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0749A -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된 용기뚜껑 - Google Patents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된 용기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0749A
KR20000030749A KR1020000012929A KR20000012929A KR20000030749A KR 20000030749 A KR20000030749 A KR 20000030749A KR 1020000012929 A KR1020000012929 A KR 1020000012929A KR 20000012929 A KR20000012929 A KR 20000012929A KR 20000030749 A KR20000030749 A KR 20000030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bent
container
container li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6705B1 (ko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US10/031,656 priority Critical patent/US6619518B1/en
Priority to KR1020000012929A priority patent/KR100616705B1/ko
Publication of KR20000030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0749A/ko
Priority to JP2001572385A priority patent/JP2003529503A/ja
Priority to CN01800463A priority patent/CN1126696C/zh
Priority to PCT/KR2001/000384 priority patent/WO2001074682A1/en
Priority to AU44745/01A priority patent/AU4474501A/en
Priority to EP01917867A priority patent/EP1218253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7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60Apparatus for preparing growth substrates or culture med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1/00Thresh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ize; Thresh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crops other than cere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20Threshing cylinders with ri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7/00Threshing apparatus
    • A01F7/02Threshing apparatus with rota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hinged, foldable or pivotable spouts
    • B65D47/06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hinged, foldable or pivotable spouts the spout being either flexible or having a flexible wall portion, whereby the spout is foldable between a dispensing and a non-dispens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 B65D47/103Membranes with a tear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2)발명의 목적
구부(덮개)가 일측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박판형의 구부절철부를 두어,물품 진열시 구부에 의한 적층의 난해한 점을 해결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3)발명의 구성
용기(400)의 목에 조립되도록 된 본체(100)를 두고, 그 본체(100)의 일 상면에는 상향으로 돌출되고 일방향으로 뉘어질 수 있는 구부(N)를 형성한 것이며,그 구부(N)의 내측으로는 내용물을 빨아 먹거나 다른 용기에 옮기는 용도의 상하 작동용 유출대(200)를 삽입함과,그 유출대(200)를 포함하고 있는 구부(N)의 외부로는 상기 유출대(200)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300)를 조립한 것이다.
(4)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부가 일측으로 뉘어지는 바,용기의 다단 적층이 용이한 큰 특징이 있음은 물론, 그 구부에 형성된 유출대는 상하 이동이 되는 관계로 용기내의 내용물을 빨아 먹는 것과,그 용기내의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기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본 발명은 용기에 든 내용물을 유출대를 통하여 음용하거나 다른 용기에 옮기기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그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덮개)는 일측으로 접철되는 것이 가능한 바,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용기는 다단 적층이 될 수 있는 기술적 특성의 용기뚜껑에 관한 것이며,종래의 기술로서는 본 발명인의 실용신안등록 제173350호가 있다.
상기 선행 실용신안등록 제173350호는 용기에 든 내용물을 유출대를 통하여 음용하는 것과 그 용기내의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기는 것이 일시에 해결된 큰 특징은 있으나,본 발명처럼 그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덮개)가 일측으로 접철되는 기술적 특성은 없었던 것이다.
종래의 선행(실용신안등록 제 173350호)은 물류 또는 그 진열시 돌출된 구부(덮개)에 의해 지장을 초래할 염려가 있었으나,본 발명에서는 구부(덮개)가 일측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박판형의 구부절철부를 두어,상기 거론된 바를 해결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a∼m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a는 용기뚜껑의 종단면도이며,
도 1b는 용기뚜껑의 일 조립품인 본체의 종단면도이며,
도 1c는 유출대의 종단면도이며,
도 1d는 덮개의 종단면도이며,
도 1e는 본 발명의 용기뚜껑이 용기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1f는 도 1e의 연속 단계로서,덮개를 열어 보인 상태도이며,
도 1g는 용기에 든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기고 있는 상태도이며,
도 1h는 용기뚜껑이 용기의 목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1i는 도 1h의 연속 단계로서,덮개를 열고 있는 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1j는 덮개가 제거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1k는 용기에 든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기고 있는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1l은 용기뚜껑이 용기 목에 조립된 후,구부(덮개)가 일측으로 접철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1m은 본체의 주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체를 용기 목으로 부터 원터치 방식으로 벗기기 위하여 위조방지테 부에 손잡이를 형성한 것을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용기뚜껑이 용기 목에 조립된 후, 구부(덮개)가 일측으로 접철된 상테에서 그 구부(덮개)가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상향되지 않도록 보조돌기를 형성한 것이며,
도 4a∼b는 본체에 형성된 구부접철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5∼9는 본 발명의 핵심인 구부접철부가 다양한 구조의 용기 목에 적용될 수 있음을 보인 종단면도.
