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052Y1 - 컵 뚜껑 - Google Patents

컵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052Y1
KR200493052Y1 KR2020190000412U KR20190000412U KR200493052Y1 KR 200493052 Y1 KR200493052 Y1 KR 200493052Y1 KR 2020190000412 U KR2020190000412 U KR 2020190000412U KR 20190000412 U KR20190000412 U KR 20190000412U KR 200493052 Y1 KR200493052 Y1 KR 2004930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drinking
cover body
circumference
cup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752U (ko
Inventor
흐신-치에 리
Original Assignee
흐신-치에 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흐신-치에 리 filed Critical 흐신-치에 리
Priority to KR2020190000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052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7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7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0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0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8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flange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6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46Drinking-through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09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cir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342Central part of the lid
    • B65D2543/00351Dome-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종의 컵 뚜껑에 관한 것이고, 상기 구조는 컵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컵 뚜껑의 외주 둘레는 컵 둘레를 형성하고, 상기 컵 둘레 중간 구간은 안쪽 오목 고리를 향해 버클 리브(buckle rib)가 설치되고, 상기 컵 둘레 내경 및 상기 버클 리브 상단 사이는 클램핑 고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컵 뚜껑 상표면은 위로 융기되어 컵 커버체가 설치되고, 상기 컵 커버체 외벽은 점점 축소되어 경사 유도면을 형성하고, 상기 컵 커버체의 상단면은 오목한 호형을 나타내며 양단이 대칭하여 제1 단 및 제2 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단, 제2 단 사이는 오목한 호형 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단은 상기 제2 단보다 높고, 상기 컵 커버체는 상기 제1 단에 인접하여 오목하게 음용부가 설치되고, 상기 음용부의 바닥면은 상기 오목 호형 단부보다 낮고 하나의 수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면은 뒤집어 올릴 수 있는 밀봉 시트체가 미리 설치되고, 동시에 상기 시트체를 뒤집어 올리면 음용 유도구가 형성되고, 상기 음용부에 인접한 상기 제1 단은 상기 수평면에 수직으로 음용구를 형성하고, 상기 음용구와 상기 음용 유도구는 높이 낙차가 있어 음용 시 액체가 넘치는 것을 방지해 준다.

Description

컵 뚜껑 {CUP COVER}
본 고안은 컵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가지 음용 방식이 있고 음용 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컵 뚜껑에 관한 것이다.
커피나 차 등의 뜨거운 음료는 온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종이컵에 담은 후 다시 내열성 재질의 식품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한 컵 뚜껑을 이용해 컵 입구를 덮어 종이컵에 남은 내용물이 넘쳐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자가 휴대하기 편하도록 컵 뚜껑 상에 음용부를 설치하여 컵 뚜껑을 들어 올리지 않고도 음용부를 열어 종이컵 내부에 담긴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컵 뚜껑은 모두 사용자가 들어 올려야 음용할 수 있는 음용부를 제공하는데, 상기 음용부의 개구부는 사용자가 빨대를 삽입해서 음용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컵 뚜껑은 뜨거운 음료에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실용성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 컵 뚜껑의 단면은 대부분이 평면인데, 음용 시 음료가 음용부의 개구부에서 넘칠 때 평면은 환류를 유도하는 효과가 없기 때문에 컵 뚜껑 상의 음료가 쉽게 상기 컵 뚜껑에서 흩뿌려져 나와 음용자의 옷이나 주변 바닥을 더럽힐 수 있다. 이는 상기 구조의 사용상 위생성을 크게 저하시킨다.
따라서 다년간 관련 제품의 제조, 개발 및 설계 분야에서 축적한 경험을 바탕으로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설계를 진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신중한 평가를 거쳐 실용성을 갖춘 본 고안을 제안한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결함을 극복함으로써 상기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컵 뚜껑을 제안한다.
