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280Y1 - 마개 - Google Patents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280Y1
KR200371280Y1 KR20-2004-7000008U KR20047000008U KR200371280Y1 KR 200371280 Y1 KR200371280 Y1 KR 200371280Y1 KR 20047000008 U KR20047000008 U KR 20047000008U KR 200371280 Y1 KR200371280 Y1 KR 2003712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tag
opening
closu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7000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딤 젠나디에비치 샤이덴코
Original Assignee
바딤 젠나디에비치 샤이덴코
주바크힌, 올레그 빅토로비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딤 젠나디에비치 샤이덴코, 주바크힌, 올레그 빅토로비치 filed Critical 바딤 젠나디에비치 샤이덴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2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2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40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 B65D41/42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made of relatively-stiff metallic material, e.g. crow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태그의 벤딩에 의해 착탈가능한 스트립이 구비된 마개의 인체공학적 특성을 개선하는 것으로서, 특히 캡의 안정성 및 사용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봉이 용이한 마개의 자체 코르크제거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코르크밀봉된 병의 운송 및 저장중 마개들 사이의 상호결합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마개의 여러 실시예 즉, 조합된 태그와 연합된 태그와 굴곡된 태그 스트립을 갖는 마개의 실시예도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마개{CRWON CAP}
병을 코르크밀봉하기 위해 다양한 디자인을 갖는 마개는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마개는 왕관형태의 스커트가 구비된 주석 마개로 제조되며, 취약부의 라인을 따라 코르크밀봉된 병의 목부분과 중첩된 왕관형 스커트와 후방의 일부를 제거하므로써 코르크밀봉된 병을 쉽게 개봉할 수 있게 하는 파열태그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마개의 내부에는 탄성의 둥근 레잉(laying)이 삽입된다.
여러 디자인들은 평탄한 파열태그가 개구를 갖는 판으로 제조될 것과, 리벳에 의해 마개의 외측에서 후방에 고정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상기 판은 벤딩 태그로서 작용하며, 후방의 전체 칫수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상기 판은 손가락을 위해 반원형 개구가 구비된 대칭의 신장된 혀형상부로 형성되거나(캐나다 특허 제2090364U호, 1992년), 또는 둥근 코너를 갖는 사다리꼴 형태(캐나다 특허 제2237607Y호, 1996년)로 형성되거나, 타원형(캐나다 특허 제2115979U호, 1993년; 캐나다 특허 제2090367U호, 1992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지의 마개는 처음 제안된 3가지 변형예의 표준으로 선택되며, 이러한 마개는 후방부 외측면상에 안착되며 그 외경이 마개 후방부의 외경을 초과하지 않는 둥근 판을 가지며; 상기 둥근 판은 리벳에 의해 후방부에 연결되고, 둥근 판의 엣지가 상향을 향할 때 링형 태브를 형성하도록 제조된 개구를 포함한다(국제특허출원 WO 00/51906호, 2000년).
분리된 판-태그를 포함하는 상술한 마개는 하기와 같은 인체공학적 특성을 갖는다.
a)판은 펀칭에 의해 형성되고, 그 엣지는 예리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상처를 입히는 손거스러미(agnail)을 갖는다.
b)코르크밀봉된 병의 운송중, 판은 리벳의 주위로 뒤집어져서, 특히 우발적 외력의 작용하에 본의아니게 코르크 밀봉해제를 초래하는 통상의 외력에 의해, 마개의 후방의 칫수를 남긴다.
c)표준형 마개의 직경이 작기 때문에, 신장된 태그의 디자인에는 손가락이 큰 사람을 위한 개구가 있다.
또 다른 디자인에 따르면, 파열 태그는 마개의 후방부 전체의 일부로 형성되며, 상기 태그는 굴곡된 후 코르크밀봉 제거시 크라운형 스커트의 일부와 함께 찢겨진다(예를 들어, 캐나다 특허출원 제1043678A호, 1990년). 제4변형예의 표준은 공지의 마개로 선택되는데, 이러한 마개는 크라운형 스커트와, 그 후방부에 손가락을 위한 둥근 개구가 형성된 둥근 태그를 포함하는 마개로 형성된다(캐나다 특허 제2221558Y호, 1996년). 폐쇄되지 않은 외측 모선(generatrix)을 따라 태그를 마개 후방부와 분리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모선의 단부는 태그의 가장 큰 횡단 크기보다 폭이 작은 파열 스트립을 형성하는 취약부의 라인에 완만하게 연결된다. 코르크밀봉된 병 목부분의 직경에 대응하는 탄성의 둥근 레잉은 마개의 내부에 삽입된다. 공지의 마개의 결함은 다음과 같다.
a)링형 태그의 단면은 강성이 적기 때문에, 사용자는 코르크제거중 손가락에 통증을 느낄 수 있다.
b)취약부의 라인을 따라 후방부로부터 태그를 파열하는데는 상당한 노력이 수단된다.
c)외부의 동작에 의한 절개로 인해 탄성 레잉이 손상된다.
