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794B1 - 다용도 이지 오프너 - Google Patents

다용도 이지 오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794B1
KR102113794B1 KR1020180153635A KR20180153635A KR102113794B1 KR 102113794 B1 KR102113794 B1 KR 102113794B1 KR 1020180153635 A KR1020180153635 A KR 1020180153635A KR 20180153635 A KR20180153635 A KR 20180153635A KR 102113794 B1 KR102113794 B1 KR 102113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arm
bottle cap
lever
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주현
Original Assignee
정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현 filed Critical 정주현
Priority to KR1020180153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7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44Combination tools, e.g. comprising cork-screws, can piercers, crowncap re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6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flanged caps, e.g. crow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8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40Devices for engaging tags, strips, or tongues for opening by tearing, e.g. slotted keys for opening sardine t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지 오프너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이 평평하고 상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선단은 원터치 캔의 당김고리와 캔뚜껑 사이로 삽입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된 오프너본체(110)와; 상기 오프너본체(110)의 후단에 원호 형태로 연장형성된 암(120)과; PET병 뚜껑의 직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암(120)의 단부에 탄성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테일고리(130)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너본체(110)의 바닥에는 내측으로 유리병 뚜껑의 두께만큼 함몰 형성된 뚜껑삽입홈(113)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삽입홈(113)과 상기 오프너본체(110)의 후단 사이에는 내측을 향해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뚜껑삽입홈(113)에 삽입된 유리병 뚜껑(21)의 하부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단(117)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이지 오프너{MULTI EASY OPENER}
본 발명은 다용도 이지 오프너에 관한 것으로, 간편한 사용방법으로 통조림, 병뚜껑, PET병 뚜껑을 모두 개방할 수 있는 다용도 이지 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원터치 방식의 통조림 캔은 조리된 음식을 오래 보관하여 먹을 수 있으며, 유통과정 중 내용물의 변질이 적다는 장점으로 인해 각종 여행이나, 나들이, 비상용품 등에 널리 이용된다.
일반적인 통조림 캔은 당김 고리를 당겨 열 수 있는 원터치 캔 형태로 구비된다. 원터치 캔은 뚜껑의 가장자리를 따라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고, 뚜껑에 당김 고리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당김 고리로 손가락을 삽입하여 끼우고 위로 들어올리면 당김 고리의 고정부위가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캔 뚜껑을 가압하면서 절취선이 절개되어 개방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개방되는 원터치 캔은 당김 고리와 뚜껑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당김 고리를 들어올리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손톱이 상대적으로 긴 여성들의 경우 캔을 따는 과정에서 손톱이 손상되기 쉽기 때문에 그 이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원터치 캔은 개봉의 편리성이 있기는 하나, 뚜껑이 절취선을 따라 절개될 경우, 뚜껑의 날카로운 절취면에 손가락 등의 신체 부위가 베이기 쉬운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생수나 음료수 등을 사 먹는 인구가 늘고 있다. 그런데, 생수가 담겨 있는 PET 병의 뚜껑이 밀봉되어 있어, 힘이 약한 여성, 노약자, 어린이들은 뚜껑을 열지 못해 주변에 도움을 청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병 음료수나 맥주병의 경우에는 별도의 오프너가 있어야만 개방할 수 있는 번거로움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2-0041721호 "생수통 뚜껑 오프너" 공개특허 제10-2015-0001493호 "통조림캔 오프너"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터치 캔, PET병 뚜껑, 유리병 뚜껑 등을 모두 간편하게 개방할 수 있는 이지 오프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힘이 약한 여성, 노인, 어린이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지 오프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지 오프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지 오프너는, 바닥이 평평하고 상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선단은 원터치 캔의 당김고리와 캔뚜껑 사이로 삽입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된 오프너본체(110)와; 상기 오프너본체(110)의 