상기 구조는 컵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컵 뚜껑의 외주 둘레는 컵 둘레를 형성하고, 상기 컵 둘레 중간 구간은 안쪽 오목 고리를 향해 버클 리브(buckle rib)가 설치되고, 상기 컵 둘레 상단 및 상기 버클 리브 상단 사이의 컵 둘레에는 클램핑 고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컵 뚜껑 상표면은 위로 융기되어 컵 커버체가 설치되고, 상기 컵 커버체 외벽은 점점 축소되어 경사 유도면을 형성하고, 상기 컵 커버체의 상단면은 오목한 호형을 나타내며 양단이 대칭하여 제1 단 및 제2 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단, 제2 단 사이는 오목한 호형 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단은 상기 제2 단보다 높고, 상기 컵 커버체는 상기 제1 단에 인접하여 오목하게 음용부가 설치되고, 상기 음용부의 바닥면은 상기 오목 호형 단부보다 낮고 하나의 수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면은 뒤집어 올릴 수 있는 밀봉 시트체가 미리 설치되고, 동시에 상기 시트체를 뒤집어 올리면 음용 유도구가 형성되고, 상기 음용부에 인접한 상기 제1 단은 상기 수평면에 수직으로 음용구를 형성하고, 상기 음용구와 상기 음용 유도구는 높이 낙차가 있어 음용 시 액체가 넘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컵 커버체의 또 다른 대칭하는 양단도 상기 오목 호형 단부보다 높으며 제3 단 및 제4 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3 단 및 제4 단은 높이가 같으나 상기 제2 단보다는 낮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컵 커버체의 융기 시작점은 상기 컵 둘레의 클램핑 고리부보다 낮고, 상기 컵 커버체 외주 및 컵 둘레 사이는 위치제한 고리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용부는 조롱박 모양(calabash-shaped)의 오목홈이다. 즉, 음용부는 단면의 형상이 일측은 아크가 크고 일측은 아크가 작은 비대칭 타원형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봉 시트체에 인접하는 상기 제1 단에 클램핑 기둥체를 설치하고, 상기 컵 커버체의 중앙에 관통공을 설치하여, 상기 밀봉 시트체를 들어 올릴 때 상기 클램핑 기둥체를 통하여 상기 관통공에 위치가 제한되도록 만든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공은 뒤집어 올릴 수 있는 폐합 시트체를 통해 덮어 밀봉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컵 둘레 바닥측에 커버 안내부를 외부에서 확장 설치한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과 비교해 이하의 장점이 있다. (1)상기 컵 뚜껑은 상단면이 오목한 호형인 컵 커버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컵 커버체는 비교적 높은 제1 단에 음용부가 설치되고 가장 낮은 단인 오목 호형 단부에 관통공이 설치된다. 따라서 음용 시 개인 기호에 따라 음용부로 마시거나 빨대를 꽂아 관통공을 통해 마실 수 있는 두 가지의 음용 방식을 지원하기 때문에 컵 뚜껑의 실용성을 향상시켜 준다.
(2) 상기 컵 커버체 상단면이 오목한 호형을 형성하기 때문에, 음용 시 음료가 음용부나 관통공에서 넘쳐날 때 오목 호형 단부에 의해 차단되어 컵 뚜껑 밖으로 흩어지지 않으며 음료 컵의 흔들림과 경사로 인해 다시 환류되므로 컵 뚜껑의 사용상 위생성을 향상시켜 준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있어서 밀봉 시트체를 들어 올린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을 조합한 음료 컵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있어서 밀봉 시트체를 들어 올려 위치를 고정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있어서 음용부의 음용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있어서 환류 유도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있어서 빨대로 