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5069A - 위생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위생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5069A
KR20090095069A KR1020080020151A KR20080020151A KR20090095069A KR 20090095069 A KR20090095069 A KR 20090095069A KR 1020080020151 A KR1020080020151 A KR 1020080020151A KR 20080020151 A KR20080020151 A KR 20080020151A KR 20090095069 A KR20090095069 A KR 20090095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everage container
container body
storage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병희
Original Assignee
배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병희 filed Critical 배병희
Priority to KR1020080020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5069A/ko
Publication of KR20090095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4Details of the lines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02Location of opening
    • B65D2517/0004Location of opening in can base, i.e. the part on which the container sta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06Beverage can, i.e. beer, sod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본체에 오염제거수단과 개방보조수단이 수용된 수납팩이 부착되는 위생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음료를 수용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에 제공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방되는 용기뚜껑;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부착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팩; 상기 수납 팩의 내부에 수납되며, 이물제거 및 세척에 사용되는 오염제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 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위생, 음료, 용기, 오염, 개방

Description

위생 음료용기 { Sanitary beverage container }
본 발명은 위생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 우유, 쥬스 등의 음료들은 종이팩, 유리, 플라스틱병 또는 캔과 같은 다양한 음료용기에 담겨지게 되며, 이와 같은 음료들은 여러 단계의 유통과정을 거쳐 제조공장에서 소비자들에게 전달된다.
이와 같은 음료가 담겨진 음료용기는 슈퍼마켓이나 마트와 같은 소매상점에서 전시, 유통되고 있으며, 학교, 병원과 같은 공공장소나 사람이 많은 공장 등에 비치된 자동판매기를 통해서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이와 같은 음료용기는 저장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크기와 용량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음료를 섭취하기 용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음료를 원하는 상황에서 언제든지 가까운 상점 또는 자동판매기를 통해서 음료를 섭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음료용기에 보관된 음료들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다.
그러나, 통상의 음료용기들은 별도의 포장재 없이 각각의 개별 음료용기들이 전시 및 저장되며, 소비자는 이들 각각을 구매하여 음료용기를 즉시 개방하여 음료 를 섭취하게 된다.
따라서, 음료용기가 저장 및 유통되는 환경에 따라 음료용기에 이물이 묻기 쉬우며, 특히 소비자의 입이 직접닫는 부위는 구조적으로 먼지가 쌓이거나 이물질이 끼어 잘 빠지지 않는 등 위생상 문제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생산 및 판매자들은 생산과정이나 유통과정에서 먼지 및 오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각별한 관리를 하여야 하며 이로 인한 생산 및 관리비용의 증대는 불가피하게 된다.
또한, 소비자는 별도의 수건이나 휴지, 옷 등으로 입이 닿는 부분을 닦거나 물로 씻는 등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여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자동판매기는 통상 야외에 설치되거나, 공장이나 공공장소 등 사람이 많아 필연적으로 오물 및 먼지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에 비치되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은 보다 심각한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캔과 같은 음료용기의 경우 용기뚜껑을 개방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있으나, 개방시 부주의 또는 소비자의 손톱이 약하거나 짧은 경우에는 개방이 비교적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본체에 오염제거수단과 개방보조수단이 수용된 수납팩이 부착되는 위생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본체에 수납커버가 부착되어 오염제거수단과 개방보조수단이 수용되는 수납공간을 형상하는 위생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음료용기는, 음료를 수용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에 제공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방되는 용기뚜껑;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부착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팩; 상기 수납팩의 내부에 수용되며, 이물제거 및 세척에 사용되는 오염제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수납팩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함몰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오염제거수단은 물티슈 또는 항균 항염물질이 함침된 항균티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팩은, 상기 용기본체에 부착되는 부착면과; 상기 부착면과 둘레를 따라 접합되며, 상기 부착면과의 사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접합면과; 상기 접합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오염제거수단을 꺼내기 위해 절취 가능하게 형성되는 절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절취부에는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절취부의 절취를 위한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파지부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팩의 내측에는 상기 용기뚜껑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개방보조수단이 더 수납된다.
또한, 상기 개방보조수단은, 플렉시블하게 형성되며,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의 타단이 삽입되어 통과 가능한 통과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음료용기는, 상기 개방보조수단은, 상기 용기 뚜껑보다 강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뚜껑의 일측에 걸어 구속시키는 구속부와; 상기 구속부에서 연장 형상되며, 상기 용기본체를 받침으로 지레역할을 하는 연장부로 구성된다.
