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816U - 오프너 - Google Patents

오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816U
KR20160001816U KR2020140008501U KR20140008501U KR20160001816U KR 20160001816 U KR20160001816 U KR 20160001816U KR 2020140008501 U KR2020140008501 U KR 2020140008501U KR 20140008501 U KR20140008501 U KR 20140008501U KR 20160001816 U KR20160001816 U KR 201600018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er
opening
insertion space
slot
bottl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이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준 filed Critical 이승준
Priority to KR2020140008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816U/ko
Publication of KR201600018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81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6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flanged caps, e.g. crown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몸체; 상기 몸체의 전단에 형성되며 내측에 병뚜껑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병뚜껑의 상면에 접촉하는 헤드부와 상기 프레임부에서 상기 헤드부를 향하여 상기 삽입공간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병뚜껑의 에지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제1 오픈수단; 상기 헤드부의 전단에 형성되며, 전방으로 개방된 입구로 삽입되는 캔따개의 상면과 접촉하는 천정면과, 캔따개의 하면과 접촉하는 바닥면과, 상기 천정면과 상기 바닥면을 연결하는 측면이 형성하는 캔따개슬롯을 포함하는 제2 오픈수단;및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손가락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에 떨어져 배치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와 상기 몸체의 상면을 연결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오프너를 제공하여, 캔의 표면뚜껑부를 보다 원활하게 오픈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오프너{Opener}
본원 고안은 병따개 기능과 더불어 콜라, 사이다, 쥬스 등의 음료용 캔 구조에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생선류나 고기류나 과일류 등을 내장한 식품보관용 캔을 안전하게 오픈하고 캔의 상부 뚜껑부 전체를 들어올리는 기능을 포함하는 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터치 캔 형태의 제품은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 및 유통시키기 위하여 캔 구조로 제공되고 있는바, 쥬스나 콜라, 사이다 등과 같이 음료 형태로 제공되는 제품은 용기 내의 내용물을 식음하기 위해 용기에 내장된 원터치 오프너를 개구(open) 시키는 공정이 필요하다.
또한, 소위 통조림 형태로 생선류나 고기류나 과일류 등을 내장한 식품보관용 캔을 개구할 때는 진공으로 밀폐된 원터치 오프너를 개구(open) 시키는 제1단계 오픈동작과, 개구된 캔의 뚜껑부를 전면에서 후면까지 제거하는 개봉 과정인 제2단계 동작을 거쳐야만 캔의 내용물을 꺼내 식용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제1단계의 오픈동작을 수행할 때 캔의 상부뚜껑에 밀착되어 있는 오프너의 홀 지지구를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자들이 홀 지지구 저부로 손톱을 들이밀다가 다치게 되고 통증을 유발시키는 불편이 있어서 부모님들은 어린 자녀들이 음료용 캔을 구입하여 개구하다가 손상을 당할까 염려스러워서 자녀들이 직접 캔을 열지 못하도록 하고 어른들이 숟가락 등을 이용하여 오프너의 홀 지지구를 부분적으로 들어올려 개구한 후 자녀들에게 전달하여 음용하도록 적용되고 있다.
또한 생선류나 고기류나 과일류 등을 내장한 식품보관용 캔을 오픈 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1단계의 오픈 동작뿐 아니라 개구된 캔의 뚜껑부를 전면부에서 후면부까지 제거하는 개봉 과정인 제2단계 동작을 거쳐야만 내용물을 꺼내 먹을 수 있는바, 이러한 개봉과정의 2단계 동작은 어린 학생들뿐 아니라 어른들도 뚜껑의 예리한 절단부에 손가락을 상하거나 신체에 손상을 입기 쉬우므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낭패를 당하기 쉽다.