도 10은 유출대의 변형의 예이고,
도 11∼12는 본체에 형성된 유출대의 변형의 예이며,
도 13∼14는 본체에 형성된 구부의 변형의 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용기뚜껑 100 : 본체 101,301 : 상면부
102,302 : 측면부 103,127,131,303 : 절취선 104,304 : 위조방지테
105,107,305 : 걸림턱 106,121 : 삽입홈 108 : 유출대삽입공
109,119,309 : 나사산 110 : 하단외돌환부 111 : 접철부연결면
112 : 구부접철부 113 : 공간 114 : 안내부
115 : 손잡이 116 : 측면절취선 117 : 걸림돌기
118 : 스티커 120 : 고정환돌기 122 : 보강링
123,124 : 외주면 125 : 절취막 126 : 당김고리
128 : 보조구부 129 : 공기유입공 130,134,208 : 유출공
132 : 마개 133 : 밀폐부 200 : 유출대
201 : 환돌기 202 : 환홈 203,204 : 환테
205 : 접철부 206 : 공기유입홈 207 : 측면유출공
300 : 덮개 306 : 작동용환돌기 307 : 환돌기걸림홈
308 : 밀폐벽 400 : 용기
401 : 목상단외돌환부 402 : 목하단외돌환부 N : 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기뚜껑은,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덮개)를 두고,그 구부는 용기의 목에 결합되도록 된 본체의 일 상면부에 형성되어 있되,상기 구부는 일측으로 접철될 수 있는 구부접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체는 용기의 목이나 용기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본체의 조립부(접착부)를 달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400)의 목에 조립되도록 된 본체(100)를 두고,그 본체(100)의 일 상면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구부(N)를 형성한 것이며,그 구부(N)의 내측으로는 내용물 음용용 유출대(200)를 삽입함과,그 유출대(200)를 포함하고 있는 구부(N)의 외부로는 덮개(300)를 조립하되,상기 구부(N)는 일측에 구부접철부가 있는 식으로 된 용기뚜껑(가)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면부(101)와 측면부(102) 그리고 그 측면부(102)의 하측으로는 절취선(103)으로 구획된 걸림턱(105)이 있는 위조방지테(104)를 형성한 것이고,상기 측면부(102)의 내벽면에는 용기 목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06)이 있는 걸림턱(107)을 형성한 것이며,상기 상면부(101)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유출대삽입공(108)이 있는 구부(N)를 형성하되,상기 구부(N)의 외환부에는 나사산(109)과 하단외돌환부(110)를 형성함과,상기 구부(N)의 하단이자 상면부(101) 상에 있는 접철부 연결면(111) 반대편 부에는 포물선 형의 구부접철부(112)를 형성하며,상기 구부접철부(112)가 있는 그 외측은 안내부(114)를 포함하고 있는 공간(113)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출대(200)는 상기 유출대삽입공(108)에 조립되어 그 유출대 삽입공(108)의 상하단면에 이동되어 접촉되도록, 상단으로는 환홈(202)을 중심으로 상하로 환돌기(201)와 환테(203)를 형성하고,상기 하단으로는 환테(204)와 접철부(205)를 형성하고,그 하방으로는 용기(400)의 길이에 비례하는 길이로 유출대(200)가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상기 환테(203,204)의 사이는 공기유입홈(206)을 길게 형성하되,상기 공가유입홈(206)의 양측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측면유출공(207)이 형성됨과,그 측면유출공(207)은 상하로 관통된 내부의 유출공(208)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덮개(300)는 상면부(301)와 측면부(302)로 구성되고, 측면부(302)의 하방에는 절취선(303)으로 구획된 걸림턱(305)이 있는 위조방지테(304)를 형성한 것이며,상기 상면부(301)의 저부이자 측면부(302)의 내벽면에는 환돌기걸림홈(307)이 있는 작동용돌기(306)를 형성한 것이고,상기 작동용돌기(306)의 하부 내벽면에는 상기 본체(100) 구부(N)의 상단 외주면에 접촉되어 밀폐력을 유지할 밀폐벽(308)을 형성함과,그 하방으로는 상기 구부(N)의 나사산(109)에 접촉될 형의 나사산(309)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e∼g를 참고로 하여, 먼저 개략적으로 설명하면,도 1a와 같은 용기뚜껑(가)을 용기(400)의 목에 조립한 상태가 도 1e와 같은 것이며,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덮개(300)를 개봉하는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도 1f와 같이 유출대(200)가 구부(N)의 상향으로 약간 돌출되게 인출되는 것이고,상기 도 1f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유출대(200)를 누르게 되면 상기 유출대(200)가 하향되어 용기(400)내의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기기 용이하게 되어지는 것이다.
