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867B1 -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 Google Patents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867B1
KR100942867B1 KR1020080099567A KR20080099567A KR100942867B1 KR 100942867 B1 KR100942867 B1 KR 100942867B1 KR 1020080099567 A KR1020080099567 A KR 1020080099567A KR 20080099567 A KR20080099567 A KR 20080099567A KR 100942867 B1 KR100942867 B1 KR 100942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re
breaking
tab
protrusion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8813A (ko
Inventor
나종갑
Original Assignee
나종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8005512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90038799A/ko
Application filed by 나종갑 filed Critical 나종갑
Publication of KR20090038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2Unusual opening 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68Ribs or projections in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7Ribs or projections in container end panel located within tear-out/push-in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68Ribs or projections in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71Ribs or projections in container end panel located externally of tear-out/push-in panel or preformed opening

Abstract

본 발명은 스코어(S)가 새겨진 개봉부(23)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21);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탭(30); 및 상기 회전탭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스코어(S)가 형성된 부분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회전탭이 회전할 때 상기 스코어(S)의 시작점(Po)에서 파단이 시작되도록 하는 파단 개시 수단;을 포함하는 캔 뚜껑에 관한 것이다.
캔용기, 캔뚜껑

Description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can covers and can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 동작에 의해 캔의 유출구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널리 사용되는 캔 용기의 뚜껑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캔 용기는 원통형의 몸체(1)와, 몸체 상단부에 밀봉되도록 결합되는 뚜껑(2)으로 구성된다.
상기 뚜껑(2)에는 캔의 유출구를 용이하게 개봉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는데, 구체적으로 유출구를 따라 대략 원형으로 절단선이 미리 새겨진 스코어(score)(3)가 형성되고, 상기 스코어(3)가 형성된 부분을 가압하기 위한 압착탭(4)이 구비된다. 상기 압착탭(4)은 예를 들어 그 중심부가 리벳팅됨으로써 뚜껑(2)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종래의 캔 뚜껑에 있어서, 압착탭(4)의 끝단을 들 어올리게 되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압착탭(4)의 타단부가 개봉부를 가압하면서 스코어(3)의 파단이 시작되게 되고, 이어서 압착탭(4)의 끝단을 더욱 들어올림에 따라 스코어(3)를 따라 파단이 전파되면서 유출구가 개봉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캔 뚜껑에서는, 한 손으로 음료캔을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압착탭(4)을 들어올려야만 한다.
또한, 상기 압착탭(4)이 뚜껑(2) 상면에 거의 밀착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손톱이나 기타 도구를 사용하여 압착탭(4)의 끝단을 밀어 올려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나아가, 유출구를 개봉하기 위해서 압착탭(4)을 과도하게 들어올리거나 타단을 손가락으로 눌러주는 과정에서 종종 부상이 초래되기도 한다. 그리고, 압착탭(4)에 의해 유출구가 개봉되면 다시 압착탭(4)을 원래 위치로 되돌려 놓기 위해 반대쪽으로 젖히는 등 캔 개봉을 위해 여러 단계의 과정이 요구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압착탭으로 가압하고 들어올리는 종래의 소위 푸시-앤-업(push-and-up) 방식이 아니라, 탭을 단순하게 회전시키는 회전(rotation) 방식에 의해 캔을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캔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캔 뚜껑을 채용한 캔 용기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은, 스코어(S)가 새겨진 개봉부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탭; 및 상기 회전탭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스코어(S)가 형성된 부분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회전탭이 회전할 때 상기 스코어(S)의 시작점(Po)에서 파단이 시작되도록 하는 파단 개시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단 개시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스코어(S)가 형성된 부분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탭과 결합되는 파단 돌기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파단 돌기가 결합되는 회전탭의 주위에는 파열 슬롯이 더 형성되고, 상기 회전탭이 회전할 때 상기 파단 돌기는 상기 개봉부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탭이 회전되면 상기 파단 돌기가 꺾일 수 있도록 회전탭의 하면에는 절곡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코어(S)는 상기 파단 돌기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오목바닥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바닥부의 경계는 상기 파단 돌기를 둘러싸고 있는 스코어에 인접하여 감싸듯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탭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굴곡부가 형성된 구동단부와, 상기 굴곡부 반대쪽에 