따라서, 시트재료로 크라운형 스커트가 구비된 캡을 제조하는 또 다른 마개 디자인이 제조되었지만, 태그는 마개를 완전히 갖는 스트립으로 제조되며, 상기 스트립의 한쪽 단부는 링형 태그를 포함하고, 스트립의 다른쪽 단부는 크라운형 스커트의 외주 엣지에 접합된다. 예를 들어, 2개의 취약부 라인을 갖는 마개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라인들은 파열 스트립을 형성하는 크라운형 스커트의 외주 엣지와 스트립의 접합위치로부터 시작된다(영국 특허 제1139247호, 1969년). 상기 태그와 스트립은 제조된 캡과 코르크밀봉된 병의 운송중 기술적 문제점을 유발시키는 캡의 모든 칫수를 상당히 지지하므로, 통상의 진열시 코르크밀봉된 병의 코르크가 우발적으로 제거될 가능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통상의 외부 동작에 의해 코르크밀봉된 병의 우발적 코르크제거의 가능성도 증가된다.
제5변형예의 표준으로는 스트립이 굴곡된 공지의 마개가 선택되는데, 스트립의 일부는 크라운형 스커트의 외측면상에 놓이며, 스트립의 나머지 부분은 마개 후방부의 외측면상에 놓인다(캐나다 특허 제2205361Y호, 1995년). 마개에 형성된 2개의 취약부 라인은 파열 스트립을 형성하는 크라운형 스커트의 외주 엣지와 스트립의 결합위치로부터 시작된다. 공지의 마개는 다음과 같은 결함을 내포하고 있다.
a)링형 태그가 마개 후방부의 표면 위로 연장되므로, 코르크밀봉된 병의 우발적 코르크제거의 가능성이 증가되며, 선적 및 저장시 코르크밀봉된 병의 마개들 사이의 상호결합 가능성도 증가된다.
b)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등과 같이 내구성이 약한 재료가 사용될 경우, 스트립이 밴드 대신에 폭발할 수도 있기 때문에, 굴곡된 스트립을 갖는 마개를 제조하기 위해 예를 들어 철 등과 같은 강한 재료가 사용되지만, 그러나 강한 재료가 사용될 경우 코르크제거중에 취약부의 라인을 따라 파열 스트립을 파열시키기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다.
c)마개는 펀칭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그 엣지가 예리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상처를 입힐 수도 있는 손거스러미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용기의 코르크밀봉 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취약부인 파열 스트립 및 태그를 구비한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도1 내지 도3은 분리된 조합태그를 갖는 마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1은 그 평면도이고, 도2는 도1의 선A-A을 따른 수직단면도이고, 도3은 도2의 I부분의 확대도.
도4 내지 도7은 태그가 연합된 마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4는 그 평면도이고, 도5는 도4의 선B-B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6은 도4의 선C-C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7은 단단한 탄성 레잉과 조립된 실시예의 평면도.
도8 내지 도10은 굴곡된 태그 스트립을 갖는 마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8은 그 평면도이고, 도9는 도8의 선D-D을 따른 수직단면도이며, 도10은 도9의 우측단면도.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태그의 벤딩에 의해 착탈가능한 스트립이 구비된 마개의 인체공학적 특성을 개선하는 것으로서, 특히 캡의 안정성 및 사용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봉이 용이한 마개의 자체 코르크제거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코르크밀봉된 병의 운송 및 저장중 마개들 사이의 상호결합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은 병을 코르크밀봉하기 위한 마개의 5가지 변형예를 제공하므로써 달성될 수 있다.
