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0681A -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 Google Patents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0681A
KR20070090681A KR1020060020670A KR20060020670A KR20070090681A KR 20070090681 A KR20070090681 A KR 20070090681A KR 1020060020670 A KR1020060020670 A KR 1020060020670A KR 20060020670 A KR20060020670 A KR 20060020670A KR 20070090681 A KR20070090681 A KR 20070090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container
main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희
Original Assignee
안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진희 filed Critical 안진희
Priority to KR1020060020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0681A/ko
Publication of KR20070090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6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보호하는 밀봉부재가 실링되는 용기입구에 장착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직으로 세운 후 누르면 상기 밀봉부재를 뚫고 들어가는 스트로와, 상기 본체의 내벽면과 상기 스트로의 외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밀봉시키고 상기 스트로가 본체 내부에서 수평한 상태로 배치시키고 상기 스트로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연결막으로 구성되어, 용기마개에 스트로가 일체로 형성되어 스트로를 분실할 염려가 없고 별도의 스트로가 불필요하고, 스트로를 수직으로 세운 후 하측방향으로 누르면 스트로가 용기입구에 접착된 밀봉부재를 뚫고 들어가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한 용기마개를 제공한다.
용기마개, 마개, 캡

Description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 VESSEL STOPPER HAVING STRAW }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록킹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지지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는 본 발명의 용기마개에 내장된 스트로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평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트로가 눕혀진 용기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트로가 세워진 용기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트로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트로의 단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트로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25a 및 도 도 25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29a 및 도 29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32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록킹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록킹부의 상면도이다.
도 34a 및 도 34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12 : 용기입구
14 : 배출구 16 : 본체
18 : 밀폐부재 20 : 덮개
30 : 밀폐부재 분리유닛 36 : 격벽
40 : 연결리브 50 : 얇은 막
52 : 연결리브 60 : 누름판
62 : 푸시로드 64 : 연결부
66 : 걸림로드 70 : 보호부재
본 발명은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마개에 스트로가 일체로 구비되어 사용이 편리한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의 측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는 액상 식품(102)이 저장되는 용기(104)의 용기 입구(106)에 장착되어 상기 용기입구(106)의 개폐작용을 하는 것으로, 상기 용기입구(106)에는 용기(104)에 저장된 액상물질(102)을 보호하는 밀봉부재(108)가 접착된다.
상기 용기입구(106)의 둘레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리브(112)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마개(110)의 둘레면에는 상기 걸림리브(112)에 걸림되어 용기입구(106)에 체결되는 걸림턱(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마개(11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상기 용기마개(110)를 용기입구에서 벗겨내는 손잡이(11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110)는 사용순서를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손잡이(116)를 잡고 상측방향으로 당기면 용기마개(110)에 형성된 걸림턱(112)이 상기 용기입구(106)에 형성된 걸림리브(114)에서 벗어나면서 용기마개(110)가 용기입구(106)에서 분리된다.
그런 후 상기 용기입구(106)에 접착된 밀봉부재(108)를 벗겨낸 후 마시거나, 스트로를 밀봉부재(108)에 꼽아 빨아먹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110)는 상기 밀봉부재(108)를 손으로 벗겨내야 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롭고 또한 용기입구(106)에서 제거된 밀봉부재(108)를 외부에 버려야 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트로를 이용하여 액상물질(102)을 먹을 경우 별도로 스트로를 용기와는 별도로 스트로를 가지고 다녀야 되기 때문에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마개에 스트로가 일체로 형성되어 스트로를 분실할 염려가 없고 별도의 스트로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한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용기마개를 용기입구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고 스트로를 수직으로 세운 후 하측방향으로 누르면 스트로가 용기입구에 접착된 밀봉부재를 뚫고 들어가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한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스트로를 세우면 마개에 형성된 공기 주입구가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여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스트로를 통해 보다 잘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보호하는 밀봉부재가 실링되는 용기입구에 장착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직으로 세운 후 누르면 상기 밀봉부재를 뚫고 들어가는 스트로와, 상기 본체의 내벽면과 상기 스트로의 외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밀봉시키고 상기 스트로가 본체 내부에서 수평한 상태로 배치시키고 상기 스트로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연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하측 내주면에는 상기 용기입구에 형성된 걸림리브에 걸림되어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 체결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에는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스트로를 보호하기 위한 덮개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는 그 일측이 상기 본체의 상단에 연결리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걸림후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와 본체 사이에는 상기 덮개가 본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록킹부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덮개의 측면에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끝부분이 구형태로 형성되는 록킹돌기와, 상기 록킹돌기가 억지 끼움될 수 있도록 구형홈 형태로 상기 본체의 상단 측면에 형성되는 록킹홈부와, 상기 록킹돌기에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기 덮개에 열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뜯겨지는 노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의 내면에는 상기 덮개를 개방할 때 상기 스트로를 수직으로 세우는 