푸싱돌출부가 형성된 종동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코어(S)는, 상기 개봉부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경계에 형성되는 메인 스코어(Sm); 및 상기 메인 스코어(Sm)의 반대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보조 스코어(Sa);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코어(S)의 파단이 시작되어 진행되는 동안, 상기 파단 돌기를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 스코어(Ss)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분리 스코어(Ss)는 상기 보조 스코어(Sa)와 나란하게 연장된 채로 일단부가 상기 메인 스코어(Sm)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파단 돌기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 돌출부가 더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원통형 으로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에 따른 캔 뚜껑;을 포함하는 캔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캔 뚜껑 및 캔 용기에 따르면, 회전탭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유출구를 개봉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푸시-앤-업 방식에 비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나아가, 과도한 힘을 사용하여 억지로 탭을 가압하지 않아도 되므로 캔 개봉 과정에서 종종 발생하던 부상이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의 뚜껑 부위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캔 용기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결합되어 개봉 수단에 의해 유출구가 개봉됨으로써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캔 뚜껑(20)을 포함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상기 뚜껑(20)은 알루미늄이나, 스틸 또는 그 합금과 같은 금속 소재로 제조되며, 몸체(10)의 상단부와 뚜껑(20)의 외주부를 기계적으로 절곡함으로써 상호 밀봉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조 및 결합 방식은 이미 당업계에서 알려진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 캔 뚜껑과 캔 용기를 구분하는 것은 캔 뚜껑이 독립적인 거래의 대상으로서 유통되기 때문이며, 별도로 주문 제작되어 음료 공급 회사에서 몸체에 부착되는 실시 행위를 권리범위 내에 포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20)은 베이스 플레이트(2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회전탭(30)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탭(30)이 생략된 상태의 캔 뚜껑에 대한 도면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의 상면에는 유출구를 개봉하기 위한 스코어(S)가 새겨짐으로써 개봉부(23)가 형성된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스코어(S)는 개봉부(23)가 개봉되기 용이하도록 미리 새겨 놓은 절단선으로 서, 원주의 일부를 제외하고 대략 원형이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코어(S)의 곡률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회전탭(30)을 회전시킬 때 파단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코어(S)는 두 줄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 상대적으로 깊게 형성된 외부 스코어는 실제 절개되는 부분인 반면, 상대적으로 얕게 형성된 내부 스코어는 절개가 용이하도록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분이 용이하도록 스코어를 한 줄로 나타내었다.
상기 스코어(S)가 형성되지 않은 베이스 플레이트(21)의 중심부에는 회전축 돌기(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 돌기(24)에는 회전탭(30)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A'선 및 B-B'선에 따른 단면을 각각 도시한 도 5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회전축 돌기(24)는 뚜껑(20)의 베이스 플레이트(21)에 일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회전탭(30)에 형성된 회전통공(도 7의 31 참조)으로 삽입된 후 단부가 리벳팅됨으로써 걸림턱(도 5의 24a)에 의해 회전탭(3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탭(30)이 위치하는 부분의 베이스 플레이트(21)에는 손가락을 삽입하여 회전하기 용이하도록 오목바닥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2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서 개봉부(23)를 비롯하여 필요한 영역에 보강리브(26)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오목바닥부(25)의 경계는 파단 돌기(27)를 둘러싸고 있는 스코어(S)에 인접하여 감싸는 듯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회전탭(30)을 회전시킬 때 파단 돌기(27) 주변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촉진함으로써 스코어의 파단이 더욱 용이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 돌기(24)와 회전탭(30) 사이의 결합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21 내지 도 26에는 그러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시된 예들을 포함하여 이들을 변형한 다양한 구성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도 7에는 상기 회전탭(3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8 내지 도 12는 도 7에서 각각 a-a'선, b-b'선, c-c'선, d-d'선 및 e-e'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10은 파단돌기(27)가 결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회전탭(30)에는 상기 회전축 돌기(24)가 삽입되는 회전통공(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통공(31)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손가락으로 걸어서 회전시키는 구동단부(30a)와, 그 반대쪽의 종동단부(30b)로 나뉘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단부(30a)의 길이가 종동단부(30b)보다 길어서 회전시 지렛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회전탭(30)은 바람직하게 강성을 가지도록 스틸, 알루미늄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는 금속 소재로 제조된다. 