음용하는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통해 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컵 뚜껑(10)이 구비되고, 상기 컵 뚜껑(10)의 외주 둘레는 컵 둘레(11)를 형성하고, 상기 컵 둘레(11) 중간 구간은 안쪽 오목 고리를 향해 버클 리브(111)가 설치되고, 상기 컵 둘레(11) 상단 및 상기 버클 리브(111) 상단 사이의 컵 둘레에는 클램핑 고리부(112)를 형성하고, 상기 컵 둘레(11) 바닥측에 커버 안내부(113)를 외부에서 확장 설치하고, 상기 컵 뚜껑(10) 상표면은 위로 융기되어 컵 커버체(12)가 설치되고, 상기 컵 커버체(12)의 융기 시작점은 상기 컵 둘레(11)의 클램핑 고리부(112)보다 낮고, 상기 컵 커버체(12) 외주 및 컵 둘레(11) 사이는 위치제한 고리부(121)를 형성하고, 상기 컵 커버체(12) 외벽은 점점 축소되어 경사 유도면(122)을 형성하고, 상기 컵 커버체(12)의 상단면은 오목한 호형을 나타내며 양단이 대칭하여 제1 단(123) 및 제2 단(124)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단(123), 제2 단(124) 사이는 오목한 호형 단부(125)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단(123)은 상기 제2 단(124)보다 높고, 상기 컵 커버체(12)의 또 다른 대칭하는 양단도 상기 오목 호형 단부(125)보다 높으며 제3 단(126) 및 제4 단(127)을 형성하고, 상기 제3 단(126) 및 제4 단(127)은 높이가 같으나 상기 제2 단(124)보다는 낮고, 그 외 상기 컵 커버체(12)는 상기 제1 단(123)에 더욱 인접하여 조롱박 모양의 오목홈인 음용부(13)가 오목하게 설치되고, 상기 음용부(13)의 바닥면은 상기 오목 호형 단부(125)보다 낮고 하나의 수평면(131)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면(131)은 뒤집어 올릴 수 있는 밀봉 시트체(14)가 미리 설치되고, 동시에 상기 밀봉 시트체(14)를 뒤집어 올리면 음용 유도구(15)가 형성되고, 상기 음용부(13)에 인접한 상기 제1 단(123)은 상기 수평면(131)에 수직으로 음용구(132)를 형성하고, 상기 음용구(132)와 상기 음용 유도구(15)는 높이 낙차가 있어 음용 시 액체가 넘치는 것을 방지해 주고, 상기 밀봉 시트체(14)에 인접한 상기 제1 단에 클램핑 기둥체(141)를 설치하고, 상기 컵 커버체(12)의 중앙에 관통공(16)을 설치하여, 상기 밀봉 시트체(14)를 들어 올릴 때 상기 클램핑 기둥체(141)를 통하여 상기 관통공(16)에 위치가 제한되도록 만들고, 상기 관통공(16)은 뒤집어 올릴 수 있는 폐합 시트체(161)를 통해 덮어 밀봉시킬 수 있다.
그 구조의 실제 사용 상태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컵 뚜껑(10)은 음료 컵(20)의 상부 개구(21)에 매칭되어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컵 둘레(11)에서 외부로 확대 설치된 커버 안내부(113)를 거쳐 상기 음료 컵(20)의 상부 개구(21)를 따라 씌우고, 상기 상부 개구(21) 외부 둘레는 바깥으로 감는 클램핑 차단부(211)가 있고, 상기 클램핑 차단부(211)는 상기 버클 리브(111)를 통해 상기 클램핑 고리부(112) 내로 밀고 들어가 위치를 고정하며, 이를 통해 상기 컵 뚜껑(10)을 안정적으로 상기 음료 컵(20) 상에 씌워 설치한다.
음용 시 도 2, 5, 6 및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음용부(13)의 밀봉 시트체(14)를 위로 들어 올리고, 밀봉 시트체(14) 상단의 클램핑 기둥체(141)를 이용해 컵 커버체(12)의 관통공(16)에 클램핑시켜 위치를 고정하여, 상기 음용 유도구(15)를 열어 사용자가 음료 컵(20)을 가지고 음용구(132)로 마시도록 한다. 상기 음용구(132)와 상기 음용 유도구(15)는 제1 단(123)이 형성하는 높이 낙차로 인하여 음용 후 음료 컵(20)을 세웠을 때 그 음료가 음용구(132)를 따라 음용 유도구(15) 내로 환류하도록 만들 수 있다. 또한 음용 시 음료가 넘칠 경우 상기 컵 커버체(12) 주변이 모두 상기 중앙 지점의 오목 호형 단부(125)보다 높기 때문에 음료는 오목 호형 단부(125)에 머무르며 컵 뚜껑(10) 밖으로 흩어지지 않으며, 음료 컵(20)의 경사 흔들림을 통해 음료가 다시 음용부(13)를 향해 환류되기 때문에 음료가 외부로 넘치지 않아 상기 컵 뚜껑(10)의 사용상 위생성이 향상된다.