지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덮개의 안쪽면에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상기 스트로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일정 탄성력을 갖는 끼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트로는 그 외주면이 상기 연결막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에 수평하게 눕혀진 상태로 배치되고, 그 한쪽 끝부분은 상기 용기입구에 접착된 밀봉부재를 뚫고 들어가기 용이하도록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막은 변형이 가능하도록 주름진 형태의 얇은 막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스트로의 외주면 사이에 액상 식품이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그 일측에 상기 스트로의 한쪽 끝부분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입구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끝부분에는 사용자가 누름 작용하는 누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중간부위에는 누름부를 누르면 하측방향으로 꺾이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하면에는 상기 스트로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본체의 하면에서 수직으로 세우진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로의 외주면에 일정 탄성력을 갖고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트로는 상기 연장부에 배치되는 부위에는 외부의 먼지 및 이물질이 상기 스트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축필름에 의해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용기에 저장된 액상 식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에 장착되고 상면에 스트로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 수납부의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스트로 수납부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수직으로 세운 후 하측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용기입구에 실링된 실 링부재를 뚫고 들어가는 스트로와, 상기 본체의 관통홀의 내주면과 상기 스트로의 외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트로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연결막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트로를 스트로 수납부에 눕히면 상기 스트로의 끝부분을 밀폐시키는 스트로 밀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트로 밀폐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돌출되고 상기 스트로의 끝부분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밀착홈이 형성되어 스트로가 눕혀지면 상기 스트로의 끝부분이 상기 밀착홈에 밀착되어 스트로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스트로가 눌려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상기 용기(10)에 저장된 액상 식품(12)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14)에 장착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갖고 상측이 개방된 본체(16)와, 상기 본체(16)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트로(18)와, 상기 본체(16)의 내벽면과 상기 스트로(18)의 외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트로(18)가 본체(16) 내부에 수평한 상태로 배치시키고 상기 스트로(18)가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연결막(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10)는 캔 또는 종이 재질의 용기 또는 합성수지재의 용기 등 액상 식물을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용기들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입구(14)에는 그 원주방향으로 상기 용기마개(30)가 장착될 수 있도록 걸림리브(22)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용기(10)에 저장된 액상식품(12)을 보호하기 위한 밀봉부재(24)가 접착된다.
상기 본체(16)는 그 개방된 상면에 상기 본체(16) 내부에 배치되는 스트로(18)를 보호하기 위한 덮개(26)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본체(16)의 하측 내주면에는 상기 용기입구(14)에 형성된 걸림리브(22)에 걸림되어 용기마개(30)가 용기입구(14)에 체결되는 걸림턱(32)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6)와 용기입구(14) 사이의 체결구조는 상기에서 설명한 구조 이외에 본체(16)의 하측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입구(14)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부의 외주면에 암나사부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용기마개와 용기 사이가 체결되는 구조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체결구조 이외에 본체(16)와 용기입구(14) 사이를 체결할 수 있는 어떠한 체결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덮개(26)는 그 일측이 상기 본체(16)의 상단에 연결리브(3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리브(34)가 형성된 부위의 반대쪽 부위에는 상기 본체(16)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돌기(36)에 걸림되는 걸림후크(38)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26)를 상기 본체(16)에서 개방할 때 손으로 잡고 상기 덮개를 개방하는 손잡이(40)가 형성된다.
상기 덮개(26)와 본체(16) 사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 (26)가 본체(16)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록킹부(42)가 형성된다. 상기 록킹부(42)는 상기 덮개(26)의 측면에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끝부분이 구형태로 형성되는 록킹돌기(42a)와, 상기 록킹돌기(42a)가 억지 끼움될 수 있도록 구형홈 형태로 상기 본체(16)의 상단 측면에 형성되는 록킹홈부(42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돌기(42a)에는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기 덮개(26)를 개방할 때 덮개(26)에 열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뜯겨지는 노치부(44)가 형성된다.
즉, 이와 같은 록킹부(42)는 상기 용기마개(30)를 제조할 때 상기 덮개(26)를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주면 상기 덮개(26)에 형성된 록킹돌기(42a)가 상기 본체(16)에 형성된 록킹홈(42b)에 억지 끼움되어 상기 덮개(26)와 본체(16) 사이를 록킹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26)를 개방하면 상기 록킹돌기(42a)에 형성된 노치부(44)가 뜯겨지면 상기 덮개(26)와 본체(16) 사이의 록킹이 해제된다.
상기 덮개(26)의 내면에는 상기 덮개(26)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16) 내부에 배치된 스트로(18)가 눕혀진 상태를 지지해주고 상기 덮개(26)를 개방하면 상기 스트로(18)를 수직으로 세우는 지지부재(46)가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4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26)의 안쪽면에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상기 스트로(18)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끼움부(48)가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48)는 하측이 개구되어 일정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46)는 상기 덮개(26)를 개방하면 덮개(26)와 같이 회전 되면서 상기 스트로(18)를 수직으로 세워준다. 즉, 상기 끼움부(48)가 상기 스트로(18)의 외주면에 걸림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재(46)가 덮개(26)와 같이 회전되면 상기 스트로(18)가 같이 회전되면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26)를 더 회전시키면 상기 끼움부(48)가 스트로(18)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스트로(18)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된다.
