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770B1 -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 및 이를 부착한 통조림통 - Google Patents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 및 이를 부착한 통조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770B1
KR101318770B1 KR1020110090010A KR20110090010A KR101318770B1 KR 101318770 B1 KR101318770 B1 KR 101318770B1 KR 1020110090010 A KR1020110090010 A KR 1020110090010A KR 20110090010 A KR20110090010 A KR 20110090010A KR 101318770 B1 KR101318770 B1 KR 101318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anned
opening
curved portion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6696A (ko
Inventor
전대부
Original Assignee
전대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대부 filed Critical 전대부
Priority to KR1020110090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770B1/ko
Publication of KR20130026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52Attachment of opening tools, e.g. slotted keys, to containers
    • B65D17/521Attached can-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16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1/165Cylindrical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2Unusual opening 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조림통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렛대의 원리 및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쉽게 개봉할 수 있으면서도 통조림통의 개봉시 날카로운 면에 의한 손의 부상 가능성을 최소화시킨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 및 이를 부착한 통조림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 및 이를 부착한 통조림통{Can and its cover with easy opening and improved safety}
본 발명은 통조림통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렛대의 원리 및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쉽게 개봉할 수 있으면서도 통조림통의 개봉시 날카로운 면에 의한 손의 부상 가능성을 최소화시킨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 및 이를 부착한 통조림통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널리 사용되는 통조림통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통조림통은 원통형 몸체(18)와, 몸체 상단부에 밀봉되도록 결합되는 뚜껑(17)으로 구성된다.
상기 뚜껑(17)에는 개봉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원형으로 절단선이 미리 새겨진 스코어(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뚜껑에는 스코어가 새겨진 부분을 가압하기 위한 개봉탭(13)이 부착되어 있으며 개봉탭(13)은 일단이 뚜껑(17)에 고정되어 있다.
도 2와 도 3은 도 1에서의 종래의 통조림통을 개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통조림통을 개봉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한손으로 통조림통의 몸체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 개봉탭(13)을 들어올려 통조림통의 테두리(14) 방향으로 틀어서 스코어(15)가 새겨진 부분을 일부 개봉시키고, 다시 개봉탭(13)을 상부상태로 되돌린 후에, 도 3과 같이 이를 상부 방향으로 들어올리면서 개봉을 하게 된다.
즉, 개봉을 위하여 개봉탭을 들어올려 통조림통의 테두리방향으로 틀은 후에, 다시 상부방향으로 되돌리고, 그후에 이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서 개봉을 해야 하므로 개봉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불편하였다.
나아가, 개봉과정에서 개봉탭을 도 2와 같이 들어올리고 내리 눌리는 과정에서 개봉탭이 뚜껑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개봉탭이 통조림통의 테두리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절단되어서 손에 부상을 입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3과 같이 통조림통 뚜껑을 완전히 개봉을 하는 과정에서 날카로운 파단면이 손과 접하게 되어서 손에 부상을 입는 경우가 매우 많았다. 특히, 개봉탭에 의해 통조림통 뚜껑 부분이 상부방향으로 잘려나가면서 날카로운 파단면의 날카로운 부분도 상부방향으로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부상을 입기도 쉽고 그 부상의 정도도 매우 심한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지렛대의 원리 및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쉽게 개봉할 수 있으면서도 통조림통의 개봉시 날카로운 면에 의한 손의 부상 가능성을 최소화시킨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 및 이를 부착한 통조림통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 및 이를 이용한 통조림통은 상기 통조림통 뚜껑에 형성된 회전축; 회전축을 감싸는 형태로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되, 회전축을 기준으로 반경이 좁은 제1곡면부와 상기 제1곡면부보다 반경이 크며 제1곡면부와 접해 있는 제2곡면부를 포함하는 회전지지부; 일단은 상기 회전지지부의 제1곡면부의 양 말단과 제2곡면부의 양 말단을 연결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2곡면부와 요철에 의해 연결되며 타단은 요철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파지부; 상기 요철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파지부의 타단에 돌출되어 상기 스코어가 새겨진 개봉부를 파단하는 회전파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회전지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회전파지부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보조회전파지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 및 이를 이용한 통조림통은 상기 통조림통 뚜껑에 형성된 회전축; 회전축을 감싸는 형태로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되, 회전축을 기준으로 반경이 좁은 제1곡면부와 상기 제1곡면부보다 반경이 크며 제1곡면부와 접해 있는 제2곡면부를 포함하는 회전지지부; 상기 회전지지부의 제1곡면부의 양 말단과 제2곡면부의 양 말단을 연결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2곡면부와 요철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회전지지부와 연결된 지점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파지부; 상기 회전파지부에서 상기 스코어가 새겨진 개봉부와 접하는 부분에 돌출되어 상기 스코어가 새겨진 개봉부를 파단하는 회전파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회전파단부는 경사면의 형태 또는 돌기의 형태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개봉부의 개봉 후에도 상기 테두리와 결합되어 있는 단턱, 및 상기 회전파지부의 말단에서 상기 단턱상부까지 연장된 단턱지지부가 추가로 부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 및 이를 부착한 통조림통은 지렛대의 원리와 회전동작을 이용하여 통조림통 뚜껑을 개봉하는 것으로서, 단순히 회전파지부를 들어올려서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통조림통 뚜껑의 개봉이 매우 용이하다.
