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937Y1 -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 - Google Patents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937Y1
KR200485937Y1 KR2020170004061U KR20170004061U KR200485937Y1 KR 200485937 Y1 KR200485937 Y1 KR 200485937Y1 KR 2020170004061 U KR2020170004061 U KR 2020170004061U KR 20170004061 U KR20170004061 U KR 20170004061U KR 200485937 Y1 KR200485937 Y1 KR 2004859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extension
beverage
upper plat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수아
Original Assignee
오수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수아 filed Critical 오수아
Priority to KR2020170004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9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9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9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16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1/165Cylindrical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개를 연 상태에서 입에 대고 직접 마시기에 편리한 구조로 된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측벽을 제공하기 위한 통체; 상기 통체의 일측 개구부에 설치되며 원터치 형태의 마개가 설치되는 상판; 및 통체의 타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하판으로 구성되는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원형의 일측에 돌기처럼 확장부가 돌출되어 있음으로써 "
Figure 112017074468438-utm00007
"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마개는 이 확장부가 있는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Can For Drink Or Alcoholic Beverages}
본 고안은 캔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마개를 개봉한 상태에서 입에 대고 마시기에 편리하도록 일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된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시중에 제공되고 있는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는 석도강판이나 알루미늄을 널리 사용한다. 캔용기를 제작하는 방법은 소재에 따라 다르지만 형태는 대등소위하다. 즉 캔용기는 통체, 통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원터치 형태의 마개가 설치되는 상판 및 통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판으로 되어 있다. 종래의 캔용기는 통체 형태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판도 원판 형태로 되어 있다. 마개는 마시기에 편리하게끔 한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설치되지만 마시기가 불편한 것은 마찬가지이다.
취출구가 설치된 상판이 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구강구조와는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마시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입 가장자리 로 음료가 흘러 새는 문제가 흔히 발생한다.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입을 크게 벌리고 마실 경우에는 음료가 급작스럽게 많이 배출되어 마시기 불편함을 느끼기도 한다.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에 대한 종래기술은 다양하게 제안되어 왔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2-0020236호의 '부양식 빨대를 갖는 음료캔'이 그러하다. 이 역시 마시기에 불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본 기술은 음료캔과 음료 섭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별도로 제공되는 빨대(straw)가 음료캔 내부에 수용되어 부양력 에 의해 음료캔의 두껑 개방시 자동으로 돌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는 음료캔의 음료 섭취시 별도의 빨대가 필요하지 않고, 유출구에 입을 접촉시킬 필요가 없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는 음료에 빨대가 담겨져 있어야 하므로 빨대에 대한 별도의 관리가 필요하다는 문제와, 사용후 별도의 쓰레기가 발생한다는 부담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0-0011312호의 '빨대 부착형 음료캔'도 유사한 취지로 안출된 것이다. 이에 의하면, 음료캔의 일측부에 빨대가 구비되는 빨대 부착형 음료캔에 있어서, 상기 빨대의 일단부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음료캔의 상면 일측에 개방공이 형성되고, 상기 빨대의 타단 흡입부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음료캔의 상면 타측에 삽입부가 형성되는 구성을 제공한다. 음용 및 휴대가 편리하게 되는 동시에 마시고 남은 음료수의 보관이 위생적으로 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지만, 위에 지적된 바와 같이 부수적인 구성요소를 구비하여야 함에 따른 불편함이 있으며,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 오염 내지 누수의 문제가 생길 요지가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2-0020236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0-0011312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마시기에 편리한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부수적인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 및 유통상의 관리가 용이한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측벽을 제공하기 위한 통체; 상기 통체의 일측 개구부에 설치되며 원터치 형태의 마개가 설치되는 상판; 및 통체의 타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하판으로 구성되는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원형의 일측에 돌기처럼 확장부가 돌출되어 있음으로써 "
Figure 112017074468438-utm00001
"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마개는 이 확장부가 있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통체의 상단 일부가 상기 상판의 형태에 따라 "
Figure 112017074468438-utm00002
"의 평면 형태가 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통체는 통체형으로 되어 있으되, 상단부의 횡단면적이 중간부분보다 작게 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확장부가 상기 통체보다 더 돌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부에 위치하는 림은 연신에 의하여 다른 곳보다 아래로 처져 있을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판과 통체의 경계부중 일지점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입에 대고 음료를 마시게 되면 흘리는 것이 없이 편리하게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확장부위를 통해 음료를 컵에 따르기도 용이하게 된다. 별도의 부속품이 추가되는 것이 아니므로 구성이 복잡해지거나 별도의 쓰레기가 배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의 측면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평면도이며, 도 3은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이하, '캔용기'라 한다)에 관한 것이다. 물론 음료의 종류는 불문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음료 이외의 액상 제품을 담기 위한 각종 캔용기도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다.
