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269B1 - 놀이용 카드 포장케이스 - Google Patents

놀이용 카드 포장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269B1
KR101831269B1 KR1020160083288A KR20160083288A KR101831269B1 KR 101831269 B1 KR101831269 B1 KR 101831269B1 KR 1020160083288 A KR1020160083288 A KR 1020160083288A KR 20160083288 A KR20160083288 A KR 20160083288A KR 101831269 B1 KR101831269 B1 KR 101831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id
flange
car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3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770A (ko
Inventor
김재안
Original Assignee
김재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안 filed Critical 김재안
Priority to KR1020160083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269B1/ko
Publication of KR20180003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6Card games appurten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6Card games appurtenances
    • A63F1/062Boxes or cases for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complete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02Location of opening
    • B65D2517/0007Location of opening in a separate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3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ll-out tear panel, e.g. by means of a tear-t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기도박 또는 속임수를 쓰기 위해 플레잉 카드, 화투 따위를 위변조하거나 임의로 조작하는 등의 부정행위를 방지할 수 있는 밀봉형 놀이용 카드 포장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놀이용 카드를 담을 수 있도록 수납공간부가 형성되고 개구부 테두리에 플랜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폐쇄하되, 상기 본체의 플랜지에 접속되는 테두리부와 높이 차이를 두고 안쪽으로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의 안쪽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절취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절취라인을 따라 개봉부를 따내어 열도록 풀탭이 구비된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상기 뚜껑의 단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단차부 및 상기 개봉부의 가장자리와 밀착되면서 상기 절취라인 부분이 상기 수납공간부로 나오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플랜지와 높이 차이를 두고 안쪽으로 보호턱이 형성된 놀이용 카드 포장케이스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놀이용 카드 포장케이스{PACKAGING CASE FOR PLAYING CARD}
본 발명은 한번 개봉하면 원래대로 함봉할 수 없어 사용자가 게임 전에 최초로 개봉하는 것인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놀이용 카드 포장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기도박 또는 속임수를 쓰기 위해 플레잉 카드, 화투 따위의 각종 놀이용 카드를 위변조하거나 임의로 조작하는 등의 부정행위를 방지할 수 있는 밀봉형 놀이용 카드 포장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레잉 카드(playing card/trump), 화투 따위의 각종 놀이용 카드는 종이제 케이스나 합성수지제 케이스에 담아서 포장한 상태로 유통 및 판매되고 있다.
이 중에서 종이제 케이스는 외력에 취약하여 작은 충격에도 쉽게 찢어지거나 손상되는 특성으로 인해 재사용성 및 카드 손상을 방지하는 안정성 등이 상당히 떨어져서 카드의 포장 및 보관 시 등에 여러 가지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래서 최근에는 주로 경성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의 놀이용 카드가 환히 보이는 투명한 합성수지제 케이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합성수지제 케이스는 대개 카드를 담는 하부케이스 및 이를 덮는 상부케이스로 단순하게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가 임의로 자유롭게 열고 닫을 수 있음은 물론 플레잉 카드나 화투 등의 놀이용 카드를 손쉽게 꺼내거나 다시 넣어서 함봉할 수 있다.
즉, 종래의 합성수지제 케이스는 플레잉 카드나 화투를 이용하는 각종 게임에서 속임수를 쓰거나 사기도박을 위해 혹은 기타 부정한 의도가 있을 경우, 그 포장을 뜯어 개봉한 후 카드의 표면에 특수렌즈 또는 적외선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카드 패를 자신만이 알아볼 수 있도록 비가시성 잉크 따위를 표시할 수 있는 등 개봉이나 재포장의 흔적없이 카드를 위변조 및 임의로 조작하기 손쉬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번 개봉하면 원래대로 함봉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놀이용 카드의 위변조나 임의적인 조작을 방지 및 그러한 부정행위 여부나 최초 개봉 여부를 사전에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구조의 밀봉형 포장케이스가 제안된 바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9762호 및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2190호에 최초 개봉 후 원래의 상태로 밀봉하는 것이 불가능한 이른바 원터치 캔(one touch can) 타입의 포장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가운데 전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통 형상의 원터치캔본체(110)와, 알루미늄 또는 주석도금강판과 같은 금속 판재로 이루어지고 원터치캔본체(110)의 개구부를 덮은 상태에서 시밍(seaming) 장치나 컬러(curler)로 테두리를 안쪽으로 구부려 접합하는 원터치뚜껑(120)을 포함한다.