첫번째 3가지 변형예의 공통적인 특징은 마개가 크라운형 스커트와 판을 구비한 캡으로 제조되는 것으로서; 태그의 벤딩기능을 수행하고 마개의 후방부 외측면에 놓이는 상기 판은 그 전체적인 칫수가 마개 후방부의 칫수를 초과하지 않으며, 리벳에 의해 마개 후방부에 고정되며, 개구를 포함한다. 취약부의 라인은 마개에 형성되며, 크라운형 스커트의 외주 엣지로부터 시작하여 리벳 구멍이 형성된 파열 스트립을 형성하는 외주 엣지에 도달한다. 이러한 3가지 변형예의 공통적인 새로운 특징은 취약부의 라인부터 그 말단까지의 파열 스트립의 아치의 길이가 π/2 라디안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것이며, 이에 의해 그다지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파열 스트립을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에 대한 또 다른 새로운 공통적인 특징은 마개의 내부에 삽입되는 코르크밀봉된 병 목부분의 직경에 대응하는 탄성의 둥근 레잉이 제공된다는 점이다.
제1변형예의 새로운 특징은 판 및/또는 개구의 엣지의 일부가 스피닝되고, 게다가 스피닝에 의해 엣지가 굴곡되는 쪽에 의해 상기 판이 마개 후방부의 외측면상에 놓이므로써 사용자에게 상처를 입힐 가능성이 배제된다는 점이다. 이 경우 상기 판의 상부 높이가 판의 두께에 의해 증대되기 때문에, 리벳의 헤드에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헤드의 높이가 오목부 크기 보다 작은 경우에는, 결합이 배제되거나, 리벳 헤드 또는 그 엣지에 의해 사용자에게 상처를 입히지 않는다.
제2변형예에 대한 새로운 특징은 마개 후방부의 외측면상에 형성되어 판의 개구에 삽입되므로써 개구의 엣지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혀형상부가 제공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혀형상부는 리벳의 주위로 판이 회전할 가능성과 마개 후방의 전체 칫수를 벗어날 가능성을 배제시킨다(이 경우, 리벳의 중심이 마개 후방부의 원의 중심과 상이할 때). 제조기법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는 상기 혀형상부를 구형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혀형상부의 높이가 판 두께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변형예는 그 외경이 마개 후방부의 외경을 초과하지 않으며 개구가 둥근 판의 엣지가 벤딩될 때 링형 태브를 형성하도록 개방이 실행되는, 표준형태로서 둥근 판이 제공된다는 점이다. 상술한 파열 스트립의 아치 길이를 제외한 새로운 특징으로는 상기 개구가 폐쇄되지 않은 링 형상을 취하며 둥근 판의 직경방향 축선에 대해 대칭이라는 점이며, 이외에도 리벳을 위한 구멍이 상기 직경방향 축선상에 배치되므로써, 둥근 판의 세그먼트에는 링형 개구가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마개는 원의 일부 형태를 취하며 개구의 내경을 따라 형성된 외측의 링형 태브 및/또는 내측 태브를 사용하여 병의 목부분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링형 개구의 아치 길이가 π부터 11π/6까지의 라디안이며, 및/또는 상기 링형 개구의 중심이 둥근 판의 중심과 일치하며, 및/또는 링형 개구는 둥근 판의 외경과 대비해서 외경이 0.5부터 0.9까지이고, 내경이 0.4부터 0.85까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변형예에 대해서는 개구에 삽입되는 마개 후방부의 외측면상에 적어도 하나의 구형 혀형상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그들중 하나의 벤딩을 촉진시키는 그 내경쪽에서 링형 개구의 단부에 게팅(getting)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상기 링형 개구의 단부는 둥글게 형성되며, 이러한 둥근 부분의 직경은 링형 개구의 폭 보다 크다. 이 경우, 링형 개구의 외경이 둥근 부분과 완만하게 접합되면, 내측 태그는 보다 용이하게 굴곡될 수 있다.
