용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한쌍의 개봉부분(122,124)을 따기 위한 개봉부재(140)가 원호형의 파지부와 보강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힘이 개봉부분(122,124)에 원활하게 전달되어, 한쌍의 개봉부를 가장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게 되는 편리함이 기대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개봉부분(122,124)은 사용자가 두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편리한 개봉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외기가 유입되는 제2개봉부분에 대한 최적설계를 통하여,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음과 동시에 최적의 개봉 용이성을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개방부재(140)의 최적설계를 통하여, 내용물의 음용시 입술에 불쾌감을 발생시키지 않고 음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편리함이 기대된다.

Claims (4)

  1. 내용물을 담고 있으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캔의 상면에 구현되는 개봉장치로써:
    캔의 원형 상면(110)에서 양측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절개라인(122a,124a)에 의하여 성형되는 제1개봉부분(122) 및 제2개봉부분(124)과;
    상면(110)의 외측에 위치하고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파지부(142)와, 상면의 내측에 위치하고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보강부(144), 그리고 상기 보강부와 파지부가 연결되는 양측단부에서 상기 개봉부분(122,124) 측으로 연장 성형되어 상기 개봉부분을 눌러서 개봉하기 위한 가압부(146,148)를 포함하는 개봉부재(140); 그리고
    상기 파지부와 보강부가 연결되는 양측단부의 중심에서 상기 가압부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면과 개봉부재를 고정하도록 연결하는 한쌍의 지지축(Hn,Hm)을 포함하고;
    내용물이 유출되는 제1개봉부분(122)은 제2개봉부분(124)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146)는 제1개봉부분(122)의 중심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1개봉부분(122)은 상면(110)의 하부 반지름의 중심 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캔 개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봉부분(124)은, 5mm 내지 12mm의 직경을 가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캔 개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하부에는, 상면(110)에서 오목하게 들어간 파지용 오목부분(140)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개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부재는 중심부분이 비어있는 원호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개봉장치.
KR2020020010144U 2002-04-04 2002-04-04 맥주용 캔 개봉장치 KR2002808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144U KR200280803Y1 (ko) 2002-04-04 2002-04-04 맥주용 캔 개봉장치
PCT/KR2002/001069 WO2003084824A1 (en) 2002-04-04 2002-06-05 Can opening device
US10/179,898 US20030189045A1 (en) 2002-04-04 2002-06-26 Can open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144U KR200280803Y1 (ko) 2002-04-04 2002-04-04 맥주용 캔 개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803Y1 true KR200280803Y1 (ko) 2002-07-06

Family

ID=28786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144U KR200280803Y1 (ko) 2002-04-04 2002-04-04 맥주용 캔 개봉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30189045A1 (ko)
KR (1) KR200280803Y1 (ko)
WO (1) WO20030848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622B1 (en) * 2002-10-18 2003-06-18 Bo Yeoun Hwang Can opening apparatus
US20050077316A1 (en) * 2003-10-08 2005-04-14 Roberts Thomas C. Multiple-opening container and method
US8261929B2 (en) 2004-10-07 2012-09-11 Roberts Thomas C Multiple-opening container and method
US8245866B2 (en) 2005-08-25 2012-08-21 Daniel Robert Gibson Container
NL2000193C2 (nl) * 2006-08-23 2008-02-26 4Sight Innovation Bv Afsluitelement voor een drankblikje en drankblikje voorzien van een dergelijk afsluitelement.
US20100018976A1 (en) * 2008-07-25 2010-01-28 Christian Allen B Liquid dispenser with relief valve opening to provide uniform drainage
US8397935B2 (en) * 2009-09-10 2013-03-19 Arthur Joseph Emanuele, III Vent opening mechanism
EP2612821A1 (en) * 2012-01-03 2013-07-10 Anheuser-Busch InBev S.A. Can comprising a first, dispense opening and second, vent opening
US9156585B2 (en) 2012-04-04 2015-10-13 Anheuser-Busch Inbev S.A. Double opening beverage can lid system
US8783496B2 (en) 2012-04-04 2014-07-22 Anheuser-Busch InBev, SA Double-opening can lid
US20160052666A1 (en) * 2012-08-20 2016-02-25 Neil Buller Method and apparatus that facilitates creating multiple openings on a can top via a common device
US9884701B2 (en) * 2014-06-23 2018-02-06 Rexam Beverage Can Company Ecology can end with pressure equalization por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2462A (en) * 1981-05-12 1983-02-08 American Can Company Retained ring tab
JPS59112727U (ja) * 1983-01-18 1984-07-30 斉藤 安弘 くぼみ付缶
KR200233702Y1 (ko) * 2001-03-27 2001-10-18 황보연 캔 개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84824A1 (en) 2003-10-16
US20030189045A1 (en) 2003-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0803Y1 (ko) 맥주용 캔 개봉장치
US7513383B2 (en) Opening device for can
KR200233702Y1 (ko) 캔 개봉장치
US20100219186A1 (en) Plastic cap having a pouring protrusion
US20080110849A1 (en) Bottle and cap with anti-glug feature
WO2008023983A1 (en) Sealing element for a drinks can, and drinks can provided with such a sealing element
US3084835A (en) Container covers with pouring spouts
JP4314945B2 (ja) 容器
WO2004026706A3 (en) Cap arrangement for a bottle
GB2365417A (en) Corkscrew
US20090101660A1 (en) Plastic beverage container
US20230091933A1 (en) Bottle lid and water bottle
US7516870B2 (en) Apparatus for closing a container
KR200282106Y1 (ko) 캔 개봉장치
KR200304548Y1 (ko) 캔 개봉장치
KR100337432B1 (ko)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
KR200237786Y1 (ko)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
KR20040018627A (ko) 캔 개봉장치
KR200201763Y1 (ko) 음료캔 음용구조
CN214631475U (zh) 一种带提手多方式喝水的杯盖
CN214777811U (zh) 夹管式饮料杯盖
CN211688187U (zh) 开瓶辅助器
JP3147042U (ja) 飲み口
KR200348612Y1 (ko) 개방이 용이한 따개구조를 가지는 음료용 캔
KR200292087Y1 (ko) 맥주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