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7671A -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뚜껑체 - Google Patents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뚜껑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7671A
KR20040027671A KR1020040012049A KR20040012049A KR20040027671A KR 20040027671 A KR20040027671 A KR 20040027671A KR 1020040012049 A KR1020040012049 A KR 1020040012049A KR 20040012049 A KR20040012049 A KR 20040012049A KR 20040027671 A KR20040027671 A KR 20040027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storage space
discharge device
spac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이정민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이성재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040012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7671A/ko
Publication of KR20040027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671A/ko
Priority to AT05721855T priority patent/ATE489303T1/de
Priority to JP2006554021A priority patent/JP4839227B2/ja
Priority to PCT/KR2005/000416 priority patent/WO2005079169A2/en
Priority to DE602005024926T priority patent/DE602005024926D1/de
Priority to US10/592,025 priority patent/US7828140B2/en
Priority to EP05721855A priority patent/EP1720774B1/en
Priority to US12/902,604 priority patent/US20110083977A1/en
Priority to US13/863,922 priority patent/US20130264229A1/en
Priority to US14/503,954 priority patent/US20150041344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hinged, foldable or pivotable spouts
    • B65D47/06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hinged, foldable or pivotable spouts the spout being either flexible or having a flexible wall portion, whereby the spout is foldable between a dispensing and a non-dispens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65D51/283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ruptured by a sharp element, e.g. a cutter or a pierc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뚜껑체
(2)발명의 목적
종래의 기술은 이종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체의 작동이 용이하지 않고, 또한 기밀성이 양호치 않는 등의 단점이 있었던 것이며, 본 발명은 이를 개선하고자 한다.
(3)발명의 구성
뚜껑체는 용기에 결합(부착,접착,일체성형)되는 뚜껑과 그 뚜껑의 상방부로는 배출장치를 두고, 그 배출장치는 선택적으로 덮개 등에 의해서 그 상부가 기밀이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배출장치는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배출장치의 중심인 구부가 접철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한 구부의 내측부에는 별이의 부속인 상하 이동형배출대를 내입하며, 상기한 이동형 배출대는 구부가 숙여져 있다가 상향되는 과정에 공간의 저부인 저장부의 밀폐부를 파괴 또는 천공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4)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일정 길이로 늘어나 음용하는데에 편리한 구조를 갖는 배출대를 구비하고 있는 배출장치가 형성되고, 그러한 배출장치를 들어 올리는 과정에 이종물질이 용기내의 물질과 원터치방식으로 혼합되는 바, 소비자는 별다른의식없이도 사용할 수 있는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뚜껑체{omitted}
본 발명은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뚜껑체에 관한 것이며, 종래의 선행으로는 별도의 보조기구에 의해 내용물을 용기의 내부로 낙하되게 하는 것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이종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체의 작동이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이고, 또한 기밀성이 양호치 않는 등의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용물 저장공간의 저부를 알루미늄박판등으로 밀폐하고, 그 알루미늄박판은 사용시 간단한 터치로 제거하며, 저장공간에 든 내용물이 낙하되게 하여 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도 1 은 뚜껑체의 배출장치가 치켜올려진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2 는 뚜껑체의 배출장치가 사용전의 상태로 조립되어진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3 은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4 는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뚜껑체 10 : 뚜껑
11 : 공간 12 : 저장부
13 : 접철선 14 : 접착부
20 : 배출장치 21 : 접철부