캔용기의 소재는 알루미늄이 될 수도 있고 석도강판(주석도금된 강판)이 될 수도 있다. 캔용기의 제작방법은 소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나아가 구성요소도 2피스 또는 3피스로 구성될 수 있다.
캔용기는 측벽을 제공하기 위한 통체(10)와, 통체(10)의 상측 개구부에 설치되며 원터치 형태의 마개(30)가 설치되는 상판(20)과, 통체(10)의 하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하판(40)으로 구성된다.
캔용기의 소재가 알루미늄인 경우에는 하판(40)과 통체(10)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상판(30)과 함께 2피스(piece)로 제공되며, 석도강판인 경우에는 하판(40)과 통체(10)가 분리되어 있어 상판(20)과 함께 3피스로 제공된다. 다시 말하면,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알루미늄의 특성인 전성을 이용하여 드로잉 공법으로 제작한다. 석도강판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통체(10)는 사각판재를 둥글게 만 다음 일체가 되도록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판(20)과 하판(40)을 각각 준비한 다음 통체(10)의 상하단에 각각 설치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의 제관법은 일반적인 사항이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아무튼 본 고안의 캔용기는 어떠한 소재로 되어 있는가에 따라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참고로 첨부된 각 도면에는 2피스로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판(20)은 원형의 일측에 돌기처럼 확장부(22)가 돌출되어 있음으로써 "
Figure 112017074468438-utm00003
"의 형태를 가진다. 즉 상판(20)은 원형의 상판본체(21)와 상판본체(21)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확장부(22)로 구성된다. 상판본체(21)와 확장부(22)가 이루는 경계부위의 곡률(R1)이 확장부(22)의 곡률(R2)보다 크게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이 서로 같다면 제작이 좀 더 용이할 것이다. 즉 확장부(22)의 돌출 정도는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확장부(22)의 폭(W) 역시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나 입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확장부(22)의 곡률(R2)은 예를 들어, 직경이 10 ~ 20mm 의 원이라면 적당하다.
그리고 마개(30)는 이 확장부(22)가 있는 방향으로 치우쳐 있도록 배치된다. 마개(30)는 손잡이용 구멍(32)이 마련된 레버(31)와 레버(31)를 당김으로써 상판(20)으로부터 뜯겨지는 마개본체(33)로 구성된다. 마개본체(33)가 확장부(22)의 영역까지 설치되므로 마개 개봉시 확장부(22)에도 취출구(24, 도 4 참조)의 일부가 자리하게 된다.
그리고 통체(10)의 일측 단부가 상판(20)의 형태에 따라 "
Figure 112017074468438-utm00004
"의 평면 형태가 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통체(10)의 상단 일지점에는 표주박과 같이 일지점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볼록부(12)가 마련되고 있다. 이 볼록부(12)는 통체(10)를 성형할 때 측판(11)을 더 연신 또는 절곡함으로써 통체(10)와 일체형이 되도록 설치된다.
통체(10)와 상판(20)의 경계에는 림(23)이 상판(20)의 외형을 따라 설치된다. 이 림(23)은 시밍(seaming) 내지 커링(curling)과 같은 통상의 제관방법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도 3의 측면도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통체(10)의 볼록부(12) 상단에 위치하는 림(23a)은 연신에 의하여 다른 곳보다 소정의 높이(T)만큼 아래로 처지게 할 수 있다. 이 처진 정도는 소재의 연신율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판(20)과 통체(10)는 시밍 등 통상의 제관방식을 이용하여 제관함으로써 서로 결합된다. 물론 기존의 제관장치를 구조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본 고안에 의한 캔용기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확장부(22)와 볼록부(12)의 돌출 형태가 급격한 절곡부위가 있지 않도록 최대한 완만하게 이루어져야 제작하기에 어렵지 않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측면도이다.
