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612Y1 - 개방이 용이한 따개구조를 가지는 음료용 캔 - Google Patents

개방이 용이한 따개구조를 가지는 음료용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612Y1
KR200348612Y1 KR20-2003-0033142U KR20030033142U KR200348612Y1 KR 200348612 Y1 KR200348612 Y1 KR 200348612Y1 KR 20030033142 U KR20030033142 U KR 20030033142U KR 200348612 Y1 KR200348612 Y1 KR 200348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er
outlet
force
hand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석
Original Assignee
김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석 filed Critical 김재석
Priority to KR20-2003-0033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6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6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16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1/165Cylindrical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맥주와 쥬스 등 음료용 캔에 있어서 보다 개방이 용이한 따개구조를 가지는 음료용 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유통되고 있는 맥주용 캔이나 쥬스용 등의 음료용 캔들은 그 따개구조가 캔상부에 위치한 따개손잡이의 반대쪽 가압부가 배출구의 중앙부위를 누르는 힘에 의해 열리게 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캔의 배출구를 누르는 힘이 분산되어 개방시에 많은 힘이 소요되는 한편, 배출구가 열리는 시점에는 과도한 힘의 순간적인 소멸로 인하여 캔의 위치가 불안정해지는 결과를 초래하고 심한 경우에는 캔속의 내용물이 캔을 개방하는 사람의 의도와 달리 캔밖으로 쏟아져 주변을 오염시키기도 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캔따개 가압부 아랫면의 안쪽(배출구의 리벳인접지점)에 끝이 뾰족한 원추형의 돌기를 형성하여 돌기를 통하여 힘을 집중시키고, 리벳과 가까운 지점의 손잡이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캔따개의 손잡이부를 쉽게 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첫째, 캔의 개방시 캔따개의 절개부와 가압부의 돌기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힘을 집중시켜 작은 힘으로도 손쉽게 배출구를 열 수 있고,
둘째, 개방시 소요되는 과도한 힘의 급작스런 소멸로 캔의 균형을 잃어 캔속의 내용물이 밖으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셋째, 손가락에 과도한 힘을 사용함으로 인한 손톱이 부러지는 등의 손가락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개방이 용이한 따개구조를 가지는 음료용 캔{omitted}
생활수준의 향상과 사회구조가 복잡해지면서 맥주와 쥬스 등 알루미늄 및 철제 캔을 이용한 각종 음료의 소비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현재 유통되고 있는 맥주용 캔이나 음료용 캔들은 캔의 상부면 위에 위치하고 리벳에 의해 지지되는 캔따개의 손잡이부를 들어올리면, 가압부에 의해 배출구의 중심부위가 눌러지고 이에 따라 배출구가 개방되어 캔속의내용물을 음용하게 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캔따개의 구조는 배출구를 개방하기 위한 힘이 배출구의 중앙부위에 가하여짐으로 인하여 배출구의 개방에 많은 힘이 소요됨은 물론 캔따개의 손잡이부를 들어올리기가 어려우며, 심한 경우 그로 인하여 손톱에 금이 가거나 손톱이 부러지는 등의 불편이 있다.
또한 배출구가 개방되는 시점에 있어서는 개방에 소요되는 과도한 힘의 급작스런 소멸로 캔이 균형을 잃게되어 심한 경우에는 캔속의 내용물이 유출되어 손과 주변을 오염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캔따개의 가압부에 원추형 형태의 돌기를 형성하고, 리벳부근의 캔따개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첫째, 캔따개의 손잡이부를 절개부를 이용하여 쉽게 상방으로 들어올림으로써, 개방시 힘을 가하는 손잡이부의 각도를 변화시켜 효율적으로 가압부에 힘을 전달하고,
둘째, 원추형의 가압부를 통하여 리벳과 가까운 부분의 배출구의 특정지점에 집중시켜 작은 힘으로 배출구를 개방하며,
셋째, 손톱 및 손가락의 부상을 예방하고,
넷째, 보다 캔을 안정감있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캔의 개방시 캔속 내용물의 뜻하지 않은 유출로 인한 주변의 오염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를 도모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맥주용 캔이나 음료용 캔들은 캔의 상부면에 평행하게 장착된 캔따개의 손잡이를 들어올리면 리벳에 의해 지지되는 캔따개의 가압부를 통하여 배출구의 중심부위가 눌러지고 이에 따라 배출구가 개방되어 캔속의 내용물을 음용하게 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캔따개의 구조는 캔따개의 손잡이를 들어올리기가 어렵고, 배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한 힘이 배출구의 중앙부위에 먼저 