또한, 마개는 상술한 변형예의 2가지 또는 모두 3가지의 조합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제4변형예는 크라운형 스커트가 구비된 마개로 제조된 코르크밀봉된 병을 위한 마개로서, 마개의 후방부에 완전히 형성된 둥근 형상의 태그를 가지며, 손가락을 위한 둥근 형태의 개구를 갖는다. 폐쇄되지 않은 외측의 모선을 따라 후방부로부터 태그를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모선의 단부는 태그의 가장 큰 횡단 크기 보다 폭이 작은 파열 스트립을 형성하는 크라운형 스커트의 외주 엣지에서 종료되는 취약부의 비교차된 라인과 완만하게 연결된다. 코르크밀봉된 병 목부분의 직경에 대응하는 탄성의 둥근 레잉은 마개의 내측에 삽입된다. 새로운 특징은, 코르크밀봉된 병 목부분의 직경에 대응하는 단단하고 둥근 레잉이 탄성 레잉 앞에서 마개의 내측에 부가로 삽입된다는 점이며; 이외에도 상기 각각의 레잉은 판 형태를 취하며, 상기 개구의 반대쪽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태그는 폐쇄되지 않은 외측의 모선을 따라 위치된 슬릿에 의해 마개 후방부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예를 들어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된 단단한 레잉은 파열되기 쉬운 탄성 레잉을 파열되지 않게 하며, 후방부에 있는 슬릿과 오목부는 손가락으로 태그를걸어 이를 용이하게 굴곡시킬 수 있게 한다. 사용시 손가락의 핀칭(pinching) 및 그 굴곡을 배제하고, 태그상에 형성되어 개구의 엣지와 폐쇄되지 않은 외측 모선 사이에 위치된 강화리브를 사용하므로써 태그의 견고성이 증가되기 때문에, 강화리브의 볼록부는 하방이나 상방을 향하게 된다. 또한, 개구 엣지의 적어도 일부가 마개의 내측으로 스피닝될 때 사용상의 안정성 및 견고성이 증가된다. 파열 스트립과 마찬가지로 개구를 구비한 태그는 마개 후방부의 직경방향 축선에 대해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므로, 가장 큰 크기의 타원은 태그의 대칭축에 수직한 라인상에 위치되며, 상기 폐쇄되지 않은 외측의 모선은 타원형 모선에 대해 등거리에 있으므로, 그 말단 사이의 거리는 가장 큰 크기의 타원 보다 작다. 단단하고 둥근 레잉은 절두형 부분으로 형성되는 개방된 절개된 부분을 가지며, 이 경우 상기 부분의 측방향 쪽은 마개의 취약부의 라인과 거의 일치하게 된다.
제5변형예는 태그 스트립으로 완전히 크라운된 캡으로서 시트재료로 제조된 코르크밀봉된 병을 위한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태그 스트립의 한쪽 단부는 손가락을 위한 개구가 구비된 태그를 포함하며, 상기 태그 스트립의 다른쪽 단부는 크라운형 스커트의 외주 엣지에 접합되어 있다. 상기 태그 스트립은 굴곡되며, 그 한쪽 부분은 크라운형 스커트의 외측면에 놓이고, 태그 스트립의 다른쪽 부분은 마개 후방부의 외측면에 놓인다. 취약부의 2개의 라인은 마개상에 형성되며, 이들은 크라운형 스커트의 외주 엣지와 태그 스트립의 접합위치로부터 시작되어 파열 스트립을 형성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새로운 특징은, 마개 후방부상에 판형 오목부가형성된다는 점으로서, 상기 판형 오목부의 중심은 마개 후방부의 원의 중심과 일치하며, 상기 판형 오목부의 직경은 코르크밀봉된 목부분의 내경 보다 크지 않으며, 태그의 외측 모선의 외접원의 직경 보다 작지 않으며, 상기 태그는 판형 오목부의 위치에서 마개 후방부의 외측면상에 놓이고, 판형 오목부의 외측 크기를 초과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태그는 마개 후방부의 표면 위로 약간 연장되며; 상기 태그는 판형 오목부의 측벽에 의해서도 고정되어, 운송 및 저장중 다른 물제와의 연결 및 우발적 외력에 의해 자체적으로 코르크제거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코르크밀봉된 병 목부분의 직경에 대응하는 둥근 또는 링형의 탄성 레잉은 마개의 내측에 삽입된다. 파열 스트립과 마찬가지로 개구가 구비된 태그는 마개 후방부의 직경방향 축선에 대해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그는 둥근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형 오목부는 평면도로 투시하였을 때 둥글게 형성된다. 상기 판형 오목부의 깊이는 시트재료의 두께와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취약부의 라인은 마개 후방부(협소하게 연장되거나 동일한 폭을 갖는)의 직경방향 축선에 대해 대칭인 파열 스트립을 형성한다. 크라운형 스커트의 외주 엣지(오목부, 절개부)와 태그 스트립의 접합부의 위치에 응력집중부가 형성되면 코르크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크라운형 스커트의 외측면상에 놓인 태그 스트립 부분이 상기 외측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즉, 크라운되는 것)이 기술적인 면에서 코르크 밀봉 및 제거에 바람직하다. 손가락을 위한 개구 엣지의 일부 또는 이러한 개구의 모선이 스피닝되는 것이 사용상 안전하다. 또한, 이것은 강화리브로서 사용되며, 손가락의 핀칭을 배제한다. 태그의 외측 모선과 손가락을 위한 개구 사이에 위치되어 태그상에 형성된 분리된 강화리브에 의해, 태그의 굴곡 경도가 증가된다. 상기 변형예에 사용된 "취약부의 라인"이라는 용어는 점선과 마찬가지로 연속적인 라인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플로터닝(floturning)에 의해 펀칭되는, 환원하면 마개의 시트재료의 두께 감소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도1, 도2, 도4, 도8, 도10에서 취약부의 라인은 점선으로 도시되었다.
