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7862A - 캔 뚜껑 조립체 - Google Patents
캔 뚜껑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77862A KR20130077862A KR1020130074167A KR20130074167A KR20130077862A KR 20130077862 A KR20130077862 A KR 20130077862A KR 1020130074167 A KR1020130074167 A KR 1020130074167A KR 20130074167 A KR20130074167 A KR 20130074167A KR 20130077862 A KR20130077862 A KR 201300778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handle
- opening
- fixed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4—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and push-down tear pan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 뚜껑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캔 뚜껑의 개방탭 구조를 개선하여 뚜껑 개방부의 개방동작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의 개방탭은, 뚜껑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와, 고정부를 중심으로 개방부 쪽으로 연장되는 작용부와, 고정부를 중심으로 작용부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지렛대원리를 이용하여 작용부가 개방부를 가압하도록 외력이 가해지는 조작부와, 조작부의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단과, 고정단에서 작용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유단을 갖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탄산음료 등이 담겨져 상품으로 포장되는 음료 캔의 뚜껑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음료수 및 식품 등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한 캔의 뚜껑에 구비된 개방탭을 매우 간편하게 동작시킬 수 있는 『캔 뚜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은 각종 음료, 식품 등의 내용물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한 밀폐용기로서, 알루미늄 합금, 스틸 등을 소재로 하여 다양하게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캔은 바디 상부에 구비된 뚜껑의 개방 구조에 따라 전체를 개방하는 타입과 일부분을 분리하여 개방하는 타입으로 구별된다. 전체를 개방하는 타입은 원터치 캔으로 불리고 주로 식품의 보관에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일부분을 개방하는 타입은 뚜껑의 일부분에 형성된 개방부를 개방할 수 있는 개방탭(Pull-tap)이 배치되고, 상기 개방부는 액체의 유출에 적당한 크기로 설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음료용 캔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음료용 캔의 뚜껑 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음료용 캔(10)은 금속 박판 소재로 하여 액상 내용물(탄산 음료수 또는 맥주 등)을 수용하기 적합한 형태로 이루어진 바디(11)와, 이 바디(11)의 상부에 시일링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는 뚜껑(12)으로 이루어진다. 뚜껑(12)에는 일부분이 절취선을 통해 개방부(13)가 형성된다. 또한, 뚜껑(12)에는 개방부(13)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하여 개방하기 위한 개방탭(20)과, 이러한 개방탭(20)을 결합 및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핀(21)이 갖추어진다. 개방탭(20)은 파지한 상태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Operating portion,24)와, 이 조작부(24)의 상승을 통해 결합핀(21)을 중심으로 하향작동하여 개방부(13)를 가압하도록 하는 작용부(Acting portion,23)와, 결합핀(21)에 체결된 상태에서 조작부(24)의 작동으로 일부가 벤딩되어 작용부(23)의 하향 동작을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부(22)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고정부(22)의 둘레에는 대략 원호형의 관통공(22a)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개방탭(20)은 테두리를 말아 적당한 강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컬링부가 형성된 구조이다. 따라서 고정부(22)는 플렉시블한 상태의 박판으로만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조작부(24)는 파지 가능하도록 하는 구멍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캔(10)은 개방탭(20)의 조작부(24)를 파지하면서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면, 결합핀(21)의 앞쪽 라인(L: 도 2참조) 위치에서 고정부(22)가 구부러지면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탭(20)의 작용부(23)는 지렛대 원리에 따라 하향이동되어 개방부(13)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개방부(13)는 뚜껑(12)에서 절취선이 절단되면서 아래측으로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개방부(13)가 개방됨에 따라 소비자는 바디(11)안에 들어있는 음료 등을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캔 뚜껑(12)에서는 개방탭(20)의 조작부(24)와 뚜껑(12)의 표면 사이의 틈이 작고, 더욱이 개방탭(20)의 테두리부는 강성을 유지하도록 컬링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손가락을 끼우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더욱이, 손가락에 힘을 가해서 개방탭(20)의 조작부(24) 틈으로 끼우다 보면, 여성들의 경우 손톱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개방탭(20) 조작부(24)의 사이 틈이 작기 때문에 노인이나 어린이들은 손가락(손톱)을 끼우기도 힘들고, 설사 끼운다 하더라도 비교적 강한 힘을 주어서 상부 방향으로 들어올려야 작용부(23)가 하향이동하여 개방부(13)를 가압하여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개방동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캔 뚜껑의 개방탭 구조를 개선하여 뚜껑 개방부의 개방동작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캔 뚜껑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캔 뚜껑 조립체는 뚜껑에 고정되는 개방탭을 포함하되,
