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091Y1 -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 - Google Patents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091Y1
KR200428091Y1 KR2020060013807U KR20060013807U KR200428091Y1 KR 200428091 Y1 KR200428091 Y1 KR 200428091Y1 KR 2020060013807 U KR2020060013807 U KR 2020060013807U KR 20060013807 U KR20060013807 U KR 20060013807U KR 200428091 Y1 KR200428091 Y1 KR 2004280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andle
stopper
contain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민
Original Assignee
신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민 filed Critical 신재민
Priority to KR2020060013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0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0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0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combined with an open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병, 유리병 및 팩, 화장품용기 등과 같은 용기의 마개 상부에 결합할 수 있는 고정캡 측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손잡이를 형성하여 손잡이를 손으로 쥐고서 마개를 여는 경우 쉽게 열릴 수 있으며 고정캡 자체를 광고용으로 사용 경우 광고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여성, 노약자들이 용기 뚜껑을 쉽게 개폐할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를 얻기 위한 것인 바,
합성수지병, 유리병 및 팩과 같은 마개가 형성된 용기에 있어서, 마개 또는 고정캡에 상부에 1개 이상의 돌출된 절첩형 손잡이가 형성되어 측면에 절첩이 되도록 구성함으로 서,
노약자, 여성, 어린아이들도 쉽게 마개를 개폐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손잡이, 고정캡, 용기, 합성수지병, 유리병, 마개

Description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structure of fixed cap grapping a stopper for bottl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의 고정캡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의 고정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의 고정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의 고정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의 고정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의 고정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의 고정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의 고정캡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측면홈 16: 관통홈
20: 손잡이 22: 고정돌기
24: 고정홈 26: 걸림턱
30: 고정캡 50 : 고정캡
100: 용기
본 고안은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병, 유리병 및 팩, 화장품용기 등과 같은 용기의 마개 상부에 결합할 수 있는 고정캡 측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손잡이를 형성하여 손잡이를 손으로 쥐고서 마개를 여는 경우 쉽게 열릴 수 있으며, 또 마개에 고정캡을 끼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자체를 광고용으로 사용 경우 광고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여성, 노약자들이 용기 뚜껑을 쉽게 개폐할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바쁜 시간을 쪼개어 가정에서 음식을 만들어 먹는 시간 및 노동시간의 투자하기가 어렵다는 점을 이용하여 틈새시장으로 음식을 제조하여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제품의 판매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한 제품 가운데 음료수병, 용기, 화장품, 약병 등을 이용하고 있는데 어떻게 하면 쉽게 개폐할 수 있으며, 보관이 용이한 것에 대한 개발에 투자가 진행중 에 있다.
종래의 합성수지병, 유리병 및 팩 등과 같은 용기 마개는 마개의 열림에서 오는 저항력과 용기의 내부에 담겨있는 음료에 의한 접착력에 의하여 손으로 쥐고서 마개를 여는 경우 손에 상처를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합성수지병, 유리병 및 팩과 같은 용기의 마개는 마개를 열기 위하여 무리한 힘을 주는 경우 손목의 관절에 이상이 생길 수 있으며 마개 자체를 유아들이 입에 넣는 경우 마개를 삼키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합성수지병, 유리병 및 팩과 같은 용기 마개는 마개 자체를 광고용으로 사용 경우 광고로 활용할 수 있는 면적이 협소하여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병뚜껑을 개폐할 수 있는 것은 매우 복잡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합성수지병, 유리병 및 팩과 같은 용기의 마개 상부에 결합할 수 있는 고정캡 측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손잡이를 형성하여 손잡이를 손으로 쥐고서 마개를 여는 경우 쉽게 개폐할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 상부면에 광고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음료수병 등은 어린이들이 병뚜껑을 삼키는 불상사를 방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 또 다른 목적은 1개 이상 다수개의 손잡이를 형성하여 쉽게 개폐할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합성수지병, 유리병 및 팩과 같은 마개가 형성된 용기에 있어서, 마개에 상부에 1개 이상의 돌출된 절첩형 손잡이가 형성된 측면에 절첩이 되도록 구성하여 달성하였다.
