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010Y1 - 1회용 병따개 - Google Patents

1회용 병따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010Y1
KR200298010Y1 KR2020020023720U KR20020023720U KR200298010Y1 KR 200298010 Y1 KR200298010 Y1 KR 200298010Y1 KR 2020020023720 U KR2020020023720 U KR 2020020023720U KR 20020023720 U KR20020023720 U KR 20020023720U KR 200298010 Y1 KR200298010 Y1 KR 200298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bottle opener
lid
disposable
op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7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민
Original Assignee
이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민 filed Critical 이창민
Priority to KR20200200237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0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01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1회용 병따개에 관한 것으로서, 유리병에 병따개가 설치되어 편리성을 최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음료수, 주류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유리병(10) 일측에 철(鐵)로 가공되어 측면 주름 압입(壓入) 방식(왕관 형태의 마개)으로 뚜껑(20)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20)을 개방시키는 1회용 병따개(30)가 유리병(1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1회용 병따개(30)는 상기 유리병(10) 상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쌍의 링(31)과, 상기 한쌍의 링(31) 사이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 링(31)을 상측으로 승강시켜 상기 뚜껑(20)을 개방시키는 누름레버(33)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1회용 병따개{Disposable bottle opener}
본 고안은 철(鐵)로 가공되어 측면 주름 압입(壓入) 방식의(왕관 형태의 마개) 뚜껑을 채용하고 음료수, 주류 및 기타 액체를 수용하는 유리병에서 병 뚜껑을 따는 병따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병에 부설된 1회용 병따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상기한 유리병(1)에 들어있는 음료수, 주류 및 기타 액체를 섭취하거나 사용하기 위하여 철(鐵)로 가공되어 측면 주름 압입(壓入) 방식(왕관 형태의 마개)의 뚜껑(2)을 따는 방법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병따개인 일명 오프너(opener; 이하 스펠링 생략)(3)를 사용하여 오프너의 3a 부분이 병 뚜껑(2) 상면에 지지되고 병 뚜껑 플랜지(flange; 이하 스펠링 삭제) 부분이 오프너의 3b 부분에 받쳐진 상태에서 손잡이를 들어 올리면 병 뚜껑 주름부가 펴지면서 병 뚜껑(2)이 따지게 된다.
하지만, 오프너(3)를 미처 갖추지 못한 경우에 이빨을 이용하여 따거나, 젓가락을 이용 지렛대 원리 방식으로 따거나, 기타 물체의 모서리를 이용한 순간 타격에 의한 방법이 있지만 소수의 사람만이 할 수 있는방법으로서, 이러한 불편함과 문제점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여성이나 미성년자의 경우는 철(鐵)로 가공되어 측면 주름 압입(壓入) 방식의(왕관 형태의 마개) 뚜껑(2)을 채용한 상품의 애용을 꺼려하게 된다. 또한 여러 사람이 모이는 회식 자리에서의 경우는 특히 주류인 맥주가 해당되는데 오프너를 찾다가 없으면 섭취를 일단 포기하고 기다린 후 섭취함에 따라 상품의 소비 측면에서도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피하기 위하여 유리병을 사용한 상품을 제조하는 회사에서는 회전 열림 방식 병 뚜껑을 선호하게 되며 이는 제조 원가 상승 문제가 있는 것이며, 회전식 알루미늄 뚜껑은 사용의 편리성은 있지만 날카로운 절단면에 상처를 입는 피해가 철(鐵)로 제조되어 주름 압입(壓入) 방식의(왕관 형태의 마개) 뚜껑보다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미도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유리병에 병따개가 설치되어 편리성을 최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1회용 병따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액체를 수용하는 유리병 상부에 철(鐵)로 가공되어 측면 주름 압입(壓入) 방식(왕관 형태의 마개)으로 형성되는 뚜껑을 개봉하는 병따개에 있어서, 상기 유리병 상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쌍의 링과, 상기 한쌍의 링 사이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 링을 상측으로 승강시켜 상기 뚜껑을 개방시키는 누름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병따개.
도 1은 종래의 병 뚜껑을 따는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유리병에 부설된 1 회용 병따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병 뚜껑을 따는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1회용 병따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유리병 20: 뚜껑
30: 1회용 병따개 31: 링
33: 누름레버 35, 37: 힌지
본 고안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료수, 주류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유리병(10) 일측에 철(鐵)로 가공되어 측면 주름 압입(壓入) 방식(왕관 형태의 마개)으로 뚜껑(20)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20)을 개방시키는 1회용 병따개(30)가 유리병(1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1회용 병따개(30)는 상기 유리병(10) 상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쌍의 링(31)과, 상기 한쌍의 링(31) 사이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 링(31)을 상측으로 승강시켜 상기 뚜껑(20)을 개방시키는 누름레버(33)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누름레버(33)는 중앙을 중심으로 힌지(35)를 매개로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누름레버(33) 양단은 상기 상하부의 링(31)과 힌지(37)로 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누름레버(33) 일측에 외력을 가한다. 그러면,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누름레버(33)는 힌지(35)를 매개로 하여 회동하여 절첩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레버(33)가 절첩되면 상기 누름레버(33) 일측에 힌지(37)로 연결된 상기 상부 링(31)이 유리병(10) 외주면을 따라 상측으로 승강하게 되어 상기 뚜껑(20)에 외력을 가하게 한다.
즉, 상기 누름레버(33) 일측에 가한 외력이 상기 링(31)을 통해 상기 뚜껑(20)에 전달되어 상기 유리병(10)으로 부터 상기 뚜껑(20)을 이탈시켜 유리병(10)의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1회용 병따개가 유리병에 일체로 설치되어 유리병의 병 뚜껑을 따기 위해 병따개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1회용 병따개는 적은 힘으로 병 뚜껑이 상기 유리병으로 부터 손쉽게 개방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액체를 수용하는 유리병(10) 상부에 철(鐵)로 가공되어 측면 주름 압입(壓入) 방식(왕관 형태의 마개)으로 형성되는 뚜껑(20)을 개봉하는 병따개에 있어서,
    상기 유리병(10) 상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쌍의 링(31)과,
    상기 한쌍의 링(31) 사이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 링(31)을 상측으로 승강시켜 상기 뚜껑(20)을 개방시키는 누름레버(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병따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레버(33)는 중앙에 힌지(35)를 매개로 절첩 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누름레버(33) 양단에 상기 상,하부의 링(31)과 힌지(37)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병따개.
KR2020020023720U 2002-08-08 2002-08-08 1회용 병따개 KR200298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720U KR200298010Y1 (ko) 2002-08-08 2002-08-08 1회용 병따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720U KR200298010Y1 (ko) 2002-08-08 2002-08-08 1회용 병따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010Y1 true KR200298010Y1 (ko) 2002-12-18