상기 회전탭(30)의 구동단부(30a)에는 손 가락이 걸리기에 용이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굴곡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굴곡부(32) 반대쪽의 종동단부(30b)에도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돌출된 푸싱돌출부(3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싱돌출부(33)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탭(30)의 단부를 넓게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검지를 상기 굴곡부(32)에 걸고, 엄지로 푸싱돌출부(33)를 누르면서 도 2의 화살표와 같이 회전탭(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회전탭(30)은 양단에서 회전력을 동시에 인가받게 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도 7에서 참조번호 34는 강성 보강을 위한 보강홈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탭은 회전하면서 캔을 개봉하는 특성상 기존과는 달리 여러 가지 디자인으로 설계될 수 있는데, 도 13 및 도 14는 그러한 예들을 나타낸다. 이러한 회전탭들은 손가락을 걸거나 밀어서 회전시키기에 용이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제작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 뚜껑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도 15를 함께 참조하면서 캔 뚜껑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탭(30)과 베이스 플레이트(21)의 스코어(S)가 형성된 인접부를 상호 연결시켜 회전탭(30)이 회전할 때 상기 스코어(S)의 파단이 시작되도록 하는 파단 개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파단 개시 수단'은 회전탭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스코어 형성 인접부를 연결하는 어떠한 부재도 포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연결 부재는 그 방식이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므로 임의의 특정 구조로 한정된다면 특허의 권리범위를 부당하게 축소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렇게 다양한 구조들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에서 '파단 개시 수단'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더라도 당업자라면 회전탭이 회전할 때 스코어가 파단되는 구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해석에 있어서 불명료한 부분은 없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단 개시 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21) 상면에 형성되어, 회전탭(30)에 형성된 결합통공(35)에 결합되는 파단 돌기(27)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탭(30)에 있어서 회전통공(도 7의 31)의 일측에는 결합통공(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통공(35)에는 파단 돌기(27)가 결합된다(도 6 및 도 10 참조).
여기서, 상기 파단 돌기(27)와 회전탭(30)의 결합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앞서 회전축 돌기의 결합 방식을 예시한 도 21 내지 도 26은 파단 돌기와 회전탭 사이의 결합 구조에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파단 돌기(27)가 결합되는 부분의 주위에는 파열 슬롯(36)이 형성된다. 이 파열 슬롯(36)은 캔을 개봉하기 위해 회전탭(30)을 회전시킬 때 파단 돌기(27)가 쉽게 꺾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파열 슬롯(36)은 회전탭(30)이 회전하는 방향쪽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회전탭이 금속으로 제작될 경우, 상기 파열 슬롯(36) 형성을 위해 절개되는 부분을 그 아래로 굴곡시킴으로써 파열 슬롯(36) 주변부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단 돌기(27)가 더욱 쉽게 꺾일 수 있도록 회전탭(30)이 꺾이는 부분의 하면에는 절곡홈(도 7의 37)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절곡홈(37)에 인접하는 회전탭(30)에는 보강돌기(도 7 및 도 11의 38 참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단 돌기(27)는 상기 스코어(S)의 파단이 시작되는 부분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회전탭(30)의 결합통공(35)으로 삽입되어 단부가 리벳팅됨으로써 회전탭(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파단 돌기(27)는 회전탭(30)이 회전하는 힘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꺾이면서 상기 스코어(S)의 파단이 개시되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파단 돌기(27)는, 파단과 동시에 개봉부(23)의 상면을 하방으로 압박하여 스코어(S)의 파단이 계속 전파되도록 함과 동시에 유출구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코어(S)는 회전탭(30)의 회전력에 의해 파단이 용이하게 개시되며, 또한 파단이 개시된 후 전파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상과 위치가 설계될 수 있는데, 도 15는 그러한 바람직한 실시예 중의 하나를 보여주는 것이다.
상기 스코어(S)는 파단을 촉진하기 위해 시작점(Po)이 파단 돌기(27) 외측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시작점(Po)에서부터 파단 돌기(27)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양측으로 연장되는 메인 스코어(Sm)와 보조 스코어(Sa)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스코어(Sm)는 개봉부(23)와 베이스 플레이트(21)의 경계에 형성되며, 메인 스코어(Sm)가 파단됨으로써 개봉부(23)가 개봉되게 된다.
상기 보조 스코어(Sa)는 상기 메인 스코어(Sm)의 반대쪽으로 연장되어 개봉부(23)의 개봉을 보조하는 기능을 하며, 파단이 상대적으로 더디게 진행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 스코어(Sa)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메인 스코어(Sm) 보다 그 깊이가 얕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코어(S)의 파단이 시작되어 진행되는 동안, 상기 파단 돌기(27)를 베이스 플레이트(21)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 스코어(Ss)가 더 형성된다.