특히 원터치뚜껑(120)은 원터치캔본체(110)의 돌출테두리부(113)에 결합되는 결합테두리부(121)와, 그 결합테두리부(121)의 내측으로 형성된 단차부(123)와, 그 단차부(123)와 깊은 골(score) 형태의 절취라인(S)을 사이에 두고 연결된 커버판(125) 및 그 커버판(125)을 지레의 원리로 원터치뚜껑(120)으로부터 용이하게 떼어 내어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고리형 손잡이(12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통 형상의 본체(110)와, 그 본체(110)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상태로 결합되며 사방 외곽을 따라 절취선(122)이 형성된 커버(120)와, 그 커버(120)의 상면에 절취선(122)을 파열시켜 절취부(123)를 따내는 오프너(130)를 포함한다.
특히 커버(120)는 본체(110)의 사방 둘레를 따라 구부려진 밴딩부(121)에 의해 본체(110)와 이음 접합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원터치 캔 타입의 포장케이스는 원터치뚜껑(120)과 커버(120)가 각각 금속 판재로 이루어진 특성상 개봉을 위해 커버판(125)과 절취부(123)를 떼어 내면 단차부(123)와 절취선(122)의 가장자리가 매우 날카롭게 파단된 채로 공히 원터치캔본체(110)와 본체(110) 내부로 튀어나오기 때문에 원터치캔본체(110)와 본체(110) 내부에 수납된 놀이용 카드를 꺼낼 때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자칫 그 날카로운 부분에 손이 베이는 사고를 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터치캔본체(110)와 본체(110) 내부로 튀어나온 단차부(123)와 절취선(122) 부분으로 인해 놀이용 카드를 꺼낼 때 접촉 간섭이 일어나면서 잘 빠지지 않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원터치뚜껑(120)의 결합테두리부(121)가 원터치캔본체(110)의 돌출테두리부(113)를, 커버(120)의 밴딩부(121)가 본체(110)의 사방 둘레를 단순히 감싸듯이 구부려져서 접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송곳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원터치뚜껑(120)의 결합테두리부(121)를, 커버(120)의 밴딩부(121)를 벌림으로써 원터치캔본체(110)로부터 원터치뚜껑(120)을, 본체(110)로부터 커버(120)를 멀쩡한 상태로 손쉽게 분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위변조 또는 조작된 다른 플레잉 카드나 화투로 바꿔치기한 후, 원래의 완제품 형태로 함봉할 수 있어 위변조나 임의적인 조작을 막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KR 2020090012190 U(2009.12.02.) KR 1020010091857 A(2001.10.23.) KR 200479762 Y1(2016.02.26.)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원터치 캔 타입의 포장케이스가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플레잉 카드, 화투 따위의 각종 놀이용 카드의 위변조나 임의적인 조작을 미연에 방지 및 그러한 부정행위 여부나 최초 개봉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개봉 후 놀이용 카드를 꺼내는 과정에서 본체에 접속된 채로 남아 있는 뚜껑의 날카로운 부분에 손이 베이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놀이용 카드를 손쉽게 꺼낼 수 있고, 아울러 본체로부터 뚜껑을 흔적 없이 쉽게 분리할 수 없고, 혹여 억지로 분리하더라도 새롭게 멀쩡하고 온전한 형태의 완제품으로 재포장할 수 없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놀이용 카드 포장케이스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개봉 후 놀이용 카드를 꺼내는 과정에서 손이 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놀이용 카드 포장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사용자가 임의로 새로운 완제품으로 재포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놀이용 카드 포장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놀이용 카드를 담을 수 있도록 수납공간부가 형성되고 개구부 테두리에 플랜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폐쇄하되, 상기 본체의 플랜지에 접속되는 테두리부와 높이 차이를 두고 안쪽으로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의 안쪽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절취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절취라인을 따라 개봉부를 따내어 열도록 풀탭이 구비된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상기 뚜껑의 단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단차부 및 상기 개봉부의 가장자리와 밀착되면서 상기 절취라인 부분이 상기 수납공간부로 튀어나오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플랜지와 높이 차이를 두고 안쪽으로 보호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용 카드 포장케이스를 제시한다.
