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003B1 -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 Google Patents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003B1
KR101081003B1 KR1020090081235A KR20090081235A KR101081003B1 KR 101081003 B1 KR101081003 B1 KR 101081003B1 KR 1020090081235 A KR1020090081235 A KR 1020090081235A KR 20090081235 A KR20090081235 A KR 20090081235A KR 101081003 B1 KR101081003 B1 KR 101081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re
tab
lid
opening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382A (ko
Inventor
나종갑
Original Assignee
나종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종갑 filed Critical 나종갑
Priority to KR1020090081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003B1/ko
Priority to PCT/KR2010/005838 priority patent/WO2011025327A2/ko
Publication of KR20110023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65D17/401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and provided with attached means for reclosing or re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31Reclosable openings
    • B65D2517/004Reclosable openings by means of an additional element
    • B65D2517/0043Reclosable openings by means of an additional element in the form of a plu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코어(S)가 새겨진 개봉부(23)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2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회전축 돌기(2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파열슬롯(36)에 의해 구분된 파단개시절곡부(33)를 구비하는 회전탭(30)을 포함하는 캔 뚜껑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는 상기 스코어(S)의 시작점(Po) 부분에 인접하여 돌출 형성된 파단돌기(27)를 포함하고, 상기 스코어(S)는, 상기 개봉부(23)를 기준으로 상기 시작점(Po)에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형성된 메인 스코어(Sm)와, 상기 메인 스코어(Sm)의 반대쪽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보조 스코어(Sa)를 포함하고, 상기 파단개시절곡부(33)는, 상기 회전탭(30)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 경사부(41)와, 상기 제1 경사부(41)의 끝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며 상기 파단돌기(27)가 결합되는 결합통공(35)이 형성된 수평부(42)와, 상기 수평부(42)의 끝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 경사부(43)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탭(30)은 상기 회전축 돌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호 반대측에 위치하는 구동단부(30a)와 종동단부(30b)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단부(30a)와 종동단부(30b)에는 손가락을 걸기 위한 굴곡부(32a)(32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전탭을 상기 회전축 돌기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 경사부가 절곡되면서 상기 파단돌기가 꺾이고 상기 제2 경사부의 끝단이 상기 개봉부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스코어(S)를 파단하는 캔 뚜껑과 이를 채용한 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캔용기, 캔뚜껑

Description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can covers and can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탭을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캔의 개봉부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널리 사용되는 캔 용기에 있어서 뚜껑 일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캔 용기는 원통형의 몸체(1)와, 몸체 상단부에 밀봉되도록 결합되는 뚜껑(2)으로 구성된다.
상기 뚜껑(2)에는 캔의 개봉부를 용이하게 개봉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는데, 구체적으로 개봉부를 따라 대략 원형으로 절단선이 미리 새겨진 스코어(score)(3)가 형성되고, 상기 스코어(3)가 형성된 부분을 가압하기 위한 압착탭(4)이 구비된다. 상기 압착탭(4)은 예를 들어 그 중심부가 리벳팅됨으로써 뚜껑(2)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종래의 캔 뚜껑에 있어서, 압착탭(4)의 끝단을 들 어올리게 되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압착탭(4)의 타단부가 개봉부를 가압하면서 스코어(3)의 파단이 시작되게 되고, 이어서 압착탭(4)의 끝단을 더욱 들어올림에 따라 스코어(3)를 따라 파단이 전파되면서 캔이 개봉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캔 뚜껑에서는, 한 손으로 음료캔을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압착탭(4)을 들어올리는 동작을 취해야만 한다.
또한, 상기 압착탭(4)이 뚜껑(2) 상면에 거의 밀착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손톱이나 기타 도구를 사용하여 압착탭(4)의 끝단을 밀어 올려야 하는 불편도 뒤따른다.