특히, 종래의 통조림통과 같이 개봉탭을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고, 이를 통조림통의 테두리방향으로 틀어서 스코어부분을 개봉하지 않고, 단순히 회전파지부를 들어올리기만 하면 되므로, 힘이 많이 들지 않아서 여성이나 노약자들도 손쉽게 개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통조림통 뚜껑은 개봉시 개봉되는 통조림통의 뚜껑 부분이 통조림통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개봉이 되므로 개봉되는 뚜껑의 날카로운 부분과 손이 접할 가능성이 전혀 없으며, 나아가 개봉되는 뚜껑의 날카로운 부분이 통조림통의 내부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손과 뚜껑이 접하더라도 부상을 입을 가능성은 거의 없을 정도로 안전하다.
도 1은 종래에 널리 사용되는 통조림통의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도 1에서의 종래의 통조림통을 개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 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을 부착한 통조림통의 개략도,
도 6은 보조회전파지부가 부착된 통조림통 뚜껑의 평면도,
도 7은 회전파단부가 돌기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의 통조림통 뚜껑의 개략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의한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의 개봉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로서의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의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에서 회전파단부가 스코어를 최초로 파단한 상태의 정면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로서의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 의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을 부착한 통조림통의 개략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통조림통 뚜껑은 원형의 테두리(120)와 스코어(115)가 새겨진 개봉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통조림통 뚜껑으로서, 회전축(140), 회전지지부(130), 회전파지부(150) 및 회전파단부(160)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별로 설명한다.
테두리(120)는 원형의 통조림통 뚜껑의 원주상에 형성된 것으로서, 통조림통의 측면과 뚜껑을 접합 및 결합시키고 통조림통의 물리적인 강도를 유지시키는 부분이다. 다만 통조림통의 측면과 뚜껑을 일체형으로 제작할 경우의 테두리(120)는 단순히 통조림통 뚜껑의 최외곽부분을 의미한다.
개봉부(110)는 통조림통 뚜껑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개봉부(110)의 최외곽에는 개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스코어(115)가 새겨져 있다. 본 발명에서의 테두리(120)와 개봉부(110)는 일반적인 통조림통 뚜껑에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통조림통 뚜껑은 테두리(120), 스코어(115)와 개봉부(110)의 형태, 크기, 개수 및 재질과 무관하게, 테두리(120)와 개봉부(110)가 형성된 모든 통조림통 뚜껑을 대상으로 한다.
