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5292A - 스프링력을 이용한 원터치식 자동 따개장치를 갖는 캔용기 - Google Patents

스프링력을 이용한 원터치식 자동 따개장치를 갖는 캔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5292A
KR20030035292A KR1020010067286A KR20010067286A KR20030035292A KR 20030035292 A KR20030035292 A KR 20030035292A KR 1020010067286 A KR1020010067286 A KR 1020010067286A KR 20010067286 A KR20010067286 A KR 20010067286A KR 20030035292 A KR20030035292 A KR 20030035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opening lever
bent
spr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7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6538B1 (ko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김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환 filed Critical 김경환
Priority to KR10-2001-0067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538B1/ko
Publication of KR20030035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5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4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and push-down tea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a preformed opening
    • B65D2517/5072Details of hand grip, tear- or lift-tab
    • B65D2517/5075Hand grip with finger opening
    • B65D2517/5081Hand grip with finger opening the hand grip formed as an annular or U-shaped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음료를 밀봉 포장하기 위한 캔용기에 있어서, 특히 스프링편 안치홈에는 선단이 후측으로 절곡되어 양측이 탄력지지되며 그 중앙의 절개편이 돌출된 스프링편을 안치하고, 개봉레버 안치홈에는 절곡손잡이와 전기한 스프링편의 절개편이 삽입되는 요홈부를 갖는 개봉레버를 안치시켜 개봉레버와 안치홈을 압접에 의해 용접 고정하므로서,
한번의 동작에 의해 음료용 캔을 개봉할 수 있음은 물론, 개봉과 동시에 절곡되었던 개봉레버를 다시 원위치로 복원시키므로 음용시 절곡된 개봉레버에 의한 간섭을 피하는 것이며, 손톱이나 손가락을 삽입하여 강제 개봉시키는 것이 아니라, 스프링편의 탄발력에 의해 개봉하는 것이므로 음용자의 손톱 및 손가락의 부상 위험이 전혀 없는 것이며, 캔 용기의 상부로 전혀 노출되는 것이 없으므로 다수의 개체를 적층하여 보관하거나 운반하여도 개봉수단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그 취급이 매우 용이한 스프링력을 이용한 원터치식 자동 따개장치를 갖는 캔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프링력을 이용한 원터치식 자동 따개장치를 갖는 캔용기 {can with automatic opener using power of spring}
본 발명은 각종 음료를 밀봉 포장하기 위한 캔용기에 있어서, 특히 절취편이 형성된 캔용기의 상부구조를 개선하고, 그 캔용기의 상부에 탄발력을 갖는 스프링편과, 그 스프링편과 함께 캔용기의 상부에 고정되는 개봉레버를 각각 형성함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전기한 스프링편이 탄력 전개되게 하면, 그 탄발력에 의해 개봉레버가 절취편을 압압 개봉하게 하며, 절취편을 개봉한 개봉레버는 다시 전기한 스프링편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므로 각종 캔용기의 절취에 의한 개봉이 매우 용이해지는 것이며, 개봉후에도 절취편을 개봉하기 위한 개봉레버가 원상태로 복귀되므로 음료의 음용이 보다 편리한 스프링력을 이용한 원터치식 자동 따개장치를 갖는 캔용기에 관한 것이다.
