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841Y1 - 오프너 - Google Patents

오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841Y1
KR200281841Y1 KR2020020010123U KR20020010123U KR200281841Y1 KR 200281841 Y1 KR200281841 Y1 KR 200281841Y1 KR 2020020010123 U KR2020020010123 U KR 2020020010123U KR 20020010123 U KR20020010123 U KR 20020010123U KR 200281841 Y1 KR200281841 Y1 KR 2002818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stopper
opener
meta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1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교선
Original Assignee
오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교선 filed Critical 오교선
Priority to KR20200200101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8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8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841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오프너에 금속캔의 마개를 개방할 수 있는 요입부와, 보틀병의 마개를 개방할 수 있는 인입공과, 크라운마개를 오픈할 수 있는 금속편이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오프너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마개를 오픈할 수 있음에 따라, 보관이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함은 물론, 보관의 주위의 미관에 해를 입히지 않는 오프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에 따른 오프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 일측에 구성되고 내주면에 다수개의 파지돌기가 돌설된 보틀병마개개방부와; 상기 보틀병마개개방부의 타측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금속편이 끼움결합된 크라운마개개방부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된 자석과; 그리고, 상기 몸체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인입공을 따라 연장되며 개방된 내부를 갖는 금속캔 마개개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프너{OPENER}
본 고안은 음용수가 들어있는 금속캔과 보틀병(일명;PET병) 및 유리재질로 이루어진 음용수병의 상부에 구성된 크라운마개의 상부를 개방하는 데에 사용되는 오프너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몸체에 각각 금속캔과 보틀병 및 크라운마개를 개방할 수 있는 오픈수단을 구비하여 하나의 오프너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이 용이하고, 휴대하기가 간편하여 필요할 때에 항상 사용이 가능토록한 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 등이 들어있는 금속캔의 상부를 개방하여 금속캔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금속캔의 상부에 구성된 마개의 일측부에 구성된 개폐구를 손가락으로 들어 젖힌 후, 젖혀진 개폐구의 일측을 손으로 파지한 다음, 재차 젖혀 마개를 개방함으로써, 음료수를 음용하는 것이 보편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금속캔의 상부에 구성된 마개의 일측에 구성된 개폐구를 손가락으로 젖혀 무리하게 마개를 딸 때, 상기 개폐구에 의해 손톱이 찢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노출되며, 특히 미용을 중요시하는 여성들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금속캔의 마개를 개방할 때, 부러지는 손톱에 의해 매우 좋지 않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금속캔의 마개 개폐구를 손톱으로 젖히는 동작이 매우 힘을 가하는 동작임에 따라 힘이 비교적 약한 여성이나 노약자 및 어린이들은, 금속캔의 마개를 개방하여 음료수를 음용하기에 적지 않은 부담이 된다.
또한, PET병이라 불리우는 보틀병의 경우, 상기 보틀병내에 들어있는 음용수나 또는 식용유, 엿기름, 참기름, 간장 등과 같은 다양한 액상식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보틀병의 상부에 구성된 마개를 손으로 파지하고 일측방향으로 돌려 상기 마개를 개방하여야 하는데, 이 마개를 손으로 파지하여 개방할 때에, 적지 않은 힘이 들게 됨에 따라, 어린이나 노약자 및 여성들과 같이 완력이 적은 사용자들은, 상기 마개를 돌려 개방하기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이외에도 일명 크라운마개라 불리우는 마개를 오픈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오프너를 구비하여야 함에 따라, 마개에 맞는 오프너를 따로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식당등의 자력에 의해 부착이 가능한 예를들어, 냉장고등과 같은 가전제품의 전면부에 여러종류의 오프너가 부착되어 외관상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온다.
한편, 상기와 같이 금속캔이나 보틀병의 상부를 개방하기에 용이하도록 여러가지 오프너들이 안출되고는 있으나, 이들은, 각각 별도로 이루어짐에 따라 각각의 오프너를 구입하는데에 비용이 적지 않게 들고, 또한, 보관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휴대하기가 불편하여 널리 실용화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른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일시에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오프너에 금속캔의 마개를 개방할 수 있는 요입부와, 보틀병의 마개를 개방할 수 있는 인입공과, 크라운마개를 오픈할 수 있는 금속편이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오프너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마개를 오픈할 수 있음에 따라, 보관이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함은 물론, 보관의 주위의 미관에 해를 입히지 않는 오프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오프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오프너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오프너를 이용하여 보틀병마개를 개방하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오프너를 이용하여 음용수병의 크라운마개를 개방하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오프너를 이용하여 금속캔의 마개를 개방하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오프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오프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돌기
13 : 슬립방지부 20 : 보틀병마개 개방부
21 : 파지돌기 30 : 크라운마개 개방부
31 : 금속편 40 : 자석