나아가, 유출구를 개봉하기 위해서 압착탭(4)을 과도하게 들어올리거나 타단을 손가락으로 눌러주는 과정에서 종종 부상이 초래되기도 한다. 그리고, 압착탭(4)에 의해 유출구가 개봉되면 다시 압착탭(4)을 원래 위치로 되돌려 놓기 위해 반대쪽으로 젖히는 등 캔 개봉을 위해 여러 단계의 과정이 요구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압착탭으로 가압하고 들어올리는 종래의 소위 푸시-앤-업(push-and-up) 방식이 아니라, 탭을 단순하게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캔을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캔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캔 뚜껑을 채용한 캔 용기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은, 스코어가 새겨진 개봉부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회전축 돌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파열슬롯에 의해 구분된 파단개시절곡부를 구비하는 회전탭을 포함하는 캔 뚜껑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스코어의 시작점 부분에 인접하여 돌출 형성된 파단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코어는, 상기 개봉부를 기준으로 상기 시작점에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형성된 메인 스코어와, 상기 메인 스코어의 반대쪽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보조 스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파단개시절곡부는, 상기 회전탭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의 끝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며 상기 파단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통공이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끝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된 제2 경사부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탭은 상기 회전축 돌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호 반대측에 위치하는 구동단부와 종동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단부와 종동단부에는 손가락을 걸기 위한 굴곡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전탭을 상기 회전축 돌기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 경사부가 절곡되면서 상기 파단돌기가 꺾이고 상기 제2 경사부의 끝단이 상기 개봉부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스코어를 파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캔 뚜껑;을 포함하는 캔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캔 뚜껑 및 캔 용기에 따르면, 회전탭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유출구를 개봉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푸시-앤-업 방식에 비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나아가, 과도한 힘을 사용하여 억지로 탭을 가압하지 않아도 되므로 캔 개봉 과정에서 종종 발생하던 부상이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 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의 뚜껑 일부에 대한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캔 용기는 음료 등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결합되어 개봉 수단에 의해 유출구가 개봉됨으로써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캔 뚜껑(20)을 포함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캔 용기의 몸체(1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 뚜껑(20)도 알루미늄이나, 스틸 또는 그 합금 등의 금속 소재로 제조되며, 몸체(10)의 상단부와 뚜껑(20)의 외주부를 기계적으로 절곡함으로써 상호 밀봉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조 및 결합 방식은 이미 당업계에서 알려진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20)은 베이스 플레이트(2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회전탭(30)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탭(30)이 생략된 상태의 캔 뚜껑에 대한 도면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의 상면에는 유출구를 개봉하기 위한 스코어(S)가 새겨짐으로써 개봉부(23)가 형성된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스코어(S)는 개봉부(23)가 개봉되기 용이하도록 미리 새겨 놓은 절단선으로서, 원주의 일부를 제외하고 대략 원형이 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코어(S)는 파단돌기(27)에서 시작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이것은 회전탭(30)의 회전에 의해 가장 용이하게 개봉부(23)를 개봉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코어(S)의 곡률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회전탭(30)을 회전시킬 때 파단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코어(S)는 두 줄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 외측에 위치한 스코어는 상대적으로 깊게 형성하여 실제 절개되도록 하는 반면, 내측에 위치한 스코어는 상대적으로 얕게 형성하여 절개가 용이하도록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분이 용이하도록 스코어를 한 줄로 나타내었다.