상기 개방탭은, 상기 뚜껑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작용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작용부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작용부가 상기 뚜껑을 개방하도록 지렛대원리를 이용하여 조작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에서 상기 작용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유단을 갖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자유단이 상기 작용부보다 외측으로 연장하는 고리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작용부 및 조작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의 자유단에는 상기 작용부의 하부에 끼워져 탄지되는 걸림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자유단이 상기 작용부, 고정부 및 조작부 중 하나의 상측에 위치하는 고리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자유단이 상기 작용부, 고정부 및 조작부 중 하나의 상측에 위치하는 바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자유단이 상기 작용부, 고정부 및 조작부 중 하나의 상측에 위치하는 플레이트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의 저면 양측에는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 또는 작용부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의 자유단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조작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공간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의 자유단에는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끼워져 탄지되는 걸림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에는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뚜껑의 상면으로부터 떠받쳐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받침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합성수지의 재질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에 의하면; 조작부에 연계된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조작부 후단을 용이하게 들어올림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작용부를 통해 개방부 가장자리를 보다 강하게 눌러 이를 개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손잡이부는 캔 뚜껑 상면에서 손쉽게 들어올려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조작부를 동작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캔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캔의 뚜껑 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로; 종래 캔 뚜껑의 개방탭 조립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종래 캔 뚜껑에서 개방탭을 들어올려 개방부가 개방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에서 뚜껑과 개방탭의 조립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에서 개방탭의 손잡이부를 들어올리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에서 손잡이부를 통해 조작부를 동작시켜 개방부를 개방시키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를 보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를 보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를 보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를 보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를 보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를 보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종래 캔의 뚜껑 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로; 종래 캔 뚜껑의 개방탭 조립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종래 캔 뚜껑에서 개방탭을 들어올려 개방부가 개방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에서 뚜껑과 개방탭의 조립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에서 개방탭의 손잡이부를 들어올리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에서 손잡이부를 통해 조작부를 동작시켜 개방부를 개방시키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를 보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를 보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를 보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를 보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를 보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를 보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를 보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의 구성 설명>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100)는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캔 바디(11)의 상부에 가장자리가 시일링 결합되며 절결라인(112)을 통해 개방되도록 개방부(111)가 마련된 뚜껑(110)과, 이 뚜껑(110)의 개방부(111)를 가압하여 개방시킬 수 있도록 뚜껑(110)의 중심부위에 배치되는 개방탭(120)을 갖추고 있다.
뚜껑(110)은 알루미늄 박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이의 가장자리는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캔 바디(11)의 상부에 시일링 결합된다. 그리고 뚜껑(110)에는 중심에서 가장자리측으로 약간 편심되는 위치에 개방부(111)가 마련되는데, 이것은 절결라인(112)을 통해 개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개방탭(120)은 개방부(111)를 가압하여 이를 개방동작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110)의 중앙부위에 결합핀(121)을 통해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122)와, 이 고정부(122)를 중심으로 개방부(111) 쪽으로 연장된 작용부(123)와, 고정부(122)를 중심으로 작용부(123)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부(124)와, 이 조작부(124)를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는 손잡이부(125)를 구비한다. 이러한 고정부(122)와 작용부(123) 및 조작부(124)와 손잡이부(125)를 포함하는 뚜껑(110)은 알루미늄 박판을 소재로 프레스 가공하여 일체로 구성된다. 물론 이와 달리 고정부(122)와 작용부(123) 및 조작부(124)와 손잡이부(125)는 별도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고, 특히 작용부(123)와 조작부(124)는 일체로 제작되고 손잡이부(125)는 별도로 제작되어, 손잡이부(125)가 조작부(124)의 단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고정부(122)는 박판으로 이루어진 뚜껑(110)의 중앙부위에 결합핀(121)을 통해 고정 결합되는 부위이다.