본 고안의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는 마개에 끼워지도록 고정캡을 구성하고, 고정캡의 상부의 측면에 절첩형 손잡이를 구성하여 달성하였다.
본 고안의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는 고정캡의 측면에 갈라진 관통홈을 구성하여 마개의 사이즈가 달라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달성하였다.
본 고안의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는 절첩형 손잡이의 측면에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고정캡 또는 마개의 측면에 걸림홈에 끼워 고정하도록 구성하여 달성하였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는 1개 이상의 절첩형 손잡이(20)를 구성하여 용기의 마개를 쉽게 개폐할 수 있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으로 합성수지병, 유리병 및 팩과 같은 용기의 마개 상부에 1개 이상의 돌출된 절첩형 손잡이가 형성되어 절첩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개에 1개 이상의 절첩형 손잡이를 구성하여 누구나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마개(50)에 절첩형 손잡이(20)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 1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 2개, 도 3과 같이 손잡이 3개, 도 4와 같이 손잡이 4개, 도 5와 같이 손잡이 5개를 구성함으로 본원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알 수 있다.
도 6 내지 13에 도시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마개의 상부에 고정캡(30)을 끼워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이 되며 고정캡의 상부에 절첩형 손잡이(20)를 1개 이상 구성이 가능하다.
도 7에는 고정캡의 상부에 양 손잡이부를 형성한 구조이고, 도 8은 3개의 손잡이부를 도시한 구조이고, 도 9는 4개의 손잡이를 도시한 구조이고, 도 10은 5개의 손잡이를 도시한 구조로 손잡이의 수를 달리한 것도 본원고안의 청구범위에 포함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걸릴돌기(26)를 날개의 끝단에 형성하여 마개의 측면에 끼워주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고안이 사용할 수 합성수지병, 유리병 및 팩과 같은 용기의 마개 상부에 결합이 되도록 원통형 형태의 고정캡(30)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캡의 내경면에 걸림돌기(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절첩형 손잡이가 형성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손잡이가 형성된 병마개용 고정캡은 측면에 관통홈(16)이 형성되 며, 손잡이가 형성된 병마개용 고정캡은 측면 한쪽 또는 양쪽에 관통홈(16)이 형성되어 있어 마개(10)에 고정캡(30)을 씌우고자 하는 경우 일정한 탄력을 주어 마개(10)의 크기에 따라서 고정캡(30)이 확장될 수 있다.
도 12 내지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손잡이가 형성된 병마개용 고정캡은 다양한 형상으로 갖도록 손잡이(20)를 형성하고, 손잡이의 하부에 걸림돌기(22)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캡의 측면에 걸림홈(24)에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병마개용 고정캡(30)은 병마개(50) 상부에 끼울 수 있는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캡(30)의 내경면에는 걸림돌기(11)가 형성되어 있어 캡(30) 자체를 마개(1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마개가 열 수 있다. 본 고안의 고정캡(30)은 걸림돌기(11)가 톱니바퀴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있다.