이전 실시예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12)와 확장부(22)가 통체(10)보다 외부로 돌출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는 유통과정에서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없애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통체(10)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되, 상단부의 횡단면적이 중간 부분보다 작게 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확장부(22)가 설치된 방향으로의 폭(L)이 통체(10)의 직경(D1) 이하가 되도록 제한되어 있다. 통체(10)의 상단부(13)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확장부(22)는 이렇게 좁아진 상태에서 돌출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확장부(22)가 통체(10)보다 외부로 더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는 캔용기를 규격화하여 유통상의 문제가 없도록 한다. 반면 본 고안에서 의도하는 목적은 똑같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취출구(24)가 입으로 물기에 편하게끔 뾰족하게 돌출되어 있어 음료를 음용하기에 매우 편리하게 된다. 따라서 음용시 왈칵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컵 등에 따를 때에도 정숙하게 따를 수 있어 탄산음료나 맥주가 컵에서 흘러넘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통체 11 : 측벽
12 : 볼록부 20 : 상판
21 : 상판본체 22 : 확장부
23 : 림 24 : 취출구
30 : 마개 31 : 당김판
33 : 마개본체 40 : 하판

Claims (4)

  1. 측벽(11)을 제공하기 위한 통체(10)가 구비되고, 상기 통체(10)의 상측 개구부에 설치되며, 손잡이용 구멍(32)이 마련된 레버(31)와 레버(31)를 당김으로써 상판(20)으로부터 뜯겨지는 마개본체(33)로 구성된 원터치 형태의 마개(30)가 설치되는 상판(20)이 구비되며, 통체(10)의 하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하판(40)으로 구성되는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에 있어서;
    상기 상판(20)은 원형의 일측에 "
    Figure 112017119470150-utm00014
    "의 형태를 가지도록 돌기처럼 돌출된 확장부(22)와;
    상기 통체(10)의 일측 단부는 상판(20)의 형태에 따라 "
    Figure 112017119470150-utm00015
    "의 평면 형태가 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되어 볼록하게 돌출된 볼록부(12)를 포함하되,
    상기 마개(30)는 확장부(22)가 있는 방향으로 치우치게 배치되어 마개본체(33)가 확장부(22)의 영역까지 설치되므로 마개(30) 개봉시 확장부(22)에도 취출구(24)가 구비되고,
    상기 통체(10)의 블록부(12)와 상판(20)의 확장부(22)에 위치하는 림(23a)은 다른 곳의 림(23)보다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10)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상단부의 확장부(22)가 구비된 방향으로 폭(L)이 통체(10)의 직경(D1) 보다 작고,
    상기 확장부(22)가 통체(10)보다 더 돌출되지 않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
  4. 삭제
KR2020170004061U 2017-08-01 2017-08-01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 KR2004859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061U KR200485937Y1 (ko) 2017-08-01 2017-08-01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061U KR200485937Y1 (ko) 2017-08-01 2017-08-01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937Y1 true KR200485937Y1 (ko) 2018-04-27

Family

ID=62079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061U KR200485937Y1 (ko) 2017-08-01 2017-08-01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93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312A (ko) 1998-06-18 2000-02-25 윈클만 존 디. 복수의위치로이동가능한지지핸들을가진기기
KR200188149Y1 (ko) * 2000-02-18 2000-07-15 이면우 예초기
KR20020020236A (ko) 2000-09-06 2002-03-14 토마스 더블유. 버크맨 연료통용 외부 계량 밸브
CN201102669Y (zh) * 2007-10-31 2008-08-20 汤旸 易拉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312A (ko) 1998-06-18 2000-02-25 윈클만 존 디. 복수의위치로이동가능한지지핸들을가진기기
KR200188149Y1 (ko) * 2000-02-18 2000-07-15 이면우 예초기
KR20020020236A (ko) 2000-09-06 2002-03-14 토마스 더블유. 버크맨 연료통용 외부 계량 밸브
CN201102669Y (zh) * 2007-10-31 2008-08-20 汤旸 易拉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4952A (en) Spill-resistant cup lid with condiment funnel and stirring rod
AU2007323694B2 (en) Non-drip spout closure
US20100219186A1 (en) Plastic cap having a pouring protrusion
US77485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he sensory experience of consuming a beverage
US20100000997A1 (en) Double-ended openers beverage can
US20090050641A1 (en) Cup lid with an anti-splash ergonomic shape
US20110309094A1 (en) Closure for a beverage container
US5732851A (en) Detachable beverage can attachment
US20040144787A1 (en) Quick-pour can
US6360912B1 (en) Straw having valve function
EA022676B1 (ru) Опора
US70967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of containers
KR200485937Y1 (ko)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
JP4276726B2 (ja) プッシュプルキャップ
CA2360947A1 (en) Improved lid for a container
US12048387B2 (en) Drinking vessel with a spillage receptacle
EP4072955A1 (en) Beverage can or equivalent openable beverage container
JP2547580Y2 (ja) 飲料缶用飲口具
KR200493052Y1 (ko) 컵 뚜껑
WO2015005874A1 (en) Cap attachment for drinking from cans
KR20180086091A (ko) 빨대 및 이를 이용한 캔용기
RU51980U1 (ru) Металлическая тара для напитков
JP4666952B2 (ja) 缶蓋
GB2228474A (en) Bottle pourer
JP2006160303A (ja) ステイオンタブを備えた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