후단에 원호 형태로 연장형성된 암(120)과; PET병 뚜껑의 직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암(120)의 단부에 탄성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테일고리(130)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너본체(110)의 바닥에는 내측으로 유리병 뚜껑의 두께만큼 함몰 형성된 뚜껑삽입홈(113)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삽입홈(113)과 상기 오프너본체(110)의 후단 사이에는 내측을 향해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뚜껑삽입홈(113)에 삽입된 유리병 뚜껑(21)의 하부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단(117)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병 뚜껑을 개방하려는 경우, 상기 걸림단(117)이 상기 유리병 뚜껑(21)의 하부에 걸림결합되게 상기 뚜껑삽입홈(113)에 상기 유리병 뚜껑(21)을 삽입하고 상기 암(120)을 상부로 들어올리면, 상기 유리병 뚜껑(21)과 밀착되게 배치된 상기 오프너본체(110)의 바닥과 상기 뚜껑삽입홈(113)의 단차진 경계영역(112)은 지렛대의 받침점으로 작용되고, 상기 걸림단(117)은 지렛대의 작용점으로 작용되고, 상기 암(120)은 외력을 인가받는 힘점으로 작용되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유리병 뚜껑이 유리병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테일고리(130)는 상기 암(120)에 회동축(13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축(131)에는 상기 테일고리(130)가 병뚜껑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133)가 구비되며, 상기 PET병 뚜껑이 상기 테일고리(130)에 삽입되면, 상기 테일고리(130) 선단의 지지단부(135)는 지렛대의 작용점으로 작용되고, 상기 암(120)의 단부는 받침점으로 작용되고, 상기 암(120)은 지렛대의 힘점으로 작용하여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PET병 뚜껑이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지 오프너는 하나의 도구를 이용해 원터치 캔, 유리병 뚜껑, PET병 뚜껑을 모두 오픈 할 수 있는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지 오프너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해 뚜껑을 개방할 수 있게 되므로, 남녀노소 구분없이 적은 힘으로 뚜껑을 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이 다양한 뚜껑들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이지 오프너를 사용하여 뚜껑을 개방하므로, 신체의 상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지 오프너가 원터치 캔을 개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지 오프너가 원터치 캔을 개방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지 오프너가 유리병 뚜껑을 개방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지 오프너가 PET병 뚜껑을 개방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지 오프너(100)가 원터치 캔(10)을 개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지 오프너(100)는 하나의 형상으로 원터치 캔(10), 유리병 뚜껑(21), PET병 뚜껑(30)을 모두 개방할 수 있게 구비되었다. 이에 의해 원터치 캔(10), 유리병 뚜껑(21), PET병 뚜껑(30)을 개방하기 위해 각각의 도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지 오프너(100)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해 뚜껑을 개방하므로,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이지 오프너(100)는 오프너본체(110)와, 오프너본체(110)의 후단에 원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로부터 힘을 인가받는 암(120)과, 암(120)의 후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PET병 뚜껑(30)을 개방하는 테일고리(130)를 포함한다.
오프너본체(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 캔(10)의 캔 뚜껑(13)과 당김고리(11) 사이로 삽입되어 캔 뚜껑(13)과 당김고리(11) 사이를 벌리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너본체(110)는 유리병 뚜껑(21)을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오프너본체(110)는 바닥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면은 곡면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오프너본체(110)는 후단의 높이(h1) 보다 선단의 높이(h2)가 점점 낮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삽입선단(119)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 캔(10)의 캔 뚜껑(13)과 당김고리(11)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날카롭게 형성된다.
오프너본체(110)의 상부는 삽입선단(119)으로부터 완만한 곡면을 갖게 형성되어 캔 뚜껑(13)과 당김고리(11)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오프너본체(110)의 바닥에는 도 3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영역에 내부를 향해 일정 깊이 함몰된 뚜껑삽입홈(113)이 구비된다. 뚜껑삽입홈(113)의 함몰 깊이는 유리병 뚜껑(21)의 높이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이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삽입홈(113)에 유리병 뚜껑(21)이 끼워지게 된다.
뚜껑삽입홈(113)은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후 절곡되어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뚜껑삽입홈(113)의 형상에 의해 오프너본체(110)의 후단에는 절곡면(115)이 구비된다.
