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060Y1 -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 Google Patents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060Y1
KR200209060Y1 KR2020000020814U KR20000020814U KR200209060Y1 KR 200209060 Y1 KR200209060 Y1 KR 200209060Y1 KR 2020000020814 U KR2020000020814 U KR 2020000020814U KR 20000020814 U KR20000020814 U KR 20000020814U KR 200209060 Y1 KR200209060 Y1 KR 2002090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iece
cutting
cutting piec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8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명수
Original Assignee
염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명수 filed Critical 염명수
Priority to KR20200000208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0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0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060Y1/ko

Links

Landscapes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내에 음료수 또는 맥주 등이 담겨지는 금속재 캔용기에 관한 것으로, 취출구의 개방구조를 개선하여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취출구를 보다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판(1)에 절취선(3)을 따라 절취편(2)이 형성되고, 상기 절취편에는 손잡이(4a)를 갖는 개봉구(4)가 리벳(5)으로 고정된 것에 있어서, 개봉구(4)가 고정된 반대편측의 절취편(2)에 비절취부(3a)가 구비되고, 절취편상에는 보강수단이 구비된 것이다.

Description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본 고안은 용기내에 음료수 또는 맥주 등이 담겨지는 금속재 캔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취출구의 개방구조를 개선하여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취출구를 보다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캔용기는 얇은 강판이나, 알루미늄 합금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캔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을 충진한 다음 상판을 시이밍(Seaming) 등의 성형방법으로 밀폐시켜 포장하게 된다.
상기 상판에는 상판에 구비된 절취편을 개방하여 캔용기내의 내용물을 인출시키기 위한 개방구조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상판(1)의 중심부로부터 편심된 부위에 물방울 형태의 절취편(2)이 절취선(3)을 따라 상판(1)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절취편의 일측에는 손잡이(4a)를 갖는 개봉구(4)가 상기 절취편과 리벳(5)으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캔용기내에 담겨진 내용물을 마시기 위해 개봉구(4)의 손잡이(4a)를 잡고 개봉구(4)를 젖히면 상기 개봉구에 형성된 지지편(4b)이 상판(1)에 지지된 상태로 젖혀지게 되므로 절취편(2)의 일측이 절취선(3)을 따라 상판(1)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개봉구(4)의 젖힘 동작으로 절취편(2)이 상판(1)으로부터 약간 절취되고 나면 손가락을 개봉구(4)의 손잡이(4a)내에 완전히 끼우고 상기 개봉구(4)를 절취편(2)의 절취선(3)을 따라 힘껏 당기면 상기 절취편(2)이 절취선(3)을 따라 상판(1)으로부터 도 1과 같이 완전히 절취되어 취출구(6)가 개방되므로 상기 취출구를 통해 캔용기내에 담겨진 내용물을 마실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캔용기는 상판(1)으로부터 절취편(2)을 절취하는데 많은 힘이 들게 되었음은 물론 취출구(6)의 개방시 부주의로 취출선(3)을 따라 절취되는 절취편(2)의 가장자리인 날카로운 부위에 의해 손가락이 찢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다.