이상의 내용을 상세한 단면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400)의 목에 용기뚜껑(가)이 조립된 상태가 도 1h와 같은 것이며, 본 발명의 용기뚜껑(가)은 도 1h와 같이 용기(400) 목에 조립된 후,구부(N)가 도 1l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일측으로 숙여진 상태를 취하고 있는 것이며,이때는 상기 구부(N)가 숙여질 때 접철부연결면(111)을 중심으로 하여 그 상대된 구부접철부(112)가 하향으로 펼쳐지면서 되는 것이나,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구부(N)는 일측으로 숙여진 상태에서 용기뚜껑(가)이 용기(400)의 목에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계속된 설명으로서,
상기 도 1h와 같은 상태에서(도 1l의 경우 구부(N)를 도 1h와 같이 치켜 세운 후),덮개(300)를 개봉하는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덮개(300)의 나사산(309)이 구부(N)의 나사산(109)을 타고 상향되는 과정에 유출대(200)도 동시 상방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는 상기 유출대(200)의 환돌기(201)가 상기 덮개(300)의 작동용환돌기(306)에 긴히 끼워져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덮개(300)를 좀더 힘껏 돌리게 되면 일정 선상에서는 유출대(200)의 환테(204)가 구부(N)의 하단부에 닿게 되면 유출대(200)는 더이상 상향되지 못하고 멈추게 되는 것이며,이런 상태에서 상기 덮개(300)를 계속하여 돌리게 되면 유출대(200)의 환돌기(201)가 덮개(300)의 작동용환돌기(306)로 부터 순간 탄력적으로 이탈되는데,이와 같은 상태가 도 1i와 같은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 1i와 같은 상태에서는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아도 상기 덮개(300)는 구부(N)로 분리되게 되는 것이며,상기 덮개(300)의 하방에 형성된 위조방지테(304)는 상기 덮개(300)가 상향되려 하는 과정에 절취선(303)이 파괴되면서 제거 되는데,그 위조방지테(304)는 측면부(302)에서 분리될 수 도 있고,붙어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 도 1i에서 덮개(300)가 제거된 상태가 도 1j와 같은 것이며,상기 도 1j와 같은 상태에서,유출대(200)의 상단에 입을 대고 빨게 되면 용기(400) 내의 내용물이 유출공(208)을 경유 흡출되는 것이며,이와 동시 공기유입홈(206)을 경유하여는 공기가 용기(400) 내로 유입되기 때문에,그 음용시 용기(400)가 수축되지 않고 용기(400) 내의 내용물이 용이하게 유출될 수 있는 것이고,또한 상기 유출대(200)가 상향되면서 상기 유출대(200)의 측면유출공(207)은 본체(100) 유출대삽입공(108)의 내벽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바,유출공(208)을 통해 용기(400) 내의 내용물이 흡출되는 데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용기(400) 내의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기거나 직접 입을 대고 음용하고자 할때는 도 1j와 같은 상태에서 유출대(200)를 누르게 되면,상기의 유출대(200)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되고,이 과정에 유출대(200)의 측면유출공(207)이 본체(100) 구부(N)의 유출대삽입공(108)으로 부터 이탈 되면서 그 측면유출공(207)이 확연히 노출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상태에서 구부(N)를 입에 대고 용기(400)를 일측으로 기울이게 되면 용기(400) 내의 내용물이 측면유출공(207)을 경유 유출공(208)으로 유출되는 것이며,또는 도 1k에서 보인 바와 같이 용기(400)를 일측으로 기울이게 되면 공기유입홈(206)을 통하여는 그 공기가 용기(400) 내로 유입되고,이와 동시 용기(400)내의 내용물은 측면유출공(207)과 유출공(208)을 통해 유출되는 것이다.