이로써 놀이용 카드의 위변조나 임의적인 조작을 미연에 방지 및 그러한 부정행위 여부나 최초 개봉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개봉 후 놀이용 카드를 꺼내는 과정에서 본체에 접속된 채로 남아 있는 뚜껑의 날카로운 부분에 손이 베이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놀이용 카드를 한결 신속하고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은, 상기 본체의 플랜지는 상기 뚜껑의 테두리부를 안쪽으로 구부려 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플랜지 하면에 상기 뚜껑의 테두리부를 구부려 쌀 때 그 끝 부분이 접혀 올리어 끼워지는 슬롯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본체로부터 뚜껑을 흔적 없이 쉽게 분리할 수 없고, 혹여 억지로 분리하더라도 멀쩡하고 온전한 형태의 새로운 완제품으로 재포장할 수 없어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본체의 중심에서 상기 보호턱 안쪽 면 둘레까지의 거리는 상기 뚜껑의 중심에서 상기 단차부의 안쪽 면 둘레 및 상기 절취라인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본체의 개구부 상에 뚜껑의 단차부 및 개봉부 가장자리 부분과 밀착되면서 뚜껑의 절취라인 부분이 그 수납공간부로 튀어나오는 것을 차단하는 보호턱이 뚜껑의 단차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개봉부를 따낸 후 놀이용 카드를 꺼내는 과정에서 본체의 가장자리에 접속된 채로 남아 있는 뚜껑의 날카로운 부분에 손이 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뚜껑과의 접촉 간섭이 없어 놀이용 카드를 한결 신속하고 용이하게 꺼낼 수 있고, 이로 인해 제품의 안전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체의 플랜지 하면 둘레에 일정 깊이로 패인 슬롯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컬러(curler) 등으로 뚜껑의 테두리부를 구부려 쌀 때 그 끝 부분이 접혀 올리어 슬롯에 자연스럽게 끼워져 박힘으로써 한층 더 견고하고 안정적인 접속 및 결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본체로부터 뚜껑을 흔적 없이 쉽게 분리할 수 없고, 혹여 도구 등을 이용해 억지로 벌려서 분리하더라도 뚜껑의 테두리부가 파손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임의로 본체와 뚜껑을 분리하여 위변조 또는 조작된 다른 플레잉 카드나 화투로 바꿔치기한 후, 멀쩡하고 온전한 원래의 완제품 형태로 함봉할 수 없는 등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 중 일례에 따른 놀이용 카드 포장케이스를 일부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 중 다른 예에 따른 놀이용 카드 포장케이스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놀이용 카드 포장케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국부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놀이용 카드 포장케이스는 크게 본체(10)와 뚜껑(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상면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 또는 상면이 개구되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사각뿔대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안쪽에는 플레잉 카드를 비롯하여 화투 따위의 각종 놀이용 카드를 담을 수 있도록 수납공간부(11)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 테두리에는 뚜껑(20)과의 안정적인 접속 및 결속을 위한 플랜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개구부 안쪽 둘레 면에는 뚜껑의 단차부(22)와 대응되는 보호턱(1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보호턱(13)은 뚜껑의 단차부(22) 및 개봉부(24) 가장자리와 밀착되면서 절취라인(23) 부분이 수납공간부(11) 안쪽으로 나와 위치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플랜지(12)와 높이 차이를 두고 단차부(22)의 넓이보다 넓이가 더 넓게 수납공간부(11) 안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플랜지(12)는 본체(10)의 개구부 가장자리에 