실시예1: 분리된 조합 태그를 구비한 마개
파열 스트립(2)을 형성하는 취약부의 라인(1)이 구비된 마개는 크라운형 스커트(3)와, 2개의 구형 혀형상부(5)가 구비된 후방부(4)를 포함한다. 탄성의 둥근레잉(6)은 상기 마개의 내측에 삽입되며, 링형 태브(9)와 반원형 태그(10)를 포함하는 둥근 판(8)은 리벳(7)에 의해 외측에 고정되며, 상기 태브(9)와 태그(10)는 둥근 게팅(12)을 갖는 개구(11)에 의해 형성된다. 판(8)의 엣지(13, 14, 15)는 스피닝되어 굴곡부(16)가 형성된다. 리벳(7)의 헤드는 판(8) 및 후방부(4)에 각각 형성된 오목한 부분(17, 18)에 배치된다.
코르크밀봉된 병의 마개는 2가지 방법 즉, 태브(9)를 굴곡시킨 후 하나의 손가락으로 계속 히칭(hitching)하거나, 또는 태그(10)를 굴곡시킨 후 2개의 손가락으로 이를 계속 로킹하면, 스트립(2)은 라인(1)을 따라 파열된다.
실시예2: 연합된 태그를 구비한 마개
파열 스트립(20)을 형성하는 취약부의 라인(19)이 구비된 마개는 크라운형 스커트(21)와, 슬릿(23)과 타원형 개구에 의해 형성된 태그(24)를 가지며 도5에 도시된 볼록형 강화리브를 갖는 후방부(22)를 포함한다. 마개의 내측에는 판 형태의 단단한 레잉(26)과 탄성의 둥근 레잉(25)이 삽입되며; 상기 레잉(26)은 평탄한 바닥(27)과, 경사진 벽(28)과, 상기 레잉(25)를 고정하는 굴곡 엣지(29)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한다. 상기 레잉(26)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두형 부분으로 형성된 개방된 절개부를 포함한다. 레잉(26)의 재료는 시트재료 또는 다소 강한 플라스틱이다. 태그(24)의 예리한 엣지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닝된다.
코르크제거를 위하여, 태그(24)는 손가락에 의해 굴곡된 후, 라인(19)을 따라 스트립(20)과 함께 마개로부터 제거된다.
실시예3: 굴곡된 태그 스트립을 갖는 마개
파열 스트립(32)을 형성하는 취약부의 라인(30, 31)이 구비된 마개는 크라운형 스커트(33)와, 판형 오목부(35)를 가지며 마개의 펀칭에 사용되는 시트재료의 두께와 거의 동일한 판형 오목부(35)의 깊이를 갖는 후방부(34)를 포함한다. 탄성의 둥근 레잉(36)은 마개의 내측에 삽입되며, 스피닝된 엣지(38, 39)를 갖는 링형 태그(37)는 외측에 위치되어 스트립(40)에 의해 크라운 스커트(33)와 연결된다. 상기 스트립(40)은 굴곡부(41, 42)를 가지며; 그 하부(43)는 크라운형 홈을 포함하며, 스커트(33)의 크라운형 홈과 등거리를 유지한다. 게팅(44, 45)은 응력집중부로서 작용하며, 라인(30, 31)이 시작되는 스커트(33)와 스트립(40)의 접합부에 형성된다.
코르크제거를 위하여 태그(37)는 미리 굴곡된 후, 한쪽 손가락에 의해 히칭되어 상향으로 당겨지므로, 상기 스트립(32)은 게팅(44, 45)으로부터의 라인(30, 31)을 따라 마개로부터 파열된다.
이러한 3개의 실시예에서 마개는 바니시된 리토그래픽 시트재료(백색 시트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의 펀칭에 의해 형성된다. 탄성의 레잉은 판지나 퓨즈로 제조되며, 또는 BX-플라스티솔, BX-입자, 또는 특정 기법에 의해 의해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지막 3가지 형태에는 특정한 고착 바니스가 사용되며, 재료의 형태에 따라 선택이 이루어진다.