또한, 상판(1)으로부터 분리된 절취편(개봉구가 리벳으로 고정되어 있음)을 사용자가 아무데나 마구 버려 주위를 오염시키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봉구(4)를 젖히는 동작에 의해 취출구(6)가 개방됨과 동시에 개봉구(4)와 연결된 절취편(2)이 취출구(6)를 통해 캔용기의 내부로 수용되는 타입(type)으로 바꾸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2는 종래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판(1)에 절취선(3)이 대략 'U'형상으로 프레싱되어 있고 비절취선과 인접된 상판(1)에는 누름부(4c) 및 손잡이(4a)를 갖는 개봉구(4)가 리벳(5)으로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개봉구(4)에는 손잡이(4a)를 파지한 상태에서 개봉구(4)가 젖혀짐에 따라 리벳(5)이 고정된 인접부위가 하방으로 꺽이도록 절곡부(4d)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판(1)에 구비된 취출구(6)를 개방하기 위해 상판(1)과 개봉구(4)사이에 손가락을 집어 넣은 상태에서 손잡이(4a)를 들어 올리면 손잡이의 반대편에 위치된 누름부(4c)가 절취편(2)을 눌러주게 되므로 절취편(2)이 절취선(3)을 따라 절취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4a)를 파지한 상태에서 개봉구(4)를 더욱 접혀주면 절곡부(4d)를 따라 누름부(4c)가 절곡되면서 절취편(2)을 하방으로 눌러주게 되므로 도 3과 같이 취출구(6)가 완전히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측으로 젖혔던 개봉구(4)를 초기상태로 환원시키더라도 절곡부(4d)에 의해 개봉구(4)만이 환원되고 상판(1)의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캔용기내에 수용되어 있던 절취편(2)은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여 취출구(6)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도 4와 같이 취출구(6)를 통해 내용물을 마실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캔용기 또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절취편(2)의 상면을 눌러주는 누름부(4c)를 길게 형성할 경우 개봉구(4)의 강도 유지에 한계가 있어 절취편(2)의 절취 동작시 절취편이 변형되어 취출구(6)를 개방하지 못하게 되므로 누름부(4c)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개봉구(4)를 젖혀 절취편(2)을 절곡시키는데 많은 힘을 필요로 하므로 노약자나 어린이들이 캔용기의 내용물을 마시는데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었다.
둘째, 개봉구(4)의 젖힘 동작에 따라 절취편(2)이 하향 절곡되어 캔용기내에 수용되므로 유통중에 오염된 절취편(2)의 상면이 내용물내에 잠기게 되므로 비위생적이다.
셋째, 취출구(6)의 개방시 절취편(2)이 하향 절곡되므로 캔용기의 내부에 내용물의 음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스트롱 또는 안내편과 같은 보조수단을 설치할 수 없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지렛대원리를 이용하여 원터치 동작으로 절취편을 상판의 상측으로 절취시켜 취출구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취출구의 내부에 내용물의 음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스트롱 또는 안내편과 같은 보조수단을 설치하여 절취편의 제거시 보조수단이 상판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부 종단면도로서, 취출구가 개방된 상태도
도 4는 캔용기내의 음료를 마시는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 - A선 확대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도 5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서,
도 7a는 개봉구의 젖힘 동작으로 절취편이 약간 개방된 상태도
도 7b는 계속되는 개봉구의 젖힘 동작으로 절취편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도 8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서,
도 9a는 개봉구의 젖힘 동작으로 절취편이 약간 개방된 상태도
도 9b는 계속되는 개봉구의 젖힘 동작으로 절취편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도 10a는 안내편이 절취편의 저면에 접착 고정된 상태도
도 10b는 개봉구의 젖힘 동작으로 절취편의 저면에 접착되어 있던 안내편이 취출구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도
도 11은 캔용기를 뒤집어 내용물이 안내편에 의해 인출되는 상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판 2 : 절취편
3 : 절취선 3a : 비절취선
4 : 개봉구 6 : 취출구
7 : 비드부 8 : 보강편
9 : 요입홈 10 : 안내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상판에 절취선을 따라 절취편이 형성되고, 상기 절취편에는 손잡이를 갖는 개봉구가 리벳으로 고정된 것에 있어서, 개봉구가 고정된 반대편측의 절취편에 비절취부가 구비되고, 절취편상에는 보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5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 A선 확대 단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도 5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구성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상판(1)에 물방울형태의 절취선(3)이 프레싱되어 있고 상기 절취선의 끝부분에는 비절취부(3a)가 구비되어 취출구(6)의 개방시 절취편(2)이 상판(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절취선(3)의 형태를 취출구(6)의 초기 개방시 절취편(2)을 적은 힘으로 이탈시킬 수 있도록 물방울형태로 예시하고 있으나, 'U'자 형상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한 형태를 갖는 절취편(2)의 일측, 즉 비절취부(3a)의 반대편측에 손잡이(4a)를 갖는 고리형상의 개봉구(4)가 