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2927A - 물질용기용 뚜껑 및 이 뚜껑이 장착된 물질 용기 - Google Patents

물질용기용 뚜껑 및 이 뚜껑이 장착된 물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2927A
KR20120042927A KR1020127003106A KR20127003106A KR20120042927A KR 20120042927 A KR20120042927 A KR 20120042927A KR 1020127003106 A KR1020127003106 A KR 1020127003106A KR 20127003106 A KR20127003106 A KR 20127003106A KR 20120042927 A KR20120042927 A KR 20120042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weakening line
closing element
contain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3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7009B1 (ko
Inventor
파브리지오 콘소니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페이턴트 앤드 브랜드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페이턴트 앤드 브랜드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페이턴트 앤드 브랜드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42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16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1/165Cylindrical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3/00Clos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by applying caps
    • B67B3/02Clos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by applying caps by applying flanged caps, e.g. crown caps, and securing by deformation of flanges
    • B67B3/10Capping heads for securing caps
    • B67B3/16Capping heads for securing caps characterised by having resilient deforming elements, e.g. resilient sleeves or co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3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ll-out tear panel, e.g. by means of a tear-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26Means for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element
    • B65D2517/0029Means for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element the element being part of the pull-out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68Ribs or projections in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71Ribs or projections in container end panel located externally of tear-out/push-in panel or preformed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74Local recess in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77Local recess in container end panel located externally of tear-out/push-in panel or preformed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물질을 담을 수 있는 용기(21)용 뚜껑(20)으로서, 용기(21)의 중심축선(Y)에 대하여 동심인 실질적인 원형상을 가지고, 그 표면상에 당김작용에 의해 상대적인 전달공(45)을 개방시킬 수 있는 스토퍼 타입의 폐쇄 요소(39)의 경계를 나타내는 약화선(30)이 구비된 중앙면(27)과; 상기 약화선(30)의 외부의 지지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단부(25) 및 상기 탭(22)과 연속적으로 되어 있으며 리벳(23)에 의해 상기 폐쇄 요소(39)에 연결되어 상기 폐쇄 요소(39)를 상방으로 제거하여 상기 약화선(30)을 따라서 분리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는 중간 플렉시블한 부분(24)을 갖는 구동탭(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약화선(30)은 상기 중심축선(Y)에 대하여 상기 구동탭(22)의 반대측의 상기 폐쇄 요소(39)의 일단부에서 중단되어 있고, 그에 따라 상기 폐쇄 요소(39)는 상기 중앙면(27)의 나머지 부분과 연속적으로 된 연결 플랩(34)을 구비한다. 알루미늄 뚜껑의 경우 리벳은 폐쇄 요소(39)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1.5 내지 3.5 mm에 위치되어 있다. 철 합금으로 이루어진 뚜껑의 경우 이러한 거리는 4.0 내지 6.0mm이다.

Description

물질용기용 뚜껑 및 이 뚜껑이 장착된 물질 용기{LID FOR CONTAINERS OF SUBSTANCES AND CONTAINER OF SUBSTANCES THUS EQUIPPED}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는 액체를 담는데 사용되지만 과립상 또는 그 외의 형상의 고체물질도 담을 수 있는 뚜껑 및 이 뚜껑이 장착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처음에 일체로 된 부분인 뚜껑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적어도 일부 당겨질 때, 뚜껑에 일부 작용하는 전달공을 폐쇄하는 폐쇄요소가 당겨서 개방하는 단계 중의 어느 시점에도 용기 속으로 들어가지 않게 되는 뚜껑 및 그 뚜껑이 장착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뚜껑은 알루미늄 또는 유사하거나 동등한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질 수 있거나 또는 유사하거나 동등한 철합금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뚜껑 및 그 뚜껑을 구비한 용기는 통상적으로 음료수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또는 일부 경우에 있어서 다른 것을 담는데도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용기들은 통상적으로 실질적인 원통형이지만, 단면에 수직한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실질적인 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공지의 용기의 뚜껑에 관하여 여러 가지 경험이 알려져 있는데, 여기서 전달공은 뚜껑 자체에 존재하는 미리 정해진 파단선을 이용하여 뚜껑의 아주 작은 부분을 당김으로써 얻어진다.
미국특허 제 3.731.863호에는 캔의 폐쇄약화선에 의해 정해지는 폐쇄 스토퍼를 개방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해결방법에서 레버 또는 탭의 그리퍼 링은 스토퍼를 개방시키는 작용을 하며 실질적으로 중앙의 위치에 위치한다. 레버는 캔의 상측벽의 둘레와 대응하는 회전 지지점을 갖는 반면, 그리퍼 링과 지지점 사이의 중간 위치에는 리벳형 결속 수단이 있다.
캔의 그리퍼 링과 뚜껑 사이에는 플렉시블한 연결 요소가 마련되며, 레버나 탭은 폐쇄 스토퍼 외부의 캔 뚜껑의 일부에 작용하여 1차 개방 동작시에 스토퍼가 들어 올려져서 상방으로 당겨지며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만들어지는데, 개방 단계 중에 그리고 용기가 사용될 때 시간 및 안전과 관련된 문제점이 있다.