회전축(140)은 통조림통 뚜껑에 결합되어 회전지지부(130) 및 이에 연결된 부분을 회전시켜서 통조림통을 개봉할 때, 회전운동의 중심 역할을 한다. 회전축(140)은 회전의 중심이 되는 부분이므로 개봉부(110)의 정중앙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140)의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통조림통의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으면서 회전축(140)과 결합하는 회전지지부(130)가 회전할 수 있는 형태로 부착되어야 한다. 예를들어 회전축(140)은 단순히 회전지지부(130)가 회전할 수 있는 돌기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이는 일반적으로 통조림통 상부에 사용되는 리벳팅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지지부(130)는 회전축(140)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부분이며, 회전파지부(150)를 손으로 회전시킬 경우에 회전축(140)으로부터 실제 회전하는 부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회전 가이드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회전지지부(130)는 회전축(140)을 감싸는 형태로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되, 회전축을 기준으로 반경이 좁은 제1곡면부(131)와 회전축을 기준으로 반경이 큰 제2곡면부(132)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1곡면부(131)와 제2곡면부(132)는 회전축(140)을 감싸게 되어 회전축(140)으로부터 실제 회전하는 부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회전지지부(130)의 형태는 원형 사각형, 삼각형, 별모양 등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지만,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일정한 반지름을 가지는 원형의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회전축(140)과 회전지지부(130)가 별도의 구성요소로 기재하였지만, 회전축(140)과 회전지지부(130)는 하나의 구성요소로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회전파지부는 실제 회전을 위하여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회전파지부(150)는 회전지지부(130)에 연결되어 있다. 회전파지부(150)는 회전지지부(130)와 압인가공등의 방법으로 요철(135)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회전지지부(130)의 일측으로 연장된다. 특히, 회전파지부(150)는 상기 회전지지부의 제1곡면부(131)의 양 말단과 제2곡면부(132)의 양 말단을 연결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2곡면부(132)와 요철에 의해 연결된다. 통조림통 뚜껑의 출시시에는 회전파지부(150)는 회전지지부(130)와 동일평면에 형성되어서 통조림통 뚜껑의 상부에 밀착된 형태로 출시되나,
통조림통 뚜껑을 개봉할 경우에는 회전파지부(150)를 손으로 들어올리면, 회전파지부(150)는 회전지지부(130)와 직각을 이루게 된다. 이를 위하여 회전파지부(150)와 회전지지부(130)는 요철(135)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손으로 회전파지부(150)를 들어올리면 회전파지부(150)와 회전지지부(130)는 손쉽게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회전파지부(150)를 처음에 손으로 쉽게 들어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파지부(150)가 접하는 통조림통 뚜껑 부분에 오목한 형태의 오목부(미도시)를 형성시키거나, 돌기(미도시)를 형성시커 회전파지부(150)가 통조림통 뚜껑에서 돌기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켜 손으로 쉽게 들어올리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파지부(150)의 일측면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하여서 파지가 쉽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회전파지부(15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지지부(130)의 일측으로만 연장될 수도 있으나, 회전시 파지의 용이성과 편리성을 위하여 보조회전파지부(170)를 부착시킬 수 있다. 도 6은 보조회전파지부(170)가 부착된 통조림통 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조회전파지부(170)는 회전지지부(130)를 중심으로 상기 회전파지부(150)의 반대편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보조회전파지부(170)는 회전파지부(150)를 연장하는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서는 회전파지부(150)와 보조회전파지부(170)가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은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면에서 회전파지부(150)와 보조회전파지부(170)사이에 도시된 점선은 회전파지부(150)와 보조회전파지부(170)를 구분하기 위하여 도시된 것으로서, 이들이 일체형으로 제작될 경우에는 이 점선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보조회전파지부(170)가 부착된 경우에는, 엄지는 회전파지부(150)를, 검지는 보조회전파지부(170)를 서로 반대면에서 파지함으로서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파단부(160)는 실제로 스코어(115)가 새겨진 개봉부(110)를 파단시키는 부분으로서, 회전파지부(150)에서 회전지지부(130) 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회전파단부(16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7에서와 같이 돌기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경사면이나 돌기의 형태, 각도, 크기 등은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조절될 수 있다.
회전파단부(160)는 회전파지부(150)와 별개의 구성요소지만, 제조공정의 편리성등을 고려할 때, 회전파단부(160)와 회전파지부(150)는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의 개봉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서와 같이, 공장에서 통조림통 출시시에는 통조림통 뚜껑의 상부에 회전축(140)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140)에 회전지지부(130)가 결합되어 있으며, 회전지지부(130)와 동일평면상에 회전파지부(150)와 회전파단부(160)가 연결된 형태로 출시된다.
개봉을 위하여, 손으로 회전파지부(150)를 들어 올리면, 도 8에서와 같이, 회전파지부(150)와 회전지지부(130) 사이에 형성된 요철(135)에 의해 회전파지부(150)는 쉽게 구부려지면서 회전지지부(130)와 회전파단부(160)는 직각을 이루는 형태가 된다.