Claims (34)

  1. 마개 후방부의 외측면상에 놓이고, 굴곡 태그의 기능을 실행하며, 마개 후방부의 전체 칫수를 초과하지 않으며, 리벳에 의해 마개 후방부에 고정되고 개구를 갖는 판을 포함하며; 상기 마개에는 취약부의 라인이 형성되며, 이러한 라인은 크라운형 스커트의 외주 엣지로부터 시작되어 리벳수납용 구멍을 갖는 파열 스트립을 형성하는 외주 엣지에 도달하는, 크라운형 스커트가 구비된 마개로 이루어진 코르크밀봉된 병을 위한 마개에 있어서,
    취약부의 라인으로부터 그 말단까지 파열 스트립의 아치 길이가 π/2 라디안을 초과하지 않으며, 판 또는 개구의 엣지의 적어도 일부는 스피닝되며, 상기 판은 마개 후방부의 외측면에 놓이고 그 측부에는 스피닝에 의해 굴곡된 엣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리벳 헤드를 위한 오목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3. 제1항에 있어서, 코르크밀봉된 병의 목부분의 직경에 대응하는 탄성의 둥근 레잉은 마개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4. 마개 후방부의 외측면상에 놓이고, 굴곡 태그의 기능을 실행하며, 마개 후방부의 전체 칫수를 초과하지 않으며, 리벳에 의해 마개 후방부에 고정되고 개구를 갖는 판을 포함하며; 상기 마개에는 취약부의 라인이 형성되며, 이러한 라인은 크라운형 스커트의 외주 엣지로부터 시작되어 리벳수납용 구멍을 갖는 파열 스트립을 형성하는 외주 엣지에 도달하는, 크라운형 스커트가 구비된 마개로 이루어진 코르크밀봉된 병을 위한 마개에 있어서,
    취약부의 라인으로부터 그 말단까지 파열 스트립의 아치 길이가 π/2 라디안을 초과하지 않으며, 판의 개구에 삽입되어 개구의 엣지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혀형상부가 마개 후방부의 외측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혀형상부는 구형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혀형상부의 높이는 판 두께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7. 제4항에 있어서, 코르크밀봉된 병 목부분의 직경에 대응하는 탄성의 둥근 레잉은 마개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8. 마개 후방부의 외측면상에 놓이고, 마개 후방부의 직경을 초과하지 않는 외경을 갖는 굴곡 태그의 기능을 실행하며, 마개 후방부의 전체 칫수를 초과하지 않으며, 리벳에 의해 마개 후방부에 고정되고, 둥근 판의 엣지가 굴곡될 때 링형 태브를 형성하도록 실행되는 개구를 갖는 둥근 판을 포함하며; 상기 마개에는 취약부의 라인이 형성되며, 이러한 라인은 크라운형 스커트의 외주 엣지로부터 시작되어 리벳수납용 구멍을 갖는 파열 스트립을 형성하는 외주 엣지에 도달하는, 크라운형 스커트가 구비된 마개로 이루어진 코르크밀봉된 병을 위한 마개에 있어서,
    취약부의 라인으로부터 그 말단까지 파열 스트립의 아치 길이가 π/2 라디안을 초과하지 않으며, 상기 리벳을 위한 구멍은 직경방향 축선에 위치되므로 둥근 판의 세그먼트에는 링형 개구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개구의 아치의 길이는 π부터 11π/6까지의 라디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10. 제8항에 있어서, 링형 개구의 중심은 둥근 판의 중심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개구는 둥근 판의 외경과 대비해서 외경이 0.5부터 0.9까지이고, 내경이 0.4부터 0.85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12. 제8항에 있어서, 코르크밀봉된 병 목부분의 직경에 대응하는 탄성의 둥근 레잉은 마개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13. 제8항에 있어서, 마개 후방부의 외측면상에 형성되어 개구내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형 혀형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14. 제8항에 있어서, 그 내경쪽에서 링형 개구의 단부에 게팅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개구의 단부는 둥글게 형성되며, 이러한 둥근 부분의 직경은 링형 개구의 폭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16. 제15항에 있어서, 링형 개구의 외경은 둥근 부분과 완만하게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17. 마개의 후방부에 완전히 형성되고 손가락을 위한 개구를 갖는 둥근 형태의 태그를 포함하며, 폐쇄되지 않은 외측의 모선을 따라 마개 후방부로부터 태그를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모선의 단부는 태그의 가장 큰 횡단 크기 보다 폭이 작은 파열 스트립을 형성하는 크라운형 스커트의 외주 엣지에서 종료되는 취약부의 비교차된 라인과 완만하게 연결되며, 코르크밀봉된 병 목부분의 직경에 대응하는 탄성의 둥근 레잉은 마개의 내측에 삽입되는, 크라운형 스커트가 구비된 마개로 이루어진 코르크밀봉된 병을 위한 마개에 있어서,