상기 스트로(18)는 그 외주면이 상기 연결막(2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본체(16)의 내부에 수평하게 눕혀진 상태로 배치되고, 그 한쪽 끝부분은 상기 용기입구(14)에 접착된 밀봉부재(24)를 뚫고 들어가기 용이하도록 뽀족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스트로(18)는 상기 수직으로 세워진 후 스트로(18)를 누르면 상기 밀봉부재(24)를 뚫고 들어가기 위해서는 자체적으로 강도를 갖고 있어야 되는데, 상기 스트로(18)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보강리브가 형성된다.
즉, 상기 스트로(18)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보강리브(50)가 적어도 하나 이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스트로(18)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18)의 내주면에 일자형태로 또는 십자형태의 보강리브(52)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54)는 그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직경이 긴 부분이 상기 밀봉부재(24)와 접촉되도록 형성하여 스트로(54)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트로(56)는 상기 밀봉부재(24)에 접촉하는 면이 각이 진 형태의 마름모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밀봉부재(24)를 뚫을 수 있는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연결막(20)은 탄성변형 가능한 얇은 막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6)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6)의 상측으로 액상 식품이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막(20)은 상기 스트로(18)가 수직으로 세워지면 상측방향으로 볼록한 돔 형태로 되어 상기 스트로(18)가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스트로(18)를 하측방향으로 누르면 탄성 변형되면서 오목한 형태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스트로(18)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가 구비된 용기마개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용기에 담긴 액상식품(12)을 마시기 위해 사용자가 덮개(26)의 손잡이(40)를 잡고 상측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덮개(26)와 본체(16) 사이에 형성된 록킹부(42)의 록킹이 해제되면서 상기 덮개(26)가 본체(16)에서 분리되어 개방된다. 즉, 상기 록킹부(42)의 록킹돌기(42a)에 형성된 노치부(44)가 뜯겨지면서 상기 덮개(26)와 본체(16) 사이의 록킹이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26)에 형성된 지지부재(46)가 상기 덮개(26)와 같이 상측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지지부재(46)에 걸림된 스트로(18)가 상기 지지부재(46)와 같이 회전되면서 수직으로 세워진다.
상기 덮개(26)를 90도 이상 더 회전시키면 상기 스트로(18)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되고 상기 지지부재(46)의 끼움부(48)가 상기 스트로(18)에서 분리된다. 이때, 연결막(20)은 상측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상태로 되어 상기 스트로(18)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스트로(18)를 하측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연결막(20)이 탄성 변형되면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18)의 하단이 밀봉부재(24)를 뚫고 들어가게 된다. 그런 후 사용자가 용기(10)를 기울인 후 상기 스트로(18)를 통해 용기(10)에 저장된 액상식품(12)을 마신다.
여기에서, 상기 스트로(18)는 연결막(20)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막(20)에 연결된 부위를 회전 지점으로 하여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로(18)에 의해 뚫린 밀봉부재(24)의 구멍을 통해 액상식품(12)이 배출되더라도 상기 본체(16)가 연결막(20)에 의해 밀봉된 상태이기 때문에 액상식품(12)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의 상면도이고,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용기(10)에 저장된 액상 식품(12)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14)에 장착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갖고 상측이 개방된 본체(70)와, 상기 본체(7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에 형성된 지지부재에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되는 스트로(18)와, 상기 본체(70)의 내벽면과 상기 스트로(18)의 외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트로(18)가 본체(70) 내부에 수평한 상태로 배치시키고 상기 스트로(18)가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연결막(72)으 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70)는 상측이 상기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게 상기 용기입구(14)에 체결되고, 그 일측은 상기 스트로(18)의 한쪽 끝부분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입구(14)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74)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74)의 끝부분에는 사용자가 누름 작용하는 누름부(78)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74)의 중간부위에는 누름부(78)를 누르면 하측방향으로 꺾이는 절곡부(76)가 형성된다.
즉, 상기 본체(70)는 사용자가 누름부(78)를 누르면 절곡부(76)가 꺾이면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스트로(18)의 한쪽 끝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된다.
상기 지지부재(80)는 상기 본체(70)의 하면에서 수직으로 세우진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로(18)의 외주면에 일정 탄성력을 갖고 감싸지게 되어 상기 스트로(18)가 상기 본체(70) 내부에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트로(18)는 상기 연장부(74)에 배치되는 부위에는 외부의 먼지 및 이물질이 상기 스트로(18)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축필름(82)에 의해 감싸지고, 스트로(18)를 사용할 때 상기 수축필름(82)을 벗겨내면 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로(18)에는 상기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스트로(18)의 강도를 보강한다.
상기 연결막(72)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얇은 막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70)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18)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70)의 상측으로 액상 식품이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막(72)은 상기 스트로(18)가 수직으로 세워질 때 상측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로(18)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스트로(18)를 누르면 오목하게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스트로(18)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본체(70)에 형성된 누름부(78)를 누르면, 상기 본체(70)의 연장부(74)가 절곡부(76)를 중심으로 꺾인다. 그러면, 상기 스트로(18)의 한쪽 끝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되는 데, 상기 스트로(18)를 상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수직으로 세운다.