그리고 작용부(123)는 고정부(122)를 중심으로 개방부(111) 쪽으로 연장되며, 하향 동작시 개방부(111)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1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122)를 중심으로 작용부(123)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지렛대 원리를 통해 작용부(123)를 동작시키도록 외력이 가해지는 부분이다. 이때의 조작부(124)는 고정부(122)와 사이공간(126)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조작부(124)의 후단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조작부(124)와 일체로 연결되는 작용부(123) 선단이 하향 동작되게 되어 뚜껑(110)의 개방부(111)가 절결라인(112)을 따라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12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부(124)를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손잡이부(12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조작부(124)의 후단부 양측에 연계되되, 작용부와(123)와 조작부(124)를 포함하는 부분을 감싸는 고리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손잡이부(125)는 조작부(124)의 후단부 양측에 고정되는 고정단과, 고정단에서 개방부(111)(즉, 작용부(123) 방향으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유단을 갖는 몸체를 포함하되, 이때의 몸체는 고정단으로부터 작용부(123) 보다 외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고리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손잡이부(125)는 작용부(123) 및 조작부(124)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125)의 자유단이 고정단으로부터 작용부(123) 쪽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한 점은, 본 발명의 손잡이부(125)의 몸체가 고정단으로부터 조작부(124)의 후방으로 지속적으로 연장되면, 일정한 직경을 갖는 뚜껑의 가장자리측에 걸리므로 그 길이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경우 손잡이부(125)의 길이가 제한적이므로 손잡이부(125)를 통해 조작부(124)를 용이하게 들어올리는 효과가 반감된다.
또, 본 발명의 손잡이부(125)의 몸체는 고정단으로부터 조작부(124)의 후방으로 지속적으로 연장되면, 뚜껑(110)의 가장자리측에 걸칠 수 있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캔 뚜껑 조립체가 적용된 음료용 캔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손잡이부(125)가 다른 물체에 걸려 개방부(111)를 일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손잡이부(125)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단으로부터 작용부(123) 쪽으로 연장되는 자유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손잡이부(125)에 손가락을 끼워 조작부(124) 후단을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뚜껑(110)에는 손잡이부(125)를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손잡이부(125) 양측을 뚜껑(110) 상면으로부터 약간 떠받쳐 들뜨도록 한 쌍의 받침돌기(113)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받침돌기(113)를 통해 들뜬 손잡이부(125) 중앙부위를 통해 용이하게 들어올려 개방부(111)를 개방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것은 후술하는 개방동작 설명에서 상술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의 개방 동작 설명>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의 개방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캔 음료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손잡이부(125)를 들어올린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110) 상면으로부터 약간 들떠 있는 손잡이부(125)의 자유단 중앙부위를 잡고 이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도 7의 화살표 방향 참조), 조작부(124)와 일체로 연계되는 손잡이부(125)의 고정단은 벤딩되면서 상측으로 세워져 사용자가 손가락을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다.
그리고 들어 올려진 손잡이부(125)에 손가락을 넣고 재차 상측방향으로 들어올리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124)의 후단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짐과 동시에 고정부(122)가 라인(L) 위치에서 구부러지고 작용부(123) 첨단이 하부방향으로 경사지면서 개방부(111)를 아래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개방부(111)는 절결라인(112)을 따라 아래측으로 개방되어, 사용자는 캔 바디(11)에 담겨진 음료수를 음용할 수 있다.