종래의 일반적인 원터치 통조림 캔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 1에 제시하고 있는바, 도 1은 식품용 캔 구조가 원형 캔(20)의 표면뚜껑부(21a)에 캔따개(10)를 갖는 구성으로 제공되고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제시된 식품용 캔을 오픈하기 위해 캔따개(10)를 상부로 들어올린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는 식품용 캔 구조를 개구할 때 원형 캔(20)의 표면뚜껑부(21a)가 상부 일측으로 개구되어 3/4 정도를 개구시킨 형태를 도시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구성의 식품 보관용 캔 구조에서 캔(20)의 표면뚜껑부(21a)에 마련되는 캔따개(10)는 손가락을 끼우기 위한 구멍 홀(11)과 구멍 홀(11) 외연으로 손가락을 지지하는 얇은 띠 형상의 홀 지지구(14)을 갖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구조의 통조림 캔을 개구하고자 할 때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캔따개(10)의 홀 지지구(14)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리벳축(13)을 중심으로 반대 측의 표면뚜껑부(21a)의 절개코너부(21c)를 오프너콕(12)이 압박되어 개구시킨 후, 완전 오픈 하기를 원할 때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캔따개(10)의 홀 지지구(14)에 손가락을 끼운채 뒤쪽으로 잡아당겨 캔을 개구시키는 구성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식품 보관용 캔의 개구 구조는 한 손은 캔따개(10)의 구멍 홀(11)에 손가락을 끼워 홀 지지구(14)를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상부로 들어 올리고 다른 한 손은 캔(20) 의 몸체를 파지하고 개구동작을 구현할 때 캔(20)의 측부를 잡거나, 또는 힘주어 잡기 위해서, 캔의 외연 돌출턱(22)을 붙잡고 개구동작을 취하게 된다.
이때 예리한 절단면(21d)에 손을 다치기 쉬워서 어느 정도의 힘이 주어져야 하는지 가늠하기가 쉽지 않고, 늘 주의를 하면서 불안한 마음으로 캔따개(10)를 당기게 됨에도 예리한 절단면(21d)에 의해 상처를 입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 구조적 한계를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은 오프너 구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일본공개특허 2002-87497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손잡이 걸이부(풀 탭)을 용이하게 들어올리기 위한 구조로서 캔의 축심 X 둘레로 자유롭게 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와 회전 플레이트 이면에 고정된 걸어(plating jig)부재를 갖는 구성을 개시하여 손가락을 사용하지 않는 개구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 회전플레이트는 외경의 원판부와 이 원판부 바깥 둘레에 형성된 설치 플랜지와 캔의 상단 연부의 외주 측에 굴곡 형성된 립부에 괘지 가능해지도록 플랜지(flange)의 내주 면으로 돌설된 괘지편을 갖춰야 기능하게 되는 등으로 복잡한 기술구성을 통해서 제조단가가 높아져서 현장적용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1997-0015451호(1997.04.28.공개)
본원 고안은 종래의 캔 구조에 적용되는 일반 오프너기구가 갖는 구조적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원은 병의 뚜껑을 오픈하는 기능과 더불어 음료용 캔이나 식품보관용 통조림 캔을 안전하게 오픈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오프너를 제공하고자 하는 과제를 갖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단에 형성되며 내측에 병뚜껑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병뚜껑의 상면에 접촉하는 헤드부와 상기 프레임부에서 상기 헤드부를 향하여 상기 삽입공간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병뚜껑의 에지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제1 오픈수단과, 상기 헤드부의 전단에 형성되며, 전방으로 개방된 입구로 삽입되는 캔따개의 상면과 접촉하는 천정면과, 캔따개의 하면과 접촉하는 바닥면과, 상기 천정면과 상기 바닥면을 연결하는 측면이 형성하는 캔따개슬롯을 포함하는 제2 오픈수단 및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손가락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에 떨어져 배치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와 상기 몸체의 상면을 연결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오프너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오픈수단은, 상기 헤드부의 전방에 결합되며 제1 홈이 오목하게 형성된 하부슬롯판과, 상기 하부슬롯판에 적층 결합하며 상기 제1 홈과 대향 배치되는 제2 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부슬롯판을 포함하고, 상기 캔따개슬롯은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이 이루는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캔따개슬롯의 상기 바닥면은, 상기 입구까지 이어지는 하향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의 파지부는 전방 단부에 상향하여 절곡 형성되어 손가락 걸림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부를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한 상기 다리부의 표면에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오목한 영역과 볼록한 영역이 교차되어 형성되는 세레이션부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고안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단에 형성되며 내측에 병뚜껑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병뚜껑의 