도 1l은 구부(N)가 일 방향으로 숙여진 상태를 취하고 있는 것을 보인 것이며,이때는 유출대(200)의 접철부(205)를 기점으로 하여 그 유출대(200)의 하부가 꺽여진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 도 1l의 행위가 자연스럽게 이뤄지는 것을 도 1m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의 크기에 따라 공간(113)의 깊이가 비례하는 것이고, "b" 의 크기는 유출대삽입공(108)에 유출대(200)를 조립한 것의 접철부(205)가 움직이는 각의 크기로서, "b" 의 크기가 클수록 "b'" 의 거리도 커지는 것이다.
그리고 구부접철부(112)의 펄쳐진 거리 "L" 보다도 구부접철부(112)의 단부에서 접철부연결면(111)의 거리 "L'" 가 커야만 상기 구부(N)의 접철되는 각도도 그 만큼 커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구부(N)의 접철되는 크기 "c" 에 따라 공간(113)의 크기 "c'" 가 조정될 수 있는 바,본 발명에서 도시된 각 도는 도 1m을 참고로 하면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본체(100)를 용기 목에 조립한 후 그 용기 목에 조립된 본체(100)를 벗기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서,일예로,필요에 따라 위조방지테(104)에 손잡이(115)를 형성하되,그 손잡이(115)의 양측은 측면절취선(116)을 형성하고,상기 측면절취선(116)의 양단은 절취선(103)과 연결되어져 있는 것이며,그 사용시에는 손잡이(115)의 구멍에 손가락을 넣은 후,그 손잡이(115)를 당기게 되면 양측의 측면절취선(116)과 동 연장 선상의 절취선(103)이 절취되면서 본체(100)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구부(N)를 일측으로 접철되게 하였을 때,용기 내부의 압력에 의해 그 구부(N)가 상향되려는 것을 예방할 목적으로 구부(N)를 보고 있는 상대편 부위인 공간(113)의 내벽 상단 일 부위에 걸림돌기(117)를 형성하되,그 걸림돌기(117)는 도 3과 같이 구부(N)를 접철되게 하였을 때,그 구부(N)에 씌워진 덮개(300)의 상면부(301) 외주부가 상기 걸림돌기(117)를 탄력적으로 타고 넘을 정도의 크기로 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서 점선으로 보인 바와 같이 공간(113)을 덮을 목적으로 상면부(101)에는 스티커(118) 등을 점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4a∼b는, 도 1m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부접철부(112)의 크기나 형태는 그 구부(N)가 접철될 수 있는 형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을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체(100)가 용기 목에 조립되는 것을 달리하는 것을 보인 것으로서, 일예로, 측면부(102)의 내벽면에 나사산(119)을 형성한 것이다.
도 6은 본체(100)를 또 다른 본체의 상면부나 또는 용기 목의 천공부위에 압압하여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삽입홈(121)을 갖고 있는 고정환돌기(120)를 형성하고,그 고정환돌기(120)의 내벽면에는 경질의 보강링(122)을 조립시킨 것이다.
도 7은 본체(100)가 용기 상면부의 임의 천공부에 접착되어질 수 있도록 상면부(101)의 외주면(123)을 형성한 것이다.
도 8은 본체(100)의 외주면(124)이 용기(400)의 상단면에 인서트 방식으로 성형 사출되거나, 또는 접착되어지는 것을 보인 것이다.
도 9는 본체(100)가 용기(400)부와 일체로 제작되어 지는 것을 보인 것이다.
도 10은 유출대(200)의 또 다른 것을 보인 것으로서,도 1c에 비해 특이점은 접철부(205)가 없는 것인데,상기와 같이 접철부(205)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 작용이 될 수 있는 것은 상기 유출대(200)는 휨이 비교적 자유스러운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도 11과 도 12는 용기(400)가 쉽게 수축되는 것을 그 전제로 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도 11의 경우,구부(N)의 유출대삽입공(108) 부위에는 내용물 흡입용 유출대(200)를 조립시킨 것이며,도 12의 경우는,구부(N)의 하방에 유출대(200)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고,그 구부(N)의 상방에는 밀폐를 위하여 당김고리(126)가 있는 절취막(125)을 절취선(127)으로 구획한 것이다.
이상 도 11과 도 12의 경우는 용기(400) 내의 내용물을 빨아 먹을 수 만 있는 것이다.