50 : 금속캔마개 개방부 51 : 인입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오프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 일측에 구성되고 내주면에 다수개의 파지돌기가 돌설된 보틀병마개개방부와; 상기 보틀병마개개방부의 타측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금속편이 끼움결합된 크라운마개개방부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된 자석과; 그리고, 상기 몸체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인입공을 따라 연장되며 개방된 내부를 갖는 금속캔마개개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슬립방지부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하부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원형 돌기가 돌설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오프너는, 하나의 오프너를 이용하여 금속캔의 마개와 보틀병의 마개 및 크라운마개를 개방할 수 있음에 따라, 종류에 따라 따로이 오프너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보관이 용이하며 보관시 주위의 미관에 해를 끼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인 오프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오프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오프너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오프너(100)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저면부에 내부면에 다수개의 파지돌기(21)가 돌설되고, 원형상으로 형성된 보틀병마개 개방부(20)가 구성되고, 이 보틀병마개 개방부(20)와 대응되는 위치에 내부에 금속편(31)이 끼움 결합된 크라운마개 개방부(3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저면부에는 본 고안인 오프너를 자력이 미칠 수 있는 금속재로 된 물체 예를들어 냉장고 등에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석(40)이 매설되고, 인입공(51)을 따라 연장된 내부를 갖는 금속캔마개 개방부(50)가 상기 몸체(10)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오프니(100)는, 몸체(10)의 저면부에 보틀병의 마개를 오픈할 수 있는 보틀병마개 개방부(20)와, 크라운마개를 오픈할 수 있는 크라운마개 개방부(30)와, 그리고, 금속캔의 상부 마개를 개방할 수 있는 금속캔마개 개방부(50)가 각각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하나의 오프너를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마개를 개방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프너(100)를 이용하여 보틀병의 마개를 개방하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보틀병(60)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음료수의 대용량 판매를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식용유 간장 등과 같이 비교적 많은 용량의 식음용수를 판매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일명 PET병이라고도 한다.
본 고안인 오프너(100)를 이용하여 보틀병(60)의 상부에 구성되어, 이 보틀병(60)내에 수용된 액상식품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수단인 마개(61)를 개방하여 상기 액상식품을 사용하거나 음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오프너(100)의 몸체(10) 저면부 일측에 구성되고, 내주면에 다수개의 파지돌기(21)가 돌설된 보틀병마개 개방부(20)를, 상기 보틀병(60)의 마개(61)에 인입한 다음, 상기 몸체의 일측부를 파지하여, 좌 또는 우로 돌림으로써, 상기 보틀병(60)의 마개(61)를 개방한다.
상기 보틀병마개 개방부(20)를 보틀병(60)의 마개(61)에 인입한 후, 좌 또는 우로 돌림으로써 상기 보틀병의 마개(61)의 개방이 가능한 이유는, 상기 마개(61)가 인입되는 보틀병마개 개방부(20)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파지돌기(21)가 돌설되고, 이 파지돌기(21)가 상기 마개(61)의 외주면에 밀접됨에 따라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보틀병(60)내의 액상식품을 음용하거나 사용하고 난 이후에는 보틀병의 마개(61)를 손으로 어느 정도 까지는 돌려서 막은 다음, 본 고안인 오프너(100)를 상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상기 보틀병의 마개를 보틀병의 상부에 견고하게 조임으로써, 보틀병의 상부를 막은 후, 보관하면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오프너(100)를 이용하여 음용수병의 상부를 막고 있는 크라운마개를 개방하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맥주나 콜라 등과 같이 음용할 수 있는 음용수가 담겨진 병(70)의 상부를 막고 있는 크라운마개(71)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기 몸체(10)의 저면부에 구성된 크라운마개 개방부(30)에 상기 크라운마개(71)의 일측을 끼운 다음, 오프너(100)의 몸체(10)를 반대 방향으로 젖히게 되면, 상기 크라운마개(71)는별무리 없이 개방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크라운마개 개방부(30)에 금속편(31)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크라운마개(71)를 크라운마개 개방부(30)에 일측을 밀어 넣을 때, 크라운마개(71)의 일부가 상기 금속편(31)내로 걸리게 됨으로써,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오프너(100)의 몸체(10)를 반대방향으로 젖히게 되면 상기 크라운마개(71)는 별 무리 없이 개방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오프너(100)를 이용하여 금속캔(80)의 상부에 구성된 금속캔마개(81)를 개방할 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캔(80)의 내부에 들어있는 음료수를 음용하기 위해 상부에 구성된 금속캔마개(81)를 열고자 할 경우, 본 고안인 오프너(100)의 몸체(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인입공(51)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내부를 갖는 금속캔마개 개방부(50)의 상기 인입공(51)을 금속캔(80)의 금속캔마개(81) 일측에 구성된 개폐구(82)에 끼운 다음, 상기 몸체(10)를 들어올리면, 상기 개폐구(82)가 손쉽게 들어올려짐에 따라 금속캔(80)의 금속캔마개(81)가 개방된다.
따라서, 음용자는 상기 금속캔의 마개를 개방하기 위해 직접 손가락으로 마개의 일측에 구성된 개폐구를 들어올리지 않아도 됨에 따라 종전에 금속캔의 마개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외에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하부 둘레면을 따라 돌기(11)를 돌설할 경우, 이 돌기(11)를 이용하여 더욱 쉽게 금속캔의 마개를 개방할 수 있다. 즉, 금속캔(80)의 금속캔마개(81) 일측에 형성된 개폐구(82)의 밑 부분에 상기 돌기(11)를 끼움으로써, 상기 개폐구(82)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으며, 들어올려진개폐구(82)를 다시, 금속캔마개 개방부(50)의 최단측에 형성된 인입공(51)을 통해 금속캔마개 개방부(50)내에 인입한 후, 몸체(10)를 들어올림으로써, 금속캔마개(81)를 개방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인 오프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하부 둘레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홈에 의한 슬림방지부(13)를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 슬립방지부(13)에 의해 본 고안인 오프너(100)를 이용하여 각종 마개를 개방할 때에 몸체(10)의 파지를 더욱 용이하게 한다.
본 고안인 오프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시한 바에 의하면, 몸체(10)의 형상을 원형상으로 하여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 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상기 몸체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고안인 오프너의 몸체를 상부와 하부로 나뉘고, 상부와 하부간에 광고문구가 인쇄된 광고지를 삽입함으로써, 광고효과도 함께 나타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기 상부와 하부로 나뉘어진 몸체의 결합은 국한하는 것은 아니나, 상부몸체의 저면측에 끼움돌기를 돌설하고, 상기 하부몸체의 상면측에는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홈을 형성하여 끼움돌기와 끼움홈에 의한 끼움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재질로는, 고강도 합성수지재질로 이루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오프너의 중량이 가벼움에 따라 휴대하고 다니기에 별다른 무리가 없고, 실용적이며, 또한 생산단가의 절감을 가져옴에 따라 널리 실용화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오프너는, 하나의 몸체에 보틀병마개 개방부와 크라운마개 개방부 및 금속캔마개 개방부가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하나의 오프너를 이용하여 금속캔마개와 보틀병마개 및 음용수병의 상부에 구성된 크라운마개를 개방할 수 있음으로써, 마개의 종류에 따라 따로 구비하는데에 드는 비용의 절감은 물론, 별도로 구성된 자석에 의해 자력이 미치는 재질로 이루어진 물품 예를들어, 냉장고 등에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보관시 물품의 외관에 전혀 해를 주지 않는다.