22 : 배출대 23 : 작동돌기
24 : 구부 25 : 배출공
26 : 공기유입부 27 : 환테
28 : 측면배출공 30 : 박판
40 : 작동부 41 : 고정돌기
42 : 연결부 100 : 용기
C : 덮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뚜껑체(1)는 합성수지 용기나 파우치, 또는 종이팩 등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도 2 에서 보인 바와 같이, 용기에 결합되는 뚜껑(10)과 그 뚜껑(10)에는 내용물을 담는 공간(11)과 그 공간(11)의 상방부로는 배출장치(20)를 형성하되, 그 배출장치(20)는 접철부(21)에 의해 일측인 공간(11)부 방향으로 숙여지게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배출장치(20)는 접철되고,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후 덮개(C)를열게 되면, 또는 덮개(C)를 개방한후 배출대(22)가 일정 상향될 수 있게 한 것이며, 또한 상기한 배출장치(20)는 바람직하게는 배출대(22)의 저부인 작동돌기(23)에 의해 공간(11)의 저부 밀폐부를 천곤 또는 개방하는 것이 좋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배출대(22)를 지지하고, 접철부(21)와 연결된 구부(24)의 저부로 일정 돌출된 작동돌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배출장치(20)가 접철되었다가 들어올려지는 과정에 공간(11)을 형성하고 있는 밀폐된 저장부(12)를 작동돌기(23) 등에 의해 파괴할 수 있도록 저장부(12)의 저부를 알루미늄 박판(30) 등으로 밀폐시키거나, 또는 별도의 밀폐형 마개를 저장부(12)의 저부에 끼우고, 배출장치(20)를 들어 올려올 때 마개가 하방으로 완저 또는 일정 열리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작동돌기(23)가 하방으로 밀어 박판(30)을 파괴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별도의 작동부(40)를 박판(30)의 상부로 조립하되, 상기한 작동부(40)는 작동돌기(23)가 밀칠때 고정돌기(41)를 중심으로 연결부(42)에 의해 일정 원을 그리면서 박판(30)을 파괴시키는 구조가 좋은 예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과 같은 상태가 바람직한 뚜껑체(1)의 상태이며, 배출장치(20)를 일측으로 접철되게 한후, 저장부(12)의 내부 공간(11)에 내용물을 넣고 저장부(12)의 저부를 밀폐시킨 상태가 도 2 와 같은 것이다.
상기 도 2 와 같은 상태에서, 용기의 목에 뚜껑(10)을 중심으로 뚜껑체(1)를 결합시킨후, 그 사용시 배출장치(20)를 들어 올리게 되면 배출장치(20)가 일정 원을 그리면서 상향되는 작동돌기(23)가 공간(11)의 저부에 형성된 박판(30) 등의 밀폐장치를 파괴 또는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제 1 차적으로 배출장치(20)를 들어 올린 상태가 도 1 과 같으며, 상기한 상태에서 덮개(C)를 제거하면 배출대(22)가 노출되게 되는데, 그 방법은 덮개(C)에 의해서 배출대(22)가 일정 높이로 상향되거나, 또는 인위적으로 배출대(22)를 일정 상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 3 과 같은 상태에서 용기를 일측으로 기울인후(용기는 도시하지 않음) 배출대(22)에 입을 대고 빨게 되면 공간(11)에 내입되어진 내용물이 용기내의 내용물과 혼합되어져(배출장치(20)를 들어 올려질때 혼합됨) 배출되는데, 좀더 자세하게는 용기내의 내용물이 배출공(25)을 통해 배출되고, 배출대(22)의 측방에 형성된 공기유입부(26)를 통하여는 용기내로 공기가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배출장치(20)는 접철선(13)을 기준으로 일정 원을 그리면서 숙여지게 되는 것이며, 배출대(22)는 환테(27)에 의해 의해 일정 이상은 상향되지 않는 것이며, 또한 환테(27)의 상방에 형성된 측면배출공(28)은 용기의 내부로 스트로를 길게 연장시켜 사용할시에 필요 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사상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뚜껑체(1) 뚜껑(10)은 용기에 스크류방식이나, 원터치방식 또는 각종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그 일예를 보인 것이 도 4와 같으며, 도시된 바로 뚜껑(10)을 종이팩 등의 용기(100)에 부착(또는 일체성형)시킬 수 있도록 접착부(14)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일정 길이로 늘어나 음용하는데에 편리한 구조를 갖는 배출대를 구비하고 있는 배출장치가 형성되고, 그러한 배출장치를 들어 올리는 과정에 이종물질이 용기내의 물질과 원터치방식으로 혼합되는 바, 소비자는 별다른 의식없이도 사용할 수 있는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뚜껑체는 용기에 결합(부착, 접착, 일체성형)되는 뚜껑과 그 뚜껑의 상방부로는 배출장치를 두고, 그 배출장치는 선택적으로 덮개 등에 의해서 그 상부가 기밀이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배출장치는 일측으로 숙여지도록 배출장치의 중심인 구부가 접철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한 구부의 내측부에는 별이의 부속인 상하 이동형 배출대를 내입하며,
    상기한 이동형 배출대는 구부가 숙여져 있다가 상향되는 과정에 공간의 저부인 저장부의 밀폐부를 파괴 또는 천공하여 공간부에 든 내용물이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뚜껑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장치가 상향되는 과정에 작동돌기가 저장부의 밀폐부를 파괴 또는 천공하여 공간에 든 내용물이 낙하되도록 일정 길이와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한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뚜껑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장치가 상향되고, 덮개를 제거하여 노출된 배출대를 통하여는 용기내의 내용물이 그 배출대의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며, 그 배출대의 외측부에는 일정 길이의 공기유입부가 있어 사용시 용기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뚜껑체.