그러면, 상기 스트로(18)는 지지부재(80)에서 벗어나면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회전되고, 연결막이 상측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되어 상기 스트로(18)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지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스트로(18)를 하측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스트로(18)의 하단이 상기 밀봉부재(24)를 뚫고 들어간다. 이때, 상기 연결막(72)은 오목한 형태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스트로(18)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스트로가 눕혀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6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스트로가 세워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용기(10)에 저장된 액체 상태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12)에 장착되고 상면에 스트로 수납공간(152)이 형성되는 본체(150)와, 상기 본체(150)의 스트로 수납공간(152)에 배치되는 스트로(154)와, 상기 본체(150)의 내벽면과 상기 스트로(154)의 외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트로(154)가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연결막(156)으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10)는 일실시예에서 설명한 용기와 동일하고, 용기(10)에 저장된 액상식품을 보호하기 위한 밀봉부재(24)가 접착된다.
상기 본체(150)는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그 개방된 상면에 상기 본체(150) 내부에 배치되는 스트로(154)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부재(158)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본체(150)의 하측 내주면에는 상기 용기입구(12)에 형성된 걸림리브(22)에 걸림되어 마개가 용기입구(12)에 체결되는 걸림홈(16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50)는 스트로 수납부(152)의 일측에 관통홀(162)이 형성되어 상기 스트로(154)가 상기 관통홀(162)을 통과하여 실링부재(24)를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150)와 용기입구(12) 사이의 장착 구조는 상기에서 설명한 구조 이외에 본체(150)의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용기입구(12)의 외주면에 수나부가 형성되나 나사 체결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체결방식 이외에 용기입구(12)에 본체(150)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어떠한 체결방식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150)의 스트로 수납부(152)는 상기 스트로(154)를 잡고 수직으로 세우기 용이하도록 스트로(154)의 한쪽 끝부분이 위치되는 부위에는 벽이 제거된 개구부(164)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재(158)는 상기 본체(150)의 스트로 수납부(152)의 상측 둘레면에 접착 또는 열융착 등의 방법에 의해 부착되고 그 일측이 상기 스트로 수납부(152)의 개구부(164)까지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150)의 스트로 수납부(152)의 바닥면에는 상기 스트로(154)가 스트로 수납부(152)에 눕혀진 상태로 위치될 때 스트로(154)가 눕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트로(154)가 지지되는 지지부재(166)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166)는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 수납부(152)의 바닥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그 마주보는 면의 안쪽부위에는 상기 스트로(18)가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끼움홈(16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66)의 중앙에는 외부공기가 용기(1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 주입구(170)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공기 주입구(170)는 스트로(154)가 지지부재(166)의 끼움홈(168)에 끼워진 상태일 때에는 상기 스트로(154)의 외주면이 밀착되어 공기 주입구(170)가 밀폐되고, 상기 스트로(154)가 지지부재(166)에서 이탈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면 공기 주입구(170)가 개방되어 외부공기가 공기 주입구(170)를 통해 용기(10) 내부로 공급된다.
따라서, 스트로(154)를 통해 용기(10)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빨아먹을 때 상기 공기 주입구(170)를 통해 외부공기가 용기(10) 내부로 공급되어 스트로(154)를 통해 내용물이 보다 잘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기 주입구(170)는 지지부재(166)의 중앙 이외에 본체(150)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외부공기가 용기(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는 다른 부위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로(154)는 그 외주면이 상기 연결막(156)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본체(150)의 스트로 수납부(152)에 수평하게 눕혀진 상태로 배치되고, 그 한쪽 끝부분은 연결막(156)의 상측에 위치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연결막(156)의 하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연결막(156)의 하측에 위치되는 스트로(154)의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용기입구(12)에 접착된 밀봉부재(24)를 뚫고 들어가기 용이하도록 뽀족하게 형성된다.
상기 실링부재(24)를 뚫고 들어가 용기(10) 내부에 위치되는 스트로(154)의 다른쪽 끝부분에는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이 보다 잘 유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172)가 형성된다. 즉,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로(154)의 실링부재(24) 안쪽에 위치되는 부위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172)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10)를 눕혀서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을 빨아 먹을 때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의 마지막 남은 것까지 전부 용이하게 스트로(54)를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로(154)는 연결막(156)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막(156)의 상측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빠는 부위 보다 상기 연결막 (156)의 하측에 위치되어 실링부재(24)를 뚫고 들어가는 부위가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스트로(154)의 하단이 실링부재(24)를 뚫고 들어가는 강도를 증대시킨다. 그리고, 상기 스트로(154)의 끝부분에는 실링부재(24)를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뽀쪽한 형태의 펀치부(180)가 형성된다.
상기 스트로(154)의 상면 즉, 입을 대고 빠는 부위에는 외부의 먼지 및 이물질이 상기 스트로(15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축필름(182)에 의해 감싸질 수 있고, 스트로(154)를 사용할 때 상기 수축필름(182)을 벗겨내면 된다.