이때 회전파지부(150)를 상부방향으로 90도 들어올리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회전파단부(160)는 하부방향으로 90도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개봉부(110)를 하부방향으로 눌러서 스코어(115)가 새겨진 부분을 최초로 파단시키게 된다.
이후 회전파지부(150)를 파지하고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을 시키면 회전파지부(150)에 연장된 회전파단부(160)가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스코어(115)가 새겨진 부분을 파단하게 되어서 개봉부(110)를 개봉시킨다. 도 9는 회전파지부(15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120도 정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개봉부(110)는 회전파단부(160)가 하부 방향으로 힘을 가해서 개봉이 되므로, 개봉부(110)의 날카로운 부분은 통조림통의 하부방향으로 향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개봉부(110)의 내부로 손을 넣지 않는한 개봉부(110)의 날카로운 부분에 의해 손이 부상을 당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
또한 회전파지부(150)를 완전히 회전시켜서 개봉이 완료되면, 개봉된 뚜껑은 회전파지부(150)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개봉하는 사람은 단순히 회전파지부(150)를 파지한 상태에서 개봉된 뚜껑을 버리면 되므로, 개봉된 뚜껑의 날카로운 면에 의해 손이 부상을 당할 가능성도 없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로서의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는 회전축(140), 회전지지부(130), 회전파지부(150), 회전파단부(160), 단턱(190) 및 단턱지지부(18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회전축(140), 회전지지부(130), 회전파지부(150), 회전파단부(16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단턱(190)은 개봉부(110)의 개봉후에도 통조림통 뚜껑의 테두리(120)와 결합되어 있는 부분이다. 스코어(115)를 테두리(12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형성시키면 테두리(120)와 스코어(115)의 사이 부분은 개봉후에도 여전히 테두리(120)에 결합된 상태의 단턱(190)으로 남게 된다. 단턱(190)의 폭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단턱(190)의 폭이 너무 크면 개봉부(110)의 크기가 작게 되어서, 통조림통 내부의 내용물을 꺼내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단턱지지부(180)는 회전파지부(150)의 말단에서 연장된 부분으로서, 본 발명에서의단턱지지부(180)는 단턱(190)까지 연장되어 있어서, 회전파지부(150)를 회전시킬 경우에 회전파지부(150)의 회전 가이드 역할을 수행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에서 회전파단부(160)가 스코어(115)를 최초로 파단한 상태의 정면단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파지부(150)에서 연장된단턱지지부(180)가 단턱(190)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이로 인하여 회전파지부(150)의 회전시 회전파지부(150)의 일단은 회전지지부(130)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단턱(190)에 의해 지지되므로, 개봉이 용이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로서의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의 개략도이다.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가 모두 적용될 수 있는데, 이는 회전파지부(155)가 회전지지부(130)의 양측으로 연장된 형태라는 점만 차이가 있고, 기본적인 형태와 동작은 상기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제3실시예는 회전파지부(155)가 회전지지부(130)의 양측으로 연장되었으므로, 회전파지부(150)를 180도만 회전시켜도 통조림통 뚜껑의 개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제3실시예에도 단턱(190),단턱지지부(180)등의 구성요소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은 통조림통 뚜껑을 위주로 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된 통조림통 뚜껑을 포함하는 통조림통도 그 권리로 청구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용이개봉성과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은 상기된 통조림통 뚜껑을 사용한 모든 통조림통을 그 대상으로 한다. 통조림통은 종래의 통조림통을 그대로 사용하면 되고, 이 부분에는 기술적인 특징이 없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된 개개의 구성요소들은 다양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들어, 철, 알루미늄등의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합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모든 구성요소들을 동일한 소재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110:개봉부
120:테두리
130:회전지지부
140:회전축
150:회전파지부
160:회전파단부
170:보조회전파지부
180:단턱지지부
190:단턱

Claims (7)

  1. 테두리와 스코어가 새겨진 개봉부가 형성되어 있는 통조림통 뚜껑에 있어서,
    상기 통조림통 뚜껑에 형성된 회전축;
    회전축을 감싸는 형태로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되, 회전축을 기준으로 반경이 좁은 제1곡면부와 상기 제1곡면부보다 반경이 크며 제1곡면부와 접해 있는 제2곡면부를 포함하는 회전지지부;
    일단은 상기 회전지지부의 제1곡면부의 양 말단과 제2곡면부의 양 말단을 연결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2곡면부와 요철에 의해 연결되며 타단은 요철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파지부;