Family

ID=73127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720U KR200298010Y1 (ko) 2002-08-08 2002-08-08 1회용 병따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0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3172A (en) Non-slip closure grip for jar lids and the like
KR200298010Y1 (ko) 1회용 병따개
KR200307944Y1 (ko) 투명위생커버가 끼워진 음료수캔 용기
KR20080009250A (ko)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
KR20080029988A (ko)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
US8960487B1 (en) Beverage can with integral tab lifter
KR200251064Y1 (ko) 병 뚜껑을 따는 받침 기능을 갖는 유리병
JP2011098749A (ja) キャップ開放具
US7370557B2 (en) Bottle opener with cap storage and replacement capabilities
KR200435197Y1 (ko)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
US20160137362A1 (en) Cap attachment for drinking from cans
RU70649U1 (ru) Бутылка
RU32755U1 (ru) Банка для напитков
KR200435196Y1 (ko)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
KR200174393Y1 (ko) 캔의 스트로 개봉구조
CN210654409U (zh) 一种酒具瓶口
CN219044555U (zh) 一种螺纹式环保盖
KR200275245Y1 (ko) 오프너
KR200430763Y1 (ko)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병뚜껑
CN210261035U (zh) 一种便携式开瓶器
KR200185009Y1 (ko) 음료수용기 손잡이
CN2219863Y (zh) 一次性使用的酒瓶
KR200251063Y1 (ko) 병따개 기능을 갖춘 유리병
KR200224225Y1 (ko) 용기 마개
KR200171247Y1 (ko) 캔 결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