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4660A -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 Google Patents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14660A KR20020014660A KR1020010018086A KR20010018086A KR20020014660A KR 20020014660 A KR20020014660 A KR 20020014660A KR 1020010018086 A KR1020010018086 A KR 1020010018086A KR 20010018086 A KR20010018086 A KR 20010018086A KR 20020014660 A KR20020014660 A KR 200200146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piece
- cutting piece
- cutting
-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6—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push-down and pull-out tear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내에 음료수 또는 맥주 등이 담겨지는 금속재 캔용기에 관한 것으로, 취출구의 개방구조를 개선하여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취출구를 보다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판(1)에 절취선(3)을 따라 절취편(2)이 형성되고, 상기 절취편에는 손잡이(4a)를 갖는 개봉구(4)가 리벳(5)으로 고정된 것에 있어서, 상판(1)의 중심부에 위치되게 비절취부(3a)가 형성된 절취편(2)상에 보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절취편(2)의 초기 개봉측에는 개봉구(4)가 회전가능하게 리벳(5)으로 고정되어 절취편(2)의 개봉전에는 개봉구(4)가 절취편(2)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기내에 음료수 또는 맥주 등이 담겨지는 금속재 캔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취출구의 개방구조를 개선하여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취출구를 보다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캔용기는 얇은 강판이나, 알루미늄 합금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캔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을 충진한 다음 상판을 시이밍(Seaming) 등의 성형방법으로 밀폐시켜 포장하게 된다.
상기 상판에는 상판에 구비된 절취편을 개방하여 캔용기내의 내용물을 인출시키기 위한 개방구조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상판(1)의 중심부로부터 편심된 부위에 물방울 형태의 절취편(2)이 절취선(3)을 따라 상판(1)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절취편의 일측에는 손잡이(4a)를 갖는 개봉구(4)가 상기 절취편과 리벳(5)으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캔용기내에 담겨진 내용물을 마시기 위해 개봉구(4)의 손잡이(4a)를 잡고 개봉구(4)를 젖히면 상기 개봉구에 형성된 지지편(4b)이 상판(1)에 지지된 상태로 젖혀지게 되므로 절취편(2)의 일측이 절취선(3)을 따라 상판(1)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개봉구(4)의 젖힘 동작으로 절취편(2)이 상판(1)으로부터 약간 절취되고 나면 손가락을 개봉구(4)의 손잡이(4a)내에 완전히 끼우고 상기 개봉구(4)를 절취편(2)의 절취선(3)을 따라 힘껏 당기면 상기 절취편(2)이 절취선(3)을 따라 상판(1)으로부터 도 1과 같이 완전히 절취되어 취출구(6)가 개방되므로 상기 취출구를 통해 캔용기내에 담겨진 내용물을 마실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캔용기는 상판(1)으로부터 절취편(2)을 절취하는데 많은 힘이 들게 되었음은 물론 취출구(6)의 개방시 부주의로 취출선(3)을 따라 절취되는 절취편(2)의 가장자리인 날카로운 부위에 의해 손가락이 찢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다.
또한, 상판(1)으로부터 분리된 절취편(개봉구가 리벳으로 고정되어 있음)을 사용자가 아무데나 마구 버려 주위를 오염시키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봉구(4)를 젖히는 동작에 의해 취출구(6)가 개방됨과 동시에 개봉구(4)와 연결된 절취편(2)이 취출구(6)를 통해 캔용기의 내부로 수용되는 타입(type)으로 바꾸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2는 종래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판(1)에 절취선(3)이 대략 "U"형상으로 프레싱되어 있고 비절취선과 인접된 상판(1)에는 누름부(4c) 및 손잡이(4a)를 갖는 개봉구(4)가 리벳(5)으로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개봉구(4)에는 손잡이(4a)를 파지한 상태에서 개봉구(4)가 젖혀짐에 따라 리벳(5)이 고정된 인접부위가 하방으로 꺽이도록 절곡부(4d)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판(1)에 구비된 취출구(6)를 개방하기 위해 상판(1)과 개봉구(4)사이에 손가락을 집어 넣은 상태에서 손잡이(4a)를 들어 올리면 손잡이의 반대편에 위치된 누름부(4c)가 절취편(2)을 눌러주게 되므로 절취편(2)이 절취선(3)을 따라 절취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4a)를 파지한 상태에서 개봉구(4)를 더욱 접혀주면 절곡부(4d)를 따라 누름부(4c)가 절곡되면서 절취편(2)을 하방으로 눌러주게 되므로 도 3과 같이 취출구(6)가 완전히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측으로 젖혔던 개봉구(4)를 초기상태로 환원시키더라도 절곡부(4d)에 의해 개봉구(4)만이 환원되고 상판(1)의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캔용기내에 수용되어 있던 절취편(2)은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여 취출구(6)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도 4와 같이 취출구(6)를 통해 내용물을 마실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캔용기 또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절취편(2)의 상면을 눌러주는 누름부(4c)를 길게 형성할 경우 개봉구(4)의 강도 유지에 한계가 있어 절취편(2)의 절취 동작시 절취편이 변형되어 취출구(6)를 개방하지 못하게 되므로 누름부(4c)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개봉구(4)를 젖혀 절취편(2)을 절곡시키는데 많은 힘을 필요로 하므로 노약자나 어린이들이 캔용기의 내용물을 마시는데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었다.