상기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을 마시다가 중지했을 경우 스트로(154)를 다시 스트로 수납부(152)에 눕히면 스트로(154)의 다른쪽 끝부분을 밀폐시키는 스트로 밀폐부(184)가 본체(150)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스트로 밀폐부(184)는 본체(150)의 내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안쪽부위에 상기 스트로(154)의 다른쪽 끝부분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밀착홈(186)이 형성되어 상기 스트로(154)를 수평하게 눕히면 스트로(154)의 다른쪽 끝부분이 밀착홈(186)에 밀착되어 스트로(154)가 밀폐된다.
이러한 스트로(154)는 상기 수직으로 세워질 때 상기 밀봉부재(24)를 뚫고 들어가기 위해서는 자체적으로 강도를 갖고 있어야 되는데, 상기 스트로(154)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보강리브가 형성된다.
즉, 상기 스트로(54)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154)의 내주면에 일자형태의 보강리브(188) 또는 십자형태의 보강리브(176)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190)는 그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직경이 긴 부분이 상기 밀봉부재(24)와 접촉되도록 형성하여 스트로(19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트로(192)는 상기 밀봉부재(24)에 접촉하는 면이 각이 진 형태의 마름모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밀봉부재(24)를 뚫을 수 있는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연결막(156)은 탄성 변형 가능한 얇은 막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50)에 형성되는 관통홀(162)의 내주면과 스트로(154)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50)의 상측으로 액상 식품이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막(156)은 상기 스트로(154)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일정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즉, 상기 연결막(156)은 스트로(154)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일 때에는 자바라 형태로 접혀진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스트로(154)가 수평으로 세워지면 펼쳐지면서 상측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스트로(154)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지지해주고, 상기 스트로(154)가 하강되면서 하측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스트로(154)가 하강된 상태를 지지해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트로가 구비된 용기마개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24 및 도 25a 및 도 25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용기(10)에 담긴 액상식품을 마시기 위해 사용자가 본체(150)의 상면에 덮어 진 커버부재(158)를 당겨서 벗겨낸다.
그런 후, 상기 스트로(154)의 한쪽 끝부분을 잡고 수직으로 세우면 상기 스트로(154)는 지지부재(166)에서 이탈되면서 연결막(156)에 의해 가이드되어 수직으로 세워진다.
이때, 상기 연결막(156)은 펼쳐지면서 상측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되어 상기 스트로(154)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지지해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스트로(154)를 화살표 Q 방향으로 눌러주면 상기 스트로(154)의 뽀쪽한 끝부분이 상기 밀봉부재(24)를 뚫고 들어간다. 그리고, 상기 스트로(154)의 한쪽 끝부분에 씌워진 수축필름(182)을 벗겨내고 용기(10)를 기울인 후 상기 스트로(154)를 빨면 상기 스트로(154)를 통해 용기(10)에 저장된 액상식품을 마실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트로(154)가 수직으로 세워지면 상기 지지부재(166)에 형성된 공기 주입구(170)가 개방되어 상기 공기 주입구(170)를 통해 외부 공기가 용기(10)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스트로(154)를 통해 내용물이 잘 배출된다.
그리고,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을 마시는 것을 중단했을 때 스트로(154)를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다시 눕힌 후 상기 스트로(154)의 한쪽 끝부분을 지지부재(166)의 끼움홈(168)에 끼우면 스트로(154)의 외주면이 상기 공기 주입구(170)에 밀착되어 공기 주입구(170)를 막아주고, 스트로(154)의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본체(150)의 내부에 형성된 스트로 밀폐부(184)의 밀착홈(186)에 밀착되어 스트로(154)가 밀폐된다.
따라서, 내용물을 마시는 것을 중단했을 때 스트로(154)를 밀폐하고 공기 주입구(170)를 막아주어 내용물이 마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이 조금 남았을 경우에는 스트로(154)의 끝부분에 형성된 절개부(172)를 통해 내용물이 유입되기 때문에 용기에 마지막 남은 소량의 내용물도 전부 마실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트로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를 나타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용기(10)에 저장된 액체 상태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12)에 장착되고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에 배치되는 스트로(202)와, 상기 본체(200)의 내벽면과 상기 스트로(202)의 외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트로(202)가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연결막(204)과, 상기 스트로(202)의 끝부분에 장착되어 스트로(202)의 개폐작용을 하는 개폐장치(21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0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그 상면에 일정 부위만큼 덮인 형태의 상부 플레이트(206)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200)의 하면에는 상부 플레이트(206)가 덮인 반대쪽에 일정 부위만큼 덮인 하부 플레이트(208)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206)와 하부 플레이트(208) 사이에는 연결막(204)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막(204)에 상기 스트로(202)가 관통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0)의 내부는 상기 연결막(204)에 의해 구획되어 상측으로 노출되는 제1공간부(212)와, 상기 연결막(204)에 의해 구획되어 본체(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공간부(2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208)의 상면에는 상기 스트로(202)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일 때 상기 스트로(202)가 눕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해주는 지지부재(218)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218)는 하부 플레이트(208)의 상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이 개구되어 상기 스트로(202)의 외주면이 탄성적으로 걸림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로(202)는 그 외주면이 상기 연결막(204)에 고정되고 그 상부는 상기 제1공간부(212)에 위치되고 그 하부는 상기 제2공간부(214)에 위치된다.
