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8306A -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8306A
KR20010038306A KR1019990046233A KR19990046233A KR20010038306A KR 20010038306 A KR20010038306 A KR 20010038306A KR 1019990046233 A KR1019990046233 A KR 1019990046233A KR 19990046233 A KR19990046233 A KR 19990046233A KR 20010038306 A KR20010038306 A KR 20010038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container
suction
cap
seal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0286B1 (ko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김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기 filed Critical 김종기
Priority to KR1019990046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0286B1/ko
Priority to AU47842/00A priority patent/AU4784200A/en
Priority to PCT/KR2000/000467 priority patent/WO2000073169A1/en
Priority to US09/575,781 priority patent/US6227403B1/en
Priority to JP2000154789A priority patent/JP2001002133A/ja
Publication of KR20010038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2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3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ocated initially inside the container, whereby the straw is revealed only upon opening the container, e.g. pop-up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B65D47/06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with flexi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hinged, foldable or pivotable spouts
    • B65D47/06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hinged, foldable or pivotable spouts the spout being either flexible or having a flexible wall portion, whereby the spout is foldable between a dispensing and a non-dispens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7Snap-o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47Provided with additional elements other than for closing the opening
    • B65D2517/0049Straws, spouts, funnels, or other devices facilitating pouring or empt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내의 음료를 음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용자의 흡인력으로 음용할 수 있는 배출경로를 갖추고, 이 배출경로의 해제여부에 따라 용기의 기울기에 의해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일구조를 이루어 조립성의 향상 및 음용자의 기호에 따라 음용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료를 수용하는 밀폐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11)과 연통되도록 관출되는 고정구(12)를 갖춘 용기(10)와, 이 용기(10) 내부에 수장되는 수장빨대(30)를 갖추어 고정구(12)의 외경에 착탈자유롭도록 기밀히 체결되는 밀봉마개(20)와, 밀봉마개(20)에 부착된 주름관(35)에 연결되어 주름관(35)에 소정범위 수용된 그 하단이 압지력에 의해 고정구(12)를 관통한 상태로 수장빨대(30)와 연통되는 흡입빨대(40)와, 흡입빨대(40)의 외경에 착탈되도록 끼워져 흡입빨대(40)의 오염을 방지하는 캡(50)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음료용기{.}
본 발명은 용기 내의 음료를 음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용자의 흡인력과 용기의 기울기에 의해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음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러한 배출을 이루는 수단이 단일구조로 이루어지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는 음료가 수용되는 용기를 기울인 상태로 용기 내의 음료를 음용하는 구조로서, 음용자는 보다 편리한 음용을 위하여 별도로 휴대한 빨대를 사용하였으나, 이 또한 빨대를 별도를 구비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되었다.
이에 빨대를 용기에 일체로 부착하여 이를 해소하는 하였으나, 이는 음용자가 빨대를 사용하지 않고 용기를 기울인 상태로 음용하고자 하여도 구조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용기에 빨대의 부착과 음용공을 형성하여 양방안을 모두 적용하였으나, 이는 빨대와 음용공이 별도의 공정에 의한 별도의 구조를 갖게되어 조립상 복잡함은 물론 빨대류와 음용공의 밀봉에 있어서 불량이 발생하여 음료가 누출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내의 음료를 음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용자의 흡인력으로 음용할 수 있는 배출경로를 갖추고, 이 배출경로의 해제 여부에 따라 용기의 기울기에 의해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일구조를 이루어 조립성의 향성 및 음용자의 기호에 따라 음용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음용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료를 수용하는 밀폐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도록 관출되는 고정구를 갖춘 용기와, 이 용기 내부에 수장되는 수장빨대를 갖추어 고정구의 외경에 착탈자유롭도록 기밀히 체결되는 밀봉마개와, 밀봉마개에 부착된 주름관에 연결되어 주름관에 소정범위 수용된 그 하단이 압지력에 의해 고정구를 관통한 상태로 수장빨대와 연통되는 흡입빨대와, 흡입빨대의 외경에 착탈되도록 끼워져 흡입빨대의 오염을 방지하는 캡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2와 도3은 본 발명의 내부 구성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2는 사용전의 상태도,
도3은 사용시의 상태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 12 : 고정구
14 : 수용홈 15 : 지지부
16 : 에어홀 17 : 놓임단
20 : 밀봉마개 21 : 하향구
22 : 상향구 23 : 파기홈
30 : 수장빨대 35 : 주름관
40 : 흡입빨대 50 : 캡
60 : 접착지 100 : 음료용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부호 100은 음료용기 전체를 나타낸다.