상기 분리 스코어(Ss)는 상기 파단 돌기(27)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1))에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분리 스코어(Ss)는 상기 파단 돌기(27)를 사이에 두고 보조 스코어(Sa)와 나란하게 연장된 채로 일단부가 메인 스코어(Sm)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코어(S)의 파인 정도(깊이)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보조 스코어(Sa)의 적어도 일부는 메인 스코어(Sm)에 비해 스코어가 더 얕은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탭(30)을 회전시킬 경우 깊이가 깊은 스코어가 얕은 스코어보다 먼저 파단될 수 있다. 스코어의 파인 정도(깊이)는 파단이 원하는 순서대로 일어나도록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비록 스코어의 형상을 구체적인 도면으로 예시하고 설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스코어가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스코어는 회전탭(30)을 회전시켜 파단 돌기(27)에 의해 파단이 될 수 있도록 파단 돌기에 인접하여 형성되면 족하고, 분리 스코어는 개봉부가 절곡될 때 파단 돌기(27)를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분리시키면서 개봉부(23)를 절곡할 수 있는 형상이면 족하다. 따라서, 상기 스코어는 위와 같은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코어(S)의 파단이 쉽게 일어나도록 보조하는 절곡선이 베이스 플레이트(21)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스코어(Sm)의 안쪽에는 메인 스코어(Sm)의 파단을 촉진하는 절곡선(28a)이 형성되어 있으며, 파단 돌기(27)를 둘러싸는 스코어(S)와 오목바닥부(25)의 경계 사이에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21) 상에도 스코어의 파단 개시를 촉진하는 절곡선(28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절곡선(28)은 스코어와 유사하지만 파단되지 않도록 깊이가 얕게 패인 절단선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 상에는 회전탭(30)을 회전시킬 때 파단 돌기(27)와 접촉하여 개봉부(23)를 아래로 더욱 절곡되도록 하는 피가압 돌출부(29)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피가압 돌출부(29)는 반구 또는 좁은 원추 모양으로 형성되어 가압력이 집중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피가압 돌출부(29)는 두 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으며 연속적인 모양으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5에서 미설명된 참조번호 41은 보강부를 가리킨다. 이러한 보강부는 상부로 융기될 수도 있고, 하부로 함몰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에 있어서 유출구를 개봉하는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캔 용기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캔 용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사용하여 회전탭(30)을 회전시킴으로써 간단하게 개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손가락을 상기 회전탭(30)의 구동단부(30a)의 굴곡부(32)에 걸어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회전탭(30)은 상기 회전축 돌기(24)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는 검지를 상기 굴곡부(32)에 걸고, 엄지로 푸싱돌출부(33)를 누르면서 회전탭(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렇게 회전탭(30)을 회전시키면 종동단부(30b)에 있는 파단 돌기(27)는 도 15에 도시된 점선 화살표와 같이 회전하면서 스코어(S)의 파단이 개시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탭(30)의 회전이 시작된 직후에, 회전탭(30)에 형성된 파열 슬롯(36)으로 인해 파단 돌기(27)가 결합되어 있는 부분이 아래쪽으로 굴곡되면서 파단 돌기(27)가 회전 방향 쪽으로 꺾이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파열 슬롯(36)은 파단 돌기(27)가 꺾이는데 필요한 초기 힘을 상당히 줄여주게 되며, 일단 파단 돌기(27)가 꺾인 후에는 회전탭(30)의 구동력이 파단 돌기(27)에 그대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회전탭(30)의 하면에 절곡홈(3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파단 돌기(27) 결합부는 더욱 용이하게 하방으로 꺾일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해, 파단 돌기(27)가 꺾이면서 파단 돌기(27)를 둘러싸고 있던 스코어(S)의 시작점(Po)에서 파단이 시작된다. 즉, 도 16의 (a), (b)에 도시된 바와 회전탭(30)의 절곡홈(37) 부분이 꺾이면서 상기 스코어(S)의 시작점(Po)에서 파단이 개시된다.
이러한 스코어의 파단은 메인 스코어(Sm)와 보조 스코어(Sa)를 따라서 지점(P2)과 지점(P3)까지 전파된다.
위와 같이 회전탭(30)의 회전에 의해 메인 스코어(Sm)와 분리 스코어(Ss)가 서로 만나는 지점(P3)까지 파단이 진행되면, 이어서 분리 스코어(Ss)의 파단이 시작되면서 지점(P3)에서 지점(P4)까지 파단이 일어난다.
상기 분리 스코어(Ss)가 파단되면, 도 1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단돌기(27)는 완전히 꺾이면서 개봉부(23)의 상면과 접촉하여 이것을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개봉부(23)는 서서히 아래로 가압되어 절곡되기 시작한다.