또한, 용기본체; 용기본체의 일측에 제공되는 용기뚜껑; 상기 용기뚜껑의 일측에 둘레면이 부착되며, 상기 용기본체와의 사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커버;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되며, 이물질의 제거 및 세척을 위한 오염제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커버는 상기 함몰부의 외주면을 따라 부착된다.
또한, 상기 수납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수납커버의 제거를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에는 상기 용기뚜껑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개방보조수 단이 더 수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음료용기는, 음료용기에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음료용기 또는 소비자의 입, 손 등을 닦을 수 있는 물수건과 같은 이물질제거수단이 수용된 수납팩 또는 수납커버가 부착되어 있으며, 소비자는 상기 수납팩 또는 수납커버를 개방하여 이물질 제거수단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음료용기에 묻어 있는 이물질들을 용이하고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소비자의 건강과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조 및 저장 관리비용이 보다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건강식품 유아식품이 저장된 용기의 경우 항균 기능이 있는 이물질 제거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안전은 물론 제품의 신뢰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또한, 이물질제거수단을 음료섭취 후의 뒤처리나, 부주의에 의해 음료를 쏟은 경우에도 뒤처리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감성만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팩 또는 수납커버의 수납공간에는 케이블 타이 또는 막대 형상의 개방보조수단이 수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손톱이 약하거나, 손톱이 짧아 상기 용기뚜껑의 개방이 곤란하거나, 손톱의 손상이 우려되는 상황에서도 상기 개방보조수단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음료용기의 개방이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위생 음료용기는 용기의 모양과 형태 등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알루미늄 또는 철로 만들어진 캔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음료용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위생 음료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음료용기(1)는 철판 또는 알루미늄 판재가 절곡 및 접합되어 형성되는 용기본체(100)에 의해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면에는 용기뚜껑(200)이 제공된다.
상기 용기뚜껑(20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용기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양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지만 모두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톱으로 레버(220)를 들어올려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면에는 함몰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120)는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의 압력에 상기 용기본체(100)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측을 향하여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며, 반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120)의 내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오염제거수단(400) 및/또는 개방보조수단(500)이 수용되는 수납팩(300)이 부착된다. 상기 수납팩(300)은 종이 또는 비닐 또는 금속박막 소재로 형성되며, 내부에 수납된 오염제거수단(400)이 외부와 완전하게 격리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밀폐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120)의 전면과 접하는 상기 수납팩(300)의 일명 전체 또는 일부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수납팩(300)이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팩(300)은 상기 함몰부(120)의 내측으로 완전하게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용기본체(100)를 세워서 진열 또는 저장할 때 영향을 주지 않도록 상기 수납팩(300)의 크기는 상기 함몰부(120)의 크기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수납팩(300)의 크기가 상기 함몰부(120)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수납팩(300)은 접혀진 상태로 상기 함몰부(12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팩(300)은 통상적으로 캔 형상의 용기본체(100) 하면에 형성되는 상기 함몰부(120)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수납팩(300)의 상면 또는 측면 등 어느 위치에나 장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별도의 함몰부(120)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위생 음료용기의 요부구성인 수납팩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라 상기 수납팩(30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수납팩(300)은 상기 함몰부(12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 며, 크게 부착면(310)과 접합면(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부착면(310)과 접합면(320)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로 접합되어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수납공간(330)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부착면(310)과 접합면(320)은 서로 접하는 둘레를 따라 접착제가 도포되어 서로 접착되거나 열융착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이때, 상기 부착면(310)과 접합면(320)의 둘레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접합되지 않으며, 접합되지 않은 내측에 수납공간(330)이 형성된다.