상기 스코어(S)가 형성되지 않은 베이스 플레이트(21)의 중심부에는 회전축 돌기(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 돌기(24)에는 회전탭(30)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A'선 및 B-B'선에 따른 단면을 각각 도시한 도 5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회전축 돌기(24)는 뚜껑(20)의 베이스 플레이트(21)에 일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회전탭(30)에 형성된 회전통공(도 13의 31 참조)으로 삽입된 후 단부가 리벳팅됨으로써 걸림턱(도 5의 24a)에 의해 회전탭(30)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 돌기(24)와 회전탭(30) 사이의 결합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7 내지 도 12에는 그러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시된 예들을 포함하여 이들을 변형한 다양한 구성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탭(30)이 위치하는 부분의 베이스 플레이트(21)에는 손가락을 삽입하여 회전하기 용이하도록 오목바닥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2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서 개봉부(23)를 비롯하여 필요한 영역에 보강리브(26)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오목바닥부(25)의 경계는 파단돌기(27)를 둘러싸고 있는 스코어(S)에 인접하여 감싸는 듯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회전탭(30)을 회전시킬 때 파단돌기(27) 주변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촉진함으로써 스코어의 파단이 더욱 용이해진다.
도 13에는 상기 회전탭(3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4 내지 도 17은 도 13에서 각각 a-a'선, b-b'선, c-c'선 및 d-d'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16 및 도 1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파단돌기(27)가 결합된 상태로 도시하였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회전탭(30)에는 상기 회전축 돌기(24)가 삽입되는 회전통공(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통공(31)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손가락 으로 걸어서 회전시키는 구동단부(30a)와, 그 반대쪽의 종동단부(30b)로 나뉘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단부(30a)의 길이가 종동단부(30b)보다 길어서 회전시 지렛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회전탭(30)은 바람직하게 강성을 가지도록 스틸, 알루미늄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는 금속 소재로 제조된다. 상기 회전탭(30)의 구동단부(30a)와 종동단부(30b)에는 손가락이 걸리기에 용이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굴곡부(32a)(32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검지와 엄지를 상기 구동단부(30a)의 굴곡부(32a)와 종동단부(30b)의 굴곡부(32b)에 걸고 도 2의 화살표와 같이 회전탭(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회전탭(30)은 양단에서 회전력을 동시에 인가받게 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탭(30)과 베이스 플레이트(21)의 스코어(S)가 형성된 인접부를 상호 연결시켜 회전탭(30)이 회전할 때 상기 스코어(S)의 파단이 시작되도록 하는 파단 개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파단 개시 수단은 상기 회전탭(30)에 형성된 파단개시절곡부(33)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파단개시절곡부(33)에 결합되는 파단돌기(27)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탭(30)에 있어서 회전통공(도 13의 31)의 일측에는 파 단개시절곡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단개시절곡부(33)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통공(35)을 통해 파단돌기(27)와 결합된다(도 6 및 도 17 참조).
상기 파단개시절곡부(33)의 주위에는 파열슬롯(36)이 형성되는데, 이 파열슬롯(36)은 캔을 개봉하기 위해 회전탭(30)을 회전시킬 때 파단돌기(27)가 쉽게 꺾일 수 있도록 소재의 일부를 제거한 부분이다.
이를 위해 상기 파열슬롯(36)은 회전탭(30)이 회전하는 방향쪽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회전탭이 금속으로 제작될 경우, 상기 파열슬롯(36) 형성을 위해 절개되는 부분을 그 아래로 굴곡시킴으로써 파열슬롯(36) 주변부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파단개시절곡부(33)는 파열슬롯(36)에 의해 구분된 영역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단개시절곡부(33)의 테두리를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곡시켜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파단개시절곡부(33)는 회전탭(30)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 경사부(41)와, 상기 제1 경사부(41)의 끝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42)와, 상기 수평부(42)의 끝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 경사부(43)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경사부(4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탭(30)을 회전시킬 때 파단개시절곡부(33)가 하방으로 원활하게 절곡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제1 경사부(41)와 회전탭(30)의 경계 부분에는 복수의 절개부(도 13의 44 참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42)에는 파단돌기(27)가 결합되는 결합통공(35)이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통공(35)의 경계부에 있는 소재를 절곡함으로써 강성을 보강하도록 한다.