캔용기는 각종 음료수 및 가공식품을 밀봉하여 유통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음료용 캔용기는 용기의 상부면에 절취선에 의해 개봉탭(이하, 절취편이라 함.)을 형성하고, 그 개봉탭의 일측에는 손잡이를 갖는 절취레버 또는 개봉레버를 리벳팅 또는 용접에 의해 부착 형성함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캔용기 내부의 음료를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기한 개봉레버의 후단에 손가락의 끝을 삽입한 후, 삽입된 손가락을 이용하여 개봉레버를 상부로 들어올리면 개봉레버의 타단이 하강하며 절취편을 압압하므로, 압압력을 받는 절취편이 하부로 절취되면서 음료용기의 내부가 개방되므로 용기내부의 음료 음용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통상의 음료용 캔용기는 그 개봉레버가 용기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음료용 캔용기의 절취편 개봉시 손톱을 밀어넣어 개봉레버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손톱이 부러지거나 손가락의 삽입이 불가능하여 별도의 간단한 도구(예를 들어 열쇠나 동전 등)를 사용하여 그 개봉레버를 들어올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므로 근자에 들어서는,
전기한 개봉레버의 후단 즉, 손가락이 삽입되는 부분을 절곡형상으로 형성하여 보다 손가락 및 손톱의 삽입이 용이하게 하고 있는 것이며, 또다른 방법으로는 그 개봉레버의 탄발력을 이용하여 음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개봉레버가 일정높이 상승되어 손가락의 삽입이 쉽게 하는 등의 노력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개봉레버 중, 개봉레버의 단부를 절곡형상으로 형성하여 결합한 캔음료의 경우에는 그 개봉레버 자체가 캔용기에 따른 크기의 제한을 받는 것이므로 손가락이 삽입될 정도의 충분한 절곡높이를 형성할 수 없으므로 사실상 그 효과가 크지 않은 것이며, 그 절곡높이를 높게 하는 경우에는 캔용기의 개봉은 용이한 반면, 다수의 개체를 적층하여 보관 및 이동하는 캔용기의 특성상 돌출된 개봉레버에 의해 적층이 불가능하거나 심한 압압력을 받는 경우에는 절곡된 개봉레버가 다시 펴지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개봉래버 자체에 탄발력을 갖게 하여 캔용기의 개봉시에 그 탄발력에 의해 개봉레버가 일정높이 상승되게 하는 것은 역시, 개봉레버 자체에 오목형태의 판스프링을 일체로 형성하여 개봉레버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그 판스프링을 눌러 오목 형태의 판스프링이 볼록 스프링으로 전환됨과 동시에 그 탄발력에 의해 개봉레버가 일정높이 상승되게 함으로서 보다 개봉레버를 들어올리기 쉽도록 안출하였으나, 이 또한 반드시 손가락 및 손톱을 사용하여 절취편을 개방시켜야 하는 것이므로 유아 및 어린이들이 사용하기에는 여전히 불편함이 있는 것이며, 성인들이 사용하는 경우에도, 개봉레버와 용기 상부의 용접 또는 리벳팅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져 캔용기의 상부면에 개봉레버가 견고하게 부착된 것은 마찬가지로 그 용기의 개봉이 매우 힘들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충분히 들어올려진 개봉레버에 의해 절취편을 하강시켜 용기내부를 개방시킨 후, 사용자는 내부의 음료를 음용하기 위해 개봉구측으로 절곡된 개봉레버를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절곡작업을 시행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절취편을 갖는 음료용 캔의 상부면에 개봉레버 안치홈과 스프링편 안치홈을 각각 형성하여, 스프링편 안치홈에는 선단이 후측으로 절곡되어 양측이 탄력지지되며 그 중앙의 절개편이 돌출된 스프링편을 안치하고, 개봉레버 안치홈에는 절곡손잡이와 전기한 스프링편의 절개편이 삽입되는 요홈부를 갖는 개봉레버를 안치시켜 개봉레버와 안치홈을 압접에 의해 용접 고정하므로서,
개봉레버의 절곡손잡이를 구부려 스프링편이 탄력 전개됨과 동시에 이와 동시에 개봉레버를 회전시키므로 이에 의해 절취편이 개봉되게 하고, 절취편이 개봉됨과 동시에 스프링편의 절개편이 복원되며 구부러진 개봉레버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므로,