리벳(5)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절취편(2)상에는 취출구(6)의 개방시 지렛대역할을 하는 보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강수단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취편(2)상에 복수개의 비드부(7)를 주름형상으로 개봉구(4)까지 연장되게 형성하여 개봉구의 젖힘 동작시 절취편(2)이 절취부위상에서 절곡되지 않도록 구성하였으나, 상기 비드부(7)를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 8 및 도 9와 같이 개봉구(4)로부터 절취편(2)상으로 보강편(8)을 연장되게 형성하여 상기 보강편상에 복수개의 비드부(7)를 주름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개봉구(4)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된 보강편(8)상에 비드부(7)를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보강편(8)을 절취편(2)상에 스폿 용접 고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취출구(6)를 개방하기 위해 개봉구(4)를 젖히는 동작시 절취편(2)을 상판(1)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절취편(2)의 개방부위측으로는 개방된 절취편(2) 및 개봉구(4)가 수용되는 요입홈(9)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판(1)으로부터 분리된 절취편(2)의 가장자리가 날카로워 내용물을 마시거나, 캔용기의 휴대시 부주의에 의해 손가락이 찢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캔용기를 뒤집어 내용물이 안내편에 의해 인출되는 상태도로서, 상기 상판(1)의 저면에 안내편(10)의 플랜지(10a)가 절취편(2)의 외주면에 위치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안내편(10)의 중심부위는 도 10a에 점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절취편(2)의 저면에 식품에 무해한 용도로 사용되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절취편(2)의 개방전에는 안내편(10)이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내에 담겨진 내용물을 마시기 위해서는 절취선(3)을 따라 절취편(2)을 절취하여 취출구(6)를 개방하여야 된다.
이를 위해서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엄지손가락과, 검지 및 중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손잡이(4a)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개봉구(4)를 상방향으로 들어 올리면 리벳(5)에 의해 개봉구(4)와 고정된 취출편(2)의 일측이 도 7a와 같이 취출선(3)을 따라 절취되므로 취출구(6)가 개방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취출편(2)의 일측이 절취되어 취출구(6)의 일부가 개방되고 나면 상기 개봉구(4)가 약간 상방향으로 경사를 이루고 있으므로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개봉구(4)를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주면 절취편(2)상에 비드부(7)가 형성되어 있어 절취선(3)을 따라 상판(1)으로부터 절취되는 절취편(2)이 밴딩되지 않고 도 7b와 같이 비절취부(3a)를 기준으로 상향 절곡되므로 취출구(6)가 완전히 개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절취된 절취편(2) 및 개봉구(4)를 개방방향으로 더욱 젖혀 요입홈(9)내에 수용되도록 하면 내용물을 전부 마시는 동안 부주의에 의해 절취된 절취편(2)의 날카로운 가장자리에 의해 손가락이 찢어지는 폐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취출구(6)가 개방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1)의 저면에 안내편(10)을 부착한 경우에는 상판(1)으로부터 절취편(2)의 절취시 안내편의 중심부가 절취편(2)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안내편의 플랜지(10a)는 상판(1)의 저면에 부착 고정되어 있어 절취편(2)이 어느 정도 절취되는 동안에는 안내편(10)의 일측 중심이 절취편(2)에 고정되어 있어 취출구(6)를 통해 상판(1)의 상측으로 노출되었다가 상기 안내편의 인출이 완료된 상태에서 절취편(2)을 더욱 상방향으로 젖히면 절취편(2)에 부착되어 있던 부위가 절취편(2)으로부터 분리되어 도 11과 같은 상태가 되므로 상기 취출구(6)의 외부로 노출된 안내편(10)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보다 편리하게 마실 수 있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 8 및 도 9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도 상판(1)으로부터 절취편(2)을 절취시 개봉구(4)에 일체로 형성된 보강편(8)상에 비드부(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강편(8)은 절취편(2)에 스폿 고정되어 있어 개봉구(4)의 젖힘 동작으로 절취편(2)의 절취시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절취편(2)이 구부러지지 않고 비절취부(3a)를 기준으로 상향 절곡되어 취출구(6)가 개방되므로 상기 취출구를 통해 내용물을 마실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도 상판(1)의 내부에 안내편(10)이 고정 설치된 경우에는 취출구(6)의 개방시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안내편(10)이 취출구(6)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상기 안내편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편리하게 마실 수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캔용기의 취출구 개봉구조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개봉구(4)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는 동작에 의해 지렛대 원리가 적용되므로 상판(1)으로부터 절취편(2)이 분리되어 취출구(6)가 개방되므로 비교적 손가락 힘이 적은 노약자나 어린이들도 캔용기내의 내용물을 손쉽게 마실 수 있게 된다.