도 13의 경우는,용기내의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만 구성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구부(N)의 상향으로는 보조구부(128)를 형성하고,그 보조구부(128)의 하부이자 상기 구부(N)의 내벽면에는 긴 형태의 공기유입공(129)을 형성한 것이며, 그 사용시에는 용기를 일측으로 기울인 후 보조구부(128)에 입을 대고 빨게 되면 공기유입공(129)을 통하여는 용기내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유출공(130)으로는 용기내의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이다.이상 본 발명의 구부(N)에는 공기유입공(129)이 형성되어 있는 바,용기의 재질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도 13의 구부(N)는 다양한 본체(100) 및 용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고,또한 본 발명에서 거론되는 각양의 다른 기술도 이용 가능함을 전제하에 상호 다른 구조에 응용될 수 있는 것임을 첨명하는 바이다.
도 14는 용기(400)가 수축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으로서,자세하게는,구부(N)의 상단에 절취선(131)으로 구획된 밀폐부(133)가 있는 마개(132)를 형성한 것이며,그 사용시에는 마개(132)를 일측으로 돌리게 되면 절취선(131)이 파괴되고, 그 음용시에는 용기(400)를 일측으로 기울인 후,구부(N)에 입을 대고 빨게 되면 용기(400) 내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또는 상기 구부(N)의 유출공(134)에는 그 하방으로 길게 유출대(200)를 두어,그 용기(400) 내의 내용물을 빨아 먹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본체(100)에는 유출대(200)가 조립되지 않은 상태로도 이용될 수 있는 것이며,유출대(200)에 형성된 공기유입홈을 구부(N)의 유출대삽입공 내벽면에 형성할 수 도 있으나,이럴 경우,유출대(200)에 형성된 측면유출공이 그 유출대삽입공의 내벽면에 형성된 공기유입홈과 같은 위치에 위치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 바,본 발명에서 보인 유출대(200)에 공기유입홈을 형성하는 것에 비해 비효율적인 것이다.
또한 구부(N)에 적용되어 지는 덮개(300)도 스크류방식이 아닌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질 수 있는 것이며,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유출대(200)는 덮개(30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지 않고,그 유출대(200)는 덮개(300)를 개봉한 후 수동으로 그 유출대(20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부가 일측으로 뉘어지는 바,용기의 다단 적층이 용이한 큰 특징이 있음은 물론,그 구부에 형성된 유출대는 상하 이동이 되는 관계로 용기내의 내용물을 빨아 먹는 것과,그 용기내의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기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7)

  1. 용기(400)의 목에 조립되도록 된 본체(100)를 두고,그 본체(100)의 일 상면에는 상향으로 돌출되고 일방향으로 뉘어질 수 있는 구부(N)를 형성한 것이며,그 구부(N)의 내측으로는 내용물을 빨아 먹거나 다른 용기에 옮기는 용도의 상하 작동용 유출대(200)를 삽입함과,그 유출대(200)를 포함하고 있는 구부(N)의 외부로는 상기 유출대(200)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300)를 조립하되,상기 구부(N)는 일측에 구부접철부가 있는 식으로 된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2. 용기(400)의 목에 조립되도록 된 본체(100)를 두고,그 본체(100)의 일 상면에는 상향으로 돌출되고 일방향으로 뉘어질 수 있는 구부(N)를 형성한 것이며,상기 구부(N)의 외부로는 구부(N)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밀폐될 덮개(300)를 조립하되, 상기 구부(N)는 일측에 구부접철부가 있는 식으로 된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100)는 상면부(101)와 측면부(102) 그리고 그 측면부(102)의 하측으로는 절취선(103)으로 구획된 걸림턱(105)이 있는 위조방지테(104)를 형성한 것이고,상기 측면부(102)의 내벽면에는 삽입홈(106)이 있는 걸림턱(107)을 형성한 것이며,상기 상면부(101)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유출대삽입공(108)이 있는 구부(N)를 형성하되,상기 구부(N)의 외환부에는 나사산(109)과 하단외돌환부(110)를 형성함과,상기 구부(N)의 하단이자 상면부(101) 상에 있는 접철부연결면(111) 반대편 부에는 포물선 형의 구부접철부(112)를 형성하며,상기 구부접철부(112)가 있는 그 외측은 안내부(114)를 포함하고 있는 공간(11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4.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위조방지테(104)에 손잡이(115)를 형성하되,그 손잡이(115)의 양측은 측면절취선(116)을 형성하고,상기 측면절취선(116)의 양단은 절취선(103)과 연결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5.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측면부(102)의 내벽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나사산(119)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6.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구부(N)를 중심으로한 본체(100)는 천공부위에 압압하여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상기 본체(100)의 외주면으로 삽입홈(121)을 갖고 있는 고정환돌기(120)를 형성하고,그 고정환돌기(120)의 내벽면에는 경질의 보강링(122)을 조립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7.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구부(N)를 중심으로한 본체(100)가 천공부위에 접착되어질 수 있도록 상면부(101)에 외향에 외주면(12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8.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100)의 외주면(124)이 용기(400)의 상단면에 인서트 방식으로 성형 사출되거나,접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한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9.