상기 스트로(202)의 상부에는 상기 개폐장치(210)가 형성되어 상기 스트로(202)의 개폐 작용을 하고, 스트로(202)의 타단에는 상기 용기입구(12)에 실링된 밀봉부재(24)를 뚫고 들어가기 용이하도록 끝부분이 뽀쪽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스트로(202)의 보강 구조는 상기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연결막(204)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206)와 하부 플레이트(208) 사이에 연결되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주름진 얇은 막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202)가 눕혀지거나 수직으로 세워질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스트로(202)가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해주고 상기 스트로(202)가 수직으로 세워지면 스트로(202)의 세워진 상태를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연결막(204)은 스트로(154)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일 때에는 자바라 형태로 접혀진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스트로(202)가 수평으로 세워지면 펼쳐지면서 상측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스트로(202)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지지해주고, 상기 스트로(202)가 하강되면서 하측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스트로(202)가 하강된 상태를 지지해준다.
상기 개폐장치(210)는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202)의 끝부분 내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연결리브(220)에 의해 연결되고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밀봉돌기(222)와, 상기 스트로(202)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상면에 상기 밀봉돌기(222)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밀봉 작용을 하는 배출홀(224)이 형성되는 승강부재(226)로 구성된다.
상기 스트로(202) 상단의 외측 둘레면과 상기 승강부재(226)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승강부재(226)가 스트로(202)의 끝부분에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230)가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부(230)는 상기 스트로(202)의 상단 외주면에 원주방향 형성되는 제1걸림돌기(232)와, 상기 승강부재(226)의 내주면에 둘레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232)에 걸림되는 제2걸림돌기(23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개폐장치(210)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 승강부재(226)가 눌려진 상태이면 상기 승강부재(226)의 배출홀(224)이 상기 밀봉돌기(222)에 끼움되어 상기 배출홀(224)이 밀폐되고, 상기 승강부재(226)를 상측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밀봉 돌기(222)에서 배출홀(224)이 이탈되면서 상기 배출홀(224)이 개방되어 상기 배출홀(224)을 통해 액상물질이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29a 및 도 29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상기 본체(200)의 제1공간부(212)에 배치된 스트로(202)의 상단을 잡고 수직으로 세운다. 이때, 상기 스트로(202)는 지지부재(218)에서 벗어나면서 수직으로 세위지고 상기 연결막(204)에 의해 스트로(202)가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을 가이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스트로(202)를 하측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스트로(202)의 하단이 상기 용기입구(12)에 실링된 실링부재(24)를 뚫고 들어간다. 이때, 상기 연결막(204)은 펼쳐지면서 상기 스트로(202)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런 후 상기 스트로(202)의 상단에 장착된 승강부재(226)를 상측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승강부재(226)에 형성된 배출홀(224)이 개방되면서 스트로(202)를 개방하여 상기 스트로(202)를 통해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을 빨아먹는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가 용기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용기(250)의 상면에 열융착 또는 접착 등의 방 법에 의해 고정되고 그 내부에 스트로 수납부(252)가 형성되는 본체(254)와, 상기 본체(254)의 스트로 수납부(252)에 배치되는 스트로(256)와, 상기 본체(254)의 내벽면과 상기 스트로(256)의 외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트로(256)가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연결막(258)으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250)는 종이 재질 또는 합성수지재 등 재질의 사각 박스 타입으로 형성되고, 내용물이 배출되는 개구부(260)에는 용기(250)에 저장된 액상식품을 보호하기 위한 밀봉부재(262)가 접착된다.
상기 본체(254)는 상측이 개방된 직사각형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그 하면에는 상기 용기(250)의 개구부(250) 주변의 용기(250)의 상면에 접착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되는 장착 플랜지(26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54)의 일측 벽에는 상기 스트로(256)가 눕혀진 상태를 탄성적으로 지지해주는 지지부(266)가 형성된다. 즉, 상기 스트로(256)는 눕혀지면 그 일단이 상기 본체(254)의 외부로 연장되게 배치되며, 상기 본체(254)의 일측 벽에는 상기 스트로(256)가 눕혀진 상태를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상측이 개방된 원형 홈 형태의 지지부(26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54)의 내부에는 상기 스트로(256)가 눕혀진 상태일 때 스트로(256)의 하면을 밀폐시키는 스트로 밀폐부(268)가 형성된다. 상기 스트로 밀폐부(268)는 상기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스트로 밀폐부(184)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연결막(258) 및 스트로(256)의 보강구조 역시 상기 제3실시예에서 설명 한 연결막 및 보강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스트로(256)의 상단에는 스트로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축필름(270)이 감싸진다.