둘째, 개봉구(4)의 젖힘 동작에 따라 절취편(2)이 상향 절곡되어 요입홈(9)내에 수용되므로 유통중에 오염된 절취편(2)이 내용물내에 잠길 우려가 없어 위생적이다.
셋째, 취출구(6)의 개방시 절취편(2)이 상향 절곡되므로 캔용기의 내부에 내용물의 음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스트롱 또는 안내편(10)과 같은 보조수단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상판에 절취선을 따라 절취편이 형성되고, 상기 절취편에는 손잡이를 갖는 개봉구가 리벳으로 고정된 것에 있어서, 개봉구가 고정된 반대편측의 절취편에 비절취부가 구비되고, 절취편상에는 보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이 절취편상에 주름형상으로 개봉구까지 연장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비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이 개봉구로부터 절취편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보강편상에 주름형상으로 복수개 형성된 비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편이 절취편상에 스폿 용접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저면에 플랜지가 절취편의 외주면에 위치되게 고정되고 중심부위는 절취편의 저면에 고정되게 안내편을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편의 개방부위측으로 개방된 절취편 및 개봉구가 수용되는 요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KR2020000020814U 2000-07-20 2000-07-20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KR2002090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814U KR200209060Y1 (ko) 2000-07-20 2000-07-20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814U KR200209060Y1 (ko) 2000-07-20 2000-07-20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085A Division KR20020009392A (ko) 2001-04-04 2001-04-04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060Y1 true KR200209060Y1 (ko) 2001-01-15

Family

ID=7308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814U KR200209060Y1 (ko) 2000-07-20 2000-07-20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0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280B1 (ko) 2007-07-06 2008-08-14 주식회사 선우테크 원터치 오픈 방식의 플라스틱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280B1 (ko) 2007-07-06 2008-08-14 주식회사 선우테크 원터치 오픈 방식의 플라스틱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4345B2 (ja) 取り外し自在飲料容器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RU2638502C1 (ru) Вентилируемая ёмкость для напитков и способ ее открывания
US4226356A (en) Container and dispenser straw
US4872597A (en) Beverage container with dual dispensing tabs
US3795342A (en) Stowable tab and tear strip
US4609123A (en) Beverage can with sanitary reclosable lid
US20130180989A1 (en) Container
US3326406A (en) Easy opening can end
US4387827A (en) Container closure
JPH0146384B2 (ko)
GB2426970A (en) Reclosable container such as a drink can
US6443324B1 (en) Beverage container with self-contained straw
US3424338A (en) Resealable can
CA2280461A1 (en) Beverage can air intake seal
RU2135401C1 (ru) Емкость
JP4109309B1 (ja) プルトップを備えたプルタブ付容器
KR200209060Y1 (ko)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JPH09301364A (ja) 液体収容缶の開口装置
KR200210336Y1 (ko)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US6471101B1 (en) Spout and its assembly with a receptacle
KR20020009392A (ko)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KR20020014660A (ko)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US20210245921A1 (en) Beverage can and lid thereof
KR100634345B1 (ko) 음료 캔의 밀봉 탭구조
KR19980027611U (ko) 금속재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