WO A 01/02260호에는 캔의 폐쇄약화선에 의해 정해진 폐쇄 스토퍼를 개방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대적 그리퍼 링을 갖는 레버나 탭은 캔 뚜껑의 둘레에 지지점을 가지며, 그리퍼 링은 중앙에 있으며 지지점과 링 사이의 리벳은 개방 레버 또는 탭을 스토퍼에 부착시킨다.
이 경우, 레버나 탭의 지지점은 캔의 스토퍼를 결정하는 약화선과 일치하기 때문에, 레버나 탭의 작용은 약화선의 1차 파괴를 위한 내부쪽으로의 스토퍼의 추진력을 결정한다. 이후 레버나 탭은 스토퍼를 제거하기 위한 견인 요소로서 사용된다.
이 시스템은 내용물이 탭의 외면과 접촉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중에 위험하다.
미국특허 제 5.145.086호에는 캔의 개방 약화선에 의해 정해진 폐쇄 스토퍼를 개방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개방 레버나 탭의 그리퍼 링은 중심에 있으며, 레버나 탭은 캔 뚜껑의 둘레와 대응하는 지지점을 가지며 개방 레버나 탭을 캔의 스토퍼에 연결하는 리벳이 제공된다.
레버나 탭은 폐쇄 스토퍼의 외부의 캔 뚜껑의 일부에 작용하므로, 1차 개방동작시에 스토퍼가 들어 올려져서 상방으로 당겨지며 캔의 내부로 추진되지 않는다.
이 해결방법은 개방중에 그리고 용기가 사용될 때 사용자의 안전에 대한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미국특허 제 3.795.340호에는 레버나 탭이 둘레 지지점 및 중앙 그리퍼 링을 갖는 캔을 개방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캔의 스토퍼는 상측벽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캔의 원주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원형 폐쇄약화선에 의해 결정된다.
레버나 탭은 원형 폐쇄약화선의 내부로 작용하므로, 1차 개방 동작시에 스토퍼는 내부로 추진된 다음 견인을 통해 완전히 제거된다.
이 시스템도 역시 내용물이 탭의 외면과 접촉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게다가 이 경우에도 이것은 사용이 위험한 시스템이다.
미국특허 제 4.189.060호에는 레버나 탭이 전통적인 방식으로 캔의 스토퍼를 벗기는데 사용되는 캔 개방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레버의 그리퍼 링은 통상적으로 중앙 위치에 있으며, 레버의 상대 지지점은 둘레에 있다.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헌에서처럼 레버가 회전하면 폐쇄 스토퍼의 일부를 파손시키지 않고 단지 레버를 동작 위치에 배치시키고 그 레버가 구동되어 폐쇄 스토퍼가 구멍의 돌기와 대응하여 당겨지게 하는 작용을 한다.
레버를 역시 개방 위치의 뚜껑에 연결하기 위해 플렉시블부를 포함하는 연결 요소가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상당한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이 것도 역시 사용하기 위험하다.
미국특허 제 3.386.613호는 리벳이 레버의 전방 세그먼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포크형 레버를 갖는다. 이 교시는 스토퍼를 벗기는 힘이 가해질 수 있는 집중지점을 얻을 수 있게 하지 않는다. 또한, 파괴 개시점과 근접하는 전방 지지점을 전혀 지지하지 못하게 하는 기계적 힌지를 제공하는데, 이는 일정 길이의 레버를 수용할 수 없게 하여 파괴를 시작하기 어렵게 하기 때문이다.
미국특허 출원공개 제 2007/131.693호는 뚜껑 둘레를 따라서 발달되는 파괴선을 갖는데, 역시 이 것은 전방부에서 파괴를 개시하는 탭이다. 게다가 개방 기구의 일부가 용기의 내부로 들어간다.
WO A 03/010054호는 뚜껑의 내부에 위치하는 위치로부터 개방을 시작하며 스토퍼가 뚜껑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때까지 연장되는 탭을 제공한다.
WO A 00/58161호는 스토퍼가 용기의 내부로 침투하는 스테이 온 탭(stay-on tap)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리하게는 음료수용 용기의 뚜껑을 묘사하는 것에만 관한 것이 아니라, 공지의 해결방법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새롭고 예상치 못한 이점을 수반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WO A 2009/030526호에 개시된 발명적인 착상을 개량하고 완성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뚜껑에 대하여 한정된 크기를 가지는 폐쇄 요소 또는 스토퍼가 쉽게 그리고 애를 쓰지 않고서도 뚜껑으로부터 일부 분리될 수 있는 시스템을 얻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토퍼가 뚜껑의 표면에 대하여 즉시 들어 올려지기 시작하도록 함으로써 스토퍼가 일시적이라도 용기 내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독립청구항에 개시 및 묘사하는 한편, 종속청구항들은 변형예를 설명한다.
이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단 전달공이 개방되면, 용기의 취급시에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폐쇄 스토퍼 및 상대 구동탭이 용기의 둘레 대부분의 내부에 유지된다.
스토퍼의 둘레는 뚜껑에 이미 존재하는 공지 타입의 파단선 또는 약화선에 의해 정해진다.