이러한 캔 뚜껑 조립체(100)의 개방부(111) 개방동작을 종래에 비해 훨씬 적은 힘으로 실현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것은 손잡이부(125)를 통해 손가락을 걸고 조작부(124)를 상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손잡이부(125) 역시 뚜껑(110)의 상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개방부(111) 개방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방부(111) 개방동작을 완료한 후 손잡이부(125)에 끼웠던 손가락을 빼면, 손잡이부(125)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어느 정도 수평 복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캔의 내용물을 마시고자 입을 대더라도 전혀 지장을 받지 않고 식음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손잡이부(125)를 개방부(111) 반대방향으로 완전히 젖힌 후에 사용자가 캔의 내용물을 마셔도 전혀 지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의 설명>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100)에서는 개방탭(120)을 이루는 손잡이부(125)가 조작부(124)의 후단에서 일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형태의 손잡이부(125A)를 합성수지로 미리 제작한 후 일측을 조작부(124)의 후단부에 일체화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합성수지로 구성된 손잡이부(125A)에 손가락을 끼워 조작부(124) 후단을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의 설명>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캔 뚜껑 조립체의 손잡이부(225)는 조작부(124)의 후단부 양측에 연계되는 고정단을 갖는 몸체를 포함한다. 이때의 몸체는 제1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고정단으로부터 고정부(122)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자유단을 가지되, 작용부(123)와 조작부(124)를 포함하는 부분의 상면에 적층되는 바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캔 뚜껑 조립체의 손잡이부(225)의 몸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저면 양측에 각각 걸림돌기(226)가 형성되고, 조작부(124)에는 걸림돌기(226)가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부(225)가 조작부(124)를 포함하는 부분의 상측에 위치하면서도 걸림돌기(226)에 의해 조작부(124)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운반시에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등에 의해 손잡이부(225)가 들리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325)가 작용부(123)를 덮어 둔 상태로 청결을 유지하게 되므로, 작용부(123)에 이물질이 낄 염려가 없어 개방부(111) 개방동작 시에 이물질이 캔의 내용물에 들어가는 일이 적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의 설명>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캔 뚜껑 조립체의 손잡이부(325)는 제1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고정단으로부터 고정부(112)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자유단을 가지되, 작용부(123)와 조작부(124)를 포함하는 부분의 상면에 적층되는 플레이트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캔 뚜껑 조립체의 손잡이부(325)의 몸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저면 양측에 각각 걸림돌기(326)가 형성되고, 조작부(124)에는 걸림돌기(326)가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부(325)가 조작부(124)를 포함하는 부분의 상측에 위치하면서도 걸림돌기(326)에 의해 조작부(124)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운반시에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등에 의해 손잡이부(325)가 들리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의 설명>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캔 뚜껑 조립체의 손잡이부(425)는 제3 및 제4실시 예와 대부분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캔 뚜껑 조립체의 손잡이부(425)는 고정단으로부터 고정부(112)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자유단을 가지되, 이때의 자유단은 작용부(123), 고정부(122) 및 조작부(124) 중 하나의 상측에 위치하는 고리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캔 뚜껑 조립체의 손잡이부(425)의 몸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저면 양측에 각각 걸림돌기(426)가 형성되고, 조작부(124)에는 걸림돌기(426)가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부(425)가 조작부(124)를 포함하는 부분의 상측에 위치하면서도 걸림돌기(426)에 의해 조작부(124)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운반시에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등에 의해 손잡이부(425)가 들리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의 설명>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캔 뚜껑 조립체의 손잡이부(525)는 제 5실시 예와 대부분 동일하고, 다만 손잡이부(151)의 몸체의 자유단의 위치가 상이하다.
다시 말해서, 손잡이부(525)의 몸체의 자유단의 중앙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가압하여 굴곡된 돌출부(526)가 형성되고, 이러한 돌출부(526)는 조작부(124)의 사이공간(126)에 끼워진다.
즉,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부(525)의 돌출부(526)가 조작부(124)의 사이공간(126)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운반시에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등에 의해 손잡이부(525)가 들이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의 설명>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캔 뚜껑 조립체의 손잡이부(625)는 제1실시 예와 대부분 동일하고, 다만 손잡이부(625)의 몸체의 자유단의 구조가 상이하다.
다시 말해서, 손잡이부(625)의 몸체의 자유단에는 걸림편(626)이 형성되어서 작용부(123)의 하부로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이런 경우 손잡이부(625)와 작용부(123)의 연결부분은 손잡이부(625)가 상방으로 반발되도록 하는 탄성력이 부가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걸림편(626)이 형성된 부분을 누르면, 하부에 탄지되어 있는 걸림편(626)이 이탈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손잡이부(625)가 소정의 각도로 상방으로 들리게 된다.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캔 뚜껑 조립체의 설명>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캔 뚜껑 조립체의 손잡이부(725)는 제3 및 제4실시 예와 대부분 동일하고, 다만 손잡이부(725)의 몸체의 자유단의 구조가 상이하다.