상기 스트로(256)의 외주면과 상기 용기(250)의 개구부(260)에는 상기 스트로(256)를 수직으로 세우면 상기 스트로(256)가 걸림되어 상기 스트로(256)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록킹부(28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록킹부(280)는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250)의 상면에 형성되는 개구부(260)에서 양쪽이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돌기(282)와, 상기 걸림돌기(282)에 걸림되도록 상기 스트로(256)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홈(284)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록킹부(280)는 상기 스트로(256)가 수직으로 세워지면 상기 스트로(256)의 하단이 실링부재(262)를 뚫고 들어가면서 상기 개구부(260)에 형성된 걸림돌기(282)에 상기 스트로(256)의 걸림홈(284)이 걸림되어 상기 스트로(256)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의 작용을 설명하면, 도 34a 및 도 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로(256)의 끝부분을 잡고 상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스트로(256)가 지지부(266)에서 이탈되면서 수직으로 세워진다. 이때, 상기 스트로(256)는 연결막(258)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막(258)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트로를 하측방향으로 눌러주면 상기 스트로의 끝부분이 상기 용기(250)의 개구부(260)에 실링된 실링부재(262)를 뚫고 들어가면서 개구부(260)를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막(258)은 펼쳐지면서 스트로(256)가 하강하는 것을 가이드하고, 상기 스트로(256)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스트로(256)의 끝부분에 형성된 걸림홈(284)이 상기 개구부(260)에 형성된 걸림돌기(282)에 삽입되어 스트로(256)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 후 상기 스트로(256)의 끝부분에 감싸진 수축필름(270)을 벗겨내고 스트로(256)를 통해 용기(250)에 저장된 내용물을 빨아 먹는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사시도이다.
제6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상기 제5실시예에서 설명한 용기마개와 그 구조가 동일하도 다만, 본체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트로가 본체에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본체의 일측에 스트로가 내장되는 연장부(290)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는 용기입구에 체결되는 본체의 내부에 스트로가 연결막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상측에 장착된 덮개를 개방시키면 상기 덮개와 같이 스트로가 회전되면서 상기 스트로가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스트로를 하측방향으로 누르면 스트로가 상기 용기입구에 접착된 밀봉부재를 뚫고 들어가기 때문에 스트로가 용기입구에 장착된 상태로 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스트로가 용기마개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시 스트로를 분실할 우려가 없고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스트로를 세우면 마개에 형성된 공기 주입구가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여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스트로를 통해 보다 잘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내용물을 마시는 것을 중단했을 때 스트로를 눕히면 스트로가 본체 내부에 형성된 스트로 밀폐부에 밀착되어 밀폐되기 때문에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1)

  1.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보호하는 밀봉부재가 실링되는 용기입구에 장착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직으로 세운 후 누르면 상기 밀봉부재를 뚫고 들어가는 스트로와;
    상기 본체의 내벽면과 상기 스트로의 외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밀봉시키고 상기 스트로가 본체 내부에서 수평한 상태로 배치시키고 상기 스트로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연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측 내주면에는 상기 용기입구에 형성된 걸림리브에 걸림되어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 체결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에는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스트로를 보호하기 위한 덮개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그 일측이 상기 본체의 상단에 연결리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걸림후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와 본체 사이에는 상기 덮개가 본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록킹부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덮개의 측면에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끝부분이 구형태로 형성되는 록킹돌기와, 상기 록킹돌기가 억지 끼움될 수 있도록 구형홈 형태로 상기 본체의 상단 측면에 형성되는 록킹홈부와, 상기 록킹돌기에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기 덮개에 열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뜯겨지는 노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내면에는 상기 덮개를 개방할 때 상기 스트로를 수직으로 세우는 지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덮개의 안쪽면에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상기 스트로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일정 탄성력을 갖는 끼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는 그 외주면이 상기 연결막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평하게 눕혀진 상태로 배치되고, 그 한쪽 끝부분은 상기 용기입구에 접착된 밀봉부재를 뚫고 들어가기 용이하도록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는 그 외주면에 보강리브가 적어도 하나 이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막은 변형이 가능하도록 주름진 형태의 얇은 막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스트로의 외주면 사이에 액상 식품이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일측에 상기 스트로의 한쪽 끝부분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입구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끝부분에는 사용자가 누름 작용하는 누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중간부위에는 누름부를 누르면 하측방향으로 꺾이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면에는 상기 스트로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본체의 하면에서 수직으로 세우진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로의 외주면에 일정 탄성력을 갖고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는 상기 연장부에 배치되는 부위에는 외부의 먼지 및 이물질이 상기 스트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축필름에 의해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막은 플렉시블한 형태이고 변형이 가능하도록 주름진 형태의 얇은 막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상기 스트로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스트로가 하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14. 용기에 저장된 액상 식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에 장착되고 상면에 스트로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 수납부의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스트로 수납부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수직으로 세운 후 하측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용기입구에 실링된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는 스트로와;