상면에 접촉하는 헤드부와 상기 프레임부에서 상기 헤드부를 향하여 상기 삽입공간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병뚜껑의 에지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제1 오픈수단과, 기 몸체의 후단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개방된 입구로 삽입되는 캔따개의 상면과 접촉하는 천정면과, 캔따개의 하면과 접촉하는 바닥면과 상기 천정면과 상기 바닥면을 연결하는 측면이 형성하는 캔따개슬롯을 포함하는 제2 오픈수단 및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손가락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에 떨어져 배치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단부와 상기 몸체의 상면을 연결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오프너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캔따개슬롯의 상기 바닥면은, 상기 입구까지 이어지는 하향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의 파지부는 전방 단부에 상향하여 절곡 형성되어 손가락 걸림공간을 걸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부를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한 상기 다리부의 표면에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오목한 영역과 볼록한 영역이 교차되어 형성되는 세레이션부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병의 뚜껑을 오픈하는 기능과 더불어 콜라, 사이다, 쥬스 등의 음료용 캔 구조를 오픈 시키는데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생선류나 고기류나 과일류 등을 내장한 식품보관용 통조림 캔을 안전하게 오픈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캔따개슬롯에 캔따개를 끼운 상태에서 캔의 표면뚜껑부를 위쪽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캔의 표면뚜껑부를 보다 원활하게 오픈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가 없는 경우, 캔따개슬롯에 캔따개를 끼운 상태로 캔따개를 잡아 당기는 과정에서, 표면뚜껑부를 위쪽으로 들어 올릴 수 없었다. 때문에 오프너의 몸체가 캔의 에지 영역을 지렛대의 지지점으로 삼아 표면뚜껑부를 잡아 당겨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캔의 둘레면으로 인하여 몸체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기 때문에 표면뚜껑부를 완전히 제거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특히, 사용자가 오프너 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는 오프너의 몸체의 회동 범위가 더욱 제한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손가락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파지부와 파지부와 몸체를 연결하는 손잡이를 구비하고 손잡이를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표면뚜껑부를 오픈하는 구성을 구비하여, 캔의 에지 영역을 지렛대의 지지점으로 하여 오프너가 회동할 때, 오프너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캔의 표면뚜껑부를 보다 원활하게 오픈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캔의 캔따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오픈 초기의 캔따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캔의 표면뚜껑부가 열리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오프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오프너의 캔따개슬롯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한 오프너의 손잡이의 손가락 공간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에서 도시한 오프너의 하향 경사면을 포함하는 캔따개슬롯의 바닥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에서 도시한 오프너가 캔따개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에서 도시한 오프너의 손잡이에 형성된 걸림부와 세레이션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오프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한 오프너의 캔따개슬롯을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도 1에서 도시한 오프너의 손잡이에 형성된 걸림부와 세레이션부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손잡이를 밀어 캔의 표면뚜껑부를 최초 개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손잡이를 잡아 당겨 캔의 표면뚜껑부를 개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오프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오프너의 캔따개슬롯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러한,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오프너는 몸체(100)와, 제1 오픈수단(200)과, 제2 오픈수단(300)과 손잡이(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오픈수단(200)은 병따개용 오프너일 수 있으며, 제2 오픈수단(300)은 캔따개용 오프너일 수 있다. 본 고안은 병따개용 오프너와 캔따개용 오프너가 하나의 오프너에서 구현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손가락을 삽입하여 손에 쥘 수 있는 손잡이(400)를 구비하여 캔의 표면뚜껑을 개방시킬 때, 별도의 지렛대 지지 없이 표면뚜껑을 들어 올리는 방식으로 오픈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기술적 특징이 있습니다.