그 외, 상기 컵 뚜껑(10)은 곧바로 빨대(30)로 음용할 수 있는데,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컵 커버체(12) 중앙에 위치하는 관통공(16)이 빨대(30)를 삽입해 음용하는 데 제공되므로 음용 유도구(15)를 열지 않고도 음료를 마실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두 가지의 음용 방법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컵 뚜껑(10)의 사용상 실용성이 향상된다.
상기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유익한 효과는 이하와 같다. 즉, 상기 컵 뚜껑(10)은 오목한 호형을 이루는 컵 커버체(12)가 있으며, 상기 컵 커버체(12)는 비교적 높은 제1 단(123)에 음용부(13)가 설치되고 가장 낮은 단인 오목 호형 단부(125)에 관통공(16)이 설치된다. 따라서 음용 시 개인의 기호에 따라 음용부(13)로 마시거나 빨대(30)를 꽂아 관통공(16)을 통해 마실 수 있는 두 가지의 음용 방식을 지원하기 때문에 컵 뚜껑(10)의 실용성을 향상시켜 준다.
또한 상기 컵 커버체(12) 상단면이 오목한 호형을 형성하기 때문에, 음용 시 음료가 음용부(13)나 관통공(16)에서 넘쳐날 때 먼저 오목 호형 단부(125)에 의해 차단되어 컵 뚜껑(10) 밖으로 흩어지지 않으며 음료 컵(20)의 흔들림과 경사로 인해 다시 환류되므로 컵 뚜껑(10) 구조의 사용상 위생성을 향상시켜 준다.
상기 내용을 종합하여, 본 고안은 혁신적인 구조적 설계로서 개선된 창작의 내용을 갖고 있으며 동시에 산업상 이용성과 진보성을 갖추고 있고 어떠한 간행물에서도 공개되지 않았으므로 신규성이 있다. 따라서 특허법 관련 법규의 규정에 부합하므로 법에 의거하여 창작특허를 출원하며, 심사관은 이에 특허권을 부여해 줄 것을 요청하는 바이다.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정신과 원칙을 기반으로 수정, 동등한 수준의 치환과 개선 등을 진행한 경우 이는 모두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10: 컵 뚜껑 127: 제4 단
11: 컵 둘레 13: 음용부
111: 버클 리브 131: 수평면
112: 클램핑 고리부 132: 음용구
113: 커버 안내부 14: 밀봉 시트체
12: 컵 커버체 141: 클램핑 기둥체
121: 위치제한 고리부 15: 음용 유도구
122: 경사 유도면 16: 관통공
123: 제1 단 20: 음료 컵
124: 제2 단 211: 클램핑 차단부
125: 오목 호형 단부 30: 빨대
126: 제3 단

Claims (7)

  1. 컵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컵 뚜껑의 외주 둘레는 컵 둘레를 형성하고, 상기 컵 둘레 중간 구간은 안쪽 오목 고리를 향해 버클 리브(buckle rib)가 설치되고, 상기 컵 둘레 상단 및 상기 버클 리브 상단 사이의 컵 둘레에는 클램핑 고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컵 뚜껑 상표면은 위로 융기되어 컵 커버체가 설치되고, 상기 컵 커버체 외벽은 점점 축소되어 경사 유도면을 형성하고, 상기 컵 커버체의 상단면은 오목한 호형을 나타내며 양단이 대칭하여 제1 단 및 제2 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단, 제2 단 사이는 오목한 호형 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단은 상기 제2 단보다 높고, 상기 컵 커버체는 상기 제1 단에 인접하여 오목하게 음용부가 설치되고, 상기 음용부의 바닥면은 상기 오목 호형 단부보다 낮고 하나의 수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면은 뒤집어 올릴 수 있는 밀봉 시트체가 미리 설치되고, 동시에 상기 시트체를 뒤집어 올리면 음용 유도구가 형성되고, 상기 음용부에 인접한 상기 제1 단은 상기 수평면에 수직으로 음용구를 형성하고, 상기 음용구와 상기 음용 유도구는 높이 낙차가 있어 음용 시 액체가 넘치는 것을 방지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커버체의 또 다른 대칭하는 양단도 상기 오목 호형 단부보다 높으며 제3 단 및 제4 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3 단 및 제4 단은 높이가 같으나 상기 제2 단보다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커버체의 융기 시작점은 상기 컵 둘레의 클램핑 고리부보다 낮고, 상기 컵 커버체 외주 및 컵 둘레 사이는 위치제한 고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부는 단면의 형상이 일측은 아크가 크고 일측은 아크가 작은 비대칭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시트체에 