구동탭 또는 레버는 공지 타입의 것으로서, 탭과 연속적인 플렉시블한 부분을 갖는 관련 탭을 구비하는데, 관련 탭은 리벳 등에 의해 스토퍼로서 작용하는 요소와 연속적으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탭의 그리퍼부는 뚜껑의 중심 쪽으로 향하는 반면, 지지점으로서 작용하는 전방부 또는 제 1 단부는 뚜껑의 실질적으로 편평한 중앙면의 엣지와 직접 상호작용하도록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면은 또한 약간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런 방식으로 지지점은 지지점에 가해지는 힘에 대한 대조 부분으로서 작용하는, 즉 뚜껑의 중앙부의 휨에 기인한 힘 등의 증가를 방지하는 중앙면의 둘레 테투리와 상호작용한다.
변형예에 따르면, 구동탭의 전방부(지지점)가 작용하는 표면을 편평하게 함으로써 보강, 안정화 및 강성화 릿지가 제공된다. 상기 보강은 지지점이 작용하는 지점을 더욱 강고하게 함으로써 탭의 거동을 향상시킨다. 또한 지지점이 동작하는 부위를 최소라도 만들어줌으로써 정확성의 요구를 줄여준다.
변형예에 따르면, 릿지는 주조(minting)에 의해 얻어진다.
뚜껑의 내부 쪽으로 존재하는 그리퍼부 상에서 탭에 상방으로 작용함으로써 상기 작용을 스토퍼의 구성 요소를 상방으로 잡아당기는 작용으로 변환하는 레버가 생기며, 따라서 상기 요소는 결코 용기의 내부에 들어가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당김 작용은 실질적으로 구동탭의 축선상에서 플렉시블한 부분과 스토퍼 요소 사이의 연결 리벳팅에 근접하여 시작된다. 유리하게는 레버의 작용을 최대화하고 당김력을 최소로 줄이기 위해 파괴의 개시는 리벳의 축선으로부터 1.5 - 3.5 mm 사이, 바람직하게는 약 2.0 - 2.5 mm 사이의 거리에서 일어난다.
변형예에 따르면, 파괴-들어올림의 개시에 필요한 힘을 더욱 줄이기 위해 당김이 시작되는 부위에서 뚜껑을 구성하는 재료의 두께가 예를 들어 압축에 의해 감소된 영역이 제공된다.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파괴-들어올림이 시작되는 부위 근처에서 스토퍼는 지지점 쪽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며, 따라서 당김/파괴의 개시를 용이하게 하는 집중편을 생성시켜서 필요한 힘을 더욱 감소시킨다.
변형예에 따르면, 스토퍼는 스토퍼와 연속하게 공지의 새김(engraving) 수단에 의해서도 형성되는 연결 플랩에 의해 뚜껑의 중심 쪽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중심을 지나도록 연장된다. 연결 플랩은 뚜껑에 고정된 결합상태의 스토퍼-구동탭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토퍼는 실질적인 원형, 타원형, 물방울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목적과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토퍼는 보강 엣지에 의해 형성된 둘레 보강 변형부로 구성되는 부위 내부에 만들어진다. 따라서, 상기 부위가 보강 둘레 변형부가 부착되게 만들어줌으로써 변형된 표면이 안정화되어 평탄하고 강고하게 한다. 보강 엣지에 구성된 부위는 또한 재료를 안정화시키는 강성 및 평탄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주조의 작용으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뚜껑의 중앙면은 스토퍼의 목부에 의해 연결 플랩에 의해 스토퍼에 연결된다. 연결 플랩은 반대측 W로서 또는 위아래로 뒤집어진 반대측 C로서 평행한 측방 엣지를 가질 수 있다.
변형예에 따르면, 목부 근처에는 탭과 스토퍼 사이의 얇은 연결을 유지하고 동시에 개방 및/또는 사용중에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면을 변형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보강부가 제공된다.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연결 플랩의 후방부는 서로 반대측으로 분기하며 스토퍼의 재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각각의 탄성 연결부를 갖는다.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탄성 연결부는 보강 변형부에 대하여 그와 상호작용하도록/하거나 그 내부에 주조된다.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탄성 연결부는 보강 변형부에 대하여 그 외부에 주조된다.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탄성 연결부는 보강 엣지에 근접하여 주조된다.
탄성 연결부 및 보강 엣지의 상호간의 위치는 그 때마다 원하는 개방 및 탄성 정도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스토퍼에는 변형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보강 변형부가 제공된다.