    코르크밀봉된 병 목부분의 직경에 대응하는 단단하고 둥근 레잉은 탄성 레잉 앞에서 마개의 내측에 부가로 삽입되며, 상기 각각의 레잉은 판 형태를 취하고, 상기 개구의 반대측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태그는 폐쇄되지 않은 외측의 모선을 따라 위치된 슬릿에 의해 마개 후방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18. 제17항에 있어서, 개구의 엣지의 적어도 일부는 마개의 내측으로 스피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19. 제17항에 있어서, 태그에 형성된 강화리브는 비폐쇄된 외측 모선과 개구의 엣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강화리브의 볼록부는 하방이나 상방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20. 제17항에 있어서, 파열 스트립과 마찬가지로 개구를 갖는 태그는 마개 후방부의 직경방향 축선에 대해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가장 큰 크기의 타원은 태그의 대칭축에 수직한 라인상에 위치되며, 말단 사이의 거리가 가장 큰 크기의 타원 보다 작도록 상기 폐쇄되지 않은 외측의 모선은 타원형 모선에 대해 등거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22. 제21항에 있어서, 단단하고 둥근 레잉은 절두형 부분으로 형성되는 개방된 절개된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절개된 부분의 측방향 쪽은 마개의 취약부의 라인과 거의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23. 태그 스트립의 한쪽 단부는 손가락을 위한 개구가 구비된 태그를 포함하며, 상기 태그 스트립의 다른쪽 단부는 크라운형 스커트의 외주 엣지에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태그 스트립은 굴곡되어 그 한쪽 부분은 크라운형 스커트의 외측면에 놓이고, 태그 스트립의 다른쪽 부분은 마개 후방부의 외측면에 놓이며, 취약부의 2개의 라인은 마개상에 형성되며, 이러한 라인은 크라운형 스커트의 외주 엣지와 태그 스트립의 접합위치로부터 시작되어 파열 스트립을 형성하는, 태그 스트립으로 완전히 크라운된 캡을 시트재료로 형성하는, 코르크밀봉된 병을 위한 마개에 있어서,
    마개 후방부상에 판형 오목부가 형성되면, 상기 판형 오목부의 중심은 마개 후방부의 원의 중심과 일치하며, 상기 판형 오목부의 직경은 코르크밀봉된 목부분의 내경 보다 크지 않고 태그의 외측 모선의 외접원의 직경 보다 작지 않으며, 상기 태그는 판형 오목부의 위치에서 마개 후방부의 외측면상에 놓이고, 판형 오목부의 외측 크기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24. 제23항에 있어서, 코르크밀봉된 병 목부분의 직경에 대응하는 둥근 또는 링형의 탄성 레잉은 마개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25. 제23항에 있어서, 파열 스트립과 마찬가지로 개구가 구비된 태그는 마개 후방부의 직경방향 축선에 대해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둥근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오목부는 평면도상에서 둥근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28. 제23항에 있어서, 판형 오목부의 깊이는 시트재료의 두께와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29. 제23항에 있어서, 취약부의 라인은 마개 후방부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대칭인 파열 스트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30. 제23항에 있어서, 크라운형 스커트의 외주 엣지와 태그 스트립의 접합위치에 응력집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31. 제23항에 있어서, 크라운형 스커트의 외측면상에 놓인 태그 스트립 부분은상기 외측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32. 제23항에 있어서, 강화리브는 태그상에 형성되어, 손가락을 위한 개구 엣지와 태그의 외측 모선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33. 제23항에 있어서, 손가락을 위한 개구의 엣지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개구의 모선은 스피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34. 제33항에 있어서, 스피닝에 의해 굴곡된 엣지는 판형 오목부의 외측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KR20-2004-7000008U 2002-01-28 2002-12-30 마개 KR20037128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02102389 2002-01-28
RU2002102389 2002-01-28
RU2002117148 2002-07-02
RU2002117148 2002-07-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280Y1 true KR200371280Y1 (ko) 2004-12-30

Family

ID=2766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7000008U KR200371280Y1 (ko) 2002-01-28 2002-12-30 마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50115916A1 (ko)
EP (1) EP1475312A4 (ko)
JP (1) JP2005047621A (ko)
KR (1) KR200371280Y1 (ko)
CN (1) CN2716160Y (ko)
BR (1) BR0215565A (ko)
CA (1) CA2474715A1 (ko)
CO (1) CO6220976A2 (ko)
EA (1) EA006366B1 (ko)
MX (1) MXPA04007288A (ko)
