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363Y1 - 음료출구의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출구의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363Y1
KR200210363Y1 KR2020000024331U KR20000024331U KR200210363Y1 KR 200210363 Y1 KR200210363 Y1 KR 200210363Y1 KR 2020000024331 U KR2020000024331 U KR 2020000024331U KR 20000024331 U KR20000024331 U KR 20000024331U KR 200210363 Y1 KR200210363 Y1 KR 200210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container
beverage outlet
handle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씨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씨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씨솔루션
Priority to KR2020000024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3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36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캔용기의 상부에 구비된 엔드의 구조를 개량하여 음료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한 탭을 보다 용이하게 잡은 상태에서 적은 힘을 들이고도 음료출구를 효과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캔 음료의 구매욕구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캔용기의 용기본체내에 담겨진 내용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동일형태의 탭을 취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음료출구의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에 관한 것으로, 이는 원통체로 구성되어진 용기본체(110)와; 이 용기본체(110)의 상.하부에 각각 밀봉결합되는 판형태의 엔드(120)와; 어느 선택된 하나의 엔드(120)중심에 코킹부(130)를 통하여 결합되는 탭(140)과; 상기 엔드(120)의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탭(140)의 손잡이(142)를 잡아 당기는 동작에 의해 파쇄되면서 음료출구를 형성시키는 스코어라인(128)이 포함되어진 캔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엔드(120)의 상면에는 탭(140)의 저면을 지지하면서 탭(140)의 손잡이(142)와 엔드(120)간의 간격이 적어도 손가락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지하는 돌기부(126)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료출구의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Easy opening can for a drink outlet}
본 고안은 음료출구의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캔용기의 상부에 구비된 엔드의 구조를 개량하여 음료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한 탭을 보다 용이하게 잡은 상태에서 적은 힘을 들이고도 음료출구를 효과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캔 음료의 구매욕구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음료출구의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량음료나 맥주등과 같은 주류를 포장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대체적으로 유리병이나 금속재의 원통형용기(이하 캔용기라 함)를 이용하게 된다.
전자의 경우인 유리병은 외부환경에 따른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내용물의 보존성이 탁월하고 유리병의 투명도가 높은 경우 그 내용물이 외부로 투시되어 보이기 때문에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의 구매욕구를 촉발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유리병은 충격에 취약하여 이를 취급하는데 많은 곤란성이 있고 대체적으로 그 내부의 공간에 담기게 되는 내용물의 양에 비례하여 그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운반의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또한, 유리병의 입구가 크라운뚜껑으로 밀봉결합된 경에는 이를 개방시키는데 있어 별도의 도구가 요구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 유리병이 지니는 장점을 지니면서 그 단점을 일시에 극복할 수 있는 포장용기인 캔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캔용기는 그 재질이 통상적으로 내부에 방청처리가 되어진 철판을 이용하거나 또는 녹이 빌생되지 않으면서 가벼운 알미늄과 같은 비철금속등을 주로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캔용기의 구조는 첨부된 도면의 도 1 및 도 2 에 나타난 바와같다.
도 1 및 도 2 는 캔용기(10)내에 담겨진 내용물이 비탄산음료인 경우와 탄산음료인 경우에 각각 별개로 적용되어진 탭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각각 도시된 바와같이 용기본체(12)는 원통형의 구조를 이루게 되고 그 상,하부에는 각각 엔드(14)가 결합되어지는 것이며 또한, 상기 각각의 엔드(14)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엔드상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음료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한 탭(16)이 장착되어 진다.
따라서 캔용기(10)의 내부에 담겨진 내용물을 식음하는 경우 상기 탭(16)을 이용하여 음료출구를 개방시켜 식음하게 되는데, 그러나 이러한 행위는 특히 노약자나 어린아이들에게는 매우 곤란한 문제이다.