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100)가 용기(400)부와 일체로 제작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한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10.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구부(N)의 하방에 형성된 구부접철부(112)의 펼쳐진 거리 "L" 은 구부접철부(112)의 단부에서 접철부연결면(111)의 거리 "L'" 과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한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11.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유출대(200)는 상단으로는 환홈(202)을 중심으로 상하로 환돌기(201)와 환테(203)를 형성하고,상기 하단으로는 환테(204)와 접철부(205)를 형성하고,그 하방으로는 용기(400)의 길이에 비례하는 길이로 유출대(200)가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상기 환테(203,204)의 사이는 공기유입홈(206)을 길게 형성하되,상기 공가유입홈(206)의 양측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측면유출공(207)이 형성됨과,그 측면유출공(207)은 상하로 관통된 내부의 유출공(208)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작동용 유출대.
  12.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유출대(200)는 접철부(25)를 없앤 상태로 하며,상기 유출대(200)는 휨(접철)이 비교적 자유스러운 재질(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한 작동용 유출대.
  13.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구부접철부(112)의 형태는 포물선이나 적어도 1개 이상의 산봉우리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한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14.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구부(N)를 보고 있는 상대편 부위인 공간(113)의 내벽 상단 일 부위에 걸림돌기(117)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15.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걸림돌기(117)는 구부(N)를 접철되게 하였을 때, 그 구부(N)에 씌워진 덮개(300)의 상면부(301) 외주부가 상기 걸림돌기(117)를 탄력적으로 타고 넘을 정도의 크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한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16.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구부(N)의 유출대삽입공(108) 부위에는 접철부(205)가 있는 내용물 흡입용 유출대(200)를 조립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17.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구부(N)의 내부 하방에 얇게 된 유출대(200)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고,그 구부(N)의 상방에는 밀폐를 위하여 당김고리(126)가 있는 절취막(125)을 절취선(127)으로 구획한 것을 특징으로한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18.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구부(N)의 상향으로는 보조구부(128)를 형성하고, 그 보조구부(128)의 하부이자 상기 구부(N)의 내벽면에는 긴 형태의 공기유입공(129)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19.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구부(N)의 상단에 절취선(131)으로 구획된 밀폐부(133)가 있는 마개(13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20. 제 19 항에 있어서,상기 구부(N)의 내부 하방으로 길게 유출대(20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21. 제 16 항 내지 제 17항,제 19 항 내지 제 20 항에 있어서,상기 구부(N)는 용기가 쉽게 수축되는 것을 전제로한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2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덮개(300)는 상면부(301)와 측면부(302)로 구성되고,측면부(302)의 하방에는 절취선(303)으로 구획된 걸림턱(305)이 있는 위조방지테(304)를 형성한 것이며,상기 상면부(301)의 저부이자 측면부(302)의 내벽면에는 환돌기걸림홈(307)이 있는 작동용돌기(306)를 형성한 것이고,상기 작동용돌기(306)의 하부 내벽면에는 상기 본체(100) 구부(N)의 상단 외주면에 접촉되어 밀폐력을 유지할 밀폐벽(308)을 형성함과,그 하방으로는 본체(100) 구부(N)의 나사산(109)에 접촉될 형의 나사산(309)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23. 제 22 항에 있어서,상기 덮개(300)의 작동용돌기(306)는 유출대(200)의 환돌기(201)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24. 제 23 항에 있어서,상기 덮개(300)를 개봉할 때에는 작동용돌기(306)가 환돌기(201)에 걸려 유출대(200)를 끌고 올라 가다가 일정선상인 덮개(200)의 제일 하단 나사산(309)이 구부(N)에 형성된 상단의 나사산(109)을 벗어 나기전 상기 유출대(200)의 환테(204)가 상기 구부(N)의 유출대삽입공(108) 하단에 걸려 상기 환돌기(201)가 상기 작동용환돌기(306)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25. 제 22 항에 있어서,상기 덮개(300)에는 작동용환돌기(306)와 환돌기걸림홈(307)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한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26. 제 22 항에 있어서,상기 덮개(300)가 적용된 유출대(200)는,덮개(300) 개봉후 그 유출대(200)를 손으로 상하향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한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2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구부(N)를 일측으로 뉘어지게 한후 그 구부(N)의 상방인 본체(100)의 상면부(101)에는 스티커(118)를 접착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된 용기뚜껑.