한번의 동작에 의해 음료용 캔을 개봉할 수 있음은 물론, 개봉과 동시에 절곡되었던 개봉레버를 다시 원위치로 복원시키므로 음용시 절곡된 개봉레버에 의한 간섭을 피하는 것이며, 손톱이나 손가락을 삽입하여 강제 개봉시키는 것이 아니라, 스프링편의 탄발력에 의해 개봉하는 것이므로 음용자의 손톱 및 손가락의 부상 위험이 전혀 없는 것이며, 캔 용기의 상부로 전혀 노출되는 것이 없으므로 다수의 개체를 적층하여 보관하거나 운반하여도 개봉수단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그 취급이 매우 용이한 스프링력을 이용한 원터치식 자동 따개장치를 갖는 캔용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기술적 수단은 중앙의 절개편과 양측의 탄력편으로 된 스프링판을 미리 준비하여 그 양측의 탄력편을 절곡하여 후단의 걸림고리에 탄력지지되게 걸어 놓으므로서 그 탄력편의 복원력에 의해 개봉레버를 회전 절곡시키는 원동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수단과, 1차적으로 스프링편의 탄력편이 탄발 전개되게 함은 물론 2차적으로는 탄력편의 탄발력을 제공받아 그 개봉레버에 의해 절취편이 절개되게 하여 내부의 음료 음용이 가능케하는 개봉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캔용기의 자동 따개장치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캔용기에 자동 따개장치가 장착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캔용기 자동 따개장치의 개봉레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캔용기 자동 따개장치의 스프링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따개장치가 장착된 캔용기의 상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캔용기의 개봉레버를 들어올린 상태의 상부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캔용기의 개봉레버에 의해 절취편이 개봉된 상태의 확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캔용기의 개봉레버에 의해 절취편이 개봉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캔용기의 개봉레버가 절취편을 개봉시킨 후 원위치로 복귀한 상태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절취편 2 : 제1요홈부
3 : 제2요홈부 4 : 상부커버
10 : 스프링편 11 : 걸림구
12 : 절곡부 13 : 절개편
14,14' : 탄력편
20 : 개봉레버 21 : 플랜지
22 : 회전부 23 : 절곡부
24 : 고정부 25,25' : 요홈
26 : 통공 27 : 제거편
30 : 돌턱 31,31' : 요홈
32,32' : 돌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스프링력을 이용한 원터치식 자동 따개장치를 갖는 캔용기의 상부를 분리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자동 따개장치가 캔용기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절취편(1)이 포함된 일정깊이의 제1요홈부(2)와, 그 제1요홈부(2) 보다는 더 깊은 또다른 제2요홈부(3)를 제1요홈부(2)와 연결되게 캔용기의 상부커버(4)에 형성하고,
제2요홈부(3)에는 스프링편(10)을 삽입하며, 제 1요홈부(2)에는 개봉레버(20)를 삽입하되,
스프링편(10)은 평판상의 금속재 일단을 "T"자상의 걸림구(11)로 형성하여 걸림구(11)가 수직입설되게 하고, 평판상 금속재의 타측은 중앙부에 절곡부(12)를 갖는 절개편(13)을 형성하고, 절개편(13)의 양측 탄력편(14)(14')은 후방으로 절곡하여 그 탄력편(14)(14')의 단부가 전기한 걸림구(11)에 걸려 탄력지지되게 하며,
개봉레버(20)는 하향 플랜지(21)가 외주면에 형성된 회전부(22)와, 평판상의 절곡부(23)로 구분형성하고, 회전부(22)에는 그 중앙을 절개하여 플랜지(21) 단부와 동일한 깊이의 고정부(24)를 형성하고, 그 고정부(24)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고 저면으로부터 형성된 요홈(25)(25')을 형성하며, 절곡부(23)와 연결된 회전부(22)의 단부에는 통공(26) 및 하향절곡된 제거편(27)이 형성되어 있어,
스프링편(10)의 절개편(13)은 절개편(13)의 절곡부(12)가 요홈(25)(25')의 사이에 위치되게 하여 삽입하고, 개봉레버(20)의 제거편(27)은 스프링편(10)의 걸림구(11) 전방에 위치되게 서로 중첩하여 이를 각각의 제1,2요흠부(2)(3)에 안치시킨 후, 전기한 개봉레버(20)의 고정부(24) 양측을 상부커버(4)에 압접하여 고정시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전기한 개봉레버(20)가 안치되는 제1요홈부(2)의 단부에 돌턱(30)을 형성하여, 그 돌턱(30)에 의해 플랜지(21)가 없는 개봉레버(20)의 절곡부(23)가 하향 지지되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전기한, 개봉레버(20)의 회전부(22)와 절곡부(23)가 경계하는 지점의 양측에 요홈(31)(31')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상부커버(4)의 제1요홈부(2)에는 돌기(32)(32')를 형성하여 서로 유도 안착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봉레버(20)를 보인 전체사시도로서, 개봉레버(20)는 일측의 회전부(22)와 타측의 절곡부(23)로 일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회전부(22)의 외곽 주면에는 하향의 플랜지(21)가 형성되어 있어 강한 스프링력을 받는 회전부(22)가 꺽이거나 휘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제거한 것이다.