인접하는 상기 제1 단에 클램핑 기둥체를 설치하고, 상기 컵 커버체의 중앙에 관통공을 설치하여, 상기 밀봉 시트체를 들어 올릴 때 상기 클램핑 기둥체를 통하여 상기 관통공에 위치가 제한되도록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뒤집어 올릴 수 있는 폐합 시트체를 통해 덮어 밀봉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둘레 바닥측에 커버 안내부를 외부에서 확장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KR2020190000412U 2019-01-28 2019-01-28 컵 뚜껑 KR2004930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12U KR200493052Y1 (ko) 2019-01-28 2019-01-28 컵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12U KR200493052Y1 (ko) 2019-01-28 2019-01-28 컵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752U KR20200001752U (ko) 2020-08-06
KR200493052Y1 true KR200493052Y1 (ko) 2021-01-25

Family

ID=72038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412U KR200493052Y1 (ko) 2019-01-28 2019-01-28 컵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05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4012A1 (en) 2009-08-28 2011-03-03 Solo Cup Europe Limited A lid, cup including a lid, and a method for forming a li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4053A (en) * 1995-06-06 1997-04-29 James River Corporation Of Virginia Drink-thru cup lid
US6089397A (en) * 1999-04-09 2000-07-18 Amhil Enterprises Cup lid having improved drink-through opening
KR101460705B1 (ko) * 2012-02-17 2014-11-12 주식회사 케이앤랩 컵 뚜껑 및 그 휴대용 보호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4012A1 (en) 2009-08-28 2011-03-03 Solo Cup Europe Limited A lid, cup including a lid, and a method for forming a l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752U (ko)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9368B2 (en) Multifunctional mug cap with a sipper and straw
JP3208215U (ja) 吹きこぼれ防止機能付きのケトル
US9215942B2 (en) Closure for a beverage container
US9096358B2 (en) Cup lid for beverages with foam
US9944435B2 (en) Two-piece splash and spill resistant lid assembly and method therefor
TWM580559U (zh) Cup cover structure
WO2016038568A1 (en) A disposable lid
JP3221710U (ja) コップ蓋の構造
KR200493052Y1 (ko) 컵 뚜껑
KR101349435B1 (ko) 다중 컵
JP3173094U (ja) 合成樹脂コップ
TWM588671U (zh) 防滑脫杯蓋之飲料杯結構
KR101935856B1 (ko) 결로방지용 물기 홀더
US12048387B2 (en) Drinking vessel with a spillage receptacle
TWM598281U (zh) 杯蓋結構
CN209667744U (zh) 用于饮料杯的杯盖
TWM591083U (zh) 杯蓋之結構(一)
KR200485937Y1 (ko)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
CN209499367U (zh) 杯盖的结构
CN209377236U (zh) 一种杯盖
CN211657886U (zh) 一种硅胶杯
RU2766328C2 (ru) Кружка
CN209965953U (zh) 茶具
TW202206348A (zh) 可緩衝外溢之杯蓋結構(二)
CN209499374U (zh) 一种双杯盖的茶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