상기 음료용기(100)는 음료를 수용하는 밀폐된 수용공간(11)을 갖춤과 함께 이 수용공간(11)과 연통되도록 관출되는 고정구(12)를 갖춘 용기(10)와, 이 용기(10) 내부에 수장되는 수장빨대(30)를 갖추어 고정구(12)의 외경에 착탈자유롭도록 기밀히 체결되는 밀봉마개(20)와, 밀봉마개(20)에 부착된 주름관(35)에 연결되어 주름관(35)에 소정범위 수용된 그 하단이 압지력에 의해 고정구(12)를 관통한 상태로 수장빨대(30)와 연통되는 흡입빨대(40)와, 흡입빨대(40)의 외경에 착탈되도록 끼워져 흡입빨대(40)의 오염을 방지하는 캡(50)의 구성을 제공한다.
상기 용기(10)의 상부에는 고정구(12)가 융기되는 면에 대해 일측면이 높은 놀임단(17)으로 구비된다. 이 놓임단(17)에는 흡입빨대를 포함하여 캡(50)이 누어진 상태로 놓여진다. 이러한 놓임단(17)에는 일측이 개로된 수용홈(14)을 형성하여 이 수용홈(14)에 캡(50)을 포함하여 흡입빨대(40)가 누워지거나 세워진 상태로 대기로 출몰한다. 이때 수용홈(14)의 개구부는 수용홈(14)의 내부면에 대해 좁은 간격으로 하여 이 간격면이 흡입빨대(40)에 끼워진 캡(50)의 외경을 지지하여 캡(50)을 포함한 흡입빨대(40)의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지지부(15)를 이룬다.
또한 용기(10)에는 밀봉재인 접착지(60)의 착탈에 따라 개폐되는 에어홀(16)을 형성한다. 이러한 에어홀(16)은 음용시 개로되어 용기(10) 내에 공기가 유입됨으로서 용이한 음용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에어홀은 접착지(60)의 일면이 흡입빨대(40)에 부착되어 흡입빨대(40)의 사용과 동시에 개로되어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밀봉마개(20)에는 흡입빨대(40)의 하단이 용이하게 관통되도록 파기홈(23)이 형성된다. 이때 파기홈(23)은 십자형,호형 등 그 형상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주름관(35)은 흡입빨대(40)에 부착되는 면에 대해 용기(10)에 부착되는 면측으로 그 내경이 점차적으로 확관되도록 형성하여, 주름관(40)에 진입하는 흡입빨대(40)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한다. 즉, 주름관(35)이 확관됨으로서, 주름관(35)이 굽어졌을 때 흡입빨대(40)가 주름관(35)의 내면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주름관(35) 내경에 수용될 수 있는 길이가 길어지는 것이다. 이에 흡입빨대(40)의 하단이 파기홈(23)을 관통한 상태로 용기(1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길이가 길어진다.
그리고 수장빨대(30)는 밀봉마개(20)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밀봉마개(20)에 일정길이와 내경을 갖도록 하부로 융기된 하향구(21)를 구비하여 이 하향구(21)에 수장빨대(30)가 억지 끼워맞춤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밀봉마개(20)에는 일정길이와 내경을 갖도록 상부로 융기된 상향구(22)를 구비하여 이 상향구(22)에 주름관(35)이 억지 끼워맞춤으로 고정되거나, 밀봉마개(20)에 주름관(35)이 체결부재에 의해 부착된다.
한편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구(12)의 외경과 밀봉마개(20)의 내경에 각각 나사산(13)(24)을 형성하여 체결되는 구조를 이루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조립은 흡입빨대(40)와 수장빨대(30)를 밀봉마개(20)에 고정한 상태에서 밀봉마개(20)를 용기(10)에 구비된 고정구(12)에 체결함으로써 간단히 이루어진다.
이때 밀봉마개(20)에 의해 고정구(12)를 통한 용기(10)의 밀봉과 흡입빨대(40)와 수장빨대(30)간에 밀봉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캡(50)이 끼워진 흡입빨대(40)가 수용홈(14)에 누워진 상태로 지지부(15)에 의해 고정되어 출하된다.
상기 상태에서 접착지(60)를 떼어 낸후 또는 직접 흡입빨대(40)를 세우게 되면, 접착지(60)가 때어져 에어홀(16)이 개로된다. 이후 캡(50)의 상단을 가압하면, 밀봉마개(20)의 파기홈(23)을 흡입빨대(40) 밀봉마개(20)의 하단이 관통하면서 수장빨대(30)와 연통된다.
이에 흡입빨대(40)를 통한 음용자의 흡인력에 의해 용기(10) 내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된다. 이때 에어홀(16)을 통해 대기의 공기가 용기(10) 내로 유입됨으로써, 용이한 흡인이 이루어진다.