KR1020040012049A 2004-02-19 2004-02-19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뚜껑체 KR200400276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049A KR20040027671A (ko) 2004-02-19 2004-02-19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뚜껑체
AT05721855T ATE489303T1 (de) 2004-02-19 2005-02-16 Kappenstruktur mit lagerraum
JP2006554021A JP4839227B2 (ja) 2004-02-19 2005-02-16 貯蔵空間を有するパウチ容器用キャップ
PCT/KR2005/000416 WO2005079169A2 (en) 2004-02-19 2005-02-16 Structure of cap having storage space
DE602005024926T DE602005024926D1 (de) 2004-02-19 2005-02-16 Kappenstruktur mit lagerraum
US10/592,025 US7828140B2 (en) 2004-02-19 2005-02-16 Structure of cap having storage space
EP05721855A EP1720774B1 (en) 2004-02-19 2005-02-16 Structure of cap having storage space
US12/902,604 US20110083977A1 (en) 2004-02-19 2010-10-12 Structure of cap having storage space
US13/863,922 US20130264229A1 (en) 2004-02-19 2013-04-16 Structure of cap having a storage space
US14/503,954 US20150041344A1 (en) 2004-02-19 2014-10-01 Structure of Cap Having Storage Sp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049A KR20040027671A (ko) 2004-02-19 2004-02-19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뚜껑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671A true KR20040027671A (ko) 2004-04-01

Family

ID=37330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049A KR20040027671A (ko) 2004-02-19 2004-02-19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뚜껑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76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57536A1 (en) * 2004-11-29 2006-06-01 Jin Hee Ahn Vessel cap having straw
KR20070090681A (ko) * 2006-03-03 2007-09-06 안진희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57536A1 (en) * 2004-11-29 2006-06-01 Jin Hee Ahn Vessel cap having straw
KR20070090681A (ko) * 2006-03-03 2007-09-06 안진희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27671A (ko)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뚜껑체
JP2007510595A (ja) 異種物質を混合する方法及び構造
KR101569493B1 (ko) 병뚜껑
KR20070065168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20070081058A (ko) 저장공간과 분리된 유출공을 갖는 배출장치
KR20040027672A (ko)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배출대
KR20040027673A (ko)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배출대
KR20040027674A (ko)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배출대
KR100992328B1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의 밀폐구조
KR20040053095A (ko) 접철식 구부를 갖는 파우치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KR101169811B1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030022188A (ko) 스트로를 갖고 있는 음료용기
KR20040027675A (ko)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배출대
KR20030051449A (ko) 음료용기의 스트로 결합구조
KR20070081059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20220168474A (ko) 분리 배출이 가능한 용기용 원터치 캡
KR20030022194A (ko) 스트로를 갖고 있는 음료용기
KR20030022187A (ko) 스트로를 갖고 있는 음료용기
KR20030022192A (ko) 스트로를 갖고 있는 음료용기
KR20000072226A (ko) 액체주출용 뚜껑의 구조
KR20030022208A (ko) 스트로를 갖고 있는 음료용기
KR20030022191A (ko) 스트로를 갖고 있는 음료용기
KR20010000661A (ko) 가압방식 액체주출용 뚜껑의 구조
KR20030022210A (ko) 슬라이드식 배출대를 갖고 있는 음료용기
KR20030022224A (ko) 스트로를 갖고 있는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