상기 제2 경사부(43)는 회전탭(30)을 회전시킬 때 베이스 플레이트(21)의 개봉부(23)를 가압하는 부분으로서, 5 ~ 15°정도의 적정한 각도로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2 경사부(43)를 마련하는 이유는 회전탭(30)을 회전시킬 때 파단돌기(27)가 어느 정도 먼저 절곡된 다음에, 제2 경사부(43)가 개봉부(23)를 가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렇지 않고, 상기 제2 경사부(43)를 수평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파단돌기(27)를 절곡하는데 필요한 힘과 제2 경사부(43)에 의해 개봉부(23)를 가압하는 힘이 초기에 집중되어 회전탭(30)을 회전시키기 위해 보다 큰 힘이 요구될 수 있으며, 이것은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한다.
상기 파단돌기(27)는 상기 스코어(S)의 파단이 시작되는 부분(Po)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회전탭(30)이 회전하는 힘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꺾이면서 상기 스코어(S)의 파단이 개시되도록 한다.
상기 파단돌기(27)는 회전탭(30)의 결합통공(35)으로 삽입되어 단부가 리벳팅됨으로써 회전탭(3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단돌기(27)와 회전탭(30)의 결합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앞서 회전축 돌기의 결합 방식을 예시한 도 7 내지 도 12는 파단돌기와 회전탭 사이의 결합 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코어(S)는 회전탭(30)의 회전력에 의해 파단이 용이하게 개시되며, 또한 파단이 개시된 후 전파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상이 설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코어(S)는 파단을 촉진하기 위해 시작점(Po)이 파단돌기(27) 외측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시작점(Po)에서부터 파단돌기(27)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양측으로 연장되는 메인 스코어(Sm)와 보조 스코어(Sa)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스코어(Sm)는 개봉부(23)를 기준으로 상기 시작점(Po)에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메인 스코어(Sm)가 파단됨으로써 개봉부(23)가 개봉되게 된다. 본 발명자의 연구에 따르면, 상기 회전탭(30)이 회전축 돌기(24)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메인 스코어(Sm)는 개봉부(23)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라야 원활한 절취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보조 스코어(Sa)는 상기 메인 스코어(Sm)의 반대쪽 방향{즉, 개봉부(23)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파단돌기(27)의 파단을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코어(S)의 파인 정도(깊이)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보조 스코어(Sa)의 적어도 일부는 메인 스코어(Sm)에 비해 스코어가 더 얕은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탭(30)을 회전시킬 경우 깊이가 깊은 스코어가 얕은 스코어보다 먼저 파단될 수 있다. 스코어의 파인 정도(깊이)는 파단이 원하는 순서대로 일어 나도록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코어(S)의 파단이 쉽게 일어나도록 보조하는 절곡선이 베이스 플레이트(21)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스코어(Sm)의 안쪽에는 메인 스코어(Sm)의 파단을 촉진하는 절곡선(도 4의 28a)이 형성되어 있으며, 파단돌기(27)를 둘러싸는 스코어(S)와 오목바닥부(25)의 경계 사이에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21) 상에도 스코어의 파단 개시를 촉진하는 절곡선(도 4의 28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절곡선(28a)(28b)은 스코어와 유사하지만 파단되지 않도록 깊이가 얕게 패인 절단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탭(30)에 형성된 파단개시절곡부(33)의 제2 경사부(43)가 개봉부(23)의 상면에 놓이게 된다. 이것은 회전탭(30)을 회전시킬 때 제2 경사부(43)에 의해 개봉부(23)를 가압하기 위함인데,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경사부(43)는 개봉부(23)에 형성된 보강리브(26)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에 있어서 유출구를 개봉하는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캔 용기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캔 용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사용하여 회전탭(30)을 회전시킴으로써 간단하게 개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손가락의 엄지와 검지를 상기 회전탭(30)의 구동단부(30a)와 종동단부(30b)의 굴곡부(32a)(32b)에 각각 걸어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회전탭(30)은 상기 회전축 돌기(24)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회전탭(30)을 회전시키면 파단개시절곡부(33)에 결합되어 있는 파단돌기(27)가 도 18에 도시된 점선 화살표와 같이 절곡되면서 스코어(S)의 파단이 개시된다.