즉, 캔용기(10)의 엔드(14)상에 취부되어진 탭(16)을 이용하여 음료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탭(16)의 손잡이(18) 부분을 부여잡은 상태에서 이를 잡아당겨 탭(16)의 전방부분이 엔드(16)의 소정위치에 형성되어진 스코어라인(22)을 아래로 눌러 이를 파쇄시켜 상기 파쇄된 스코어라인(22)에 의해 음료출구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캔용기(10)에 있어서는 엔드(14)의 상면에 장착되어진 탭(16)의 손잡이(18)와 그 하방에 위치한 엔드(14)와의 이격거리가 매우 협소하여 이를 부여잡기가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특히 캔용기(10)내에 담겨진 내용물이 첨부된 도면의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비탄산음료인 경우에는 이를 냉장보관시 그 온도차에 의해 용기자체가 수축되어 엔드(14)가 용기의 내측방향으로 변형되면서 탭(16)의 손잡이부분이 엔드(14)의 상면과 더욱 근접되어 이를 부여 잡을 수가 없어 이를 보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탭(16)의 손잡이(18)를 상향으로 절곡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캔용기는 그 내용물이 비탄산음료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따라 엔드(14)의 상면에 부착되는 탭(16)의 형태가 상이하게 되며, 특히 상기 탭의 손잡이 부분을 상향으로 절곡시키더라도 탭의 손잡이(18) 부분이 엔드(14)의 상면과 거의 근접되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음료출구의 개방시 탭의 손잡이를 잡는 것이 매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손가락의 끝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엔드의 상면으로 부터 손가락이 유입될 수 있을 간격만큼 탭의 손잡이 부분을 들어 올리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손톱에 적지 않은 통증이 수반되고 많은 힘이 요구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노약자나 어린아이들은 캔의 음료출구를 자체적으로 개방시키는 것이 현실적으로 매우 곤란하며 특히, 이러한 문제점에 의해 남녀노소가 간편하게 캔음료를 즐기지 못하게 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캔용기내에 담겨진 내용물의 특성에 따라 탭의 형상이 달라지게 됨으로서 탭을 제조하는데 있어 곤란성이 따르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캔 용기의 상부에 구비된 엔드의 구조를 개량하여 음료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한 탭을 보다 용이하게 잡은 상태에서 적은 힘을 들이고도 음료출구를 효과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캔 음료의 구매욕구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음료출구의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캔용기의 용기본체내에 담겨진 내용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동일형태의 탭을 취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음료출구의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음료출구의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는, 원통체로 구성되어진 용기본체와; 이 용기본체의 상.하부에 각각 밀봉결합되는 판형태의 엔드와; 이 엔드의 중심에 코킹부를 통하여 결합되는 탭과; 상기 엔드의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탭의 손잡이를 당기는 동작에 의해 파쇄되면서 음료출구를 형성시키는 스코어라인이 포함되어진 캔용기에 있어서, 상기 엔드의 상면에는 탭의 저면을 지지하면서 탭의 손잡이와 엔드간의 간격이 적어도 손가락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지하는 돌기부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 종래 고안에 따른 캔용기에 있어 내용물이 비탄산음료일 경우에 적용되어진 탭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2 - 종래 고안에 따른 캔용기에 있어 내용물이 탄산음료일 경우에 적용되어진 탭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음료출구의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의 평면도,
도 4 - 본 고안에 따른 음료출구의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의 결합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캔용기 12: 용기본체
14: 엔드 16: 탭
18: 손잡이 20: 코킹부
22: 스코어라인 24: 간극
100: 캔용기 120: 엔드
122: 경사면 124: 탭의 내측부분
126: 돌기부 128: 스코어라인
130: 코킹부 140: 탭
142: 손잡이 150: 간격
152: 선단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음료출구의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출구의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의 평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출구의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의 결합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원통체로 구성되어진 용기본체(110)와; 이 용기본체(110)의 상.하부에 각각 밀봉결합되는 판형태의 엔드(120)와; 상기 엔드(120) 중 어느 선택된 하나의 엔드(120)중심에 코킹부(130)를 통하여 결합되는 탭(140)과; 상기 엔드(120)의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탭(140)의 손잡이(142)를 잡아 당기는 동작에 의해 파쇄되면서 음료출구를 형성시키는 스코어라인(128)이 포함되어진 캔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엔드(120)의 상면에는 탭(140)의 저면을 지지하면서 탭(140)의 손잡이(142)와 엔드(120)간의 간격이 적어도 손가락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지하는 돌기부(126)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부(126)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첨부된 도면의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며, 대체적으로 손잡이(142)의 저면부분을 전부분에 걸쳐 받쳐 주도록 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에 따른 음료출구의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는 캔용기(100)의 용기본체(110)내에 담겨진 내용물을 식음하는 경우, 캔용기(100)의 엔드(120)상에 결합되어진 탭(140)의 당김동작을 통하여 상기 엔드(120)의 일측상에 형성되어진 스코어라인(128)을 파쇄시켜 음료출구를 개방시키게 되는데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탭(140)의 당김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즉, 엔드의 내측부분(124)에 상향으로 형성되어진 돌기부(126)에 의해 상기 탭(140)은 엔드의 내측부분(124)에 대해 적어도 사용자의 손가락부분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만큼의 간격(150)이 유지됨으로서, 상기 간격(150)을 통하여 탭(140)의 손잡이(142)를 용이하게 잡아 당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142)의 당김동작에 따라 그 전방의 선단(152)이 엔드의 내측부분(124)을 압부하게 되고 동시에 그 주변에 형성되어진 스코어라인(128)이 파쇄되면서 최종적으로 음료의 출구가 개방되는 것이다.