몸체(100)는 길이 방향(도 4의 y축 방향)로 길게 형성되는데, 본원 고안은 몸체(100)를 기준으로 하는 제2 오픈수단(300)의 위치에 따라 2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오프너(도 4의 1000A)는 몸체(100)의 전단에 제1 오픈수단(200)이 마련될 수 있으며, 몸체(100)의 후단에 제2 오픈수단(300)이 마련될 수 있다. 반면에, 제2 실시예에 따른 오프너(도 10의 1000B)는 몸체(100)의 전단에 제1 오픈수단(20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오픈수단(200)의 전단에 제2 오픈수단(300)이 마련될 수 있다.
먼저, 제1 오픈수단(2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오픈수단(200)은 프레임부(210)와, 헤드부(220)와, 걸림돌기(2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210)는 내측에 병뚜껑의 삽입공간(S1)을 형성한다. 헤드부(220)는 프레임부(210)의 전단에 배치되어 삽입공간(S1)에 삽입되는 병뚜껑의 상면에 접촉한다. 걸림돌기(230)는 프레임부(210)에서 헤드부(220)를 향하여 삽입공간(S1)으로 돌출 형성되어 삽입공간(S1)에 삽입되는 병뚜껑의 에지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병뚜껑이 헤드부(220)와 걸림돌기(230)에 걸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몸체(100)의 후단부를 들어올리게 되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병뚜껑이 변형되면서 병 입구가 열리게 된다.
다음으로, 제1 실시예에 따른 오프너를 기준으로 제2 오픈수단(3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 오픈수단(300)은 캔따개슬롯(310)을 포함할 수 있다. 캔따개슬롯(310)은 삽입된 캔따개(도 13의 10)를 밀거나 들어올릴 때, 몸체(100)와 연동하도록 캔따개(도 13의 10)를 걸어 두는 역할을 한다.
캔따개슬롯(310)은 몸체(100)의 후단부의 일부 영역이 개방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캔따개슬롯(310)은 개방된 입구(311)와, 캔따개(도 13의 10)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천정면(312)과, 바닥면(313)과, 측면(314)을 포함할 수 있다.
천정면(312)은 입구(311)로 삽입되는 캔따개(도 13의 10)의 상면과 접촉하여 캔따개(도 13의 10)를 걸리게 한다. 바닥면(313)은 캔따개(도 13의 10)의 하면과 접촉하여 캔따개(도 13의 10)를 걸리게 한다. 측면(314)은 천정면(312)과 바닥면(313)을 연결한다.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한 오프너의 손잡이의 손가락 공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손잡이(400)는 캔따개(도 13의 10)를 들어올리거나 밀어 올릴 때, 몸체(100)에 사용자의 힘을 전달하는 부재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손잡이(400)는 파지부(410)와, 다리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410)는 몸체(100)의 상면과 떨어져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손가락 삽입공간(S2)을 형성한다. 손가락 삽입공간(S2)으로 손가락을 삽입한 상태에서 파지부(410)를 쥐는 경우, 캔따개(도 13의 10)를 들어올리거나 밀어 올릴 때, 몸체(100)에 사용자의 힘을 전달할 수 있다.
파지부(410)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손가락 삽입공간(S2)을 형성하고 파지하기 용이한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다리부(420)는 파지부(410)와 몸체(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부(410)의 일측 단부에 결합하여 손가락 삽입공간(S2)을 최대한 형성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이때, 다리부(420)는 제2 오픈수단(300)에 최대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캔따개(도 13의 10)를 들어올리거나 밀어 올릴 때, 사용자의 힘을 몸체(100)에 보다 잘 전달하기 위함이다.
한편, 파지부(410)의 타측 단부(도 6의 A)는 다리부(420) 없이 개방된 형태로 실시되어 사용자가 손잡이(400)를 보다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서 도시한 오프너의 하향 경사면을 포함하는 캔따개슬롯의 바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캔따개슬롯(310)의 바닥면(313)은, 입구(311)까지 이어지는 하향 경사면(313a)이 마련될 수 있다. 하향 경사면(313a)은 바닥면(313)이 수평 하다고 할 때, 소정의 각도(R)만큼 하향하게 경사지도록 입구(31)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캔따개(10)가 보다 원할 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8은 도 1에서 도시한 오프너가 캔따개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캔(20)의 캔따개(10)를 캔따개슬롯(31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시켜 장착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1에서 도시한 오프너의 손잡이에 형성된 걸림부와 세레이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손잡이(400)의 파지부(410)는 전방 단부에 상향하여 절곡 형성되어 손가락 걸림공간을 형성하는 걸림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캔따개(도 13의 10)를 들어올리거나 밀어 올릴 때, 손잡이(400)에 보다 큰 힘을 부가하기 위함이다.