즉, 상기 회전탭(30)의 회전이 시작된 직후에, 회전탭(30)에 형성된 파열슬롯(36)으로 인해 파단개시절곡부(33)는 아래쪽으로 굴곡되고 이에 따라 파단돌기(27)가 회전 방향 쪽으로 꺾이게 된다.
이때, 제1 경사부(41)와 절개부(44)는 파단개시절곡부(33)가 하방으로 쉽게 절곡되도록 하며, 파단돌기(27)의 절곡을 촉진한다. 일단 파단돌기(27)가 절곡되면 회전탭(30)의 구동력이 파단돌기(27)에 그대로 전달되게 된다.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해, 파단돌기(27)가 꺾이면서 파단돌기(27)를 둘러싸고 있던 스코어(S)의 시작점(Po)에서 파단이 시작된다. 즉, 도 19의 (a), (b)에 도시된 바와 회전탭(30)의 제1 경사부(41)와 파단돌기(27)가 절곡되면서 상기 스코어(S)의 시작점(Po)에서 파단이 개시된다.
이러한 스코어의 파단은 메인 스코어(Sm)와 보조 스코어(Sa)를 따라서 양측으로 전파된다.
동시에, 파단개시절곡부(33)의 제2 경사부(43) 끝단이 상기 개봉부(23)의 상면을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개봉부(23)는 서서히 아래로 가압되어 절곡되기 시작한다.
그런 다음 회전탭(30)을 더욱 회전시키면 메인 스코어(Sm)의 지점(도 18의 P1)까지 스코어가 파단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탭(30)을 계속 회전시키면 파단개시절곡부(33)의 제2 경사부(43)가 개봉부(23)를 하방으로 더욱 가압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메인 스코어(Sm)의 파단은 원호부를 따라서 지점(P2)까지 전체적으로 전파되게 된다.
그 결과, 개봉부(23)는 도 1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 용기 내부로 밀리면서 완전히 굴곡된다. 따라서 유출구가 충분히 개봉되므로 사용자는 캔 내부에 담긴 내용물을 음용 또는 섭취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 건 출원당시의 기술수준에서 상기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들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발명을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캔 용기에 있어서 뚜껑부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의 뚜껑부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회전탭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있어서 회전축 돌기와 회전탭의 다양한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 뚜껑에 구비된 회전탭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동작에 있어서 개봉부가 개봉되는 동작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Claims (4)

  1. 스코어(S)가 새겨진 개봉부(23)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2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회전축 돌기(2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파열슬롯(36)에 의해 구분된 파단개시절곡부(33)를 구비하는 회전탭(30)을 포함하는 캔 뚜껑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는 상기 스코어(S)의 시작점(Po) 부분에 인접하여 돌출 형성된 파단돌기(27)를 포함하고,
    상기 스코어(S)는, 상기 개봉부(23)를 기준으로 상기 시작점(Po)에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형성된 메인 스코어(Sm)와, 상기 메인 스코어(Sm)의 반대쪽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보조 스코어(Sa)를 포함하고,
    상기 파단개시절곡부(33)는, 상기 회전탭(30)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 경사부(41)와, 상기 제1 경사부(41)의 끝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며 상기 파단돌기(27)가 결합되는 결합통공(35)이 형성된 수평부(42)와, 상기 수평부(42)의 끝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 경사부(43)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탭(30)은 상기 회전축 돌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호 반대측에 위치하는 구동단부(30a)와 종동단부(30b)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단부(30a)와 종동단부(30b)에는 손가락을 걸기 위한 굴곡부(32a)(32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전탭을 상기 회전축 돌기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 경사부가 절곡되면서 상기 파단돌기가 꺾이고 상기 제2 경사부의 끝단이 상기 개봉부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스코어(S)를 파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개시절곡부(33)의 테두리를 절곡시켜 강성을 보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통공(35)의 경계부에 있는 소재를 절곡함으로써 강성을 보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4. 내부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 몸체(10); 및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을 가지는 캔 뚜껑;을 포함하는 캔 용기.