상기 부착면(310)의 외측면은 상기 용기본체(100)의 함몰부(120)와 접하게 되며, 접착제에 의해 상기 함몰부(120)에 부착되어 상기 수납팩(300)이 상기 함몰부(120)의 내측에서 안정적인 수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접합면(320)의 일측에는 절취부(340)가 형성된다. 상기 절취부(340)는 상기 수납팩(300)의 개방을 위한 것으로 상기 절취부(340)의 절취를 통해 상기 수납팩(300) 내부에 수납되는 오염제거수단(400)과 개방보조수단(500)을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절취부(340)는 상기 접합면(320)의 일부를 형성하여 절취시 상기 수납공간(330)이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취부(340)는 상기 접합면(320)의 대부분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절취부(340)의 일단에는 상기 부착면(310)과 접착되지 않고 상기 부착면(3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파지부(342)가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342)는 상기 절취부(340)의 절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절취부(340)의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지부(342)와 접하는 상기 절취부(340)의 일측에는 상기 절취부(340)가 보다 용이하게 절취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절개부(344)가 더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344)는 상기 파지부(342)를 당기게 될 때 절개가 용이하게 시작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취부(340)는 상기 파지부(342)를 당겨 절취할 때 지정된 형상으로 절취될 수 있도록 절취부(340)를 따라 파선 또는 실선 형태의 라인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납팩(300)의 수납공간(330)에 수용되는 오염제거수단(40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티슈 또는 항균 항염물질이 함침되어 살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항균티슈가 사용된다.
상기 물티슈 또는 항균티슈 즉, 상기 오염제거수단(400)은 상기 용기본체(100)의 이물을 제거함은 물론 소비자의 입 또는 손 등을 닦을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로 형성되며, 다수회 접어서 상기 수납팩(300)의 수납공간에 수용된다. 물론 상기 오염제거수단(400)은 1매 이상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뚜껑(200)이 캔 뚜껑과 같은 레버 형식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수납팩(300)의 수납공간(330)에는 개방보조수단(500)이 더 수납된다. 상기 개방보조수단(500)은 상기 용기뚜껑(200)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케이블타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개방보조수단(500)은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플렉시블한 플 라스틱 또는 고무소재로 형성되는 탄성부(520)와, 상기 탄성부(520)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520)가 삽입되어 관통되는 통과부(5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개방보조수단(50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520)의 일단이 상기 탄성부(520)의 타단에 마련된 통과부(540)의 삽입구(542)로 삽입되어 통과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개방보조수단(500)을 상기 용기뚜껑(200)에 묶어 상기 용기뚜껑(200)의 레버(220)를 당겨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위생 음료용기의 작용에 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위생 음료용기의 요부구성인 오염제거수단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위생 음료용기의 요부구성인 개방보조수단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소비자는 음료를 섭취하기 위해서 상기 음료용기(1)를 상점 또는 자동판매기를 통해 구매하게 된다. 그리고, 음료의 섭취 전에 상기 용기본체(100)를 뒤집어 용기본체(100) 하면의 함몰부(120)에 부착된 수납팩(300)을 노출시킨 후 상기 수납팩(300)을 개방하게 된다.
이를 위해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파지부(342)를 잡고 당기게 되면, 상기 절취부(340)가 상기 접합면(3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되며, 자연스럽게 상기 수납팩(300) 내부의 수납공간(330)을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수납팩(300) 내부에 수납된 오염제거수단(400)과 개방보조수단(500)을 꺼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우선 사용자는 상기 용기뚜껑(200)의 개방 전에 상기 수납팩(300)으로부터 상기 오염제거수단(400)을 꺼내고 접혀진 상태의 상기 오염제거수단(400)을 펼쳐 사용하기 편한 상태로 만든다. 다음으로 소비자의 입이 닫게 되는 용기본체(100)의 상단과 상부면을 고르게 닦아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오염제거수단(400)은 상기 용기본체(100)에 묻은 오염의 제거는 물론 소비자의 손을 닦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음료 섭취 중 흘리게 되는 음료 또는 기타 청소 등의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용기뚜껑(200)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캔의 뚜껑과 같이 레버(220)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개방하게 되는데, 어린이 노약자의 경우에는 용기뚜껑(200)의 개방에 필요한 힘을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손톱이 얇거나 손가락이 두꺼운 사람들은 용기뚜껑(200)을 개방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로 인해 레버식으로 들어올려 개방하는 용기뚜껑(200)이 있는 음료용기(1) 자체를 꺼리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소비자는 상기 수납팩(300)에 수납된 상기 개방보조수단(500)을 꺼내어 상기 용기뚜껑(200)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개방보조수단(500)의 탄성부(520)를 상기 용기뚜껑(200)의 레버(220)에 형성된 구멍(222)에 삽입한 후 삽입한 상기 탄성부(520)를 구부려 상기 탄성부(520)의 일단이 상기 탄성부(520)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통과부(540)의 삽입구(542)를 통과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통과부(540)를 통과한 상기 탄성부(520)의 단부를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용기뚜껑(200)의 레버(220)에 상기 개방보조수단(500)이 고정된 상태가 되어 소비자는 상기 개방보조수단(500)을 잡고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용기뚜껑(200)을 쉽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수납팩(300)에 수납된 상기 오염제거수단(400)과 개방보조수단(500)을 이용하여 소비자는 상기 음료용기(1)의 오염을 제거하고 용기뚜껑(200)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여 음료를 섭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기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른 실시예의 구성 중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위생 음료용기의 요부구성인 개방보조수단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개방보조수단의 구성만 달리할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이에 개방보조수단(600)의 구성을 살펴보면, 개방보조수단(600)은 상기 용기본체(100)의 용기뚜껑(200)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금속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방을 위한 조작에도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예컨데 상기 개방보조수단(600)은 상기 용기뚜껑(200)보다 강도가 더 높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개방보조수단(600)은 막대 또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330)에 수납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비교적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뚜껑(200)의 레버(220) 하측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보조수단(600)은 소정의 길이로 길게 연장형성되는 연장부(620)와 상기 연장부(620)의 단부에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속부(640)로 구성된다. 상기 구속부(640)는 상기 용기뚜껑(200)의 레버(220)에 형성된 구멍(222)에 삽입되어 구속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620)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되거나 라운드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음료의 섭취를 위해 상기 음료용기(1)를 개방할 때에는 상기 개방보조수단(600)의 상기 구속부(640)를 상기 용기뚜껑(200)의 레버(220)에 형성된 구멍(222)에 삽입하여 걸릴 수 있도록 한 다음 상기 연장부(620)를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단 테두리와 접하도록 한 후 상기 용기본체(100)의 외측으로 나온 상기 연장부(620)를 하방으로 눌러 상기 용기뚜껑(200)의 레버(220)를 들어올리게 된다.