실질적으로 편평하거나 또는 약간 둥근 뚜껑의 중앙면의 직경이 47(밀리미터)로 정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비교값(밀리미터)을 제공한다(도 4 및 도 4a 참조):
뚜껑의 엣지에 대한 집중편의 전방으로 가장 먼 부분의 거리(a)는 둘레 테두리에 의해 형성되는 강성을 발달시켜 휨을 줄이거나 없애기 위해 4 내지 7 사이,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 사이로 구성된다;
리벳팅의 중심과 엣지 사이의 거리(b)는 알루미늄, 그 합금 또는 유사물의 경우에는 6 - 9 사이, 바람직하게는 6.5 - 8.5 사이로 구성되는 반면, 철합금 또는 유사물의 경우에는 9.0 - 11.0 사이로 구성되어 리벳을 집중편에 가능한 근접시켜 유지하여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그 차이(b-a)는 알루미늄 및 그 합금의 경우에는 1.5 - 3.5 사이, 바람직하게는 2.0 - 2.5 사이로 구성되는 반면, 철합금 및 유사물의 경우에는 4.0 - 6.0 사이, 바람직하게는 4.5 - 5.0 사이로 구성된다;
리벳팅(리벳)의 몸체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및 그 합금의 경우에는 2.5 - 3.5 사이로 구성되는 반면, 철합금 및 유사물의 경우에는 6.0 - 10.0 사이로 구성된다;
엣지의 목부의 거리(c)는 배출을 조절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액체용 배출실을 얻기 위해 20 - 33 사이, 바람직하게는 24 - 28 사이로 구성된다;
엣지 또는 둘레 테두리로부터 가장 먼 부분과 엣지로 부터의 탄성 연결부 사이의 거리(d)는 스토퍼가 개방되었을 때 모든 것을 용기의 대부분의 내부에 유지하기 위해 25 - 40 사이, 바람직하게는 30 - 36 사이로 구성된다;
연결 플랩의 최소 폭(e)은 탄성을 양호하게 조절하기 위해 4 - 10 사이, 바람직하게는 6 - 8 사이로 구성된다;
스토퍼의 최대 폭(f)은 15 - 30 사이, 바람직하게는 18 - 25 사이로 구성된다;
보강 변형부의 최대 폭(g)은 변형을 정확히 조절하고 그와 관련된 이점들을 얻기 위해 20 - 40, 바람직하게는 25 - 31 사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외의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 예로서 주어진 이후의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여질 것인데, 여기서:
도 1은 뚜껑이 일부 폐쇄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개략도;
도 2는 이후의 개방 단계에서 도 1의 용기의 개략도;
도 3은 개방 상태의 도 1의 용기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평면도;
도 4a는 도 4에 나타낸 뚜껑의 개략단면도;
도 5는 도 4의 뚜껑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의 뚜껑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4의 뚜껑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4의 뚜껑의 제 4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4의 뚜껑의 제 5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4의 뚜껑의 제 6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4의 뚜껑의 제 7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4의 뚜껑의 제 8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4의 뚜껑의 제 9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4의 뚜껑의 제 10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물질, 이 경우에는 음료수용 용기(21)가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용기(21)는 알루미늄, 스틸 또는 그 합금으로 만들어지고,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임의의 공지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측면(40), 뚜껑(20) 및 바닥을 갖는 실질적인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뚜껑(20)은 용기(21)의 중심축선(Y)(도 4a)에 대하여 동심형태인 실질적인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일정 직경 "φ"를 가지고 주변 테두리(52)를 결정하는 중앙면(27)을 둘러싸는 환형상의 둘레 리브(41)를 갖는다.
대안적인 해결법에서, 중앙면은 완전히 또는 적어도 일부가 편평하거나 둥글게 제공될 수 있다.
중앙면(27) 상에는 국부적으로 감소되거나 가변 단면을 갖는 개방 구조를 갖는 약화선(30)(도 4 - 도 14) 또는 절개부가 공지의 방식으로 만들어지는데, 이는 원형, 타원형 또는 물방울 형상을 갖는 폐쇄 요소 또는 스토퍼(39)의 경계를 결정한다.
여기서 도시한 경우에서, 스토퍼(39)는 스토퍼(39)가 중앙면(27)으로부터 약화선(30)을 따라서 분리되는 단계들을 원하는 방식으로 촉진하고 안내하기 위해, 형상이 실질적으로 사각형이고 스토퍼(39)의 보다 큰 강성을 규정할 수 있는 보강 변형부(38)를 중앙에 갖는다.
이 경우, 약화선(30)은 약화선(30)의 스토퍼(39)의 윤곽에 대하여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집중편(29)을 전방부에 갖는다.
집중편(29), 즉 파괴가 시작되고 이로부터 퍼져나가는 집중편은 앞으로 보다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개방 작용을 집중시켜서 스토퍼(39)의 당김을 용이하게 하고 따라서 대응하는 전달공(45)의 개방을 용이하게 한다.
실제로, 스토퍼(39)는 통상적으로 뚜껑(20)과 연속되어 있기 때문에, 음료수가 용기(10)로부터 배출될 수 있게 하는 대응 전달공(45)을 폐쇄시킨다.
특히 용기(21)가 닫혀있을 때, 스토퍼(39)는 전달공(45)을 완전히 밀봉하여 폐쇄하는 반면, 용기(21)가 열려 있을 때(도 3)는, 스토퍼는 전달공(45)으로부터 적어도 약간 들어 올려지지만 중앙면(27)의 내측에서 용기(21)의 나머지 부분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스토퍼(39)는 이후의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폐쇄 상태에서 스토퍼와 적어도 일부 중첩하는 구동탭(22)에 견고히 부착된다.
구동탭(22)은 약화선(30) 또는 예비절단선을 따라서 뚜껑(20)의 나머지로부터 스토퍼(39)를 분리하기 위해 그리퍼 단부 또는 링(26)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링(26)에 대하여 서로 반대측의 측방 위치의 구동탭(22)에는 보강리브(37)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또한 쉽게 제거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구동탭(22)이 뚜껑(20)과 연결되게 한다. 구동탭(22)은 실질적으로 주변 테두리(52)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치된 전방부(25)(도 4)에 지지점을 갖는다.
주변 테두리(52)는 항복점, 심지어는 탄성항복점에도 강하게 견디기 위해 적어도 수직 또는 거의 수직한 엣지를 갖는다.