    상기 본체의 관통홀의 내주면과 상기 스트로의 외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트로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연결막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트로를 스트로 수납부에 눕히면 상기 스트로의 끝부분을 밀폐시키는 스트로 밀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스트로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그 하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상기 용기에 고정되는 고정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랜지는 용기의 상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 수납부는 상기 스트로를 잡고 수직으로 세우기 용이하도록 스트로의 끝부분이 위치되는 부위에는 벽이 제거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스트로 수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스트로가 상기 스트로 수납부에 눕혀진 상태로 위치될 때 스트로가 눕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트로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본체의 스트로 수납부의 바닥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그 마주보는 면의 안쪽부위에는 상기 스트로가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중앙에는 외부공기가 용기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주입구는 스트로를 지지부재에 끼우면 스트로의 외주면이 밀착되어 밀폐되고 상기 스트로를 지지부재에서 분리하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 수납부의 바닥면에는 외부공기가 용기내부로 공급되는 공기 주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23.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는 그 외주면이 상기 연결막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본체의 스트로 수납부에 수평하게 눕혀진 상태로 배치되고, 그 한쪽 끝부분은 상기 밀봉부재를 뚫고 들어가기 용이하도록 뽀족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를 세우면 밀봉부재의 안쪽에 위치되는 스트로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2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막은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주름진 형태의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로가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2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 밀폐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돌출되고 상기 스트로의 끝부분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밀착홈이 형성되어 스트로가 눕혀지면 상기 스트로의 끝부분이 상기 밀착홈에 밀착되어 스트로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27. 용기에 저장된 액상 식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수직으로 세운 후 하측방향으로 누르면 용기입구에 실링된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는 스트로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스트로의 외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트로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연결막과;
    상기 스트로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스트로의 개폐작용을 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스트로의 끝부분 내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연결리브에 의해 연결되고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밀봉돌기와;
    상기 스트로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상면에 상기 밀봉돌기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밀봉 작용을 하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승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 상단의 외측 둘레면과 상기 승강부재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스트로에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스트로의 상단 외주면에 원주방향 형성되는 제1걸림돌기와, 상기 승강부재의 내주면에 둘레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에 걸림되는 제2걸림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와 용기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스트로를 수직으로 세우면 상기 스트로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록킹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용기의 상면에 형성되는 개구부에서 양쪽이 내측방향으 로 연장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되도록 상기 스트로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KR1020060020670A 2006-03-03 2006-03-03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KR200700906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670A KR20070090681A (ko) 2006-03-03 2006-03-03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670A KR20070090681A (ko) 2006-03-03 2006-03-03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681A true KR20070090681A (ko) 2007-09-06

Family

ID=38689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670A KR20070090681A (ko) 2006-03-03 2006-03-03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0681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4603B1 (ko) * 1995-08-25 1999-04-01 김광호 교환기의 데이타 베이스 복원방법
KR20000030749A (ko) * 2000-03-12 2000-06-05 이정민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된 용기뚜껑
KR20000059151A (ko) * 2000-07-18 2000-10-05 이정민 빨대를 갖고 있는 음료용기의 구부접철부 구조
JP2001002133A (ja) * 1999-05-27 2001-01-09 Jong Ki Kim 飲み物容器
KR20010038306A (ko) * 1999-10-23 2001-05-15 김종기 음료용기
JP2002128116A (ja) * 2000-10-19 2002-05-09 Pip Fujimoto Co Ltd ノズル付きのボトルキャップ
KR20040027671A (ko) * 2004-02-19 2004-04-01 이정민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뚜껑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4603B1 (ko) * 1995-08-25 1999-04-01 김광호 교환기의 데이타 베이스 복원방법
JP2001002133A (ja) * 1999-05-27 2001-01-09 Jong Ki Kim 飲み物容器
KR20010038306A (ko) * 1999-10-23 2001-05-15 김종기 음료용기
KR20000030749A (ko) * 2000-03-12 2000-06-05 이정민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된 용기뚜껑
KR20000059151A (ko) * 2000-07-18 2000-10-05 이정민 빨대를 갖고 있는 음료용기의 구부접철부 구조
JP2002128116A (ja) * 2000-10-19 2002-05-09 Pip Fujimoto Co Ltd ノズル付きのボトルキャップ
KR20040027671A (ko) * 2004-02-19 2004-04-01 이정민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뚜껑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0154B2 (ja) 粉末状サプリメントを分散させるためのボトルキャップ
US20080128418A1 (en) Vessel Cap Having Straw
US20080202950A1 (en) Container cap having dispensing storage chamber
US10543963B2 (en) Closure comprising a pierceable part and container provided with such closure
JP5087336B2 (ja) 液体注出容器
JPH05124668A (ja) 計量カツプ付きの容器
RU2493073C2 (ru) Контейнер
JP2015040065A (ja) 注出用収納容器
US20100122991A1 (en) Sealable cap for spout
KR20070090681A (ko)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KR20060059750A (ko)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JP2007145353A (ja) キャップ
JP4664870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用カートリッジ容器
KR20060131011A (ko) 스트로를 갖는 용기마개
JP2019131216A (ja) ヒンジキャップ
MX2009002599A (es) Tapon de envase para bebidas y dispositivo de suministro.
GB2432823A (en) Packet/ bag held within rigid container
US20110062159A1 (en) Beverage container closure with pressure release
WO2006068368A1 (en) Cap having storage space
CN219750606U (zh) 能够连接瓶子的容器、容器组及瓶装产品
KR20060109614A (ko)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JPH11240552A (ja) 飲料用容器のふた
JP2004182277A (ja) 容器の注出装置及び注出装置用キャップ
KR200265988Y1 (ko) 손잡이의 이탈방지 수단을 가지는 용기뚜껑
JP4013039B2 (ja) 二剤混合滴下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