또한, 파지부(410)를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한 다리부(420)의 표면에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오목한 영역과 볼록한 영역이 교차되어 형성되는 세레이션부(421)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캔따개(도 13의 10)를 들어올리거나 밀어 올릴 때, 구조적 안정성을 높게 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오프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한 오프너의 캔따개슬롯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오프너(1000B)를 기준으로 제2 오픈수단(3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오픈수단(300)은 제1 오픈수단(200)의 헤드부(220)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캔따개슬롯(310)은 헤드부(220)의 전단에 형성되는 상부슬롯판(320)과 하부슬롯판(33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슬롯판(320)에는 제1 홈(321)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슬롯판(330)에는 제2 홈(331)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슬롯판(330)에 상부슬롯판(320)이 적층 결합 되면, 상호 대향 배치되는 제1 홈(321)과 제2 홈(331)이 캔따개슬롯(310)을 형성한다.
도 12는 도 1에서 도시한 오프너의 손잡이에 형성된 걸림부와 세레이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오프너(1000B)에도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411)와 세레이션부(42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손잡이를 밀어 캔의 표면뚜껑부를 최초 개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손잡이를 잡아 당겨 캔의 표면뚜껑부를 개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오프너(1000)의 손잡이(400)를 잡은 상태에서 캔따개슬롯(310)이 캔(20)의 캔따개(10)로 삽입되도록 결합시키고, 화살표 방향과 같이 오프너(1000)의 후면을 약간 들어올리게 되면 캔(20)의 캔따개(10)가 상부로 들리면서 캔(20)이 1차적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오프너(1000)의 캔따개슬롯(310)이 캔(20)의 캔따개(10)에 끼워 진 상태에서 표면뚜껑부(21a)를 상부로 완전히 들어올려, 캔(20)을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다.
손잡이가 없는 경우, 캔따개슬롯(310)에 캔따개(10)를 끼운 상태로 캔따개(10)를 잡아 당기는 과정에서, 표면뚜껑부(21a)를 위쪽으로 들어 올릴 수 없다. 때문에 오프너의 몸체가 캔(20)의 에지 영역을 지렛대의 지지점으로 삼아 표면뚜껑부(21a)를 잡아 당겨야 하는데 도 14의 B와 같은 영역으로 인하여 오프너(1000)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기 때문에 표면뚜껑부(21a)를 완전히 제거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400)를 잡은 상태에서 도 14의 화살표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도 14의 B영역으로 인하여 오프너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캔(20)의 표면뚜껑부(21a)를 보다 원활하게 오픈시킬 수 있다.