한편, 보조 스코어(Sa)의 지점(P2)에서 지점(P8)에 이르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스코어의 형성 깊이를 얕게 하여 파단 진행시 파단돌기(27)를 캔 용기 내부방향 으로 유도하면서 파단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회전탭(30)을 더욱 회전시키면 분리 스코어(Ss)의 지점(P4)에서 (P5)까지 그리고 메인 스코어(Sm)의 지점(P3)에서 (P6)까지 동시에 스코어가 파단된다.
이에 따라 파단 돌기(27)는 개봉부(23)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도 15에 도시된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메인 스코어(Sm)의 파단은 원호부를 따라서 지점(P7)까지 전체적으로 전파되게 된다.
메인 스코어(Sm)의 지점(P6)에서 지점(P7)까지의 파단이 일어나는 동안, 상기 보조 스코어(Sa)의 얕은 부분인 지점(P2)에서 지점(P8)의 스코어도 파단되면서 파단돌기(27)가 캔 용기 내부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와 같이 보조 스코어(Sa)와 분리 스코어(Ss)가 파단되면 그들 사이에 파단 스트립(42)이 형성되고, 이 파단 스트립(42)에 의해 파단 돌기(27)는 베이스 플레이트(21)와 여전히 연결된 상태가 된다.
최종적으로, 메인 스코어(Sm)가 지점(P7)까지 완전히 파단되면, 회전탭(30)이 회전하면서 파단 돌기(27)가 개봉부(23)의 상면을 가압하므로 개봉부(23)는 최대로 개봉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유출구가 충분히 개봉되므로 사용자는 캔 내부에 담긴 내용물을 음용 또는 섭취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봉부(23)의 상면에는 파단 돌기(27)에 의해 가압되는 피 가압 돌출부(29)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탭(30)의 회전에 따라 개봉부(23)는 더욱 효과적으로 절곡될 수 있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탭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곡홈(37')이 결합통공(35)보다 푸싱돌출부(33)에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참조번호 38'는 보강돌기이다.
상기와 같이 절곡홈(37')이 형성된 경우에는 도 18의 (a), (b), (c)에 도시된 순서대로 파단 돌기(27)의 파단이 진행된다. 이 경우 파단 돌기(27)는 보다 깊숙히 절곡될 수 있고, 절곡된 부분은 푸싱돌출부(33)의 하단 절곡부의 선단(33')과 접촉하여 가압력이 추가로 인가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싱돌출부(33)의 하단 절곡부(33a)가 내측 상부로 연장되어 회전탭의 하면과 인접하도록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절곡 동작이 일어날 때 푸싱돌출부(33)에 인접한 회전탭 부분이 상부로 확실히 절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돌기(도 17의 38')가 회전탭의 하면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푸싱돌출부(33)의 하단 절곡부(33a)와 맞닿아 절곡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탭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앞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실시예의 회전탭에 있어서 절곡이 일어나는 지점인 절곡홈(37) 부분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진 절곡부재(39)가 마련되며, 상기 절곡부재(39)들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진 개구부(39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탭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개구부(39a)로 인해 절곡부재(39)가 쉽게 절곡될 수 있다.
나아가, 회전탭의 절곡을 더욱 촉진하기 위해서 푸싱돌출부(33)와 인접한 부위에도 개구부(39b)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탭의 구성을 보여준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탭은 절곡이 일어나는 절곡홈(37) 부분에는 절곡부재(39)가 마련되며, 절곡부재(39)를 중심으로 푸싱돌출부(33)와 인접한 부분(40)은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탭을 회전시킬 때, 상기 경사진 부분(40)으로 인해 절곡부재(39)가 쉽게 절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진 부분(40)을 보강하기 위해서 절개부(43)를 형성하고, 절개된 부분은 하부로 절곡한다.
도 3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탭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실시예의 회전탭에 있어서는, 결합통공(35)의 주위에 융기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융기부(44)는 회전탭의 나머지 부분보다 돌출된 영역으로서 파단돌기(27)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31의 h-h'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 32를 참조하면, 파단돌기(27)가 길게 연장되어 있고, 회전탭은 융기부(44)의 결합통공(35)에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파단돌기(27)의 길이가 최대한 길어질 수 있으므로 적은 힘에 의해서도 스코어의 파단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다.
도 33 내지 도 35는 융기부(44)와 파단돌기(27)의 다양한 결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탭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융기부(44)의 높이는 적절히 설정될 수 있으며, 파단돌기(27)의 상단 또는 그로부터 하부로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탭의 융기부(44)가 파단돌기(27)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되어 결합된 경우라 하더라도, 회전탭을 회전시키면 단부의 걸림턱에 의해 파단돌기(27)가 꺾이면서 스코어의 파단이 일어나게 된다.