도 3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11)과 뚜껑삽입홈(113) 사이에는 단차진 경계영역(112)이 형성되고, 절곡면(115)과 바닥의 경계에는 내측으로 일정 각도 돌출된 걸림단(117)이 구비된다.
걸림단(117)은 유리병 뚜껑(21)을 개방할 때, 유리병 뚜껑(21)의 하부에 걸림 결합되어 지렛대의 작용점(F1)으로 작용하고, 경계영역(112)은 유리병 뚜껑(21)과 밀착되어 지렛대의 받침점(F2)으로 작용하게 된다.
암(120)은 오프너본체(110)의 후단에 연장형성된다. 이 때, 암(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곡률을 갖는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암(120)은 사용자가 다양한 용기의 뚜껑을 개방할 때,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어 힘을 작용하는 역할을 하고, 동시에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 캔(10)의 캔 뚜껑(13) 상면에 접촉되어 지렛대의 받침점(F2) 역할도 수행한다.
이때, 암(120)은 도 2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힘이 작용될 수 있으며, 땅에도 접촉될 수 있는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테일고리(130)는 암(120)의 후단에 결합되어 PET병 뚜껑(30)을 개방할 때 사용된다. 테일고리(130)는 PET병 뚜껑(30)이 삽입되는 삽입개구(137)가 형성된 고리 형태로 구비된다.
테일고리(130)는 회동축(131)에 의해 암(120)의 테일연결단(12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테일고리(130)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은 곡률을 갖는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내주면은 다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내주면이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단면이 원형인 병뚜껑의 외주면을 미끄러지지 않고 지지하기 위함이다.
테일고리(130)는 지지단부(135)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회동축(131)에는 토션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33)가 결합된다. 탄성부재(133)는 테일고리(130)가 탄성적으로 회동되도록 지지한다. 탄성부재(133)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고리(130)가 PET병 뚜껑(30)을 접촉지지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이에 의해 PET병 뚜껑(30)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테일고리(130)가 개방되어 PET병 뚜껑(30)과 분리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지 오프너(100)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이지 오프너(100)를 이용해 원터치 캔(10)을 오픈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손으로 암(120)을 파지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너본체(110)의 삽입선단(119)을 원터치 캔(10)의 당김고리(11)와 캔 뚜껑(13) 사이로 밀어넣는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너본체(110) 전체가 당김고리(11) 하부로 삽입되면 당김고리(11)가 상방향으로 일정 각도 들어올려진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암을 뒤집어서 오프너본체(110)의 바닥이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너본체(110)가 뒤집어지면서 당김고리(11)에 걸림단(117)이 끼워진다.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암(120)을 아래로 회전시켜 암(120)의 일영역이 캔 뚜껑(13)과 접촉되도록 한다.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120)의 일영역이 캔 뚜껑(13)과 닿으면서 지렛대의 받침점(F2)으로 작용하고, 걸림단(117)이 지렛대의 작용점(F1)으로 작용한다. 사용자가 암(120)을 하부방향으로 누르면 암(120)이 힘점(F3)으로 작용하며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캔 뚜껑(13)이 상방향으로 열려진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병 뚜껑(21)을 개방할 경우, 사용자는 오프너본체(110)의 바닥면(111)의 뚜껑삽입홈(113)에 유리병 뚜껑(21)이 삽입되도록 위치시킨다. 이 때, 절곡면(115)이 유리병 뚜껑(21)의 높이영역에 위치되고 걸림단(117)은 유리병 뚜껑(21)의 하부에 걸림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암(120)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면, 걸림단(117)은 지렛대의 작용점(F1)으로 작용되고, 경계영역(112)은 지렛대의 받침점(F2)로 작용한다.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유리병 뚜껑(21)이 유리병(20)으로부터 개방될 수 있다.