다시 말해서, 손잡이부(725)의 몸체의 자유단에는 고정부(122)의 하부에 끼워지는 걸림편(726)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손잡이부는 제6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손잡이부가 상방으로 반발되도록 탄성력이 부가된다.
11..바디 100..캔 뚜껑 조립체
110..뚜껑 111..개방부
112..절결라인 113..받침돌기
120..개방탭 121..결합핀
122..고정부 123..작용부
124..조작부 125,125A,225,325,425,525,625,725..손잡이부
426..걸림돌기 526..돌출부
626,726..걸림편
110..뚜껑 111..개방부
112..절결라인 113..받침돌기
120..개방탭 121..결합핀
122..고정부 123..작용부
124..조작부 125,125A,225,325,425,525,625,725..손잡이부
426..걸림돌기 526..돌출부
626,726..걸림편
Claims (3)
- 뚜껑에 고정되는 개방탭을 포함하는 캔 뚜껑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개방탭은,
상기 뚜껑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작용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작용부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작용부가 상기 뚜껑을 개방하도록 지렛대원리를 이용하여 조작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에서 상기 작용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유단을 갖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자유단이 상기 작용부보다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리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작용부 및 조작부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조작부의 후단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캔 뚜껑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자유단에는 상기 작용부의 하부에 끼워져 탄지되는 걸림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뚜껑의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받침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4167A KR20130077862A (ko) | 2013-06-27 | 2013-06-27 | 캔 뚜껑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4167A KR20130077862A (ko) | 2013-06-27 | 2013-06-27 | 캔 뚜껑 조립체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7706A Division KR20120138596A (ko) | 2011-06-15 | 2011-08-04 | 캔 뚜껑 조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7862A true KR20130077862A (ko) | 2013-07-09 |
Family
ID=48990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4167A KR20130077862A (ko) | 2013-06-27 | 2013-06-27 | 캔 뚜껑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7786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640758A (zh) * | 2013-11-18 | 2014-03-19 | 姬志刚 | 一种外卷式卫生易拉环 |
-
2013
- 2013-06-27 KR KR1020130074167A patent/KR2013007786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640758A (zh) * | 2013-11-18 | 2014-03-19 | 姬志刚 | 一种外卷式卫生易拉环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56585B2 (en) | Double opening beverage can lid system | |
US8540105B2 (en) | Easily openable can and method of opening the can | |
US709675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of containers | |
KR20130077862A (ko) | 캔 뚜껑 조립체 | |
KR20120138596A (ko) | 캔 뚜껑 조립체 | |
KR102237905B1 (ko) | 개방이 용이한 음료 캔 | |
KR20150000711A (ko) | 음료수 캔따개 | |
KR102113794B1 (ko) | 다용도 이지 오프너 | |
KR20130009358A (ko) | 개방이 용이한 캔 뚜껑 구조체 | |
JP4666952B2 (ja) | 缶蓋 | |
KR101796267B1 (ko) | 캔 뚜껑 | |
KR200341591Y1 (ko) | 캔 뚜껑 | |
KR200316565Y1 (ko) | 음료용 캔 | |
KR20240057287A (ko) | 개방이 용이한 음료 캔 | |
KR200168950Y1 (ko) | 병마개에 구비된 병따개 | |
KR200344478Y1 (ko) | 캔의 뚜껑 개방용 손잡이 구조 | |
KR200174367Y1 (ko) | 음료수 용기의 개방손잡이 | |
KR200174372Y1 (ko) | 캔따개 | |
KR200289208Y1 (ko) | 문고리형 따개를 가진 캔뚜껑 | |
JP3182742U (ja) | 飲料缶 | |
KR200210363Y1 (ko) | 음료출구의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 | |
KR200275245Y1 (ko) | 오프너 | |
KR200207450Y1 (ko) | 탭리프터를 구비한 캔 개봉장치 | |
JP3171921U (ja) | キャップオープナー | |
KR200348612Y1 (ko) | 개방이 용이한 따개구조를 가지는 음료용 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