WO (1) WO20030642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8006B2 (en) 2006-01-14 2013-12-17 World Bottling Cap, LLC Bottle crown
TWI589494B (zh) 2014-03-28 2017-07-01 World Bottling Cap Llc 具有開瓶器組件的冠形瓶蓋
US20170129643A9 (en) 2014-03-28 2017-05-11 World Bottling Cap Llc Bottle crown with opener assembly
CN104386347B (zh) * 2014-08-13 2018-04-13 世界瓶盖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开瓶器组件的皇冠盖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64515A (en) * 1926-11-06 1928-04-03 Orin Gilstrap Opening device for cans
US3251498A (en) * 1963-12-05 1966-05-17 Armstrong Cork Co Self-opening bottle cap
US3260395A (en) * 1964-06-05 1966-07-12 Anheuser Busch Bottle cap
FR1445743A (fr) * 1964-11-18 1966-07-15 Crown Cork & Seal Co Capsule déchirable perfectionnée
US3310192A (en) * 1964-11-19 1967-03-21 Micaldon Corp Closure cap
US3462036A (en) * 1966-10-17 1969-08-19 Reynolds Metals Co Easy open means for bottles and the like
USRE28862E (en) * 1966-10-17 1976-06-15 Owens-Illinois, Inc. Easy open means for bottles and the like
US3441163A (en) * 1967-11-14 1969-04-29 Aluminum Co Of America Container closure having attached pull tab
US3598272A (en) * 1968-07-24 1971-08-10 Jose A Bustamante Self-opening bottle caps
US4197956A (en) * 1978-03-03 1980-04-15 Japan Crown Cork Co., Ltd. Easily openable container closure having a shell and a sealing member
CN2218708Y (zh) * 1995-03-22 1996-01-31 王艺胜 一种易开拉启瓶盖
CN2365149Y (zh) * 1999-03-04 2000-02-23 刘朝露 杠杆式易拉瓶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O6220976A2 (es) 2010-11-19
CN2716160Y (zh) 2005-08-10
CA2474715A1 (en) 2003-08-07
WO2003064274A1 (fr) 2003-08-07
US20050115916A1 (en) 2005-06-02
MXPA04007288A (es) 2004-10-29
EP1475312A1 (de) 2004-11-10
JP2005047621A (ja) 2005-02-24
EA200400959A1 (ru) 2005-06-30
EP1475312A4 (de) 2009-08-05
BR0215565A (pt) 2004-12-21
EA006366B1 (ru) 200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7013B1 (ko) 개봉표시밀봉체_
RU94215U1 (ru) Легкооткрываемая крышка рычажного типа для бутылки
US6868978B2 (en) Closing cap for infusion and transfusion bottles
KR100942867B1 (ko)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US4506797A (en) Wine bottle cover
EP0414983B1 (en) Easy opening crown cap
US6116442A (en) Tamper indicating closure
US3276613A (en) Crown cap
KR200371280Y1 (ko) 마개
JP4554785B2 (ja) 分別回収容易なヒンジキャップ
US3527378A (en) Easy-opening closure
JP3577122B2 (ja) 除去容易なキャップ
JP4076258B2 (ja) 分別廃棄性に優れた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US4491236A (en) Can end having integral opening means
JP4834229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H0738164Y2 (ja) 密閉キャップ
JP4707793B2 (ja) 分別廃棄可能なキャップ
RU22936U1 (ru) Кронен-пробка (варианты)
KR20010051726A (ko) 합성수지제 캡
JP2000255610A (ja) プルリング付きキャップ
JP4560298B2 (ja) タンパーエビデント性を有する上蓋を備えたヒンジキャップ
JPH1159791A (ja) 閉止装置および合成樹脂製キャップ
RU53265U1 (ru) Колпачок для укупорки горловины с кольцом для открывания
RU2117612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колпачок для укупорки сосудов с лекарственными средствами
KR101059533B1 (ko)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