도 3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탭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실시예의 회전탭 역시 결합통공(35)의 주위에 융기부(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융기부(45)는 회전탭의 일측 테두리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36의 i-i'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 37를 참조하면, 파단돌기(27)가 길게 연장되어 있고, 회전탭은 융기부(45)의 결합통공(35)에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8 내지 도 40은 융기부(45)와 파단돌기(27)의 다양한 결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회전탭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융기부(45)의 높이는 적절히 설정될 수 있으며, 파단돌기(27)의 상단 또는 그로부터 하부로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융기부(44)(45)에는 파열슬롯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그러한 예를 도 41 내지 도 44에 도시하였다.
도 41 및 도 42는 도 31에 도시된 실시예의 회전탭에 있어서, 융기부(44)에 파열슬롯(46)이 형성된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3 및 도 44는 도 36에 도시된 실시예의 회전탭에 있어서, 융기부(45)에 파열슬롯(47)이 형성된 구성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파열슬롯(46)(47)이 형성된 경우에는 파단돌기와 스코어의 파단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도 41 내지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탭에는 융기부(44)(45)가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길이가 짧은 파단돌기(27)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파단돌기(27)와 결합되는 회전탭의 결합통공(35) 부분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도 45 및 도 4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탭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46은 도 45의 n-n'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파단돌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탭에는, 회전탭의 기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부(51)와, 상기 연장부(51)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연결부(52)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52)에는 결합통공(35)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전술한 실시예 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파단돌기(27)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51)에는 복수의 슬릿(slit)(53)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개봉부를 개봉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탭을 회전시킬 경우, 연장부(51)가 굴곡되면서 파단돌기(27)가 꺾이게 된다. 이때, 연장부(51)에는 복수개의 슬릿(53)이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하므로 적은 힘으로 쉽게 굴곡이 될 수 있다. 반면에,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연결부(52)의 테두리를 하면으로 절곡하여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개봉시에 휘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은 스코어가 형성된 모양에 따라서 파단 메카니즘이 다양하게 일어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코어의 구성예가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탭(30)을 회전시키면 전술한 것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파단 돌기(27)가 꺾이면서 스코어(S)의 시작점(Po)에서 파단이 시작되고, 이어서 스코어의 파단은 메인 스코어(Sm)와 보조 스코어(Sa)를 따라서 지점(P2)와 지점(P3)까지 전파된다.
그런 다음, 분리 스코어(Ss)의 파단이 시작되면서, 메인 스코어(Sm)와 분리 스코어(Ss)가 서로 만나는 지점(P4)에서 지점(P5)까지 파단이 진행된다.
이어서, 회전탭(30)을 더욱 회전시키면, 메인 스코어(Sm)의 지점(P3)에서 지점(P6)까지 파단이 전파되는 동시에, 메인 스코어(Sm)의 지점(P2)에서 지점(P8)까지 파단이 일어난다.
그 이후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메인 스코어(Sm)의 지점(P6)에서 지점(P9)까지의 파단과, 상기 보조 스코어(Sa)의 얕은 부분인 지점(P5)에서 지점(P7)까지의 파단이 일어나며, 이때 파단돌기(27)는 파단스트립(42)에 의해서 개봉부(23)와 연결된 상태에서 개봉부(23)를 캔 용기 내부로 밀어넣으면서 파단이 일어난다.
본 실시예에서도 스코어의 파단이 진행되는 동안 파단 돌기(27)가 개봉부(23)의 상면을 가압하는 동작은 동일하게 수행된다.
도 2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코어의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탭(30)을 회전시키면 전술한 것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파단 돌기(27)가 꺾이면서 스코어(S)의 시작점(Po)에서 파단이 시작되고, 이어서 스코어의 파단은 메인 스코어(Sm)와 보조 스코어(Sa)를 따라서 지점(P2)와 지점(P5)까지 전파된다.
그런 다음, 분리 스코어(Ss)의 파단이 시작되면서, 메인 스코어(Sm)와 분리 스코어(Ss)가 서로 만나는 지점(P3)에서 지점(P6)까지 파단이 진행되는 동시에, 지점(P4)와 지점(P7)까지 파단이 전파된다.
이어서, 회전탭(30)을 더욱 회전시키면, 분리 스코어(Ss)의 지점(P8)까지 파 단이 일어나면서 메인 스코어(Sm)의 지점(P9)까지 파단이 마무리된다. 이때, 보조 스코어(Sa)의 얕은 부분인 지점(P6)에서 지점(P8)까지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파단돌기(27)가 파단 스트립(42)에 의해서 개봉부(23)와 연결된 상태에서 개봉부(23)를 캔 용기 내부로 밀어 넣으면서 파단이 일어난다.