1000A,1000B: 오프너
100: 몸체
200: 제1 오픈수단
210: 프레임부
220: 헤드부
230: 걸림돌기
300: 제2 오픈수단
310: 캔따개슬롯
311: 입구
312: 천정면
313: 바닥면
313a: 하향 경사면
314: 측면
320: 상부슬롯판
321: 제1 홈
330: 하부슬롯판
322: 제2 홈
400: 손잡이
410: 파지부
411: 걸림부
420: 다리부
421: 세레이션부

Claims (9)

  1. 몸체;
    상기 몸체의 전단에 형성되며 내측에 병뚜껑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병뚜껑의 상면에 접촉하는 헤드부와 상기 프레임부에서 상기 헤드부를 향하여 상기 삽입공간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병뚜껑의 에지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제1 오픈수단;
    상기 헤드부의 전단에 형성되며, 전방으로 개방된 입구로 삽입되는 캔따개의 상면과 접촉하는 천정면과, 캔따개의 하면과 접촉하는 바닥면과, 상기 천정면과 상기 바닥면을 연결하는 측면이 형성하는 캔따개슬롯을 포함하는 제2 오픈수단;및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손가락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에 떨어져 배치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와 상기 몸체의 상면을 연결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를 포함하는 오프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픈수단은,
    상기 헤드부의 전방에 결합되며 제1 홈이 오목하게 형성된 하부슬롯판과, 상기 하부슬롯판에 적층 결합하며 상기 제1 홈과 대향 배치되는 제2 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부슬롯판을 포함하고,
    상기 캔따개슬롯은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이 이루는 공간으로 형성되는 오프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캔따개슬롯의 상기 바닥면은, 상기 입구까지 이어지는 하향 경사면을 포함하는 오프너.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파지부는 전방 단부에 상향하여 절곡 형성되어 손가락 걸림공간을 형성하는 오프너.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를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한 상기 다리부의 표면에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오목한 영역과 볼록한 영역이 교차되어 형성되는 세레이션부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오프너,
  6. 몸체;
    상기 몸체의 전단에 형성되며 내측에 병뚜껑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병뚜껑의 상면에 접촉하는 헤드부와 상기 프레임부에서 상기 헤드부를 향하여 상기 삽입공간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병뚜껑의 에지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제1 오픈수단;
    상기 몸체의 후단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개방된 입구로 삽입되는 캔따개의 상면과 접촉하는 천정면과, 캔따개의 하면과 접촉하는 바닥면과 상기 천정면과 상기 바닥면을 연결하는 측면이 형성하는 캔따개슬롯을 포함하는 제2 오픈수단;및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손가락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에 떨어져 배치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단부와 상기 몸체의 상면을 연결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를 포함하는 오프너.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캔따개슬롯의 상기 바닥면은, 상기 입구까지 이어지는 하향 경사면을 포함하는 오프너.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파지부는 전방 단부에 상향하여 절곡 형성되어 손가락 걸림공간을 걸림부를 형성하는 오프너.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를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한 상기 다리부의 표면에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오목한 영역과 볼록한 영역이 교차되어 형성되는 세레이션부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오프너.
KR2020140008501U 2014-11-19 2014-11-19 오프너 KR2016000181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501U KR20160001816U (ko) 2014-11-19 2014-11-19 오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501U KR20160001816U (ko) 2014-11-19 2014-11-19 오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816U true KR20160001816U (ko) 2016-05-27

Family

ID=56098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501U KR20160001816U (ko) 2014-11-19 2014-11-19 오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81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706A (ko) 2021-05-21 2022-11-29 최동우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706A (ko) 2021-05-21 2022-11-29 최동우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5468A (en) Multi-purpose opener
KR20160001816U (ko) 오프너
KR101382931B1 (ko) 한 손으로 따는 병따개
KR20220157706A (ko)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
KR20150020029A (ko) 통조림 캔 제품을 안전하게 개구하는데 이용되는 안전오프너
KR101849441B1 (ko) 캔 오프너
US3056534A (en) Bottle holder
KR20180001412U (ko) 음료와 식품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캐리어
KR101299672B1 (ko) 원터치 오프너를 갖는 제품을 개구하는 안전오프너 및 이의 이용방법
JP4657373B1 (ja) 缶開け具
KR101579451B1 (ko) 캔 오프너
KR101368969B1 (ko) 안전 캔 따개
JP3241389U (ja) プルトップ付き缶の蓋開け機能を有する箸
KR200383163Y1 (ko) 금속제 배식판
JP3227212U (ja) 容器用オープナー
JP7338861B2 (ja) 調理容器用ハンドル
KR101534400B1 (ko) 통조림통
US20200060452A1 (en) Grooved tableware for assisting infants and children with grasping foodstuffs
KR20110093002A (ko) 캔 오프너
KR101607493B1 (ko) 종이팩 오프너
JP3186931U (ja) 飲料用缶の持ち手
KR20030035292A (ko) 스프링력을 이용한 원터치식 자동 따개장치를 갖는 캔용기
KR101461851B1 (ko) 캔 오프너
KR200373778Y1 (ko) 개봉이 용이한 음료용 캔 따개
KR200447003Y1 (ko) 캔 따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