단면상으로 볼 때 'ㄱ'자 형상으로, 즉 본체(10)의 바깥쪽 면 둘레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보호턱(13)은 본체의 수납공간부(11) 안쪽 면 둘레에 단면상으로 볼 때 'ㄴ'자 형상으로 단차진 층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중심에서 보호턱(13) 안쪽 면 둘레까지의 거리(ℓ1)는 뚜껑(20)의 중심에서 단차부(22)의 안쪽 면 둘레 및 절취라인(23)까지의 거리(ℓ2)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의 플랜지(12)는 통상의 시밍(seaming) 장치나 컬러(curler) 등으로 뚜껑의 테두리부(21)를 안쪽으로 구부려서 쌀 때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말리어 감싸듯이 싸이도록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12)의 하면에는 뚜껑의 테두리부(21)를 구부려 쌀 때 그 끝 부분이 접혀 올리어 끼워져 박히도록 슬롯(14)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체(10)가 경성 플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짐으로써 뚜껑의 테두리부(21)를 플랜지(12)에 감아 싸듯이 구부리면 그 플랜지(12)의 끝 분이 슬롯(14) 속으로 들어가서 안정적으로 박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는 내부의 놀이용 카드가 환히 보이는 투명한 경성 플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 도면에서는 사각뿔대통 형상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통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뚜껑(20)은 본체(10)의 개구부를 덮어서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에는 본체(10)의 플랜지(12)에 접속 및 결속되는 테두리부(21)가 형성되어 있고, 그 테두리부(21)와 높이 차이를 두고 수평으로 일정 넓이를 갖는 단차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단차부(22)의 안쪽으로 개봉부(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차부(22)의 안쪽 가장자리와 개봉부(24)의 바깥쪽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절취라인(23)이 형성되어 있고, 개봉부(24)의 한쪽 구석 부분에는 절취라인(23)을 따라 개봉부(24)를 지레의 원리로 손쉽게 따내어 열 수 있도록 하는 풀탭(25)이 부착되어 있다.
즉, 단차부(22)와 개봉부(24)의 경계선에는 풀탭(25)을 상방으로 당겨 젖힐 때 개봉부(24)가 따지면서 뚜껑(2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파열 및 파단을 유도하는 절취라인(23)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풀탭(25)에 외력을 가하여 상방으로 밀어젖히거나 앞으로 당길 때 개봉부(24)는 절취라인(23)을 따라 자연스럽게 파단 및 휘어지면서 뚜껑(20)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절취라인(23)은 개봉부(24)가 풀탭(25)의 물리적 작용 시 자연스럽게 휘어지는 변형이 일어나면서 뚜껑(20)으로부터 원활하게 파열 및 파단될 수 있도록 마치 노치(notch)와 같은 슬롯이나 깊은 골(score) 형상으로 단차부(22)와 개봉부(24)의 경계 또는 사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절취선과 같이 도트 라인(dotted line)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뚜껑(20)은 알루미늄 또는 주석도금강판과 같은 금속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놀이용 카드 포장케이스는 재사용이 가능한 별도의 케이스에 플레잉 카드나 화투 따위를 수납한 채로, 이를 본체(10)에 담고 뚜껑(20)을 덮은 상태에서 통상의 시밍(seaming) 장치나 컬러(curler) 등을 이용해 뚜껑의 테두리부(21)를 안쪽으로 구부려서 본체의 플랜지(12)에 접속 및 결속함으로써 함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외력으로 풀탭(25)을 젖히거나 잡아당겨서 개봉부(24)를 따내야만 개봉되어 내용물인 플레잉 카드나 화투를 꺼낼 수 있고, 이렇게 되면 원래의 함봉 상태로 복구 및 재결합이 불가능하므로 개봉한 흔적이 그대로 남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게임 전에 최초로 개봉하는 것인지 여부를 쉽게 확인 및 눈치챌 수 있다.