본 실시예에서도 스코어의 파단이 진행되는 동안 파단 돌기(27)가 개봉부(23)의 상면을 가압하는 동작은 동일하게 수행된다.
비록 본 명세서에서는 각각의 실시예를 독립적으로 도시된 도면을 참조로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들의 구성이 모두 독립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이 건 출원당시의 기술수준에서 각 실시예들에 포함된 구성들을 다양하게 조합하거나 채택하여 본 발명을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캔 용기에 있어서 뚜껑부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의 뚜껑부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회전탭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 뚜껑에 구비된 회전탭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e-e'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 뚜껑에 구비되는 회전탭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 뚜껑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동작에 있어서 파단 돌기가 꺾여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 뚜껑의 회전탭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동작에 있어서 파단 돌기가 꺾여지는 상태를 f-f'선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캔 뚜껑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캔 뚜껑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6은 본 발명에 있어서 회전축돌기와 회전탭의 다양한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탭의 구성과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탭의 구성을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탭의 구성을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g-g'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탭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2 내지 도 35는 파단돌기와 회전탭의 다양한 결합예를 도 31의 h-h'선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탭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7 내지 도 40은 파단돌기와 회전탭의 다양한 결합예를 도 36의 i-i'선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탭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2는 도 41의 j-j'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탭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43의 k-k'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탭의 구성을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46은 도 45의 n-n'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결합돌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2)

  1. 삭제
  2. 스코어(S)가 새겨진 개봉부(23)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21);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탭(30);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의 스코어(S)가 형성된 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탭(30)과 결합되는 파단 돌기(27);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탭이 회전할 때 상기 스코어(S)의 시작점(Po)에서 파단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 돌기(27)가 결합되는 회전탭(30)의 주위에는 파열 슬롯(3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탭이 회전할 때 상기 파단 돌기는 상기 개봉부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S)는 상기 파단 돌기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에는 오목바닥부(25)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바닥부의 경계는 상기 파단 돌기(27)를 둘러싸고 있는 스코어에 인접하여 감싸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탭(3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와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굴곡부(32)가 형성된 구동단부(30a)와, 상기 굴곡부(32) 반대쪽에 푸싱돌출부(33)가 형성된 종동단부(3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S)는,
    상기 개봉부(23)와 베이스 플레이트(21)의 경계에 형성되는 메인 스코어(Sm); 및
    상기 메인 스코어(Sm)의 반대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보조 스코어(S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S)의 파단이 시작되어 진행되는 동안, 상기 파단 돌기(27)를 베이스 플레이트(21)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 스코어(Ss)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캔 뚜껑.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스코어(Ss)는 상기 보조 스코어(Sa)와 나란하게 연장된 채로 일단부가 상기 메인 스코어(Sm)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에는 상기 파단 돌기(27)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 돌출부(29)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12. 내부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 몸체(10); 및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을 가지는 캔 뚜껑;을 포함하는 캔 용기.
KR1020080099567A 2007-10-16 2008-10-10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KR100942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04040 2007-10-16
KR1020070104040 2007-10-16
KR1020080055121A KR20090038799A (ko) 2007-10-16 2008-06-12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KR1020080055121 2008-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813A KR20090038813A (ko) 2009-04-21
KR100942867B1 true KR100942867B1 (ko) 2010-02-17

Family

ID=40762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567A KR100942867B1 (ko) 2007-10-16 2008-10-10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219187A1 (ko)
JP (1) JP5414074B2 (ko)
KR (1) KR100942867B1 (ko)
CN (1) CN101970303B (ko)