가하여지고, 가해진 힘이 분산되어 스코어라인까지 도달됨으로 인하여 개방에 많은 힘이 소요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손톱이 부러지거나 손가락을 다치는 등의 불편은 물론 배출구가 개방되는 시점에는 캔이 균형을 잃게되어 심한 경우에는 캔속의 내용물이 유출되어 캔의 주변을 오염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캔따개의 손잡이부분을 눌러 손잡이의 끝부분이 돌출되도록 구성된 "푸쉬캔"이라는 명칭의 고안도 현재 상용화되고 있으나, 이는 먼저 손잡이부분을 누른 다음 손잡이부분을 다시 들어올려 힘을 가하여야 하고, 또한 돌출되는 손잡이부분의 높이가 낮아 많은 힘을 가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캔따개의 가압부에 원추형 형태의 돌기를 형성하여, 캔의 배출구의 개방시 작용하는 힘을 좁은 지점에 집중시켜 작은 힘으로 배출구를 개방하고, 또한 리벳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캔따개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그 절개부를 이용, 캔따개의 손잡이부분을 쉽게 상방으로 들어올리고, 손잡이부분의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배출구에 힘을가하여 캔을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
도 1 은 일반적인 원기둥형태의 음료용 캔을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캔따개 장착전의 음료용 캔 상부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2-1 은 일반적인 음료용 캔의 배출구에 가해진 힘이 분산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캔따개가 장착된 음료용 캔을 도시한 평면도
도 4 는 일반적인 캔의 따개부분의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원추형의 가압부가 형성된 캔의 따개부분의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인 원추형의 가압부와 절개부가 형성된 따개부분의 단면도
도 6-1 은 도 6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따개부분의 단면도
도 6-2 는 도 5의 원추형 가압부와 절개부의 위치가 표시된 평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캔 상단의 시이밍 부
(11) - 캔의 상부면
(11-1) - 캔의 상부와 배출구와의 연결부
(20) - 캔따개의 손잡이부
(20') - 1차작동후 캔따개의 손잡이부
(21) - 캔따개의 가압부
(21') - 캔따개의 원추형 가압부
(30) - 캔의 배출구
(40) - 캔따개를 지지하는 리벳
(A) - 캔따개의 절개부
(a) - 절개부의 하단 폭
(b) - 절개부의 각도
(c) - 절개부의 깊이
(d) - 원추형 가압부의 각도
(e) - 원추형 가압부의 높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원기둥형태의 음료용 캔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10)은 캔의 상단의 시이밍 부를, (11)은 캔의 상부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캔따개를 장착하기 전의 음료용 캔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10)은 캔 상단의 시이밍 부를, (11)은 캔의 상부면을, (11-1)은 캔의 상부와 배출구와의 연결부를, (30)은 캔의 배출구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캔따개를 장착하기 전의 음료용 캔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10)은 캔 상단의 시이밍 부를, (11)은 캔의 상부면을, (11-1)은 캔의 상부와 배출구와의 연결부를, (30)은 캔의 배출구를 각각 표시한 것으로, 배출구(30)내의 화살표들은 종래의 캔에 있어서의 캔의 개방시 배출구(30)를 개방시키는 힘이 분산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캔따개가 장착된 음료용 캔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10)은 캔 상단의 시이밍 부를, (11)은 캔의 상부면을, (20)은 캔따개의 손잡이부를, (21)은 캔따개의 가압부를, (30)은 캔의 배출구를, (40)은 캔따개를 지지하는 리벳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종래의 일반적인 캔의 따개부분의 단면도로서 (11)은 캔의 상부면을,(20)은 캔따개의 손잡이부를, (21)은 캔따개의 가압부를, (30)은 캔의 배출구를, (40)은 캔따개를 지지하는 리벳을 각각 나타낸 것으로, 캔따개의 손잡이부(20)를 들어올리면 캔따개의 가압부(21)가 배출구(30)를 눌러 캔이 개방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캔의 따개부분의 단면도로서 (11)은 캔의 상부면을, (20)은 캔따개의 손잡이부를, (21')은 원추형으로 형성된 본 고안의 캔따개의 가압부를, (d)는 원추각을,(e)는 원추형가압부의 높이를, (30)은 캔의 배출구를, (40)은 캔따개를 지지하는 리벳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원추형으로 형성한 캔따개의 가압부(21')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최소한 원추형 가압부(21')의 높이(e)만큼 종래의 가압부(21)와 캔의 상부(11)와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캔따개의 리벳(40)부분에서 가압부(21)방향으로 상향하도록 캔따개를 밴딩하고, 가압부(21)가 끝나는 지점에서 다시 상부면(11)에 평행하도록 밴딩처리를 하여야 하며, 운송상의 편의를 