둘째, 개봉구(4)의 젖힘 동작에 따라 절취편(2)이 하향 절곡되어 캔용기내에 수용되므로 유통중에 오염된 절취편(2)의 상면이 내용물내에 잠기게 되므로 비위생적이다.
셋째, 취출구(6)의 개방시 절취편(2)이 하향 절곡되므로 캔용기의 내부에 내용물의 음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스트롱 또는 안내편과 같은 보조수단을 설치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지렛대원리를 이용하여 원터치 동작으로 절취편을 상판의 상측으로 절취시켜 취출구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취출구의 내부에 내용물의 음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스트롱 또는 안내편과 같은 보조수단을 설치하여 절취편의 상향 절곡시 보조수단이 상판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부 종단면도로서, 취출구가 개방된 상태도
도 4는 캔용기내의 음료를 마시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의 종단면도로서,
도 7a는 개봉구의 젖힘 동작으로 절취편이 약간 개방된 상태도
도 7b는 개봉구를 180°회전시킨 상태도
도 7c는 계속되는 개봉구의 젖힘 동작으로 절취편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도 8a는 안내편이 절취편의 저면에 접착 고정된 상태도
도 8b는 개봉구의 젖힘 동작으로 절취편의 저면에 접착되어 있던 안내편이 취출구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도
도 9는 캔용기를 뒤집어 내용물이 안내편에 의해 인출되는 상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판 2 : 절취편
3 : 절취선 3a : 비절취부
4 : 개봉구 6 : 취출구
10 : 안내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상판에 절취선을 따라절취편이 형성되고, 상기 절취편에는 손잡이를 갖는 개봉구가 리벳으로 고정된 것에 있어서, 상판의 중심부에 위치되게 비절취부가 형성된 절취편상에 보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절취편의 초기 개봉측에는 개봉구가 회전가능하게 리벳으로 고정되어 절취편의 개봉전에는 개봉구가 절취편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5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의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 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판(1)의 중심부에 위치되게 비절취부(3a)가 구비되게 물방울형상의 절취선(3)이 프레싱되어 취출구(6)의 개방시 절취편(2)이 상판(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절취선(3)의 형태를 취출구(6)의 초기 개방시 절취편(2)을 적은 힘으로 이탈시킬 수 있도록 물방울형상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U"자형상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한 형태를 갖는 절취편(2)의 일측, 즉 비절취부(3a)의 반대편측에 손잡이(4a)를 갖는 고리형상의 개봉구(4)가 회전가능하게 리벳(5)으로 결합되어 절취편(2)을 개방하기 전(유통과정)에는 개봉구(4)가 도 6과 같이 절취편(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절취편(2)상에는 취출구(6)의 개방시 지렛대역할을 하는 보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강수단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취편(2)의 전체를 상향 또는 하향 만곡되게 형성하여 개봉구의 젖힘 동작시 절취편(2)이 절취부위상에서 절곡되지 않도록 구성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절취편(2)상에 상향 또는 하향 돌출되는 복수개의 비드부를 물결형상 또는 직선, 곡선형상으로 개봉구(4)까지 연장되게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기 보강수단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5 및 도 6과 같이 절취편(2)의 상면으로 만곡되게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이 절취편(2)의 절취동작시 개봉구(4)의 일단이 지지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9는 캔용기를 뒤집어 내용물이 안내편에 의해 인출되는 상태도로서, 상기 상판(1)의 저면에 안내편(10)의 플랜지(10a)가 절취편(2)의 외주면에 위치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안내편(10)의 중심부위는 도 10a에 점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절취편(2)의 저면에 식품에 무해한 용도로 사용되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절취편(2)의 개방전에는 안내편(10)이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내에 담겨진 내용물을 마시기 위해서는 절취선(3)을 따라 절취편(2)을 절취하여 취출구(6)를 개방하여야 된다.