    상기 요철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파지부의 타단에 돌출되어 상기 스코어가 새겨진 개봉부를 파단하는 회전파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회전파지부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보조회전파지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
  3. 테두리와 스코어가 새겨진 개봉부가 형성되어 있는 통조림통 뚜껑에 있어서,
    상기 통조림통 뚜껑에 형성된 회전축;
    회전축을 감싸는 형태로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되, 회전축을 기준으로 반경이 좁은 제1곡면부와 상기 제1곡면부보다 반경이 크며 제1곡면부와 접해 있는 제2곡면부를 포함하는 회전지지부;
    상기 회전지지부의 제1곡면부의 양 말단과 제2곡면부의 양 말단을 연결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2곡면부와 요철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회전지지부와 연결된 지점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파지부;
    상기 회전파지부에서 상기 스코어가 새겨진 개봉부와 접하는 부분에 돌출되어 상기 스코어가 새겨진 개봉부를 파단하는 회전파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파단부는 경사면의 형태 또는 돌기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부의 개봉 후에도 상기 테두리와 결합되어 있는 단턱, 및
    상기 회전파지부의 말단에서 상기 단턱상부까지 연장된 단턱지지부가 추가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의한 통조림통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7. 제5항에 의한 통조림통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KR1020110090010A 2011-09-06 2011-09-06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 및 이를 부착한 통조림통 KR101318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010A KR101318770B1 (ko) 2011-09-06 2011-09-06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 및 이를 부착한 통조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010A KR101318770B1 (ko) 2011-09-06 2011-09-06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 및 이를 부착한 통조림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696A KR20130026696A (ko) 2013-03-14
KR101318770B1 true KR101318770B1 (ko) 2013-10-16

Family

ID=48177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010A KR101318770B1 (ko) 2011-09-06 2011-09-06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 및 이를 부착한 통조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7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256U (ko) * 1999-04-07 2000-11-06 장윤정 알루미늄 캔의 절취장치
KR200386475Y1 (ko) 2005-03-15 2005-06-17 지광웅 돌려 따는 캔뚜껑
KR20060059332A (ko) * 2004-11-27 2006-06-01 장종인 밀거나돌려서따는캔뚜껑
KR20090038813A (ko) * 2007-10-16 2009-04-21 나종갑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256U (ko) * 1999-04-07 2000-11-06 장윤정 알루미늄 캔의 절취장치
KR20060059332A (ko) * 2004-11-27 2006-06-01 장종인 밀거나돌려서따는캔뚜껑
KR200386475Y1 (ko) 2005-03-15 2005-06-17 지광웅 돌려 따는 캔뚜껑
KR20090038813A (ko) * 2007-10-16 2009-04-21 나종갑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696A (ko)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5786C2 (ru) Ушко для крышки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8695457B2 (en) Pop-top can opener
US8312633B2 (en) Electric can opener having removable opener tools
KR20110023382A (ko)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US20110296955A1 (en) Multi purpose beverage container opener
CA2680745A1 (fr) Dispositif d'ouverture de bouteilles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KR101318770B1 (ko)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 및 이를 부착한 통조림통
US2749612A (en) Can openers
US3446382A (en) Ring pull closure cap
JP2009249035A (ja) 容器蓋のキャップオープナー
KR101299672B1 (ko) 원터치 오프너를 갖는 제품을 개구하는 안전오프너 및 이의 이용방법
KR200418272Y1 (ko) 캔 뚜껑용 보호커버
JP3533626B2 (ja) 簡易開封式のアルミニウム合金製キャップ
JP2004043007A (ja) 缶蓋
JP6611070B1 (ja) 飲料缶
KR102113794B1 (ko) 다용도 이지 오프너
JP3227212U (ja) 容器用オープナー
KR20180066777A (ko) 개방이 용이한 원통형 음료수용 캔
JP3081011U (ja) 食物等を内蔵する缶の蓋を開ける缶切り
WO2023067508A1 (en) Food and beverage can tab
JP3201557U (ja) 取っ手付き補助蓋
KR101141745B1 (ko)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US9963334B2 (en) Coaster bottle cap remover
KR20160001816U (ko) 오프너
KR20120008842U (ko) 피복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