또한, 회전부(22)의 중앙에는 상기한 플랜지(21)의 하단과 동일한 깊이로 절취된 고정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고정부(24)의 중앙에는 하부로부터의 요홈(25)(25')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 요홈(25)(25')은 일정간격을 갖고 이격되어 있으며 그 이격공간은 절개된 통공상의 형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요홈(25)(25')은 후술하는 스프링편(10)의 절개편(13)이 삽입되는 것이며, 절개편(13)의 절곡부(12)는 바로 요홈(25)(25')의 이격공간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개봉레버(20)의 회전부(22)와 절곡부(23)의 경계지점으로부터 회전부(22)에 치우쳐서는 통공(2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통공(26)에는 절곡부(23) 측으로부터 연장된 제거편(27)이 하향 절곡되어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는 것이며, 전기한 제거편(27)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편(10)의 탄력편(14)(14')을 걸림구(11)로부터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편(10)을 확대도시한 사시도로서, 스프링편(10)은 판상의 금속편을 절개 및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그 스프링편(10)의 제작공정 및 완성된 상태를 설명하면, 판재의 일측을 타발하여 "T"자상으로 형성하고, 그 형상을 상부로 수직 직립시켜 걸림구(11)가 형성되게 하고, 판재의 타측은 일정길이만큼을 상하 횡상으로 절개하여 중앙의 절개편(13)이 남아 있게 한 상태에서 양측의 탄력편(14)(14') 단부를 후측인 걸림구(11) 측으로 꺽이지 않게 구부려 그 탄성이 유지된채로 탄력편(14)(14')의 단부를 걸림구(11)의 하측에 밀어넣어 수직입설된 걸림구(11)에 의해 탄성을 내장하고 있는 탄력편(14)(14')이 삽입 지지되게 하는 것이며,
전기한 절개편(13)의 중앙부는 상향 절곡부(12)를 형성하여 상술한바와 같이 개봉레버(20)의 요홈(25)(25') 사이로 삽입되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스프링편(10)과 개봉레버(20)를 중첩하여 이를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부커버(4)에 형성된 제1요홈부(2) 및 제2요홈부(3)에 삽입한 후, 개봉레버(20)의 고정부(24) 양측을 상부커버(4)와 압접에 의해 용접하여 부착하면 생산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때, 개봉레버(20)의 단부는 제1요홈부(2)에 형성된 절취편(1) 상에 올려지게 되어 개봉레버(20)의 단부가 하강하게 되면 그 압압력에 의해 절취편(1)의 절개되어 용기의 내부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조립된 상태의 용기를 사용자에 의해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충분한 깊이의 제2요홈부(3)에 위치하는 개봉레버(20)의 절곡부(23)를 들어올리면 절곡부(23)가 절곡되면서 제거편(27)이 함께 후측으로 회전되는 것이며, 후측으로 회전하는 제거편(27)은 곧바로 스프링편(10)의 걸림구(11)와 당접되며 걸림구(11)를 후측으로 밀어내는 것이다.
따라서, 걸림구(11)가 후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도 7 및 도 8의 도시와 같이 스프링편(10)의 탄력편(14)(14')이 순간적으로 복원되는 힘을 개봉레버(20)의 회전부(22)에 전달함과 동시에 그 복원력을 받은 회전부(22)는 상부커버(4)에 부착된고정부(24)를 제외한 전부분이 회전되며 그 회전부(22) 단부의 절취편(1)을 압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회전부(22)의 압압력에 의해 절취편(1)이 절개되며 용기의 내부가 개방되는 것이며, 회전부(22)를 밀거 올린 스프링편(10)의 양측 탄력편(14)(14')은 계속 전개되면서 개봉레버(20)의 고정부(24)가 위치한 동공상으로 인출 전개되는 것이며, 탄력편(14)(14')이 회전부(22)의 저면으로부터 이탈된 후부터는 회전부(22)를 밀어올리는 힘이 제거됨과 동시에 회전부(22)의 회전력에 의해 함께 회전되었던 스프링편(10)의 절개편(13)이 다시 복원하고자 하므로 도 9의 도시와 같이 절개편(13)의 복원력에 의해 절취편(1)을 개방시키기 위해 회전되었던 개봉레버(20)가 원상태로 복귀하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절개편(13)의 중간부에 절곡부(12)를 형성한 이유는 개봉레버(20)의 회전부(22)가 탄력편(14)(14')에 의해 회전될 때 그 절개편(13)이 함께 비교적 적은 저항력으로 함께 절곡되게 하고, 탄력편(14)(14')과 개봉레버(20)의 회전부(22)가 이탈된 이후부터는 절곡된 절개편(13)의 단부가 다시 복원되려는 힘을 갖게 하기 위해 전,후 이동이 없도록 양측의 요홈(25)(25') 사이에 절개편(13)의 절곡부(12)가 삽입되게 한 것이다.