본 고안의 고정캡(30)은 1개 이상의 손잡이(20)가 형성되어 있어 손가락으로 꼭 잡을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병마개(50)에 고정캡(30)을 끼운 상태에서 손으로 돌리면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쉽게 병마개(50)를 열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병마개용 고정캡(30)은 병마개(50)를 딴 상태에서 병안에 음료나 술이 남아있는 채로 보관하는 경우 병마개(50)에 고정캡(30)을 끼운 상태로 병을 뒤집어서 보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고정캡에서 손잡이는 고정캡의 측면 상단에 부착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다른 형태로는 고정캡의 측면에 측면홈(16)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홈(16)에 손잡이(20)가 내장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고정캡에 있어서 손잡이는 직사각형 형태, 반타원형 형태, 날개형 형태 또는 굽은 날개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고정캡에서 손잡이는 마개의 직각 방향으로 펼친 경우 광고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기 때문에 광고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고정캡은 손잡이를 펼친 경우 손잡이가 판판하게 형성되어 병을 뒤집어서 보관할 때 병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고정캡은 손잡이를 펼친 경우 병을 거꾸로 보관할 수 있으며 병을 거꾸로 보관하면 음료에 함유되어 있는 탄산가스와 향기가 그대로 보존되어 있고 병속의 탄산음료를 먹기 위해 병을 바로 뒤집으면 음료에 함유되어 있는 탄산가스와 향기가 그대로 보존된 채로 맛과 풍미를 그대로 즐길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고정캡은 병마개를 따는 병마개용 고정캡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음료, 켄터키치킨 및 피자를 포함하는 상품을 판매하면서 판매증진을 위한 판촉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병마개용 고정캡은 탄산가스와 향료가 함유되어 있는 청량음료, 가스주입음료, 맥주, 과일쥬스 또는 화장품류가 보관되어 있는 병의 병마개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본 고안의 고정캡으로 병마개를 고정한 상태에서 병을 거꾸로 세워 지지할 수 있으며 병안에 들어있는 음료 또는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고정캡으로 병마개를 고정한 상태에서 병을 거꾸로 세워 보관하면 병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가스누출이 억제되고, 내용물이 침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화장품의 경우 내용물을 완전히 전부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합성수지병, 유리병 및 팩, 화장품 등과 같은 용기의 마개 또는 마개의 고정캡의 상부에 결합할 수 있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손잡이를 형성하여 손잡이를 손으로 쥐고서 마개를 여는 경우 쉽게 열릴 수 있으며 마개 또는 고정캡 자체를 광고용으로 사용 경우 광고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어린이들이 병뚜껑을 삼키는 불상사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사용자가 편리하게 마개를 개폐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식품산업 및 광고산업상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합성수지병, 유리병 및 팩과 같은 마개가 형성된 용기에 있어서,
    마개 또는 마개의 고정캡의 상부에 1개 이상의 돌출된 절첩형 손잡이가 형성하여 측면으로 절첩이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의 측면에 갈라진 관통홈을 구성하여 마개의 사이즈가 달라도 삽 입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형 손잡이는 측면에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고정캡 또는 마개의 측면에 걸림홈에 끼워 고정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
KR2020060013807U 2006-05-23 2006-05-23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 KR2004280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807U KR200428091Y1 (ko) 2006-05-23 2006-05-23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807U KR200428091Y1 (ko) 2006-05-23 2006-05-23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091Y1 true KR200428091Y1 (ko) 2006-10-09

Family

ID=49297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807U KR200428091Y1 (ko) 2006-05-23 2006-05-23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0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2497B2 (en) Container facilitating mixed beverage preparation
US20060196895A1 (en) Tube and orifice having a valve function
US20080169356A1 (en) Tube and Orifice Having a Valve Function
US20010022304A1 (en) Container
US20070102308A1 (en) Snack container
JP2013533174A (ja) 液体容器
US20110011823A1 (en) Two-part bottle
US20170320716A1 (en) Tool for removal and closure of bottle and container caps
US20180237186A1 (en) Individual beverage bottle accessory
KR200428091Y1 (ko)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마개
JP2006321540A (ja) 飲料用ボトル
KR200422322Y1 (ko) 손잡이가 형성된 병마개용 고정캡
JP4866249B2 (ja) 飲料パッキング・ユニット
KR200432667Y1 (ko) 희석식 음료용기
CN205150742U (zh) 饮料瓶
KR101392957B1 (ko) 저장부를 갖는 용기 뚜껑
KR20080028249A (ko) 희석식 음료용기
CN205916448U (zh) 一种新型双瓶容器
KR200417757Y1 (ko) 손잡이가 형성된 마개
KR200331710Y1 (ko) 용기
KR20070000613U (ko) 커플 음료수 페트병 및 그 내부 뚜껑
KR200323811Y1 (ko) 다용도 병따개
JP3140333U (ja) 吸飲管付き飲料物用容器
WO2016015642A1 (zh) 一种瓶装饮料及其饮料瓶
KR200281841Y1 (ko) 오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