한편, PET병 뚜껑(30)을 개방하고자 할 경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고리(130)를 벌린 후 PET병 뚜껑(30)을 삽입개구(137) 내부로 위치시키고 테일고리(130)를 PET병 뚜껑(30)의 외주면을 접촉하도록 한다. 탄성부재(133)의 탄성력에 의해 테일고리(130)는 PET병 뚜껑(30)과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PET병 뚜껑(30)은 테일연결단(123)과 지지단부(135) 사이에 끼여 있게 된다. 여기서, 테일연결단(123)에는 회전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암(120)을 PET병 뚜껑(30)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단부(135)가 작용점(F1)으로 작용하고 테일연결단(123)이 받침점(F2)로 작용하여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PET병 뚜껑(30)이 함께 회전되며 PET병으로부터 개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지 오프너는 하나의 도구를 이용해 원터치 캔, 유리병 뚜껑, PET병 뚜껑을 모두 오픈 할 수 있는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지 오프너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해 뚜껑을 개방할 수 있게 되므로, 남녀노소 구분없이 적은 힘으로 뚜껑을 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이 다양한 뚜껑들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이지 오프너를 사용하여 뚜껑을 개방하므로, 신체의 상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이지 오프너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원터치 캔 11 : 당김고리
13 : 캔뚜껑 20 : 유리병
21 : 유리병 뚜껑 30 : PET병 뚜껑
100 : 이지 오프너 110 : 오프너본체
111 : 바닥면 112 : 경계영역
113 : 뚜껑삽입홈 115 : 절곡면
117 : 걸림단 119 : 삽입선단
120 : 암 123 : 테일연결단
130 : 테일고리 131 : 회동축
133 : 탄성부재 135 : 지지단부
137 : 삽입개구

Claims (3)

  1. 바닥이 평평하고 상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삽입선단(119)이 원터치 캔의 당김고리와 캔뚜껑 사이로 삽입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된 오프너본체(110)와;
    상기 오프너본체(110)의 후단에 원호 형태로 연장형성된 암(120)과;
    PET병 뚜껑의 직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암(120)의 단부에 탄성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테일고리(130)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너본체(110)는 후단의 높이보다 선단의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삽입선단(119)으로부터 완만한 곡면을 갖게 형성되고, 바닥에는 내측으로 유리병 뚜껑의 두께만큼 함몰 형성된 뚜껑삽입홈(113)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삽입홈(113)과 상기 오프너본체(110)의 후단 사이에는 내측을 향해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뚜껑삽입홈(113)에 삽입된 유리병 뚜껑(21)의 하부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단(117)이 구비되고,
    상기 테일고리(130)는 내주면이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지지단부(135)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암(120)에 회동축(13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축(131)에는 상기 테일고리(130)가 병뚜껑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133)가 구비되며,
    캔뚜껑을 개방하려는 경우, 상기 삽입선단(119)을 원터치 캔의 당김고리와 캔뚜껑 사이로 삽입하여 당김고리가 상방향으로 일정 각도 들어올려지면, 상기 오프너본체(110)를 뒤집어 상기 당김고리에 상기 걸림단(117)이 끼워지면, 상기 암(120)을 아래로 회전시켜 암(120)의 일영역이 캔 뚜껑(13)과 접촉되면, 암(120)의 일영역이 캔 뚜껑(13)과 닿으면서 지렛대의 받침점으로 작용하고, 걸림단(117)이 지렛대의 작용점으로 작용하고, 상기 암(120)이 힘점으로 작용하며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캔 뚜껑(13)이 상방향으로 열려지고,
    유리병 뚜껑을 개방하려는 경우, 상기 걸림단(117)이 상기 유리병 뚜껑(21)의 하부에 걸림결합되게 상기 뚜껑삽입홈(113)에 상기 유리병 뚜껑(21)을 삽입하고 상기 암(120)을 상부로 들어올리면, 상기 유리병 뚜껑(21)과 밀착되게 배치된 상기 오프너본체(110)의 바닥과 상기 뚜껑삽입홈(113)의 단차진 경계영역(112)은 지렛대의 받침점으로 작용되고, 상기 걸림단(117)은 지렛대의 작용점으로 작용되고, 상기 암(120)은 외력을 인가받는 힘점으로 작용되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유리병 뚜껑이 유리병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PET 뚜껑을 개방하려는 경우, 상기 PET병 뚜껑이 상기 테일고리(130)에 삽입되면, 상기 테일고리(130) 선단의 지지단부(135)는 지렛대의 작용점으로 작용되고, 상기 암(120)의 단부는 받침점으로 작용되고, 상기 암(120)은 지렛대의 힘점으로 작용하여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PET병 뚜껑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 오프너.