KR1020000012929A 2000-03-12 2000-03-12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된 용기뚜껑 KR100616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31,656 US6619518B1 (en) 2000-03-12 2000-03-12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KR1020000012929A KR100616705B1 (ko) 2000-03-12 2000-03-12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된 용기뚜껑
JP2001572385A JP2003529503A (ja) 2000-03-12 2001-03-12 液体容器用キャップ
CN01800463A CN1126696C (zh) 2000-03-12 2001-03-12 用于液体容器的管嘴组件
PCT/KR2001/000384 WO2001074682A1 (en) 2000-03-12 2001-03-12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AU44745/01A AU4474501A (en) 2000-03-12 2001-03-12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EP01917867A EP1218253A4 (en) 2000-03-12 2001-03-12 MOUTH ASSEMBLY FOR A LIQUID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929A KR100616705B1 (ko) 2000-03-12 2000-03-12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된 용기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749A true KR20000030749A (ko) 2000-06-05
KR100616705B1 KR100616705B1 (ko) 2006-08-28

Family

ID=19655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929A KR100616705B1 (ko) 2000-03-12 2000-03-12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된 용기뚜껑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19518B1 (ko)
EP (1) EP1218253A4 (ko)
JP (1) JP2003529503A (ko)
KR (1) KR100616705B1 (ko)
CN (1) CN1126696C (ko)
AU (1) AU4474501A (ko)
WO (1) WO20010746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0681A (ko) * 2006-03-03 2007-09-06 안진희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6194A (ja) * 2004-01-22 2005-08-04 Nippon Seikan Kk 包装用缶
US20060163190A1 (en) * 2005-01-18 2006-07-27 Laveault Richard A Drinking spout and closure combination for a beverage container
DE102006035761B4 (de) 2006-08-01 2015-10-01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Verschlusskappe für einen mit einer medizinischen Flüssigkeit befüllten Behälter und Behälter mit einer Verschlusskappe
WO2008131437A1 (en) * 2007-04-23 2008-10-30 Learning Curve Brands, Inc. Drinking container with straw
EP2475586A4 (en) * 2009-09-11 2013-01-23 Handi Craft Co CUP AND COVER ASSEMBLY FOR CUPLET
ES2541481T3 (es) * 2009-12-14 2015-07-21 Unilever N.V. Dispositivo de estanqueidad
DE102010015002B3 (de) * 2010-04-14 2011-04-28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Verschlusskappe für einen mit einer medizinischen Flüssigkeit befüllten Behälter und Behälter mit einer Verschlusskappe
USD732892S1 (en) 2013-10-25 2015-06-30 Brita Lp Water bottle
USD736562S1 (en) 2013-12-09 2015-08-18 Brita Lp Water bottle
USD750428S1 (en) 2015-05-26 2016-03-01 The Glad Products Company Water bottle top
USD811162S1 (en) 2016-12-13 2018-02-27 Yeti Coolers, Llc Lid
USD812970S1 (en) 2016-12-13 2018-03-20 Yeti Coolers, Llc Lid
USD821135S1 (en) 2016-12-13 2018-06-26 Yeti Coolers, Llc Lid
USD821809S1 (en) 2016-12-13 2018-07-03 Yeti Coolers, Llc Lid
USD808713S1 (en) 2016-12-13 2018-01-30 Yeti Coolers, Llc Lid
EP3431407A1 (en) * 2017-07-21 2019-01-23 Smixin SA Spout with final zone
US10717566B1 (en) * 2019-06-11 2020-07-21 Johnathan Williams Erecting spout cap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7429A (en) * 1964-11-30 1967-12-12 Pharmaseal Lab Collection system for body fluids
US4080989A (en) * 1976-05-19 1978-03-28 Michlin Chemical Corporation Tube connector for fluid container