위하여 밴딩후의 캔따개의 높이가 시이밍부(10)보다 높지 않도록 원추형 가압부(21')의 높이를 약 5mm 이내로, 그리고 원추각(d)은 90도 이내로 하되 가능한 한 뽀족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출구(30)를 개방하는 힘을 적게 소요되게 하기 위하여 원추형 가압부(21')는 원추형 가압부(21')의 반경을 고려하여 가능한 한 리벳(40)과 가까운 배출구(30)의 변두리지점에 위치하게 하고, 캔의 상부면(11)에 닿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캔의 개방시에 있어서, 원추형으로 형성된 캔따개의 가압부(21')를통해 개방하는 힘을 한 곳에 집중시켜, 보다 용이하게 작은 힘으로도 캔을 개방할 수 있고, 또한 원추형의 가압부(21')와 접하는 배출구(30)부분이 먼저 개방되고, 순차로 캔의 상부와 배출구와의 연결부(11-1)의 반대쪽 방향(시계방향)으로 개방이 진행되어 연결부(11-1)까지 도달하게 됨으로써, 종래의 캔에 비해 작은 힘으로 배출구(30)를 개방함과 아울러 개방시의 안정성을 강화하는 효과도 도모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인 캔의 따개부분의 단면도로서 (11)은 캔의 상부면을, (20)은 캔따개의 손잡이부를, (A)는 캔따개의 손잡이부(20)를 쉽게 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캔따개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를, (a)는 절개부의 하단폭, (b)는 절개각도, (c)는 절개부의 깊이를, (21')은 원추형으로 형성된 캔따개의 가압부를, (d)는 원추각을, (30)은 캔의 배출구를, (40)은 캔따개를 지지하는 리벳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절개부(A)는 리벳(40)머리로부터 손잡이부(20)방향으로 6mm 이내에 시작되고, 캔따개를 구성하는 재질의 강도와 경도 및 캔따개 밑면의 폭과, 손잡이부(20)의 길이,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데에 소요되는 힘 등을 고려하여, 절개부(A) 밑면의 폭(a)을 3mm 이내, 각도(b)는 90도 이내. 깊이(c)는 캔따개밑면의 일부까지 확장될 수도 있는 것으로,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캔따개의 손잡이부(20)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설계함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보다 부드럽게 캔따개의 손잡이부(20)를 들어올리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캔의 상부면(11)과 접하는 캔따개의 밑면을 프레스로 가공처리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6-1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인 캔의 따개부분의 단면도인 도 6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11)은 캔의 상부면을, 점선의 캔따개 손잡이부(20)는 작동전의 위치를, 실선의 캔따개 손잡이부(20')는 1차작동후 캔따개의 손잡이부를, (A)는 캔따개의 손잡이부(20)를 쉽게 상방으로 올릴 수 있도록 캔따개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를, (21')은 원추형으로 형성한 캔따개의 가압부를, (30)은 캔의 배출구를, (40)은 캔따개를 지지하는 리벳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손잡이부(20)를 검지손가락으로 캔따개에 형성된 절개부(A)를 이용하여 캔따개 손잡이부(20)를 들어올린 다음, 들어올려진 캔따개 손잡이부(20')를 다시 검지손가락을 이용하여 배출구(30)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개방하는 힘이 캔따개의 원추형 가압부(21')에 전달되고, 원추형 가압부(21')의 구조에 따라 리벳(40)에 근접한 배출구의 특정지점에 힘이 집중되어 리벳(40)에 근접한 배출구가 먼저 개방되고, 순차로 연결부(11-1)의 반대방향(시계방향)으로 개방이 진행되며, 연결부(11-1)에 도달되면서 연결부(11-1)가 캔의 내부로 구부러지게 되고, 이로써 보다 적은 힘으로 용이하고, 안정성을 유지하며 캔의 개방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도 6-2는 도 6의 고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한 평면도로서 (10)은 캔 상단의 시이밍 부를, (11)은 캔의 상부면을, (20)은 캔따개의 손잡이부를, (A)는 캔따개의 손잡이부(20)를 쉽게 올릴 수 있도록 캔따개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시킨 절개부를, (21')은 원추형으로 형성한 캔따개의 가압부의 위치를, (30)은 캔의 배출구를, (40)은 캔따개를 지지하는 리벳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작에 있어서는, 절개부(A)를 형성하기 위하여 캔따개를 밴딩하기 이전에, 완성된 절개부(A)가 이루어지도록 사전에 시어링처리를 하고, 원추형 가압부(21')를 형성하기 위하여는 상부면(11)에 리벳(40)을 리벳팅하기 전에 프레스로 가공하는 방법이나 원추형가압부를 접착제 등으로 접착하는 방법, 또는 금형을 이용한 주조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기 알려진 다른 방법을 통하여도 어렵지 않게 제작 및 양산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검지손가락으로 캔따개에 형성된 절개부(A)를 이용하여 캔따개 손잡이부(20)를 들어올린 다음, 들어올려진 캔따개 손잡이부(20')를 다시 배출구(30)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개방하는 힘이 캔따개의 원추형 가압부(21')에 전달되고, 원추형 가압부(21')의 구조에 따라 리벳(40)에 근접한 위치의 배출구의 변두리에 힘이 집중되어 리벳(40)에 근접한 배출구부분이 먼저 개방되고, 순차로 연결부(11-1)의 반대방향(시계방향)으로 개방이 진행되며, 연결부(11-1)에 도달되면서 연결부(11-1)가 캔의 내부로 구부러지게 되고, 이로써 보다 적은 힘으로 용이하고, 안정성을 유지하며 캔을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음료용 캔의 따개구조를 전술한 바와 같이 원추형의 가압부(21')를 형성하고, 캔따개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A)를 이용함으로써,