또한, 도 1 및 도 7의 도시와 같이 개봉레버(20)의 절곡부(23)가 안치되는 제1요홈부(2)의 단부에 형성된 돌턱(30)은 플랜지(21)가 형성된 회전부(22)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절곡부(23)가 하부로 눌리거나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한 회전부(22)의 플랜지(21)와 동일 높이로 돌출형성하므로서, 음료용 캔의 상부에 물건을 올려놓거나 실수로 그 개봉레버(20)의 절곡부(23)를 누른다 하더라도 더 이상 하부로 하강되지 않도록 한 것이며,
개봉레버(20)의 회전부(22)와 절곡부(23)의 경계부에 형성된 요홈(31)(31')은 절곡부(23)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회전부(22)에는 영향을 주지 않므면서 절곡부(23)의 용이한 절곡이 이루어지게 한 것으로서, 평균단면적을 감소시켜 보다 빠르고 안전한 절곡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비교적 적은 힘만으로도 절곡부(23)의 회전절곡에 의해 스프링편(10)의 탄력편(14)(14')에 복원탄성력을 제공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절곡의 용이성 이외에도 상부커버(4)에 개봉레버(20)를 안치시켜 그 고정부(24)와 상부커버(4)를 압접하여 고정시키는 경우에도 개봉레버(20)의 요홈(31)(31')과 대응되는 위치의 제1요홈부(2)에 형성된 돌기(32)(32')를 서로 유도 결합되게 함으로서 보다 균일한 부착작업이 완성됨은 물론 개봉레버(20)의 좌우및 상하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되어 보다 균일하면서도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스프링력을 이용한 원터치식 자동 따개장치를 갖는 캔용기는 한번의 동작에 의해 음료용 캔을 개봉할 수 있음은 물론, 개봉과 동시에 절곡되었던 개봉레버를 다시 원위치로 복원시키므로 음용시 절곡된 개봉레버에 의한 간섭을 피하는 것이며, 손톱이나 손가락을 삽입하여 강제 개봉시키는 것이 아니라, 스프링편의 탄발력에 의해 개봉하는 것이므로 음용자의 손톱 및 손가락의 부상 위험이 전혀 없는 것이며, 캔 용기의 상부로 전혀 노출되는 것이 없으므로 다수의 개체를 적층하여 보관하거나 운반하여도 개봉수단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그 취급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절취편(1)이 포함된 일정깊이의 제1요홈부(2)와, 그 제1요홈부(2) 보다는 더 깊은 또다른 제2요홈부(3)를 제1요홈부(2)와 연결되게 캔용기의 상부커버(4)에 형성하고,
    제2요홈부(3)에는 스프링편(10)을 삽입하며, 제 1요홈부(2)에는 개봉레버(20)를 삽입하되,
    스프링편(10)은 평판상의 금속재 일단을 "T"자상의 걸림구(11)로 형성하여 걸림구(11)가 수직입설되게 하고, 평판상 금속재의 타측은 중앙부에 절곡부(12)를 갖는 절개편(13)을 형성하고, 절개편(13)의 양측 탄력편(14)(14')은 후방으로 절곡하여 그 탄력편(14)(14')의 단부가 전기한 걸림구(11)에 걸려 탄력지지되게 하며,
    개봉레버(20)는 하향 플랜지(21)가 외주면에 형성된 회전부(22)와, 평판상의 절곡부(23)로 구분형성하고, 회전부(22)에는 그 중앙을 절개하여 플랜지(21) 단부와 동일한 깊이의 고정부(24)를 형성하고, 그 고정부(24)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고 저면으로부터 형성된 요홈(25)(25')을 형성하며, 절곡부(23)와 연결된 회전부(22)의 단부에는 통공(26) 및 하향절곡된 제거편(27)이 형성되어 있어,
    스프링편(10)의 절개편(13)은 절개편(13)의 절곡부(12)가 요홈(25)(25')의 사이에 위치되게 하여 삽입하고, 개봉레버(20)의 제거편(27)은 스프링편(10)의 걸림구(11) 전방에 위치되게 서로 중첩하여 이를 각각의 제1,2요홈부(2)(3)에 안치시킨 후, 전기한 개봉레버(20)의 고정부(24) 양측을 상부커버(4)에 압접하여 고정시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력을 이용한 원터치식 자동 따개장치를 갖는 캔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개봉레버(20)가 안치되는 제1요홈부(2)의 단부에 돌턱(30)을 형성하여, 그 돌턱(30)에 의해 플랜지(21)가 없는 개봉레버(20)의 절곡부(23)가 하향 지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력을 이용한 원터치식 자동 따개장치를 갖는 캔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개봉레버(20)의 회전부(22)와 절곡부(23)가 경계하는 지점의 양측에 요홈(31)(31')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상부커버(4)의 제1요홈부(2)에는 돌기(32)(32')를 형성하여 서로 유도 안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력을 이용한 원터치식 자동 따개장치를 갖는 캔용기.