이처럼 상기 개방보조수단(600)은 상기 용기뚜껑(200)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비교적 적은 힘으로 개방할 수 있게 되며, 상기 구속부(640)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뚜껑(200)의 레버(220)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개방보조수단(600)이 탈락하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용기뚜껑(200)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기는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 중 전술한 실시예들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위생 음료용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수납커버의 구성만 달리할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음료용기(1)의 외형을 형성하는 용기본체(100)의 하면에는 상방으로 함몰형성된 함몰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단에는 수납커버(700)가 부착된다.
상기 수납커버(700)는 상기 용기본체(100)에 부착되어 상기 오염제거수단(400)과 개방보조수단(500)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720)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함몰부(300)를 완전하게 차폐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수납커버(700)는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커버(700)의 내측면(도 7 에서 상면)둘레에는 접착제가 도포되며, 접착제가 도포된 부분은 상기 함몰부(120)의 하단 둘레와 접하여 상기 수납커버(700)가 접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납커버(700)의 접착으로 상기 함몰부(120)와 상기 수납커버(700)의 사이에는 밀폐된 수납공간(720)을 형성하며, 상기 오염제거수단(400)과 개방보조수단(5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납커버(700)는 외부로부터 완전하게 밀폐될 수 있도록 비닐 또는 비닐코팅된 종이 또는 금속박으로 형성되어 오염제거수단(400)에 포함된 수분 등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커버(700)의 일단에는 파지부(740)가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740)는 상기 수납커버(700)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파지부(74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소비자가 잡아당길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740)는 사용자가 잡기 쉽도록 대략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파지부(740)를 당김에 따라 상기 수납커버(7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접착부분이 떨어지면서 상기 수납커버(700)가 제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납커버(700)를 제거하게 되면, 상기 함몰부(120)와 수납커버(700)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720)이 개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720)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오염제거수단(400)과 상기 개방보조수단(500)을 꺼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소비자는 상기 오염제거수단(400)을 이용하여 음료용기(1)에 묻은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되며, 상기 개방보조수단(500)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뚜껑(200)을 용이하게 개방하여 음료를 섭취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일반적인 음료용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위생 음료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위생 음료용기의 요부구성인 수납팩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위생 음료용기의 요부구성인 오염제거수단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위생 음료용기의 요부구성인 개방보조수단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위생 음료용기의 요부구성인 개방보조수단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위생 음료용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Claims (12)

  1. 음료를 수용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에 제공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방되는 용기뚜껑;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부착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팩;
    상기 수납팩의 내부에 수용되며, 이물제거 및 세척에 사용되는 오염제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생 음료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수납팩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함몰부가 형성되는 위생 음료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제거수단은 물티슈 또는 항균 항염물질이 함침된 항균티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음료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팩은,
    상기 용기본체에 부착되는 부착면과;
    상기 부착면과 둘레를 따라 접합되며, 상기 부착면과의 사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접합면과;
    상기 접합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오염제거수단을 꺼내기 위해 절취 가능하게 형성되는 절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생 음료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에는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절취부의 절취를 위한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파지부가 더 형성되는 위생 음료용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팩의 내측에는 상기 용기뚜껑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개방보조수단이 더 수납되는 위생 음료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보조수단은,
    플렉시블하게 형성되며,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의 타단이 삽입되어 통과 가능한 통과부로 구성되는 위생 음료용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보조수단은,
    상기 용기 뚜껑보다 강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뚜껑의 일측에 걸어 구속시키는 구속부와;
    상기 구속부에서 연장 형상되며, 상기 용기본체를 받침으로 지레역할을 하는 연장부로 구성되는 위생 음료용기.