첫째, 캔의 배출구(30)의 개방시 소요되는 힘을 리벳(40)과 가까운 배출구(30)의 특정지점에 집중시켜 작은 힘으로 배출구(30)를 개방하고,
둘째, 절개부(A)를 이용하여 캔따개의 손잡이부(20)를 쉽게 상방으로 올리고캔따개의 손잡이부(20)의 각도를 변화시켜 효과적으로 배출구(30)에 힘을 가할 수 있으며,
셋째, 손톱 및 손가락의 부상을 예방하고,
넷째, 배출구(30)의 리벳(40)과 가까운 지점부터 개방이 시작되고 순차로 진행됨으로써 보다 캔을 안정감있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캔의 개방시 캔속 내용물의 의도하지 않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캔의 상부면(11)에 위치하고 리벳(40)에 의해 지지되는 캔따개가 장착되는 통상의 음료용 캔에 있어서,
    캔의 개방시 힘의 집중을 위한 원추형의 가압부(21')가 형성될 수 있도록, 리벳(40)머리가 끝나는 지점에서부터 종래의 캔따개가압부(21)를 상향시키고,
    종래의 캔따개가압부(21)의 위치에 원추형의 가압부(21')를 형성시키며,
    원추형의 가압부(21')가 끝나는 지점에서부터는 캔의 상부면(11)과 평행하도록 밴딩처리된 캔따개가압부와;
    리벳(40)에서 손잡이부(20)방향으로 근접한 지점의 캔따개에 형성시킨 절개부(A)가 일체로 구성된 캔따개가 장착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개방이 용이한 따개구조를 가지는 음료용 캔.
  2. 제 1항에 있어서, 절개부(A)는 리벳(40)으로부터 손잡이부(20)방향으로 6mm 이내의 지점에서 시작되고, 절개부(A) 밑면의 폭(a)은 2mm 이내, 각도(d)는 90도 이내, 깊이(c)는 캔따개 밑면의 일부까지 확장될 수 있음을 그 특징으로 하는 배출구의 개방이 용이한 음료용 캔.
  3. 제 1항에 있어서, 원추형의 가압부(21')는 그 높이(e)를 5mm이내, 원추각(d)은 90도 이내로 하되, 캔의 상부면(11)과 닿지 않도록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하는 개방이 용이한 따개구조를 가지는 음료용 캔.
KR20-2003-0033142U 2003-10-22 2003-10-22 개방이 용이한 따개구조를 가지는 음료용 캔 KR2003486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142U KR200348612Y1 (ko) 2003-10-22 2003-10-22 개방이 용이한 따개구조를 가지는 음료용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142U KR200348612Y1 (ko) 2003-10-22 2003-10-22 개방이 용이한 따개구조를 가지는 음료용 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612Y1 true KR200348612Y1 (ko) 2004-05-03

Family

ID=49428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142U KR200348612Y1 (ko) 2003-10-22 2003-10-22 개방이 용이한 따개구조를 가지는 음료용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6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7569B2 (en) Can comprising a first, dispense opening and second, vent opening and a single pull tab
EP2800706B1 (en) Can comprising a first, dispense opening and second, vent opening
EP2800705B1 (en) Can comprising a maxi-dispense opening and a vent opening
EP2773572B1 (en) Vented metallic container end closure
US7513383B2 (en) Opening device for can
US5947317A (en) Opener for beverage containers
KR20090038813A (ko)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JP4683999B2 (ja) ステイオンタブ式缶蓋
US8540105B2 (en) Easily openable can and method of opening the can
US20030189045A1 (en) Can opening device
KR200348612Y1 (ko) 개방이 용이한 따개구조를 가지는 음료용 캔
KR102205508B1 (ko) 개선된 오프너 구조를 갖는 캔 뚜껑
KR200332932Y1 (ko) 배출구의 개방이 용이한 음료용 캔
KR200169039Y1 (ko) 음료용 캔
KR102113794B1 (ko) 다용도 이지 오프너
JP4800665B2 (ja) ステイオンタブ式缶蓋
WO2003010054A1 (en) Easy open can end
KR20090038799A (ko)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KR20020014660A (ko)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KR20120138596A (ko) 캔 뚜껑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