KR10-2001-0067286A 2001-10-30 2001-10-30 스프링력을 이용한 원터치식 자동 따개장치를 갖는 캔용기 KR100426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286A KR100426538B1 (ko) 2001-10-30 2001-10-30 스프링력을 이용한 원터치식 자동 따개장치를 갖는 캔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286A KR100426538B1 (ko) 2001-10-30 2001-10-30 스프링력을 이용한 원터치식 자동 따개장치를 갖는 캔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292A true KR20030035292A (ko) 2003-05-09
KR100426538B1 KR100426538B1 (ko) 2004-04-14

Family

ID=29567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7286A KR100426538B1 (ko) 2001-10-30 2001-10-30 스프링력을 이용한 원터치식 자동 따개장치를 갖는 캔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6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8309A1 (en) * 2004-09-06 2006-03-16 Kbc Inc.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data using by controlling screen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ing by controlling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492B1 (ko) 2005-09-22 2007-06-12 신문식 안전 개봉형 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521U (ko) * 1997-06-05 1999-01-15 구정서 캔의 개봉구조
KR100364632B1 (ko) * 2000-11-30 2002-12-18 이향제 탄성력을 이용한 자동 캔따개 장치
KR20020063686A (ko) * 2001-01-30 2002-08-05 이향제 음료용 캔 마개의 자동열림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8309A1 (en) * 2004-09-06 2006-03-16 Kbc Inc.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data using by controlling screen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ing by controlling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6538B1 (ko) 200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9921A (en) Can top opener
US4463631A (en) Multipurpose opener
US4291464A (en) Lid piercing device
JP2002362553A5 (ko)
KR20030035292A (ko) 스프링력을 이용한 원터치식 자동 따개장치를 갖는 캔용기
US3056534A (en) Bottle holder
US2473870A (en) Pry off type jar cap remover
KR20150020029A (ko) 통조림 캔 제품을 안전하게 개구하는데 이용되는 안전오프너
KR200233596Y1 (ko) 음료용 캔 마개의 자동열림구조
KR20160001816U (ko) 오프너
KR200207440Y1 (ko) 개방이 용이한 캔뚜껑
KR102440995B1 (ko) 안전 캔 뚜껑
JP3186931U (ja) 飲料用缶の持ち手
KR200223549Y1 (ko) 원터치식 캔용기의 오픈 구조
KR100337432B1 (ko)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
KR200430060Y1 (ko) 캔 오프너
KR20020063686A (ko) 음료용 캔 마개의 자동열림구조
KR200242482Y1 (ko) 빨대를 수용시킨 음료수 캔
KR200207450Y1 (ko) 탭리프터를 구비한 캔 개봉장치
KR100364632B1 (ko) 탄성력을 이용한 자동 캔따개 장치
KR200175431Y1 (ko) 캔 따개
KR200307673Y1 (ko) 오픈 기능성이 개선된 캔 뚜껑 구조
US1218884A (en) Can-opener.
KR20060059332A (ko) 밀거나돌려서따는캔뚜껑
KR200237786Y1 (ko)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