특히 본체의 보호턱(13)이 뚜껑의 단차부(22) 및 개봉부(24) 가장자리와 밀착되면서 절취라인(23) 부분이 그 수납공간부(11)로 튀어나온 상태로 위치되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개봉부(24)를 따낸 후 본체(10) 내부에 담긴 놀이용 카드를 꺼내는 과정에서 본체(10)의 상부 가장자리에 접속된 채로 남아 있는 뚜껑(20)의 날카로운 부분, 즉 절취라인(23)에 의해 형성된 날 부분에 손이 베이는 안전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놀이용 카드를 꺼낼 때 보호턱(13)으로 인해 종래와 달리 뚜껑의 단차부(22)와 접촉 간섭이 일어나지 않아 한결 신속하고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게다가 뚜껑의 테두리부(21)를 안쪽으로 구부려서 쌀 때 본체의 플랜지(12)에 자연스럽게 말리듯이 싸이고, 이와 더불어 그 끝 부분이 접혀 올리어 슬롯(14)에 끼워져 박히므로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인 접속 및 결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로부터 뚜껑(20)을 흔적 없이 쉽게 분리할 수 없고, 혹여 도구 등을 이용해 뚜껑의 테두리부(21) 끝 부분을 슬롯(14)에서 빼낸 후 억지로 벌려서 분리하더라도 그 과정에서 뚜껑의 테두리부(21)가 훼손 및 파손되어서 종래와 달리 위변조 또는 조작된 다른 플레잉 카드나 화투로 바꿔치기한 후, 멀쩡하고 온전한 원래의 완제품 형태로 다시 함봉할 수 없는 각별하고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수납공간부
12: 플랜지 13: 보호턱
14: 슬롯
20: 뚜껑 21: 테두리부
22: 단차부 23: 절취라인
24: 개봉부 25: 풀탭

Claims (3)

  1. 놀이용 카드를 담을 수 있도록 수납공간부(11)가 형성되고 개구부 테두리에 플랜지(12)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개구부를 폐쇄하되, 상기 본체(10)의 플랜지(12)에 접속되는 테두리부(21)와 높이 차이를 두고 안쪽으로 단차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22)의 안쪽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절취라인(23)이 형성되고 상기 절취라인(23)을 따라 개봉부(24)를 따내어 열도록 풀탭(25)이 구비된 뚜껑(20)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플랜지(12)는 상기 뚜껑의 테두리부(21)가 안쪽으로 구부려 싸이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22) 및 상기 개봉부(24)의 가장자리와 밀착되면서 상기 절취라인(23) 부분이 상기 수납공간부(11) 쪽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본체(10)의 상기 뚜껑의 단차부(22)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플랜지(12)의 상단과 높이 차이를 두고 안쪽으로 보호턱(1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테두리부(21)를 구부려 쌀 때 그 끝 부분이 접혀 올리어 끼워지는 슬롯(14)이 상기 본체의 플랜지(12) 하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용 카드 포장케이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중심에서 상기 보호턱(13) 안쪽 면 둘레까지의 거리는 상기 뚜껑(20)의 중심에서 상기 단차부(22)의 안쪽 면 둘레 및 상기 절취라인(23)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용 카드 포장케이스.
KR1020160083288A 2016-07-01 2016-07-01 놀이용 카드 포장케이스 KR101831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288A KR101831269B1 (ko) 2016-07-01 2016-07-01 놀이용 카드 포장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288A KR101831269B1 (ko) 2016-07-01 2016-07-01 놀이용 카드 포장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770A KR20180003770A (ko) 2018-01-10
KR101831269B1 true KR101831269B1 (ko) 2018-02-22

Family

ID=60998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288A KR101831269B1 (ko) 2016-07-01 2016-07-01 놀이용 카드 포장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2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770A (ko) 201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45119B2 (en) Tamper-evident lid
RU2705038C2 (ru) Укупор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 индикацией вскрытия и индикаторный колпачок для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5424728B2 (ja) 不正開封防止包装箱
JP5514476B2 (ja) 不正開封防止包装箱
JP2014501671A (ja) 異種物質収容装置
US11358763B2 (en) Child resistant storage container
KR101831269B1 (ko) 놀이용 카드 포장케이스
JP5449960B2 (ja) 不正開封防止機構付きヒンジキャップ
JP2008222286A (ja) 容器
US9643761B1 (en) Child-resistant containers
JP7440408B2 (ja) 安全開封キャップ(injury-preventive can cover)
JP4447405B2 (ja) 開封識別容器
JP3150880U (ja) 組立包装箱
WO2006026803A1 (en) An improved closure, a method of forming thereof and a method of sealing and/or closing a bottle
JP6598655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475909Y1 (ko) 놀이용 카드 케이스
JP3224841U (ja) 改ざん防止機能付き包装箱
KR101020030B1 (ko) 병 및 병마개
JP6775261B1 (ja) 改ざん防止機能付き包装箱
CA3089497A1 (en) Child resistant storage container
KR101328215B1 (ko) 방습제가 내재되는 위조방지 마개
KR20170004342U (ko) 이중 위변조 방지 기능을 갖는 트럼프 포장 케이스
JP2017190187A (ja) 包装箱
JP5768538B2 (ja) 包装箱
EP3228557B1 (en) Tube clo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