구동탭(22)은 그리퍼 링(26)과 전방부(25) 사이에 구성된 중간부위(46)를 포함하는데, 중간부위에는 플렉시블 부분(24)이 속박되고 결국 스토퍼(39)에 연결되며, 플렉시블 부분(24)의 속박은 전방부(25) 쪽으로 제공된다.
중간부위(46)는 리벳(23)에 의해 집중편(29) 근처의 스토퍼(39)에 부착된다.
그리퍼 링(26)에 작용함으로써 구동탭(22)의 회전은 전방부(25) 주위로 결정된다. 이에 따라서 중간부위(46)가 중앙면(27)(도 1)으로부터 이격되며, 스토퍼(39)가 중앙면(27)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므로 집중편(29)으로부터 시작되어 전달공(45)이 열리기 시작한다.
중간부위(46)와 플렉시블한 부분(24) 사이 그리고 플렉시블한 부분(24)과 스토퍼(39) 사이의 연결 부위 및 전방부(25)는 근접해 있기 때문에, 구동탭(22)은 한정된 힘으로 높은 각도 모멘트를 가능하게 하는 극도로 만족스러운 아암을 형성한다.
또한, 구동탭(22)의 힘은 용기(10)의 외측으로 회전되어 약화선(13)의 집중편(29)에 근접한 적용지점에 인가된다.
게다가 집중편(29)에 대응하여 두께감소영역(28)이 제공되는데, 이는 중앙면(27)으로부터 약화선(30)을 따라서 행해지는 스토퍼(39)의 잡아당김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토퍼(39)를 약화선(30)을 따라서 들어 올리는데 필요한 힘은 현재 기술상태에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은 위생 스토퍼를 갖거나 외측으로 개방되는 스토퍼를 갖는 용기에서보다 훨씬 작다는 것은 분명하다.
구동탭(22)(도 2)을 상방으로 더욱 이격시키면 스토퍼(39)가 중앙면(27)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어 접혀진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도 3).
스토퍼(39)는, 형상이 실질적으로 사각형이고 스토퍼(39) 자체에 연속적이며 약화선(30)의 후방부에 의해 정해지는 연결플랩(34)을 후방에 포함한다.
연결플랩(34)은 스토퍼(39)를 중앙면(27)의 나머지 부분과 견고하게 연결하여 개방 상태에서도 스토퍼가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후방에서 연결 플랩(34)의 끝에는 약화선(30)의 단부에 의해 정해지는 두 개의 탄성 연결부(36)가 붙어있다.
탄성 연결부(36)는 연결플랩(34)의 중간축선에 대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분기되어 있다.
또한 연결 플랩(34)은 연결 플랩(34)을 강화시키고 뚜껑(20)의 개방중에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목부(33)로부터 탄성 연결부(36)로 연장되는 중앙 보강부(35)를 포함한다.
뚜껑(20)은 또한 중앙면(27) 상에 만들어진 보강엣지(32)에 의해 주변에 형성된 보강 변형부(31)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보강엣지(32)는 스토퍼(38) 주위에 환형으로 만들어지므로, 약화선(30)은 실질적으로 보강 변형부(31)의 내부에 만들어진다.
탄성 연결부(36)는 원하는 탄성도에 따라서 보강엣지(32)의 외부 또는 내부에 제공되거나 또는 보강엣지와 상호 작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보강엣지(32)는 스토퍼(39)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상방 견인 작용에 매우 효과적으로 견디기 위해 상대 보강 변형부(31)가 중앙면(27)이 놓이면 면에 대하여 하측의(또는 들어올려지는) 면에 놓이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스토퍼(39)의 개방 중에 중앙면(27)의 변형 가능성이 최소로 감소된다.
도 5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뚜껑(20)은 구동탭(22)의 링(26)을 제외하고는 도 1 - 도 4의 실시형태에 도시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형태를 갖는다.
실제로, 본 실시형태에서, 링(26)의 후방부에는 그리퍼 브릿지(47)가 제공되는데, 상기 그리퍼 브릿지(47)는 구동탭(22)의 나머지부분에 대하여 상방으로 올려져서 구동탭(22)을 들어올리기 시작하여 스토퍼(39)를 들어올리는 경우, 구동탭(22)과 중앙면(27) 사이에 사용자의 손가락 및/또는 손톱의 끝이 삽입되기 쉽게 한다.
도 6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뚜껑(20)은 그리퍼 링(26) 쪽으로 중간 부위(46)에 속박되어 있는 플렉시블한 부분(24)을 제외하고는 도 1 - 도 4의 실시형태에 도시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형태를 갖는다.
본 해결법에서, 스토퍼(39)를 들어 올리는 기계적 및 운동학적 조건은 구동탭(22)을 들어 올림에 따라서 약간 변한다. 따라서 집중편(29) 및 약화선(30)의 파괴 조건도 도 1 - 도 4 및 도 5와는 다르다.
도 7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뚜껑(20)은 리벳(23)의 중심과 리벳탭(22)의 전방부(25) 사이의 거리 "b"가 집중편(29)으로부터 이격되어 최대 확장상태가 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 도 4의 실시형태에 도시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형태를 갖는다.