Claims (3)

  1.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 일측에 구성되고 내주면에 다수개의 파지돌기가 돌설된 보틀병마개개방부와; 상기 보틀병마개개방부의 타측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금속편이 끼움결합된 크라운마개개방부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된 자석과: 그리고, 상기 몸체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인입공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며 개방된 내부를 갖는 금속캔마개개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슬립방지부가 방사상으로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부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원형 돌기가 더 돌설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너.
KR2020020010123U 2002-04-03 2002-04-03 오프너 KR2002818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123U KR200281841Y1 (ko) 2002-04-03 2002-04-03 오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123U KR200281841Y1 (ko) 2002-04-03 2002-04-03 오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841Y1 true KR200281841Y1 (ko) 2002-07-13

Family

ID=73120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123U KR200281841Y1 (ko) 2002-04-03 2002-04-03 오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8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3082A1 (ko) * 2013-08-12 2015-02-19 Lee Sung Jun 통조림 캔 제품을 안전하게 개구하는데 이용되는 안전오프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3082A1 (ko) * 2013-08-12 2015-02-19 Lee Sung Jun 통조림 캔 제품을 안전하게 개구하는데 이용되는 안전오프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7434B2 (en) Bottle, in particular adapted to contain beverages
US11279531B2 (en) Beverage can cap
US6957599B2 (en) Beverage bottle and can opener
US9821936B1 (en) Bottle cap with integrated bottle opener
KR200281841Y1 (ko) 오프너
US8544128B1 (en) Multi-task hand aid
KR200275245Y1 (ko) 오프너
KR200283728Y1 (ko) 개량 오프너
EP0909718A1 (en) Aseptic cap for containers of liquids
KR970003105Y1 (ko) 맥주 용기
JP2006290456A (ja) キャップオープナーつきボトル型易開栓容器
KR200209040Y1 (ko) 캔음료용다용도덮개
KR200314066Y1 (ko)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
KR200323811Y1 (ko) 다용도 병따개
WO2016015642A1 (zh) 一种瓶装饮料及其饮料瓶
KR200182113Y1 (ko) 빨대를 내장한 캔의 구조
KR200404155Y1 (ko) 음료용 캔 따개 및 음료용 캔
KR200174393Y1 (ko) 캔의 스트로 개봉구조
KR200292047Y1 (ko) 마개를 구비한 캔
KR200282183Y1 (ko) 캔용기의 오픈구조
KR200191415Y1 (ko) 음료수 캔
KR200331138Y1 (ko) 탄산음료 용기
KR200252140Y1 (ko) 병따개
KR200285707Y1 (ko) 생수 용기
KR200185557Y1 (ko) 병따개가 일체화 된 병 수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