  9. 용기본체;
    용기본체의 일측에 제공되는 용기뚜껑;
    상기 용기뚜껑의 일측에 둘레면이 부착되며, 상기 용기본체와의 사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커버;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되며, 이물질의 제거 및 세척을 위한 오염제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생 음료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커버는 상기 함몰부의 외주면을 따라 부착되는 위생 음료용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수납커버의 제거를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가 더 형성되는 위생 음료용기.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에는 상기 용기뚜껑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개방보조수단이 더 수용되는 위생 음료용기.
KR1020080020151A 2008-03-04 2008-03-04 위생 음료용기 KR20090095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151A KR20090095069A (ko) 2008-03-04 2008-03-04 위생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151A KR20090095069A (ko) 2008-03-04 2008-03-04 위생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069A true KR20090095069A (ko) 2009-09-09

Family

ID=41295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151A KR20090095069A (ko) 2008-03-04 2008-03-04 위생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50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420B1 (ko) * 2022-10-07 2023-10-06 유홍설 위생구조를 포함하는 성찬식 빵 포도주 포장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420B1 (ko) * 2022-10-07 2023-10-06 유홍설 위생구조를 포함하는 성찬식 빵 포도주 포장용기
WO2024076189A1 (ko) * 2022-10-07 2024-04-11 유홍설 위생구조를 포함하는 성찬식 빵 포도주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75514B (en) Beverage container with easy cleaning upper panel
US20100320220A1 (en) Lid for a container for edible fluids and a protective cover for the lid
KR101548973B1 (ko) 위생적이며 사용이 편리한 음료캔
WO2010114593A1 (en) Aluminum container
KR20090095069A (ko) 위생 음료용기
KR101056802B1 (ko) 캔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덮개 및 이를 이용한 캔의 개구방법
KR20170047891A (ko) 다용도 팝콘 용기
WO2005056429A1 (en) Dispensing device for consumption of a fluid with an outwardly movable straw
JPH0725341Y2 (ja) ストロー内蔵型飲料入り容器
KR101374229B1 (ko) 캔의 보호기능과 오프너 기능을 겸하도록 제공되는 위생덮개
CN115916647A (zh) 容器盖、分配器和使用方法
KR20200033447A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 컵
GB2455855A (en) A lid for a container
JPH0722937U (ja) ツマミ容器及び容器付き飲料缶
KR101051102B1 (ko) 용기뚜껑
JP3101109U (ja) 飲料缶用ストロー内蔵覆い蓋
KR200209046Y1 (ko) 캔의 마개 부위에 부착된 은박지 위생커버
KR101930833B1 (ko) 도구 고정구조를 갖는 용기마개
JP3086325U (ja) 容器用被覆部材
KR200436711Y1 (ko) 위생부재가 구비된 음료캔
KR200182064Y1 (ko) 덮개를 갖춘 캔음료 용기
JP3140333U (ja) 吸飲管付き飲料物用容器
JP2006306490A (ja) 衛生キャップ飲料缶
KR101047593B1 (ko) 오프너 기능을 갖는 음료 및 주류용 캔의 위생덮개
JP2005145531A (ja) 飲料缶用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