  2. 삭제
  3. 삭제
KR1020180153635A 2018-12-03 2018-12-03 다용도 이지 오프너 KR102113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635A KR102113794B1 (ko) 2018-12-03 2018-12-03 다용도 이지 오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635A KR102113794B1 (ko) 2018-12-03 2018-12-03 다용도 이지 오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794B1 true KR102113794B1 (ko) 2020-06-02

Family

ID=71090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635A KR102113794B1 (ko) 2018-12-03 2018-12-03 다용도 이지 오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79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513A (ko) * 2003-07-02 2005-01-12 최재명 오프너
KR20120041721A (ko) 2012-03-19 2012-05-02 한용규 생수통 뚜껑 오프너
US20140173831A1 (en) * 2010-04-08 2014-06-26 Robert Kristiansen Convination Handle Locking And Beverage Container Opener
US20140237952A1 (en) * 2013-02-28 2014-08-28 Lance Fesler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of containers
KR20150001493A (ko) 2013-06-27 2015-01-06 조춘호 통조림캔 오프너
KR20160112916A (ko) * 2015-03-19 2016-09-28 김태구 캔 오프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513A (ko) * 2003-07-02 2005-01-12 최재명 오프너
US20140173831A1 (en) * 2010-04-08 2014-06-26 Robert Kristiansen Convination Handle Locking And Beverage Container Opener
KR20120041721A (ko) 2012-03-19 2012-05-02 한용규 생수통 뚜껑 오프너
US20140237952A1 (en) * 2013-02-28 2014-08-28 Lance Fesler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of containers
KR20150001493A (ko) 2013-06-27 2015-01-06 조춘호 통조림캔 오프너
KR20160112916A (ko) * 2015-03-19 2016-09-28 김태구 캔 오프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96955A1 (en) Multi purpose beverage container opener
US20050252343A1 (en) Arthritis sufferers multi purpose beverage container opener/sealer with printable surface
EP1473270B1 (en) Multi-purpose opener
US5309794A (en) Opening device for cans having tear-away closure panels with ring tabs
US9821936B1 (en) Bottle cap with integrated bottle opener
KR102113794B1 (ko) 다용도 이지 오프너
US70967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of containers
US20070006685A1 (en) Can opener with tab removing device
WO1991018822A1 (en) Opener
US8960487B1 (en) Beverage can with integral tab lifter
KR20180066777A (ko) 개방이 용이한 원통형 음료수용 캔
US20150251888A1 (en) Opening Device For Container Closures
JP3227212U (ja) 容器用オープナー
KR20150000711A (ko) 음료수 캔따개
KR102205508B1 (ko) 개선된 오프너 구조를 갖는 캔 뚜껑
KR200207440Y1 (ko) 개방이 용이한 캔뚜껑
KR20150020029A (ko) 통조림 캔 제품을 안전하게 개구하는데 이용되는 안전오프너
KR102440995B1 (ko) 안전 캔 뚜껑
KR20210084034A (ko) 캔홀이 구비되어 개방이 편리한 캔
KR200430060Y1 (ko) 캔 오프너
KR200174367Y1 (ko) 음료수 용기의 개방손잡이
KR20100137828A (ko) 빨대 고정용 하우징
KR200174372Y1 (ko) 캔따개
KR20130077862A (ko) 캔 뚜껑 조립체
JP2023161534A (ja) 携帯式オープ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