이 해결법에서도, 도 1 - 도 4 및 도 5의 해결법과는 달리, 구동탭(22)을 들어 올림에 따라서 스토퍼(39)를 들어 올리는 기계적 및 운동학적 조건이 변하며, 따라서 집중편(29) 및 약화선(30)을 파괴하는 조건도 다르다.
도 8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뚜껑(20)은 연결 플랩(34)이 보다 기다란 형태를 가짐에 따라 탄성 연결부(36)와 구동탭(22)의 전방부(25) 사이의 거리 "d"를 증가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 도 4의 실시형태에 도시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형태를 갖는다. 탄성 연결부(36)는 또한 개방시에 파괴 진행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9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뚜껑(20)은 둘레 리브(41)에 근접하여 구동탭(22)의 전방부(25)가 피봇 동작하는 중앙면(27)의 부위와 대응하여 릿지(49)가 상방을 향하도록 만들어지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 도 4의 실시형태에 도시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형태를 갖는다.
이 해결법에서, 전방부(25)는 개방 단계중에 릿지 위에 압력을 배출하기 위해 릿지(49)와 직접 접촉한 상태로 놓여있다. 이 해결법에서 중앙면(27)은 작동중의 압력 때문에 있을 수 있는 변형으로부터 더욱 보호된다.
도 10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뚜껑(20)은 스토퍼(39)의 형상을 묘사하는 약화선(30)이 두 개의 측방 돌출부(50)를 갖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 도 4의 실시형태에 도시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형태를 갖는다.
측방 돌출부(50)는 스토퍼(39)가 중앙면(27)으로부터 분리하기가 보다 쉬운 측방으로 기다란 형태를 갖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1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뚜껑(20)은 연결 플랩(34)이 가능한 짧은 형태를 가짐에 따라 탄성 연결부(36)와 구동탭(22)의 전방부(36) 사이의 거리 "d"를 감소시킨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 도 4의 실시형태에 도시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형태를 갖는다.
도 12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뚜껑(20)은 연결 플랩(34) 상의 중앙 보강부(35) 대신에 그리퍼 링(26)의 말단부가 적어도 일부 중첩하는 그리퍼 시팅(seating)(51)이 구비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 도 4의 실시형태에 도시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형태를 갖는다.
그리퍼 시팅(51)은 구동탭(22)을 들어올리기 시작하여 스토퍼(39)를 들어올리는 경우, 구동탭(22)과 중앙면(27) 사이에 사용자의 손가락 및/또는 손톱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뚜껑(20)은 보강 변형부(31)가 폐쇄된 보강엣지(32)를 가지고 탄성 연결부(36)를 넘어서 연장되어 보강 변형부(31) 내부에 탄성 연결부를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 도 4의 실시형태에 도시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형태를 갖는다.
이런 방식에 의하면, 스토퍼(39)의 개방 중에 중앙면(27)의 변형 가능성이 더욱 감소된다.
도 14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뚜껑(20)은 보강 변형부(31)가 개방된 보강엣지(32)를 가지고 탄성 연결부(36)를 넘어 연장되어 보강 변형부(31) 내부에 탄성 연결부를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3의 실시형태에 도시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분야 및 범위로부터 이탈함 없이 전술한 뚜껑(20) 및 용기(21)의 부품들의 변경 및/또는 추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또한 본 발명을 특정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청구범위에 개시한 바와 같은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진 보호분야에 속하는 특징들을 갖는, 물질 용기용 뚜껑 및 이 뚜껑이 장착된 물질 용기의 많은 다른 동등한 형태를 틀림없이 얻을 수 있다는 것도 분명하다.

Claims (11)

  1. 액체 또는 분말 물질을 담을 수 있는 용기용 뚜껑으로서,
    용기(21)의 중심축선(Y)에 대하여 동심인 실질적인 원형상을 가지고, 그 표면상에 당김작용에 의해 상대적인 전달공(45)을 개방시킬 수 있는 스토퍼 타입의 폐쇄 요소(39)의 경계를 나타내는 약화선(30)이 구비된 중앙면(27)과;
    상기 약화선(30)의 외부의 지지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단부(25) 및 상기 탭(22)과 연속적으로 되어 있으며 리벳(23)에 의해 상기 폐쇄 요소(39)에 연결되어 상기 폐쇄 요소(39)를 상방으로 제거하여 상기 약화선(30)을 따라서 분리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는 중간 플렉시블한 부분(24)을 갖는 구동탭(22)을 포함하며;
    상기 약화선(30)은 상기 중심축선(Y)에 대하여 상기 구동탭(22)의 반대측의 상기 폐쇄 요소(39)의 일단부에서 중단되어 있고, 그에 따라 상기 폐쇄 요소(39)는 상기 중앙면(27)의 나머지 부분과 연속적으로 된 연결 플랩(34)을 구비하고,
    구동탭(22)의 지지점은 둘레 테두리(52)에 근접한 중앙면(27)의 엣지와 상호 작용하는 제 1 단부(25)의 중심부이며, 리벳(23)의 축선은 집중편(29)과 일치하도록 된 스토퍼 타입의 폐쇄 요소(39)의 전방 말단부로부터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의 경우에 1.5 - 3.5 mm, 유리하게는 2.0 - 2.5 mm에 위치하는 반면 철합금 및 그 유사물의 경우에는 4.0 - 6.0 mm, 유리하게는 4.5 - 5.0 mm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용기용 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랩(34)은 탄성 연결부(36)에 의해 중앙면(27)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용기용 뚜껑.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구동탭(22)의 지지점이 놓이는 부위에는 보강 릿지(49)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용기용 뚜껑.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형 폐쇄 요소(39)는 보강부(3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용기용 뚜껑.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랩(39)은 적어도 일부가 종방향 보강 변형부(3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용기용 뚜껑.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면(27)은 당김이 시작되는 부위와 대응하여 약화선(30)을 따라서 두께가 감소된 영역(28)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용기용 뚜껑.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화선(30)은 폐쇄 요소(39)를 당기는데 필요한 노력을 줄이기 위하여 당김이 시작되는 부위와 대응하여 전방부에 집중편(29)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용기용 뚜껑.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랩(34)은 또한 전체 연결 플랩(34)에 대하여 연결 플랩(34)과 폐쇄 요소(39) 사이의 연결 목부(33)로부터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중앙 보강부(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용기용 뚜껑.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연결부(36)는 보강 엣지(32)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용기용 뚜껑.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연결부(36)는 보강 엣지(32)의 내부에 또는 상호 작용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용기용 뚜껑.