DE (1) DE112008002777T5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003B1 (ko) 2009-08-31 2011-11-09 나종갑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KR101141745B1 (ko) 2010-01-08 2012-05-03 나종갑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8221B2 (en) 2010-04-28 2014-03-25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Beverage container lid with mouth opening and separate push in vent
KR101318770B1 (ko) * 2011-09-06 2013-10-16 전대부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 및 이를 부착한 통조림통
USD787952S1 (en) * 2012-08-29 2017-05-30 Ball Corporation Contoured neck for a beverage container
US10246229B2 (en) 2013-03-14 2019-04-02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Vented beverage can and can end
USD731887S1 (en) 2013-03-14 2015-06-16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Vented beverage can end
US9403628B2 (en) 2013-03-14 2016-08-02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Vented beverage can and can end
BR112021002254A2 (pt) * 2018-08-06 2021-05-04 Snstech, Llc sistema de fechamento por descolagem
CN110641843B (zh) * 2019-08-21 2020-12-18 阜阳市艺凯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易拉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9362A (ja) 1996-08-19 1998-03-03 Seikichi Kawabe 開缶用スコア部付き缶蓋
KR20060059332A (ko) * 2004-11-27 2006-06-01 장종인 밀거나돌려서따는캔뚜껑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3007A (en) * 1967-03-22 1968-05-14 Joseph P. Salamone Can openers
US3843011A (en) * 1972-03-02 1974-10-22 W Perry Container with attached closure
US3731836A (en) * 1972-03-17 1973-05-08 Fraze Ermal C Container wall with connector for retaining the tab and tear portion on the container wall
US3908856A (en) * 1973-04-26 1975-09-30 Walter Merton Perry Container opening segment with swivel attachment
US3970212A (en) * 1974-06-10 1976-07-20 Ermal C. Fraze Easy opening ecology end with retained tear strips
US4125203A (en) * 1977-05-23 1978-11-14 Janos Sovari Twist can top
US4207991A (en) * 1979-03-19 1980-06-17 Arnaldo Amabili Can top opening means
JPS62152919U (ko) * 1986-03-22 1987-09-28
US4865215A (en) * 1987-06-02 1989-09-12 Wells Robert A Reclosable self-opening can end
US5190149A (en) * 1992-03-27 1993-03-02 Krause Arthur A Side-pivoting frangible opening for container end wall
US5456378A (en) * 1993-07-01 1995-10-10 Demars; Robert A. Container opening apparatus
JP2957930B2 (ja) * 1994-09-15 1999-10-06 レイノルズ メタルズ カンパニー 易開性カン蓋
IT1280461B1 (it) * 1995-09-11 1998-01-20 Cesare Mongarli Contenitore, particolarmente per bevande.
US6286703B1 (en) * 1998-07-02 2001-09-11 Laurie Munro Resealable drink can
JP2000185736A (ja) * 1998-10-14 2000-07-04 Kazunori Mototsu プルタブ付き缶容器
JP2000142692A (ja) * 1998-11-09 2000-05-23 Masaki Kanda 回転式プルトップ
CN2454295Y (zh) * 2000-11-02 2001-10-17 翟宏国 旋撬拉开启式密封盖
JP2004203412A (ja) * 2002-12-25 2004-07-22 Yukio Kamei ステイオンタブ式のイージーオープン缶蓋
DE102007028048A1 (de) * 2006-06-17 2008-06-19 Horst Heigl Behälterverschlussvorricht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9362A (ja) 1996-08-19 1998-03-03 Seikichi Kawabe 開缶用スコア部付き缶蓋
KR20060059332A (ko) * 2004-11-27 2006-06-01 장종인 밀거나돌려서따는캔뚜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003B1 (ko) 2009-08-31 2011-11-09 나종갑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KR101141745B1 (ko) 2010-01-08 2012-05-03 나종갑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813A (ko) 2009-04-21
CN101970303A (zh) 2011-02-09
DE112008002777T5 (de) 2010-09-02
US20100219187A1 (en) 2010-09-02
JP2011500467A (ja) 2011-01-06
CN101970303B (zh) 2012-10-24
JP5414074B2 (ja)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867B1 (ko)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KR101081003B1 (ko)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ES2749348T3 (es) Cierre del extremo de un recipiente metálico ventilado
EP3248897B1 (en) Beverage can end with vent port
TWI374838B (ko)
BRPI0316736B1 (pt) Marcação modificada para capacidade de abertura suave
KR20120042927A (ko) 물질용기용 뚜껑 및 이 뚜껑이 장착된 물질 용기
JP4683999B2 (ja) ステイオンタブ式缶蓋
KR101059533B1 (ko)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JP4776430B2 (ja) 缶蓋
JPH10181743A (ja) 開缶装置
JP6502625B2 (ja) 缶蓋および飲料缶
KR101141745B1 (ko)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JP5090896B2 (ja) 開栓器具
JPH01308744A (ja) タブ不分離型容易開放缶蓋
KR200371280Y1 (ko) 마개
WO2009051409A2 (en) Can covers and cans having the same
JP5658940B2 (ja) 缶蓋
JP4800665B2 (ja) ステイオンタブ式缶蓋
JP3218885U (ja) 飲料缶
JP7452005B2 (ja) 缶蓋及び缶詰
KR20050006656A (ko)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JP6836895B2 (ja) 缶蓋
KR200348612Y1 (ko) 개방이 용이한 따개구조를 가지는 음료용 캔
JPH033938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