이를 위해서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도 7a와 같이 개봉구(4)가 절취편(2)의 상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과, 검지 및 중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손잡이(4a)를 파지한 다음 상기 개봉구(4)를 상방향으로 들어 올리면 절취편(2)의 초기 개봉부위가 하방으로 눌리게 되므로 개봉구(4)와 고정된 취출편(2)의 일측이 도 7a와 같이 취출선(3)을 따라 절취되므로 취출구(6)가 개방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취출편(2)의 일측이 절취되어 취출구(6)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개봉구(4)를 도 7b와 같이 180°회전시켜 개봉구가 캔용기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면 상기 개봉구의 일단이 상향 만곡된 절취편(2)의 상면에 접속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개봉구(4)를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주면 절취편(2)상에 만곡부 또는 비드부가 형성되어 있어 절취선(3)을 따라 상판(1)으로부터 절취되는 절취편(2)이 밴딩되지 않고 도 7c와 같이 비절취부(3a)를 기준으로 상향 절곡되므로 취출구(6)가 완전히 개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취출구(6)가 개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1)의 저면에 안내편(10)을 부착한 경우에는 상판(1)으로부터 절취편(2)의 절취시 안내편의 중심부가 절취편(2)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안내편의 플랜지(10a)는 상판(1)의 저면에 부착 고정되어 있어 절취편(2)이 어느 정도 절취되는 동안에는 안내편(10)의 일측 중심이 절취편(2)에 고정되어 있어 취출구(6)를 통해 상판(1)의 상측으로 노출되었다가 상기 안내편의 인출이 완료된 상태에서 절취편(2)을 더욱 상방향으로 젖히면 절취편(2)에 부착되어 있던 부위가 절취편(2)으로부터 분리되어 도 9와 같은 상태가 되므로 상기 취출구(6)의 외부로 노출된 안내편(10)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보다 편리하게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캔용기의 취출구 개봉구조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개봉구(4)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는 동작에 의해 지렛대 원리가 적용되므로 상판(1)으로부터 절취편(2)이 분리되어 취출구(6)가 개방되므로 비교적 손가락 힘이 적은 노약자나 어린이들도 캔용기내의 내용물을 손쉽게 마실 수 있게 된다.
둘째, 개봉구(4)의 젖힘 동작에 따라 절취편(2)이 상향 절곡되므로 유통중에 오염된 절취편(2)이 내용물내에 잠길 우려가 없어 위생적이다.
셋째, 취출구(6)의 개방시 절취편(2)이 상향 절곡되므로 캔용기의 내부에 내용물의 음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스트롱 또는 안내편(10)과 같은 보조수단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 상판에 절취선을 따라 절취편이 형성되고, 상기 절취편에는 손잡이를 갖는 개봉구가 리벳으로 고정된 것에 있어서, 상판의 중심부에 위치되게 비절취부가 형성된 절취편상에 보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절취편의 초기 개봉측에는 개봉구가 회전가능하게 리벳으로 고정되어 절취편의 개봉전에는 개봉구가 절취편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보강수단이 절취편상에 상향 또는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만곡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보강수단이 절취편상에 물결형상 또는 직선형상으로 상향 또는 하향 돌출된 복수개의 비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상판의 저면에 플랜지가 절취편의 외주면에 위치되게 고정되고 중심부위는 절취편의 저면에 고정되게 안내편을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18086A KR20020014660A (ko) | 2001-04-04 | 2001-04-04 |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18086A KR20020014660A (ko) | 2001-04-04 | 2001-04-04 |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23360U Division KR200210336Y1 (ko) | 2000-08-17 | 2000-08-17 |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14660A true KR20020014660A (ko) | 2002-02-25 |
Family
ID=19707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18086A KR20020014660A (ko) | 2001-04-04 | 2001-04-04 |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14660A (ko) |
-
2001
- 2001-04-04 KR KR1020010018086A patent/KR20020014660A/ko active IP Right Gr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45866B2 (en) | Container | |
AU2012332214C1 (en) | Vented metallic container end closure | |
US3795342A (en) | Stowable tab and tear strip | |
US3326406A (en) | Easy opening can end | |
WO2008023983A1 (en) | Sealing element for a drinks can, and drinks can provided with such a sealing element | |
JPH0146384B2 (ko) | ||
US10968009B2 (en) | Constructive arrangement for the opening of a beverage can | |
US6443324B1 (en) | Beverage container with self-contained straw | |
JP3923071B1 (ja) | イージーオープン型缶とその開口方法 | |
US3327891A (en) | Can end with inseparable tear strip | |
KR200210336Y1 (ko) |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 |
US6471101B1 (en) | Spout and its assembly with a receptacle | |
KR200209060Y1 (ko) |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 |
KR20020014660A (ko) |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 |
KR20020009392A (ko) |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 |
US4200198A (en) | Can top opener | |
US3172558A (en) | Container with improved easy-open end | |
US20210245921A1 (en) | Beverage can and lid thereof | |
KR100634345B1 (ko) | 음료 캔의 밀봉 탭구조 | |
KR19980027611U (ko) | 금속재 음료용기 | |
US3338460A (en) | Containers | |
KR200332933Y1 (ko) | 음료 캔의 밀봉 탭구조 | |
GB1590580A (en) | Containers | |
KR200241713Y1 (ko) | 음료수용 팩 | |
KR20050001703A (ko) | 캔용기의 오프너용 탭어셈블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8 |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