  11. 외측면(40), 뚜껑(20) 및 바닥을 포함하는 액체 또는 분말 물질을 담을 수 있는 용기로서,
    상기 뚜껑(20)은,
    용기(21)의 중심축선(Y)에 대하여 동심인 실질적인 원형상을 가지고, 그 표면상에 당김작용에 의해 상대적인 전달공(45)을 개방시킬 수 있는 스토퍼 타입의 폐쇄 요소(39)의 경계를 나타내는 약화선(30)이 구비된 중앙면(27)과;
    상기 약화선(30)의 외부의 지지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단부(25) 및 상기 탭(22)과 연속적으로 되어 있으며 리벳(23)에 의해 상기 폐쇄 요소(39)에 연결되어 상기 폐쇄 요소(39)를 상방으로 제거하여 상기 약화선(30)을 따라서 분리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는 중간 플렉시블한 부분(24)을 갖는 구동탭(22)을 포함하며;
    상기 약화선(30)은 상기 중심축선(Y)에 대하여 상기 구동탭(22)의 반대측의 상기 폐쇄 요소(39)의 일단부에서 중단되어 있고, 그에 따라 상기 폐쇄 요소(39)는 상기 중앙면(27)의 나머지 부분과 연속적으로 된 연결 플랩(34)을 구비하고,
    구동탭(22)의 지지점은 둘레 테두리(52)에 근접한 중앙면(27)의 엣지와 상호 작용하는 제 1 단부(25)의 중심부이며, 리벳(23)의 축선은 집중편(29)과 일치하도록 된 스토퍼 타입의 폐쇄 요소(39)의 전방 말단부로부터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의 경우에 1.5 - 3.5 mm, 유리하게는 2.0 - 2.5 mm에 위치하는 반면 철합금 및 그 유사물의 경우에는 4.0 - 6.0 mm, 유리하게는 4.5 - 5.0 mm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용기.
KR1020127003106A 2009-07-03 2010-07-02 물질용기용 뚜껑 및 이 뚜껑이 장착된 물질 용기 KR101837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UD2009A000127 2009-07-03
ITUD2009A000127A IT1394648B1 (it) 2009-07-03 2009-07-03 Coperchio per contenitori di sostanze e contenitore di sostanze cosi' attrezzato
PCT/IB2010/001619 WO2011001273A1 (en) 2009-07-03 2010-07-02 Lid for containers of substances and container of substances thus equipp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927A true KR20120042927A (ko) 2012-05-03
KR101837009B1 KR101837009B1 (ko) 2018-04-19

Family

ID=4157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3106A KR101837009B1 (ko) 2009-07-03 2010-07-02 물질용기용 뚜껑 및 이 뚜껑이 장착된 물질 용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555922B2 (ko)
EP (1) EP2448834B1 (ko)
KR (1) KR101837009B1 (ko)
CN (1) CN102548855B (ko)
CA (1) CA2766969C (ko)
ES (1) ES2449690T3 (ko)
HK (1) HK1172597A1 (ko)
IT (1) IT1394648B1 (ko)
WO (1) WO20110012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5170A (ko) * 2014-01-08 2016-11-25 인터내셔널 페이턴트 앤드 브랜드 코퍼레이션 물질의 컨테이너용 리드 및 이를 포함한 물질 컨테이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17295B2 (en) 2010-08-06 2018-07-10 Ball Corporation Container end closure with optional secondary vent opening
US20130284742A1 (en) * 2012-04-25 2013-10-31 Alan Jung Easy Open Lid
WO2014149768A1 (en) 2013-03-15 2014-09-25 Ball Corporation End closure with a ring pull actuated secondary vent
WO2014158115A1 (en) * 2013-03-28 2014-10-02 Emi̇rcan Necat Beverage can opening ring made of metal
MX357385B (es) 2014-07-30 2018-07-06 Ball Corp Recipiente ventilado y cierre.