BR8107847A (pt) * 1981-12-02 1983-08-23 Anakol Ltda Lab Recipiente dispensador
US4428498A (en) * 1982-06-28 1984-01-31 Obey Richard P Coffee cup travel lid
US4586625A (en) 1984-01-11 1986-05-06 Top Notcher Enterprises, Inc. Single use beverage container top
US4618078A (en) * 1984-05-16 1986-10-21 Rieke Corporation Vented nestable pouring spout
FR2641259B1 (fr) * 1989-01-06 1992-05-15 Schiemann Dr Wolfram Dispositif de fermeture par vissage d'un recipient en matiere plastique
US5054631A (en) * 1989-09-25 1991-10-08 Robbins Edward S Iii Disposable beverage containers having integral drinking straws
US5071019A (en) 1991-03-15 1991-12-10 Sizemore David W Lid-drinking straw assembly
US5392968A (en) * 1993-06-14 1995-02-28 Dark; Richard C. G. Dispensing closure and method
US5361935A (en) * 1994-01-18 1994-11-08 Sagucio Esteban N Spill-resistant cup for soft drink
US5361934A (en) 1994-04-12 1994-11-08 Lisco, Inc. Pop-up straw for juvenile drinking cup
US5509551A (en) * 1994-07-07 1996-04-23 Terrell, Ii; Robert C. Beverage container dispensing cap
CZ85096A3 (en) * 1994-07-22 1996-08-14 Invest Des Creac Mej Prod Sl Container for beverages, preserved foodstuff and the like raw materials
DE19646261A1 (de) * 1996-09-21 1998-03-26 Walter Sues Automatik-Trinkflasche
US5897013A (en) * 1997-04-14 1999-04-27 Playtex Products, Inc. Straw for drinking cup
US5884793A (en) * 1998-01-28 1999-03-23 Wang; Wen-Pin Cap assembly for a bottle
EP1100726B1 (en) * 1998-07-15 2005-10-19 Jung-Min Lee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EP0997392A1 (de) * 1998-10-27 2000-05-03 Alusuisse Technology & Management AG Verpackungsbeutel
JP2000289763A (ja) 1999-04-07 2000-10-17 Daiwa Can Co Ltd ストロー付き袋状容器
KR200173350Y1 (ko) 1999-07-19 2000-03-15 이정민 액체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0681A (ko) * 2006-03-03 2007-09-06 안진희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64130A (zh) 2002-08-14
JP2003529503A (ja) 2003-10-07
KR100616705B1 (ko) 2006-08-28
CN1126696C (zh) 2003-11-05
EP1218253A4 (en) 2006-11-22
AU4474501A (en) 2001-10-15
US6619518B1 (en) 2003-09-16
EP1218253A1 (en) 2002-07-03
WO2001074682A1 (en) 200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6705B1 (ko)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된 용기뚜껑
CN105916781B (zh) 用于瓶子的具有可折叠吸管的瓶盖
JPH03124569A (ja) 容器のためのポンプ
US7506784B2 (en) Spout assembly with vertically movable spouting guide member
KR100830089B1 (ko) 용기용 마개
KR200173348Y1 (ko) 분리가용이한위조방지용캔마개
KR20030015167A (ko) 액체용기 마개
KR200413867Y1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기
KR200174379Y1 (ko) 음료용 캔
KR200445683Y1 (ko) 개량된 액체용기 뚜껑
WO2004067398A1 (en)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KR20000030671A (ko)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KR200381445Y1 (ko) 음료유도부재가 내장된 음료용 캔
KR20020075761A (ko) 배출대
WO2003024822A1 (ko) Foldable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KR200315333Y1 (ko) 위조식별이 용이한 캔마개
KR20020079668A (ko) 스트로지지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구조
KR20000041528A (ko) 상면부에 별도의 당김고리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KR20220168474A (ko) 분리 배출이 가능한 용기용 원터치 캡
KR20010025691A (ko)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된 뚜껑
KR20000030205A (ko) 배출관이 있는 작동부 밀폐형 합성수지 병뚜껑
KR200351677Y1 (ko) 빨대 상단에 돌출부를 돌출 수용케한 음료수용 병
KR200224225Y1 (ko) 용기 마개
KR200255384Y1 (ko) 액체용기 마개
KR20000064059A (ko) 액체주출용 뚜껑의 밀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