또한, 용기본체(12)의 내부에 수용되어진 내용물이 탄산음료이거나 또는 비 탄산음료인 경우에 관계없이 탭(140)의 형태를 공통적으로 적용(손잡이 부분을 상향으로 절곡시키지 않은 형태)시킬 수 있어 탭의 제조가 간편해지는 잇점을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은 캔용기의 엔드에 형성되어진 스코어라인을 파쇄시키기 위한 탭의 선단부분을 손잡이 테두리부분에 대해 상향 돌출되어져 있어, 캔음료의 출구를 개방시키는 경우 상기 돌출되어진 탭의 선단부분을 눌러 그 반대방향의 손잡이 테두리가 엔드로 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탭의 손잡이를 간편하게 취부시킬 수 있어 적은 힘을 들이고도 보다 간편하게 음료출구를 개방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1. 원통체로 구성되어진 용기본체(110)와; 이 용기본체(110)의 상.하부에 각각 밀봉결합되는 판형태의 엔드(120)와; 어느 선택된 하나의 엔드(120)중심에 코킹부(130)를 통하여 결합되는 탭(140)과; 상기 엔드(120)의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탭(140)의 손잡이(142)를 잡아 당기는 동작에 의해 파쇄되면서 음료출구를 형성시키는 스코어라인(128)이 포함되어진 캔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엔드(120)의 상면에는 탭(140)의 저면을 지지하면서 탭(140)의 손잡이(142)와 엔드(120)간의 간격이 적어도 손가락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지하는 돌기부(126)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출구의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
KR2020000024331U 2000-08-28 2000-08-28 음료출구의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 KR200210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331U KR200210363Y1 (ko) 2000-08-28 2000-08-28 음료출구의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331U KR200210363Y1 (ko) 2000-08-28 2000-08-28 음료출구의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363Y1 true KR200210363Y1 (ko) 2001-01-15

Family

ID=73087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331U KR200210363Y1 (ko) 2000-08-28 2000-08-28 음료출구의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3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07100Y2 (ja) 飲料用缶
US200800837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he sensory experience of consuming a beverage
JP2008512149A (ja) 取り外し可能なトップを備えた飲料容器
US20150001220A1 (en) Can Comprising a First, Dispense Opening and Second, Vent Opening and a Single Pull Tab
US20110036840A1 (en) Ring pull can cap
US20020043473A1 (en) Removably-attached, sanitary towelette for a beverage can
US70967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of containers
JPH07132937A (ja) 開口容易な蓋
KR200210363Y1 (ko) 음료출구의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
KR200216365Y1 (ko) 캐릭터가 구비된 음료용 캔의 탭
EP0670803B1 (en) Metal container, with means for allowing a rapid emptying of the container
JPH05310248A (ja) 開口容易な缶蓋
CA2409446C (en) Lid for cans containing drinks with reinforced seal
KR20000054582A (ko) 개방이 용이한 음료용 캔의 탭
JP4666952B2 (ja) 缶蓋
JP2000159229A (ja) パネル部が突出したイージーオープン缶蓋
KR200307105Y1 (ko) 오픈 기능성이 개선된 캔 뚜껑 구조
KR100487015B1 (ko) 오픈 기능성이 개선된 캔 뚜껑 구조
JPH09267833A (ja) タブ付き炭酸飲料用容器蓋
KR100683815B1 (ko) 내장 분리형 캔 용기
KR200256167Y1 (ko) 이중 음료수 캔
JPH10129695A (ja) 上部全面開放式缶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62758A (ja) ステイオンタブを備えた缶
KR200281841Y1 (ko) 오프너
JPH11105868A (ja) 飲料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