한편 음용자의 기호에 따라 빨대류를 사용하지 않고 밀봉마개(20)를 해제하면, 고정구(12)를 통해 용기(10) 내의 음료를 용기(10)의 기울기에 의해 음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료의 배출수단으로 음용자의 흡인력에 의해 음료를 음용하는 빨대류와 음료용기의 기울기에 의해 음료를 음용하는 경로를 용기에 갖춤으로써, 음용자의 기호에 따른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배출경로가 단일구조를 이루어 용기의 밀봉과 수장빨대의 밀봉이 밀봉마개인 단일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조립 및 밀봉이 보장되어 제품의 생산 시간의 단축 및 신뢰성이 항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음료를 수용하는 밀폐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11)과 연통되도록 관출되는 고정구(12)를 갖춘 용기(10)와, 이 용기(10) 내부에 수장되는 수장빨대(30)를 갖추어 고정구(12)의 외경에 착탈자유롭도록 기밀히 체결되는 밀봉마개(20)와, 밀봉마개(20)에 부착된 주름관(35)에 연결되어 주름관(35)에 소정범위 수용된 그 하단이 압지력에 의해 고정구(12)를 관통한 상태로 수장빨대(30)와 연통되는 흡입빨대(40)와, 흡입빨대(40)의 외경에 착탈되도록 끼워져 흡입빨대(40)의 오염을 방지하는 캡(5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용기(10)에는 흡입빨대(40) 포함하여 캡(50)이 누어진 상태로 놓여지는 놓임단(17)을 구비함과 함께 이 놓임단(17)에 일측이 개로된 수용홈(14)을 형성하여 이 수용홈(14)에 캡(50)을 포함하여 흡입빨대(40)가 누워지거나 세워진 상태로 대기로 출몰하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수용홈(14)의 개구부는 수용홈(14)의 내부면에 대해 좁은 간격으로 하여 이 간격면이 흡입빨대(40)에 끼워진 캡(50)의 외경을 지지하여 캡(50)을 포함한 흡입빨대(40)의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지지부(15)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에는 밀봉재인 접착지(60)의 착탈에 따라 개폐되는 에어홀(16)을 형성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접착지(60)는 일면이 흡입빨대(40)에 부착되어 에어홀(16)의 개로가 흡입빨대(40)의 사용과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6. 제1항에 있어서,
    주름관(35)은 흡입빨대(40)에 부착되는 면에 대해 용기(10)에 부착되는 면 측으로 그 내경이 점차적으로 확관되도록 형성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밀봉마개(20)에는 흡입빨대(40)의 하단이 용이하게 관통되도록 파기홈(23)이 형성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밀봉마개(20)에는 수장빨대(30)를 일체로 형성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밀봉마개(20)에는 일정길이와 내경을 갖도록 하부로 융기된 하향구(21)를 구비하여 이 하향구(21)에 수장빨대(30)가 억지 끼워맞춤으로 고정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밀봉마개(20)에는 일정길이와 내경을 갖도록 상부로 융기된 상향구(22)를 구비하여 이 상향구(22)에 주름관(35)이 억지 끼워맞춤으로 고정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KR1019990046233A 1999-05-27 1999-10-23 음료용기 KR100360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233A KR100360286B1 (ko) 1999-10-23 1999-10-23 음료용기
AU47842/00A AU4784200A (en) 1999-05-27 2000-05-15 Beverage container
PCT/KR2000/000467 WO2000073169A1 (en) 1999-05-27 2000-05-15 Beverage container
US09/575,781 US6227403B1 (en) 1999-05-27 2000-05-22 Beverage container
JP2000154789A JP2001002133A (ja) 1999-05-27 2000-05-25 飲み物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233A KR100360286B1 (ko) 1999-10-23 1999-10-23 음료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306A true KR20010038306A (ko) 2001-05-15
KR100360286B1 KR100360286B1 (ko) 2002-11-04

Family

ID=19616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233A KR100360286B1 (ko) 1999-05-27 1999-10-23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02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0681A (ko) * 2006-03-03 2007-09-06 안진희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0681A (ko) * 2006-03-03 2007-09-06 안진희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0286B1 (ko) 200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9038B1 (en) Convertible travel mug
USD427065S (en) Tubular food container
US20070012706A1 (en) Securable insulating object holder
US5839596A (en) Cup top and can adapter
US5669538A (en) Bottom closure with automobile drink-holder adaptor for a sleeve-type beverage insulator
USD509352S1 (en) Automatic injector container
KR100360286B1 (ko) 음료용기
EP1233917B1 (en) A container
CA2373287A1 (en) Beverage container
ES2184222T3 (es) Contenedor de bebida u otro liquido con pico vertedor desplegable.
KR200174603Y1 (ko) 스트로 부착형 음료용기
USD403245S (en) Combined liquid container and cap
USD489269S1 (en) Combined container and cap
USD436864S1 (en) Cap for a container
KR200176923Y1 (ko) 음용빨대 부착형 음료용기
JPH0744636Y2 (ja) 複合カップ
KR200250733Y1 (ko) 액체저장 용기용 공기유입구
KR200195551Y1 (ko) 음료용기의 구조
USD476228S1 (en) Combined container and cap
USD421719S (en) Cap for a container
JP3068268U (ja) ペットボトル用キャップ
KR200292087Y1 (ko) 맥주캔
KR200282502Y1 (ko) 빨대겸용 병마개
KR200284404Y1 (ko) 액체 용기
JPH021666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