KR1020090081235A 2009-08-31 2009-08-31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KR101081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235A KR101081003B1 (ko) 2009-08-31 2009-08-31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PCT/KR2010/005838 WO2011025327A2 (ko) 2009-08-31 2010-08-30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235A KR101081003B1 (ko) 2009-08-31 2009-08-31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382A KR20110023382A (ko) 2011-03-08
KR101081003B1 true KR101081003B1 (ko) 2011-11-09

Family

ID=43628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235A KR101081003B1 (ko) 2009-08-31 2009-08-31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81003B1 (ko)
WO (1) WO201102532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745B1 (ko) * 2010-01-08 2012-05-03 나종갑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US8844761B2 (en) 2012-08-10 2014-09-30 Daniel A. Zabaleta Resealable beverage container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10968010B1 (en) 2012-08-10 2021-04-06 Daniel A Zabaleta Resealable container lid and accessories including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US11952164B1 (en) 2012-08-10 2024-04-09 Powercan Holding, Llc Resealable container lid and accessories including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US9637269B1 (en) 2012-08-10 2017-05-02 Daniel A. Zabaleta Resealable container lid and accessories including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e
USD828753S1 (en) 2012-08-10 2018-09-18 Daniel A Zabaleta Axially oriented peripheral sidewalled beverage container lid
USD795693S1 (en) 2012-08-10 2017-08-29 Daniel A Zabeleta Axially oriented peripheral sidewalled beverage container lid
US8985371B2 (en) 2012-08-10 2015-03-24 Daniel A. Zabaleta Resealable beverage container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10012506B1 (en) 2014-06-01 2018-07-03 DNP Technology Navigation guidance system and method of use
US9517866B2 (en) * 2015-02-09 2016-12-13 Heatgenie, Inc. Closure system for containers
CN113602628B (zh) * 2021-08-11 2023-06-06 王凯旭 一种铝制易拉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867B1 (ko) 2007-10-16 2010-02-17 나종갑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867B1 (ko) 2007-10-16 2010-02-17 나종갑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25327A2 (ko) 2011-03-03
KR20110023382A (ko) 2011-03-08
WO2011025327A9 (ko) 201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003B1 (ko)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KR100942867B1 (ko)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EP3248897B1 (en) Beverage can end with vent port
RU2425786C2 (ru) Ушко для крышки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MX2014003441A (es) Lengüeta fija para un recipiente de bebida.
KR20120042927A (ko) 물질용기용 뚜껑 및 이 뚜껑이 장착된 물질 용기
JP4683999B2 (ja) ステイオンタブ式缶蓋
JP2008213934A (ja) 向上した開封性及び飲用性を有する缶蓋
JP4776430B2 (ja) 缶蓋
KR101059533B1 (ko)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JPH10181743A (ja) 開缶装置
KR101141745B1 (ko)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JP5090896B2 (ja) 開栓器具
US3341055A (en) Container opening device
JP2000190963A (ja) 開口容易な缶蓋
JPH01308744A (ja) タブ不分離型容易開放缶蓋
JP5588259B2 (ja) 缶蓋
JP3218885U (ja) 飲料缶
WO2009051409A2 (en) Can covers and cans having the same
JP2010070225A (ja) 開口容易缶蓋
JP7452005B2 (ja) 缶蓋及び缶詰
JP5658940B2 (ja) 缶蓋
JP2015137132A (ja) 缶蓋と回転式タブ
JP4800665B2 (ja) ステイオンタブ式缶蓋
JP2022092172A (ja) 缶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