DE102016112953A1 (de) * 2016-07-14 2018-01-18 Gregor Anton Piech Metallische Dose und zugehöriger Dosendeckel
IT201700011794A1 (it) * 2017-02-03 2018-08-03 Francesco Felice Marincola Sistema d'apertura a strappo per lattine contenenti bibite, e lattina munita di detto sistema d'apertura
CN116323410A (zh) 2020-07-13 2023-06-23 Oc Bev有限公司 用于物质的容器的盖子和包括所述盖子的物质的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6613A (en) * 1966-01-07 1968-06-04 Continental Can Co Container
US3731863A (en) 1971-12-20 1973-05-08 Union Carbide Corp Dispenser cutter for tacky materials
US3731836A (en) 1972-03-17 1973-05-08 Fraze Ermal C Container wall with connector for retaining the tab and tear portion on the container wall
US3795340A (en) 1972-08-04 1974-03-05 Continental Can Co Tab mounting arrangement for easy opening can end
US3900128A (en) * 1973-03-30 1975-08-19 Fraze Ermal C Easy open can end resistant to pressure
US4030631A (en) * 1975-08-27 1977-06-21 Ermal C. Fraze Easy-open ecology end
US4189060A (en) 1978-10-05 1980-02-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tention means for container closure assembly
US4397403A (en) * 1981-09-18 1983-08-09 Guimarin Container Co., Incorporated Container opening apparatus with captured tab
US4503989A (en) * 1984-02-01 1985-03-12 Ermal C. Fraze Can end with retained tear strip
US4561557A (en) * 1984-11-13 1985-12-31 Park Sea C Beverage container with a sanitary drinking spout
US5145086A (en) 1991-05-17 1992-09-08 Krause Arthur A Captive tear tab with protective means for container opening
CN1029106C (zh) * 1993-04-29 1995-06-28 范国伟 容器罐盖封口
EP0704382A3 (en) * 1994-09-15 1996-10-02 Reynolds Metals Co Can lid with permanent flap with a rib that facilitates contact with the flap to improve the tearing process
DE69704511T2 (de) * 1996-03-27 2001-11-29 Seiji Kagawa Behälter mit Aufreissdeckel
WO1998012118A2 (de) * 1996-09-18 1998-03-26 Cetoni Umwelttechnologie-Entwicklungsgesellschaft Mbh Behälter, insbesondere getränkedose, sowie deckel für einen solchen behälter
US6164480A (en) * 1999-03-30 2000-12-26 Crown Cork & 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Can lid with stay-on-tab
KR100302638B1 (ko) 1999-07-05 2001-11-07 조성호 오픈기능성 및 위생성이 개선된 캔 개봉수단을 가지는 캔뚜껑
KR200249534Y1 (ko) * 2001-07-12 2001-11-17 안영기 위생캔
JP4883995B2 (ja) * 2005-12-07 2012-02-22 大和製罐株式会社 スコア線のある缶蓋
ITUD20070159A1 (it) 2007-09-07 2007-12-07 Internat Patents And Brands Co Contenitore per una sostanza, in particolare una bevanda, con elemento di chiusura apribile a strapp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5170A (ko) * 2014-01-08 2016-11-25 인터내셔널 페이턴트 앤드 브랜드 코퍼레이션 물질의 컨테이너용 리드 및 이를 포함한 물질 컨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009B1 (ko) 2018-04-19
CA2766969A1 (en) 2011-01-06
ITUD20090127A1 (it) 2011-01-04
EP2448834B1 (en) 2013-12-04
HK1172597A1 (en) 2013-04-26
CN102548855A (zh) 2012-07-04
US9555922B2 (en) 2017-01-31
CA2766969C (en) 2017-09-19
IT1394648B1 (it) 2012-07-05
ES2449690T3 (es) 2014-03-20
EP2448834A1 (en) 2012-05-09
WO2011001273A1 (en) 2011-01-06
CN102548855B (zh) 2014-12-03
US20120175371A1 (en)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2927A (ko) 물질용기용 뚜껑 및 이 뚜껑이 장착된 물질 용기
KR100942867B1 (ko)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US3951299A (en) Horse-shoe shaped vent score
US8336727B2 (en) Container for a substance, in particular a drink, with a tear-open closing element
JPH0146384B2 (ko)
EP3092176B1 (en) Lid for containers of substances and container of substances comprising said lid
US3912115A (en) Double tethered push-in tab
EP2858911B1 (en) Easy open closure with improved pressure performance
DK166912B1 (da) Blikdaeksel til ikke-cirkulaere daaser
US3989161A (en) Container end closure
EP0221913A1 (en) Easy-open closure
EP3912923A1 (en) Closure lid for an "easy-open" container
US3478917A (en) Reinforced bead for a tab opening can
KR101059533B1 (ko)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US3422983A (en) Tab-opening can
JPH01308744A (ja) タブ不分離型容易開放缶蓋
EP4299464A1 (en) Hinge cap
EP3856651B1 (en) Opening mechanism for food and/or drink containers
EP3257773B1 (en) Lid for a rounded oblong can, and a rounded oblong can provided with such lid
US4183442A (en) Container closure having pull-tab opening means
EP2493775B1 (en) A lid for containers such as cans and the like
CA2023588C (en) Can top
JP4702713B2 (ja) 注出キャップ
JPH07172436A (ja) 開口容易な缶蓋
JP2002234535A (ja) 缶 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